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871B1 -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및 직관형 led 라이트 - Google Patents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및 직관형 led 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871B1
KR101258871B1 KR1020127030364A KR20127030364A KR101258871B1 KR 101258871 B1 KR101258871 B1 KR 101258871B1 KR 1020127030364 A KR1020127030364 A KR 1020127030364A KR 20127030364 A KR20127030364 A KR 20127030364A KR 101258871 B1 KR101258871 B1 KR 10125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rinkable tube
tube
heat shrinkable
light diff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853A (ko
Inventor
마사카즈 마스다
이치로 아라이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9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03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6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e.g. plastic memory
    • B29C61/08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e.g. plastic memory by stretch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의 점 광원을 종래의 형광등과 같은 면 광원 이미지로 하기 위한 광 확산성을 가져, 광원을 내재하는 투명관이 낙하 등의 뜻하지 않은 사고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도 파편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는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갖는 직관형 LED 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 확산성을 갖는 열 수축성 튜브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고유 점도가 0.8 ∼ 1.4 ㎗/g 이며, 상기 광 확산제의 함유량이 0.1 ∼ 2.5 중량% 이며, 튜브 두께가 60 ∼ 300 ㎛ 인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이다.

Description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및 직관형 LED 라이트 {LIGHT-DIFFUSING HEAT SHRINKABLE TUBE AND LINEAR LED LIGHT}
본 발명은,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및 그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갖는 직관형 LED 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명용으로서 LED (발광 다이오드) 가 주목받고 있다. LED 는 전력 절약, 수명이 길다는 점에서, 종래의 형광등 등에 비해 환경에 대한 부하가 작다. 특히 직관형 LED 라이트는 향후의 수요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LED 는 점상 광원이므로, LED 광원을 복수개 내재하는 투명관에 있어서 종래의 형광등과 같은 면 광원 이미지를 얻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재질이나 수지 재질 등의 조명 커버나 투명관에 광 확산제를 혼련해 넣거나 표면에 도포하는 등의 시도가 이루어졌고, 나아가서는, 광 확산 기능을 가지는 시트, 또는 필름을 권취하는 등의 예가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투광성 수지에 석영 유리 미립자와 이산화 티탄, 실리카, 칼슘 등의 광 확산재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조명등용 광 투과 산광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조명등용 광 투과 산광 필터는, 투명관이 낙하 등의 뜻하지 않은 사고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는 파편이 크게 비산하게 되므로, 취급의 용이성 및 안전성의 관점에서는 불충분하였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92415호
본 발명은, 상기 현 상황을 감안하여, LED 의 점 광원을 면 광원 이미지로 하기 위한 광 확산성을 가져, 광원을 내재하는 투명관이 낙하 등의 뜻하지 않은 사고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도 파편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는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갖는 직관형 LED 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 수축성 튜브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고유 점도가 0.8 ∼ 1.4 ㎗/g 이고, 상기 광 확산제의 함유량이 0.1 ∼ 2.5 중량% 이며, 튜브 두께가 60 ∼ 300 ㎛ 인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에 있어서는, 상기 광 확산제가 유기계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유기계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이 0.5 ∼ 2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고유 점도, 광 확산제의 함유량, 및 튜브 두께가 특정 범위 내인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는, LED 의 점 광원을 면 광원 이미지로 하기 위한 광 확산성을 갖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본 발명자는, 그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는, 열 수축성이 우수함과 함께 충분한 강도를 갖는 점에서 광원을 내재하는 투명관 전면(全面)을 피복할 수 있고, 나아가, 투명관이 낙하 등의 뜻하지 않은 사고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도 파편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함유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을 축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으로는,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클로로테레프탈산, 2,5-디클로로테레프탈산, 2-메틸테레프탈산, 4,4-스틸벤디카르복실산, 4,4-비페닐디카르복실산, 오르토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비스벤조산, 비스(p-카르복시페닐)메탄, 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4,4-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5-Na술포이소프탈산, 에틸렌-비스-p-벤조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아젤라인산, 도데칸이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디카르복실산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상기 디올로는,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트랜스- 또는 -2,2,4,4-테트라메틸-1,3-시클로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데카메틸렌글리콜, 시클로헥산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디올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그 중에서도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디올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에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디올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의 다른 공중합 성분의 함유량은 1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10 몰% 를 초과하면,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의 강도가 저하되어 투명관이 낙하 등의 뜻하지 않은 사고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는 파편의 비산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고유 점도의 하한은 0.8 ㎗/g, 상한은 1.4 ㎗/g 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고유 점도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열 수축성이 우수함과 함께 충분한 강도를 갖는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고유 점도가 0.8 ㎗/g 미만이면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의 강도가 저하되어, 투명관이 낙하 등의 뜻하지 않은 사고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는 파편의 비산을 충분히 억제하지 못하고, 1.4 ㎗/g 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용융 점도가 높아 압출 성형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고유 점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1.0 ㎗/g, 바람직한 상한은 1.2 ㎗/g 이다. 또한 상기 고유 점도는, 35 ℃ 에 있어서 오르토클로로페놀 중에서 측정한 값을 말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30000, 바람직한 상한은 55000 이다. 상기 수 평균 분자량이 30000 미만이면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의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며, 55000 을 초과하면 압출 성형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 평균 분자량이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로 측정된 것을 말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상기 서술한 조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상기 서술한 조성을 갖는 2 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는 광 확산제를 함유한다.
상기 광 확산제로는 무기계 미립자 또는 유기계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무기계 미립자는 탄산 칼슘,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 티탄, 산화 아연, 지르코니아, 황산 바륨, 유리 등의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유기계 미립자는,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의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제로는, 그 중에서도 투명관이 낙하 등의 뜻하지 않은 사고에 의해 파손된 경우의 파편의 비산 억제 효과가 높다는 점에서 유기계 미립자가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의 미립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실리콘계 수지의 미립자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계 수지로는,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단위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단위와의 공중합체로는,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는, 폴리(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산과 그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그리고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단위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아크릴계 수지는 가교여도 되고 부분 가교여도 된다. 여기서, 「(메트)아크릴산」이란,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을 나타낸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수지로는, 실록산 결합을 골격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 대표되는 실리콘계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상기 유기계 미립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용융 온도에서 용융되지 않고 용제에 불용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형상은 부정형인 것보다는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계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의 바람직한 하한은 0.5 ㎛, 바람직한 상한은 20.0 ㎛ 이다. 유기계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2 차 응집이 없는 양호한 분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레이저 회절 방식 입도 분포계 (닛키소 (주) 제조의 Microtrac MT3000II)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에 있어서의 상기 광 확산제의 함유량의 하한은 0.1 중량%, 상한은 2.5 중량% 이다. 광 확산제의 함유량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크고, 또한 평행 광선 투과율은 작게 하여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에 LED 의 점 광원을 면 광원 이미지로 하기 위한 광 확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제의 함유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평행 광선 투과율이 커져 충분한 광 확산성을 얻을 수 없고, 2.5 중량% 를 초과하면 전체 광선 투과율이 저하된다. 상기 광 확산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5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2.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에는, 본 발명의 본질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열 안정제, 대전 방지제, 안티 블로킹제, 활제, 소광제, 조핵제, 난연화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의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의 구성으로는 단층이어도 되고 다층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는, 튜브 두께의 하한이 60 ㎛, 상한이 300 ㎛ 이다. 튜브 두께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에 적당한 탄력 및 강도를 부여할 수 있고 취급의 용이성도 향상된다.
상기 튜브 두께가 60 ㎛ 미만이면,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의 강도가 저하되어, 투명관이 낙하 등의 뜻하지 않은 사고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는 파편의 비산을 충분히 억제하지 못하고, 또한 충분한 광 확산성도 얻을 수 없다. 상기 튜브 두께가 300 ㎛ 를 초과하면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가 너무 두꺼워져, 광원을 내재하는 투명관을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로 피복했을 경우에 충분한 밝기를 얻을 수 없다. 상기 튜브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은 90 ㎛, 바람직한 상한은 250 ㎛ 이다.
본 발명의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광 확산제를 혼합한 후, 튜브상으로 압출 성형한 원관을 2 축 연신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는 열 수축성을 갖는다. 열수축률은 2 축 연신에 의해 얻어지고, 비등수로 30 초간 처리했을 때의 치수 변화율로 나타내며,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의 축 방향 (MD 방향) 으로 20 ∼ 40 %, 직경 방향 (TD 방향) 으로 35 ∼ 50 % 가 바람직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LED 광원을 복수개 내재하는 투명관을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내에 삽입하여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열수축시킴으로써, 투명관 전면을 용이하게 미려하게 피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50 % 이상이며, 또한 평행 광선 투과율이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광선 투과율이 50 % 미만이면, 광원을 내재하는 투명관을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로 피복했을 경우에 충분한 밝기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평행 광선 투과율이 20 % 를 초과하면 LED 의 점 광원을 면 광원 이미지로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LED 광원을 복수개 내재하는 투명관을 피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는, LED 의 점 광원을 면 광원 이미지로 하기 위한 광 확산성을 갖기 때문에, LED 광원을 복수개 내재하는 투명관에 있어서도 관 전체를 균일한 조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는, 열 수축성이 우수함과 함께 충분한 강도를 갖는 점에서 투명관 전면을 피복할 수 있고, 나아가 투명관이 낙하 등의 뜻하지 않은 사고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도 파편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로 LED 광원을 내재하는 투명관이 피복되어 있는 직관형 LED 라이트도 본 발명의 하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LED 의 점 광원을 면 광원 이미지로 하기 위한 광 확산성을 가져, 광원을 내재하는 투명관이 낙하 등의 뜻하지 않은 사고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도 파편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는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갖는 직관형 LED 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인장 강도의 측정에 있어서 사용한 측정용 샘플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광 확산성 평가의 평가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광 확산성 평가에 있어서 사용한 LED 회중 전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 는 광 확산성 평가에 있어서 사용한 LED 회중 전등을 위에서 본 사진이다.
도 5 는 광 확산성 평가를 실시했을 때에 LED 광원을 점 광원으로서 관찰한 사진이다.
도 6 은 광 확산성 평가를 실시했을 때에 LED 광원을 면 광원으로서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유 점도 : 1.10 ㎗/g), 광 확산제로서 실리콘계 수지 미립자 (평균 입자경 2 ㎛) 를 이용하여, 이들을 표 1 에 나타낸 비율로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투입구측의 온도를 260 ℃, 선단 부근의 온도 280 ℃ 로 조정한 압출기에 투입하여, 290 ℃ 의 환상 다이스에서 원형 튜브상으로 압출 성형하였다. 이어서, 95 ℃ 에서 세로 3.0 배, 가로 2.5 배의 연신 배율로 2 축 연신함으로써, 폴딩 직경 55.0 ㎜ (내경 φ 34.8), 튜브 두께가 100 ㎛ 인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얻었다.
(실시예 2 ∼ 11, 비교예 1 ∼ 5)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광 확산제를 표 1 에 나타낸 종류 및 비율로 변경하고, 표 1 에 나타낸 튜브 두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1 에서는, 광 확산제로서 아크릴계 수지 미립자 (평균 입자경 4 ㎛) 를 사용하였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1) 수축률
얻어진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비등수로 30 초간 처리하여 수축시키고, 수축 전후에서의 축 방향 (MD 방향) 및 직경 방향 (TD 방향) 의 치수 변화율을 구하여 수축률로 하였다. 수축률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수축률 (%) = {(수축 전 치수 - 수축 후 치수) / 수축 전 치수} × 100
(2) 인장 강도
얻어진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3 호형의 덤벨상 (도 1 에 나타낸 형상, 도 1 중의 수치의 단위는 ㎜) 으로 타발하여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인장 시험기 (주식회사 도요 정기 제작소 제조, V10-C) 를 이용하여, 척간 거리 70 ㎜, 인장 속도 200 ㎜/min 으로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로는, 축 방향 (MD 방향) 으로 잘라 필름상으로 한 것을 사용하여 MD 방향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3) 전체 광선 투과율, 평행 광선 투과율
얻어진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에 대해, 헤이즈 미터 (주식회사 도요 정기 제작소 제조, 직독 헤이즈 미터) 를 이용하여 전체 광선 투과율, 확산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평행 광선 투과율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평행 광선 투과율 (%) = 전체 광선 투과율 - 확산 투과율
(4) 수축 마무리 평가
형광관 (길이 1198 ㎜) 을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내에 삽입하여, 200 ℃ × 30 sec 의 가열로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열수축시켜 형광관을 피복하였다. 피복 후의 형광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수축 편차 (불균일) 에 의한 주름을 볼 수 있었던 경우를 ×, 볼 수 없었던 경우를 ○ 로 평가하였다.
(5) 비산 억제 평가
형광관 (길이 1198 ㎜) 을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내에 삽입하여, 180 ℃ × 30 sec 의 가열로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열수축시켜 형광관을 피복하였다. 피복 후의 형광관을 3 m 의 높이에서 직경 1.6 m 의 원을 그린 콘크리트에 낙하시켜, 직경 1.6 m 의 원 밖으로 형광관의 유리 파편이 비산한 경우를 ×, 비산하지 않은 경우를 ○ 로 평가하였다. 또한, 원의 직경은, [(형광관의 길이 (m) × 1/2) + 1 (m)] 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6) 광 확산성 평가
도 2 에 본 평가의 평가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1) 를 2 장의 유리판 (2)(두께 2 ㎜) 의 사이에 끼워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이 측정용 샘플의 50 ㎜ 아래에서 LED 회중 전등 (3) 을 점등시켜, LED 광원의 보이는 형태를 측정용 샘플 위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사용한 LED 회중 전등 (3) 은, 50 ㎜ 거리에서의 조도가 약 650 룩스이며,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φ 30 의 원 내에 외경 φ 5 의 LED 광원 (4) 을 6 ㎜ 에서 9 ㎜ 의 피치로 10 개 가지고 있었다. 10 개의 LED 광원을 점 광원으로 관찰했을 경우를 ×, 면 광원으로 관찰했을 경우를 ○ 로 평가하였다. 또한,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로는, 축 방향 (MD 방향) 으로 잘라 필름상으로 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LED 회중 전등을 위에서 본 사진을 도 4 에 나타냈다. 또한, 본 평가를 실시했을 때에 LED 광원을 점 광원으로 관찰한 사진을 도 5 에, LED 광원을 면 광원으로 관찰한 사진을 도 6 에 나타냈다.
Figure 112012095483950-pct00001
본 발명에 의하면, LED 의 점 광원을 면 광원 이미지로 하기 위한 광 확산성을 가지며, 광원을 내재하는 투명관이 낙하 등의 뜻하지 않은 사고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도 파편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는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LED 광원을 복수개 내재하는 투명관에 있어서도, 관 전체를 균일한 조도로 하는 것이 가능한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를 갖는 직관형 LED 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1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2 유리판
3 LED 회중 전등
4 LED 광원

Claims (5)

  1.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고유 점도가 0.8 ∼ 1.4 ㎗/g 이며,
    상기 광 확산제의 함유량이 0.1 ∼ 2.5 중량% 이며,
    튜브 두께가 60 ∼ 3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제가 유기계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계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이 0.5 ∼ 2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 광선 투과율이 50 % 이상이며, 또한 평행 광선 투과율이 2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로, LED 광원을 내재하는 투명관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라이트.
KR1020127030364A 2011-02-21 2012-02-17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및 직관형 led 라이트 KR101258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4110 2011-02-21
JPJP-P-2011-034110 2011-02-21
PCT/JP2012/053774 WO2012114991A1 (ja) 2011-02-21 2012-02-17 光拡散熱収縮性チューブ及び直管形ledライ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853A KR20120139853A (ko) 2012-12-27
KR101258871B1 true KR101258871B1 (ko) 2013-04-29

Family

ID=4672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364A KR101258871B1 (ko) 2011-02-21 2012-02-17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및 직관형 led 라이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23404B2 (ko)
EP (1) EP2597493B1 (ko)
JP (1) JP5103557B2 (ko)
KR (1) KR101258871B1 (ko)
CN (1) CN102959431B (ko)
TW (1) TWI542825B (ko)
WO (1) WO2012114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1431B2 (en) 2014-09-28 2021-09-28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11480306B2 (en) 2008-09-05 2022-10-25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JP6199281B2 (ja) * 2012-03-23 2017-09-20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半導体発光装置及び基板
US9128232B2 (en) * 2012-03-28 2015-09-08 Michael M. McRae Method and apparatus for diffusing LED light bulbs
WO2015003322A1 (zh) * 2013-07-09 2015-01-15 东莞市奇易电子有限公司 Led发光灯带及其制造方法
US11480305B2 (en) 2014-09-25 2022-10-25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CN205213093U (zh) 2014-09-28 2016-05-04 嘉兴山蒲照明电器有限公司 整流滤波电路、灯及led直管灯
US10560989B2 (en) 2014-09-28 2020-02-11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9989200B2 (en) 2014-10-20 2018-06-05 Argo Import-Export Ltd. LED lighting tube device and method
US9810384B2 (en) 2014-10-20 2017-11-07 Argo Import-Export Ltd LED lighting tube device and method
US10514134B2 (en) 2014-12-05 2019-12-24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9897265B2 (en) 2015-03-10 2018-02-20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having LED light strip
CN105972453A (zh) * 2016-07-08 2016-09-28 何忠亮 一种led灯
US10898616B1 (en) 2017-07-11 2021-01-26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Peelable heat-shrink tub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5853A (ja) 2002-08-30 2004-03-25 Koha Co Ltd Led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GB2470350A (en) 2009-05-12 2010-11-24 Vml Technologies Bv Waterproof Electrical I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8882A (en) * 1998-06-30 2000-12-12 Emteq, Inc. LED semiconductor lighting system
US20020097195A1 (en) * 2001-01-22 2002-07-25 Frank Sidney E. Device for actively displaying images on an article
TW558804B (en) * 2002-04-16 2003-10-21 Yuan Lin Flexibl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945669B1 (en) * 2003-04-14 2005-09-20 Jester Randy D Film encapsulated strand of lights
US7374318B2 (en) * 2005-11-07 2008-05-20 Nancy Brooks Lighted tubing
JP5602997B2 (ja) * 2008-09-16 2014-10-08 帝人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379750B1 (ja) 2009-02-17 2009-12-09 株式会社東穂 照明灯用光透過散光フィルター
JP2010247370A (ja) 2009-04-13 2010-11-04 Toyobo Co Ltd 硬化性樹脂積層用光拡散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5853A (ja) 2002-08-30 2004-03-25 Koha Co Ltd Led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GB2470350A (en) 2009-05-12 2010-11-24 Vml Technologies Bv Waterproof Electrical I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59431B (zh) 2014-02-26
JP5103557B2 (ja) 2012-12-19
TWI542825B (zh) 2016-07-21
EP2597493B1 (en) 2015-04-08
EP2597493A1 (en) 2013-05-29
TW201243233A (en) 2012-11-01
JPWO2012114991A1 (ja) 2014-07-07
KR20120139853A (ko) 2012-12-27
WO2012114991A1 (ja) 2012-08-30
CN102959431A (zh) 2013-03-06
US20130207534A1 (en) 2013-08-15
US8723404B2 (en) 2014-05-13
EP2597493A4 (en)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871B1 (ko) 광 확산 열 수축성 튜브 및 직관형 led 라이트
JP6624184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4834549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KR20090091246A (ko) 표면 광확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WO2006112425A1 (ja) 反射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法
JP5157724B2 (ja) 光拡散性フィルム
JP2012181504A (ja) 光拡散フィルム、及び光拡散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574190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사시트
JP4678662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186561A (ja) 光反射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4630642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2013254105A (ja) 光拡散熱収縮性チューブ及び直管形ledライト
JP4804741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4607553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6565211B2 (ja) 発光ダイオード素子の実装基板用白色反射フィルム、その発光ダイオード素子の実装基板用白色反射フィルム用いてなる発光ダイオード素子の実装基板並びにその発光ダイオード素子の実装基板を用いてなる照明器具
KR101577367B1 (ko)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사 시트
JPH1045923A (ja) 照明器具用ポリエステルシート
KR101268331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필름을 이용한 반사 시트
KR101915662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
KR101466346B1 (ko) 저경도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50061173A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145574A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5215234B2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21512186A (ja) 光学用高透明フィルム
JP5215198B2 (ja) 光学用積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