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163B1 -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 Google Patents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163B1
KR102286163B1 KR1020190137691A KR20190137691A KR102286163B1 KR 102286163 B1 KR102286163 B1 KR 102286163B1 KR 1020190137691 A KR1020190137691 A KR 1020190137691A KR 20190137691 A KR20190137691 A KR 20190137691A KR 102286163 B1 KR102286163 B1 KR 102286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ntroller
support
p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871A (ko
Inventor
박수용
Original Assignee
호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산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7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16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1Casings; Housing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취날이 설치된 부분의 중량을 줄임과 아울러 모터케이스의 콤팩트화 및 경량화를 구현하여 예취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고, 작업자의 피로도경감 및 작업능률을 대폭 향상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예초기는 작업봉의 하단에 모터가 내장된 모터케이스가 설치됨으로써 예취작업시 예취날 부분이 매우 무거워 예취날을 지면으로부터 띄워서 작업시 힘이 많이 들어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작업자의 신체와 근접하는 작업봉의 상단에 모터케이스를 설치함과 아울러 작업봉의 하단에는 예취날만 설치하여 예취날이 설치된 부분의 중량을 줄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모터케이스의 내부에는 모터, PWM 컨트롤러 및 릴레이만을 내장 설치하여 모터케이스를 콤팩트화 함과 아울러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Lightweight rechargeable mowers for ease of use}
본 발명은 예취날이 설치된 부분의 중량을 줄임과 아울러 모터케이스의 콤팩트화 및 경량화를 구현하여 예취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고, 작업자의 피로도경감 및 작업능률을 대폭 향상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초 작업시에 엔진 구동방식의 예초기가 사용된다. 엔진의 시동을 건 후, 스로틀밸브를 당기게 되면 칼날이 회전하면서 잡초나, 잡목 등을 절단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칼날 상부의 작업대에는 벌초 작업시 칼날이 회전에 의하여 절삭된 잡초가 작업자에게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커버가 설치된다.
엔진 구동방식의 예초기는 연료를 사용하여 강한 동력을 얻고 그 동력으로 칼날을 강하게 회전시켜 잔디나 잡초 등을 벨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예초기는 가솔린엔진을 탑재하고, 엔진의 동력을 칼날에 전달되도록 하여 이동하면서 풀을 벨 수 있다.
그러나 엔진을 동력으로 하는 예초기는 중량이 무거워 휴대가 곤란하다. 또한, 엔진의 구동에 의한 강한 회전력으로 잔디나 잡초의 종류에 관계없이 예초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엔진의 구동시 심한 발열과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고, 또한 연료를 사용하여 엔진을 구동시킴으로써 심한 매연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엔진 소음이 커서 주택가에서 사용하면 소음에 의한 공해(nuisance)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엔진을 동력으로 하는 예초기는 진동이 심하여 여자나 노인은 취급하기 어렵고, 남자라도 장시간의 사용은 몸에 대한 부담이 크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엔진 대신에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예초기가 사용되고 있다.
모터를 사용하는 예초기는 전원이 필요하지만, 시판되는 예초기는 대부분이 상용 전원을 사용하고 있고, 콘센트를 접속하여 모터에 급전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용 전원을 사용하는 예초기는 작업 중에 긴 급전선을 끌고 다닐 필요가 있어, 풀베기 작업 중에 회전 칼날이 급전선을 절단하여 버리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였다.
그래서 상용 전원 대신에 배터리를 사용하는 예초기가 주목되고 있고, 이러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예초기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205991호, 명칭/ 전기 예초기의 휴대용 전원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신체의 일 부위에 착용하여 전기 예초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에 전기를 계속적으로 충전시킴으로써 장시간 배터리의 사용이 가능하고 전기 예초기의 무게와 부피를 줄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도 12와 같이 작업봉(1)의 하단에 모터가 내장된 모터케이스(3)가 설치됨으로써 예취작업시 예취날(5) 부분이 매우 무거워 예취날을 지면으로부터 띄워서 작업시 힘이 많이 들어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업자의 신체와 근접하는 작업봉의 상단에 모터케이스를 설치함과 아울러 작업봉의 하단에는 예취날만 설치하여 예취날이 설치된 부분의 중량을 줄여 작업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터케이스의 내부에는 모터, PWM 컨트롤러 및 릴레이만을 내장 설치하여 모터케이스를 콤팩트화 함과 아울러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터케이스에 형성된 모터 지지체는 모터를 유동 없이 지지함과 아울러 모터의 회전을 방지하여 진동, 소음 및 모터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봉의 상단에는 모터케이스가 설치되고, 작업봉의 하단에 가벼운 예취날만 설치됨으로써 예취날이 설치된 부분의 중량이 작아 지면으부터 예취날을 띄워 좌우로 스윙하면서 예취하는 작업에 힘이 적게 들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적고, 예취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작업능률이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터케이스의 내부에 고중량의 배터리를 제외한 모터, PWM 컨트롤러 및 릴레이만이 내장 설치됨으로써 모터케이스의 크기를 더욱 콤팩트화, 경량화함으로써 예초기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하고,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터케이스의 내부에 모터가 유동하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PWM 컨트롤러가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사용시 진동, 소음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하고, 모터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예초기와 분리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를 어깨에 착용 가능한 배낭에 수납함으로써 예초기의 무게 및 부피를 줄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충전식 예초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충전식 예초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모터케이스가 분리된 모터케이스에 모터, PWM 컨트롤러, 릴레이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1 모터케이스의 내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2 모터케이스의 내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1 모터케이스에 모터, PWM 컨트롤러, 릴레이가 설치된 상태의 내면도
도 7은 본 발명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1, 제2 모터케이스 및 모터가 조립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1, 제2 모터케이스 및 PEM 컨트롤러가 조립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충전식 예초기 및 배터리의 연결상태 사시도
도 12는 종래 전기 예초기의 사시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작업봉(100), 예취날(200), 모터(300), 모터케이스(400), PWM 컨트롤러(500), 릴레이(60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은 작업봉(100)의 하단에 교체 가능한 예취날(2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봉(100)의 상단에는 모터(300)의 전면에 부착된 클러치 하우징(310)이 일체로 직결됨으로써 상기 모터(300)의 작동에 따라 예취날(200)이 원활하게 회전함은 물론 클러치 하우징(310) 내의 클러치 조작에 따라 예취날(200)에 전달되는 모터(300)의 동력을 간편하게 단속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300)의 외측을 모터케이스(400)가 감싸게 설치됨으로써 모터(30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케이스(400)의 내부에는 모터(3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PWM 컨트롤러(500)가 모터(300)의 후방에 설치되고, PWM 컨트롤러(500)의 후방에는 입력이 어떤 값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하여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장치인 릴레이(600)가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은 작업봉(100)의 하단에 가벼운 예취날(200)만 설치되고, 예취작업시 작업자의 신체와 인접하는 작업봉(100)의 상단에 모터(300)가 직결됨으로써 예취날(200)이 설치된 부분의 중량을 대폭 감축하여 통상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예취날(200)을 띄운 상태에서 작업봉(100)을 좌우로 스윙 작동하면서 예취작업을 시행할 때 작업자의 힘이 적게 들어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피로도가 매우 적고, 상기 예취날(200)이 지면에 닿으면서 파손되거나 파편이 발생함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작업능률을 대폭 향상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모터케이스(400)는 내부에 모터(300), PWM 컨트롤러(500) 및 릴레이(600)만을 내장 설치하여 모터케이스(400)를 콤팩트화 함과 아울러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의 기술이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모터케이스(400)는 도면 4 내지 5와 같이 좌우로 분리되고, 상호 마주하게 일체로 조립되는 한 쌍의 제1, 제2 모터케이스(410)(4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모터케이스(400)는 도 4와 같이 내부 전후에 각각 모터 전면지지판(411) 및 모터 후면지지판(41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모터 전면지지판(411) 및 모터 후면지지판(412)의 상하에는 각각 한 쌍의 모터 외면지지판(413)이 일체로 연결된 사각형의 모터 지지체(414)가 형성됨으로써 모터 지지체(414)의 내부에는 모터(300)가 삽입되는 모터 삽입부(415)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 전면지지판(411)의 중앙 상하에 각각 한 쌍의 하우징 외면지지판(416)이 형성되고, 한 쌍의 하우징 외면지지판(416)의 사이에는 양측이 각각 상기 모터 삽입부(415)의 내부 및 외부와 연통하는 하우징 삽입부(4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후면지지판(412)의 후방 전후에는 각각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컨트롤러 전면지지대(418) 및 컨트롤러 후면지지대(419)가 형성됨과 아울러 컨트롤러 전면지지대(418) 및 컨트롤러 후면지지대(419)의 사이 상하에는 각각 컨트롤러 상면지지대(420) 및 PWM 컨트롤러(500)의 모서리를 감싸는 앵글형의 컨트롤러 하면지지대(421)가 형성됨으로써 PWM 컨트롤러(500)를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컨트롤러 후면지지대(419)의 후단에는 릴레이(600)를 고정하기 위한 릴레이 고정대(4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모터케이스(430)는 도 5와 같이 내부 전후에 각각 모터 전면지지판(431) 및 모터 후면지지판(43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모터 전면지지판(431) 및 모터 후면지지판(432)의 상하에는 각각 한 쌍의 모터 외면지지판(433)이 일체로 연결된 사각형의 모터 지지체(434)가 형성됨으로써 모터 지지체(434)의 내부에는 모터(300)가 삽입되는 모터 삽입부(435)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 전면지지판(431)의 중앙 상하에 각각 한 쌍의 하우징 외면지지판(436)이 형성되고, 한 쌍의 하우징 외면지지판(436)의 사이에는 양측이 각각 상기 모터 삽입부(435)의 내부 및 외부와 연통하는 하우징 삽입부(437)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모터 후면지지판(432)의 후방에는 컨트롤러 측면지지대(438)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삽입부(415)(435) 및 하우징 삽입부(417)(437)에는 도 2 및 도 6과 같이 모터(300) 및 클러치 하우징(310)이 삽입 고정됨으로써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컨트롤러 전면지지대(418) 및 한 쌍의 컨트롤러 후면지지대(419), 컨트롤러 상면지지대(420) 및 컨트롤러 하면지지대(421)의 사이 공간에는 PWM 컨트롤러(500)의 일측이 끼움 고정됨과 아울러 컨트롤러 측면지지대(438)는 PWM 컨트롤러(500)의 타 측면을 누름 고정함으로써 PWM 컨트롤러(500)은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릴레이 고정대(422)에는 릴레이(600)가 피스(601)로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제2 모터케이스(410)(430)는 상호 일체로 조립할 수 있도록 내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결합돌기(410a)(430a)가 상호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410a)(430a)는 맞대어진 상태에서 피스로 관통하여 일체로 조립될 수 있으며, 마주하는 측면에는 각각 끼움돌기(410b) 및 끼움홈(430b)이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제1, 제2 모터케이스(410)(430)는 더욱 견고하게 결합됨은 물론 내부로 이물질이나 미세먼지가 유입됨을 방지하고, 각각의 외면에는 다수의 통기공(410c)(430c)이 형성되어 모터(300)의 발열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터 전면지지판(411) 및 모터 후면지지판(412)의 사이에는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상하 한 쌍의 모터 회전방지대(423)가 연결되고, 상기 모터 회전방지대(423)에는 모터(300)의 리어 하우징(301) 외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볼트 체결돌기(302)가 각각 걸림 고정됨으로써 모터(300)의 회전을 방지하여 예취작업시 진동, 소음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하고, 모터케이스(400)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모터 외면지지판(413)의 사이에는 전후 간격을 두고 모터(300)의 외면을 감싸면서 파지하는 다수의 모터 파지판(424)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외면지지판(416)의 사이에는 중앙 및 후단에 각각 클러치 하우징(310)의 외면을 감싸면서 파지하는 하우징 파지판(425)이 연결 설치됨으로써 모터(300) 및 클러치 하우징(31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모터(300)의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모터케이스(400)의 내부로 연결된 전원케이블(700)은 도 11과 같이 선단에 연결잭(701)이 형성되고, 별도로 분리된 배터리(800)에는 소켓(801)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잭(701)을 어깨에 착용 가능한 배낭에 수납된 배터리(800)의 소켓(801)에 끼움 연결하여 모터(3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예초기의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배터리(800)는 용량이 다하면 충전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예초기의 무게 및 부피를 줄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1, 100: 작업봉 3, 400: 모터케이스
5, 200: 예취날 300: 모터
301: 리어 하우징 302: 볼트 체결돌기
410: 제1 모터케이스 410a, 430a: 결합돌기
410b: 끼움돌기 410c, 430c: 통기공
411, 431: 모터 전면지지판 412, 432: 모터 후면지지판
413, 433: 모터 외면지지판 414, 434: 모터 지지체
415, 435: 모터 삽입부 416, 436: 하우징 외면지지판
417, 437: 하우징 삽입부 418: 컨트롤러 전면지지대
419: 컨트롤러 후면지지대 420: 컨트롤러 상면지지대
421: 컨트롤러 하면지지대 422: 릴레이 고정대
423, 443: 모터 회전방지대 424, 444: 모터 파지판
425, 445: 하우징 파지판 430: 제2 모터케이스
430b: 끼움홈 438: 컨트롤러 측면지지대
500: PWM 컨트롤러 600: 릴레이
700: 전원케이블 701: 연결잭
800: 배터리 801: 소켓

Claims (6)

  1. 작업봉(10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예취날(200)과;
    상기 작업봉(100)의 상단에, 전면에 부착된 클러치 하우징(310)이 일체로 직결되는 모터(300)와;
    상기 모터(300)의 외측을 감싸게 설치되는 모터케이스(400)와;
    상기 모터케이스(400)의 내부에 설치되는 PWM 컨트롤러(500)와;
    상기 모터케이스(4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릴레이(60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모터케이스(400)는 좌우로 분리되고, 상호 마주하게 일체로 조립되는 한 쌍의 제1, 제2 모터케이스(410)(43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모터케이스(410)는 내부 전후에 각각 형성된 모터 전면지지판(411) 및 모터 후면지지판(412)의 상하에 각각 한 쌍의 모터 외면지지판(413)이 일체로 연결된 사각형의 모터 지지체(414)의 내부에 모터 삽입부(415)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 전면지지판(411)의 중앙 상하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하우징 외면지지판(416)의 사이에는 양측이 각각 상기 모터 삽입부(415)의 내부 및 외부와 연통하는 하우징 삽입부(417)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 후면지지판(412)의 후방 전후에는 각각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컨트롤러 전면지지대(418) 및 컨트롤러 후면지지대(419)가 형성됨과 아울러 컨트롤러 전면지지대(418) 및 컨트롤러 후면지지대(419)의 사이 상하에는 각각 컨트롤러 상면지지대(420) 및 컨트롤러 하면지지대(421)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컨트롤러 후면지지대(419)의 후단에 릴레이 고정대(42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모터케이스(430)는 내부 전후에 각각 형성된 모터 전면지지판(431) 및 모터 후면지지판(432)의 상하에 각각 한 쌍의 모터 외면지지판(433)이 일체로 연결된 사각형의 모터 지지체(434)의 내부에 모터 삽입부(435)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 전면지지판(431)의 중앙 상하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하우징 외면지지판(436)의 사이에는 양측이 각각 상기 모터 삽입부(435)의 내부 및 외부와 연통하는 하우징 삽입부(437)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 후면지지판(432)의 후방에는 컨트롤러 측면지지대(438)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삽입부(415)(435) 및 하우징 삽입부(417)(437)에는 모터(300) 및 클러치 하우징(310)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컨트롤러 전면지지대(418) 및 한 쌍의 컨트롤러 후면지지대(419), 컨트롤러 상면지지대(420) 및 컨트롤러 하면지지대(421)의 사이 공간에는 PWM 컨트롤러(500)의 일측이 끼움 고정됨과 아울러 컨트롤러 측면지지대(438)는 PWM 컨트롤러(500)의 타 측면을 누름 고정하며, 상기 릴레이 고정대(422)에는 릴레이(600)가 피스(601)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전면지지판(411) 및 모터 후면지지판(412)의 사이에는 상하 한 쌍의 모터 회전방지대(423)가 연결되고, 상기 모터 회전방지대(423)에는 모터(300)의 리어 하우징(301) 외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볼트 체결돌기(302)가 각각 걸림 고정되어 모터(300)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모터 외면지지판(413)의 사이에는 전후 간격을 두고 모터(300)의 외면을 감싸면서 파지하는 다수의 모터 파지판(424)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외면지지판(416)의 사이에는 중앙 및 후단에 각각 클러치 하우징(310)의 외면을 감싸면서 파지하는 하우징 파지판(425)이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케이스(400)의 내부로 연결된 전원케이블(700)은 선단에 연결잭(70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잭(701)을 어깨에 착용 가능한 배낭에 수납된 별도의 배터리(800)에 형성된 소켓(801)에 끼워 모터(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KR1020190137691A 2019-10-31 2019-10-31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KR102286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691A KR102286163B1 (ko) 2019-10-31 2019-10-31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691A KR102286163B1 (ko) 2019-10-31 2019-10-31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871A KR20210051871A (ko) 2021-05-10
KR102286163B1 true KR102286163B1 (ko) 2021-08-05

Family

ID=7591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691A KR102286163B1 (ko) 2019-10-31 2019-10-31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1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91A (ko)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아임삭 접이식 예초기
CN113826477B (zh) * 2021-08-09 2022-05-03 珠峰动力机械(宁德)有限公司 一种气流供给式智能割草动力机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8296A (ja) * 2005-04-12 2006-10-26 Nikkari Co Ltd 草刈機及び電動草刈機
JP2011188789A (ja) * 2010-03-15 2011-09-29 Yanmar Co Ltd 電動乗用草刈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6716Y2 (ja) * 1992-05-28 1998-12-09 石川島芝浦機械株式会社 電動草刈機の電源装置
KR20050042716A (ko) * 2003-11-04 2005-05-10 오세훈 예초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8296A (ja) * 2005-04-12 2006-10-26 Nikkari Co Ltd 草刈機及び電動草刈機
JP2011188789A (ja) * 2010-03-15 2011-09-29 Yanmar Co Ltd 電動乗用草刈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871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2484B2 (ja) 草刈り機
US6014812A (en) Battery powered vegetation trimmer
US4870811A (en) Gasoline powered electrical lawn mower
KR102286163B1 (ko)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US4823464A (en) Grass trimmer
KR20130092450A (ko) 잔디 깎기 기계
US20060191144A1 (en) A bush cutting machine
EP0887005B1 (en) Knapsack type working machine
JP2003061431A (ja) 電動芝刈機
MX2012014134A (es) Herramienta electrica.
JP4528068B2 (ja) 芝刈機
US4446680A (en) Battery powered lawn edger
US11317561B2 (en) Lawnmower propulsion system for use with DC power source
WO2020063609A1 (zh) 割草机
US2648187A (en) Rotary grass and weed trimmer
KR20110011888A (ko) 예초기
JP2003061438A (ja) 電動芝刈機
CN218163601U (zh) 一种修边机用工作头及修边机
CN205491777U (zh) 手持式割草机
CN209949877U (zh) 一种割刀装置及割草机
CN220776568U (zh) 一种具有防尘功能的手持割草机
CN218302271U (zh) 工作头结构及手持式园林工具
KR102502411B1 (ko) 작업기
EP4298887A1 (en) Mower
CN210746074U (zh) 一种城市园林用高效割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