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803B1 -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803B1
KR101262803B1 KR1020060026213A KR20060026213A KR101262803B1 KR 101262803 B1 KR101262803 B1 KR 101262803B1 KR 1020060026213 A KR1020060026213 A KR 1020060026213A KR 20060026213 A KR20060026213 A KR 20060026213A KR 101262803 B1 KR101262803 B1 KR 101262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old air
ventilation path
showc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685A (ko
Inventor
노부오 칸바야시
Original Assignee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6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3/0452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cooled storage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기 유통 덕트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잘못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쇼케이스를 제공한다. 즉, 냉기 유통 덕트에 의해 구획되는 통풍로는 전후방향의 치수가 상하 방향에 걸쳐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통풍로를 구획하는 부재가 별도로 신축 가능하게 연결된 냉기 유통 덕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덕트부 및 구획부가 일체로 고정된 냉기 유통 덕트에 의해 통풍로를 확실하게 구획할 수 있으므로, 냉기 유통 덕트의 구조가 간소화되는 동시에, 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잘못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쇼케이스{SHOWCA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쇼케이스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쇼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쇼케이스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냉기 유통 덕트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냉기 유통 덕트의 하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냉기 유통 덕트의 부착 동작을 나타내는 쇼케이스의 주요부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냉기 유통 덕트의 부착 동작을 나타내는 쇼케이스의 주요부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냉각할 상품과 가열할 상품을 동시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쇼케이스로서는 전면(前面)에 개구를 가지는 쇼케이스 본체와, 쇼케이스 본체 내에 설치된 상품 수납부와, 상품 수납부에 설치되며, 각각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품 선반과, 상품 수납부의 배면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 통풍로와, 통풍로로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송풍기와, 통풍로를 유통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와, 통풍로의 상하 방향 소정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구획함으로써 통풍로를 유통하는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냉기 유통 덕트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쇼케이스는 통풍로를 유통하는 공기를, 냉기 유통 덕트에 의해 통풍로의 상하 방향 소정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유통시켜 상품 수납부에 토출한다. 이것에 의해, 냉기 유통 덕트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품 선반에 진열된 상품은 냉각되며, 냉기 유통 덕트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품 선반에 진열된 상품은 상품 선반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가열된다.
종래의 쇼케이스는, 상품 수납부와 통풍로를 구획하는 칸막이판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통풍로의 전후 방향의 치수가 상하 방향에 걸쳐 다르다. 이 때문에, 냉기 유통 덕트를 상품 수납부에 부착할 때에는 냉기 유통 덕트의 후단측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된 구획부재를 통풍로의 전후 방향의 치수에 따라서 냉기 유통 덕트에 대하여 이동시켜 통풍로를 구획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냉기 유통 덕트는 구조 및 조작이 복잡하게 되어, 통풍로를 구획하지 않고 냉기 유통 덕트를 부착해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통풍로를 구획하지 않고 냉기 유통 덕트를 부착하여 운전을 행한 경우에는, 가열 운전 및 냉각 운전에 대하여 각각의 부하가 증가하여 소비 에너지가 증대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기 유통 덕트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부착 작업을 용이하 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잘못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쇼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면측, 배면측 및 저면측이 단열벽에 의해 형성되며, 전면(前面)에 개구부를 가지는 쇼케이스 본체와, 쇼케이스 본체 내에 형성된 상품 수납부와, 상품 수납부에 배치된 상하 복수 단(段)의 상품 선반과, 상품 수납부의 적어도 배면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통풍로와, 상품 수납부의 배면측에 앞이 처지게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품 수납부의 배면측과 통풍로 사이를 구획하는 배면판과, 통풍로 내에 배치된 냉각기 및 송풍기와, 통풍로의 상하 방향 소정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동시에, 냉기를 전방으로 유통 가능한 냉기 유통 덕트를 구비한 쇼케이스로서, 상기 배면판과 배면측 단열벽의 수직인 내면과의 사이에, 통풍로를 구획하는 냉기 유통 덕트의 후단이 맞닿는 덕트 인접판을 설치하고, 덕트 인접판을 배면판과 평행하게 앞이 처지게 경사지도록 설치함으로써, 냉기 유통 덕트에 의해 구획되는 통풍로를 전후 방향의 치수가 상하 방향에 걸쳐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통풍로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상하 방향에 걸쳐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통풍로의 상하 방향 어느 위치에 냉기 유통 덕트를 부착하는 경우에도, 냉기 유통 덕트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통풍로가 확실하게 상하 방향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통풍로를 구획하는 부재를 냉기 유통 덕트에 별도로 신축 가능하게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구획부재를 고정한 냉기 유통 덕트에 의해 통풍로를 확실하게 구획할 수 있으므로, 냉기 유통 덕트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잘못된 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그외의 목적, 및 특징과 이익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쇼케이스는, 전면(前面)에 개구부를 가지는 쇼케이스 본체(10)와, 쇼케이스 본체(10) 내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복수의 상품 선반(20)과, 쇼케이스 본체(10) 내의 저면(底面)측, 배면(背面)측 및 상면측을 따라 형성된 통풍로(30)와, 배면측에 위치하는 통풍로(30)의 상하 방향 소정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통풍로(3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냉기 유통 덕트(40)를 구비하고 있다.
쇼케이스 본체(10)는 상면측, 배면측 및 저면측이 단열벽(1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쇼케이스 본체(10)의 좌우 양측면측은, 상면측, 배면측 및 저면측이 단열벽(12)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단열벽(12)의 상면측과 저면측의 사이는 유리판(1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쇼케이스 본체(10)내에는 단열벽(11)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상면측, 배면측 및 저면측에 각각 상면판(14), 배면판(15) 및 바닥판(16)이 설치되며, 그 내부에 상품 수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각 상품 선반(20)은, 상품을 올려놓기 위한 선반 플레이트(21)와 선반 플레이트(21)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선반 받침(22)으로 이루어진다. 각 상품 선반(20)은 각 선반 받침(22)에 의해 상품 수납부(17)의 상하 방향 임의의 위치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선반 플레이트(21)는 각 선반 받침(22)의 전단(前端) 측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선반 플레이트(21)의 상면을 수평으로 하는 외에, 앞이 처지게(front part low) 경사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반 플레이트(21)에는 전기 히터(23)가 설치되고, 선반 플레이트(21)에 올려져 있는 상품은 전기 히터(23)에 전기를 통하여 가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반 플레이트(21)의 하면 측에는 냉기 유통 덕트(40)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폭 방향 한 쌍의 상부 레일부(24)가 선반 플레이트(21)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부 레일부(24)의 경사 각도는 선반 플레이트(21)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상품 수납부(17)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품 선반(20)은 다른 상품 선반(20)보다도 전방에 배치되며, 사용하지 않는 냉기 유통 덕트(40)가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통풍로(30)는 단열벽(11)의 내면과 상면판(14), 배면판(15) 및 바닥판(16)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통풍로(30)는 쇼케이스 본체(10)의 개구부의 하단에 공기 흡입구(31)를 가지고, 쇼케이스 본체(10)의 개구부 상단에 공기 토출구(32)를 가지고 있다. 상품 수납부(17)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통풍로(30)에는 단열벽(11) 측에 덕트 인접판(當接板, abutting plate)(33)이 배면판(15)과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통풍로(30)의 전후 방향의 치수(L)는 덕트 인접판(33)에 의해 상하 방향에 걸쳐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고,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품 선반(20) 이외의 상품 선반(20)에 부착되는 냉기 유통 덕트(40)의 후단측이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면판(15)에는 냉기 유통 덕트(40)의 후단측을 삽입 가능한 복수의 덕트 삽입 구멍(34)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덕트 삽입구멍(34)은 개폐판(35)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개폐판(35)의 상단측에는 각 덕트 삽입구멍(34)의 상방에 위치하는 배면판(15)의 통풍로(30) 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35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폐판(35)의 하단측에는 각 덕트 삽입 구멍(34)의 하방에 위치하는 배면판(15)의 통풍로(30) 측에 흡착 가능한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흡착부(35b)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개폐판(35)의 상하 방향 중앙부에는 상품 수납부(17)를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토출구(35c)가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품 수납부(17)의 저면측에 위치하는 통풍로(30)에는 통풍로(30)로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송풍기(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품 수납부(17)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통풍로(30)의 하부에는 통풍로(30)를 유통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3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각기(37)의 전면측에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품 선반(20)에 부착되는 냉기 유통 덕트(40)의 후단측이 맞닿는 덕트 인접판(38)이 설치되어 있다.
냉기 유통 덕트(40)는 공기를 전방으로 유통시키는 덕트부(41)와, 통풍로(30)를 상하 방향으로 구획함으로써 상방의 통풍로(30)로의 공기의 유통을 규제하는 구획부(42)를 가지며, 덕트부(41)와 구획부(4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덕트부(41)는 공기의 유통로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전단측으로부터 냉기를 하방을 향하여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덕트부(41)의 하면에는 전면(全面)에 걸쳐 복수의 공기 토출구멍(41a)이 설치되며, 각 공기 토출 구멍(41a)으로부터 냉기를 하방을 향하여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구획부(42)는 하면 및 전면(前面)이 개방되어, 통풍로(30)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유통하는 공기를 덕트부(41)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 구획부(42)의 후단에는 폭 방향에 걸쳐 기밀부재(42a)가 설치되며, 구획부(42)의 후단을 덕트 인접판(33)에 맞닿게 함으로써, 기밀부재(42a)에 의해 상방의 통풍로(30)로의 공기의 누설이 규제되게 되어 있다. 또한, 덕트부(41)의 폭 방향 양단측의 상면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형상의 하부 레일부(43)가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하부 레일부(43)를 각 상품 선반(20)의 상부 레일부(24)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냉기 유통 덕트(40)가 각 상품 선반(20)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쇼케이스에서, 상품 수납부(17)에 수납된 상품 모두를 냉각하는 경우, 송풍기(36)에 의해 개구부의 하단의 공기 흡입구(31)로부터 통풍로(30) 내로 흡입한 공기는 냉각기(37)에 의해 냉각되며, 개구부의 상단의 공기 토출구(32)와 각 개폐판(35)에 설치된 공기 토출구(35c)로부터 토출된다. 이에 따라서, 상품 수납부(17)는 전체가 냉각된다.
또한, 상품 수납부(17)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품 선반(20)에 올려 놓여 있는 상품을 가열하는 동시에, 하부측에 위치하는 상품 선반(20)에 올려져 있는 상품을 냉각하는 경우에는, 냉기 유통 덕트(40)의 하부 레일부(43)를 가열할 상품이 올려져 있는 상품 선반(20)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품 선반(20)의 상부 레일부(24)에 전면측으로부터 걸림 결합시켜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냉기 유통 덕트(40)의 후단은 개폐판(35)에 맞닿아 덕트 삽입 구멍(34)을 개방하고, 덕트 인접판(33)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구획부(42)에 의해 통풍로(30)가 상하 방향으로 구획되므로, 통풍로(30)를 유통하는 공기는 덕트부(41)로 유입하여, 덕트부(41)의 전단측 및 하면에 설치된 공기 토출구멍(41a)으로부터 토출된다. 또한, 통풍로(30)를 유통하는 공기는 냉기 유통 덕트(40)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공기 토출구(35c)로부터도 냉기가 토출된다. 이에 따라서, 냉기 유통 덕트(40) 하방의 상품 수납부(17)는 통풍로(30)를 유통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또한, 냉기 유통 덕트(40) 상방의 상품 수납부(17)에서는 전기 히터(23)에 전기를 통하여 각 상품 선반(20)에 올려놓은 상품을 가열한다.
이때, 통풍로(30)를 유통하는 공기는 덕트부(41)의 하면에 설치된 공기 토출구멍(41a)과 개폐판(35)에 설치된 공기 토출구(35c)로부터 상품 수납부(17)로 토출된다. 이 때문에, 덕트부(41)의 내부와 덕트부(41)의 하방의 상품 수납부(17) 사이의 온도차는 작아, 덕트부(41)의 하면에 결로(結露)가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덕트부(41)의 전단측은 전기 히터(23)에 의해 가열되는 선반 플레이트(21)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전기 히터(23)의 열에 의해 덕트부(41)의 전단측이 가열되어, 결로가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상품 선반(20)으로부터 냉기 유통 덕트(40)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냉기 유통 덕트(40)를 전방으로 꺼내어 분리한다. 이때, 개폐판(35)은 자중(自重) 및 흡착부(35b)의 흡착력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하고, 덕트 삽입 구멍(34)을 폐쇄한다.
또, 상품 수납부(17)의 상품을 모두 냉각 또는 가열하는 경우 등, 냉기 유통 덕트(4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품 수납부(17)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품 선반(20)에 냉기 유통 덕트(40)를 부착한다. 이때, 냉기 유통 덕트(40)의 구획부(42)는 통풍로(30)를 구획하지 않고 후단측이 냉각기(37)의 전면 측에 설치된 덕트 인접판(38)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냉기 유통 덕트(40)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품 수납부(17)에 수납된다. 또, 냉각기(37)의 전면(前面) 측에 설치된 덕트 인접판(38)은 냉각기(37)의 상방 덕트 인접판(33)보다도 전면 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상품 수납부(17)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품 선반(20)이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냉기 유통 덕트(40)가 상품 선반(20)의 전방으로 돌출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쇼케이스에 의하면, 냉기 유통 덕트(40)에 의해 구획되는 통풍로(30)는 전후 방향의 치수(L)가 상하 방향에 걸쳐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통풍로(30)를 구획하는 부재를 냉기 유통 덕트에 별도로 신축(伸縮) 가능하게 연결할 필요는 없으며, 구획부(42)가 덕트부(41)와 일체로 고정된 냉기 유통 덕트(40)에 의해 통풍로(30)를 확실하게 구획할 수 있으므로, 냉기 유통 덕트(40)의 구조가 간소화되는 동시에, 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잘못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기 유통 덕트(40)는 각 상품 선반(20)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냉각하는 상품 선반(20)의 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상품 수납부(17)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냉기 유통 덕트(40)는 선반 플레이트(21)와 평행하게 상품 선반(20)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선반 플레이트(21)를 경사지게 한 경우에 선반 플레이트(21) 위의 상하 방향의 스페이스가 작아지는 일은 없으므로, 높이 치수가 큰 상품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냉기 유통 덕트(40)는 덕트부(41)의 하면에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토출구(41a)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덕트부(41)의 내부와 덕트부(41)의 하방의 상품 수납부(17) 사이에서의 온도차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방로(防露) 히터를 사용하지 않고 덕트부(41)의 하면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배면판(15)에 설치되며, 냉기 유통 덕트(40)의 구획부(42)를 삽입 가능한 덕트 삽입 구멍(34)과, 상단이 배면판(1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35a)와 하단을 배면판(15)에 흡착할 수 있는 흡착부(35b)를 가지며, 덕트 삽입 구멍(34)을 개폐 가능한 개폐판(35)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냉기 유통 덕트(4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개폐판(35)이 후방으로 회동하여 덕트 삽입 구멍(34)이 개방되는 동시에, 냉기 유통 덕트(4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개폐판(35)의 자중 및 흡착부(35b)에 의해 덕트 삽입구멍(34)을 폐쇄할 수 있으므로, 냉기 유통 덕트(40)의 탈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폐판(35)은 냉기를 전면(前面) 측으로 토출하는 복수의 공기 토출구(35c)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덕트부(41)의 내부와 덕트부(41)의 하방의 상품 수납부(17)와의 사이에서 온도차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방로 히터를 사용하지 않고 덕트부(41)의 하면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냉기 유통 덕트(40)는 상품 수납부(17)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품 선반(20)에 통풍로(30)를 구획하지 않고 수납된다. 이에 따라, 상품 수납부(17)의 상품을 모두 냉각 또는 가열할 때 등, 냉기 유통 덕트(4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품 수납부(17)에 냉기 유통 덕트(40)를 수납할 수 있으므로, 냉기 유통 덕트(40)를 보관할 장소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클레임에 의해 나타내며, 이들 클레임의 의미 내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기 유통 덕트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잘못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쇼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Claims (7)

  1. 상면측, 배면측 및 저면측이 단열벽에 의해 형성되며, 전면(前面)에 개구부를 가지는 쇼케이스 본체와, 쇼케이스 본체 내에 형성된 상품 수납부와, 상품 수납부에 배치된 상하 복수 단(段)의 상품 선반과, 상품 수납부의 적어도 배면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통풍로와, 상품 수납부의 배면측에 앞이 처지게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품 수납부의 배면측과 통풍로 사이를 구획하는 배면판과, 통풍로 내에 배치된 냉각기 및 송풍기와, 통풍로의 상하 방향 소정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동시에, 냉기를 전방으로 유통 가능한 냉기 유통 덕트를 구비한 쇼케이스로서,
    상기 배면판과 배면측 단열벽의 수직인 내면과의 사이에, 통풍로를 구획하는 냉기 유통 덕트의 후단이 맞닿는 덕트 인접판을 설치하고,
    덕트 인접판을 배면판과 평행하게 앞이 처지게 경사지도록 설치함으로써, 냉기 유통 덕트에 의해 구획되는 통풍로를 전후 방향의 치수가 상하 방향에 걸쳐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유통 덕트는 각 상품 선반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유통 덕트는 상품 선반의 선반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각 상품 선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유통 덕트는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토출구를 하면에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부와 통풍로를 구획하는 배면판에 설치되며, 냉기 유통 덕트의 후단측을 통풍로에 삽입하기 위한 덕트 삽입 구멍과,
    덕트 삽입 구멍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상단이 덕트 삽입 구멍의 상방에 위치하는 배면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덕트 삽입 구멍의 하방에 위치하는 배면판에 흡착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냉기를 전방으로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토출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유통 덕트는 상품 수납부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품 선반에, 통풍로를 구획하지 않고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KR1020060026213A 2005-03-30 2006-03-22 쇼케이스 KR101262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98343 2005-03-30
JP2005098343A JP4652100B2 (ja) 2005-03-30 2005-03-30 ショーケ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685A KR20060106685A (ko) 2006-10-12
KR101262803B1 true KR101262803B1 (ko) 2013-05-09

Family

ID=3702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213A KR101262803B1 (ko) 2005-03-30 2006-03-22 쇼케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652100B2 (ko)
KR (1) KR101262803B1 (ko)
CN (1) CN100577062C (ko)
HK (1) HK1096005A1 (ko)
TW (1) TW2006433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2759B2 (ja) * 2007-04-18 2012-09-12 三洋電機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JP5609390B2 (ja) * 2010-07-30 2014-10-22 三洋電機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JP2013208241A (ja) * 2012-03-30 2013-10-10 Panasonic Corp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5993657B2 (ja) * 2012-08-16 2016-09-14 福島工業株式会社 2温度式のショーケース
CN104006622A (zh) * 2014-06-16 2014-08-27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搁架、冰箱
JP6864597B2 (ja) * 2017-10-12 2021-04-28 フクシマガリレイ株式会社 2温度式のショーケース
KR102463792B1 (ko) * 2018-04-18 202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20137595A (ja) * 2019-02-27 2020-09-03 中野冷機株式会社 冷温蔵用ショーケース
CN110037494A (zh) * 2019-05-18 2019-07-23 上海海立中野冷机有限公司 一种冷热柜用的推进式主风道间隔用货架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6433A (ja) * 2003-03-04 2004-10-1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ショーケース
JP2004286249A (ja) * 2003-03-19 2004-10-14 Sanden Corp ショー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6669U (ko) * 1989-03-03 1990-09-18
KR100203984B1 (ko) * 1995-06-16 1999-06-15 전주범 냉장고의 냉기분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6433A (ja) * 2003-03-04 2004-10-1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ショーケース
JP2004286249A (ja) * 2003-03-19 2004-10-14 Sanden Corp ショー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43354A (en) 2006-12-16
KR20060106685A (ko) 2006-10-12
JP4652100B2 (ja) 2011-03-16
HK1096005A1 (en) 2007-05-25
CN1839735A (zh) 2006-10-04
JP2006271823A (ja) 2006-10-12
CN100577062C (zh)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803B1 (ko) 쇼케이스
JP3974868B2 (ja) ショーケース
KR101670086B1 (ko) 냉장고
JP2007085611A (ja) ショーケース
WO2003056260A1 (fr) Dispositif de rangement
KR20070015029A (ko) 자동판매기
KR20060096307A (ko) 쇼케이스
JP2004267612A (ja) ショーケース
JP5993657B2 (ja) 2温度式のショーケース
JP2011163574A (ja) ショーケース
JP2007163020A (ja) ショーケース
JP5175512B2 (ja) ショーケース
JP2005156034A (ja) ショーケース
JP4348157B2 (ja) ショーケース
KR100820812B1 (ko) 냉장고
KR20190121437A (ko) 냉장고
JP4637079B2 (ja) ショーケース
JP6308662B2 (ja) 2温度式のショーケース
JP4895702B2 (ja) ショーケース
JPH08320175A (ja) ショーケース
KR101694663B1 (ko) 냉장고
JP4025225B2 (ja) ショーケース
JP4141041B2 (ja) 冷蔵庫
JP2007051852A (ja) 恒温庫
JP2001221562A (ja) 冷蔵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