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301Y1 - 등짐 형 배부식 예초기를 장착할 수 있는 주행식 예초기 - Google Patents

등짐 형 배부식 예초기를 장착할 수 있는 주행식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301Y1
KR200472301Y1 KR2020120005163U KR20120005163U KR200472301Y1 KR 200472301 Y1 KR200472301 Y1 KR 200472301Y1 KR 2020120005163 U KR2020120005163 U KR 2020120005163U KR 20120005163 U KR20120005163 U KR 20120005163U KR 200472301 Y1 KR200472301 Y1 KR 200472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lutch housing
centrifugal clutch
frame
m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397U (ko
Inventor
주상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홈앤가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홈앤가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홈앤가든
Priority to KR2020120005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30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3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3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 A01D34/902Ergonomic provis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장시간 사용 시 작업자에게 무게와 진동으로 인해 피로도가 증가하는 등짐 형태의 배부식 예초기의 단점이 보완된 바퀴가 달리 밀차 형태의 주행식 예초기를 별도로 전체 구입하지 않더라도, 기존의 배부식 예초기의 동력발생장치를 활용하여 쉽게 간단한 조작을 통해 주행식 예초기로 변형함으로써 별도 구입에 따른 비용을 줄이고, 작업장소의 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배부식과 주행식을 적용해 작업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짐 형 배부식 예초기를 장착할 수 있는 주행식 예초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주행식 예초기는 기존의 동력발생장치와 이를 등짐형태로 지지해 주는 등받이 틀, 그리고 바퀴 축 모두를 함께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 지지대로, 상단 부에 홈을 형성한 보조물을 이용하여 동력발생장치의 원심클러치 하우징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중간 부에 등받이 틀을 올려놓고 홈을 통하여 고정시켜 조립할 수 있는 타원형 평판을 구비하며, 하단 부에 바퀴 축이 관통되어 조립되는 관통형 관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프레임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등짐 형 배부식 예초기를 장착할 수 있는 주행식 예초기{Wheel typed brush cutter which can be attached backpack frame}
본 발명은 바퀴가 부착되어 지면에서 이동하며 풀을 베는 작업할 수 있는 주행식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풀을 베는 제초작업 시 작업자에게 작업장비의 무게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2개 이상의 바퀴가 구비된 손수레 형태의 구조물에 동력발생 장치인 엔진을 부착하고, 제초절단용 회전 날을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엔진동력과 연결하여, 작업자는 핸들을 조정하면서 지면에 놓인 기기를 조작하며 제초작업을 하는 주행식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풀을 베기 위한 작업에 사용되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441786호 및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7-000131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휴대용 동력예초기 가운데, 작업자가 주로 소형엔진과 같은 동력발생장치를 배낭형태의 등받이 틀에 결합한 것을 멜빵을 이용하여 양쪽 어깨에 메고, 이를 동력전달장치인 작업대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시켜, 작업대 끝 단에 직접 풀을 베는 여러 가지 형태의 칼날과 연결하여 칼날의 회전을 통해 작업을 진행한다. 이와 같은 등짐 형 배부식 휴대용 예초기의 경우 작업자에게는 장시간 작업으로 인한 무게의 부담과 동력전달장치인 작업대를 손으로 계속 잡아서 들고 작업하는 과정에서 작업대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무게로 인한 피로도의 증가가 생기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695515호에 나타난 것과 같은 주행식 예초기의 경우 동력발생장치와 전달장치를 모두 바퀴가 달린 수레형태의 구조물에 부착하여 풀을 베는 작업을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은 물론 작업자에게 무게와 진동에 대한 문제를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작업 장소가 비탈과 같은 경사가 있거나 좁은 지역 또는 일정높이 이상의 작업등 다양한 작업요구사항에 대해서는 기존의 배부식 휴대용 예초기를 추가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각기 다른 형태의 예초기의 편리성을 위해서는 기존의 배부식 예초기와 주행식 예초기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거나, 비용부담으로 인해 한가지 형태의 예초기만을 구비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이는 작업의 비효율 성과 작업자의 부담을 가중시켜 불편한 문제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두 가지 형태의 예초기를
작업자가 간편한 조작으로 서로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작업환경에 따라 배부식 예초기와 주행식 예초기를 서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한가지 형태의 예초기 구입 후 다시 별도의 동력발생 장치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비용부담을 줄이고, 간편한 탈 부착으로 인해 두 가지 형태의 예초기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작업 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짐 형 배부식 예초기를 장착할 수 있는 주행식 예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행식 예초기는, 동력발생장치를 중심으로 하여 칼날이 위치하는 쪽을 전방 사용자가 위치하는 쪽을 후방이라고 할 때, 배부식 예초기용 등받이틀, 상기 등받이틀에 결합된 동력발생장치, 후방측이 상기 동력발생장치와 연결되는 원심클러치하우징, 작업대 파이프 내에 설치된 상태로 후방 단부가 상기 원심클러치하우징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드라이빙샤프트, 상기 드라이빙샤프트의 전방 단부가 연결되는 기어뭉치, 상기 기어뭉치에 조립되는 예초용 칼날, 상기 등받이틀의 전방쪽에 결합되며, 하단에는 수평하게 설치되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의 관통형 관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상기 원심클러치하우징이 관통하는 상태로 지지되는 구멍이 형성된 보조물을 구비하고, 중간부에는 상기 등받이틀이 위에 놓이면서 고정되는 평판을 구비하는 프레임 지지대, 상기 관통형 관을 통과하며 상기 관통형 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퀴축과 상기 바퀴축 양쪽에 설치되는 양쪽 바퀴, 상기 프레임 지지대와 결합되어 후방으로 뻗은 중간 파이프 및 상기 중간 파이프 후방에 결합되는 핸들파이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배부식 예초기에서 동력발생장치와 이 동력발생장치를 지지하고 휴대이동을 위해 등짐 형태로 어깨에 메기 위한 등받이틀로 이루어진 부분 일체 모두를 주행식 예초기에 그대로 부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고, 등받이 틀을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프레임 지지대는 단면이 ‘ㅏ’자형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 지지대에 동력발생장치와 연결을 위해 동력발생장치에 연결된 원심클러치하우징과 보조물을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보조물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네 모서리에 상기 원심클러치하우징의 고정볼트의 머리 돌출부 네 곳과 일치하도록 볼트 결합을 위한 상부의 보조물 홈을 가져 상기 고정볼트로 보조물, 원심클러치하우징, 동력발생장치를 함께 결합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고정볼트의 머리 돌출부와 상기 보조물 사이에 충격 완화를 위한 방진 고무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지지대 중단에 돌출되어 등받이틀을 올려놓고 고정쇠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타원형 판을 형성하고, 그 판의 각 양단에 고정을 위한 홈을 구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타원형 판이 등받이들의 지지무게로 인한 변형방지를 위해 부착위치 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모서리 부분을 곡선형으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존의 배부식 예초기의 동력발생장치와 이 장치와 결합 되어있는 등받이틀 일체 모두를 주행식 예초기의 프레임에 안착함에 있어, 등받이틀 일체를 본 발명의 프레임 지지대가 부착된 주행식 예초기의 프레임 지지대에 올려놓고 상단 원형의 홈에 동력발생장치의 원심클러치하우징을 삽입하고, 원심클러치하우징의 각 네 모서리에 위치한 고정볼트의 머리부분을 프레밈 지지대의 각 홈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위치를 잡고, 프레임 지지대 하단의 각 부분의 홈과 고정쇠를 이용하여 등받이 틀의 하단부와 프레임지지대를 결합 할 수 있어, 주행식 예초기로 변환함에 조작이 간편하고 편리하게 된다. 이러한 일체형으로 간편하게 탈부착 할 수 있어 사용자는 작업 지의 환경에 따라 배부식 형태와 주행식 형태로 상호 변환하여 각각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부식 예초기의 등받이틀에 결합된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을 그대로 이용하고, 배부식 예초기로 작업 시 발생되는 작업과 이동 시 사용자의 무게에 대한 불편함과 손으로 들고 작업하는 작업대의 진동에 의한 피로도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해 개별 구매해야 하는 사용자에게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레임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대를 활용한 조립 구성을 나타낸 주행식예초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대와 원심클러치하우징 부분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와 결합된 등받이 틀을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지지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대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대의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 지지대(17)는 기기의 중앙 부에서 위치하여 바퀴 축(28) 및 동력발생장치(13)와 결합된 등받이 틀(13a), 그리고 동력발생장치(13)와 연결된 원심클러치하우징(14)과 조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 지지대(17)는 원형의 파이프를 반타원형태로 형성 함이 바람직하며, 그 각 부를 동력발생장치(13)와 연결된 원심클러치하우징(14)이 삽입되는 상단 부의 사각형의 보조물(51)과 동력발생장치(13)와 결합된 등받이 틀(13a) 일체가 조립되는 중간부의 타원형 평판(52), 그리고 양쪽 바퀴(24)를 연결하는 바퀴 축(28)과 조립되는 하단 부의 관통형 관(53)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지지대(17)의 상단 부 사각형의 보조물(51) 중앙에는 가운데 구멍(51e)이 형성되어 동력발생장치(13)와 연결된 원심클러치하우징(14)을 이 구멍으로 삽입 토출한다. 원심클러치 하우징(14)에는 동력발생장치(13)와의 결합을 위해 모서리 네 곳에 홈(14a,14b,14c,14d)이 형성되어, 이를 4개의 고정볼트(23)와 결합되며, 각 고정볼트의 머리부분이 본 프레임 지지대 보조물(51)에 형성된 4개의 구멍(51a,51b,51c,51d)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 지지대의 구멍(51a,51b,51c,51d)은 각각의 구멍에 진동방지용 방진고무(23a,23b,23c,23d)가 구멍 외벽과 원심클러치하우징 고정볼트(23)의 머리 부분 사이에 삽입되도록 조립된다.
프레임 지지대(17)의 하부 받침영역은 관통형 관(53)으로 형성하여, 양쪽 바퀴(24)와 연결된 바퀴축(28)이 관통형 관(53)을 통과하여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형 관(53)에는 홈(53a)이 형성되어 이 홈(53a)을 이용하여 바퀴 축(28)에 형성된 홈(28a)과 동일한 곳에 위치하여 고정볼트(21)를 관통하여, 이를 고정너트(22)과 조립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지지대(17) 중간부분에는 등받이 틀(13a)를 고정할 수 있도록 프레임 지지대(17)과 결합된 타원형의 평판(52)이 형성된다. 도 4, 5, 6, 7, 8은 본 프레임 지지대(17)의 각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도이며, 도 4에서 예시 된 바와 같이 이 타원형 평판(52)의 양 끝 단에는 고정쇠(43)를 통해 고정할 수 있는 홈(52a,52b)을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홈(52a,52b)는 기존에 생산된 서로 다른 규격의 등받이 틀(13a)을 모두 적용하기 위하여 긴 타원형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52a,52b)는 2개의 고정쇠(43)을 이용하여 이 홈(52a, 52b)에 고정쇠(43)를 위치시키고 고정쇠 고정볼트(44)과 고정쇠 고정너트(45)를 사용하여 등받이틀(13a)을 프레임 지지대(17)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원형 평판(52)의 경우 각각의 모서리(52c)는 곡선형으로 형성하며, 등받이틀(13a)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가운데에 돌출 형 돌기(52d)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 핸들파이프(8)과 연결된 중간 파이프(12)는 파이프마개(1)로 양쪽이 밀폐된 상태에서 분리형 조립보조물(19,20,26)과 조립보조물 고정용 볼트(18,27)를 통해 지지대 프레임 하단의 관통형 관(53)에 조립되고, 후면 핸들파이프(8)의 끝 단에는 파이프마개(1)와 손잡이(2) 그리고 동력발생장치(13)의 출력제어를 위한 조절레바(3) 및 스위치(6)가 고정볼트너트(4,5)를 통해 부착된다. 후면 핸들파이프(8)와 중간 파이프(12)는 동일위치의 홈을 통해 고정용 굽은머리볼트(9)와 와셔(10) 및 손잡이형 너트(11)로 고정되어 조립되고, 조절레바 및 스위치(6)은 조절레바선(46) 및 스위치선(47)이 전선보호대(7)를 통과하여 연결된다.
작업대파이프(34) 내부를 관통하는 드라이빙샤프트(29)는 슬리브베어링(30)의 의해 작업파이프(34)내에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한쪽은 원심클러치 하우징(14)과 연결되며 다른 쪽은 기어뭉치 고정볼트(35,36,37)에 의해 기어뭉치(38)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작업대 파이프(34) 끝 단에는 칼날(40)을 조립할 수 있는 기어뭉치(38)가 위치하여, 칼날 고정만주(39, 41)사이에 칼날(40a)을 위치하고 고정너트(41a)고정한다. 작업대 파이프(34)와 연결된 기어뭉치(38)에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풀 베는 작업 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커버(33)를 안전커버고정쇠(32)를 안전커버고정쇠볼트(31)로 작업대 파이프(34)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동력발생장치(13)와 조립된 등받이틀(13a)을 프레임지지대(17)의 타원형 평판(52)에 고정쇠(43)를 이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조립하므로, 장시간 동력발생장치(13)를 포함함 등받이틀(13a)을 등에 메고 작업하는 번거로움과 무게에 대한 부담감을 피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1 : 파이프마개
2 : 손잡이
3 : 조절레바
6 : 조절레바 및 스위치
8 : 핸들파이프
11 : 손잡이형 너트
12 : 중간파이프
13 : 동력발생장치
13a : 등받이틀
14 : 원심클러치하우징
14a,14b,14c,14d : 원심클러치하우징 고정볼트 홈
17 : 프레임 지지대
19,20,26 : 작업대파이프 분리형 조립보조물
23 : 원심클러치하우징 고정볼트
24 : 바퀴
28 : 바퀴축
29 : 드라이빙샤프트
31,32 : 안전커버 고정쇠
33 : 안전커버
34 : 작업대파이프
38 : 기어뭉치
39, 41 : 칼날고정 만주(상,하)
40 : 칼날
43 : 고정쇠
44 : 고정볼트
45 : 고정너트
46 : 악세레바선
47 : 스위치 선
51 : 보조물
51a,51b.51c.51d: 보조물 홈
52 : 평판
53 : 관통형 관
53a : 관통형 관 고정 홈

Claims (2)

  1. 배부식 예초기용 등받이틀(13a),
    상기 등받이틀(13a)에 결합된 동력발생장치(13),
    후방측이 상기 동력발생장치(13)와 연결되는 원심클러치하우징(14),
    작업대 파이프(34) 내에 설치된 상태로 후방 단부가 상기 원심클러치하우징(14)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드라이빙샤프트(29),
    상기 드라이빙샤프트(29)의 전방 단부가 연결되는 기어뭉치(38),
    상기 기어뭉치(38)에 조립되는 예초용 칼날(40),
    상기 등받이틀(13a)의 전방쪽에 결합되며, 하단에는 수평하게 설치되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의 관통형 관(53)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상기 원심클러치하우징(14)이 관통하는 상태로 지지되는 구멍(51e)이 형성된 보조물(51)을 구비하고, 중간부에는 상기 등받이틀이 위에 놓이면서 고정되는 평판(52)을 구비하는 프레임 지지대(17),
    상기 관통형 관(53)을 통과하며 상기 관통형 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퀴축(28)과 상기 바퀴축(28) 양쪽에 설치되는 양쪽 바퀴(24),
    상기 프레임 지지대(17)와 결합되어 후방으로 뻗은 중간 파이프(12) 및 상기 중간 파이프(12) 후방에 결합되는 핸들파이프(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주행식 예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물(51)과 상기 원심클러치하우징(14)을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보조물(51)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네 모서리에 상기 원심클러치하우징(14)의 고정볼트의 머리 돌출부 네 곳과 일치하도록 볼트 결합을 위한 상부의 보조물 홈(51a,51b.51c.51d)을 가지며, 상기 고정볼트의 머리 돌출부와 상기 보조물 사이에 충격 완화를 위한 방진 고무가 삽입되고,
    상기 평판(52)과 상기 등받이틀(13a)을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평판(52)의 양 단에는 긴 타원형태의 홈(52a, 52b)이 형성되고, 등받이틀 고정쇠(43) 및 상기 등받이틀 고정쇠(43)를 상기 홈(52a, 52b)에 결합시킬 고정볼트(44)와 고정너트(45)가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틀(13a)의 일부를 상기 등받이틀 고정쇠(43)와 상기 평판(52) 사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식 예초기.
KR2020120005163U 2012-06-18 2012-06-18 등짐 형 배부식 예초기를 장착할 수 있는 주행식 예초기 KR200472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163U KR200472301Y1 (ko) 2012-06-18 2012-06-18 등짐 형 배부식 예초기를 장착할 수 있는 주행식 예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163U KR200472301Y1 (ko) 2012-06-18 2012-06-18 등짐 형 배부식 예초기를 장착할 수 있는 주행식 예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397U KR20130007397U (ko) 2013-12-27
KR200472301Y1 true KR200472301Y1 (ko) 2014-04-17

Family

ID=5148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163U KR200472301Y1 (ko) 2012-06-18 2012-06-18 등짐 형 배부식 예초기를 장착할 수 있는 주행식 예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3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727B1 (ko) * 2021-09-07 2023-08-07 노정현 작물 줄기 절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6828U (ko) * 1981-03-10 1982-09-14
JPH02177813A (ja) * 1988-12-28 1990-07-10 Yamada Kikai Kogyo Kk 背負い式作業機の背負い具
KR200343588Y1 (ko) 2003-11-28 2004-03-05 (주)이.앤.이 예초기용 캐리어
KR100524111B1 (ko) 2004-10-12 2005-10-31 김현화 예초기 등받이 에어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6828U (ko) * 1981-03-10 1982-09-14
JPH02177813A (ja) * 1988-12-28 1990-07-10 Yamada Kikai Kogyo Kk 背負い式作業機の背負い具
KR200343588Y1 (ko) 2003-11-28 2004-03-05 (주)이.앤.이 예초기용 캐리어
KR100524111B1 (ko) 2004-10-12 2005-10-31 김현화 예초기 등받이 에어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397U (ko) 201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0050B (zh) 站立式草坪护理车辆
JP3398303B2 (ja) 背負い式作業機
KR101264002B1 (ko) 보행형 작업기
US20100000097A1 (en) Weed trimming device
KR200472301Y1 (ko) 등짐 형 배부식 예초기를 장착할 수 있는 주행식 예초기
WO2016062134A1 (zh) 中置打草机
KR102286163B1 (ko)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JP2013034432A (ja) 農用作業機
AU2011201299B9 (en) Walk-behind work machine
US20140196426A1 (en) Walk Behind Garden Tool Chassis
KR20110093449A (ko) 배터리를 이용한 코드레스 예취기
KR20080006301A (ko) 예취기용 보조 장치
CN217088671U (zh) 一种割草机
JPS6041072Y2 (ja) 背負動力刈払機の背負枠
KR101734658B1 (ko) 예초기
CN219803059U (zh) 一种耐腐蚀割草机把手
CN216218792U (zh) 一种设有阻尼隔振的手持割草机外壳
JP2011254775A (ja) 走行式芝刈機
CN210840693U (zh) 一种便携式森林抚育打枝割灌机
JP6789258B2 (ja) 手持式作業機
JP6108954B2 (ja) 歩行型作業機
CN217308389U (zh) 一种轻巧型修剪机结构
JP5830046B2 (ja) 背負式作業機
JP2016097907A (ja) 農作業機の防振支持構造
KR20100077452A (ko) 예초기용 간접핸들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