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052B1 -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및 제품 - Google Patents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및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052B1
KR102154052B1 KR1020180127551A KR20180127551A KR102154052B1 KR 102154052 B1 KR102154052 B1 KR 102154052B1 KR 1020180127551 A KR1020180127551 A KR 1020180127551A KR 20180127551 A KR20180127551 A KR 20180127551A KR 102154052 B1 KR102154052 B1 KR 102154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fluorotannin
weight
sk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681A (ko
Inventor
이행우
김성호
신현철
천현철
윤진석
김주희
양용선
강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타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타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타메디
Publication of KR20190046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4Endothermic; Cooling; Cooling s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위, 자외선, 황사, 미세먼지, 운동, 노동, 감정고조로 인한 피부 발열에 적용하여 냉각효과를 내고 피부노화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액상 에센스 및 미스트, 시트 마스크팩 등의 형태로 적용할 수 있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방부제, 흡열제 등의 화학약품이 포함된 기존 제품들과 달리 부작용 문제가 없고, 지속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안전한 천연유래 조성물 및 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및 제품 {Compositions containing phlorotannin for cooling skin and product thereof}
본 발명은 피부에 적용하여 더위, 자외선, 황사, 미세먼지 등의 외부자극과 운동, 노동, 감정 고조, 호르몬 이상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의 발열로 인한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피부의 냉각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방부제를 넣지 않아 부작용이 없고 냉각제 및 멘톨과 같이 순간적인 냉각효과가 아닌 지속적인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제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전으로 인해 매년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지구 온난화로 여름철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더위 및 자외선 등으로 인한 피부 발열은 불쾌감을 유발하고 피부의 홍조 및 발적을 일으켜 사회 생활에 불편을 준다. 이러한 피부발열은 비단 더위뿐만 아니라 운동, 노동, 감정고조, 호르몬이상, 황사, 미세먼지 등으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역시 불쾌감 증가, 신체 효율 저하를 유발한다.
현재 피부 냉각을 위하여 유통되고 있는 제품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인 마스크팩은 1회 분량의 액상 에센스가 포함된 마스크시트가 밀봉 포장된 형태이다. 피부 냉각의 효과를 갖는 마스크팩 제품의 경우 냉각 스틱을 포함하거나, 시원한 느낌을 주는 멘톨, 민트등의 원료가 포함되어 있다. 냉각스틱이 적용된 마스크팩은 사용 전 냉각 스틱을 터트려 마스크팩을 냉각시켜 피부에 적용했을 때 냉각 효과를 낸다. 하지만 피부표면에 차가운 마스크팩를 적용하는 경우 즉시 시원한 느낌이 발생하나, 극히 일시적인 효과만을 기대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멘톨, 민트와 같은 원료가 적용된 마스크팩 또한 신경말단의 냉각수용체를 자극하여 일시적으로 시원한 느낌은 주지만 실질적인 냉각 효과가 아니며,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자극적인 느낌이나 향을 싫어하는 소비자의 경우 사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마스크팩은 보관 중 제품의 변질을 막기 위해 방부제를 첨가하는데 이는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피부 발열로 인한 불쾌감 해소 및 피부 미용효과 증대를 위하여 기존의 선행기술(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700726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7007276호)에는 피부 발열 시 피부를 냉각시킬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피부 냉각을 위해 고농도의 유기 화합물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피부 장벽인 유분막을 파괴할 가능성이 있고, 화학 약품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의 위험이 존재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농도의 조성물 사용으로 인하여 다양한 제품 개발에 제한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에 존재하는 유분막에 대한 영향이 없이 피부에 직접 작용하여 직접적이고, 지속적인 냉각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조성물과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아 자극이 거의 없으며 사용이 간편한 제품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7007261호 (공개특허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7007276호
본 발명은 피부에 적용하여 더위, 자외선, 황사, 미세먼지, 감정고조, 호르몬이상, 운동, 노동 등으로 인한 피부 발열을 개선할 수 있는 안전하면서 지속적인 효과를 갖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및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화학물질로 인한 부작용, 짧은 냉각 지속시간 등 기존 조성물 및 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그리고 제품의 적용은 액상 에센스, 미스트 및 시트 마스크팩 등의 다양한 형태로 하여 장소와 시간에 제약없이 사용이 편리하게 하고자 한다. 또한 천연물질을 기본으로 하여 피부냉각 효과의 지속성이 길면서도 피부 자극성이 극소화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로로탄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냉각용 조성물 및 제품은 피부에 간편한 방법으로 직접 적용하여 외부 또는 내부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피부의 발열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발열을 해소함으로써 피부건강을 개선하고, 피부미용을 개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제품의 용매가 증발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피부 냉각용 조성물 및 제품은 천연유래 소재를 포함하고 방부제, 항생제나 화학세정제를 포함하지 않아 피부 자극이 적고, 부작용의 염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비교예의 피부냉각 효과를 비교한 도이다.
도 2는 실시예 3의 제품과 비교제품의 피부냉각 효과를 비교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더위, 자외선자극, 감정고조, 호르몬 이상, 운동 등에 의해 피부에 발열이 생기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유발한다.
1. 피부의 발열로 인한 발적현상으로 인한 심미성 저하
2. 피부 발열로 인한 피부염증 및 피부질환 위험성 증가
3. 피부 발열로 인한 가려움, 따끔거림, 발적 등의 피부자극 발생
4. 피부 자극 증가로 인한 노화 촉진
위에 나열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피부의 발열을 경감할 수 있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나 멘톨과 같은 피부에 시원한 느낌만을 주는 형태이거나 휘발성 용매를 이용한 자극적인 제품, 냉매제를 이용한 단기효과 제품이 주를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피부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떨어뜨리고, 천연유래원료를 사용해 피부에 자극이 적으며, 보다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활용한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플로로탄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플로로탄닌은 해조류 유래의 폴리페놀성 물질이다.
본 발명의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를 냉각하여 피부자극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어 피부건강을 개선한다.
상기의 피부 냉각용 조성물은 플로로탄닌 화합물을 20 ~ 100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플로로탄닌 외에 탄수화물 성분으로서 만니톨, 알긴산, 푸코이단, 라미나란 및 지질 성분으로서 푸코스테롤, 푸코잔틴 등으로 구성되는 성분 중 1종 이상을 추가적으로 0-80중량%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플로로탄닌은 천연유래 성분으로 통상적인 모든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즉, 시판되는 시약을 사용하여 합성할 수도 있으면 천연물, 특히 해조류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얻을 수도 있다.
상기 플로로탄닌은 해조류, 특히 갈조류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대황(Eisenia bicyclis), 아이세니아 아르보레아(Eisenia arborea), 아이세니아 데스마레스티오데스(Eisenia desmarestioides), 아이세니아 갈라파제니스(Eisenia galapagensis), 아이세니아 매소니(Eisenia masonii), 검둥감태(Ecklonia kurome), 감태(Ecklonia cava), 곰피(Ecklonia stolonifera), 바다대나무(Ecklonia maxima), 에클로니아 라디아타(Ecklonia radiata), 에클로니아 바이시클리스(Ecklonia bicyclis), 에클로니아 바이런시네이트(Ecklonia biruncinate), 에클로니아 부시날리스(Ecklonia buccinalis), 에클로니아 카에파에스팁스(Ecklonia caepaestipes), 에클로니아 엑사스퍼타(Ecklonia exasperta), 에클로니아 파스티기아타(Ecklonia fastigiata), 에클로니아 브레빕스(Ecklonia brevipes), 에클로니아 아라보레아(Ecklonia arborea), 에클로니아 라티폴리아(Ecklonia latifolia), 에클로니아 무라티(Ecklonia muratii), 에클로니아 라디코사(Ecklonia radicosa), 에클로니아 리타디아나(Ecklonia richardiana) 및 에클로니아 라이티(Ecklonia wrightii)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추출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하기 화학식 1 ~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선택되는 1종이상의 플로로탄닌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05183539-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8105183539-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8105183539-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8105183539-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18105183539-pat00005
[화학식 6]
Figure 112018105183539-pat00006
[화학식 7]
Figure 112018105183539-pat00007
[화학식 8]
Figure 112018105183539-pat00008
[화학식 9]
Figure 112018105183539-pat00009
[화학식 10]
Figure 112018105183539-pat00010
[화학식 11]
Figure 112018105183539-pat00011
[화학식 12]
Figure 112018105183539-pat00012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상기 화학식 2, 화학식 4, 화학식 5 및 화학식 8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플로로탄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중량에 대하여 화학식 2의 플로로탄닌 1 ~ 65중량%, 화학식 4의 플로로탄닌 0.3 ~ 45중량%, 화학식 5의 플로로탄닌 0.1 ~ 60중량% 및 화학식 8의 플로로탄닌 0.1 ~ 60중량%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상기 화학식 2, 화학식 4, 화학식 5 및 화학식 8에서 선택되는 2종이상의 플로로탄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중량에 대하여 화학식 2의 플로로탄닌 1 ~ 60중량%, 화학식 4의 플로로탄닌 0.3 ~ 20중량%, 화학식 5의 플로로탄닌 0.1 ~ 10중량% 및 화학식 8의 플로로탄닌 0.1 ~ 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중량에 대하여 화학식 2의 플로로탄닌 1-65중량% 및 화학식 4의 플로로탄닌 0.3-4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중량에 대하여 화학식 5의 플로로탄닌 1-60중량% 및 화학식 8의 플로로탄닌 0.3-6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화학식 1의 플로로탄닌 0.1 ~ 3중량%, 화학식 2의 플로로탄닌 5 ~ 63중량%, 화학식 3의 플로로탄닌 1 ~ 3중량%, 화학식 4의 플로로탄닌 0.5 ~ 34중량%, 화학식 5의 플로로탄닌 0.1 ~ 50중량%, 화학식 6의 플로로탄닌 0.5 ~ 8중량%, 화학식 7의 플로로탄닌 0.1 ~ 1중량%, 화학식 8의 플로로탄닌 0.1 ~ 46중량%, 화학식 9의 플로로탄닌 0.1 ~ 2중량%, 화학식 10의 플로로탄닌 0.1 ~ 7중량%, 화학식 11의 플로로탄닌 0.1 ~ 3중량% 및 화학식 12의 플로로탄닌 0.1 ~ 4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플로로탄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냉각용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냉각용 제품은 상기 플로로탄닌 조성물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은 액상 에센스, 분무형 미스트, 시트 마스크팩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은 플로로탄닌 조성물과 함께 에센스, 미스트 또는 마스크팩 제조를 위한 당업계의 통상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 특히 부형제와 혼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피부냉각용 제품은 아스코빅애씨드,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및 1,2-헥산디올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냉각용 제품은 화학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에서 플로로탄닌 조성물은 제품 총 중량 대비 0.001 ~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 0.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 0.1중량% 포함될 수 있다. 플로로탄닌이 상기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냉각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제품은 아스코빅애씨드(Ascorbic acid)를 0.001 ~ 0.5 중량%, 하이알루로닉애씨드를 0.01 ~ 1중량%, 1,2-핵산디올을 1.0 ~ 2.0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은 플로로탄닌 조성물, 아스코빅애씨드, 하이알루로닉애씨드, 1,2-헥산디올 및 물을 포함하는 액상 에센스, 분무형 미스트 및 시트 마스크팩 등으로 제품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냉각용 제품에 포함되는 총 플로로탄닌의 1일 사용량은 0.1 ~ 50 mg 정도가 바람직하나 사용량이 상기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일 사용량이 상기 범위인 경우 피부 냉각의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 플로로탄닌을 함유한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국내산 갈조류로부터 하기의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감태(Ecklonia cava)를 증류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음지에서 건조한 후, 이를 파쇄하였다. 추출용기에 상기 감태 500g을 담았으며, 상기 감태 중량 대비 20배의 30 중량% 주정 수용액을 첨가하고, 75 ~ 80℃에서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10㎛의 여과망에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1차 추출농축액을 얻었다. 상기 1차 추출농축액을 진공건조기로 건조한 후, 분쇄하여 1차추출물을 170g 얻었다.
상기 1차추출물을 50℃의 온수에 용해한 뒤, 흡착수지에 흡착시킨 후, 물로 세척하고 주정으로 용출하여 플로로탄닌 용출액을 얻었다. 상기 용출액을 1㎛의 여과망에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2차 추출농축액을 얻었다. 상기 2차 추출농축액을 진공건조기로 건조한 후, 분쇄하여 2차추추물을 30g 얻었다.
이후 2차추출물을 20배량의 증류수에 현탁하고, 동일량의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로 3회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얻었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감압 농축하고, 이 농축액을 진공건조기로 건조한 후, 분쇄하여 조성물 1을 10g 얻었다.
조성물 1을 30부피%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 조성물 2 및 3를 분리하였다. 분리는 15 ~ 80부피% 메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였고, 15 ~ 30부피% 농도의 메탄올 수용액으로 분리된 용액을 농축하여 조성물 2를 2g 얻었고, 30 ~ 80부피% 농도의 메탄올 수용액에서 분리된 용액을 농축하여 조성물 3을 7g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조성물 1 ~ 3 각각에 대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loading)하여 화합물 분리를 진행하였다. 이때 얻어진 화합물은 화학식 1 내지 12의 화합물임을 화합물 구조분석 장치 NM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조성물 1 ~ 3 각각에 대하여 60부피%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0.2㎛ 막여과지로 여과하여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loading)하였다.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컬럼은 HP ODS Hypersil, 용매는 증류수와 메탄올을 사용하였으며, 용매의 공급은 1.0㎖/분의 유속으로 메탄올 15부피%에서 70부피%까지 30분간에 걸쳐 선형구배(linear gradient)를 걸어 분석한 결과, 상기 화학식 1 내지 12의 화합물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상기 추출한 조성물 1 ~ 3의 화학적 조성을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시료 시료의 조성
조성물 1 화학식 2 17 중량%, 화학식 4 5 중량%, 화학식 5 5 중량%, 화학식 8 3 중량%, 그 외 화학식 1-12의 단일물 70 중량%를 포함하는 총 플로로탄닌 100중량%
조성물 2 화학식 5 50 중량%, 화학식 8 46 중량%, 그 외 화학식 1-12의 단일물 4중량%를 포함하는 총 플로로탄닌 100 중량%
조성물 3 화학식 2 63 중량%, 화학식 4 34 중량%, 그 외 화학식 1-12의 단일물 3중량%를 포함하는 총 플로로탄닌 100중량%
실시예 2. 조성물의 피부냉각 평가 실험
실시예 1의 피부냉각 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0명의 피험자 (남자 12명 여자 18명)에게 10분 이상 신체적 활동을 시켜 피부의 발열을 유도한 후 피시험자를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10분간 안정시켰다. 무작위로 6개의 군으로 나눈 후 적외선 온도계(Sincon, ST-102)를 이용하여 피부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적용전 온도). 피부 냉각 효과의 평가를 위해 조성물 1 ~ 3, 민트추출액 (비교예 1), 멘톨추출액 (비교예 2)을 정제수에 0.1 중량%의 비율로 용해시켜 각각의 수용액을 만들었다. 또한 정제수를 비교예 3으로 하였다. 각 조성물 및 비교예의 수용액을 피부에 적용하기 전에 상온에 2시간 방치하여 온도를 동일하게 만들고 피부에 적용하기 직전에 각각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각 조성물 및 비교예 1~3 수용액 각각 1cc를 사용하여 각 군별로 피험자의 왼쪽 뺨을 충분히 적신 직후 왼쪽 뺨의 피부 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적용직후 온도). 피험자를 안정한 상태로 10분간 방치한 후 왼쪽 뺨의 피부의 온도를 다시 측정하여 피부냉각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했다.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비교예의 피부냉각 효과의 피험자 평균치를 표 2에 나타내었고 이를 그래픽화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비교예 1
(민트추출물)
비교예 2
(멘톨추출물)
비교예 3
(물)
적용 전 온도 32.8 32.8 33.6 33.3 32.9 33.1
수용액의 온도 22.3 22.3 22.4 22.3 22.1 22.0
적용직후 온도 31.4 31.0 30.9 31.8 31.5 31.1
적용10분 후 온도 30.3 30.4 30.8 33.3 33.2 33.0
적용전후 온도차이 - 1.4 - 1.8 - 2.7 - 1.5 - 1.4 - 2.0
적용전, 적용 10분 후 온도 차이 - 2.5 - 2.4 - 2.8 0 + 0.3 - 0.1
* 단위 : ℃
상기 실험결과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 1 ~ 3의 경우 비교예 1 ~ 3에 비하여 피부냉각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적용 전과 적용 10분 후의 피험자의 피부 온도 결과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 1 ~ 3이 비교예 1 ~ 3에 비해 피부 온도를 2.3~3.1 ℃ 더 낮추는 효과는 본 발명이 조성물이 피험자에게 지속적인 피부냉각 효과를 제공하였음을 증명하는 결과이다.
실시예 3. 조성물을 활용한 피부냉각 효능을 갖는 제품 및 비교제품의 제조
실시예 1의 플로로탄닌을 함유한 조성물과 1,2-헥산디올을 잘 섞었다. 조성물이 용해되면 약 90g의 물과 완전히 녹을 때까지 저어주었다. 고형분이 다 녹은 것을 확인한 후 아스코빅애씨드를 넣어서 완전히 녹을 때까지 섞어주었다. 완전히 섞이면 하이알루로닉애씨드를 첨가하여 완전히 섞일 때까지 저어주었다. 또한 조성물의 피부냉각 효과 평가를 위해 비교제품 1(민트추출물), 비교제품 2(멘톨추출물), 비교제품 3(무첨가)의 비교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의 조성은 하기 표 3과 같으며, 완성된 용액은 액상 에센스, 미스트 및 시트 마스크팩의 형태로 사용하였다.
성분명(중량%) 제품1 제품2 제품3 비교제품1 비교제품2 비교제품3
조성물 및
추출물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민트추출물 멘톨추출물 무첨가
0.30 0.06 0.03 0.30 0.30 -
아스코빅
애씨드
0.01 0.01 0.01 0.01 0.01 0.01
하이알루로닉
애씨드
0.15 0.15 0.15 0.15 0.15 0.15
1, 2 - 헥산디올 1.00 1.00 1.00 1.00 1.00 1.00
98.54 98.78 98.81 98.54 98.54 98.84
합 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실시예 4. 조성물을 활용한 제품의 피부냉각 효과 평가
실시예 3의 제품의 피부냉각 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0명의 피험자 (남자 12명 여자 18명)에게 10분 이상 신체적 활동을 시켜 피부의 발열을 유도한 후,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하여 10분간 안정시켰다. 이후 피시험자의 피부 표면온도(적용 전 온도)를 측정한 후 6개의 군으로 나누고, 실시예 3의 각 제품 1cc를 각 군별 피시험자의 오른쪽 뺨에 고르게 도포하여 적용한 후 오른쪽 빰의 온도(적용 직후 온도)를 측정한 후 10분간 방치하였다. 10분 경과 후 다시 같은 곳의 온도(적용 10분 후 온도)를 측정하였다. 기능 비교를 위한 비교제품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요령으로 평가를 진행하고 조성물을 활용한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피부냉각 효과의 피험자 평균치를 표 4에 나타내었고 이를 그래픽화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품1 제품2 제품3 비교제품 1
(민트추출물)
비교제품 2
(멘톨추출물)
비교제품 3
(무첨가)
적용전 온도 32.8 32.8 32.8 32.7 32.8 32.5
제품의 온도 22.3 22.4 22.3 22.1 22.3 22.2
적용직후 온도 31.2 31.1 31.0 31.9 31.7 31.4
적용10분 후 온도 30.7 30.5 30.4 32.7 32.9 32.8
적용전후 온도차이 - 1.6 - 1.7 - 1.8 - 0.8 - 1.1 - 1.1
적용전, 적용 10분 후 온도차이 - 2.1 - 2.3 - 2.4 0.0 + 0.1 + 0.3
* 단위 : ℃
상기 실험결과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3의 제품의 경우 비교제품 1 ~ 3에 비하여 피부냉각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적용 전과 적용 10분 후의 피험자의 피부 온도 결과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품 1 ~ 3이 비교제품에 비해 피부 온도를 최소 2.1에서 최대 2.7 ℃ 더 낮추는 효과는 본 발명이 피험자에게 지속적인 피부냉각 효과를 제공하였음을 증명하는 결과이다.
실시예 5. 조성물을 활용한 제품의 피부자극 개선 효과 평가
실시예 3의 제품의 피부냉각 효과로 인한 피부자극 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외부활동을 많이 하거나 육체적 노동, 운동을 주기적으로 하는 피험자를 30명 (남성 14명, 여성 16명) 모집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제품과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제품을 4주간 이중 맹검법으로 사용하게 하였다. 조성물을 활용한 제품과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제품을 50 mL 용량의 분무형 용기에 넣어 1주에 4회 사용하게 하였다. 평가는 제품 사용 전, 사용 직후, 4주간 사용 후의 피부자극 개선의 정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피부 자극에 대한 증상인 따끔거림, 발적, 발열, 가려움의 4가지 증상에 대한 개선여부를 O(개선됨), X(개선되지 않음)로 표시하게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따끔거림 개선 발적 개선 발열 개선 가려움 개선
제품1 2 4 6 3
제품2 6 7 8 5
제품3 7 9 11 7
비교제품 1(민트추출물) 0 0 1 1
비교제품 2(멘톨추출물) 1 0 2 0
비교제품 3(무첨가) 0 0 1 1
실시예 6. 조성물을 활용한 제품의 방부 효과 평가
실시예3의 제품에 대한 방부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구입한 Gram Positive Bacteria 인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Gram negative bacteria 인 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및 Escherichia coli (ATCC 8739)와 진균류로서 Candida albicans (ATCC 10231) 및 Aspergillus niger (ATCC 16494)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하는 세균 및 진균은 구입 후 3회 이상 계대배양을 진행하였고, 세균의 배양에는 TSA배지, 진균의 배양에는 PDA배지를 이용해 배양했다. 균주의 정상적인 배양이 확인되면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 10mL에 동일한 비율료 혼합된 균주액 0.1mL를 첨가하고 25℃에서 24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비교제품도 동일하게 제품 10 mL에 균주액 0.1mL를 첨가하여 비교하였다. 균주의 배양이 완료된 후 한천배지에 도말하여 25℃에서 48시간 이상 배양 후 생성된 콜로니 수((cfu/mL))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제품과 조성물이 포함된 실시예 3의 제품의 방부효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시험일차 (일) 구분 제품1 제품2 제품3 비교제품1 비교제품2 비교제품3
민트추출물 멘톨추출물 무첨가
1 세균 TNTC TNTC TNTC TNTC TNTC TNTC
진균 TNTC TNTC TNTC TNTC TNTC TNTC
4 세균 70 TNTC TNTC TNTC TNTC TNTC
진균 80 TNTC TNTC TNTC TNTC TNTC
14 세균 ND 150 320 TNTC TNTC TNTC
진균 ND 120 240 TNTC TNTC TNTC
28 세균 ND ND 80 TNTC TNTC TNTC
진균 ND ND 70 TNTC TNTC TNTC
*TNTC: Too numerous to count
*ND: Not detected
인위적으로 미생물을 투입한 가혹한 미생물 오염 조건에서도,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함유된 제품은 세균 및 진균을 소멸 또는 억제하는 능력을 보임으로써, 자극성이 강한 화학 방부제 첨가가 필요없는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플로로탄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로, 상기 플로로탄닌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4, 화학식 5 및 화학식 8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플로로탄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20031602592-pat00014

    [화학식 4]
    Figure 112020031602592-pat00016

    [화학식 5]
    Figure 112020031602592-pat00017

    [화학식 8]
    Figure 112020031602592-pat00020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플로로탄닌 화합물을 20 ~ 10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3,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9, 화학식 10, 화학식 11 및 화학식 12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플로로탄닌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0031602592-pat00027

    [화학식 3]
    Figure 112020031602592-pat00028

    [화학식 6]
    Figure 112020031602592-pat00029

    [화학식 7]
    Figure 112020031602592-pat00030

    [화학식 9]
    Figure 112020031602592-pat00031

    [화학식 10]
    Figure 112020031602592-pat00032

    [화학식 11]
    Figure 112020031602592-pat00033

    [화학식 12]
    Figure 112020031602592-pat00034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학식 2의 플로로탄닌 1 ~ 60중량%, 화학식 4의 플로로탄닌 0.3 ~ 20중량%, 화학식 5의 플로로탄닌 0.1 ~ 10중량% 및 화학식 8의 플로로탄닌 0.1 ~ 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학식 2의 플로로탄닌 1-65중량% 및 화학식 4의 플로로탄닌 0.3-4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학식 5의 플로로탄닌 1-60중량% 및 화학식 8의 플로로탄닌 0.3-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학식 1의 플로로탄닌 0.1 내지 3 중량%, 화학식 2의 플로로탄닌 5 내지 63 중량%, 화학식 3의 플로로탄닌 1 내지 3 중량%, 화학식 4의 플로로탄닌 0.5 내지 34 중량%, 화학식 5의 플로로탄닌 0.1 내지 50 중량%, 화학식 6의 플로로탄닌 0.5 내지 8 중량%, 화학식 7의 플로로탄닌 0.1 내지 1 중량%, 화학식 8의 플로로탄닌 0.1 내지 46 중량%, 화학식 9의 플로로탄닌 0.1 내지 2 중량%, 화학식 10의 플로로탄닌 0.1 내지 7 중량%, 화학식 11의 플로로탄닌 0.1 내지 3 중량% 및 화학식 12의 플로로탄닌 0.1 내지 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9. 청구항 2의 조성물을 0.001 ~ 1 중량%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제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액상 형태의 에센스, 분무형 미스트 또는 시트 마스크팩의 형태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냉각용 제품
  11. 삭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품에 포함되는 총 플로로탄닌의 1일 사용량은 0.1 ~ 50 m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냉각용 제품
KR1020180127551A 2017-10-26 2018-10-24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및 제품 KR102154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40199 2017-10-26
KR1020170140199 2017-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681A KR20190046681A (ko) 2019-05-07
KR102154052B1 true KR102154052B1 (ko) 2020-09-10

Family

ID=6665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551A KR102154052B1 (ko) 2017-10-26 2018-10-24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및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8874B (zh) * 2019-11-25 2021-06-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空穴传输材料、其制备方法及有机发光二极管器件
KR20230004170A (ko) * 2021-06-30 2023-01-06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2-phloroeck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545B1 (ko) 2010-10-08 2017-09-27 코웨이 주식회사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512B1 (ko) * 2008-10-15 2012-06-18 (주)엔바이로젠 곰피 유래 피부보호용 조성물
KR101016761B1 (ko) * 2009-02-26 2011-02-2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감태 추출물
KR20120040488A (ko) * 2010-10-19 2012-04-2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곰피와 감태 추출물 유래의 플로로탄닌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260697B1 (ko) * 2011-01-03 2013-05-10 한국식품연구원 플로로글루시놀 또는 플로로탄닌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239115B1 (ko) * 2011-05-11 2013-03-06 주식회사 제주씨그린 감태에서 추출한 플로로탄닌 혼합물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1426593B1 (ko) * 2012-05-29 2014-08-05 인타글리오주식회사 해양 소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9992A (ko) * 2014-07-17 2016-01-27 임팩트온 주식회사 냉감제 조성물
KR101700132B1 (ko) * 2014-07-31 2017-01-31 한국콜마주식회사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545B1 (ko) 2010-10-08 2017-09-27 코웨이 주식회사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681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683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친환경 손소독제 조성물
KR102154052B1 (ko)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및 제품
KR101852487B1 (ko) 방부력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72901B1 (ko) 메조-2,3-부탄디올을 방부제로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2915055A (zh) 一种舒缓多效除螨组合物及其应用
WO2019088211A1 (ja) D-chiro-イノシトールを含む組成物
CN112237559A (zh) 一种消毒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10024315A (ko) 천연 한방원료를 이용한 천연 항균 조성물
KR101702648B1 (ko)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2093827B1 (ko) 폴리(부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보존제 조성물
DE102017121066A1 (de) Zusammensetzung, insbesondere zur Pflege des Intim- oder Vaginalbereichs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921385B1 (ko)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한 항균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2145B1 (ko) 인삼 앱솔루트 정유를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비누 조성물
KR102102253B1 (ko) 방부력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94531B1 (ko)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하는 방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88454B1 (ko)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생식기 건강 유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제품
KR102477053B1 (ko) 자감초, 향부자 및 강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2467B1 (ko) 항균활성이 향상된 방부 시스템
KR102417303B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25392A (ko) 불소가 함유된 온천수 및 한방 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조성물
KR101956144B1 (ko) 방부력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65187A (ko) 티트리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6202B1 (ko)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28077A (ko)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항균 성분으로함유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