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256B1 - 엔진용 전동 체인 - Google Patents

엔진용 전동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256B1
KR101256256B1 KR1020080077995A KR20080077995A KR101256256B1 KR 101256256 B1 KR101256256 B1 KR 101256256B1 KR 1020080077995 A KR1020080077995 A KR 1020080077995A KR 20080077995 A KR20080077995 A KR 20080077995A KR 101256256 B1 KR101256256 B1 KR 101256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hain
guide
engine
flat surf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141A (ko
Inventor
다카시 도하라
다쓰야 고니시
도요나가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09004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5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of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체인 인장력이 집중하기 쉬워 피로 파괴를 일으키기 십상인 플레이트 부분의 플레이트 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체인 가이드와 플레이트의 사이에 확실하게 윤활유를 보류하여 뛰어난 내구성을 발휘하는 엔진용 전동 체인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내부 플레이트(110) 및 외부 플레이트(150)의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112,152)가,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과 윤활유 보류 만곡면(112c,152c)을 가지며,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의 플레이트 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의 길이 L가, 체인 가이드의 가장 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에서 굴곡해도 전후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평탄면끼리가 겹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엔진용 전동 체인(100).

Description

엔진용 전동 체인{TRANSMISSION CHAIN FOR USE IN ENGINE}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에서 이용되는 엔진용 전동 체인에 관한 것이며, 특히, 크랭크 샤프트와 캠축의 사이의 타이밍 드라이브 체인이나 밸런서 체인, 그리고 오일 펌프 등의 보기(auxiliary machine) 구동용 체인 등에 이용되는 엔진용 전동 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내에는, 구동측 스프로킷과 피구동측 스프로킷에 걸어 돌려진 전동 체인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동 체인으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링크 플레이트(510) 및 외부 링크 플레이트(550)의 각각 가이드 대향측 둘레가장자리부에 가이드 대향 만곡면(511,551)을 형성함으로써, 이들 가이드 대향 만곡면(511)에 (551)에 윤활유를 보류하여 원호형상 체인 가이드(G1)나 직선형상 체인 가이드(G2)의 사이에 발생하는 프릭션을 저감하는 전동 체인(500)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리고, 이러한 가이드 대향 만곡면(511,551)은, 내부 링크 플레이트(510) 및 외부 링크 플레이트(550)의 체인 피치(P)와 동일 또는 그 이상의 폭으로 형성되 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6-105325호(제5페이지, 도 2)
그런데, 특허 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전동 체인(500)에서는, 가이드 대향 만곡면(511,551)이 내부 링크 플레이트(510) 및 외부 링크 플레이트(550)의 체인 피치(P)와 동일 또는 그 이상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 인장력이 가장 집중하기 쉬워 피로 파괴를 일으키기 십상인 플레이트 부분(E), 즉, 내부 링크 플레이트(510)의 부쉬 압입구멍(512) 혹은 외부 링크 플레이트(550)의 핀 구멍(552)의 중심을 통과하여 체인폭 방향으로 신장하는 가상 라인에 가까운 플레이트 부분(E)의 일부분(F)이 잘려진 형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 플레이트 부분(E)에 원호형상 체인 가이드(G1) 또는 직선형상 체인 가이드(G2)의 슬라이드접촉에 기인한 응력이 작용하여 체인 파단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플레이트 부분(E)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더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링크 플레이트(510) 또는 외부 링크 플레이트(550)가 직선형상 체인 가이드(G2)에 대해서 접촉 개소(Z,Z)에 나타내는 약간의 접촉 영역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직선형상 체인 가이드(G2)와 가이드 대향 만곡면(511,551)의 사이에 윤활유를 충분히 시일하여 보류할 수 없고, 양자에 슬라이드동작 저항을 일으켜, 내부 링크 플레이트(510) 및 외부 링크 플레이트(550)의 내구성을 해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즉, 본 발명의 목적 은, 체인 인장력이 집중하기 쉬워 피로 파괴를 일으키기 십상인 플레이트 부분의 플레이트 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체인 가이드와 플레이트의 사이에 확실하게 윤활유를 보류하여 뛰어난 내구성을 발휘하는 엔진용 전동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은, 내부 플레이트와 외부 플레이트가 체인 가이드에 대해서 슬라이드접촉하여 둘레 주행하는 엔진용 전동 체인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가, 상기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긴 방향 전후단 근방에 배설되어 상기 체인 가이드의 가이드면에 슬라이드접촉하는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평탄면과, 상기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평탄면의 상호간에 배설되어 상기 체인 가이드의 가이드면과의 틈에서 윤활유를 보류하는 윤활유 보류 만곡면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상기 엔진용 전동 체인이 상기 체인 가이드의 가장 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에서 굴곡해도 전후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평탄면의 교점이 전후 각 플레이트 평탄면의 각각의 시점과 종점의 사이에 위치하여 그 교점에서 전후의 플레이트 평탄면이 겹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플레이트 평탄면의 플레이트 긴 방향의 길이 L가,
L≥(H/2)*tan(P/(2(R+H/2)))
(L:플레이트 평탄면의 긴 방향의 길이
H:플레이트 높이
P:체인 피치
R:체인 가이드의 최소 곡률 반경)
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더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가, 체인 안둘레측과 체인 바깥둘레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더 해결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엔진용 전동 체인에서 말하는 「경계의 플레이트 긴 방향 배치 간격」이란, 동일 플레이트내에 배치된 플레이트 평탄면과 플레이트 팽출 만곡면의 전후 한 쌍의 경계가 체인 긴 방향으로 상호 이간하는 간격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엔진용 전동 체인에서 말하는 「체인 피치」란, 외부 플레이트에 전후 한 쌍으로 압입하여 끼워 맞춰진 연결 핀의 중심이 체인 긴 방향에 상호 이간하는 간격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의 엔진용 전동 체인에 의하면, 내부 플레이트와 외부 플레이트가 체인 가이드에 대해서 슬라이드접촉하여 둘레 주행하는 엔진용 전동 체인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가, 상기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긴 방향 전후단 근방에 배설되어 상기 체인 가이드의 가이드면에 슬라이드접촉하는 전후 한 쌍의 플 레이트 평탄면과, 상기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평탄면의 상호간에 배설되어 상기 체인 가이드의 가이드면과의 틈에서 윤활유를 보류하는 윤활유 보류 만곡면을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해, 체인 인장력이 가장 집중하기 쉬워 피로 파괴를 일으키기 십상인 플레이트 부분에서의 플레이트 강도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와 체인 가이드의 가이드면의 사이에 발생한 윤활유 보류 틈에 엔진내의 윤활유가 유도되는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여 양자간에 안정된 유막이 형성되므로, 체인 가이드의 가이드면 사이의 프릭션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평탄한 가이드면에 대해서는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평탄면부가 체인 가이드의 가이드면에 면접촉상태로 슬라이드접촉하여 윤활유 보류 틈에서 보류한 윤활유를 확실하게 시일하므로, 윤활유의 외부 누출을 억제하여 체인 가이드와의 슬라이드접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평탄면의 플레이트 긴 방향의 길이가, 상기 체인 가이드의 가장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에서 굴곡해도 전후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평탄면끼리가 겹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팽출 만곡 가이드면에 슬라이드접촉하여 체인이 굴곡했을 때에도, 인접하는 윤활유 보류 만곡면이 겹치지 않고 윤활유 보류 틈이 항상 최대로 유지되어 윤활유를 보다 많이 확실하게 윤활유 보류 틈에 보류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의 엔진용 전동 체인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엔진용 전동 체인이 발휘하는 효과에 더하여, 상기 플레이트 평탄면의 플레이트 긴 방향의 길이 L이,
L≥(H/2)*tan(P/(2(R+H/2)))
(L:플레이트 평탄면의 긴 방향의 길이
H:플레이트 높이
P:체인 피치
R:체인 가이드의 최소 곡률 반경)
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팽출 만곡 가이드면에 슬라이드접촉하여 체인이 굴곡했을 때에도, 확실하게 인접하는 윤활유 보류 만곡면이 겹치지 않고 윤활유 보류 틈이 항상 최대로 유지되어 윤활유를 보다 많이 확실하게 윤활유 보류 틈에 보류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윤활유 보류 만곡면에 잔류하는 유막이 많아져, 체인 가이드와의 슬라이드접촉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의 엔진용 전동 체인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2에 기재된 엔진용 전동 체인이 발휘하는 효과에 더하여,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가 체인 안둘레측과 체인 바깥둘레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형상이 상하 대칭인 형상을 나타내고, 체인 조립시에 플레이트의 상하를 고려하지 않고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를 취급할 수 있으므로, 체인 조립부착 작업을 간편하게 달성할 수 있으며, 게다가,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중량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체인 전체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 플레이트와 외부 플레이트가 체인 가이드에 대해서 슬라이 드접촉하여 둘레 주행하는 엔진용 전동 체인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가, 상기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긴 방향 전후단 근방에 배설되어 상기 체인 가이드의 가이드면에 슬라이드접촉하는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평탄면과, 상기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평탄면의 상호간에 배설되어 상기 체인 가이드의 가이드면과의 틈에서 윤활유를 보류하는 윤활유 보류 만곡면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 평탄면의 플레이트 긴 방향의 길이가, 상기 체인 가이드의 가장 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에서 굴곡해도 전후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평탄면끼리가 겹치는 길이로 설정되고, 팽출 만곡 가이드면에 슬라이드접촉하여 체인이 굴곡했을 때에도, 인접하는 윤활유 보류 만곡면이 겹치지 않고 윤활유 보류 틈이 항상 최대로 유지되어 윤활유를 보다 많이 확실하게 윤활유 보류 틈에 보류하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어떤 것이어도 아무런 상관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엔진용 전동 체인에 있어서의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체인 바깥둘레측 및 체인 안둘레측에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를 형성한 것, 체인 바깥둘레측에만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를 형성한 것 등중의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지만, 체인 바깥둘레측 및 체인 안둘레측의 양측에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를 형성한 것인 경우에는,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형상이 상하 대칭인 형상을 보이고, 체인 조립부착시에 플레이트의 상하를 고려하지 않고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를 취급할 수 있으므로, 체인 조립부착 작업을 간편하게 달성할 수 있고, 또한,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중량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체인 전체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엔진용 전동 체인은, 부시 체인, 롤러 체인, 사일런트 체인중의 어느 것이 그 대상이어도 지장없지만, 부시 체인이나 롤러 체인의 경우에는, 스프로킷과의 맞물림이 원활해지기 때문에, 체인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사일런트 체인의 경우에는, 스프로킷과의 맞물림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엔진용 전동 체인으로서 부시 체인이나 롤러 체인을 채택했을 경우에는, 내부 플레이트와 외부 플레이트의 양쪽을 체인 가이드에 슬라이드접촉하도록 동일한 체인폭으로 형성한 것,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만이 체인 가이드에 슬라이드접촉하도록 체인폭을 설정한 것 중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그 경우, 체인 가이드에 슬라이드접촉하는 플레이트에만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를 설치하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엔진용 전동 체인으로서 사일런트 체인을 채택했을 경우에는, 관절 열(joint row) 이너 플레이트, 가이드 열(guide row) 이너 플레이트, 가이드 플레이트중에서,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 혹은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의 조합만이 체인 가이드에 슬라이드접촉하도록 체인폭을 설정해도 좋고, 그 경우, 체인 가이드에 슬라이드접촉하는 플레이트에만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를 설치하면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엔진용 전동 체인(100)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엔진용 전동 체인을 이용한 사용 형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엔진용 전동 체인의 일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체인 가이드의 평탄한 가이드면과의 슬라이드접촉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체인 가이드의 팽출 만곡 가이드면과의 슬라이드접촉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체인 가이드의 플레이트 평탄면의 길이 L에 관한 설명도이며, 도 7은, 체인 가이드의 팽출 만곡 가이드면에 대한 플레이트가 가라앉은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엔진용 전동 체인(100)은, 자동차 엔진내의 타이밍 드라이브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타이밍 드라이브 체인이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샤프트에 고정된 구동측 스프로킷(S1)과 캠축에 고정된 피구동측 스프로킷(S2)의 사이에 걸쳐지고, 구동측 스프로킷(S1)의 회전을 피구동측 스프로킷(S2)에 전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있어서의 부호 G1는, 엔진 본체측에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텐셔너(T)에 의해서 요동단 근방의 배면이 눌러져 엔진용 전동 체인(100)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는 체인 가이드로서, 이 체인 가이드(G1)는, 엔진용 전동 체인(100)의 체인 바깥둘레측에 슬라이드접촉하는 팽출 만곡 가이드면(G1f)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부호 G2는, 엔진 본체측에 고정되어 엔진용 전동 체인(100)의 주행을 안내하는 체인 가이드로서, 이 체인 가이드(G2)는, 엔진용 전동 체인(100)의 체인 바깥둘레측에 슬라이드접촉하는 평탄한 가이드면(G2f)을 가지고 있다.
엔진용 전동 체인(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으로 이간 배치된 내부 플레이트(110)와 이 내부 플레이트(110)의 부시 압입구멍(111)에 압입하여 끼워맞춤된 전후 한 쌍의 부시(120)와, 이 부시(120)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외부에서 끼워진 전후 한 쌍의 롤러(130)와, 부시(120)의 내부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삽입 통과된 전후 한 쌍의 연결 핀(140)과, 이 연결 핀(140)의 양단에 핀 구멍(151)을 압입하여 끼워맞춤시켜 내부 플레이트(110)를 체인 긴 방향에 연결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간 배치된 외부 플레이트(15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엔진용 전동 체인(100)이 가장 특징으로 하는 내부 플레이트(110) 및 외부 플레이트(150)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7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내부 플레이트(110) 및 외부 플레이트(150)는, 그 체인 바깥둘레측에 체인 가이드(G1,G2)와 슬라이드접촉하는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112,152)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112,152)는, 내부 플레이트(110) 및 외부 플레이트(150)의 플레이트 긴 방향 전후단 근방에 배설된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과, 이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으로부터 연속하여 플레이트 긴 방향 중앙 근방에 배설된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과, 이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의 상호간에 과설(跨設)된 윤활유 보류 만곡면(112c,152c)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은, 내부 플레이트(110) 및 외부 플레이트(150)의 플레이트 긴 방향 전후단 근방에 배설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 가이드(G2)의 평탄한 가이드면(G2f)와의 슬라이드접촉시에는, 이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과 평탄한 가이드면(G2f)에 면접촉상태로 슬라이드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은,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으로부터 연속하여 플레이트 긴 방향 중앙 근방에 배설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 가이드(G1)의 팽출 만곡 가이드면(G1f)와의 슬라이드접촉시에는, 이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과 팽출 만곡 가이드면(G1f)에 접촉 개소 X, X에서 슬라이드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의 곡률 반경은,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측으로부터 윤활유 보류 만곡면(112c,152c)측을 향하여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체인 가이드(G1,G2)와 윤활유 보류 만곡면(112c,152c)의 사이에 생긴 윤활유 보류 틈(A)이 체인폭방향으로 과도하게 넓어지는 것을 회피하여, 이 윤활유 보류 틈(A)에 외부로부터 윤활유를 유도하는 모세관 현상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과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과의 경계 Y의 플레이트 긴 방향 배치 간격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 피치(P)보다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은 팽출 만곡 가이드면에 대해 가라 앉 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이들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을 설치하지 않고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에 윤활유 보류 만곡면(112c,152c)이 직접 계속되는 경우에는, 그 교점(Y,Y)에서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과 체인 가이드(G1)의 팽출 만곡 가이드면(G1f)이 슬라이드접촉한다.
또한,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의 길이 L는,
L≥(H/2)*tan(P/(2(R+H/2)))
(L :플레이트 평탄면의 긴 방향의 길이
H:플레이트 높이
P:체인 피치
R:체인 가이드의 최소곡률 반경)
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6을 기초로 설명하면, 체인 가이드(G1)의 최소곡률 반경 R의 부분에서의 전후에 위치하는 플레이트(110,150)의 굴곡각 θ는, 반경(R+H/2)의 원주상에 체인 피치(P)의 체인을 감아 돌렸을 때의 체인의 링크플레이트 갯수, 즉, 2π(R+H/2)/P로 전체둘레의 각도 2π(단위:라디안)를 나누어 구해지고, θ=2π÷(2π(R+H/2)/P)=P/(R+H/2)(단위:라디안)이 되어, 이 최대 굴곡시에도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끼리가 겹치는 상태를 유지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굴곡시의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의 교점(W)이 반드시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의 각각의 시점 Z와 종점 Y의 중간에 위치하기 위해서는, 쌍방의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의 길이 L는 각각, 최대 굴곡각 θ의 반의 굴곡분 θ/2으로 구해지는 Z-W의 길이 (H/2)*tan(θ/2)=(H/2)* tan(P/(2(R+H/2))) 이상이면 좋다.
한편, 본 실시예의 엔진용 전동 체인(100)에서 말하는 「체인 피치(P)」란, 외부 플레이트(150)에 전후 한 쌍으로 압입하여 끼워맞춤된 연결 핀(140)의 중심이 체인 긴 방향으로 상호 이간하는 간격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시 압입구멍(111) 또는 핀 구멍(151)의 중심으로부터 팽출 만곡 가이드면(G1f)과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의 접촉 개소 X까지의 거리 B는, 부시 압입구멍(111) 또는 핀 구멍(151)의 중심으로부터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 까지의 최소 거리 C보다 길어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팽출 만곡 가이드면(G1f)과의 접촉 방향에의 플레이트 강도가 향상하여, 팽출 만곡 가이드면(G1f)와의 접촉에 기인한 응력이 접촉 개소 X의 근방 부분에 작용했을 때에도, 충분한 체인 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부시 압입구멍(111)과 핀 구멍(151)의 지름의 크기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는 부시 압입구멍(111)의 지름보다 핀 구멍(151)의 지름이 작게 설정되어 있지만, 도 3 내지 도 7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 부시 압입구멍(111)과 핀 구멍(151)의 지름의 크기를 동일한 것으로서 e도시하고 있다.
윤활유 보류 만곡면(112c,152c)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의 상호간에 과설되어 있으며, 윤활유 보류 만곡면(112c,152c)과, 체인 가이드(G1,G2)의 사이에 생긴 윤활유 보류 틈(A)에서 윤활유를 보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윤활유 보류 틈(A)의 체인폭방향의 길이, 즉, 윤활유 보류 만곡면(112c,152c)과 체인 가이드(G1,G2)의 체인폭방향의 최대 이간 거리는, 1mm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윤활유 보류 틈(A)에 윤활유를 유도하는 모세관 현상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2개의 물체의 틈(간격)이 1mm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그 사이 틈을 향해서 외부로부터 액체를 유도하는 모세관 현상이 촉진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내부 플레이트(110) 및 외부 플레이트(15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스프로킷(S1) 및 피구동측 스프로킷(S2)측에 면하는 체인 안둘레측에도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112,152)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그 때문에, 내부 플레이트(110) 및 외부 플레이트(150)는 상하 대칭인 형상을 나타내므로 체인 조립부착시에 플레이트의 상하를 고려하지 않고 내부 플레이트(110) 및 외부 플레이트(150)를 취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본 실시예의 엔진용 전동 체인(100)은, 내부 플레이트(110) 및 외부 플레이트(150)의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112,152)가, 내부 플레이트(110)와 외부 플레이트(150)의 플레이트 긴 방향 전후단 근방에 배설된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와,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으로부터 연속하여 플레이트 긴 방향 중앙 근방에 배설된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과,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의 상호간에 과설된 윤활유 보류 만곡면(112c,152c)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112,152)와 체인 가이드(G2)의 평탄한 가이드면(G2f) 또는 체인 가이드(G1)의 팽출 만곡 가이드면(G1f)와의 사이에 생긴 윤활유 보류 틈(A)에 엔진내의 윤활유가 유도되는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여 양자의 사이에 안정된 유막이 형성되므로, 체인 가이드(G2)의 평탄한 가이드면(G2f) 또는 체인 가이드(G1)의 팽출 만곡 가이드면(G1f)와의 사이의 프릭션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이 체인 가이드(G2)의 평탄한 가이드면(G2f)에 면접촉상태로 슬라이드접촉하여 윤활유 보류 틈(A)에서 보류한 윤활유를 확실하게 시일하므로, 윤활유의 외부 누출을 억제하여 체인 가이드(G2)와의 슬라이드접촉을 원활하게 하여 자동차 엔진의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리고, 체인 가이드(G2)의 평탄한 가이드면(G2f)에 대해서는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과 슬라이드접촉하는 동시에 체인 가이드(G1)의 팽출 만곡 가이드면(G1f)에 대해서는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에서 슬라이드접촉하므로, 체인 가이드(G1,G2)로부터의 응력이 내부 플레이트(110) 및 외부 플레이트(150)의 특정 개소에 집중하지 않고 회피하여 플레이트 내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의 플레이트 긴 방향의 길이 L가, 상기 체인 가이드(G1)의 가장 곡률 반경 R가 작은 부분에서 굴곡해도, 전후에 위치하는 플레이트(110,150)의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끼리가 겹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팽출 만곡 가이드면(G1f)에 슬라이드접촉하여 체인이 굴곡했을 때에도, 인접하는 윤활유 보류 만곡면(112c,152c)이 겹치는 경우 없이 윤활유 보류 틈(A)이 항상 최대로 유지되어 윤활유를 보다 많이 확실하게 윤활유 보류 틈(A)에 보류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과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의 경계 Y의 플레이트 긴 방향 배치 간격이, 체인 피치(P)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 인장력이 가장 집중하기 쉬워 피로 파괴를 일으키기 십상인 플레이트 부분(D), 즉, 내부 플레이트(110)의 부시 압입구멍(111) 혹은 외부 플레이트(150)의 핀 구멍(151)의 중심을 통과하여 체인폭방향으로 성장하는 가상 라인에 가까운 플레이트 부분(D)을 잘라내지 않고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을 형성함으로써 플레이트 강도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으므로, 이 플레이트 부분(D)에 체인 가이드(G2)의 평탄한 가이드면(G2f)과의 슬라이드접촉에 기인한 응력이 작용해도 충분한 체인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링크 플레이트(510) 및 외부 링크 플레이트(550)의 체인 피치(P)와 동일한 폭 혹은 체인 피치(P)보다 긴 폭으로 가이드 대향 만곡면(511,551)을 형성한 종래의 전동 체인(500)과 비교해서, 팽출 만곡 가이드면(G1f)과의 접촉 개소(X,X)의 플레이트 긴 방향 배치 간격이 짧아져 팽출 만곡 가이드면(G1f)에 대한 체인이 가라앉는 것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체인의 가라앉음에 기인하는 체인의 느슨함을 회피하여, 체인 궤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부호(G1f')는, 종래의 전동 체인(500)에 슬라이드접촉했을 때에 있어서의 체인 가이드의 팽출 만곡 가이드면이다.
또한, 플레이트 팽출 곡면(112b,152b)의 곡률 반경이, 플레이트 평탄면(112a,152a)측으로부터 윤활유 보류 만곡면(112c,152c)측을 향하여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112,152)와 체인 가이드(G2)의 평탄한 가이드면(G2f) 또는 체인 가이드(G1)의 팽출 만곡 가이드면(G1f)의 사이에 생긴 윤활유 보류 틈(A)이 체인폭방향으로 과도하게 넓어지는 것을 회피하고, 이 윤활유 보류 틈(A)에 외부로부터 윤활유를 유도하는 모세관 현상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으므로, 체인 가이드(G1,G2)와의 슬라이드접촉을 더 원활하게 하여 자동차 엔진의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부 플레이트(110) 및 외부 플레이트(150)의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112,152)가, 체인 안둘레측과 체인 바깥둘레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플레이트(110) 및 외부 플레이트(150)의 플레이트 형상이 상하 대칭인 형상을 나타내고, 체인 조립부착시에 플레이트의 상하를 고려하지 않고 내부 플레이트(110) 및 외부 플레이트(150)를 취급할 수 있으므로, 체인 조립부착 작업을 간편하게 달성할 수 있으며, 게다가, 내부 플레이트(110) 및 외부 플레이트(150)의 플레이트 중량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체인 전체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심대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엔진용 전동 체인을 이용한 사용 형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엔진용 전동 체인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체인 가이드의 평탄한 가이드면과의 슬라이드접촉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체인 가이드의 팽출 만곡 가이드면과의 슬라이드접촉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체인 가이드의 플레이트 평탄면의 길이 L에 관한 설명도.
도 7은 체인 가이드의 팽출 만곡 가이드면에 대한 플레이트가 가라앉은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종래의 전동 체인에 조립되는 내부 링크 플레이트 및 외부 링크 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
[부호의 설명]
100:엔진용 전동 체인 110:내부 플레이트
111:부시 압입구멍 112: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
112a:플레이트 평탄면 112b:플레이트 팽출 곡면
112c:윤활유 보류 만곡면 120:부시
130:롤러 140:연결 핀
150:외부 플레이트 151:핀 구멍
152: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 152a:플레이트 평탄면
152b:플레이트 팽출 곡면 152c:윤활유 보류 만곡면
S1:구동측 스프로킷 S2:피구동측 스프로킷
T:텐셔너 G1:체인 가이드
G1f:팽출 만곡 가이드면 G2:체인 가이드
G2f:평탄한 가이드면 A:윤활유 보류 틈
P:체인 피치 H:플레이트 높이

Claims (3)

  1. 내부 플레이트와 외부 플레이트가 체인 가이드에 대해서 슬라이드접촉하여 둘레 주행하는 엔진용 전동 체인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가, 상기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긴 방향 전후단 근방에 배설되어 상기 체인 가이드의 가이드면에 슬라이드접촉하는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평탄면과, 상기 전후 한 쌍의 플레이트 평탄면의 상호간에 배설되어 상기 체인 가이드의 가이드면과의 틈에서 윤활유를 보류하는 윤활유 보류 만곡면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상기 엔진용 전동 체인이 상기 체인 가이드의 가장 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에서 굴곡해도 전후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평탄면의 교점이 전후 각 플레이트 평탄면의 각각의 시점과 종점의 사이에 위치하여 그 교점에서 전후의 플레이트 평탄면이 겹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전동 체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평탄면의 플레이트 긴 방향의 길이 L가,
    L≥(H/2)*tan(P/(2(R+H/2)))
    (L:플레이트 평탄면의 긴 방향의 길이
    H:플레이트 높이
    P:체인 피치
    R:체인 가이드의 최소곡률 반경)
    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전동 체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라이드접촉부가, 체인 안둘레측과 체인 바깥둘레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전동 체인.
KR1020080077995A 2007-10-24 2008-08-08 엔진용 전동 체인 KR101256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75918A JP4509161B2 (ja) 2007-10-24 2007-10-24 エンジン用伝動チェーン
JPJP-P-2007-00275918 2007-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141A KR20090042141A (ko) 2009-04-29
KR101256256B1 true KR101256256B1 (ko) 2013-04-18

Family

ID=3979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995A KR101256256B1 (ko) 2007-10-24 2008-08-08 엔진용 전동 체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88029B2 (ko)
JP (1) JP4509161B2 (ko)
KR (1) KR101256256B1 (ko)
CN (1) CN101418843B (ko)
DE (1) DE102008039662B4 (ko)
GB (1) GB24540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2503B2 (ja) * 2008-12-09 2011-03-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
JP4846820B2 (ja) * 2009-04-16 2011-12-2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
DE102012001812B4 (de) 2012-01-31 2022-11-24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Gelenkkette mit schrägen Laschenrücken
JP6071057B2 (ja) * 2013-04-26 2017-02-0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伝動装置
DE102015001334A1 (de) * 2015-02-03 2016-08-04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Gelenkkette mit reibungsreduziertem Kettenlaschenrücken
DE102017009632A1 (de) * 2016-11-03 2018-05-03 Sram Deutschland Gmbh Rollenketten für Fahrräder
JP6802482B2 (ja) 2017-02-06 2020-12-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およびチェーン伝動装置
DE102017102931A1 (de) 2017-02-14 2018-08-16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abfallarmen Kettenlaschen
US11767078B2 (en) * 2019-02-05 2023-09-26 Sram Deutschland Gmbh Drive arrangement for a bicycle
JP2021046889A (ja) * 2019-09-18 2021-03-2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伝動システム
CN112664628B (zh) * 2020-12-01 2022-03-08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链条张紧控制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4651A (en) 1980-03-25 1981-10-21 Tsubakimoto Chain Co Chain link plate
JPH11236949A (ja) 1998-02-23 1999-08-31 Tsubakimoto Chain Co 伝動チェーン用プレート
JP2000002304A (ja) 1998-06-15 2000-01-07 Toyota Motor Corp チェーン式動力伝達装置
JP2001355684A (ja) 2000-06-09 2001-12-26 Daido Kogyo Co Ltd サイレントチェーン及びサイレントチェーンを用いた動力伝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8381A (en) * 1954-05-24 1957-07-09 Harry E Siverson Chain construction
DE2814587A1 (de) 1978-04-05 1979-10-18 Amsted Siemag Kette Gmbh Lasche fuer stahlgelenkketten
JPH10132038A (ja) * 1996-10-24 1998-05-22 Toyota Motor Corp チェーン伝動装置
JP4117553B2 (ja) * 2003-08-13 2008-07-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チェーン駆動装置
JP4360999B2 (ja) * 2004-10-07 2009-11-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チェーン
DE102006017121B4 (de) 2006-04-05 2008-02-14 Iav Gmbh Ingenieurgesellschaft Auto Und Verkehr Kettentrieb
JP5142005B2 (ja) 2006-04-05 2013-02-13 英文 横山 電気溶接機用トーチ
JP4368912B2 (ja) * 2007-07-13 2009-11-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エンジン用伝動チェー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4651A (en) 1980-03-25 1981-10-21 Tsubakimoto Chain Co Chain link plate
JPH11236949A (ja) 1998-02-23 1999-08-31 Tsubakimoto Chain Co 伝動チェーン用プレート
JP2000002304A (ja) 1998-06-15 2000-01-07 Toyota Motor Corp チェーン式動力伝達装置
JP2001355684A (ja) 2000-06-09 2001-12-26 Daido Kogyo Co Ltd サイレントチェーン及びサイレントチェーンを用いた動力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18843A (zh) 2009-04-29
CN101418843B (zh) 2011-12-14
JP2009103231A (ja) 2009-05-14
GB2454050A (en) 2009-04-29
JP4509161B2 (ja) 2010-07-21
KR20090042141A (ko) 2009-04-29
US8088029B2 (en) 2012-01-03
GB2454050B (en) 2012-02-15
US20090111626A1 (en) 2009-04-30
GB0814740D0 (en) 2008-09-17
DE102008039662A1 (de) 2009-04-30
DE102008039662B4 (de)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256B1 (ko) 엔진용 전동 체인
KR101176257B1 (ko) 엔진용 전동 체인
KR101436203B1 (ko) 동력 전달 체인
JP4083264B2 (ja) サイレントチェーン
US8771117B2 (en) Chain transmission apparatus
US8708850B2 (en) Link plate
US20070054768A1 (en) Sintered sprocket with protrusions
US20070270261A1 (en) Roller chain transmission device
KR20110049714A (ko) 체인 가이드 기구
US20100304906A1 (en) Transmission chain
JP2006329221A (ja) チェーン式伝動装置
JP2009103151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WO2008069319A1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US20140187371A1 (en) Chain guide member
KR20120004995A (ko) 체인
JP2017078485A (ja) チェーンガイド
JP3707397B2 (ja) サイレントチェーン用スプロケ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内燃機関のサイレントチェーン式伝達装置
US9476481B2 (en) Drive chain
JP4770554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2008169879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H0535225Y2 (ko)
JP2008190553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5211346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2015014329A (ja) チェーンガイド
JP2008215497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