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303B1 - 혼합 생채 가공품 - Google Patents

혼합 생채 가공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303B1
KR101261303B1 KR1020100114815A KR20100114815A KR101261303B1 KR 101261303 B1 KR101261303 B1 KR 101261303B1 KR 1020100114815 A KR1020100114815 A KR 1020100114815A KR 20100114815 A KR20100114815 A KR 20100114815A KR 101261303 B1 KR101261303 B1 KR 101261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xed
mixed raw
bell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611A (ko
Inventor
백옥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미
Priority to KR1020100114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3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6Taste affecting agent

Abstract

본 발명은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에 더덕(Codonopsis lanceolata) 또는 미삼(Fine Rootginseng)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한 혼합 생채; 및 상기 혼합 생채에 혼합되어지는 고추 소스를 포함하는 혼합 생채 가공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혼합 생채 가공품{Product of mixing salad}
본 발명은 혼합 생채 가공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라지에 더덕 또는 미상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한 혼합 생채 가공품에 관한 것이다.
생채(生菜)는 익히지 않고 날로 무친 나물로, 채소를 얇게 저미거나 채썰어 소금으로 간을 하고 양념을 넣어 무친 것으로 숙채(熟菜)와는 달리 식초를 넣어 새콤한 맛이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채에는 초고추장이나 고춧가루를 넣어 만드는 것으로는 무생채 ·도라지 생채 ·오이생채 등이 있고, 겨자즙이나 잣즙을 만들어 무치는 것으로 겨자채가 있고, 초간장양념으로 만든 달래무침 등이 있다.
한편, 도라지 생채는 생도라지를 손질한 후에 식초, 설탕, 고춧가루 등의 양념을 넣어 새콤달콤하고 매운 맛을 낸 생채로, 종래에는 도라지만 넣어 만들거나 오이를 어슷하게 썰어서 한데 섞어서 만드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라지 생채는 숙주나물처럼 잘 쉬지도 않고 쌉쌀한 맛이 미각을 자극하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나물이 많은 우리나라에서도 선호도가 비교적 높은 편이다.
그런데 이러한 도라지 생채는 재료의 손질 및 조리에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학교 급식이나 외식업체에서는 그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며, 특히, 학교 급식의 경우 그 활용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초·중·고등 학생들은 인스턴트 식품이나 서양식 음식에 지나치게 많이 노출되어 있어 비만 등의 성인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 있고 있다. 이에 초·중·고등학생들의 식생활을 한식 위주로 개선시키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며 이에 부응하여 도라지 생채 등을 위한 재료를 학교 급식에서 손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공급해주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학교 급식 등에서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 도라지 등의 혼합 생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재료의 가공방법에 대하여 예의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도라지를 포함한 혼합 생채와 고추소스가 하나의 가공품으로 일체적으로 포장되어 그 취급 및 이용이 매우 용이한 혼합 생채 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외식업체, 단체급식업체 등에서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야외활동시에도 그 효율성이 매우 높은 혼합 생채 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체급식업체 등에서 음식 쓰레기의 발생 및 처리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혼합 생채 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포장 단위로 포장되어 식품소비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혼합 생채 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 생채가 미리 손질되어 포장되어 있어 재료의 준비시간 및 조리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는 혼합 생채 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료의 손질 및 조리에 필요한 인력도 현저하게 감소시켜 인건비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혼합 생채 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라지, 더덕, 미삼 등의 국내 농산물에 대하여 전처리를 하여 그 부가가치를 높여 농가의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혼합 생채 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라지에 더덕 또는 미삼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 생채의 배합비가 최적으로 이루어져 그 맛과 식감 등이 탁월한 혼합 생채 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라지에 더덕 또는 미삼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 생채에 버무려지는 고추 소스의 조성비가 최적으로 이루어져 혼합 생채와 탁월하게 조화를 이루어 그 맛과 향미, 생채 나물의 외관이 탁월하게 개선된 혼합 생채 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은 도라지에 더덕 또는 미삼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한 혼합 생채; 및 상기 혼합 생채에 혼합되어지는 고추 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 생채는 도라지에 더덕을 혼합한 것이고, 상기 도라지 및 더덕의 중량비는 100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 생채는 도라지에 더덕 및 미삼을 혼합한 것이고, 상기 도라지, 더덕 및 미삼의 중량비는 100 : 30 : 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추소스는 고추장 150중량부, 고춧가루 50중량부, 식초 100중량부, 설탕 100중량부, 간장 50중량부, 다진 파 80중량부, 다진 마늘 60중량부 및 깨소금 2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추소스는 고추장 150중량부, 고춧가루 50중량부, 식초 100중량부, 설탕 50중량부, 물엿 60중량부, 간장 50중량부, 다진 파 80중량부, 다진 마늘 60중량부 및 깨소금 2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추소스는 고추장 150중량부, 고춧가루 50중량부, 식초 100중량부, 설탕 50중량부, 올리고당 60중량부, 간장 50중량부, 다진 파 80중량부, 다진 마늘 60중량부 및 깨소금 2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은 혼합 생채 및 이에 혼합되어지는 고추소스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는 혼합 생채와 고추소스가 각각 비닐 팩 등으로 포장되고 다시 이들 포장된 혼합 생채와 고추소스가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적으로 포장되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1, 2과 같이 포장된 혼합 생채와 고추소스가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적으로 포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은 혼합 생채와 고추소스가 하나의 가공품으로 일체적으로 포장되어 유통 및 판매가 이루어지므로 그 취급 및 이용이 매우 용이하여, 일반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외식업체, 단체급식업체 등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야외활동시에도 그 효율성이 매우 높다. 게다가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은 소포장 단위로 포장될 수 있어 식품소비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은 혼합 생채가 미리 손질되어 포장되어 있으므로 재료의 준비시간 및 조리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고, 재료의 손질 및 조리에 필요한 인력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생채는 도라지를 기본 재료로 하고 여기에 더덕 또는 미삼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도라지는 가지도라지, 제니, 고경, 고길경이라고도 하며, 학명은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Nakai 이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산과 들에서 자란다. 뿌리는 굵고 줄기는 곧게 자라며 자르면 흰색 즙액이 나온다. 봄·가을에 뿌리를 채취하여 날것으로 먹거나 나물로 먹으며, 도라지의 주용 성분은 사포닌이다.
또한, 본 발명의 더덕은 양유근(洋乳根), 산해라(山海螺), 사삼이라고도 하며, 학명은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이다. 한국의 여러 곳에 자생하며, 근래에는 재배하기도 한다. 초롱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만초(蔓草 : 덩굴풀)로, 괴근(塊根: 덩이뿌리)은 비대(肥人)하고 방추형(紡錘形)이며 덩쿨진 줄기는 감겨서 뻗어 올라가고, 길이는 2m이상에 이른다. 생뿌리의 특수성분으로는 사포닌 및 스테톨 성분 등도 포함되어 약리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삼(尾蔘, Fine Rootginseng)은 인삼 (Panax ginseng)의 가는 뿌리로, 가늘고 긴 원주형으로 많은 수염뿌리가 달려 있으며 길이는 5~15cm이며, 뿌리의 지름은 1~5cm이며 가는 뿌리의 지름은 1~5mm이다. 바깥면은 홍갈색~엷은 갈색이며, 세로주름이 있고 위쪽은 주근으로부터 떼어낸 자국이 있으며 그면은 편평하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약간 달다가 나중에는 쓰다.
본 발명의 혼합 생채는 도라지, 더덕 또는 미삼이 미리 세척되어 손질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 도라지와 더덕은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한 후 두께는 3-5mm, 길이는 6-8mm로 손질한 후, 손질한 도라지와 더덕에 각각 무게의 10% 소금을 흩뿌려 다시 한번 비벼서 세척하는 과정을 거치고 소금기가 제거될 때까지 헹궈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무게의 10% 소금을 흩뿌려서 비벼서 세척하면 도라지와 더덕의 쓴맛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미삼은 세척하여 3mm 미만 두께로 손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채는 도라지에 더덕을 혼합한 경우에는 그 도라지 및 더덕의 중량비가 100 :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라지에 더덕과 미삼을 혼합한 경우에는 그 도라지, 더덕 및 미삼의 중량비가 100 : 30 : 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혼합 생채는 도라지, 더덕, 미삼의 혼합 비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혼합 색채는 그 재료가 적절하게 조화되어 전제적인 색, 맛 및 질감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소스도 효과적으로 베어 들어 생채의 향미를 충분히 느낄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탁월하게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추 소스는 상기 혼합 생채에 뿌려서 비벼먹을 수 있는 것으로 고추장을 기본 재료로 하여 각종 양념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고추소스는 고추장 150중량부, 고춧가루 50중량부, 식초 100중량부, 설탕 100중량부, 간장 50중량부, 다진 파 80중량부, 다진 마늘 60중량부 및 깨소금 2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성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혼합 생채에 버무려질 경우 식욕을 증대시키는 외관을 가지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혼합 생채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 감칠맛이 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추소스는 고추장 150중량부, 고춧가루 50중량부, 식초 100중량부, 설탕 50중량부, 물엿 60중량부, 간장 50중량부, 다진 파 80중량부, 다진 마늘 60중량부 및 깨소금 2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추소스는 물엿을 포함하여 설탕의 함유량이 감소됨에 따라 상기 혼합 생채에 버무렸을 때 상기 혼합 생채에 물이 생기거나 물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추소스는 고추장 150중량부, 고춧가루 50중량부, 식초 100중량부, 설탕 50중량부, 올리고당 60중량부, 간장 50중량부, 다진 파 80중량부, 다진 마늘 60중량부 및 깨소금 2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올리고당은 설탕에 비하여 칼로리가 2분의 1 ~ 3분의 1 정도로 낮고 식이섬유가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추소스는 이와 같이 올리고당을 함유함에 따라 체중감량용 식품으로 적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추 소스는 올리고당을 함유함에 따라 칼슘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으며 장 건강에 효과적인 비피더스균의 증식도 탁월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은 도라지를 포함한 혼합 생채와 고추소스가 하나의 가공품으로 일체적으로 포장되어 그 취급 및 이용이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은 일반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외식업체, 단체급식업체 등에서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야외활동시에도 그 효율성이 매우 높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은 단체급식업체 등에서 음식 쓰레기의 발생 및 처리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은 소포장 단위로 포장되어 식품소비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은 혼합 생채가 미리 손질되어 포장되어 있어 재료의 준비시간 및 조리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은 재료의 손질 및 조리에 필요한 인력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인건비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은 도라지, 더덕, 미삼 등의 국내 농산물에 대하여 전처리를 하여 그 부가가치를 높여 농가의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은 도라지에 더덕 또는 미삼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 생채의 배합비가 최적으로 이루어져 그 맛과 식감 등이 매우 탁월하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채 가공품은 도라지에 더덕 또는 미삼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 생채에 버무려지는 고추 소스의 조성비가 최적으로 이루어져 혼합 생채와 탁월하게 조화를 이루어 그 맛과 향미, 생채 나물의 외관이 탁월하게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2에 의하여 제조되어 포장된 혼합 생채의 모습에 대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예 5에 의하여 제조되어 포장된 고추 소스의 모습에 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제조예 1 : 도라지 및 더덕의 혼합 생채 제조
도라지와 더덕은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한 후 두께는 3-5mm, 길이는 6-8mm로 손질하였다. 손질한 도라지와 더덕은 각각 무게의 10% 소금을 흩뿌려 다시 한번 비벼서 세척한 후, 소금기가 제거될 때까지 헹궈주었다. 손질이 끝난 도라지 100g에 더덕 30g을 혼합하였다.
비교 제조예 1 : 도라지 및 더덕의 혼합 생채 제조
도라지 100g에 더덕 10g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혼합 생채를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2 : 도라지 및 더덕의 혼합 생채 제조
도라지 100g에 더덕 20g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혼합 생채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도라지, 더덕 및 미삼의 혼합 생채 제조
도라지와 더덕은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한 후 두께는 3-5mm, 길이는 6-8mm로 손질하였다. 손질한 도라지와 더덕은 각각 무게의 10% 소금을 흩뿌려 다시 한번 비벼서 세척한 후, 소금기가 제거될 때까지 헹궈주었다. 손질이 끝난 도라지 100g에 더덕 30g을 혼합하였다. 미삼은 세척하여 3mm 미만 두께로 손질하였다. 손질이 끝난 도라지 100g에 더덕 30g, 미삼 3g을 혼합하였다.
비교 제조예 3 : 도라지, 더덕 및 미삼의 혼합 생채 제조
미삼 5g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혼합 생채를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4 : 도라지, 더덕 및 미삼의 혼합 생채 제조
미삼 7g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혼합 생채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내지 5, 비교 제조예 5 내지 10 : 고추 소스의 제조
하기 표의 조성비대로 고추장, 고춧가루, 식초, 설탕, 물엿, 올리고당, 간장, 다진 파, 다진 마늘, 깨소금을 혼합하여 고추소스를 제조하였다.
고추장 고춧가루 식초 설탕 물엿 올리고당 간장 다진 파 다진 마늘 깨소금
제조예 3 150 50 100 100 - - 50 80 80 25
비교
제조예 5
100 50 100 100 - - 50 80 60 25
비교
제조예 6
130 50 100 100 - - 50 80 60 25
비교
제조예 7
180 50 100 100 - - 50 80 60 25
제조예 4 150 50 100 50 60 - 50 80 60 25
비교
제조예 8
150 50 100 100 - - 50 80 60 25
비교
제조예 9
150 50 100 - 100 - 50 80 60 25
비교
제조예 10
150 50 100 50 50 - 50 80 60 25
제조예 5 150 50 100 50 - 60 50 80 60 25
(단위: g)
실시예 1 : 고추 소스의 관능 평가
본 실시예는 고추장 비율을 달리한 고추소스의 관능적 평가로 상기 제조예 1의 혼합 생채에 상기 제조예 3, 비교 제조예 5 내지 7의 고추 소스를 버무린 후 생채 나물의 외관, 맛의 어울림 등을 비교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일반인 100명을 대상으로 생채 나물의 외관, 단맛, 감칠맛, 맛의 어울림에 대하여 매우 좋지 않은 것을 1점, 매우 좋은 것을 7점으로 하여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생채나물의 외관 단맛 감칠맛 맛의 어울림
제조예 3 6.8 6.7 6.9 6.8
비교 제조예 5 4.3 4.2 4.3 4.2
비교 제조예 6 5.1 5.2 5.1 5.4
비교 제조예 7 5.4 5.4 5.3 5.2
상기 표 2에 의하면, 고추장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칠맛과 단맛이 깊어졌으나 고추장 양이 고춧가루의 3배를 넘게 되면 고추장 특유의 향과 짠맛이 지나치게 세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추장 비율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고춧가루 양이 증가하여 나물과 버무려졌을 때 외관과 맛의 어울림이 떨어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예 3의 고추소스가 생채 나물이 버무려졌을 때의 외관, 맛의 어울림 등이 가장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 고추 소스의 관능 평가
본 실시예에서는 물엿이 첨가된 고추 소스에 대한 관능 평가로 상기 제조예 1의 혼합 생채에 상기 제조예 4, 비교 제조예 8 내지 10의 고추 소스를 버무린 후 생채 나물의 외관, 맛의 어울림 등을 비교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일반인 100명을 대상으로 생채 나물의 외관, 단맛, 감칠맛, 맛의 어울림에 대하여 매우 좋지 않은 것을 1점, 매우 좋은 것을 7점으로 하여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생채나물의 외관 단맛 감칠맛 맛의 어울림
제조예 4 6.8 6.7 6.7 6.8
비교 제조예 8 4.3 6.8 6.8 6.9
비교 제조예 9 6.5 5.5 5.4 5.6
비교 제조예 10 6.3 6.1 6.2 6.1
상기 표 3에 의하면, 단맛과 감칠맛은 설탕만을 첨가한 경우가 더욱 좋았으나, 혼합 생채와 버무려졌을 때의 외관은 설탕에 물엿을 혼합한 경우가 더욱 좋았다. 또한, 또한 물엿을 첨가했을 때는 설탕 양과 동일하게 넣은 경우보다 물엿의 양을 증가시킨 경우가 외관, 맛,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탁월하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예 4의 고추 소스는 생채 나물의 외관, 맛,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의 제조예 4의 고추 소스는 물엿이 첨가됨에 따라 혼합 생채에 버무려졌을 때 물이 생기지 않고, 혼합 생채가 물러지지 않아 씹힘성 등의 조직감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 고추 소스의 관능검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조예 5의 고추 소스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 4의 고추 소스와 생채 나물의 외관, 맛의 어울림 등을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였다.
생채나물의 외관 단맛 감칠맛 맛의 어울림
제조예 4 6.8 6.7 6.7 6.8
제조예 5 6.9 6.8 6.8 6.9
상기 표 4에 의하면, 물엿을 올리고당으로 대체하여도 생채 나물의 외관, 단맛, 감칠맛, 맛의 어울림은 탁월하게 좋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고추 소스에 올리고당을 첨가하여 칼로리를 낮추고, 갈슘 흡수 및 비피더스 균 등의 증식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 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 혼합 생채의 관능검사
본 실시예는 혼합 생채의 혼합비에 대한 관능 평가로 상기 제조예 1의 혼합 생채, 상기 비교 제조예 1, 2의 혼합 생채에 상기 제조예 5의 고추 소스를 버무린 후 생채 나물의 외관, 맛의 어울림 등을 비교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일반인 100명을 대상으로 생채 나물의 색, 맛, 질감, 재료의 어울림, 소스의 어울림,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매우 좋지 않은 것을 1점, 매우 좋은 것을 7점으로 하여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실험은 모두 3반복으로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하고 ANOVA에 의하여 분산 분석을 하였으며 평균 간의 유의성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질감 재료의
어울림
소스의
어울림
전체적인
기호도
비교 제조예 1 5.33±0.35a 5.33±1.15b 5.33±0.58a 5.00±1.00b 5.00±0.53b 5.00±1.00b
비교 제조예 2 5.33±0.58a 5.67±0.58b 5.67±0.58a 5.67±0.58b 5.67±0.58b 5.67±0.58b
제조예 1 5.67±0.58a 7.00±0.00a 5.67±0.58a 6.67±0.58a 6.67±0.58a 7.00±0.00a
상기 표 5에 의하면,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quality)에서 도라지 100g과 더덕 30g을 혼합한 본 발명의 제조예 1의 혼합 생채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p<0.05). 또한, 재료의 어울림과 소스의 어울림 항목에서는 더덕이 증가할수록 재료 간의 조합이 잘 이루어졌으며 특히 소스의 어울림의 경우 더덕 비율의 증가에 따라 소스가 더욱 잘 베어 들어 생채의 향미가 효과적으로 가미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색(color)과 질감(texture) 평가 항목에서는 시료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도라지와 더덕의 외관상 색의 차이와 조직 감의 차이가 적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5 : 혼합 생채의 관능검사
본 실시예는 혼합 생채의 혼합비에 대한 관능 평가로 상기 제조예 2의 혼합 생채, 상기 비교 제조예 3, 4의 혼합 생채에 상기 제조예 5의 고추 소스를 버무린 후 생채 나물의 외관, 맛의 어울림 등을 비교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일반인 100명을 대상으로 생채 나물의 색, 맛, 질감, 재료의 어울림, 소스의 어울림,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매우 좋지 않은 것을 1점, 매우 좋은 것을 7점으로 하여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실험은 모두 3반복으로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하고 ANOVA에 의하여 분산 분석을 하였으며 평균 간의 유의성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질감 재료의
어울림
소스의
어울림
전체적인
기호도
제조예 2 5.67±0.58a 7.00±0.00a 5.67±0.58a 6.67±0.58a 6.67±0.58a 6.00±1.00a
비교 제조예 3 5.33±0.58a 5.67±0.58b 5.67±0.58a 5.67±0.58b 5.67±0.58b 5.67±0.58b
비교 제조예 4 5.33±0.35a 4.67±0.58c 4.33±0.53c 5.00±1.00ab 5.00±0.53b 4.00±1.00c
상기 표 6에 의하면,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도라지 100g, 더덕 30g 미삼 3g을 혼합한 본 제조예 2의 혼합 생채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또한, 향미와 관련된 대부분의 관능검사 항목에서 미삼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미삼의 양이 증가할수록 인삼 특유의 향과 쓴맛이 전반적인 생채류의 어울림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이라 판단되었다.

Claims (6)

  1. 삭제
  2.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및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이 100 : 30 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생채; 및
    상기 혼합 생채에 혼합되어지며, 고추장 150중량부, 고춧가루 50중량부, 식초 100중량부, 설탕 50중량부, 올리고당 60중량부, 간장 50중량부, 다진 파 80중량부, 다진 마늘 60중량부 및 깨소금 25중량부를 포함하는 고추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생채와 상기 고추 소스가 각각 개별적으로 포장이 된 후,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적으로 포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채 가공품.
  3.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더덕(Codonopsis lanceolata) 및 미삼(Fine Rootginseng)이 100 : 30 : 3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생채; 및
    상기 혼합 생채에 혼합되어지며, 고추장 150중량부, 고춧가루 50중량부, 식초 100중량부, 설탕 50중량부, 올리고당 60중량부, 간장 50중량부, 다진 파 80중량부, 다진 마늘 60중량부 및 깨소금 25중량부를 포함하는 고추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생채와 상기 고추 소스는 각각 개별적으로 포장이 된 후,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적으로 포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채 가공품.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114815A 2010-11-18 2010-11-18 혼합 생채 가공품 KR101261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815A KR101261303B1 (ko) 2010-11-18 2010-11-18 혼합 생채 가공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815A KR101261303B1 (ko) 2010-11-18 2010-11-18 혼합 생채 가공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611A KR20120053611A (ko) 2012-05-29
KR101261303B1 true KR101261303B1 (ko) 2013-05-07

Family

ID=4626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815A KR101261303B1 (ko) 2010-11-18 2010-11-18 혼합 생채 가공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3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012B1 (ko) 1994-12-30 2002-06-24 손 경 식 비빔냉면용양념장조성물
KR100522412B1 (ko) 2002-12-30 2005-10-19 강창환 생야채 비빔밥
KR100864954B1 (ko) * 2007-07-09 2008-10-22 최상근 장기 저장을 위한 산야초 가공 방법
KR100884813B1 (ko) 2007-07-20 2009-02-20 주식회사 제이아이에프앤디 고추장 소스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012B1 (ko) 1994-12-30 2002-06-24 손 경 식 비빔냉면용양념장조성물
KR100522412B1 (ko) 2002-12-30 2005-10-19 강창환 생야채 비빔밥
KR100864954B1 (ko) * 2007-07-09 2008-10-22 최상근 장기 저장을 위한 산야초 가공 방법
KR100884813B1 (ko) 2007-07-20 2009-02-20 주식회사 제이아이에프앤디 고추장 소스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611A (ko) 2012-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515B1 (ko) 감자탕 제조방법
CN104323219A (zh) 一种清真香辣酱及其制备方法
CN101884409A (zh) 食用菌脯的制备方法
CN110179077A (zh) 一种基于固态发酵腌制萝卜的制作方法
CN104000153A (zh) 紫菜桂花营养调味料
KR101401055B1 (ko) 육개장 순두부 전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29635A (ko) 김치의 제조 방법
CN105747178A (zh) 一种酸菜风味调料包制作方法
KR101068882B1 (ko) 자색고구마김치의 제조방법
CN105475929A (zh) 一种糖醋萝卜及其制备方法
KR100695410B1 (ko) 홍삼 발아콩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발아콩 된장
KR101243651B1 (ko) 단맛과 매운맛의 조화를 높인 고추장 소스의 제조방법
KR101261303B1 (ko) 혼합 생채 가공품
KR20110054671A (ko) 저염 된장 제조방법
KR100953886B1 (ko) 산야초가 함유된 대추장아찌 제조방법
KR20140005599A (ko) 낙지꾸리 및 낙지찜에 사용되는 양념의 제조방법
KR101246727B1 (ko) 미역을 포함하는 미역 파스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3086B1 (ko) 구지뽕 고추장, 그 제조방법, 및 그 구지뽕 고추장을 포함하는 요리
KR20100058774A (ko) 산삼배양근을 주재로 하는 비빔밥 및 그 비빔밥 세트메뉴
KR101164212B1 (ko) 딸기 고구마 쌈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딸기 고구마 쌈장
KR100983995B1 (ko) 고추장의 제조방법
CN105166766A (zh) 一种果香芋艿条的制作方法
CN104323076A (zh) 一种除烦养阴桑葚粥及其制备方法
KR102172033B1 (ko) 맑은 팥 칼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450B1 (ko) 타래 소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