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002B1 - 보행형 작업기 - Google Patents

보행형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002B1
KR101264002B1 KR1020110022999A KR20110022999A KR101264002B1 KR 101264002 B1 KR101264002 B1 KR 101264002B1 KR 1020110022999 A KR1020110022999 A KR 1020110022999A KR 20110022999 A KR20110022999 A KR 20110022999A KR 101264002 B1 KR101264002 B1 KR 101264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nnecting pin
operation handle
hand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860A (ko
Inventor
겐키 안라쿠
게이스케 호소쿠니
도시로 우치다
노부유키 히로세
쇼지 하세이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4Handle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8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edges of lawns or fields, e.g. for mowing close to trees or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1/00Mot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driver not being seated
    • B62D51/04Mot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driver not being seated the driver walking
    • B62D51/06Uniaxle walk-type tr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접을 수 있는 조작 핸들(16)을 갖는 보행형 작업기(10)가 개시되어 있다. 조작 핸들(16)은, 작업기 본체(11)의 핸들 부착부(17)에 대하여, 제1 연결핀(41)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선회 가능하게 접혀질 수 있고, 제2 연결핀(51)에 의해 사용 위치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제2 연결핀은 조작 핸들과 핸들 부착부 중 하나에 설치되고, 이 제2 연결핀의 선단부(53)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핸들과 핸들 부착부 중 다른 하나에는, 선단부의 출입을 허용하는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이 마련되어 있다. 선단부가 제2 핀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지면, 상기 선단부의 테이퍼면(57)에 기인하여 제2 핀 끼워맞춤 구멍에 간극이 존재하지 않고, 조작 핸들이 사용 위치에서 고정된다.

Description

보행형 작업기{WALK-BEHIND WORK MACHINE}
본 발명은 보행형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작업기의 접이식 조작 핸들을 위한 개선된 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행형 작업기는, 작업자가 걸으면서 조종하기 위한 조작 핸들을 구비하고, 동력 또는 인력에 의해 주행한다. 일부 형태의 보행형 작업기에서는, 조작 핸들을 사용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접을 수 있다. 접이식의 조작 핸들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조작 핸들을 접음으로써, 전체 보행형 작업기가 점유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보행형 작업기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에는 작은 공간이 필요하다. 접이식 핸들 형태를 갖는 보행형 작업기인 잔디 깎기 기계의 예가,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01-121320호(JP-U 01-121320 A)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JP-U 01-121320 A의 보행형 잔디 깎기 기계에 있어서는, 조작 핸들을 작업기 본체의 핸들 부착부에 대하여, 제1 연결핀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접을 수 있다. 조작 핸들을 제2 연결핀에 의해 사용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핸들 부착부와 조작 핸들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핀이 각각 끼워지는 제1 및 제2 끼워맞춤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연결핀과 제1 끼워맞춤 구멍 사이에, 그리고 제2 연결핀과 제2 끼워맞춤 구멍 사이에는 명백하게 간극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연결핀을 제1 및 제2 끼워맞춤 구멍에 대하여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간극은, 핸들 부착부에 대한 조작 핸들의 상대 진동(흔들림,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불리하다. 따라서 조작 핸들이 사용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 조작 핸들을 핸들 부착부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과 관련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허문헌 :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01-121320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 핸들이 사용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 조작 핸들을 핸들 부착부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기 본체; 상기 작업기 본체에 설치된 핸들 부착부;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을 이용하여 상기 핸들 부착부에 연결되는 조작 핸들을 포함하는 보행형 작업기로서,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제1 연결핀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선회 가능하도록 핸들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조작 핸들과 핸들 부착부 중 하나에 상기 제2 연결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핀은 선단부를 갖고, 상기 선단부는, 그 선단을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테이퍼면을 가지며, 상기 조작 핸들과 핸들 부착부 중 다른 하나에, 제2 연결핀의 선단부가 출입하는 제2 핀 끼워맞춤 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제2 연결핀의 선단부가 상기 제2 핀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질 때에 사용 위치에 고정되는 것인 보행형 작업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과 핸들 부착부 중 하나에 상기 제2 연결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조작 핸들과 핸들 부착부 중 다른 하나에 제2 핀 끼워맞춤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연결핀의 선단부를 제2 핀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 넣음으로써, 조작 핸들을 사용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제2 연결핀의 선단부를 제2 핀 끼워맞춤 구멍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조작 핸들을 사용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접을 수 있다.
제2 연결핀의 선단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퍼면을 제2 핀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 넣으면, 선단부의 테이퍼면과 제2 핀 끼워맞춤 구멍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조작 핸들이 사용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 조작 핸들을 핸들 부착부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 부착부에 대한 조작 핸들의 상대 진동(흔들림, 덜걱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예컨대 엔진 또는 작업기 자체로부터의 진동은, 작업기 본체로부터 핸들 부착부를 통하여 조작 핸들에 전달될 때에 쉽게 증폭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행형 잔디 깎기 기계를 조종하는 작업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보행형 작업기에 있어서는, 조작 중에 조작 핸들에 빈번하게 작용하는 큰 힘뿐만 아니라, 조작 핸들을 접거나 펴는 작업을 자주 반복함으로써, 제2 핀 끼워맞춤 구멍을 형성하는 가장자리와 테이퍼면이 마모될 수도 있다. 제2 연결핀의 선단부가 선단을 향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에도, 테이퍼면과 제2 핀 끼워맞춤 구멍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핸들 부착부에 대한 조작 핸들의 고정 상태를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 핸들에 제1 및 제2 연결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핸들 부착부에 제1 핀 끼워맞춤 구멍 및 상기 제2 핀 끼워맞춤 구멍이 마련되고, 제1 연결핀이 상기 제1 핀 끼워맞춤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조작 핸들에는 제1 관통 구멍 및 제2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연결핀이 제1 관통 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제2 연결핀이 제2 관통 구멍을 통과하며, 상기 제1 및 제2 관통 구멍은 드릴을 이용하여 형성된 둥근 구멍이다.
제1 연결핀이 통과하는 제1 관통 구멍과 제2 연결핀이 통과하는 제2 관통 구멍은 드릴을 이용하여 형성된 둥근 구멍이다. 이와 같이 드릴을 채용하는 구멍 형성법을 이용함으로써, 다른 구멍 형성법(프레스 또는 다른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구멍 직경의 공차를 비교적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제1 관통 구멍과 제1 연결핀 사이의 끼워맞춤 간극과 제2 관통 구멍과 제2 연결핀 사이의 끼워맞춤 간극을 용이하게 거의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조작 핸들이 사용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 조작 핸들을 핸들 부착부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인 고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제1 연결핀은 볼트를 포함하고, 볼트를 나사 체결하기 위한 부재는, 조작 핸들과 핸들 부착부 중 다른 하나에 용접되는 용접 너트와, 볼트를 용접 너트에 추가로 나사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 체결 부재는 상기 두 너트를 이용하여 볼트를 적소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체이다.
따라서 볼트를 용접 너트에 체결하는 데에 사용하는 토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핸들 부착부에 대하여, 조작 핸들을 제1 연결핀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최적의 체결 토크를 이용하여 볼트를 용접 너트에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체결된 후에는, 두 너트에 의하여 볼트를 적소에 고정할 수 있다. 최적의 체결 토크에 의한 체결 상태를 장시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핸들이 사용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 조작 핸들을 핸들 부착부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보행형 작업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형 잔디 깎기 기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우징, 조작 핸들 및 스테이(stay)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스테이에 부착된 상태의, 도 2의 조작 핸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선 5-5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선 6-6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스테이 및 조작 핸들의 분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제2 연결핀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제2 핀 끼워맞춤 구멍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도 6의 제2 연결핀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4의 제1 및 제2 관통 구멍을 드릴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도 4의 제1 및 제2 관통 구멍을 프레스 작업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단지 예시적으로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잔디 깎기 기계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 깎기 기계(10)는 잔디를 깎기 위한 보행형의 자주식 작업기이며, 바닥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11; 작업기 본체)과, 하우징(11)의 전방부에 설치된 좌우 전륜(12, 12)과, 하우징(11)의 후방부에 설치된 좌우 후륜(13, 13)과, 하우징(11)의 중앙 내부에 수납된 잔디 깎기용 블레이드(14)와, 하우징(11)의 상부에 설치된 엔진(15)과, 하우징(1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 핸들(16)과, 하우징(11)의 상부 좌측에 설치된 높이 조정 그립(18)을 포함한다.
하우징(11)은 예컨대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또한 섀시로서 기능한다. 엔진(15)은 하우징의 상면에 놓이고 볼트 고정되며, 이로써 하우징에 일체로 조립된다. 엔진(15)은, (엔진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의 잔디(도시 생략)를 향하여 하우징(11) 내로 연장되는 출력축(15a)을 갖는 수직 엔진이다. 출력축(15a)은 잔디(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구동축이다.
블레이드(14)는 하우징(11) 내에서 출력축(15a)에 부착되어 있다. 블레이드(14)는 엔진(15)에 의해 구동되어, 하우징(11) 내에서 출력축(15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엔진(15)을 사용하여, 무단 변속 장치(도시 생략)를 통해 후륜(13, 13)을 구동함으로써, 잔디 깎기 기계(10)는 전방으로 자주식으로 이동하고, 잔디 깎기 작업이 수행할 수 있다.
잔디 깎기 기계(10)에 있어서는, 엔진(15)에 의해 블레이드(14)를 회전시켜, 잔디를 깎으며, 하우징(11) 내에 기류(선회류)가 생성된다. 선회류에 의하여, 블레이드(14)에 의해 깎인 잔디를 깎은 잔디 보관 유닛(Bg)에 운반하여 보관할 수 있다.
조작 핸들(1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 깎기 기계(10)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문(門) 형상(역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핸들은, 좌우 스테이(17, 17)를 통하여 하우징(11)의 후방부에서 접혀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조작 핸들(16)의 한 쌍의 좌우 기단부(16a, 16a)가 하우징(11)의 후방부에 있는 스테이(17, 17)에 부착되어, 전후 방향의 선회를 가능하게 한다. 스테이(17, 17; 핸들 부착부)는 하우징(11)의 후방부에 볼트로 고정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핸들(16)은 둥근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 핸들(16)의 좌측 기단부(16a)는, 둥근 파이프를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좌측 기단부(16a)의 단면은, 평평한 바닥판(21) 및 이 바닥판(21)과 마주하는 상부(22)를 갖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좌측 스테이(17)의 표면(31)은 잔디 깎기 기계(10)의 폭방향으로 외측에 있고,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좌측 기단부(16a)는 제1 연결핀(41)과 제2 연결핀(51)에 의해 좌측 스테이(17)에 부착된다.
제1 연결핀(41)과 제2 연결핀(51)은, 좌측 기단부(16a)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제1 연결핀(41)은 예컨대 좌측 스테이(17)의 선단 근처에 위치되어 있다. 제2 연결핀(51)은 좌측 스테이(17)의 기단부의 방향으로 제1 연결핀(41)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핸들(16)은, 실선으로 도시한 사용 위치로부터 가상선으로 도시한 보관 위치로 제1 연결핀(41)을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고, 제2 연결핀(51)에 의해 사용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형 잔디 깎기 기계(10)가 사용 상태로 있을 때에, 조작 핸들(16)은 사용 위치에 위치되고,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17, 17)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연장된다. 제2 연결핀(51)을 느슨하게 한 후에, 조작 핸들(16)을 전방 하향으로 압박함으로써,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핸들(16)은 전방으로 접히고 실질적으로 수평의 보관 위치에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좌측 기단부(16a)를 좌측 스테이(17)에 부착하는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측 기단부(16a)를 우측 스테이(17)에 부착하는 구조는, 좌측 기단부(16a)를 부착하는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핀(41)과 제2 연결핀(51)은 조작 핸들(16)과 스테이(17) 중 하나에 구비되어 있다. 제1 연결핀(41)을 끼워 넣기 위한 제1 핀 끼워맞춤 구멍(32)과 제2 연결핀(51)을 끼워 넣기 위한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이 조작 핸들(16)과 스테이(17)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연결핀(41, 51)은, 예컨대 조작 핸들(16)의 기단부(16a)에 설치되어 있고, 제1 및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2, 33)은, 예컨대 스테이(17)에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16a)에는, 제1 연결핀(41)이 통과하는 제1 관통 구멍(24)과, 제2 연결핀(51)이 통과하는 제2 관통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 끼워맞춤 구멍(32)은 스테이(17)를 관통하여 형성된 둥근 구멍이다. 제1 핀 끼워맞춤 구멍(32)의 직경은 제1 연결핀(41)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제1 연결핀(41)은 제1 핀 끼워맞춤 구멍(32)에 대하여 부드럽게 출입할 수 있다. 제1 관통 구멍(24)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으로 형성된 기단부(16a)의 바닥판(21)으로부터 상부(22)에 걸쳐 전체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둥근 구멍이다. 제1 연결핀(41)은 육각 볼트 또는 기타 볼트로 구성되어 있다. 볼트(제1 연결핀; 41)를 나사 체결하기 위한 부재는 두 너트, 즉 스테이(17)의 이면에 용접된 용접 너트(42)와, 용접 너트(42)에 나사 체결된 볼트(41)를 추가로 나사 체결하기 위한 고정 너트(43)로 구성되어 있다. 볼트(41)를 두 너트(42, 43)에 나사 체결하기 위한 구조는, 볼트(41)를 너트(42, 43)를 통해 적소에 고정하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제1 연결핀(41)을 이용하여 기단부(16a)를 스테이(17)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평와셔(44)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기단부(16a)의 바닥판(21)을 스테이(17)의 외면(31)에 올려놓고, 제1 관통 구멍(24)을 통과한 볼트(제1 연결핀; 41)를 용접 너트(42)에 나사 체결한다. 이 경우에, 볼트(41)를 용접 너트(42)에 나사 체결하는 체결량과, 볼트를 용접 너트에 체결하는 체결 토크는, 기단부(16a)가 스테이(17)에 대하여 제1 연결핀(41)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선회(회전)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그 후, 용접 너트(42)에 나사 체결된 볼트(41)를 고정 너트(43)에 추가로 나사 체결하여, 볼트(41)를 적소에 고정하여, 작업을 완료한다.
따라서 제1 연결핀(41)을 이용하여 기단부(16a)를 스테이(17)에 부착하는 구조는 (볼트로 구성된) 제1 연결핀(41), 용접 너트(42) 및 고정 너트(43)를 조합한 것이다. 따라서 볼트(41)를 용접 너트(42)에 나사 체결하는 체결량 및 볼트를 용접 너트에 체결하는 체결 토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스테이(17)에 대하여, 조작 핸들(16)을 제1 연결핀(41)을 중심으로 하여 도 1에 도시된 사용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최적의 체결 토크를 이용하여 볼트(41)를 용접 너트(42)에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체결된 후에는, 두 너트(42, 43)에 의하여 볼트(41)를 적소에 고정할 수 있다. 최적의 체결 토크에 의한 체결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기단부(16a)의 바닥판(21)과 스테이(17)의 외면(31)은 모두 평탄면이다. 따라서 볼트(41)를 용접 너트(42)에 나사 체결할 때에, 바닥판(21)과 외면(31) 사이의 표면 압력을 보다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고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스테이(17)에 부착된 상태의 기단부(16a)를 도시한다. 도 7a는, 기단부(16a)가 스테이(17)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노브(61)가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있는 상태일 때), 제2 연결핀(51)의 선단부(53)가 기단부(16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제2 연결핀(51)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4, 도 6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통 구멍(25)은, 둥근 구멍이다.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으로 형성된 기단부(16a)의 바닥판(21)으로부터 상부(22; 도 6 참조)에 걸쳐 전체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둥근 구멍이다.
제2 연결핀(51)은, 얇고 둥근 바로서 형성된 로드부(52)와, 로드부(52)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선단부(53)로 구성된 일체의 성형품이다. 선단부(53)와 반대측에 있는 로드부(52)의 단부가 핀(62)에 의해 노브(61)에 부착되어 있다. 노브(61)의 바닥(61a)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으로 형성된 기단부(16a)의 상부(22)로 덮여 있다. 노브의 바닥은, 삼각형 형상의 실질적으로 2개의 경사 영역(23, 23)을 따라 테이퍼진 오목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53)는 테이퍼 각도 θ로 선단을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에 있어서, 선단부의 소직경 단부(55)의 직경(d2)은 로드부(52)의 선단에 부착된 베이스에서의 대직경 단부(54)의 직경(d1)보다 작다(d1>d2). 부착 베이스에서의 대직경 단부(54)의 직경(d1)은, 로드부(52)의 직경(d3)보다 크다(d1>d3). 로드부(52)의 선단에 마주하는 단부면인 부착 베이스의 단부면(56)은 스프링 수용면(56)으로 지칭된다.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은 스테이(17)를 통과하는 둥근 구멍으로, 선단부(53)의 출입을 허용한다.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의 직경(d4)은, 부착 베이스에서의 대직경 단부의 직경(d1)보다 작고, 선단의 소직경 단부(55)의 직경(d2)보다 크다(d1>d4>d2).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은, 선단부(53)의 테이퍼면(57)에 끼워질 때에,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조작 핸들(16)을 사용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제2 연결핀(51)은, 슬리브(70)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기단부(16a)의 제2 관통 구멍(25)에 끼워 넣어진다. 제2 관통 구멍(25)의 직경은, 슬리브(70)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사이즈로 설정된다. 슬리브(70)는 폐쇄 단부를 갖는 원통형 부재이다. 바닥판(71)에는, 로드부(52)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72)이 형성된다. 슬리브의 개구단의 외주에는, 평탄하고 원형을 갖는 판형의 플랜지(73)가 있다. 선단부(53)는 슬리브(70)의 내외로 출몰(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드부(52)는 바닥판(71)의 관통 구멍(72)으로부터 노브(61)를 향해 돌출하여, 노브(61)에 부착된다. 따라서 노브(61)의 바닥(61a)이 슬리브(70)의 바닥판(71)과 접촉한다. 플랜지(73)는 기단부(16a)의 바닥판(21) 상에 놓인다. 따라서 기단부(16a)는 노브(61)의 바닥(61a)과 플랜지(73) 사이에 끼워져 있다.
슬리브(70) 내에서, 슬리브(70)의 바닥판(71)과 제2 연결핀(51)의 스프링 수용면(56) 사이에 압박 부재(81)가 개재되어 있다. 압박 부재(81)는, 선단부(53)를 슬리브(70)의 개구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즉 선단부(53)를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압박한다. 압박 부재(81)는, 노브(61)의 바닥(61a)과 슬리브(70)의 바닥판(71)이 접촉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박 부재(81)는, 예컨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81)은 로드부(52)의 둘레에 감겨 있다.
이제, 제2 연결핀(51)을 기단부(16a)와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81)을 통과한 상태의 로드부(52)를 슬리브(70) 내에 삽입한다. 그 결과, 로드부(52)의 선단이 슬리브(70)의 바닥판(71)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그 후, 반조립 상태에서, 슬리브(70)를 기단부(16a)의 바닥판(21)의 방향으로부터 제2 관통 구멍(25) 내로 삽입한다. 그 결과, 슬리브(70)가 제2 관통 구멍(25)을 통과한다. 그 후, 로드부(52)의 노출된 선단을 노브(61)의 끼워맞춤 구멍에 삽입하고, 노브(61)의 바닥(61a)을 슬리브(70)의 바닥판(71) 위에 올려놓는다. 그 후, 이 상태에서, 핀(62)에 의해 노브(61)를 로드부(52)에 고정하여, 조립 작업을 완료한다. 그 결과, 노브(61)의 바닥(61a)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으로 형성된 기단부(16a)의 상부(22; 도 6 참조)에 의해 둘러싸이고, 삼각형 형상의 두 경사 영역(23, 23)과 접촉한다. 노브(61)의 바닥(61a)은, 경사 영역(23, 23)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압축 코일 스프링(81)에 의해 압박된다.
이제, 제2 연결핀(51)을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에 대하여 부착 및 분리하는 작업을 설명한다. 도 6은, 둥근 구멍인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에 선단부(53)의 테이퍼면(57)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에, 노브(61)의 바닥(61a)은 경사 영역(23, 23)과 접촉하고 있고,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있다(고정 위치). 도 1에 도시된 조작 핸들(16)은 사용 위치에서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에, 노브(61)를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90도 회전시킨다(고정 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도 6에 도시된 노브(61)의 바닥(61a)이 압축 코일 스프링(8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부(22)를 타고 오르게 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핀(51)이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그 결과, 제2 연결핀(51)이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노브(61)가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사용 위치에 손으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 핸들(16; 도 1 참조)을 전방 하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스테이(17)에 대하여, 조작 핸들(16)을 제1 연결핀(41)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접을 수 있다.
그 후, 조작 핸들(16; 도 1)을 보관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복귀시키고, 노브(61)를 도 3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고정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핀(51)은, 압축 코일 스프링(81)의 압박력에 의해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 내로 끼워 넣어진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조작 핸들(16)이 사용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2 연결핀(51)의 선단부(53)를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에 끼워 넣음으로써, 조작 핸들(16)을 사용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연결핀(51)의 선단부(53)를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조작 핸들(16)을 사용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접을 수 있다.
제2 연결핀(51)의 선단부(53)는 선단을 향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퍼면(57)이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에 끼워 넣어질 때에, 선단부(53)의 테이퍼면(57)과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 핸들(16)이 사용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때, 조작 핸들(16)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17)에 대한 조작 핸들(16)의 상대 진동(흔들림 또는 덜걱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예컨대 엔진(15; 도 1 참조) 또는 하우징(11) 자체로부터의 진동은, 하우징(11)으로부터 스테이(17)를 통하여 조작 핸들(16)에 전달될 때에 쉽게 증폭되기 어렵다. 따라서 보행형 잔디 깎기 기계(10)를 조종하는 작업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잔디 깎기 기계(10)에 있어서는, 조작 중에 조작 핸들(16)에 빈번하게 작용하는 큰 힘뿐만 아니라, 조작 핸들(16)을 접거나 펴는 작업을 자주 반복함으로써,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을 형성하는 가장자리와 테이퍼면(57)이 마모될 수도 있다. 제2 연결핀(51)의 선단부(53)가 선단을 향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에도, 테이퍼면(57)과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테이(17)에 대한 조작 핸들(16)의 고정 상태를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드릴(91)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관통 구멍(24, 25)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드릴기 또는 기타 공작 기계가 채용된다. 이제, 기단부(16a)에 제1 및 제2 관통 구멍(24, 25)을 형성하는 구멍 형성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기단부(16a)를 지그(92)에 세팅한다. 지그(92)는 기단부(16a)의 두 경사 영역(23, 23)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퍼형의 지지용 오목부(92a)를 구비한다. 두 경사 영역(23, 23)을 지지용 오목부(922a)에 세팅하고 있기 때문에, 기단부(16a)의 바닥판(21)이 드릴(91)에 마주한다.
그 후, 바닥판(21)의 방향으로 상부(22)를 향하는 (이동하는) 드릴(91)에 의해 구멍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1)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부(22)에 구멍을 형성한다. 그 결과,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관통 구멍(24, 25)이 기단부(16a)에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 도 10a 내지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관통 구멍(24, 25)을 프레스 가공(펀칭 가공)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도 10에 도시된 구멍 형성법을 비교예로서 제공한다. 이제, 이러한 비교예에 따라 기단부(16a)에 제1 및 제2 관통 구멍(24, 25)을 형성하는 구멍 형성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부(16a)를 다이(101)에 세팅한다. 다이(101)는, 기단부(16a)의 두 경사 영역(23, 23)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퍼형의 지지용 오목부(101a)를 갖는다. 두 경사 영역(23, 23)이 지지용 오목부(101a)에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기단부(16a)의 바닥판(21)이 위를 향한다.
그 후, 펀치(102)를 사용하여 바닥판(21)의 방향으로부터 상부(22)를 향하여 펀칭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1)으로부터 상부(22)를 관통하여 동시에 구멍을 형성한다. 그 결과,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부(16a)에 제1 및 제2 관통 구멍(24, 25)이 형성된다.
프레스 가공을 이용하여 구멍을 형성할 때에는,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펀치(102)의 펀칭력에 의해, 바닥판(21)에 상부(22)를 향하여 어느 정도 크기의 함몰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기단부(16a)를 스테이(17)에 조립하면, 도 10d 및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17)에 대한 바닥판(21)의 접촉 면적이 작다. 이에 따라, 특히 제1 연결핀(41)에 의하여, 기단부(16a)를 스테이(17)에 최적의 체결 토크로 확실하게 체결하기 위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펀치(102)를 이용하여 펀칭을 행할 때에는, 제1 및 제2 관통 구멍(24, 25)의 직경의 공차를 관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관통 구멍(24, 25)이 드릴(91)을 이용하여 형성된 둥근 구멍이다. 이와 같이 드릴을 채용하는 구멍 형성법을 이용함으로써, 다른 구멍 형성법을 이용하는 경우(프레스 또는 다른 방법)에 비하여, 구멍 직경의 공차를 비교적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 구멍(24)과 제1 연결핀(41) 사이의 끼워맞춤 간극과 제2 관통 구멍(25)과 제2 연결핀(51) 사이의 끼워맞춤 간극을 용이하게 거의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조작 핸들(16)이 사용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 조작 핸들(16)을 스테이(17)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인 고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행형의 작업기(10)는 잔디 깎기 기계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예초기 및 카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행형 작업기는 회전식 잔디 깎기 기계에 이상적으로 적용된다.

Claims (3)

  1. 작업기 본체(11);
    상기 작업기 본체에 설치된 핸들 부착부(17);
    제1 연결핀(41) 및 제2 연결핀(51)을 이용하여 상기 핸들 부착부에 연결되는 조작 핸들(16)
    을 포함하는 보행형 작업기로서,
    상기 조작 핸들(16)은, 상기 제1 연결핀(41)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선회 가능하도록 핸들 부착부(17)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조작 핸들(16)과 핸들 부착부(17) 중 하나에 상기 제2 연결핀(5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핀은 선단부(53)를 갖고,
    상기 선단부는, 그 선단을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테이퍼면(57)을 가지며,
    상기 조작 핸들과 핸들 부착부 중 다른 하나에, 제2 연결핀의 선단부(53)가 출입하는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이 마련되며,
    상기 조작 핸들(16)은, 상기 제2 연결핀(51)의 선단부(53)가 상기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에 끼워질 때에 사용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의 직경(d4)은 상기 선단부(53)의 대직경 단부(54)의 직경(d1)보다 작고, 상기 선단부(53)의 소직경 단부(55)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인 보행형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16)에 제1 및 제2 연결핀(41, 5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핸들 부착부(17)에 제1 핀 끼워맞춤 구멍(32) 및 상기 제2 핀 끼워맞춤 구멍(33)이 마련되고, 제1 연결핀(41)이 상기 제1 핀 끼워맞춤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조작 핸들에는 제1 관통 구멍(24) 및 제2 관통 구멍(25)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연결핀이 제1 관통 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제2 연결핀이 제2 관통 구멍을 통과하며,
    상기 제1 및 제2 관통 구멍(24, 25)은 드릴(91)을 이용하여 형성된 둥근 구멍인 것인 보행형 작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핀(41)은 볼트를 포함하고, 볼트를 나사 체결하기 위한 나사 체결 부재는, 조작 핸들과 핸들 부착부 중 다른 하나에 용접되는 용접 너트(42)와, 볼트를 용접 너트에 추가로 나사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고정 너트(43)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 체결 부재는 상기 두 너트를 이용하여 볼트를 적소에 체결하기 위한 구조체인 것인 보행형 작업기.
KR1020110022999A 2010-03-30 2011-03-15 보행형 작업기 KR101264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8713 2010-03-30
JP2010078713A JP5552349B2 (ja) 2010-03-30 2010-03-30 歩行型作業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860A KR20110109860A (ko) 2011-10-06
KR101264002B1 true KR101264002B1 (ko) 2013-05-13

Family

ID=4392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999A KR101264002B1 (ko) 2010-03-30 2011-03-15 보행형 작업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16510B2 (ko)
EP (1) EP2371200B1 (ko)
JP (1) JP5552349B2 (ko)
KR (1) KR101264002B1 (ko)
CN (1) CN1022174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3761B2 (en) * 2012-02-23 2014-05-06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Handlebar coupling and adjustment unit
US9596806B2 (en) 2013-10-10 2017-03-21 Chervon (Hk) Limite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gardening tool
US9888627B2 (en) 2012-10-15 2018-02-13 Chervon (Hk) Limited Lawncare apparatus with a foldable operating arm
US11606900B2 (en) 2012-10-15 2023-03-21 Chervon (Hk) Limited Gardening tool
CN204180540U (zh) * 2014-10-27 2015-03-04 常州格力博有限公司 可倒立放置的割草机结构
US9439352B2 (en) 2015-02-02 2016-09-13 Husqvarna Ab Handle height adjuster for walk behind mower
CN106612885A (zh) * 2016-12-15 2017-05-10 渠县金穗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手扶式除草机
CN111348086B (zh) * 2018-12-20 2021-09-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手柄限位机构及托盘车
US11638397B2 (en) 2020-02-10 2023-05-02 Techtronic Cordless Gp Control assembly coupled to handle of an im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7753A (en) * 1952-12-08 1955-12-20 Foley Mfg Company Adjustable lawn mower handle
US2965386A (en) * 1956-11-16 1960-12-20 Motor Wheel Corp Lawn mower handle mounting structure
US3132835A (en) * 1962-12-03 1964-05-12 Drabert Fritz Footrest
US3421177A (en) * 1965-09-24 1969-01-14 Anton Broghammer Hinge or ride for doors or windows
JPS5953189U (ja) * 1982-09-30 1984-04-07 株式会社四国製作所 1輪管理機における操向ハンドルの固定装置
JPS61204433U (ko) * 1985-06-13 1986-12-23
US4720895A (en) * 1986-10-14 1988-01-26 Chrysler Motors Corporation Quick-disconnect door hinge
JPH01121320A (ja) 1987-11-05 1989-05-15 Asahi Chem Ind Co Ltd 高重合度ポリアミドの製造方法
JPH01121320U (ko) * 1988-02-15 1989-08-17
US4811968A (en) * 1988-04-07 1989-03-14 Usec, Inc. Collapsible cart
US5842329A (en) * 1996-10-22 1998-12-01 Deere & Company Adjustable lawn mower handle mount
JPH11348864A (ja) * 1998-06-10 1999-12-21 Bridgestone Cycle Co 自転車用ハンドル
JP3732394B2 (ja) * 2000-08-31 2006-0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JP2004232305A (ja) * 2003-01-29 2004-08-19 Nippon Yusoki Co Ltd 中空レールの枕敷構造
US6868583B2 (en) * 2003-03-17 2005-03-22 Chaw Khong Technology Co., Ltd. Locking pin
US6779804B1 (en) * 2003-05-13 2004-08-24 Ssu-Liu Liu Jogging stroller
JP2005110520A (ja) * 2003-10-03 2005-04-28 Atex Co Ltd 草刈機のハンドル振替装置
CN2812537Y (zh) * 2005-07-20 2006-09-06 浙江恒泰皇冠园林工具有限公司 割草机可旋转式把手
US7412753B2 (en) * 2005-09-16 2008-08-19 Honda Motor Co., Ltd. Pin apparatuses and methods
CN201290237Y (zh) * 2008-08-15 2009-08-19 卓本与 一种新型割草机
CN201294749Y (zh) * 2008-11-19 2009-08-26 江苏沃得植保机械有限公司 草坪割草机扶手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16510B2 (en) 2012-11-27
EP2371200A1 (en) 2011-10-05
CN102217454B (zh) 2014-01-15
KR20110109860A (ko) 2011-10-06
JP5552349B2 (ja) 2014-07-16
US20110239813A1 (en) 2011-10-06
EP2371200B1 (en) 2012-09-26
CN102217454A (zh) 2011-10-19
JP2011206001A (ja)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002B1 (ko) 보행형 작업기
US20190254229A1 (en) Quick-coupling for mower blades
EP3050422B1 (en) Handle height adjuster for walk behind mower
EP3282826B1 (en) Lawn mower cutting height adjustment assembly
KR101273866B1 (ko) 보행형 작업기
US8899006B2 (en) Walk behind garden tool chassis
US11254376B2 (en) Modular track assembly
EP2018095B1 (en) Implement carrier
KR200472301Y1 (ko) 등짐 형 배부식 예초기를 장착할 수 있는 주행식 예초기
JP3225042U (ja) 刈払いヘッド装置
EP2819501B1 (en) Electric dump bagging attachment
JPH077312U (ja) 替え刃式手作業用園芸農具
JP2000308406A (ja) 原動機駆動の作業機械
JP2004114759A (ja) 小型移動農機
WO2013130100A2 (en) Bagging attachment dump mechanism and vehicle attachment mechanism
JPH08242654A (ja) 草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