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696B1 -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696B1
KR101260696B1 KR1020110113356A KR20110113356A KR101260696B1 KR 101260696 B1 KR101260696 B1 KR 101260696B1 KR 1020110113356 A KR1020110113356 A KR 1020110113356A KR 20110113356 A KR20110113356 A KR 20110113356A KR 101260696 B1 KR101260696 B1 KR 101260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rown algae
sleep
gab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1995A (ko
Inventor
조승목
한대석
김동수
진영호
백남인
한진규
김인호
박지해
윤민석
용혜임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JP2013547313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4505683A/ja
Priority to PCT/KR2011/009916 priority patent/WO2012093787A2/ko
Publication of KR20120091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696B1/ko
Priority to JP2015148581A priority patent/JP6014731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로서, 갈조류 추출물은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에 친화력을 가지는 것으로, 천연물로부터 얻어진 물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갈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항불안, 항경련(anti-convulsant), 진정 및 불면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나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nvigorating GABAA-benzodiazepine receptor and composition having anxiolitic, anti-convulsant, anti-depressant and sleep-improving effect containing Brown Seaweed extract}
본 발명은 갈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GABAA-벤조다이아제핀(benzodiazepine)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에 친화력을 가져서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은 스트레스와 불안, 초조 때문에 수면장애를 겪고 있다. 통계에 의하면 성인의 약 15%가 불안증상에 의한 불면증 때문에 약물치료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불면의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긴장, 공포 등 다양하며, 치료 약물로는 벤조다이아제핀 계열의 약물과 세로토닌 효능약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약물들은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내성 및 의존성이 형성되는 부작용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면제 장기복용자 및 제한자의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천연 보조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수면 증진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GABAA 수용체는 멤브레인 이온 채널을 형성하는 팬타머릭 단백질로서, 진정, 수면, 불안, 근육긴장, 경련, 기억 상실 등의 조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이를 통하여 GABA(감마-아미노부티르산)이 작용하게 된다. 불안 치료제, 진정제 또는 수면유도제로서 벤조다이아제핀을 포함하여 많은 약물들이 이 수용체에 결합하여 약리작용을 행하고 있고, 벤조다이아제핀 부위에 약물 또는 보조제가 결합하면 GABA에 대한 GABAA 수용체 친화도를 증진시키고 염소 이온의 세포 내 유입을 증가시켜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 효과를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약물 의존성을 보이고, 근육완화 및 건망증 등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GABAA 수용체의 벤조다이아제핀 사이트에 결합 작용하여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에 친화력을 가지면서 부작용의 위험이 없고 안전한 천연물로부터 얻어진 물질을 이용한 진정-수면 효과의 보조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GABAA 수용체의 벤조다이아제핀 부위에 작용하여 GABAA 수용체가 GABA에 반응하여 염소이온 채널을 활성화시키고, 염소가 세포내로 유입되어 세포막 전위의 과다 분극을 통해서 신경세포성(neuronal) 활동을 늦추는 육상의 허브 및 식물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있으나, 해조류인 갈조류 추출물에 대한 보고는 세계적으로 그 사례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GABAA 수용체의 벤조다이아제핀 사이트에 결합하여 친화력을 가지는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갈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항불안, 항경련(anti-convulsant), 진정 및 불면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갈조류는 가시뼈대그물말, 감태, 검둥감태, 곰피, 괭생이모자반, 미역쇠, 바위두둑, 바위수염, 불레기말, 쌍발이모자반, 참가죽그물바탕말, 참그물바탕말, 다시마, 미역 및 패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갈조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갈조류는 상기 갈조류는 감태(Ecklonia cava) 또는 검둥감태(Ecklonia kurom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갈조류 추출물은 갈조류 물 추출물, 갈조류 에탄올 추출물, 갈조류 메탄올 추출물, 또는 물, 에탄올 및 메탄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 이상의 용매의 혼합용매에 의한 갈조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갈조류 물 추출물은 40 ~ 100℃의 물로 2 ~ 48시간 동안 갈조류를 추출하여 제조하고, 갈조류 에탄올 추출물은 갈조류를 35 ~ 75%의 에탄올로 20 ~ 60℃에서 2 ~ 36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하며, 상기 갈조류 메탄올 추출물은 갈조류를 35 ~ 85%의 메탄올로 20 ~ 60℃에서 2 ~ 36 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갈조류 물 추출물은 셀룰라아제, 비스코자임, 알칼라아제 및 펙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효소를 첨가한 물로 40 ~ 55℃에서 2 ~ 24시간 갈조류를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갈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갈조류는 가시뼈대그물말, 감태, 검둥감태, 곰피, 괭생이모자반, 미역쇠, 바위두둑, 바위수염, 불레기말, 쌍발이모자반, 참가죽그물바탕말, 참그물바탕말, 다시마, 미역 및 패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갈조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갈조류는 감태(Ecklonia cava) 또는 검둥감태(Ecklonia kurom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갈조류 추출물은 갈조류 물 추출물, 갈조류 에탄올 추출물, 갈조류 메탄올 추출물, 또는 물, 에탄올 및 메탄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 이상의 용매의 혼합용매에 의한 갈조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정제, 산제, 과립제 및 캅셀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제화 된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갈조류 추출물은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에 친화력을 가져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에 효과적이고, 천연물로부터 얻어진 물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약학 조성물이나 건강기능식품 등의 식품 조성물로도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감태 물 추출물(ECK-W), 감태 메탄올 추출물(ECK-M), 감태 에탄올 추출물(ECK-E) 각각에서, 방사성 표지된 GABAA-벤조다이아제핀 리간드 [3H] 플루마제닐(flumazenil)의 결합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각각의 샘플을 쥐에게 경구투여하고 45분 후 hypnotic(45 mg/kg) 농도의 펜토바비탈을 복강주사로 투여하고 입면시간(sleep latency)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b는 수면시간(sleep duration)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고,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다.(Dunnet's test)
CON : 대조구(0.5% CMC-saline 10 mL/kg)을 경구투여 후 펜토바비탈 투여
DZP : 디아제팜(diazepamP) 2 mg/kg을 경구투여 후 펜토바비탈 투여
ECK-E : 감태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100, 250, 500, 1000 mg/kg 투여 후 펜토바비탈 투여
ECK-W : 감태 물 추출물을 각각 100, 250, 500, 1000 mg/kg 투여 후 펜토바비탈 투여
도 3은 감태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용매 분획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4a는 감태 추출물 분획의 방사성 표지된 GABAA-벤조다이아제핀 리간드 [3H] 플루마제닐(flumazenil)의 결합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b는 각각의 감태 추출물 분획을 쥐에게 경구투여하고 45분 후 hypnotic(45 mg/kg) 농도의 펜토바비탈을 복강주사로 투여하고 수면시간(sleep duration)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감태 추출물 분획의 총페놀함량(TPC)와 [3H] 플루마제닐(flumazenil)의 결합에 대한 IC50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b는 각 감태 추출물 분획의 총페놀함량(TPC)와 수면시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감태 추출물 분획에서 분리된 플로로탄닌 화합물인 플로로글루시놀, 엑콜, 엑스톨로놀, 트리플로레톨-A 및 디엑콜의 구조이고, 도 6b는 퓨코디플로레톨 G, 6,6'-비엑콜, 7-플로로엑콜, 6,8'-비엑콜, 8,8'-비엑콜의 구조이다.
도 7a는 검둥감태 메탄올 추출물, 감태 메탄올 추출물, 가시뼈대그물말 메탄올 추출물 및 참가죽그물바탕말 메탄올 추출물의 총페놀함량(TPC)와 10 mg/mL농도에서의 [3H] 플루마제닐(flumazenil)의 결합 활성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b는 각 갈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총페놀함량(TPC)와 수면시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는 검둥감태 메탄올 추출물(EKO-M)의 방사성 표지된 GABAA-벤조다이아제핀 리간드 [3H] 플루마제닐(flumazenil)의 결합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b는 검둥감태 메탄올 추출물(EKO-M)을 쥐에게 경구투여하고 45분 후 hypnotic(45 mg/kg) 농도의 펜토바비탈을 복강주사로 투여하고 입면시간(sleep latency)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c는 검둥감태 메탄올 추출물(EKO-M)을 쥐에게 경구투여하고 45분 후 hypnotic(45 mg/kg) 농도의 펜토바비탈을 복강주사로 투여하고 수면시간(sleep duration)을 조사한 그래프이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고,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다.(Dunnet's test)
CON : 대조구(0.5% CMC-saline 10 mL/kg)을 경구투여 후 펜토바비탈 투여
DZP : 디아제팜(diazepam) 2 mg/kg을 경구투여 후 펜토바비탈 투여
ECK-M : 감태 메탄올 추출물을 각각 1000 mg/kg 투여 후 펜토바비탈 투여
EKO-M : 검둥감태 메탄올 추출물을 1000 mg/kg 투여 후 펜토바비탈 투여
도 9a 및 도 9b는 감태 에탄올 추출물 및 물 추출물과 다이아제팜의 병용경구투여에 대한 대한 수면유도 시너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ECK-E는 100 mg/kg, ECK-W는 100 mg/kg, 디아제팜(diazepam, DZP)은 0.5 mg/kg을 펜토바비탈 투여(hypnotic dosage 45 mg/kg) 45분 전에 경구 투여하여 측정한 입면시간(sleep latency)와 수면시간(sleep duration)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은 p<0.05에서, ##은 p<0.01에서 병용 투여한 그룹과 단일 투여한 그룹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Unpaired Student's t-test)
NS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a와 도 10b는 플루마제닐(flumazenil, FLU)이 감태 에탄올 추출물, 물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수면유도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ECK-E는 1000 mg/kg, ECK-W는 1000 mg/kg, EtAcO는 200 mg/kg, 디아제팜(diazepam, DZP)는 0.5 mg/kg을 펜토바비탈 투여(hypnotic dosage 45 mg/kg) 45분 전에 경구 투여하였고, 플루마제닐(flumazenil, FLU)은 8 mg/kg을 ECK-E, ECK-W, DZP 경구 투여 10분전에 미리 복강 주사하여 입면시간(sleep latency)과 수면시간(sleep duration)에 대해서 측정한 그래프이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p<0.01에서, ***은 p<0.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하고,
#은 p<0.05에서, ##은 p<0.01에서, ###은 p<0.001에서, 플루마제닐을 처리한 그룹과 처리하지 않는 그룹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Unpaired Student's t-test)
NS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감태 에탄올 추출물이 쥐의 수면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ontrol군은 0.5% CMC-saline 용액을 ECK-E는 500 mg/kg을 각각 경구투여(p.o.) 하고 뇌파를 측정한 후 분석한 그래프이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GABAA 수용체는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 효과와 관련되어 있으며, GABAA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로는 작용제(agonist)로서는 벤조다이아제핀, 디아제팜(diazepam, DZP), 졸피뎀(zolpidem) 등이 있고, 길항제(antagonist)로는 플루마제닐(flumazenil, FLU)이 있다. 상기에서 언급하였듯이 GABAA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의 경우 의존성 및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갈조류 추출물은 녹조류나 홍조류와 달리 GABAA-benzodiazepine(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에 작용하여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수면 개선은 입면시간(sleep latency)가 감소하고, 수면시간(sleep duration)이 증가하는 효과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갈조류는 예를 들어 가시뼈대그물말, 감태, 검둥감태, 곰피, 괭생이모자반, 미역쇠, 바위두둑, 바위수염, 불레기말, 쌍발이모자반, 참가죽그물바탕말, 참그물바탕말, 다시마, 미역 및 패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갈조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감태(Ecklonia cava) 또는 검둥감태(Ecklonia kurome)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감태이다.
상기 갈조류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서 이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종류나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용매는 저급 알코올, 헥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저급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급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는 이 외에도 아세트산, DMFO(dimethyl-formamide), DMSO(dimethyl sulfoxide) 등의 극성 용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Tetrahydrofuran) 등의 비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갈조류 추출물은 갈조류 물 추출물, 갈조류 에탄올 추출물, 갈조류 메탄올 추출물, 또는 물, 에탄올 및 메탄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 이상의 용매의 혼합용매에 의한 갈조류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
물 추출물의 제조는 갈조류를 40 ~ 100℃의 물로 2 ~ 48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물 추출에 따른 수용성 성분의 추출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셀룰라아제, 비스코자임, 알칼라아제 및 펙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효소를 첨가한 물로 40 ~ 55℃에서 2 ~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는 갈조류를 35 ~ 75%의 에탄올로 20 ~ 60℃에서 2 ~ 36 시간, 바람직하게는 40 ~ 50℃에서 2.5 ~ 6 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4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한다.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는 갈조류를 35 ~ 85%의 메탄올로 20 ~ 60℃에서 2 ~ 36 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 30℃에서 22 ~ 26 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의 메탄올로 2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갈조류 추출물 중에서, 감태 물 추출물은 상기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의 결합측정에서 IC50이 1.02 ~ 1.03 ㎛일 수 있다. 또한 감태 에탄올 추출물은 상기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의 결합 측정에서 IC50이 0.45 ~ 0.46 ㎛일 수 있다. 또한 감태 메탄올 추출물은 상기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의 결합 측정에서 IC50이 1.25 ~ 1.26 ㎛일 수 있다. 또한 검둥 감태 메탄올 추출물은 상기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의 결합 측정에서 IC50이 0.62 ~ 0.63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갈조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플로로탄닌을 농축시켜 얻은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이나 분획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갈조류 추출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갈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은 항불안, 항경련(anti-convulsant), 진정 및 불면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항불안, 항경련(anti-convulsant), 진정 및 불면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단독으로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불안, 항경련(anti-convulsant), 진정 및 불면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저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제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되어 사용할 수 있고, 제형화를 위하여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또는,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게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불안, 항경련(anti-convulsant), 진정 및 불면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는 1일 0.0001 내지 2,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서 투여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투여량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불안, 항경련(anti-convulsant), 진정 및 불면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 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갈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 또는 일반 식품의 유효성분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예방, 건강 또는 치료 등의 각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로부터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점에서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으므로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콜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중 음료 식품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100 mL당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수면 개선용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해조류 추출물에서의 GABA A -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탐색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해조류를 탐색하기 위하여 5종의 녹조류, 7종의 홍조류 및 6종의 갈조류, 총 18종의 해조류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주테크노파크의 제주 생물자원 추출물 은행에서 구입하여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력을 측정하였다. 증거 견본(Voucher specimen)은 제주 생물자원 추출물 은행에 기탁하였다.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측정은 SD rat의 대뇌피질을 적출한 후 즉시 30 mM Tris-HCl buffer (pH 7.4, keep at 4) 20 mL에 넣어 균질화시키고 10초 동안 초음파를 처리하였다. 이 후 27,000×g 및 4℃의 조건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버리고 다시 buffer 20 mL을 취하여 원심분리하였으며, 이 과정을 3번 반복하였다. 뇌 조직 안의 GABA를 제거하기 위하여 37℃의 water bath에서 30분간 incubation 시키고 원심분리한 후 pellet을 수집하여 -80℃에서 동결보관하여 사용하였다. 동결된 membrane을 해동시킨 후 27,000×g 및 4℃의 조건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버리고 50 mM Tris-citrate buffer (binding buffer, pH 7.1, keep at 4℃) 20 mL을 넣고 원심분리하였다. 이 과정을 3번 반복한 후 membrane을 binding buffer에 500 mL buffer/original tissue g의 농도로 현탁시켜 결합력 평가 시험에 사용하였다. 96-well plate에 membrane suspension 180 ㎕, 각각의 추출물 시료 10 ㎕ 및 [3H] flumazenil (1 nM, final concentration) (Ro 15-1788; PerkinElmer Life and Analytical Sciences, Waltham, MA, USA) 10 ㎕을 넣고 ice-bath에서 40분간 incubation 하였다. 이 후 glass fiber filter (GF/C, Whatman)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샘플의 radioactivity는 Tri-Carb Liquid Scintillation Analyzers (Perkin-Elmer, Shelton, CT, USA)를 통해 측정되었다. 비특이적 결합 (nonspecific binding, NSB)은 clonazepam (1 uM, final concentration)을 이용하여 그 값을 결정하였고, Binding displacement 값 (%)은 아래 식(1)과 같이 계산하였다.
식(1)
Binding displacement(%)=[1 - ((시료의 DPM - NSB DPM)/(TB DPM - NSB DPM))]×100
(DPM: disintegrations per minute, TB: total binding, NSB: nonspecific binding)
추출물의 농도를 각각 0.1 mg/mL, 1 mg/mL 및 10 mg/mL로 달리하여 녹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고, 홍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으며, 갈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Family Species Displacement (%) of [3H]-flumazenil binding to the GABAA-BZD receptor
0.1 mg/mL 1 mg/mL 10 mg/mL
Codiaceae


Codium coactum Okamura 18.1±2.3 26.3±1.8 46.5±4.5
Codium contractum Kjellman 12.3±5.2 23.5±4.5 42.3±2.0
Codium latum Suringa 7.6±5.6 19.0±3.8 48.0±4.0
Codium minus Silva 15.4±5.2 17.9±2.0 39.2±1.8
Ulvaceae Ulva conglobata Kjellman 8.5±4.7 30.8±3.7 86.2±1.9
Family Species Displacement (%) of [3H]-flumazenil binding to the GABAA-BZD receptor
0.1 mg/mL 1 mg/mL 10 mg/mL
Champiaceae Champia parvula Harvey 6.1±3.0 7.6±2.6 10.4±3.7
Gigartinaceae
Chondracanthus tenellus Hommersand 11.8±6.4 16.3±5.1 21.7±3.3
Gracilaria verrucosa Papenfuss 13.9±3.1 20.7±2.3 80.6±4.8
Grateloupiaceae
Grateloupia filicina C.Agardh -2.4±1.9 21.8±5.1 16.9±9.2
Polyopes lancifolius 10.1±3.6 15.7±2.6 35.3±3.0
Halymeniaceae Polyopes affinis 8.0±3.9 13.8±6.9 7.4±7.4
Rhodomelaceae Chondria crassicaulis Harvey -6.1±4.0 7.2±2.1 43.6±0.9
Family Species Displacement (%) of [3H]-flumazenil binding
to the GABAA-BZD receptor
0.1 mg/mL 1 mg/mL 10 mg/mL
Alariaceae Ecklonia cava Kjellman 5.2±6.4 43.1±6.2 91.3±2.3
Dictyotaceae Dictyopteris prolifera Okamura 18.5±1.0 31.5±4.9 63.8±4.9
Sargassaceae
Dictyota coriacea 16.2±1.7 16.2±5.6 42.1±2.0
Dictyota dichotoma Lamouroux 26.3±14.7 25.7±9.3 72.6±1.6
Sargassacea
Sargassum horneri C.Agardh 4.4±3.6 18.8±1.3 70.4±2.4
Sargassum patens C.Agardh 3.9±2.8 15.9±4.7 55.7±1.5
Shigeaceae Ishige okamurae Yendo -8.3±4.1 20.0±2.3 73.8±1.8
녹조류에서 모란갈파래(Ulva conglobata Kjellman)와 홍조류에서 꼬시래기(Gracilaria verrucosa Papenfuss)가 10 mg/mL 농도에서 80% 이상의 [3H]-플루마제닐의 결합을 치환하는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나머지 대부분의 녹조류와 홍조류에서는 효과적인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그러나 갈조류에서는 참가죽그물바탕말(Dictyota coriacea) 및 쌍발이모자반(Sargassum patens C.Agardh)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결합 활성을 10 mg/mL 농도에서 55% 이상의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감태(Ecklonia cava Kjellman)는 90% 이상의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추출용매에 따른 감태 추출물의 GABA A -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실험예 1에서 90% 이상의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이 가장 뛰어났던 감태(Ecklonia cava Kjellman, ECK)에서 추출용매를 달리 했을 때 활성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추출용매를 달리한 감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감태 에탄올 추출물은 70% 에탄올로 5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고, 감태 물 추출물은 효소(비스코자임, 알칼라아제, 펙신)를 첨가하여 4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감태 메탄올 추출물은 80% 메탄올로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하였다. 모든 추출물들은 추출 후 여과 및 농축과정을 거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도 1은 감태 물, 에탄올, 메탄올 추출물의 방사성 표지된 GABAA-벤조다이아제핀 리간드 [3H] 플루마제닐의 결합 치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는 수면효과를 나타내는 성분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3H] 플루마제닐의 치환 효과가 높을수록 그 물질의 결합 활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감태의 3가지 추출물 모두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농도의존적으로 높아졌으며, IC50 값은 ECK-W(물 추출물)=1.026, ECK-M(메탄올 추출물)=1.256, ECK-E(에탄올 추출물)=0.456 mg/mL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추출용매 및 농도에 따른 에 따른 감태 추출물의 수면 유도 효과
1) 실험재료
펜토바비탈(Pentobarbital)은 한림 제약회사에서 구입하였고,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의 길항제인 디아제팜(diazepam, DZP)은 잘 알려진 수면제 중의 하나로서 진정 및 수면 유도 효과의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험동물로 무게 18 ~ 22g의 수컷 ICR 생쥐(Koatech Animal사)를 온도 24℃, 습도 55%, 형광등 명암 12시간 사이클(조명 오전 8시)의 조건하에서 시료 및 음수는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시키기 위하여 실험 전 1주일간 사육하였다. 또한,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평가를 위한 멤브레인 준비를 위하여 무게 200~250g의 SD 쥐를 사용하였다. 동물 실험과 관련된 모든 절차는 한국식품연구원 동물관리위원회(KFRI-IACUC, Korea Food Research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실험동물 사용 지침에 의거 수행하였다.
2) 실험방법
모든 실험은 오후 1시에서 5시 사이에 진행되었고, 생쥐들은 실험 전 24시간 전에 절식시켰다. 경구 투여를 위하여 감태 에탄올 추출물을 0.5% carboxymethyl cellulose (Control-0.5%, CMC-saline 10 mL/kg)에 희석시키고, 양성 대조군인 디아제팜(diazepam, DZP)은 역시 0.5% CMC-saline에 희석시켰다. 감태 에탄올 추출물 및 물 추출물(각각 100, 250, 500, 1000 mg/kg)과 디아제팜(diazepam, DZP, 2 mg/kg)을 펜토바비탈 투여 45분 전에 경구 투여하였다. 또한 음성 대조군(Control group, CON)로서는 별도의 약물을 투여하지 않고, 0.5% CMC-saline 10 mL/kg을 투여하였다.
각각 생쥐에게 펜토바비탈(sub-hypnotic dosage 30 mg/kg, hypnotic dosage 45 mg/kg)을 복강 주사한 후 입면시간(sleep latency)과 수면시간(sleep duration)을 측정하였다. 펜토바비탈을 생쥐에게 복강 내에 주사한 뒤로부터 등으로 바닥에 기대어 있다가 두위반사를 상실할 때까지 경과시간을 즉, 펜토바비탈 주사 후 수면개시(sleep onset)까지의 시간을 입면시간(sleep latency)라고 간주하였고, 상자 안의 생쥐 중에서 펜토바비탈 투여 후에 1분 이상 움직임이 없는 경우 잠든 것으로 간주하였다. 수면시간(sleep duration)은 생쥐가 상자가 옮겨진 후 움직임이 없을 때부터 자율행동을 회복하기까지의 시간으로 간주하였다. sub-hypnotic dosage of pentobarbital-treated 실험에서 수면개시 계산 방법은 아래 식(2)와 같다.
식(2)
수면개시(sleep onset, %)=(No.falling asleep)/(Total No.)×100
3) Hypnotic 농도의 펜토바비탈에 의해 유도된 쥐에서 감태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수면 유도 효과
감태 에탄올 추출물(ECK-E) 및 물 추출물(ECK-W)을 100, 250, 500, 1,000 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p.o.)한 후 펜토바비탈(45 mg/kg, i.p.)에 의한 수면유도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하기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각 그래프는 평균값(means±SEM, n=10)을 나타낸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하고, #은 p<0.05에서, ##은 p<0.01에서 병용 투여한 그룹과 단일 투여한 그룹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태 에탄올 추출물(ECK-E)은 용량 의존적으로 입면시간을 감소시켰으며, 100 mg/kg을 제외한 농도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수면시간을 증가시켜 수면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감태 물 추출물(ECK-W)의 경우는 낮은 농도에서는 수면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500, 1,000 mg/kg의 농도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수면시간(sleep duration)의 유의적인 증가(p<0.01)와 입면시간(sleep latency)의 유의적인 감소(p<0.01)가 나타났다. 특히 감태 물 추출물(ECK-W) 1,000 mg/kg의 농도에서는 감태 에탄올 추출물(ECK-E)과 positive control인 DZP보다 유의적으로 감소(p<0.01)한 입면시간(sleep latency)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Sub-hypnotic 농도의 펜토바비탈에 의해 유도된 쥐에서 감태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수면 유도 효과
감태 에탄올 및 물추출물이 sub-hypnotic (펜토바비탈 30 mg/kg, 복강주사)농도에서의 입면시간(sleep latency)과 수면시간(sleep duration)을 측정하여 수면유도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하기 [표 4]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감태에탄올 추출물은 sub-hypnotic 농도의 펜토바비탈에서 대조 그룹은 수면을 유도하지 못했지만, 다이아제팜(2 mg/kg, 경구투여)은 수면 개시가 100%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모두가 수면상태로 들었다. 감태 에탄올 및 물추출물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수면개시(sleep oneset)의 입면시간(sleep latency) 증가와 수면시간(sleep duration)의 증가가 나타났으며, 특히, 1000 mg/kg의 농도에서는 수면개시가 각각 92%와 90%로 높게 나타났다. 수면시간(sleep duration)도 각각 38.7±6.3 분과 39.93±4.7 분으로 유의적인 증가(p<0.05)를 나타냈다.
그룹 투여량(mg/kg) 수면상태/전체(수) 수면개시(%) 수면시간(분)
CON 2/12 17 7.3±1.1
DZP 2 12/12 100 55.4±4.8***
ECK-E 100 7/12 58 12.7±2.1
250 8/12 67 15.1±4.4
500 10/12 83 19.7±3.4
1000 11/12 92 38.7±6.3*
그룹 투여량(mg/kg) 수면상태/전체(수) 수면개시(%) 수면시간(분)
CON 1/10 10 11.7±0.0
DZP 2 10/10 100 62.7±4.8***
ECK-W 100 3/10 30 11.7±1.1
250 5/10 50 16.8±4.8
500 7/10 70 33.93±2.6
1000 9/10 90 39.93±4.7*
상기 [표 4]과 [표 5]는 CON(0.5%, CMC-saline 10 mL/kg), 감태 에탄올 추출물(ECK-E, 각각 100, 250, 500, 1000 mg/kg), 감태 물 추출물(ECK-W, 각각 100, 250, 500, 1000 mg/kg)과 DZP(2 mg/kg)를 펜토바비탈 투여 45분 전에 경구 투여한 결과로서,
수면개시(sleep onset, %) = (수면상태 수/전체 수)×100
수면시간(sleep duration)은 평균값(mean±SEM, n=12)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고,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다.(Dunnet's test).
CON : 대조군 (0.5% CMC-saline 10 mL/kg)을 경구투여 후 펜토바비탈 투여
DZP : 다이아제팜(diazepam) 2 mg/kg을 경구투여 후 펜토바비탈 투여
ECK-E : 감태 에탄올 추출물 100, 250, 500, 1000 mg/kg을 경구투여 후 펜토바비탈 투여
ECK-W : 감태 물 추출물 100, 250, 500, 1000 mg/kg을 경구투여 후 펜토바비탈 투여
상기 [표 4] 및 [표 5]에서와 보는 바와 같이, 감태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입면시간의 증가와 수면시간의 증가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감태 추출물 분획의 GABA A -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및 수면 유도 효과
1) 감태 추출물 분획의 제조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에 결합하여 진정 및 수면 유도 등의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물 분획을 제조하였다.
2)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및 수면 유도 효과 실험결과
GABAA-벤조다이아제핀 리간드 [3H] 플루마제닐(flumazenil)의 결합 치환 효과는 실험예 1의 방법으로 확인하여, 각각의 감태 추출물 분획의 [3H] 플루마제닐(flumazenil)의 결합 치환 효과를 도 4a에 나타내었고, Hypnotic 농도의 펜토바비탈에 의해 유도된 쥐에서 감태 추출물 분획의 수면 유도 효과를 실험예 3의 방법으로 확인하여 도 4b에 나타내었다.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이 가장 낮은 IC50 값(0.0185 mg/mL)을 나타내었고, n-부탄올, n-헥산 및 물 분획은 IC50 값이 각각 0.1033, 0.1405 및 0.9607을 나타내었다(도 4a).
수면 유도 효과와 관련해서도 상기 [3H] 플루마제닐(flumazenil)의 결합 치환 활성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100 및 200 mg/mL 모두에서 수면시간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물 분획은 200 mg/mL에서도 의미있는 수면 유도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도 4b).
상기 결과로부터 감태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에 친화력을 가져서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 함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5: 감태 추출물 분획의 총페놀함량과 GABA A -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및 수면 유도 효과의 상관관계
감태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는 갈조류 특유의 폴리페놀인 플로로탄닌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GABAA-벤조다이아제핀 리간드 [3H] 플루마제닐(flumazenil)의 결합 치환 효과 및 수면 유도 효과가 플로로탄닌에 의한 것일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감태 추출물 분획의 총페놀함량을 분석하고, 총페놀함량과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및 수면 유도 효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표 6]은 감태 추출물 분획의 총페놀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총페놀함량(TPC)가 가장 높고, 물 분획에서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감태 에탄올 추출물(ECK-E)의 총페놀함량은 138.5 mgPEG/g으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n-부탄올 분획이 감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총페놀함량이 높았다.
Fractions n-Hexane EtOAc n-Butanol H20 ECK-E
TPC (mg PGE/g) 102.9±0.8 685.7±14.6 262.6±12.2 30.4±2.8 138.5±2.4
상기 각 감태 추출물 분획의 총페놀함량(TPC)와 [3H] 플루마제닐(flumazenil)의 결합에 대한 IC50의 상관관계를 도 5a에 나타내었고, 각 감태 추출물 분획의 총페놀함량(TPC)와 수면시간의 상관관계를 도 5b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5a 및 도 5b에 따르면 각 추출물 분획의 결합 활성과 수면 유도 효과는 총페놀함량에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결합 활성의 비선형회기 분석에 따른 계수(R2)는 0.9544이었고, 수면시간과 총페놀함량 사이에도 100 mg/kg 농도에서는 R2가 0.8396, 200 mg/kg 농도에서는 R2가 0.9051로서 상관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감태 추출물 분획과 감태 에탄올 추출물에 포함된 플로로탄닌 화합물의 종류 및 함량(mg/g)을 분석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Constituents n-Hexane EtOAc n-Butanol H20 ECK-E
Phloroglucinol - 16.14 - - 7.59
Eckstolonol - 21.83 - - 4.06
Eckol - 33.26 37.55 - 18.11
Triphlorethol-A 11.19 21.46 24.56 9.15 9.79
Dieckol 9.31 274.73 115.00 6.09 53.22
Total 20.49 367.42 177.11 15.24 92.77
상기 각 감태 추출물 분획 및 감태 에탄올 추출물에서 검출된 플로로탄닌 화합물은 플로로글루시놀, 엑콜, 엑스톨로놀, 트리플로레톨-A 및 디엑콜이었다. 각 플로로탄닌 화합물들의 구조는 도 6에 나타내었다.
결합 활성과 수면 유도 효과가 높았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n-부탄올 분획에서 총 플로로탄닌 화합물의 함량이 367.42 mg/g 및 177.11 mg/g으로 n-헥산 분획 및 물 분획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또한 각각의 분획에서 총 플로로탄닌 화합물의 함량과 수면시간의 상관관계는 100 mg/kg 농도에서는 R2가 0.9682, 200 mg/kg 농도에서는 R2가 0.9434로서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플로로탄닌 화합물의 GABA A -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상기 각 감태 추출물 분획에 존재하는 플로로탄닌 화합물들의 GABAA-벤조다이아제핀 리간드 [3H] 플루마제닐(flumazenil)의 결합 치환 효과를 나타내는 IC50값과 결합 친화도(Ki)를 계산하여 [표 8]에 나타내었다. 결합 친화도(Ki)는 아래 식(3)과 같이 계산하였다.
식(3)
Ki=(IC50)/(1+([L]/Kd))
([L]: the concentration of the radio-ligand ([3H]-flumazenil) used, Kd: the competitor-ligand dissociation equilibrium constant for [3H]-flumazenil. The Kd value is 1.6 nM)
Figure 112011086277275-pat00001
플로로탄닌 화합물의 결합 친화도의 상대적 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양성 대조구으로 디아제팜(DZP)를 사용하였다. 엑콜과 엑스톨로놀은 트리플로레톨-A나 디엑콜에 비해 결합 친화도가 높았고, 플로로탄닌의 기본 골격이 되는 플로로글루시놀의 경우 1000 μM에서 42.25%의 저해를 나타내어 결합 친화도가 다른 플로로탄닌에 비해 높지 않았다.
실험예 7: 갈조류 추출물의 총페놀함량과 GABA A -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및 수면 유도 효과의 상관관계
상기 [표 3]의 갈조류 중에서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이 다른 참가죽그물바탕말(Dictyota coriacea), 가시뼈대그물말(Dictyopteris prolifera Okamura), 감태(Ecklonia cava Kjellman)를 선별하고,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이 높았던 감태와 동일속의 검둥감태(Ecklonia kurome)를 추가하여 각각의 메탄올 추출물의 총페놀함량을 측정하고, 총페놀함량과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및 수면 유도 효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표 9]는 4종의 갈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총페놀함량을 측정한 것으로,감태 추출물 분획의 총페놀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검둥감태는 감태와 총페놀함량이 유사하였고, 가시뼈대그물말, 참가죽그물바탕말 순서로 함량이 낮아졌다.
Family Species TPC (mg PGE/g)
Alariaceae
Ecklonia cava Kjellman 138.5±2.4
Ecklonia kurome 141.2±1.3
Dictyotaceae Dictyopteris prolifera Okamura 63.8±4.9
Sargassaceae Dictyota coriacea 42.1±2.0
상기 검둥감태 메탄올 추출물, 감태 메탄올 추출물, 가시뼈대그물말 메탄올 추출물 및 참가죽그물바탕말 메탄올 추출물의 총페놀함량(TPC)와 10 mg/mL농도에서의 [3H] 플루마제닐(flumazenil)의 결합 활성의 상관관계를 도 7a에 나타내었고, 각 갈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총페놀함량(TPC)와 수면시간의 상관관계를 도 7b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5a 및 도 5b에서 감태 추출물 분획의 총페놀함량에 따라 결합 활성과 수면 유도 효과가 총페놀함량에 비례하는 것과 동일하게, 도 7a 및 도 7b에서도 각각의 갈조류의 총페놀함량과 결합 활성이나 수면 유도 효과가 비례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검둥 감태 추출물의 GABA A -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및 수면 유도 효과
감태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같은 속에 속하는 검둥감태 역시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및 수면 유도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였다.
도 8a는 검둥감태 메탄올 추출물의 방사성 표지된 GABAA-벤조다이아제핀 리간드 [3H] 플루마제닐의 결합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검둥감태 메탄올 추출물(EKO-M)의 경우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농도의존적으로 높아졌으며, IC50 값은 0.626 mg/mL이었다.
또한 도 8b와 도 8c는 감태 메탄올 추출물(ECK-M)과 검둥감태 메탄올 추출물(EKO-M)이 hypnotic 농도의 펜토바비탈(45 mg/kg, 복강주사)에서의 입면시간(sleep latency)과 수면시간(sleep duration)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으로, 검둥감태 메탄올 추출물은 수면시간에 있어서 유의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9: 갈조류 추출물과 다이아제팜 병용경구투여에 대한 펜토바비탈 수면유도 시너지 효과
감태 에탄올 및 물 추출물과 다이아제팜의 병용경구투여에 대한 수면유도 시너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펜토바비탈의 수면유도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을 만큼의 낮은 농도로 ECK-E는 100 mg/kg, ECK-W는 100 mg/kg, DZP는 0.5 mg/kg을 펜토바비탈 투여(hypnotic dosage 45 mg/kg) 45분 전에 경구 투여하여 입면시간(sleep latency)과 수면시간(sleep duration)을 측정한 그 결과를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었다. 각 그래프는 평균값(means±SEM, n=10)을 나타낸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하고, #은 p<0.05에서, ##은 p<0.01에서 병용 투여한 그룹과 단일 투여한 그룹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Unpaired Student's t-test) 그리고, NS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9a 및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태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을 DZP와 병용투여했을 때 수면시간에 있어서 유의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0: 플루마제닐이 갈조류 추출물의 수면 유도 효과에 미치는 영향
GABAA-벤조다이아제핀 길항제인 플루마제닐(FLU)이 실험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감태 에탄올 추출물(ECK-E), 감태 물 추출물(ECK-W) 및 실험예 4의 방법으로 제조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EtOAc)의 수면유도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ECK-E는 1000 mg/kg, ECK-W는 1000 mg/kg, EtOAc는 200 mg/kg, DZP는 0.5 mg/kg을 펜토바비탈 투여(hypnotic dosage 45 mg/kg) 45분 전에 경구투여하였고, FLU는 8 mg/kg을 ECK-E, ECK-W, EtOAc, DZP 경구 투여 10분전에 미리 복강 주사하여 입면시간(sleep latency)과 수면시간(sleep duration)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었다. 각 그래프는 평균값(means±SEM, n=10)을 나타낸다.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5에서, **은 p<0.01에서, ***은 p<0.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음(Dunnet's test)을 의미하고,
#은 p<0.05에서, ##은 p<0.01에서, ###은 p<0.001에서, 플루마제닐을 처리한 그룹과 처리하지 않는 그룹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Unpaired Student's t-test) 그리고 NS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a 및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표적인 수면제 중의 하나인 다이아제팜은 잘 알려진 GABAA-벤조다이아제핀의 활성 효능제로서, 다이아제팜의 수면효과는 GABAA-벤조다이아제핀 길항제인 플루마제닐에 의해 억제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태 물 추출물(ECK-W), 에탄올 추출물(ECK-E)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EtOAc)도 수면제 다이아제팜과 마찬가지로 GABAA-벤조다이아제핀 길항제인 플루마제닐에 의해 그 효과가 억제되었다.
상기 결과에서, 갈조류 추출물은 기존의 수면제인 디아제팜과 마찬가지로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에 친화력을 가지며 효능제의 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도 수면유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디아제팜과 마찬가지로 GABAA-벤조다이아제핀 길항제에 의해 그 효과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1: 갈조류 추출물이 쥐의 수면구조에 미치는 영향
SD rat(200-250 g)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 및 근전도도(Electromyogram, EMG) 측정을 위해 전극 삽입 수술을 실시하였다. Rat를 펜토바비탈(50 mg/kg, i.p.)로 마취시키고 뇌정위기(stereotaxic instrument)에 두부를 고정시켰다. 두부 피하 결합조직을 절개한 후 EEG 및 EMG 측정을 위하여 stainless-steel screw 와 silver electrode line을 삽입하였다. 이후 치과용 dental cement로 고정시키고 봉합하였다. 수술부위의 소독 및 항생제 투여를 3일 동안 실시하여 수술로 인한 염증을 예방하였으며, 7일간 회복기간을 두었다. 측정환경에 적응시키기 위하여 측정 4일 전부터 control 실험군에 사용하는 0.5% CMC-saline 용액을 경구투여(p.o.)한 후 recording 장치를 연결하여 본 실험과정에 순응하도록 유도하였다.
EEG 및 EMG는 PAL-8200 series(Pinnacle Technology Inc, Oregon, USA)를 이용하여 10:00부터 16:00까지 6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EEG 및 EMG의 sampling rate는 200 Hz로 설정하고(epoch time : 10초), EEG는 0.1-25 Hz, EMG는 10-100 Hz의 필터 영역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기록하였다.
수면구조 분석은 fast Fourier transform(FFT)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SleepSign 프로그램(Ver. 3.0, Kissei Comtec, Nagono, Japan)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wake, REM sleep(rapid eye movement, theta band: 6-10 Hz), NREM sleep(non-rapid eye movement, delta band: 0.65-4 Hz)으로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Sleep latency(입면시간)는 10초 epoch 단위의 NREM 수면이 12번 이상 연속적으로 나타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설정하였다.
도 1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태 에탄올 추출물 500 mg/kg을 경구투여 하여 수면 구조를 분석한 결과 입면시간(sleep latency)이 40.7분에서 31.8분으로 약 9분정도 유의적으로 단축 되었다.
또한 도 11b의 수면 구조에서 NREM 수면시간이 42.5%에서 54.6%로 약 12% 증가하면서 수면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실험예 12: 플로로탄닌 농축 분획의 항경련 효과
실험예 1에서 90% 이상의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이 가장 뛰어났던 감태(Ecklonia cava Kjellman, ECK)에서 효소를 이용한 효소 추출물을 얻고, 그 효소 추출물에서 플로로탄닌 농축 분획을 얻어, 효소추출물(ECEE) 및 플로로탄닌 농축 분획(PTRF)의 총페놀함량 및 항경련 효과를 확인하였다.
1) 효소추출물(ECEE) 및 플로로탄닌 농축 분획(PTRF)의 제조
1 kg의 동결건조 감태 분말과 증류수 10 L를 혼합한 후, 셀룰라아제(Celluclast , Novo Nordisk, Bagsvaerd, Denmark) 10 mL를 첨가하고 50 ℃에서 24 시간 반응시키고, 100 ℃에서 10분 동안 효소를 불활성화시켰다. 3000 x g에서 2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가수분해되지 않은 잔사를 제거하여 얻은 여액을 얻고, 이를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효소추출물(ECEE)을 얻었다.
상기 효소추출물을 동결건조하기 전의 농축물을 70% 에탄올과 혼합한 후 24시간 교반하고, 교반한 혼합물을 3500 x g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와트만 여과지 No.1으로 잔사를 제거하여 여액을 얻고, 이를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플로로탄닌 농축 분획(PTRF)를 얻었다.
2) 피크로톡신(picrotoxin) 유도 발작(seizure) 시험
실험동물은 실험예 3과 같이 준비하고, 쥐에 대조군(CON, 0.5%, CMC-saline 10 mL/kg), ECEE 및 DZP를 경구 투여하였고, 경구 투여 45분 후, 7 mg/kg의 피크로톡신을 정맥주사하여 발작을 유도하였다. 피크로톡신을 투여한 쥐는 바로 개별 케이지에 넣고 90분 동안 관찰하여, 경련의 횟수와 피크로톡신 투여 후부터 발작의 발현까지의 발작 잠재 기간을 기록하였다. 90분동안 발작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 발작 잠재 기간은 0분으로 기록하였다.
3) 실험결과
[표 10]은 효소추출물(ECEE) 및 플로로탄닌 농축 분획(PTRF)의 총페놀함량을 나타낸 것이고, Residue는 RTRF를 제외한 ECEE부분을 의미한다. 플로로탄닌 농축 분획에는 효소추출물에 비하여 6 배 이상 많은 총페놀함량을 나타내었다.
Fractions ECEE PTRF Residue
TPC (mg PGE/g) 98.4±1.6 630.2±11.3 26.6±2.8
효소추출물(ECEE)의 항경련 효과는 [표 11]에 나타내었고, 플로로탄닌 농축 분획(PTRF)의 항경련 효과는 [표 12]에 나타내었다.
Groups Dose
(mg/kg)
No. mice
Convulsed
/total
Final mortality
(%)
Latency of tonic convulsion (min)
CON 10/10 80 8.7±0.2
DZP 2 5/10 20 30.4±2.1**
ECEE


100 10/10 80 9.3±0.3
250 10/10 70 10.7±0.5
500 10/10 60 11.8±0.7
1000 7/10 40 21.8±2.7**
**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다.(Dunnet's test)
[표 11]에서 대조군(CON)의 최종 사망율은 80% 이었고,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디아제팜(DZP)은 발작 잠재기간이 현저히 지연되었다. 효소추출물(ECEE)의 경우에도 용량의존적으로 최종 사망율을 낮추고 발작 잠재기간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1000 mg/kg 용량에서 유의미한 발작 잠재기간의 증가가 나타났다.
Groups Dose
(mg/kg)
No. mice
Convulsed
/total
Final mortality
(%)
Latency of tonic convulsion (min)
CON 10/10 90 9.0±0.9
DZP 2 3/10 10 28.4±2.1**
PTRF


25 10/10 90 10.7±0.7
50 7/10 50 14.2±1.9
100 5/10 40 19.8±2.5*
250 4/10 20 25.2±3.3**
RES 250 10/10 90 9.2±1.4
[표 12]에서 플로로탄닌 농축 분획(PTRF)은 효소추출물(ECEE)와 마찬가지로 최종 사망율을 낮추고 발작 잠재기간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ECEE에 비해서 1/4 내지 1/10 정도의 용량으로도 ECEE와 동등한 수준의 항경련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13: 통계분석
50% 억제농도(IC50) 값은 Prism 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ne-site competition binding model을 적용시켜 산출하였다. 모든 실험의 결과는 평균과 표준오차(means±SEM)으로 나타내었고, 각 군과 대조구의 통계적인 비교는 Dunnet's test에 의한 One-way-analysis of variance(ANOVA)를 통해서 평가하였다. 유의 수준의 표시는 p<0.05(*), P<0.01(**), p<0.001(***)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이는 결과를 별표로 표시하였다. 두 그룹간의 데이터 비교는 Unpaired Student's t-test에 의해서 분석하였고, p<0.05(#), p<0.01(##), p<0.001(###) 수준에서 두 그룹간의에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표시하였다.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Prism 5.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험예 1에서 얻은 감태 에탄올 추출물 분말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험예 1에서 얻은 감태 에탄올 추출물 분말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험예 1에서 얻은 감태 에탄올 추출물 분말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험예 1에서 얻은 감태 에탄올 추출물 분말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험예 1에서 얻은 감태 에탄올 추출물 분말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실험예 1에서 얻은 감태 에탄올 추출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험예 1에서 얻은 감태 에탄올 추출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2)

  1. 감태(Ecklonia cava), 가시뼈대그물말(Dictyopteris prolifera Okamura), 참그물바탕말(Dictyota dichotoma Lamouroux),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C.Agardh), 쌍발이모자반(Sargassum patens C.Agardh) 및 패(Ishige okamurae Yendo)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갈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GABA(감마-아미노부티르산)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항불안, 항경련(anti-convulsant), 진정 또는 불면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갈조류 추출물은 갈조류 물 추출물, 갈조류 에탄올 추출물, 갈조류 메탄올 추출물, 또는 물, 에탄올 및 메탄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 이상의 용매의 혼합용매에 의한 갈조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감마-아미노부티르산)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항불안, 항경련(anti-convulsant), 진정 또는 불면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갈조류 물 추출물은 40 ~ 100℃의 물로 2 ~ 48시간 동안 갈조류를 추출하여 제조하고, 갈조류 에탄올 추출물은 갈조류를 35 ~ 75%의 에탄올로 20 ~ 60℃에서 2 ~ 36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하며, 상기 갈조류 메탄올 추출물은 갈조류를 35 ~ 85%의 메탄올로 20 ~ 60℃에서 2 ~ 36 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감마-아미노부티르산)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항불안, 항경련(anti-convulsant), 진정 또는 불면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갈조류 물 추출물은 셀룰라아제, 비스코자임, 알칼라아제 및 펙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효소를 첨가한 물로 40 ~ 55℃에서 2 ~ 24시간 갈조류를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감마-아미노부티르산)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항불안, 항경련(anti-convulsant), 진정 또는 불면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감태(Ecklonia cava), 가시뼈대그물말(Dictyopteris prolifera Okamura), 참그물바탕말(Dictyota dichotoma Lamouroux),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C.Agardh), 쌍발이모자반(Sargassum patens C.Agardh) 및 패(Ishige okamurae Yendo)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갈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또는 수면 유도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갈조류 추출물은 갈조류 물 추출물, 갈조류 에탄올 추출물, 갈조류 메탄올 추출물, 또는 물, 에탄올 및 메탄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 이상의 용매의 혼합용매에 의한 갈조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또는 수면 유도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산제, 과립제 및 캅셀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제화 된 건강기능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또는 수면 유도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10113356A 2011-01-03 2011-11-02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260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547313A JP2014505683A (ja) 2011-01-03 2011-12-21 フロログルシノール、フロロタンニンまたは褐藻類抽出物を含むギャバa型−ベンゾジアゼピン受容体活性用組成物、及び抗不安、抗痙攣、鎮静作用、及び睡眠誘導及び改善用組成物
PCT/KR2011/009916 WO2012093787A2 (ko) 2011-01-03 2011-12-21 플로로글루시놀, 플로로탄닌 또는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JP2015148581A JP6014731B2 (ja) 2011-01-03 2015-07-28 褐藻類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gabaa−ベンゾジアゼピン受容体活性を有する睡眠誘導及び改善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0196 2011-01-03
KR1020110000196 2011-01-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539A Division KR20130020701A (ko) 2011-01-03 2013-01-09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995A KR20120091995A (ko) 2012-08-20
KR101260696B1 true KR101260696B1 (ko) 2013-05-13

Family

ID=4671216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356A KR101260696B1 (ko) 2011-01-03 2011-11-02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0110113355A KR101260697B1 (ko) 2011-01-03 2011-11-02 플로로글루시놀 또는 플로로탄닌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0130002539A KR20130020701A (ko) 2011-01-03 2013-01-09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355A KR101260697B1 (ko) 2011-01-03 2011-11-02 플로로글루시놀 또는 플로로탄닌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0130002539A KR20130020701A (ko) 2011-01-03 2013-01-09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2014505683A (ko)
KR (3) KR1012606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613B1 (ko) * 2014-06-05 2017-12-04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경단구슬모자반 분말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210111415A (ko) 2020-03-03 2021-09-13 (주)리얼베이스 L-테아닌을 포함하는 수면 개선용 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749B1 (ko) * 2013-03-27 2014-12-2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패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또는 수면 유도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08549B1 (ko) * 2016-12-28 2018-10-1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유도 기능을 가지는 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823673B1 (ko) 2017-01-18 2018-01-30 배대열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수면유도 조성물
KR101899546B1 (ko) * 2017-05-11 2018-09-17 한국식품연구원 플로로글루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수면 장애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gaba a 수용체 효능제의 내성 억제 또는 부작용 경감용 조성물
KR102154052B1 (ko) * 2017-10-26 2020-09-10 주식회사 보타메디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및 제품
KR102205207B1 (ko) * 2019-04-26 2021-01-20 주식회사 그린러쉬 농업회사법인 대마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KR102588771B1 (ko) 2021-05-24 2023-10-1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불레기말 또는 반질불레기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감소에 의한 증상 완화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548951B1 (ko) * 2021-08-12 2023-06-29 주식회사 머스카 천연물의 수면 유도 및 수면 질 향상 용도
KR102646051B1 (ko) * 2022-09-22 2024-03-13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4539B1 (ko) * 2022-12-16 2023-08-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6941B2 (en) * 2000-09-06 2003-12-02 Neurogen Corporation Aryl substituted tetrahydroindazoles
JP3543175B2 (ja) * 2001-01-16 2004-07-14 北海道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物質
JP2006241039A (ja) * 2005-03-02 2006-09-14 Nagase & Co Ltd ウレアーゼ阻害剤
JP2007217339A (ja) * 2006-02-16 2007-08-30 Kanehatsu Foods Co Ltd 抗アレルギー物質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 Pharm. Res. 28권, 6호, 691-698쪽. (2005)*
Nature 314, 168-171쪽 (198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613B1 (ko) * 2014-06-05 2017-12-04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경단구슬모자반 분말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210111415A (ko) 2020-03-03 2021-09-13 (주)리얼베이스 L-테아닌을 포함하는 수면 개선용 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14731B2 (ja) 2016-10-25
KR101260697B1 (ko) 2013-05-10
KR20130020701A (ko) 2013-02-27
KR20120091995A (ko) 2012-08-20
JP2016006077A (ja) 2016-01-14
JP2014505683A (ja) 2014-03-06
KR20120079003A (ko)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696B1 (ko)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336411B1 (ko) 쌀 추출물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KR20090036579A (ko) 손상된 신경전달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품
KR101382099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경련용 조성물
KR101468551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75087B1 (ko) 멀베로푸란 g, 상게논 g 및 상게놀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32653A (ko) 쌀겨 추출물 또는 쌀겨 분말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KR101474749B1 (ko) 패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또는 수면 유도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84942B1 (ko) 천우슬을 이용한 관절염 치료제
US11439603B2 (en) Compositions for ameliorating, preventing or treating somnipathy including phloroglucinol as active ingredient and compositions for suppressing intolerance to or alleviating side effects of agonist at benzodiazepine binding site of GABA-A receptor including phloroglucinol as active ingredient
KR101401612B1 (ko) 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333982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또는 수면유도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41044B1 (ko)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20150005482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51883B1 (ko) 왕겨 추출물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KR101444098B1 (ko)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
KR101753057B1 (ko) 인지기능장애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56651A (ko)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조성물
KR101457442B1 (ko) 감마오리자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조성물
KR102545762B1 (ko) 세모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1557B1 (ko)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gabaa 수용체 효능제의 내성 억제 또는 부작용 경감을 위한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87132B1 (ko) 질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6064B1 (ko) 익모초 추출물 및 박하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20245B1 (ko) 유효성분으로 감초 추출물 및 합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