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714B1 - 배기 처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배기 처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714B1
KR101260714B1 KR1020107020920A KR20107020920A KR101260714B1 KR 101260714 B1 KR101260714 B1 KR 101260714B1 KR 1020107020920 A KR1020107020920 A KR 1020107020920A KR 20107020920 A KR20107020920 A KR 20107020920A KR 101260714 B1 KR101260714 B1 KR 101260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alf portion
tube
plate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338A (ko
Inventor
유우키 가사오카
다쓰시 이토
쇼헤이 나가사카
히로후미 다카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12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72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assembly using stamp-formed parts or otherwise deformed sheet-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72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assembly using stamp-formed parts or otherwise deformed sheet-metal
    • F01N13/1877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assembly using stamp-formed parts or otherwise deformed sheet-metal the channels or tubes thereof being made integrally with th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18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the axis of inlet or outlet tubes being other than the longitudinal axis o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3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 F01N3/03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with catalytic reactors, e.g. catalysed diesel particulat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92Exhaust flow directors or the like, e.g. upstream of catalytic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98Muffler, manifold or exhaust pip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한 배기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배기 처리 장치(1)는, 내측 관부(管部)(9)와 입구 관부(6)를 포함한다. 내측 관부(9)의 내부에는, 배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본체 배기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 관부(9)의 제1 내측 단부(13)는 개구되어 있다. 입구 관부(6)는, 판형 부분(25)과 관형 부분(51)을 가진다. 판형 부분(25)은 제1 내측 단부(13)의 개구를 폐쇄한다. 관형 부분(51)의 내부에는, 본체 배기 통로와 연통되는 제1 배기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관형 부분(51)은 내측 관부(9)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판형 부분(25)과 일체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배기 처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EXHAUST TREATM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기 처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연 기관의 배기 통로에 배기 처리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배기 처리 장치는, 디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형 물질을 포집(捕集)하거나, NOx량을 저감하거나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기 처리 장치로서는,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배기 처리 장치는, 입구관과 출구관과 본체 관부(管部)를 구비하고 있다. 입구관과 출구관은, 본체 관부의 양 단부(端部)에 각각 설치되고, 본체 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입구관과 출구관은, 본체 관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내연 기관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는, 입구관으로부터 본체 관부의 내부에 들어가, 본체 관부의 내부로부터 출구관을 통하여 배출된다. 본체 관부의 내부에는, 촉매가 담지(擔持)된 담체(擔體)가 수용되고 있고, 배기 가스는 담체를 통과함으로써 정화(淨化)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3-90214호 공보
상기한 배기 처리 장치는, 입구관, 본체 관부, 출구관 등의 복수 개의 부품이 조합되어 접합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수율의 향상이나 제조 비용 저감의 관점으로부터 제조가 용이한 배기 처리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조가 용이한 배기 처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의 배기 처리 장치는, 본체 관부와, 폐색(閉塞) 관부를 구비한다. 본체 관부의 내부에는, 배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본체 배기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관부의 축 방향 일단 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개구되어 있다. 폐색 관부는, 판형 부분과 관형 부분을 가진다. 판형 부분은, 본체 관부 단부의 개구를 폐쇄한다. 관형 부분의 내부에는, 본체 배기 통로와 연통되는 배기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관형 부분은, 본체 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판형 부분과 일체로 되어 있다.
이 배기 처리 장치에서는, 폐색 관부가 판형 부분을 가지고 있고, 판형 부분은 본체 관부 단부의 개구를 폐쇄한다. 그러므로, 판형 부분이 본체 관부 단부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본체 관부에 장착됨으로써, 폐색 관부가 본체 관부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또한, 본체 관부의 단부 개구를 따라 용접을 행함으로써, 폐색 관부와 본체 관부를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다. 이로써, 이 배기 처리 장치에서는, 제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2 발명의 배기 처리 장치는, 제1 발명의 배기 처리 장치에 있어서, 관형 부분과, 판형 부분과 일체로 성형된 제1 하프부(half portion)와, 제1 하프부와 접합되는 제2 하프부를 가진다. 그리고, 제1 하프부와 제2 하프부와의 접합면에는, 서로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제1 하프부와 제2 하프부를 서로 위치결정하는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 처리 장치에서는, 판형 부분이 본체 관부 단부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본체 관부에 장착됨으로써, 제1 하프부가 본체 관부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또한, 제1 하프부와 제2 하프부와의 요철(凹凸)이 걸어맞추어지도록 서로 장착됨으로써, 제2 하프부가 제1 하프부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이로써, 폐색 관부와 본체 관부와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3 발명의 배기 처리 장치는, 제2 발명의 배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제1 하프부와 제2 하프부는, 제1 하프부와 제2 하프부와의 에지를 따라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고, 환형 부재를 더 포함한다. 환형 부재는, 플랜지부의 단부와 맞닿는 위치까지 관형 부분에 끼워넣어져, 제1 하프부와 제2 하프부가 일체로 된다.
이 배기 처리 장치에서는, 환형 부재에 의해 제1 하프부와 제2 하프부가 일체로 된다. 그리고, 환형 부재는, 제1 하프부와 제2 하프부와의 플랜지부의 단부에 의해 위치결정된다. 그러므로, 폐색 관부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4 발명의 배기 처리 장치는, 제1 발명의 배기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본체 관부의 내주면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고 내주면의 주위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정류(整流)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정류 부재는, 돌기에 거는 위치에 있어서 본체 관부의 내주면과 접합되는 망형(網形)의 부재이다.
이 배기 처리 장치에서는, 배기 처리 장치의 조립 시에, 판형 부분의 위에 본체 관부를 탑재하고, 그 위로부터 정류 부재를 탑재함으로써, 정류 부재를 돌기에 걸리게 하여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배기 처리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5 발명의 배기 처리 장치는, 제1 발명의 배기 처리 장치에 있어서, 판형 부분은, 본체 관부 단부의 에지 형상에 맞추어 오목한 스텝부를 가진다. 그리고, 본체 관부의 단부는, 스텝부와 맞닿음으로써 위치결정된다.
이 배기 처리 장치에서는, 판형 부분의 스텝부에 본체 관부의 단부를 맞닿게함으로써, 판형 부분을 본체 관부의 단부에 대하여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폐색 관부와 본체 관부와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6 발명의 배기 처리 장치는, 제1 발명의 배기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본체 관부는, 판형 부분과 접합되는 내측 관부와, 내측 관부의 외주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단열재와, 단열재의 외주측을 덮어 내측 관부보다 축 방향 길이가 긴 외측 관부를 가진다.
이 배기 처리 장치에서는, 폐색 관부와 본체 관부와의 조립 시에, 내측 관부와 판형 부분을 접합시키고, 단열재를 내측 관부의 외주면에 장착하고, 그 후, 외측 관부를 단열재가 장착된 내측 관부에 씌운다. 따라서, 비교적 소형의 내측 관부와 폐색 관부와의 조립을 먼저 행할 수 있다. 이로써, 폐색 관부와 본체 관부와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7 발명의 배기 처리 장치는, 제1 발명의 배기 처리 장치에 있어서, 관형부 는, 본체 관부 측일수록 광폭(廣幅)의 형상을 가진다.
이 배기 처리 장치에서는, 폐색 관부에서의 배기 가스의 통기(通氣)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배기 가스를 폐색 관부로부터 본체 관부로 흐르기 쉽게 할 수 있다.
제8 발명의 배기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본체 관부와 관형 부분을 구비하는 배기 처리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폐색 관부를 조립하는 공정과, 폐색 관부를 본체 관부에 장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체 관부는, 배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본체 배기 통로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축 방향 일단 측에 위치하는 단부가 개구되어 있다. 관형 부분은, 본체 배기 통로와 연통되는 배기 통로가 내부에 설치되고, 본체 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먼저, 폐색 관부를 조립하는 공정에서는, 판형 부분과 판형 부분과 일체로 성형된 제1 하프부를 가지는 제1 부품에, 제1 하프부와 함께 관형 부분을 구성하는 제2 하프부를 장착한다. 폐색 관부를 본체 관부에 장착하는 공정에서는, 판형 부분이 본체 관부 단부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폐색 관부를 본체 관부에 장착한다.
이 배기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폐색 관부가 판형 부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판형 부분이 본체 관부 단부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본체 관부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폐색 관부가 본체 관부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또한, 본체 관부의 단부 개구를 따라 용접을 행함으로써, 폐색 관부와 본체 관부를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다. 이로써, 이 배기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배기 처리 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배기 처리 장치에서는, 폐색 관부가 판형 부분을 가지고 있고, 판형 부분은 본체 관부 단부의 개구를 폐쇄한다. 그러므로, 판형 부분이 본체 관부 단부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본체 관부에 장착됨으로써, 폐색 관부가 본체 관부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또한, 본체 관부의 단부 개구를 따라 용접을 행함으로써, 폐색 관부와 본체 관부를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다. 이로써, 이 배기 처리 장치에서는, 제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배기 처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배기 처리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입구 유닛의 제조 수순을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4는 제1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부품에 제2 부품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플랜지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입구 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입구 관부에 내측 관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내측 관부에 정류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내측 관부에 링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내측 관부에 단열재가 권취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내측 관부 및 외측 관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배기 처리 장치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기 처리 장치(1)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도 1은 배기 처리 장치(1)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배기 처리 장치(1)의 측면 단면도이다. 이 배기 처리 장치(1)는, 디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정화(淨化)하는 디젤·미립자·필터 장치이다. 배기 처리 장치(1)는, 입구 유닛(2)과, 처리 유닛(3)과, 출구 유닛(4)을 구비한다.
[입구 유닛(2)]
입구 유닛(2)은, 처리 유닛(3)에 대하여 배기 가스 흐름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고, 내연 기관의 배기 통로(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된다. 입구 유닛(2)은, 제1 본체 관부(5)와, 입구 관부(6)를 가지고 있다.
제1 본체 관부(5)는, 처리 유닛(3)의 제2 본체 관부(31)(후술)와 동축(同軸)에 배치되어 있고, 제2 본체 관부(31)와 접합되는 관형의 부재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본체 관부(5)의 내부에는, 배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본체 배기 통로(R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본체 관부(5)의 축 방향 양 단부는 각각 개구되어 있다. 제1 본체 관부(5)의 축 방향 일단 측의 개구는, 후술하는 판형 부분(26)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제1 본체 관부(5)의 축 방향 타단측의 개구는 처리 유닛(3) 내의 배기 통로(R2)와 연통되어 있다. 제1 본체 관부(5)는, 내측 관부(9)와, 정류 부재(10)(도 9 참조)와, 단열재(11)와, 외측 관부(12)를 가진다.
내측 관부(9)는, 도 2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본체 관부(5)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관형(管形)의 부재이다. 내측 관부(9)의 축 방향 일단부(이하, 「 제1 내색 단부(13)」라고 함)는, 개구되어 있고, 제1 내측 단부(13)가 판형 부분(26)과 접합되는 것에 의해 개구가 폐쇄된다. 내측 관부(9)의 축 방향 타단부(이하, 「 제2 내측 단부(14)」라고 함)에는, 도 2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재(1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링부재(15)가 장착된다. 또한, 제2 내측 단부(14)에는, 제1 내측 단부(13) 측을 향해 오목한 절결부(切缺部)(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6)는, 외측 관부(12)의 내주면에 설치된 보스(17)(도 2 참조)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관부(9)의 내주면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고 내주면의 주위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돌기(18)가 형성되어 있다.
정류 부재(10)는, 입구 유닛(2) 내에 보내진 배기 가스를 정류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2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 부재(10)는, 돌기(18)에 거는 위치에 있어서 본체 관부의 내주면과 접합되는 망형의 형상을 가진다.
단열재(11)는, 단열성을 가지는 매트형의 부재이며, 도 2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관부(9)의 외주면을 덮도록 설치된다. 단열재(11)는, 내측 관부(9)에 장착된 링부재(15) 및 판형 부분(26)의 플랜지부(29)(후술)에 의해 축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외측 관부(12)는, 내측 관부(9)보다 큰 축 방향 길이를 가지는 관형의 부재이다. 외측 관부(12)는, 도 2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재(11)가 권취된 내측 관부(9)에 씌워지고, 단열재(11)의 외주측을 덮도록 장착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관부(12)의 축 방향 일단부(이하, 「 제1 외측 단부(19)」라고 함)는, 판형 부분(26)의 플랜지부(29)와 접합된다. 외측 관부(12)의 축 방향 타단부(이하, 「 제2 외측 단부(21)」라고 함)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 관부(12)의 플랜지부(22)는, 처리 유닛(3)의 플랜지부(32)(도 1 및 도 2 참조)와 맞닿고,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외측 관부(12)의 내주면 중 전술한 내측 관부(9)의 절결부(16)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압력 센서가 통과하기 위한 보스(17)(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 관부(6)는, 내연 기관의 배기 통로(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고, 제1 본체 관부(5)로 보내지는 배기 가스가 통과하는 부재이다. 입구 관부(6)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품(23)(도 4 참조)과 제2 부품(24)과 환형 부재(25)를 가진다.
제1 부품(23)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 부분(26)과 제1 하프부(27)를 가진다.
판형 부분(26)은, 외측 관부(12)의 제1 외측 단부(19)(도 12 참조)의 형상과 일치하는 외형을 가진다. 또한, 판형 부분(26)은, 에지부를 제외한 내측 부분이 내측 관부(9)의 제1 내측 단부(13)의 에지 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로써, 제1 내측 단부(13)에 따른 스텝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측 단부(13)가 이 스텝부(28)와 맞닿음으로써 내측 관부(9)가 제1 부품(23)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도 8 참조). 또한, 판형 부분(26)의 보다 내측 부분은, 제1 하프부(27)에 연속되도록 외측으로 팽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판형 부분(26)의 에지부는, 대략 원형의 외형을 가지는 플랜지부(29)로 되어 있다. 또한, 외측 관부(12)의 축 방향에서의 판형 부분(26)의 외측에는, 판형 부분(26)을 덮는 커버 부재(20)가 장착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제1 하프부(27)는, 판형 부분(26)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반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제2 부품(24)은, 반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1 하프부(27)와 접합되는 제2 하프부를 구성한다. 제2 부품(24)은, 제1 하프부(27)와 함께 관형 부분(51)을 구성한다. 관형 부분(51)은, 본체 배기 통로(R1)와 연통되는 제1 배기 통로(R3)(도 2 참조)가 내부에 설치된 관형의 부분이다. 관형 부분(51)은, 제1 본체 관부(5)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하프부(27)와 제2 부품(24)은, 제1 하프부(27)와 제2 부품(24)과의 에지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부(52, 53)를 가지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프부(27)의 플랜지부(52)와 제2 부품(24)의 플랜지부(53)는 서로 맞닿아 있고, 관형 부분(51)의 제1 본체 관부(5) 측의 단부로부터 반대 측의 단부(이하, 「입구 단부(54)」라고 함)를 따라 관형 부분(51)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플랜지부(52, 53)의 입구 단부(54) 측의 선단부(55)는, 입구 단부(54)보다 제1 본체 관부(5)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52)의 제1 본체 관부(5) 측은, 판형 부분(26)의 플랜지부(29)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프부(27)와 제2 부품(24)과의 각 플랜지부(52, 53)의 접합면에는, 서로 걸어맞춤으로써 제1 하프부(27)와 제2 부품(24)을 위치결정하는 볼록부(56) 및 오목부(5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하프부(27)에 볼록부(56)가 형성되고, 제2 부품(24)에 오목부(57)가 형성되어 있지만, 반대로 제1 하프부(27)에 오목부(57)가 형성되고, 제2 부품(24)에 볼록부(56)가 형성되어도 된다.
도 7에 나타낸 환형 부재(25)는, 관형 부분(51)의 입구 단부(54)로부터 플랜지부(52, 53)의 선단부(55)와 맞닿는 위치까지 끼워넣어져, 제1 하프부(27)와 제2 부품(24)을 일체화시킨다.
[처리 유닛(3) 및 출구 유닛(4)]
처리 유닛(3)은, 배기 처리 장치(1)에 보내진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유닛이다. 처리 유닛(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본체 관부(31)와 필터(33)를 가진다.
제2 본체 관부(31)는, 관형의 부재이며, 양단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32, 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입구 유닛(2) 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32)는, 입구 유닛(2)의 플랜지부(22)와 맞닿고, 볼트나 너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출구 유닛(4) 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34)는, 출구 유닛(4)의 플랜지부(41)와 맞닿고, 볼트나 너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필터(33)는,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 담체이다. 필터(33)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외주면에 단열재(35)가 권취된 상태로 제2 본체 관부(31) 내에 수용되어 있다.
출구 유닛(4)은, 처리 유닛(3)에 대하여 배기 가스 흐름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고, 처리 유닛(3)에 의해 정화되어 배기 처리 장치(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가 통과한다. 출구 유닛(4)은, 제3 본체 관부(42)와, 출구 관부(43)를 가지고 있다. 제3 본체 관부(42)는, 축 방향 길이가 입구 유닛(2)의 제1 본체 관부(5)보다 짧은 점을 제외하고 제1 본체 관부(5)와 동일한 구조이다. 또한, 출구 관부(43)는, 입구 관부(6)와 동일한 구조이다. 그러므로, 제3 본체 관부(42)와 출구 관부(43)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배기 처리 장치(1)의 제조 수순〉
이하, 배기 처리 장치(1)의 제조 수순 중, 특히, 입구 유닛(2)의 제조 수순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S1에 있어서, 제2 부품(24)의 장착이 행해진다. 여기서는, 도 4에 나타낸 제1 부품(23)에 대하여 제2 부품(24)이 도 5와 같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하프부(27)의 플랜지부(52)와 제2 부품(24)의 플랜지부(53)가 맞닿도록 제1 하프부(27) 상에 제2 부품(24)이 탑재된다. 이 때, 제1 하프부(27)의 볼록부(56)와 제2 부품(24)의 오목부(57)가 걸리는 것에 의해, 제2 부품(24)이 제1 부품(23)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도 6 참조).
다음에, 단계 S2에 있어서, 환형 부재(25)가 장착된다. 여기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 부재(25)가 관형 부분(51)에 끼워넣어진다. 이 때, 환형 부재(25)는, 제1 하프부(27) 및 제2 부품(24)의 플랜지부(52, 53)의 선단부(55)와 맞닿는 것에 의해 제1 부품(23) 및 제2 부품(24)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다음에, 단계 S3에 있어서, 내측 관부(9)가 장착된다. 여기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관부(9)가 판형 부분(26) 상에 탑재된다. 이 때, 내측 관부(9)의 제1 내측 단부(13)가 판형 부분(26)의 스텝부(28)(도 7 참조)와 맞닿는다. 이로써, 내측 관부(9)는 판형 부분(26)에 대하여, 즉 입구 관부(6)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다음에, 단계 S4에 있어서, 정류 부재(10)가 장착된다. 여기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 부재(10)가 내측 관부(9)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 때, 정류 부재(10)는, 내측 관부(9)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18)에 걸린다. 이로써, 정류 부재(10)는, 내측 관부(9)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다음에, 단계 S5에 있어서, 링부재(15)가 장착된다. 여기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관부(9)의 제2 내측 단부(14)에 링부재(15)가 장착된다. 이 때, 링부재(15)는, 클램프 등의 지그에 의해 내측 관부(9)에 가(假)고정된다.
다음에, 단계 S6에 있어서 용접이 행해진다. 여기서는, 제1 부품(23)이 지그에 의해 고정되고, 단계 S1~S5에 있어서 조립된 각 부재가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하프부(27)와 제2 부품(24)과의 접합부 및 환형 부재(25)와 관형 부분(51)과의 접합 부분에 연속 용접이 행해진다. 또한, 판형 부분(26)과 내측 관부(9)의 제1 내측 단부(13)의 접합 부분, 제2 부품(24)의 제1 본체 관부(5) 측의 단부와 내측 관부(9)의 외주면의 접합 부분, 정류 부재(10)와 내측 관부(9)의 내주면의 접합 부분, 및 링부재(15)와 내측 관부(9)의 제2 내측 단부(14)의 접합 부분에 단속적(斷續的)으로 용접이 행해진다.
다음에, 단계 S7에 있어서, 단열재(11)가 장착된다. 여기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트형의 단열재(11)가, 내측 관부(9)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다음에, 단계 S8에 있어서, 외측 관부(12)가 장착된다. 여기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재(11)가 권취된 상태의 내측 관부(9)에 외측 관부(12)가 씌워지고, 내측 관부(9)가 외측 관부(12) 내에 압입(壓入)된다.
그리고, 단계 S9에 있어서, 용접이 행해진다. 여기서는, 외측 관부(12)의 제1 외측 단부(19)와 입구 관부(6)와의 접합 부분에 연속 용접이 행해진다.
그리고, 출구 유닛(4)의 제조 수순에 대해서는 입구 유닛(2)의 제조 수순과 마찬가지이다.
〈특징〉
이 배기 처리 장치(1)에서는, 입구 관부(6)의 제1 부품(23)이 제1 본체 관부(5)의 개구를 폐색하는 부재를 겸하고 있다. 그러므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입구 유닛(2)의 제조 수순에 있어서는, 제1 부품(23)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각 부재가 차례로 탑재되어 위치결정된다. 또한, 각 부재는,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배기 처리 장치(1)의 제조 수순에서는, 단계 S5의 링부재(15)의 장착을 제외하고, 단계 S1~S4, S7, S8에 있어서 각 부재의 조립을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 또한, 가용접이 불필요하다. 그러므로, 각 부재의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용접 시에 있어서 용접 개소의 대부분이 외부와 접해 있으므로, 용접 토치와 부재와의 간섭이 없다. 그러므로, 용접 로봇에 의한 자동 용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하프부(27)와 제2 부품(24)을 조립한 상태에서, 용접 로봇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자동으로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프부(27)와 제2 부품(24)과의 용접선이 직선이므로, 용접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입구 관부(6)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입구 관부(6)와 내측 관부(9)를 서브 유닛화하여 제조함으로써, 용접 개소가 외부와 접하도록 입구 관부(6)와 내측 관부(9)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입구 관부(6)와 내측 관부(9)를 조합한 상태는 입구 유닛(2) 전체와 비교하여 컴팩트하므로, 입구 관부(6)와 내측 관부(9)를 용접할 때 용접 토치와 부재와의 간섭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로봇에 의한 자동 용접이 가능해져, 제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이 배기 처리 장치(1)에서는, 제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관형 부분(51)은, 축 방향에 따른 스트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관형 부분(5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관형부재(51)가 본체 관부 측일수록 광폭의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배기 가스를 입구 관부(6)로부터 제1 본체 관부(5)로 쉽게 흐르게 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제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배기 처리 장치 및 배기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1: 배기 처리 장치, 5: 제1 본체 관부(본체 관부), 6: 입구 관부(폐색 관부), 9: 내측 관부, 10: 정류 부재, 11: 단열재, 12: 외측 관부, 18: 돌기, 24: 제2 부품(제2 하프부), 25: 환형 부재, 26: 판형 부분, 27: 제1 하프부, 28: 스텝부, 51: 관형 부분, 52, 53: 플랜지부

Claims (8)

  1. 배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본체 배기 통로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축 방향 일단 측에 위치하는 단부(端部)가 개구되어 있는 본체 관부(管部)와,
    상기 본체 관부의 상기 단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판형 부분과, 상기 본체 배기 통로와 연통되는 배기 통로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판형 부재와 일체로 된 관형(管形) 부분을 가지는 폐색(閉塞) 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부분은, 상기 판형 부분과 일체로 성형된 제1 하프부와, 상기 제1 하프부와는 별도로서 상기 제1 하프부와 접합되는 제2 하프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하프부와 상기 제2 하프부는, 상기 제1 하프부와 상기 제2 하프부와의 에지를 따라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플랜지부의 접합면에는, 서로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제1 하프부와 상기 제2 하프부를 서로 위치결정하는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와 맞닿는 위치까지 상기 관형 부분에 끼워넣어져, 상기 제1 하프부와 상기 제2 하프부가 일체로 되는 환형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기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관부의 내주면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내주면의 주위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에 거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관부의 내주면과 접합되는 망형(網形)의 정류(整流)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기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부분은, 상기 본체 관부의 상기 단부의 에지 형상에 맞추어 오목한 스텝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 관부의 상기 단부는, 상기 스텝부와 맞닿음으로써 위치결정되는, 배기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관부는, 상기 판형 부분과 접합되는 내측 관부와, 상기 내측 관부의 외주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외주측을 덮고 상기 내측 관부보다 축 방향 길이가 긴 외측 관부를 가지는, 배기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분은, 상기 본체 관부 측일수록 광폭(廣幅)의 형상을 가지는, 배기 처리 장치.
  8. 배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본체 배기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 일단 측에 위치하는 단부가 개구되어 있는 본체 관부와, 상기 본체 배기 통로와 연통되는 배기 통로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관형 부분을 포함하는 배기 처리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판형 부분과 상기 판형 부분과 일체로 성형된 제1 하프부를 가지는 제1 부품에, 상기 제1 하프부와 함께 상기 관형 부분을 구성하는 상기 제1 하프부와는 별도인 제2 하프부를 장착함으로써, 폐색 관부를 조립하는 공정과,
    상기 제1 하프부와 상기 제2 하프부가 일체로 되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와 맞닿는 위치까지 상기 관형 부분에 환형 부재를 끼워넣는 공정과,
    상기 판형 부분이 상기 본체 관부의 상기 단부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폐색 관부를 상기 본체 관부에 장착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프부와 상기 제2 하프부는, 상기 제1 하프부와 상기 제2 하프부와의 에지를 따라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플랜지부의 접합면에는, 서로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제1 하프부와 상기 제2 하프부를 서로 위치결정하는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배기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07020920A 2008-05-14 2009-05-08 배기 처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0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27147 2008-05-14
JPJP-P-2008-127147 2008-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338A KR20100125338A (ko) 2010-11-30
KR101260714B1 true KR101260714B1 (ko) 2013-05-06

Family

ID=4131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920A KR101260714B1 (ko) 2008-05-14 2009-05-08 배기 처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40793B2 (ko)
EP (1) EP2287453B1 (ko)
JP (1) JP5054817B2 (ko)
KR (1) KR101260714B1 (ko)
CN (1) CN102027215B (ko)
WO (1) WO2009139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9136B2 (ja) * 2010-01-14 2016-01-27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JP5707178B2 (ja) * 2011-03-02 2015-04-22 フタバ産業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US8609030B2 (en) 2011-03-04 2013-12-17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xhaust aftertreatment device with integrated shell and baffle
US8776509B2 (en) 2011-03-09 2014-07-15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Tri-flow exhaust treatment device with reductant mixing tube
JP5124030B2 (ja) 2011-03-18 2013-01-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排気ガス浄化装置
JP5898868B2 (ja) * 2011-07-05 2016-04-06 東京濾器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装置
US8721977B2 (en) * 2011-10-07 2014-05-13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xhaust treatment device with integral mount
US9163549B2 (en) 2011-10-07 2015-10-2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xhaust treatment device with integral mount
JP5443530B2 (ja) * 2012-02-28 2014-03-19 ヤンマー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装置
KR101394037B1 (ko) * 2012-08-28 2014-05-09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배기가스 배기시스템
WO2014171923A1 (en) 2013-04-16 2014-10-23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Inclined perforated plate at radial inlet
US9869230B2 (en) 2013-04-30 2018-01-16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Usa, Llc Cast mounted sub-structure for end module
JP6331390B2 (ja) 2013-12-27 2018-05-30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発泡成形体
DE102014119076A1 (de) 2014-12-18 2016-06-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challdämpfer für Kraftfahrzeuge
US10436097B2 (en) 2014-12-31 2019-10-08 Cummins Emission Solutions Inc. Close coupled single module aftertreatment system
GB2590186B8 (en) 2014-12-31 2021-12-15 Cummins Emission Solutions Inc Single module integrated aftertreatment module
GB2548040B (en) * 2014-12-31 2020-11-25 Cummins Emission Solutions Inc Compact side inlet and outlet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US9657618B1 (en) * 2015-11-03 2017-05-23 Electro-Motive Diesel, Inc. Aftertreatment system for engine
GB2569612B (en) * 2017-12-21 2021-12-29 Perkins Engines Co Ltd End can assembly for an engine exhaust aftertreatment canister
JP7443822B2 (ja) * 2020-02-28 2024-03-06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DE102020125954A1 (de) 2020-10-05 2022-04-07 Friedrich Boysen GmbH & Co KG. Gehäuse für Abgasein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6636A (ja) * 2005-07-05 2007-01-25 Yumex Corp 触媒コンバータケ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97624A5 (ko) * 1970-07-16 1972-03-03 Peugeot & Renault
CA972972A (en) * 1972-04-07 1975-08-19 Stanley B. Wallis Gas distribution system for a catalytic converter
JPS52168113U (ko) * 1976-06-15 1977-12-20
US4125380A (en) * 1977-03-02 1978-11-14 Carmine Negola Pollution control device
US4239733A (en) * 1979-04-16 1980-1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Catalytic converter having a monolith with support and seal means therefor
JPS636411Y2 (ko) * 1980-03-05 1988-02-23
US5482681A (en) * 1985-09-20 1996-01-09 Tennessee Gas Pipeline Company Catalytic converter for motor vehicles
US5329698A (en) * 1989-02-06 1994-07-19 Tennessee Gas Pipeline Company Method of assembling a catalytic converter
JP2890440B2 (ja) * 1989-02-23 1999-05-17 スズ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排気管
US5207989A (en) * 1991-03-22 1993-05-04 Acs Industries, Inc. Seal for catalytic converter and method therefor
JP2580353Y2 (ja) * 1991-09-03 1998-09-10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自動車用触媒装置
US5250269A (en) * 1992-05-21 1993-10-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atalytic converter having a metallic monolith mounted by a heat-insulating mat of refractory ceramic fibers
JPH0660726U (ja) * 1993-02-08 1994-08-23 東京瓦斯株式会社 三元触媒用容器
CN2162799Y (zh) 1993-08-06 1994-04-27 刘永安 一种带有香味的人造花蕊盒
DE19633563C2 (de) * 1996-08-21 1999-04-01 Porsche Ag Abgasanlage einer Brennkraftmaschine
NL1008252C2 (nl) * 1998-02-09 1999-08-10 Arvin Exhaust Bv Volgens een boog verlopende pijpsectie.
US6325834B1 (en) * 1998-05-18 2001-12-04 Roberto Fonseca Exhaust filter and catalyst structure
US6162403A (en) * 1998-11-02 2000-12-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Spin formed vacuum bottle catalytic converter
KR100308952B1 (ko) * 1999-05-10 2001-09-26 이계안 오블리크 클로즈 커플드 캐털리스트 출구측 컨넥터
DE19945457A1 (de) * 1999-09-22 2001-03-29 Oberland Mangold Gmbh Vorrichtung zur Abgasreinigung
JP2001276574A (ja) * 2000-04-03 2001-10-09 Toyota Motor Corp 触媒コンバータ、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に使用される加工装置
CN2469382Y (zh) 2001-02-22 2002-01-02 赵洪雷 贮水桶设自锁连接外盖和防爆排气装置的太阳能热水器
JP2003090214A (ja) 2001-09-19 2003-03-28 Komatsu Ltd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2003343255A (ja) * 2002-05-30 2003-12-03 Sango Co Ltd ハニカム構造体内蔵浄化装置の製造方法
US6946013B2 (en) * 2002-10-28 2005-09-20 Geo2 Technologies, Inc. Ceramic exhaust filter
US20040141889A1 (en) * 2003-01-16 2004-07-2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atalytic converter comprising inner heat shield with noise suppression
US7713493B2 (en) * 2003-02-28 2010-05-11 Fleetguard, Inc. Compact combination exhaust muffler and aftertreatment element and water trap assembly
JP4292031B2 (ja) * 2003-03-31 2009-07-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排気管への触媒体固定構造
JP2006017018A (ja) * 2004-06-30 2006-01-19 Toyota Motor Corp 車両用排気管路の構造
CN2861505Y (zh) * 2006-02-15 2007-01-24 重庆宗申技术开发研究有限公司 带触媒的摩托车排气消声器
CN2903469Y (zh) 2006-04-24 2007-05-23 广州冷机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密闭式制冷压缩机的吸入消声器
DE102006050052B4 (de) * 2006-10-24 2008-11-27 Fischer & Kaufmann Gmbh & Co. Kg Gehäuseschale eines Abgasfilters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2213852A4 (en) * 2007-10-16 2014-12-17 Yanmar Co Ltd DEVICE FOR CLEANING BLACK SMOKE
CN201154799Y (zh) 2008-02-19 2008-11-26 张胜伟 真空排气揭膜保鲜盒
US8091354B2 (en) * 2008-04-17 2012-01-10 Cummins Filtration Ip, Inc. Exhaust assembly with universal multi-position water trap
JP5148714B2 (ja) * 2008-11-11 2013-02-20 日立建機株式会社 排気ガス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6636A (ja) * 2005-07-05 2007-01-25 Yumex Corp 触媒コンバータケ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39333A1 (ja) 2009-11-19
EP2287453B1 (en) 2017-07-05
EP2287453A1 (en) 2011-02-23
CN102027215B (zh) 2013-10-16
EP2287453A4 (en) 2015-11-04
US8540793B2 (en) 2013-09-24
KR20100125338A (ko) 2010-11-30
US20110047963A1 (en) 2011-03-03
JPWO2009139333A1 (ja) 2011-09-22
JP5054817B2 (ja) 2012-10-24
CN102027215A (zh)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714B1 (ko) 배기 처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2551483B1 (en)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JP5984446B2 (ja) タービンハウジングアセンブリおよびタービンハウジング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EP1793100B1 (en)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with insulated housing construction
US20050150222A1 (en) One piece catalytic converter with integral exhaust manifold
US7575096B2 (en) Pressed assembly for passive valve installation
US6185819B1 (en) Catalytic converter housing arrangement
US9644522B2 (en) Cast end cap mounting module
US9410471B2 (en) Exhaust system component
US11384670B2 (en) Mixer assembly unit
US6669912B1 (en) Flexible combined vibration decoupling exhaust connector and preliminary catalytic converter construction
US11125194B2 (en) Silencer for the reduction of gas noise in an intake system of a combustion engine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h a silencer
EP3489469B1 (en) Turbine housing
US7762063B2 (en) Housing for an exhaust gas purification component for forming a joined connection with an exhaust line section, exhaust system having the housing and motor vehicle having the exhaust system
US20030006301A1 (en) Double pipe exhaust manifold
US20170089249A1 (en)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KR20110030065A (ko) 매연 저감 장치
CN112814773A (zh) 内燃机搭载车辆的排气管结构及内燃机搭载车辆制造方法
JP2018115602A (ja) 排気管の遮熱構造および排気管における遮熱部材の締結方法
JP5143156B2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のサブアッセンブリー
JP2010138835A (ja) 内燃機関の排気マニホールド構造
US20200271034A1 (en) Exhaust gas converter body structure
JP6678550B2 (ja) 排気系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