KR101265007B1 - 점착형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점착형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007B1
KR101265007B1 KR1020110058114A KR20110058114A KR101265007B1 KR 101265007 B1 KR101265007 B1 KR 101265007B1 KR 1020110058114 A KR1020110058114 A KR 1020110058114A KR 20110058114 A KR20110058114 A KR 20110058114A KR 101265007 B1 KR101265007 B1 KR 101265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protective film
transparent protec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099A (ko
Inventor
츠요시 지바
마사토 비토
유우지 미야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35655A external-priority patent/JP5280421B2/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Abstract

[과제] 사용 환경의 변화에 의해서도 화상 표시 장치의 광 누설이 잘 발생하지 않는 점착형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편광자 (1) 의 적어도 편면에 투명 보호 필름 (2) 이 적층되어 있고, 당해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 (1) 와 적층되지 않은 측의 면에 점착제층 (5) 이 적층된 점착형 편광판 (10) 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투명 보호 필름의 광탄성 계수를 X ㎡/N,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중의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단위의 함유량을 Y % 로 한 경우, X 와 Y 가 소정의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과제가 해결된다.

Description

점착형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ADHESIVE POLARIZATION PLATE AND IMAGE DISPLAY}
본 발명은 편광판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점착형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의 적어도 편측에 편광판이 배치된 액정 패널을 백라이트 등의 광원과 조합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액정 셀과 편광판은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다. 또,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외광의 경면 반사를 차폐할 목적으로, 셀의 시인측에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원 편광판을 첩합 (貼合) 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편광판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실제로 사용하도록 제공한 경우, 특히, 고온이나 고습한 환경하에서 사용한 경우에, 화면의 단부 (端部) 에 광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환경 변화에 수반하는 광 누설은, 온도나 습도 등의 변화에 의해 각 부재가 치수 변화를 일으켜, 그 계면에서의 응력에 의해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위상차가 변화하는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편광자에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투명 보호 필름이 적층된 구성을 갖고 있지만, 환경 변화에 수반하여 당해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계면이나, 투명 보호 필름에 첩합된 다른 부재와의 계면에 있어서 응력이 발생하고, 이 응력에 의한 광탄성 복굴절에 의해 투명 보호 필름의 위상차 특성이 변화하는 것이 원인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특히, 화면의 단부에서는 화면의 중앙부에 비하여 각 부재의 치수 변화가 커지기 때문에, 단부에서의 광 누설이 현저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 최근의 화상 표시 장치의 대형화나 고휘도화의 조류에 수반하여, 광원의 발열에 의해 화상 표시 장치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와 같은 박형의 화상 표시 장치의 용도가 다양화되고 있어, 고온 고습 등의 가혹한 환경하에서 사용될 기회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환경 변화에 수반하는 화면 단부의 광 누설은 보다 시인되기 쉬워지고 있다.
이와 같은 화면 단부의 광 누설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작은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 투명 보호 필름의 위상차 변화를 작게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또, 투명 보호 필름의 제조시의 기계 방향과 기계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인장 탄성률의 차를 작게 하는 것이나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투명 보호 필름의 선팽창계수와 점착제층의 탄성률의 곱을 소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4), 투명 보호 필름의 위상차 변화를 작게 하는 방법 등도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5261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1702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27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2740호
특허문헌 1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경에 의한 투명 보호 필름의 위상차 변화를 작게 하여 화면의 단부의 광 누설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투명 보호 필름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여, 이론적으로는 광탄성 계수가 거의 제로인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광 누설의 문제는 해소되는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작은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서도 사용 환경에 수반하는 화면 단부의 광 누설이 발생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사용 환경의 변화에 의해서도 화상 표시 장치의 광 누설이 잘 발생하지 않는 점착형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광탄성 계수가 작은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도 광 누설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검토한 결과, 편광판과 액정 셀을 첩합하는 점착제층의 종류를 변경함으로써 광 누설의 상황이 변화한다는 새로운 지견을 알아냈다. 그리고, 당해 지견으로부터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하에 있어서의 광 누설은, 투명 보호 필름의 위상차 변화뿐만 아니라, 점착제층에도 위상차가 발생하고 있는 것에서 기인하고 있다는 추정 원리에 기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소정의 투명 보호 필름과 접착제층의 조합에 의해 광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편광자의 적어도 편면에 투명 보호 필름이 적층되어 있고, 당해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와 적층되지 않은 측의 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점착형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점착제층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광탄성 계수 X (㎡/N) 의 절대값은 50×10-12 이하이다. 또,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폴리머 중의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단위의 함유량을 Y % 로 한 경우, X 와 Y 는 하기를 만족한다.
-1×1011X+3≤Y≤-1×1011X+23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에 있어서는,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이 아크릴계 수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페닐말레이미드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변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형 편광판이 사용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에 있어서는,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폴리머가, 소정량의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단위 (B 성분) 를 함유하고 있다. B 성분의 함유량 Y 는, 투명 보호 필름의 광탄성 계수 X 의 값에 따라 결정되고, 가열 등의 환경 변화에 의해 투명 보호 필름의 위상차값이 변화한 경우에, 점착제층이 투명 보호 필름과는 반대 부호의 위상차 변화를 발생시키도록 조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투명 보호 필름의 위상차 변화가 큰 화면 단부 부근에 있어서는, 점착제층의 위상차 변화도 커져 (단, 점착제층의 위상차 변화의 부호는, 투명 보호 필름의 위상차 변화의 부호와 반대이다), 점착형 편광판의 면내 전체에서 투명 보호 필름의 위상차 변화와 점착제층의 위상차 변화를 서로 없앤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이 첩합된 화상 표시 장치는, 가열 환경 등에 노출된 경우에 있어서도 광 누설이 적은 화상 표시가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점착형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 (10) 은, 편광자 (1) 의 편면에 제 1 투명 보호 필름 (2) 을 갖고, 투명 보호 필름 (2) 상에는 점착제층 (5) 이 형성되어 있다. 편광자 (1) 와 제 1 투명 보호 필름 (2) 은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다. 또, 편광자 (1) 의 제 1 투명 보호 필름 (2) 이 적층된 측과 반대측의 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제 2 투명 보호 필름 (3) 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 (10) 을 사용하여 화상 표시 장치 (100) 를 형성하는 경우,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투명 보호 필름 (2) 이 배치된 측의 면이 점착제층 (5) 을 개재하여 화상 표시 셀 (20) 에 첩합된다. 즉, 제 1 투명 보호 필름 및 점착제층 (5) 은, 화상 표시 셀 (20) 과 편광자 (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도 2 에서는 화상 표시 셀 (20) 의 양면에 점착형 편광판 (10) 이 첩합되어 있지만, 화상 표시 셀 (20) 의 편면에만 점착형 편광판이 첩합되어 있어도 된다.
[편광자]
편광자 (1)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의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5 ∼ 80 ㎛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 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염색하고, 원 길이의 3 ∼ 7 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시켜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 얼룩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며, 또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편광자의 일방의 주면 (主面) 에 배치되는 제 1 투명 보호 필름 (2) 으로는,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50×10-12 ㎡/N 이하인 것이 사용된다. 광탄성 계수가 과도하게 크면, 제 1 보호 필름에 응력이 부가된 경우에 화상 표시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광탄성 계수는 필름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한 경우의 위상차값을 측정하여, 응력과 위상차값을 플롯한 기울기로부터 구할 수 있다. 광탄성 계수의 부호는 인장 응력을 부여한 경우에 위상차가 증가하는 것을 정 (正), 위상차가 감소하는 것을 부 (負) 로 정의한다.
(재료)
제 1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광탄성 계수가 상기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페닐말레이미드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변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고리형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서 중합되는 수지의 총칭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405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48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22137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고리형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고리형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에 의해 변성시킨 그래프트 변성체, 그리고 그들의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고리형 올레핀의 구체예로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 및 그 알킬 및/또는 알킬리덴 치환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이외의 개환 중합 가능한 다른 고리형 올레핀류를 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여러 가지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구체예로는, 닛폰 제온 제조 상품명 「제오넥스 (Zeonex)」, 「제오노아 (Ze onor)」, JSR 제조 상품명 「아톤 (Arton)」, TICONA 제조 상품명「토파스 (Topas)」, 미츠이 화학 제조 상품명 「아펠 (Apel)」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 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 C1-6 알킬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메틸을 주성분 (50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 100 중량%) 으로 하는 (메트)아크릴산메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어, 미츠비시 레이욘 제조 아크리펫트 VH 나 아크리펫트 VRL20A,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70296호에 기재된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분자 내 가교나 분자 내 고리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고(高) Tg 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또, 아크릴계 수지로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2 축 연신함으로써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300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18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03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545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6084호 등에 기재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페닐말레이미드계 수지로는, 말레이미드의 질소 원자로 치환 혹은 무치환의 페닐기가 결합된 모노머를 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페닐말레이미드계 수지의 원료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N-페닐말레이미드, N-(2-메틸페닐)말레이미드, N-(2-에틸페닐)말레이미드, N-(2-프로필페닐)말레이미드, N-(2-이소프로필페닐)말레이미드, N-(2,6-디메틸페닐)말레이미드, N-(2,6-디프로필페닐)말레이미드, N-(2,6-디이소프로필페닐)말레이미드, N-(2-메틸-6-에틸페닐)말레이미드, N-(2-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N-(2,6-디클로로페닐), N-(2-브로모페닐)말레이미드, N-(2,6-디브로모페닐)말레이미드, N-(2-비페닐)말레이미드, N-(2-시아노페닐)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말레이미드계 모노머는 예를 들어, 토쿄 화성 공업 (주) 등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또, 페닐말레이미드계 수지는 취성이나 성형 가공성, 내열성의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여, 페닐말레이미드계 모노머 이외의 모노머가 공중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되고,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모노머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3-부타디엔, 2-메틸-1-부텐, 2-메틸-1-펜텐, 1-헥센 등의 올레핀이나,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 무수 말레산, 아세트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페닐말레이미드-올레핀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토소 (주) 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로는 셀룰로오스와 지방산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디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으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시판품의 예로는, 후지 필름 제조 상품명 「UV-50」, 「UV-80」, 「SH-80」, 「TD-80U」, 「TD-TAC」, 「UZ-TAC」나, 코니카 미놀타 제조 「KC 시리즈」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비스페놀 성분으로서 4,4'-(프로판-2, 2-디일)디페놀 (비스페놀 A) 이외에, 부의 복굴절을 발현시키는 비스페놀 성분을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여, 광탄성 계수를 작게 한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변성 폴리카보네이트를 구성하는 부의 복굴절을 발현시키는 비스페놀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비스페놀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변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945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39676호, WO 01/081959호 국제 공개 팜플렛, WO 2006/041190호 국제 공개 팜플렛 등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변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필름으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변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테이진 화성 제조 상품명 「퓨어 에이스 WR 시리즈」등을 들 수 있다.
제 1 투명 보호 필름 (2) 은, 실질적으로 위상차를 갖지 않는 광학 등방성 필름이어도 되고, 위상차를 갖는 광학 이방성 필름이어도 되지만, 화상 표시 셀 (20) 과 편광자 (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위상차 불균일이 작고 광학적으로 균일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광학 이방성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제 1 투명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의 역할과 위상차판으로서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1 보호 필름이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의 역할을 겸한다. 또,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을 유기 EL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1 보호 필름으로서 1/4 파장판을 사용함으로써 원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제 1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막성 등의 면에서 1 ∼ 500 ㎛ 정도이다. 특히, 5 ∼ 200 ㎛ 가 바람직하다.
점착형 편광판이 제 2 투명 보호 필름 (3) 을 구비하는 경우, 제 2 보호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이 우수한 투명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제 2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제 1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예시한 것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 2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는 면에는, 하드 코트층이나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나,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실시한 것이어도 된다.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이나 안티글레어층 등은, 투명 보호 필름 그 자체에 형성할 수 있는 것 외에, 별도로 광학층으로서 투명 보호 필름과는 별체인 것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편광자 (1) 와 투명 보호 필름 (2, 3) 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로는 수계 접착제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계 접착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우레탄, 수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첩합시에, 투명 보호 필름에는 활성화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활성화 처리는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비누화 처리, 코로나 처리, 저압 UV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
점착제층 (5) 은 점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당해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로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단위 (A 성분), 및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단위 (B 성분) 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폴리머가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라는 기재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베이스 폴리머로서의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B 성분) 의 함유량을 Y (%) 는, 제 1 투명 보호 필름의 광탄성 계수 X (㎡/N) 에 대해, -1×1011X+3≤Y≤-1×1011X+23 을 만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열 환경에 노출된 경우에 있어서의 점착형 편광판의 위상차 변화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B 성분의 함유량 Y 를 상기 범위로 하고 있다. 점착형 편광판의 위상차 변화의 절대값은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위상차 변화는 ±2 ㎚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점착형 편광판의 위상차 변화를 작게 하여 화상 표시 장치의 화면 단부에서의 광 누설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B 성분) 의 함유량 Y (%) 는 -1×1011X+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11X+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11X+6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Y 는 -1×1011X+2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11X+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11X+19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1 투명 보호 필름의 광탄성 계수 X 의 값에 따라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B 성분의 함유량 Y 를 조정함으로써, 투명 보호 필름의 광탄성 복굴절이 점착제층의 복굴절에 의해 없어져, 점착형 편광판 전체의 위상차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투명 보호 필름의 광탄성 계수 X (㎡/N) 의 절대값은 30×10-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10-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10-1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A 성분) 의 알킬기의 탄소수는 1 ∼ 18 정도,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9 이고, 알킬기는 직사슬, 분기 사슬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는 4 ∼ 1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B 성분) 의 방향 고리 구조로는, 벤젠 고리, 나프탈렌 고리, 티오펜 고리, 피리딘 고리, 피롤 고리, 푸란 고리 등을 들 수 있다.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페놀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2-나프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4-메톡시-1-나프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티오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피리딜(메트)아크릴레이트, 피롤릴(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아크릴계 폴리머가 소정량의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성분 (B 성분) 을 가짐으로써 위상차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는 이유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B 성분은 측사슬에 분극률이 높은 방향 고리 구조를 갖기 때문에, 복굴절의 발현 경향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성분 (A 성분) 과는 크게 상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 점착제를 구성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는,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 A 성분 및 B 성분에 더하여 그 밖의 모노머 단위 (C 성분) 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C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하이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10-하이드록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12-하이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나 (4-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말산, 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 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C 성분으로는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레이미드 ;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헥실(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나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 ;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나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숙신이미드 등의 숙신이미드계 모노머 등도 개질 목적의 모노머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C 성분으로는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N-비닐카르복실산아미드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비닐계 모노머 ;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모노머 ;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 ;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글리콜계 아크릴에스테르 모노머 ; 불소(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 성분은, 베이스 폴리머를 개질시키기 위해서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 성분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C 성분의 비율은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모노머 단위로서, 10 중량% 이하, 나아가서는 6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성분의 비율이 10 중량% 를 초과하면, 점착제로서의 유연성을 저해시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 C 성분으로는 접착성이 양호한 점에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특히 아크릴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그 비율은 0.1 ∼ 10 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0.5 ∼ 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6 중량% 이다. 또,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와의 가교점이 될 수 있는 점에서,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그 비율은 0.1 ∼ 10 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0.5 ∼ 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6 중량% 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각종 공지된 수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벌크 중합법,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등의 라디칼 중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는 아조계, 과산화물계의 각종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통상적으로 50 ∼ 80 ℃ 정도, 반응 시간은 1 ∼ 8 시간이 된다. 또, 상기 제조법 중에서도 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폴리머의 용매로는 일반적으로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등이 사용된다. 용액 농도는 통상적으로 20 ∼ 80 중량% 정도가 된다. 또 아크릴계 폴리머는 수계 에멀션으로서 얻을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만 ∼ 30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만을 초과하고 ∼ 300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10만 ∼ 270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과도하게 작으면 점착제층에 투명 보호 필름의 복굴절을 없앨 정도의 복굴절이 발생하지 않아 광 누설의 억제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만을 초과하면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베이스 폴리머인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더하여, 가교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가교제에 의해 광학 필름과의 밀착성이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고온에서의 신뢰성이나 점착제 자체의 형상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가교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과산화물계, 금속 킬레이트계, 옥사졸린계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1 종을,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로는 하이드록실기와 반응성을 나타내는 관능기를 함유하는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사용량은, 베이스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 3 중량부이다. 가교제의 사용 비율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도하게 가교가 진행되어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제, 가소제, 유리 섬유, 유리 비드, 금속분말, 그 밖의 무기 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제, 안료, 착색제, 충전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실란 커플링제 등을 또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첨가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미립자를 함유하여 광 확산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층 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첨가제로는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등의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메트)아크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되는데, 실란 커플링제의 배합량은 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 ∼ 1 중량부이다.
[점착형 편광판의 형성]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 (10) 은 제 1 투명 보호 필름 (2) 상에 상기 점착제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형성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투명 보호 필름 상에 점착제 용액을 유연 방식이나 도공 방식 등의 적절한 전개 방식으로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방법, 점착제층을 형성한 이형 시트에 의해 전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포법은 리버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등의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크린 코팅법, 파운틴 코팅법, 딥핑법, 스프레이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 용액을 도포 후, 건조 공정에서 용제나 물을 휘발시킴으로써 소정 두께의 점착제층을 얻는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사용 목적이나 접착력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1 ∼ 500 ㎛ 이며, 바람직하게는 1 ∼ 50 ㎛ 이다. 또한 1 ∼ 40 ㎛ 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 ∼ 30 ㎛ 가 바람직하고, 특히 10 ∼ 25 ㎛ 가 바람직하다. 1 ㎛ 보다 얇으면 내구성이 나빠지고, 두꺼워지면 발포 등에 의한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 외관 불량이 되기 쉽다.
또, 점착제층의 형성은 UV 경화성의 점착제 시럽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고, 전자선이나 UV 등의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점착제에는 가교제를 함유시키고 있는 점에서, 고온에서의 신뢰성이나 점착제 자체의 형상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가교는 상기 건조 공정이나 UV 조사 공정에서 실시할 수 있는 것 외에, 건조 후에 가온 상태나 실온 방치에 의한 에이징에 의해 가교가 촉진되는 가교 형태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의 점착제층 (5) 의 노출면에 대해서는, 화상 표시 셀 등과 첩합하여 실용하도록 제공할 때까지의 동안에, 점착제층의 오염 방지 등을 목적으로 세퍼레이터가 가착 (假着) 되어 커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통례의 취급 상태에서 점착제층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 고무 시트, 종이, 천, 부직포, 네트, 발포 시트나 금속박, 그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절한 박엽체를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나 장사슬 알킬계, 불소계나 황화몰리브덴 등의 적절한 박리제로 코트 처리한 것 등의, 종래에 준한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각종의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액정 셀, 본 발명의 편광판 등의 광학 부재, 및 필요에 따라 조명 시스템 (백라이트 등) 등의 각 구성 부품을 적절히 조립하여 구동 회로를 삽입하는 것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은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이 사용되고 있으면, 그 밖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액정 셀의 시인측 및 광원측의 양방에 편광판이 배치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 경우, 광 누설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액정 셀의 양측에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을 배치한 구성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유기 EL 셀 (유기 발광층) 의 시인측에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을 배치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1/4 파장판을 사용함으로써, 외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1/4 파장판을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편광판에 별도로 1/4 파장판을 적층하여 원 편광판으로 한 것을 유기 EL 셀의 시인측에 배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임의의 적절한 용도에 사용된다. 그 용도는 예를 들어, 데스크탑 PC, 노트북, 복사기 등의 OA 기기, 휴대 전화, 시계, 디지털 카메라, 휴대 정보 단말 (PDA), 휴대 게임기 등의 휴대 기기, 비디오 카메라, 텔레비전, 전자 레인지 등의 가정용 전기 기기, 백 모니터,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용 모니터, 카 오디오 등의 차재용 기기, 상업 점포용 인포메이션용 모니터 등의 전시 기기, 감시용 모니터 등의 경비 기기, 개호용 모니터, 의료용 모니터 등의 개호·의료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점착제의 조제)
냉각관, 교반 날개, 온도계가 부속된 4 구 플라스크 중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7 중량부, 벤질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중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40 중량부과 함께 첨가하여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질소 기류하에서 교반하면서, 55 ℃ 에서 8 시간 반응시켜, 중량 평균 분자량 200만의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가교제 (닛폰 폴리우레탄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L」) 를 고형분으로 0.45 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신에츠 실리콘 제조 상품명 「KBM403」) 0.1 중량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점착제층의 형성)
얻어진 점착제 용액을, 이형 처리를 실시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두께 38 ㎛) 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 상에, 건조 후의 점착제층의 두께가 20 ㎛ 가 되도록 리버스 롤 코트법에 의해 도포하고, 155 ℃ 에서 3 분간 가열 처리하여, 용제를 휘발시켜 점착제층을 얻었다.
(편광판의 제작)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 몰% 의 폴리비닐알코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분자 필름을 주속 (周速) 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염색하면서 연신 반송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를 얻었다. 먼저, 30 ℃ 의 수욕 중에 1 분간 침지시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팽윤시키면서 반송 방향으로 1.2 배로 연신한 후, 30 ℃ 의 요오드화칼륨 농도 0.03 중량%, 요오드 농도 0.3 중량% 의 수용액 중에서 1 분간 침지시킴으로써, 염색하면서 반송 방향으로 전혀 연신하지 않은 필름 (원 길이) 을 기준으로 하여 3 배로 연신하였다. 다음으로, 60 ℃ 의 붕산 농도 4 중량%, 요오드화칼륨 농도 5 중량% 의 수용액 중에 30 초간 침지시키면서, 반송 방향으로 원 길이 기준으로 6 배로 연신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연신 필름을 70 ℃ 에서 2 분간 건조시킴으로써 편광자를 얻었다. 또한, 편광자의 두께는 30 ㎛ 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편광자의 양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개재하여,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필름 (토요 강판 제조 상품명 「파인 캐스트 필름 RZ-30NA-S」, 광탄성 계수 : 1.5×10-12 ㎡/N) 을 첩합하여, 편광자에 투명 보호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점착형 편광판의 제작)
상기 편광판의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에, 와이어 바로 하도제를 도포하여 하도층 (두께 100 ㎚) 을 형성하였다. 하도제로는 폴리에틸렌이민계 (닛폰 촉매 제조, 에포민 P-1000) 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하도층에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한 이형 시트를 첩합하여 점착형 편광판으로 하였다.
[실시예 2 ∼ 3, 비교예 1 ∼ 4]
실시예 1 의 점착제의 조제에 있어서, 부틸아크릴레이트와 벤질아크릴레이트의 주입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6, 비교예 5 ∼ 8]
실시예 1 의 점착제의 조제에 있어서, 부틸아크릴레이트와 벤질아크릴레이트의 주입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 실시예 1 의 편광판의 제작에 있어서,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대신에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필름 (닛폰 제온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필름 ZB14-55124」, 광탄성 계수 : 4.0×10-12 ㎡/N) 을 사용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형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7 ∼ 9, 비교예 9 ∼ 12]
실시예 1 의 점착제의 조제에 있어서, 부틸아크릴레이트와 벤질아크릴레이트의 주입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 실시예 1 의 편광판의 제작에 있어서,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대신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후지 필름 제조 상품명 「후지탁 TD80UL」, 광탄성 계수 : 16×10-12 ㎡/N) 을 사용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형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0 ∼ 12, 비교예 13 ∼ 16]
실시예 1 의 점착제의 조제에 있어서, 부틸아크릴레이트와 벤질아크릴레이트의 주입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 실시예 1 의 편광판의 제작에 있어서,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대신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코니카 미놀타 제조 상품명 「KC4KR-1」, 광탄성 계수 : 21.8×10-12 ㎡/N) 을 사용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형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3 ∼ 15, 비교예 17 ∼ 20]
실시예 1 의 점착제의 조제에 있어서, 부틸아크릴레이트와 벤질아크릴레이트의 주입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 실시예 1 의 편광판의 제작에 있어서,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대신에 페닐말레이미드계 수지 필름 (토소 제조 상품명 「TI-160α」, 광탄성 계수 : -14×10-12 ㎡/N) 을 사용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형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6 ∼ 18, 비교예 21 ∼ 24]
실시예 1 의 점착제의 조제에 있어서, 부틸아크릴레이트와 벤질아크릴레이트의 주입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 실시예 1 의 편광판의 제작에 있어서,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대신에 변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테이진 화성 제조 상품명 「퓨어 에이스 WR」, 광탄성 계수 : -30×10-12 ㎡/N) 을 사용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형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액정 패널의 제작]
VA 및 IPS 모드의 액정 셀을 구비하는 액정 텔레비전 (소니 제조 상품명「BRAVIA」) 으로부터 액정 패널을 꺼내고, 액정 셀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던 편광판을 제거하여 그 액정 셀의 유리면 (표리) 을 세정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액정 셀의 양면에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점착형 편광판을 첩합하였다.
[평가]
(화면 중앙부 및 화면 코너부의 휘도의 측정)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형 편광판이 첩합된 액정 패널을 95 ℃ 의 공기 순환식 항온조 내에 24 시간 투입한 후, 액정 패널을 꺼내 휘도 10000 cd/㎡ 의 백라이트 상에 두고 흑색 표시시켜, 휘도 측정 장치 (TOPCON 제조 상품명 「BM-5A」) 에 의해 화면 중앙부 및 화면 코너부 (4 모서리) 에 있어서의 정면 방향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면내 휘도 편차의 측정)
또, 95 ℃ 의 공기 순환식 항온조 내에 24 시간 투입하는 전후의 액정 패널을 휘도 100 cd/㎡ 의 백라이트 상에 두고 흑색 표시시켜, 화면의 면내 휘도를 면내 휘도 측정 장치 (아이·시스템 제조 상품명 「EyeScale-4W」) 에 의해 측정하였다.
휘도의 측정 결과를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형 편광판의 점착제의 조성 및 투명 보호 필름의 광탄성 계수의 값과 함께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 X 는 투명 보호 필름의 광탄성 계수를 나타내고, Y 는 점착제를 구성하는 아크릴계 폴리머 중의 방향족 관광 이미지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단위의 함유량 (중량%) 을 나타낸다. 또, 코너부의 휘도는 화면 4 모서리의 평균값이고, 「휘도차」는 화면 중앙부와 코너부의 차를 나타낸다. 표 1 중의 Δσ 는 고온 시험 투입 전의 면내 휘도의 편차 σ0h 와 고온 시험 투입 후의 면내 휘도의 편차 σ24h 의 차 Δσ=σ24h0h 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1045342611-pa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점착형 편광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화면 중앙과 코너부에서의 휘도차가 작아, 가열 시험 전후에서의 면내 휘도의 편차의 변화도 억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형 편광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는, 사용 환경의 변화에 의한 광 누설이나 휘도의 변화가 잘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1 편광자
2, 3 투명 보호 필름
5 점착제층
10 점착형 편광판
20 화상 표시 셀
100 화상 표시 장치

Claims (3)

  1. 편광자의 적어도 편면에 투명 보호 필름이 적층되어 있고, 당해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와 적층되지 않은 측의 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점착형 편광판이 사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광탄성 계수를 X (㎡/N),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중의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단위의 함유량을 Y % 로 한 경우, X 의 절대값이 1.5×10-12 이하이고, Y % 가 13.4 ~ 20.0 % 이며, 또한, X 와 Y 가 -1×1011X+3≤Y≤-1×1011X+19 을 만족하며,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부틸아크릴레이트이며,
    상기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벤질 아크릴레이트이며,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이 아크릴계수지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10058114A 2010-10-20 2011-06-15 점착형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265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35655 2010-10-20
JP2010235655A JP5280421B2 (ja) 2010-01-14 2010-10-20 粘着型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099A KR20120041099A (ko) 2012-04-30
KR101265007B1 true KR101265007B1 (ko) 2013-05-15

Family

ID=4603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114A KR101265007B1 (ko) 2010-10-20 2011-06-15 점착형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65007B1 (ko)
CN (1) CN102455455B (ko)
TW (1) TWI435124B (ko)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969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7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80063968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3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아크릴 필름
KR20180063966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5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4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아크릴 필름
KR20180063967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8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6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2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0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외관품질이 우수한 패널
KR20180079489A (ko) 2016-12-30 2018-07-11 주식회사 효성 Ips lcd 패널
KR20180079612A (ko) 2016-12-30 2018-07-11 주식회사 효성 내응력(耐應力) 내백화(耐白化) 필름
KR20180079611A (ko) 2016-12-30 2018-07-11 주식회사 효성 내가열(耐加熱) 내백화(耐白化) 필름
KR20180079491A (ko) 2016-12-30 2018-07-11 주식회사 효성 Ips lcd 패널
KR20180134784A (ko) 2018-09-28 2018-12-19 효성화학 주식회사 내응력(耐應力) 내백화(耐白化) 필름
KR20190027020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필름
KR20190027015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편광판
KR20190027011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저투습 편광판
KR20190027014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Lcd 패널
KR20190027012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필름
KR20190027016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필름
KR20190027017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필름
KR20190027013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필름
KR20190027022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편광판
KR20190027021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편광판
KR20190094995A (ko) 2018-02-06 2019-08-14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필름
KR20190122060A (ko) 2018-04-19 2019-10-29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필름
KR20200016437A (ko) 2018-08-07 2020-02-17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수지 필름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4182A (ja) * 2015-05-28 2016-12-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4880857B (zh) 2015-06-30 2018-0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I568582B (zh) * 2016-07-05 2017-02-0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偏光板
CN114966939A (zh) * 2017-07-31 2022-08-30 日东电工株式会社 挠性图像显示装置用层叠体、以及挠性图像显示装置
KR102158872B1 (ko) * 2017-12-05 2020-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15487747B (zh) * 2022-09-21 2023-04-21 安徽桑瑞斯环保新材料有限公司 一种隔热保温粉末涂料制备装置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2436B2 (ja) * 2001-07-19 2007-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偏光板を用いた光学フイ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KR100812507B1 (ko) * 2005-08-19 2008-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4751312B2 (ja) * 2006-12-22 2011-08-1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293902B1 (ko) * 2008-07-01 2013-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편광판용 보호 필름,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CN201583678U (zh) * 2009-07-07 2010-09-15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偏光片和液晶显示模组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969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7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80063968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3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아크릴 필름
KR20180063966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5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4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아크릴 필름
KR20180063967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8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6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2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0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효성 외관품질이 우수한 패널
KR20180079611A (ko) 2016-12-30 2018-07-11 주식회사 효성 내가열(耐加熱) 내백화(耐白化) 필름
KR20180079612A (ko) 2016-12-30 2018-07-11 주식회사 효성 내응력(耐應力) 내백화(耐白化) 필름
KR20180079489A (ko) 2016-12-30 2018-07-11 주식회사 효성 Ips lcd 패널
KR20180079491A (ko) 2016-12-30 2018-07-11 주식회사 효성 Ips lcd 패널
KR20190027012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필름
KR20190027017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필름
KR20190027015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편광판
KR20190027011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저투습 편광판
KR20190027014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Lcd 패널
KR20190027021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편광판
KR20190027016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필름
KR20190027020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필름
KR20190027013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필름
KR20190027022A (ko) 2017-09-04 2019-03-14 효성화학 주식회사 편광판
KR20190094995A (ko) 2018-02-06 2019-08-14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필름
KR20190122060A (ko) 2018-04-19 2019-10-29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필름
KR20200016437A (ko) 2018-08-07 2020-02-17 효성화학 주식회사 아크릴 수지 필름 제조 방법
KR20180134784A (ko) 2018-09-28 2018-12-19 효성화학 주식회사 내응력(耐應力) 내백화(耐白化)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55455A (zh) 2012-05-16
KR20120041099A (ko) 2012-04-30
TWI435124B (zh) 2014-04-21
TW201217841A (en) 2012-05-01
CN102455455B (zh)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007B1 (ko) 점착형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667087B1 (ko) 광학 필름용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939467B1 (ko)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US20140153095A1 (en) Polarizing plate hav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780570B1 (ko) 광확산 점착제 그리고 그 광확산 점착제를 사용한 편광판 및 광학 부재
KR101253020B1 (ko) 점착형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JP5178870B2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091304B2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199069A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の剥離方法、及び粘着型光学フィルム
KR101991970B1 (ko) 점착제층 형성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JP6245803B2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280421B2 (ja) 粘着型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TW202023809A (zh) 影像顯示面板及影像顯示裝置
JP6293422B2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1232627A (ja) 粘着型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1227337A (ja) 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17178211A (zh) 带相位差层的偏振片
JP2018028696A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