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077A -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항균 성분으로함유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항균 성분으로함유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077A
KR20090028077A KR1020070093371A KR20070093371A KR20090028077A KR 20090028077 A KR20090028077 A KR 20090028077A KR 1020070093371 A KR1020070093371 A KR 1020070093371A KR 20070093371 A KR20070093371 A KR 20070093371A KR 20090028077 A KR20090028077 A KR 2009002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olol
honokiol
cosmetic composition
preservativ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진
박문억
김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93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8077A/ko
Publication of KR2009002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0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올리유로핀 (Oleuropein), 마그놀롤(Magnolol) 및 호노키올(Honokiol)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각각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함유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고, 기존의 화학 방부제를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의 방부 효과를 갖는다.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호노키올, 항균, 무방부제, 화장료

Description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항균 성분으로 함유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PRESERVATIVE-FRE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OLEUROPEIN, MAGNOLOL AND HONOKIOL}
본 발명은 항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올리브 잎 추출물에서 유래된 올리유로핀(Oleuropein), 후박 추출물에서 유래된 마그놀롤(Magnolol) 및 호노키올(Honokiol)을 천연 항균물질로 포함하여, 항균력이 높고 항균 스펙트럼이 광범위한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련된다.
천연 항균성 물질로는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피토알렉신 등의 식물 유래 항균 성분, 동물 유래의 항균 펩타이드 등이 알려져 있으며, 유기산과 지방산 등의 항균성에 대한 것도 알려져 있다. 이들 대부분은 산의 pH에 의한 작용과 킬레이트에 의한 효과가 주메카니즘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보고된 천연 항균성 물질의 대부분은 색취, 제품 안정성 저하, 좁은 항균 스펙트럼, 제형 상의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편백 추출물인 히노키티올(Hinokitiol), 황금 추출물인 바이칼린(Baicalin), 자몽 종자 추출물인 DF-100 등 극히 일부만이 상용화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 가장 제품 개발이 앞선 DF-100의 경우, 항균력은 DF-100에 포함된 유기산 및 합성보존료인 염화벤제토늄(benzethonium chloride)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외 다른 천연항균제 등은 경제성이 낮거나 좁은 항균 스펙트럼 또는 물성에 의해 사용 범위가 제한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보다 진보되고 제품화 개발이 가능한 천연 항균제가 필요한 상황이다.
화장품의 품질을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미생물의 부패를 막아주는 방부제가 필수적인데, 제품 특성상 유통기간이 길며 미생물 영양원이 많은 화장품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기존의 방부제로서 가장 안전하고 화장품, 의약품에 널리 사용되는 파라벤류의 방부제조차도 피부 알러지(Andrea Counti 등, Contact Dermatitis, 1997, 37: 35-36), 환경호르몬으로서의 가능성(Edwin 등,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1998, 153: 12-19) 및 내성균 유발이라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식품용 방부제들은 허용된 범위 내의 사용도 불신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체내 축적으로 인한 급만성 독성, 돌연변이 유발 등의 새로운 문제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신동화, 식품과학과 산업, 1990, 23(4) 68-72).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제품과 인체에 안전한 천연방부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그 결과 향신료, 정유, 한약재 등과 동식물 기원의 추출물, 박테리오신 같은 미생물 기원의 천연 항균물질이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화학방부제가 갖는 인체에 대한 자극 문제를 해결하고, 천연 유래로 안전성이 확보되고, 습득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동시에, 기존의 천연방부제가 갖는 항균 스펙트럼이 좁다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화학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는 무방부제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은 올리유로핀 (Oleuropein), 마그놀롤(Magnolol) 및 호노키올(Honoki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올리유로핀, 그리고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혼합물은 각각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10 중량%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천연방부제가 갖는 항균 스펙트럼이 좁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른 천연물 유래의 성분을 조합함으로써, 천연물질 간의 항균력 상승효과(synergy effect)를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항균력을 갖는 천연물질을 조합한 결과, 좁은 항균 스펙트럼이 넓어지게 되었다.
본 발명의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은 올리브 유래 올리유로핀, 그리고 후박 추출물 유래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데, 이들은 단순 1차 추출물의 혼합이 아닌 유효성분을 추출 정제하여 화장료에 적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후박(厚樸, Magnoliae Cortex)과 후박근(厚樸根, Magnoliae Radix)은 낙엽교목과인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일본목련(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및 동속 근연종의 수피와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한방에서는 조습소담(燥濕消痰), 하기제만(下氣除滿)의 효능을 지니고 있어 습체상중(濕滯傷中), 완비토사(脘備吐瀉), 식적기체(食積氣滯), 복창변비(腹脹便秘), 담음천해(痰飮喘咳)를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국가약전위원회, 중화민국공화국약전, I부, 204, 화학공업출판사, 북경). 후박의 성분으로는 알파, 베타, 감마-오이데스몰(α,β,γ-eudesmol) 등의 정유, 마그놀롤(magnolol), 호노키올(honokiol), 테트라하이드로마그놀롤(tetrahydromagnolol), 마그노큐라린(magnocurarin), 오보바톨(obovatol), 오보바트알데하이드(obovataldehyde), 알카로이드, 사포닌 등이 함유되어 있다.
후박의 약리효과에 관한 연구를 보면, 후박의 물 추출물이 즉시형 과민 반응에 대한 항알러지 효능이 있음이 시험관 실험 및 동물실험에서 증명된 바 있으며 (Shin, T. Y., et al., 2001, Arch. Pharm ., Res., 24: 249-255), 세포 사멸 효과 (Park, H. J., et al., 2001, Arch. Pharm ., Res., 24: 342-348), NO 합성 억제 효과, TNF-α 억제 효과(Son, H. J., et al., 2000, Planata med., 66: 467-471), 항진균 효과(Bang, K. H., et al., 2000, Arch. Pharm , Res., 23: 46-49), 정신안정 효과(Kuribara, H., et al., 1999, J. Pharm . Pharmacol., 51: 97-103) 및 피부암 억제 효과(Komoshima, T. et al., 1991, J. Nat. Prod., 54: 816-822) 등의 다양한 약리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후박으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여러 가지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후박을 실온에서 메탄올에 24 시간 냉침하여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암갈색의 메탄올 추출물을 얻는다. 메탄올 추출물을 벤젠과 물로 용매 분획하여 벤젠 분획물을 얻는다. 벤젠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에 걸어 벤젠-에틸아세테이트(1:0∼5:1)로 용출하여 분획 1, 2 및 3을 얻는다. 분획 3을 실리카겔 컬럼에 걸어 벤젠-에틸아세테이트(20:1)로 용출하여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이 많이 함유된 분획물을 얻는다. 이것을 다시 실리카겔 컬럼에 걸어 벤젠-에틸아세테이트(20:1)로 정제하여 조결정체를 얻는다. 그리고, 이 조결정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시켜 순수한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혼합물을 얻는다.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은 단일 성분으로 분리하여 이용할 수도 있지만 분리에 들어가는 비용과 노력이 크기 때문에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혼합물 중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의 함량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35~65 % 및 65~35%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 이외에도 초임계유체 이산화탄소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CO2 extraction; SFE)(Zhang, Z. et al., Zhongguo yiyuan Yapxue Zazhi, 21(7), 401-402, 2001), 모세관 전기영동법(capillary electrophoresis; CE) (Zhang, H., et al., 1997, Analytical Letters, 30(13), 2327-2339) 등이 보고되 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고가의 장비가 필수적이고, 소량 분리에만 적합한 방법이다.
한편,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시판품을 혼합물로서 또는 단일 성분으로 구입하여 단독으로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올리유로핀(Oleuropein)은 올리브 열매, 올리브 나무 잎과 껍질 등으로부터 추출 분리되는 성분으로, 항균, 항바이러스,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올리유로핀은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 정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탄올과 물의 4:1의 혼합용액에 올리브 잎을 넣은 후 햇빛이 들지 않는 곳에서 저어주면서 하루를 정치시킨다. 그 후 용액을 GF/F 필터 페이퍼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추출액을 40 ℃의 진공 상태에서 건조시킨다. 건조된 분말 2 g을 메탄올 20 ㎖에 녹인 후 40 ㎖의 에틸아세테이트로 3 회 추출하여 올리유로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올리유로핀은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각 성분들은 중국의 AIGI사로부터 20% 올리유로핀, 그리고 90%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혼합물(유효성분 90%)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90%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혼합물에서 마그놀롤:호노키올의 비율은 중량비로43.25:46.75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올리유로핀, 그리고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혼합물은 각각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범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기대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첨가량 만큼의 현저한 효과 상승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젤, 또는 연고 등의 제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올리브에서 추출된 올리유로핀과, 후박에서 추출된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고, 기존의 화학 방부제를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의 방부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이들 천연물 유래의 항균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갖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세포독성 시험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로서의 1차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V79-세포(차이니스 햄스터, 폐조직 섬유아세포의 연속세포주)을 배양하여 MTT 시험[참고 문헌: Mosseman T.(199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 55~63]을 수행하였다. 다음 표 1은 각 성분의 세포독성을 통상의 계면활성제와 비교한 결과이다.
시료 aIC50(%, w/v)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LS) 0.005
올리유로핀 0.5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혼합물 0.005
aIC50: 저해 농도 50(Inhibitory Concentration 50), 50%의 세포를 사멸시키는 농도.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올리유로핀, 그리고 마그놀롤과 호노키올 혼합물의 IC50 값이 각각 0.5 및 0.005%로,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에 비하여 세포독성이 낮거나 동등 수준으로 나타나 인체에 안전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인체에 대한 1차 자극성 시험(폐쇄 첩포 )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함유한 시료의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인체 첩포 시험(human patch test)을 통하여 인체에 대한 1 차 자극시험을 시행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핀 쳄버(Finn Chamber)에 시료 및 용액 15 ㎎/15 ㎕를 적하시킨 후, 이것을 시험 부위인 인체의 팔에 얹어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이어서, 24시간 동안 첩포한 다음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2시간 경과한 후 시험 부위의 피부 반응을 다음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다음 표 2는 판정 기준을 나타내고, 표 3은 각 시료의 피부 자극 지수를 나타낸다.
반응 점수 증상 및 판단기준
- +/- + ++ +++ 0 0.5 1 2 3 아무런 반응이 없음 약한 홍반 명확한 홍반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 심한 홍반, 수포, 부종 동반
피부 자극 지수=[∑(점수×자극의 수)]/전체 시험자수×총 자극 평가 횟수
시료 피검자수 피부 자극 지수
방부제 무첨가 제품 20 0.0
올리유로핀 1% 20 0.0
올리유로핀 2% 20 0.0
마그놀롤과 호노키올 혼합물 1% 20 0.0
마그놀롤과 호노키올 혼합물 2% 20 0.0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은 피부에 안전한 성분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항균력 평가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 성분에 대하여 세균 3종과 진균 2종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미생물 균주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에스케리치아 콜리(Escherichia coli),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aeudomonas aeruginosa),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였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에스케리치아 콜리(Escherichia coli) 및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aeudomonas aeruginosa)는 세균용 고체 배지(Brain Heart Infusion Agar)에서 37 ℃, 24시간 전배양하고 이를 105~6 CFU/㎖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여 접종 균액으로 준비하였다.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는 곰팡이용 고체 배지(Potato Dextrose Agar)에서 30 ℃, 48시간 전배양하여 105~6 CFU/㎖의 접종액을 준비하였다.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는 곰팡이용 고체 배지로 만든 사면배지(Potado Dextrose Slant media)에 접종하여 30 ℃, 48시간 전 배양하여 105~6 CFU/㎖의 농도로 균액을 제조하였다. 세균은 Brain Heart Infusion Broth를, 진균은 Potato Dextrose Broth를 액체 배지로 사용하였다.
위와 같이 제조하여 멸균한 액체 배지를 96 웰 U 자형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 ㎕씩 넣고, 올리유로핀, 마그노롤 및 호노키올 용액을 96 웰 U 자형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웰에 각각 100 ㎕씩 넣은 후, 두 번째 웰부터 1:1 계단 희석하였다. 그 다음 각 웰에 들어 있는 시료 희석액에 균을 접종한 후 세균은 37 ℃ 배양기에서 24시간, 진균은 30 ℃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Alamar Blue를 주입한 후 육안으로 청색에서 분홍색으로의 색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시료의 가장 낮은 농도를 균에 대한 항균 물질의 최소 성장 억제 농도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로 결정하였다. 다음 표 4는 결정된 각 성분의 최소 성장 억제 농도(MIC)를 나타낸 것이다.
검정 균 올리유로핀 마그놀롤과 호노키올 혼합물 메틸파라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0.019% 0.0014% 0.1%
에스케리치아 콜리 (Escherichia coli) 0.038% 0.281% 0.1%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Paeudomonas aeruginosa) 0.038% 0.281% 0.1%
캔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3.5% 0.004% 0.1%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spergillus niger) 3.5% 0.008% 0.05%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올리유로핀은 세균에 대한 항균력이 메틸파라벤 보다 우수하고,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은 특히 진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였으며, 이들 모두 메틸파라벤과 동등한 수준의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및 2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로션 제조방법에 의해 로션을 제조하였다: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중량%(w/w)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1.0 중량%(w/w)
밀납 0.5 중량%(w/w)
스테아린산 0.5 중량%(w/w)
유동 파라핀 8.0 중량%(w/w)
스쿠알란 4.0 중량%(w/w)
마카데미아 오일 2.0 중량%(w/w)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2.0 중량%(w/w)
디메틸실록산 0.3 중량%(w/w)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0.5 중량%(w/w)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1.2 중량%(w/w)
글리세린 4.0 중량%(w/w)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w/w)
베타인 4.0 중량%(w/w)
카르복시폴리머 0.12 중량%(w/w)
트리에탄올아민 0.15 중량%(w/w)
향료 적량
색소 적량
방부제 또는 유효성분 [표 5]에 중량%(w/w)로 표시
정제수를 가하여 100 중량%(w/w)로 조정
마그놀롤과 호노키올 혼합물 올리유로핀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비교예 1 - - 0.2 0.1
비교예 2 - - - -
실시예 1 0.009 - - -
실시예 2 0.045 - - -
실시예 3 0.09 - - -
실시예 4 0.45 - - -
실시예 5 - 0.375 - -
실시예 6 - 0.75 - -
실시예 7 - 1.5 - -
실시예 8 0.045 0.375 - -
실험예 4: Challenge test, 방부력 평가
Challenge test에 사용한 미생물 균주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에스케리치아 콜리(Escherichia coli),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aeudomonas aeruginosa),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이고, CTFA의 가이드라인(CTFA Microbiology Guideline) 시험법을 사용하였다.
항균력 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균을 전배양하여, 세균은 제품 1 g 당 1×106 개가 되도록 접종하고, 진균은 1×105 개가 되도록 접종한 후 1∼28 일까지 시간 경과 관찰을 하였다. 다음 표 6는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제품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균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균 종 시료 초기균수 1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세균 비교예1 1.6X106 2.0X105 2.0X102 < 20 < 20 < 20
비교예2 1.6X106 3.2X106 2.0X107 4.0X108 3.0X108 4.0X108
실시예1 1.6X106 2.5X105 1.0X105 1.3X105 2.0X105 3.2X105
실시예2 1.6X106 1.0X103 5.0X102 1.0X102 < 20 < 20
실시예3 1.6X106 2.0X102 < 20 < 20 < 20 < 20
실시예4 1.6X106 < 20 < 20 < 20 < 20 < 20
실시예5 1.6X106 < 20 < 20 < 20 < 20 < 20
실시예6 1.6X106 < 20 < 20 < 20 < 20 < 20
실시예7 1.6X106 < 20 < 20 < 20 < 20 < 20
진균 비교예1 4.0X105 1.0X105 3.0X103 < 20 < 20 < 20
비교예2 4.0X105 8.0X105 1.0X106 1.3X107 2.0X107 2.0X107
실시예1 4.0X105 3.2X105 1.3X105 2.0X105 4.0X105 5.0X105
실시예2 4.0X105 1.0X104 6.3X103 5.0X103 6.3X103 1.0X104
실시예3 4.0X105 8.0X103 2.0X103 4.0X103 1.6X103 1.0X103
실시예4 4.0X105 6.3X102 6.0X102 2.0X102 < 20 < 20
실시예5 4.0X105 6.3X104 3.2X104 1.0X104 2.0X104 2.5X104
실시예6 4.0X105 4.0X104 2.5X103 1.3X103 1.3X103 1.0X103
실시예7 4.0X105 2.5X104 2.5X103 1.0X103 8.0X102 6.3X102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그놀롤과 호노키올 또는 올리유로핀을 함유한 화장료는 기존 화학 방부제를 사용한 화장료와 동등 수준의 방부력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7일차에 세균이 99% 감소했고 진균은 90% 이상 감소했으므로 기존 화학 방부제를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이다.
실험예 5: 방부력의 상승 효과 평가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Challenge test를 시행한 후, 이들의 혼합 사용으로 인한 방부력 상승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 방법은 실험예 4의 Challenge test와 동일하다. 즉, 항균력 평가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균을 전배양하여, 세균은 제품 1 g 당 1×106 개가 되도록 접종하고, 진균은 1×105개가 되도록 접종한 후 1∼28 일까지 시간 경과 관찰을 하였다. 다음 표 7은 실시예 2, 5 및 8, 그리고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제품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균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균 종 시료 초기균수 1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세균 비교예1 1.6X106 2.0X105 2.0X102 < 20 < 20 < 20
비교예2 1.6X106 3.2X106 2.0X107 4.0X108 3.0X108 4.0X108
실시예2 1.6X106 1.0X103 5.0X102 1.0X102 < 20 < 20
실시예5 1.6X106 < 20 < 20 < 20 < 20 < 20
실시예8 1.6X106 < 20 < 20 < 20 < 20 < 20
진균 비교예1 4.0X105 1.0X105 3.0X103 < 20 < 20 < 20
비교예2 4.0X105 8.0X105 1.0X106 1.3X107 2.0X107 2.0X107
실시예2 4.0X105 1.0X104 6.3X103 5.0X103 6.3X103 1.0X104
실시예5 4.0X105 6.3X104 3.2X104 1.0X104 2.0X104 2.5X104
실시예8 4.0X105 6.0X104 4.0X103 3.0X103 5.0X102 4.0X102
표 7에서 보듯이, 마그놀롤과 호노키올, 그리고 올리유로핀을 모두 함유하는 실시예 8에서 제조한 화장료는 세균과 진균에서 가장 우수한 방부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실시예 2와 5에서의 7일차 진균 수 보다 실시예 8의 7일차 진균 수가 적게 나타났다. 즉, 마그놀롤과 호노키올, 그리고 올리유로핀을 모두 혼합하였을 때 방부력이 상승하는 것을 7일차 진균 수 감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올리브에서 추출된 올리유로핀과, 후박에서 추출된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고, 기존의 화학 방부제를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의 방부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이들 천연물 유래의 항균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갖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올리유로핀 (Oleuropein), 마그놀롤(Magnolol) 및 호노키올(Honoki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유로핀, 그리고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혼합물을 각각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 범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유로핀, 그리고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의 혼합물을 각각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젤 또는 연고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93371A 2007-09-14 2007-09-14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항균 성분으로함유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KR20090028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371A KR20090028077A (ko) 2007-09-14 2007-09-14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항균 성분으로함유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371A KR20090028077A (ko) 2007-09-14 2007-09-14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항균 성분으로함유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077A true KR20090028077A (ko) 2009-03-18

Family

ID=40695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371A KR20090028077A (ko) 2007-09-14 2007-09-14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항균 성분으로함유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80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8044A1 (de) * 2009-10-02 2011-04-21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Magnolol oder Honokiol als antibakterielle, antimycotische, antiparasitäre oder antivirale Wirkstoffe
KR20180099323A (ko) 2017-02-28 2018-09-05 (주)비씨알엠 한약재 추출물과 피톤치트 추출물이 혼합된 천연 방부제의 제조방법
KR20190081476A (ko) 2017-12-29 2019-07-09 김민상 천연추출물과 비타민c가 혼합된 천연 방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8044A1 (de) * 2009-10-02 2011-04-21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Magnolol oder Honokiol als antibakterielle, antimycotische, antiparasitäre oder antivirale Wirkstoffe
KR20180099323A (ko) 2017-02-28 2018-09-05 (주)비씨알엠 한약재 추출물과 피톤치트 추출물이 혼합된 천연 방부제의 제조방법
KR20190081476A (ko) 2017-12-29 2019-07-09 김민상 천연추출물과 비타민c가 혼합된 천연 방부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1266180B1 (ko) 식물성 항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Beltagy Investigation of new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rassica rapa L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56799B1 (ko) 타히보, 토복령, 방아잎 및 양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Negi et al.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stem bark of Bauhinia variegata Linn.; an approach to standardization
KR101511747B1 (ko) 금전초, 오배자, 계피 및 정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1641498B1 (ko) 천연 항균 물질 복합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28888A (ko) 연잎, 연꽃, 연씨 및 연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244752B1 (ko) 피부 미백, 노화 방지, 항산화 및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KR20090028077A (ko) 올리유로핀,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항균 성분으로함유하는 무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07533B1 (ko) 백호은침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20110120481A (ko) 김치유산균 발효액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항균 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KR20130143241A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5187A (ko) 티트리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6202B1 (ko)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87634B1 (ko) 방부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IswaryaVelu et al.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Amaranthus tristis and Celosia argentea var spicata
KR20090046387A (ko) 황금, 어성초, 쑥, 유자 추출물로 방부활성을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KR20140099223A (ko)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KR102240480B1 (ko) 홍지네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여드름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