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609B1 -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과 그 조립 방법, 운반 방법 및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과 그 조립 방법, 운반 방법 및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609B1
KR101255609B1 KR1020107016584A KR20107016584A KR101255609B1 KR 101255609 B1 KR101255609 B1 KR 101255609B1 KR 1020107016584 A KR1020107016584 A KR 1020107016584A KR 20107016584 A KR20107016584 A KR 20107016584A KR 101255609 B1 KR101255609 B1 KR 101255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shaft
outer shaft
inner shaft
ster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2680A (ko
Inventor
히데키 슈토
사이키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0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1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for transmitting drive from more than one propulsion pow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B63H2005/10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with drive shafts of second or further propellers co-axially passing through hub of first propeller, e.g. counter-rotating tandem propellers with co-axial drive sh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16Impeller making
    • Y10T29/49332Propeller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Abstract

[과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본선으로의 거치를 용이하게 한다.
[해결 수단] 프론트 프로펠러(13)의 보스(13a)의 내부에 마련된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36)에 의해 내축(12)의 후측의 소정 부위가 지지되고, 외축(11)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내축(12)의 전측의 소정 부위를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내축 고정 툴(50)과, 프론트 프로펠러(13)의 보스(13a)의 내부에 마련되고 외축(11)으로부터 쓰러스트 하중을 받아 내축(12)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4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과 그 조립 방법, 운반 방법 및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CONTRA-ROTATING PROPELLER UNIT, METHOD FOR ASSEMBLY THEREOF, METHOD FOR TRANSPORTATION THEREOF, AND METHOD FOR MOUNTING THEREOF ON MOTHER SHIP}
본 발명은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과 그 조립 방법, 운반 방법 및 본선(本船)으로의 탑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중 반전 프로펠러는 프론트 프로펠러(front propeller)로부터 유출되는 회전 에너지를 프론트 프로펠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리어 프로펠러(rear propeller)로 회수하여 추진력으로 바꿈으로써, 높은 프로펠러 효율을 얻는 프로펠러 시스템이다. 이하, 이중 반전 프로펠러를 탑재한 선박용 추진 장치를 ‘이중 반전 프로펠러식 선박용 추진 장치’라고 부른다. 이중 반전 프로펠러식 선박용 추진 장치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 문헌 1 및 2에 개시된다.
이중 반전 프로펠러식 선박용 추진 장치의 종래예의 하나로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선박의 추진 장치’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선박의 추진 장치(100)는 내축(102)과 외축(101)을 동심상으로 배치하고, 내축(102)에 리어 프로펠러(104)를 부착하고, 외축(101)에 프론트 프로펠러(103)를 부착하고, 내축(102)을 제1 구동 장치로서의 디젤 엔진이나 가스 터빈 등의 주기관(105)에 의해 회전 구동하고, 외축(101)을 제2 구동 장치로서의 디젤 엔진이나 가스 터빈 등의 주기관(106)에 의해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부호 107은 주기관(106)의 구동축, 부호 108은 기어 전달 장치이다.
종래, 본선으로의 추진 장치의 거치는 건조(建造) 조선소에서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이중 반전 프로펠러는 이중 반전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1축 프로펠러(uniaxial propeller)와 비교하여 베어링 구조, 윤활 구조, 씰링 구조 등 여러 점에서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이 때문에, 이중 반전 프로펠러식 추진 장치를 본선에 거치하는 경우, 건조 조선소에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에 대한 조립 노하우를 숙지하고 있을 필요가 있고, 이중 반전 프로펠러에 대한 조립 노하우가 부족한 건조 조선소에서는 거치가 곤란하였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6743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7-3308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선으로의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과 그 조립 방법, 운반 방법 및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과 그 조립 방법, 운반 방법 및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은 이하의 기술적 수단을 채용한다.
(1) 본 발명은, 후단부에 프론트 프로펠러가 부착된 중공 형상의 외축과, 후단부에 리어 프로펠러가 부착되고 상기 외축에 삽입 및 지지된 내축을 구비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으로서, 상기 프론트 프로펠러의 보스의 내부에 마련된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에 의해 상기 내축의 후측의 소정 부위가 지지되고, 상기 외축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내축의 전측의 소정 부위를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내축 고정 툴과, 상기 프론트 프로펠러의 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외축으로부터 쓰러스트(thrust) 하중을 받아 상기 내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선에 부착 전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구성에 따르면,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에 의해 내축의 선미(船尾) 측이 지지되고, 내축 고정 툴에 의해 내축의 뱃머리 측이 지지되고,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에 의해 내축의 외축에 대한 축방향이 구속됨으로써, 수송 가능한 상태로 조립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이 구성된다.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본선에 탑재하기 전 단계에서는 내축의 뱃머리 측을 지지하기 위한 이중 반전 프론트 베어링을 부착할 수 없지만, 그 대신 내축 고정 툴에 의해 내축의 뱃머리 측이 지지된다.
이에 의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전문적인 조립 공장에서 사전에 조립하고, 완성품을 건조 조선소로 반송하고, 건조 조선소에서는 1축 프로펠러를 삽입하는 것과 같은 요령으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본선의 선미관에 삽입할 수 있어 간단한 거치 공정만으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본선에 탑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에 대한 조립 노하우가 부족한 건조 조선소에서도 본선으로의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2) 상기 (1)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내축 고정 툴은 상기 외축의 외경과 같거나 그 이상이고 또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이 탑재되는 본선의 선미관 베어링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 본체를 가지고, 가이드 본체는 상기 선미관 베어링부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선단의 외주연부(外周緣部)에 챔퍼부(chamfered portion)를 가진다.
내축 고정 툴의 가이드 본체가 상기의 구성을 가지므로, 건조 조선소에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본선의 선미관에 삽입할 때 외축이 선미관 베어링부에 접촉해도 외축과 선미관 베어링부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또한 상기 내축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선단에 리프팅 피스(lifting piece)가 마련된 내축 리프팅 툴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본선의 선미관에 삽입할 때, 내축이 선미관으로부터 기관실 측으로 튀어나오면 내축 리프팅 툴을 적절한 리프팅 수단으로 리프팅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정해진 위치까지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4) 상기 (3)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내축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축의 중공부와, 상기 내축과 상기 외축 사이가 동일 계통의 윤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내축 고정 툴과 상기 외축 사이에는 제1 씰링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내축 고정 툴과 내축 사이에는 제2 씰링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내축 리프팅 툴과 상기 내축 사이에는 제3 씰링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내축 리프팅 툴은 상기 내축의 중공부에 윤활유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 유로를 가진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의 씰링 부재에 의해 외축과 내축 고정 툴 사이, 내축 고정 툴과 내축 사이, 및 내축 리프팅 툴과 내축 사이로부터 윤활유의 리크가 방지되므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공장에서 사전에,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내부에 형성된 윤활유로에 윤활유를 가득 채워서 내압 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5) 상기 (3) 또는 (4)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내축 리프팅 툴은 상기 내축의 선단부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상기 외축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를 가지고,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축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선단의 외주연부에 챔퍼부를 가진다.
내축 리프팅 툴의 가이드 부재가 상기의 구성을 가지므로,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구조에서 내축을 외축에 삽입할 때 내축이 외축 내주면에 접촉해도 외축과 내축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내축 고정 툴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내축을 외축에 삽입한 후 내축 리프팅 툴을 내축으로부터 떼어내지 않고 내축 고정 툴을 외축의 선단부에 부착할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또한 상기 외축의 후측의 소정 부위에 마련된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와, 상기 외축에 부착되고 상기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를 상기 외축에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리어 씰링 고정 툴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를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에 포함시켜 둠으로써, 건조 조선소에서의 거치 작업을 한층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조선소로 수송하기 전에는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가 본래 고정되어야 하는 본선의 선미관이 없지만, 그 대신 리어 씰링 고정 툴에 의해 외축에 임시 고정된다. 이에 의해, 수송 시의 진동에 의해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가 데미지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8) 상기 (7)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리어 씰링 고정 툴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이 건조 조선소로 운반되어 외축이 본선의 선미관에 삽입된 후에 리어 씰링 고정 툴을 분해하여 외축으로부터 떼어내고,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를 선미관의 후단부에 고정할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에 있어서, 또한 선미관 베어링부가 장착되고 상기 외축이 삽입되고 상기 외축을 지지하는 중공 형상의 선미관 내통과, 선미관 내통의 후단부에 부착된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와, 상기 선미관 내통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외축의 전측의 소정 부위를 일시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상기 외축의 상기 선미관 내통에 대한 축방향 이동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외축 고정 툴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10) 본 발명은, 후단부에 프론트 프로펠러가 부착된 중공 형상의 외축과, 후단부에 리어 프로펠러가 부착되고 상기 외축의 내부에 삽입 및 지지된 내축을 구비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외축의 내부에 상기 내축을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프론트 프로펠러의 보스의 내부에, 상기 외축으로부터 쓰러스트 하중을 받아 상기 내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내축의 상기 외축에 대한 축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공정과, 프론트 프로펠러의 보스의 내부에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을 마련하고, 상기 내축의 후측의 소정 부위를 상기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으로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외축의 선단부에 내축 고정 툴을 부착하고, 내축 고정 툴에 의해 상기 내축의 전측의 소정 부위를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후단부에 프론트 프로펠러가 부착된 중공 형상의 외축과, 후단부에 리어 프로펠러가 부착되고 상기 외축의 내부에 삽입 및 지지된 내축을 구비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방법으로서, 선미관 베어링부가 장착된 중공 형상의 선미관 내통에 상기 외축을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선미관 내통의 후단부에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를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선미관 내통에 외축 고정 툴을 부착하고, 외축 고정 툴에 의해 상기 외축의 전측의 소정 부위를 일시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상기 외축의 상기 선미관 내통에 대한 축방향 이동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공정과, 상기 외축의 내부에 상기 내축을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프론트 프로펠러의 보스의 내부에, 상기 외축으로부터 쓰러스트 하중을 받아 상기 내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내축의 상기 외축에 대한 축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공정과, 프론트 프로펠러의 보스의 내부에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을 마련하고, 상기 내축의 후측의 소정 부위를 상기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으로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외축의 선단부에 내축 고정 툴을 부착하고, 내축 고정 툴에 의해 상기 내축의 전측의 소정 부위를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0) 및 (11)의 조립 방법에 따르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전문적인 조립 공장에서 사전에 조립하여 완성품을 건조 조선소로 반송하고, 건조 조선소에서는 1축 프로펠러를 삽입하는 것과 같은 요령으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본선의 선미관 내통 또는 선미관 관통 홀에 삽입할 수 있어 간단한 거치 공정만으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본선에 탑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에 대한 조립 노하우가 부족한 건조 조선소에서도 본선으로의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2) 상기 (9) 또는 (11)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또한 상기 내축의 선단부에, 선단에 리프팅 피스가 마련된 내축 리프팅 툴을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내축의 선단부에 내축 리프팅 툴이 부착되므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본선의 선미관에 삽입할 때, 내축이 선미관으로부터 기관실 측으로 튀어나오면 내축 리프팅 툴을 적절한 리프팅 수단으로 리프팅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정해진 위치까지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13) 상기 (10)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또한 상기 외축의 후측의 소정 부위에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를 마련하는 공정과, 리어 씰링 고정 툴을 상기 외축에 부착하여 상기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를 상기 외축에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를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에 포함시켜 둠으로써, 건조 조선소에서의 거치 작업을 한층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조선소로 수송하기 전에는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가 본래 고정되어야 하는 본선의 선미관이 없지만, 그 대신 리어 씰링 고정 툴에 의해 외축에 임시 고정한다. 이에 의해, 수송 시의 진동에 의해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가 데미지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4) 상기 (10)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설치면에 설치되는 조립 하부대와, 조립 하부대 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외축을 지지하는 상부 수납 베이스(receiving base)를 구비한 임시 거치대 위에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조립하고, 상기 조립 하부대에 대하여 상기 외축의 크기에 대응한 복수 종류의 크기의 상부 수납 베이스를 부착 가능하게 하였다.
(15) 상기 (11)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설치면에 설치되는 조립 하부대와, 조립 하부대 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선미관 내통을 지지하는 상부 수납 베이스를 구비한 임시 거치대 위에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조립하고, 상기 조립 하부대에 대하여 상기 선미관 내통의 크기에 대응한 복수 종류의 크기의 상부 수납 베이스를 부착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 (14) 및 (15) 방법에 따르면, 상부 수납 베이스가 조립 하부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고, 서로 다른 크기의 상부 수납 베이스를 조립 하부대에 부착 가능하므로, 외축 또는 선미관 내통의 크기의 차이를 상부 수납 베이스로 대응하고, 조립 하부대에 대해서는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16) 본 발명은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운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임시 거치대 위에서 조립하고, 조립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상기 임시 거치대에 실은 상태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과 상기 임시 거치대를 수송 수단에 실어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7) 또한 본 발명은 상기 (9)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운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임시 거치대 위에서 조립하고, 조립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상기 임시 거치대에 실은 상태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과 상기 임시 거치대를 수송 수단에 실어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임시 거치대 위에서 조립하고, 그 상태로 수송 수단에 실으므로, 수송 수단에 싣기 위한 별도의 지지대를 준비할 필요가 없음과 함께, 수송 수단으로의 이재(移載)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8) 본 발명은 상기 (16)에 기재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운반 방법에 따라 운반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본선에 탑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임시 거치대는 설치면에 설치되는 조립 하부대와, 조립 하부대 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외축을 지지하는 상부 수납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수납 베이스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조립 하부대에 대한 상기 상부 수납 베이스의 고정을 해제함과 함께, 리프팅 수단에 의해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 중 본선의 선미관에 삽입되는 부분보다 후방 부위와 상기 상부 수납 베이스를 리프팅함으로써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선미관의 축심과 평행하게 리프팅하고, 리프팅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선미관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9)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17)에 기재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운반 방법에 따라 운반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본선에 탑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임시 거치대는 설치면에 설치되는 조립 하부대와, 조립 하부대 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외축을 지지하는 상부 수납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수납 베이스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조립 하부대에 대한 상기 상부 수납 베이스의 고정을 해제함과 함께, 리프팅 수단에 의해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 중 선미관 내통보다 후방 부위와 상기 상부 수납 베이스를 리프팅함으로써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선미관 관통 홀의 축심과 평행하게 리프팅하고, 리프팅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선미관 관통 홀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8) 및 (19)의 방법에 따르면, 상부 수납 베이스가, 조립 하부대와 분리되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리프팅할 때의 외축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기능하므로, 외축에 대하여 별도의 지지 부재를 부착하지 않고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리프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선미관 내통 또는 선미관 관통 홀에 삽입하고, 단시간에 본선에 탑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반전 프로펠러에 대한 조립 노하우가 부족한 건조 조선소에서도 본선으로의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내축 고정 툴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2의 내축 리프팅 툴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의 제1 설명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의 제2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이중 반전 프로펠러 추진 장치의 전체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구성도이다. 먼저,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어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은 후단부에 프론트 프로펠러(13)가 부착된 중공 형상의 외축(11)과, 후단부에 리어 프로펠러(15)가 부착되고 외축(11)의 내부에 지지된 내축(12)을 구비한다.
외축(11)의 후단부에 프론트 프로펠러(13)가 부착된다. 프론트 프로펠러(13)는 중심부에 보스(13a)를 가지고, 보스(13a)의 뱃머리 측 단면과 외축(11)의 선미 측 단면이 볼트 등의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외축(11)의 뱃머리 측 단부 내면과 선미 측 단부 내면에, 내축(12)을 외축(11)에 삽입할 때 흠집이 나지 않도록 축 가이드(47, 48)가 마련된다.
내축(12)은 후단부에 리어 프로펠러(15)가 부착되고 외축(11)에 삽입 및 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내축(12)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에 있어서, 내축(12)의 중공부(12a)와, 외축(11)과 내축(12) 사이는 동일 계통의 윤활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리어 프로펠러(15)는 중심부에 보스(15a)를 가지고, 보스(15a)에서 내축(12)의 후단부에 끼워 맞춤되고, 프로펠러 너트(39)에 의해 내축(12)에 고정된다.
프론트 프로펠러(13)의 보스(13a)의 내부에 마련된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36)에 의해 내축(12)의 후측의 소정 부위가 지지된다.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36)은 프론트 프로펠러(13)의 보스(13a)의 후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된 베어링 하우징(45a)에 지지됨으로써, 보스(13a)의 내부에 고정된다.
외축(11)의 선단부에는 내축(12)의 전측의 소정 부위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내축 고정 툴(50)이 부착된다.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본선에 탑재하기 전 단계에서는, 내축(12)의 뱃머리 측을 지지하기 위한 이중 반전 프론트 베어링(35)(도 10 참조)을 부착할 수 없다. 그래서, 이중 반전 프론트 베어링(35) 대신에 내축 고정 툴(50)에 의해 내축(12)의 뱃머리 측을 임시 지지(임시 고정)한다.
도 3에 내축 고정 툴(50)의 확대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축 고정 툴(50)은, 외축(11)의 외경과 같거나 그 이상이고 또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이 탑재되는 본선의 선미관 베어링부인 전측 부시(5) 및 후측 부시(6)(도 7 참조)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 본체(51)를 가진다. 가이드 본체(51)는 볼트(53)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외축(11)의 뱃머리 측 단면에 고정된다.
가이드 본체(51)는 선미관 베어링부보다 연질의 재료(예를 들어, 동)로 이루어짐과 함께 선단의 외주연부에 챔퍼부(51a)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해, 건조 조선소에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본선의 선미관 내통(3)에 삽입할 때 외축(11)이 선미관 베어링부(전측 부시(5) 및 후측 부시(6))에 접촉해도 외축(11)과 선미관 베어링부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축 고정 툴(50)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 가능한 구성(이 구성예에서는 2분할 구성)을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조립 공정에서, 내축(12)을 외축(11)에 삽입한 후, 내축 리프팅 툴(60)을 내축(12)으로부터 떼어내지 않고 내축 고정 툴(50)을 외축(11)의 선단부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본체(51)와 외축(11) 사이에는 제1 씰링 부재로서 패킹(55)이 마련되고, 가이드 본체(51)와 내축(12) 사이에는 제2 씰링 부재로서 O링(56)이 마련된다. O링(56)을 고정하기 위하여, 가이드 본체(51)의 뱃머리 측 단면에는 가압판(52)이 볼트(54)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씰링 부재 및 제2 씰링 부재에 의해, 외축(11)과 내축 고정 툴(50) 사이 및 내축 고정 툴(50)과 내축(12) 사이로부터 윤활유의 리크가 방지되므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조립 공장에서 사전에, 외축(11)과 내축(12) 사이에 형성된 윤활유로에 윤활유를 가득 채워서 내압 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내축(12)의 선단부에는 선단에 리프팅 피스(65)가 마련된 내축 리프팅 툴(60)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4에 내축 리프팅 툴(60)의 확대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축 리프팅 툴(60)은 내축(12)의 선단부를 덮도록 형성된 중공 원통형의 리프팅 본체(61)를 가지고, 리프팅 본체(61)는 볼트(63) 등의 고정 수단으로 내축(12)의 선단부에 고정된다. 리프팅 본체(61)의 내주면과 내축(12)의 외주면 사이에는 보호용 고무 시트(68)가 마련된다.
또한, 내축 리프팅 툴(60)은 내축(12)의 선단부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외축(1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62)를 가진다. 가이드 부재(62)는 외축(11)보다 연질의 재료(예를 들어, 동)로 이루어짐과 함께 선단의 외주연부에 챔퍼부(62a)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조립 공정에서, 내축(12)을 외축(11)에 삽입할 때 내축(12)이 외축(11)의 내주면에 접촉해도 외축(11)과 내축(12)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본체(61)와 내축(12)의 선단면 사이에는 제3 씰링 부재로서 패킹(64)이 마련된다. 리프팅 피스(65)에는 내압 확인용 윤활유를 내축(12)의 중공부(12a)에 도입하기 위한 도입 유로(66)와, 도시하지 않은 내압 확인용 윤활유 공급 장치의 윤활유 공급관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시트(connection seat)(67)가 마련되고, 상기의 내축 고정 툴(50)에는 윤활유를 가득 채울 때 이중 반전용 윤활유의 유로 내의 에어 블리딩(air bleeding)을 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에어 블리딩 플러그(air bleeding plug)가 마련된다. 이 구성에 의해, 리프팅 피스(65)로부터 내축(12)의 중공부(12a)에 내압 확인용 윤활유를 도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축(12)의 중공부(12a)와, 외축(11)과 내축(12) 사이는 동일 계통의 윤활유로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중공부(12a)에 윤활유를 도입함으로써 외축(11)과 내축(12) 사이에 윤활유를 가득 채울 수 있다.
프론트 프로펠러(13)의 보스의 내부에는 외축(11)의 쓰러스트 하중을 받아 내축(12)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4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프론트 프로펠러(13)의 보스와 외축(11) 사이에 환상(環狀) 오목부(14)가 형성되고, 환상 오목부(14)에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40)이 마련된다.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40)은 예를 들어, 틸팅 패드식 쓰러스트 베어링인 것이 좋다.
내축(12)과 외축(11) 사이에는 윤활유의 유로가 형성된다. 유로로부터 윤활유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해수가 유로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론트 프로펠러(13)의 보스(13a)의 후단부에 이중 반전 리어 씰링 장치(38)가 배치된다. 이중 반전 리어 씰링 장치(38)는 리어 프로펠러(15)의 전단면에 고정된 중공 형상의 라이너(38a)와, 베어링 하우징(45a)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라이너(38a)에 대하여 회전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는 씰링 링(seal ring)(38b)으로 이루어진다.
이 구성예에 있어서, 라이너(38a)의 내주면과 내축(12)의 외주면 사이에는 윤활유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갭(gap)이 마련되고, 프론트 프로펠러(13)의 보스(13a)의 후단부에 이중 반전 리어 씰링 장치(38)를 덮도록 마련된 로프 가드(44)가 고정된다.
한편, 이중 반전 프론트 씰링 장치(37)(도 10 참조)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본선의 선미관 내통(3)에 삽입한 후에 부착된다.
리어 프로펠러(15)의 보스(15a)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46)이 원주 방향으로 복수 마련된다. 홀(46)은 윤활유 유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리어 프로펠러(15)의 보스(15a)의 후단부에는 윤활유의 리크를 방지하기 위한 프로펠러 캡(43)이 부착된다. 프로펠러 캡(43)은 신뢰성 향상을 위해 내측 캡(43a)과 외측 캡(43b)을 가지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리어 프로펠러(15)의 보스(15a)의 홀(46)의 후단과 내축(12)의 중공부(12a)의 후단은 모두 프로펠러 캡(43)(내측 캡(43a))의 내부를 향한 형태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내압 확인에 있어서, 내축 리프팅 툴(60)의 리프팅 피스(65)를 통하여 내축(12)의 중공부(12a)에 도입된 윤활유는 내축(12)의 후단부로부터 프로펠러 캡(43)에 침입하고, 리어 프로펠러(15)의 보스에 형성된 홀(46), 및 내축(12)과 이중 반전 리어 씰링 장치(38)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과하고,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36),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40)을 지나서 외축(11)의 선단까지 도달한다. 이에 의해, 외축(11)과 내축(12) 사이에 내압 확인용 윤활유가 가득 채워진다.
한편,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본선에 탑재하고, 이중 반전 프로펠러 추진 장치로서 운전할 때 이중 반전부에 공급되는 윤활유의 흐름 방향은 내압 확인 시의 윤활유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이 좋다. 즉, 윤활유는 이중 반전 프론트 베어링(35)과 이중 반전 프론트 씰링 장치(37) 사이(도 10 참조)로부터 도입되고, 이중 반전 프론트 베어링(35),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40) 및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36)을 윤활한 후 프로펠러 캡(43)을 경유하여 내축(12)의 중공부(12a)에 들어가는 것이 좋다. 이 경우, 도 10에서 있어서, 내축(12)으로부터의 윤활유는 내축 출력축(29)의 중공부를 지나서 선단부로부터 배출되어 도시하지 않은 윤활유 탱크로 되돌려진다.
외축(11)의 후측에는 선미관 내통(3)(도 10 참조) 내부의 윤활유의 해수 측으로의 리크를 막기 위한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가 부착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외축(11)에는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를 외축(11)에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리어 씰링 고정 툴(45)이 부착된다. 건조 조선소로 수송하기 전에는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가 본래 고정되어야 하는 본선의 선미관 내통(3)이 없다. 그래서, 선미관 내통(3) 대신에 리어 씰링 고정 툴(45)에 의해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를 외축(11)에 임시 고정한다.
또한, 리어 씰링 고정 툴(45)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 가능한 구성(이 구성예에서는 2분할 구성)을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해, 건조 조선소로 운반되어 외축(11)이 본선의 선미관 내통(3)에 삽입된 후에 리어 씰링 고정 툴(45)을 분해하여 외축(11)으로부터 떼어내고,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를 선미관 내통(3)의 후단부에 고정할 수 있다(도 10 참조).
이어서, 상기의 구성을 구비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조립 작업은 임시 거치대(70) 위에서 행한다. 임시 거치대(70)는 설치면에 설치되는 조립 하부대(71)와, 조립 하부대(71) 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외축(11)을 지지하는 상부 수납 베이스(72)를 구비한다. 도 2의 구성예에 있어서, 조립 하부대(71)는 전후에 2개 배치되고, 상하좌우의 4개소에서 연결용 보강재(7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2의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도 5에 나타낸다. 단, 도 5에서 외축(11)과 내축(12)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수납 베이스(72)는 수납 베이스 본체(73)와, 수납 베이스 본체(73)의 상부에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상부 커버(74)를 가지고, 수납 베이스 본체(73)와 상부 커버(74)에 의해 외축(11)을 사이에 두고 지지된다.
또한, 수납 베이스 본체(73)의 좌우 양측에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리프팅할 때 사용하는 리프팅 수단의 와이어 로프(77)(도 6 참조)를 통과시키기 위한 홀(73a)이 마련된다.
임시 거치대(70)에 있어서, 조립 하부대(71)에 대하여, 외축(11)의 크기에 대응한 복수 종류의 크기의 상부 수납 베이스(72)를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외축(11)의 크기의 차이를 상부 수납 베이스(72)로 대응하고, 조립 하부대(71)에 대해서는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조립 작업을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외축(11)의 뱃머리 측으로부터 플랜지 커버(49)를 외축(11)의 후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단면까지 삽입하여 임시 거치한다. 이어서,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를 외축(11)에 삽입하고, 소정 위치에 리어 씰링 고정 툴(45)로 임시 고정한다. 그리고, 이 상태의 외축(11)을 상부 수납 베이스(72)의 수납 베이스 본체(73) 위에 두고, 상부 커버(74)를 볼트 등의 고정 수단으로 수납 베이스 본체(73)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2)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40)의 뱃머리 측의 패드(40a)를 외축(11)의 선미 단면에 부착함과 함께, 내축(12)의 선단부에 내축 리프팅 툴(60)을 부착하여 고정하고, 외축(11)의 선미 측으로부터 내축(12)을 소정 위치까지 삽입하고, 외축(11)의 선단부에 내축 고정 툴(50)을 부착하여 내축(12)의 뱃머리 측을 임시 지지한다. 내축(12)을 외축(11)에 삽입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외축(11)의 뱃머리 측 단부 내면과 선미 측 단부 내면에 축 가이드(47, 48)가 마련되므로, 내축(12)이 외축(11)에 접촉하는 것에 따른 손상이 방지된다.
(3) 프론트 프로펠러(13)의 보스(13a) 내부의 뱃머리 측 단면에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40)의 선미 측 패드(40b)를 부착함과 함께 보스(13a)의 선미 측 내부에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36)을 부착하고나서, 프론트 프로펠러(13)를 외축(11)의 플랜지 후단면에 배치하고 볼트 등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한다. 이어서, 플랜지 커버(49)를 볼트 등의 고정 수단으로 외축(11)의 플랜지에 고정한다.
(4) 베어링 하우징(45a)의 후부 단면에 이중 반전 리어 씰링 장치(38)를 부착하고, 프론트 프로펠러(13)의 보스(13a)의 후부 단면에 로프 가드(44)를 볼트 등의 고정 수단으로 부착한다.
(5) 리어 프로펠러(15)를 내축(12)에 유압 장치(hydraulic system) 등을 이용하여 밀어넣음으로써 부착하고, 프로펠러 너트(39)로 고정하고, 이어서 프로펠러 캡(43)을 리어 프로펠러(15)의 후단부에 부착한다.
상술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과 그 조립 방법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36)에 의해 내축(12)의 선미 측이 지지되고, 내축 고정 툴(50)에 의해 내축(12)의 뱃머리 측이 지지되고,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40)에 의해 내축(12)의 외축(11)에 대한 축방향이 구속됨으로써, 수송 가능한 상태로 조립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이 구성된다. 이에 의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전문적인 조립 공장에서 사전에 조립하여 완성품을 건조 조선소로 반송하고, 건조 조선소에서는 1축 프로펠러를 삽입하는 것과 동일한 요령으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본선의 선미관 내통(3)에 삽입할 수 있어, 간단한 거치 공정만으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본선에 탑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에 대한 조립 노하우가 부족한 건조 조선소에서도 본선으로의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내축 리프팅 툴(60)을 구비하므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본선의 선미관 내통(3)에 삽입할 때, 내축(12)이 선미관 내통(3)으로부터 기관실 측으로 튀어나오면 내축 리프팅 툴(60)을 적절한 리프팅 수단으로 리프팅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정해진 위치까지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도 7 참조).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를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에 포함시켜 둠으로써, 건조 조선소에서의 거치 작업을 한층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선미관 내통(3) 대신에 리어 씰링 고정 툴(45)에 의해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를 외축(11)에 임시 고정하므로, 수송 시의 진동에 의해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가 데미지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축 고정 툴(50)이, 외축(11)의 외경과 같거나 그 이상이고 또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이 탑재되는 본선의 선미관 베어링부(전측 부시(5) 및 후측 부시(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 본체(51)를 가지고, 가이드 본체(51)가 선미관 베어링부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선단의 외주연부에 챔퍼부(51a)를 가지므로, 건조 조선소에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본선의 선미관 내통(3)에 삽입할 때 외축(11)이 선미관 베어링부에 접촉해도 외축(11)과 선미관 베어링부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6 참조).
내축 리프팅 툴(60)이 내축(12)의 선단부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외축(11)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62)를 가지고, 가이드 부재(62)가 외축(11)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선단의 외주연부에 챔퍼부(62a)를 가지므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내축(12)을 외축(11)에 삽입할 때 내축(12)이 외축(11)의 내주면에 접촉해도 외축(11)과 내축(12)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씰링 부재(55, 56, 64)에 의해 외축(11)과 내축 고정 툴(50) 사이, 내축 고정 툴(50)과 내축(12) 사이, 및 내축 리프팅 툴(60)과 내축(12) 사이로부터 윤활유의 리크가 방지되므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조립 공장에서 사전에,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내부에 형성된 윤활유로에 윤활유를 가득 채워서 내압 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내축 고정 툴(50)이 반경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 가능한 구성을 가지므로, 내축(12)을 외축(11)에 삽입한 후 내축 리프팅 툴(60)을 내축(12)으로부터 떼어내지 않고 내축 고정 툴(50)을 외축(11)의 선단부에 부착할 수 있다.
리어 씰링 고정 툴(45)이 반경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 가능한 구성을 가지므로, 건조 조선소로 운반되어 외축(11)이 본선의 선미관 내통(3)에 삽입된 후에 리어 씰링 고정 툴(45)을 분해하여 외축(11)으로부터 떼어내고,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를 선미관 내통(3)의 후단부에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운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운반 방법은,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임시 거치대(70) 위에서 조립하고, 조립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임시 거치대(70)에 실은 상태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과 임시 거치대(70)를 수송 수단(트럭 등)에 실어 운반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임시 거치대(70) 위에서 조립하고 그 상태로 수송 수단에 실으므로, 수송 수단에 싣기 위한 별도의 지지대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수송 수단으로의 이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임시 거치대(70)에 실린 상태인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수송 수단에 의해 건조 조선소까지 운반해 오면, 이것을 본선의 선미관 내통(3)의 후방의 소정 위치에 둔다. 그리고, 상부 수납 베이스(72)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지지한 상태로 조립 하부대(71)에 대한 상부 수납 베이스(72)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어서, 리프팅 수단에 의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 중 본선의 선미관 내통(3)에 삽입되는 부분보다 후방 부위와 상부 수납 베이스(72)를 리프팅함으로써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선미관 내통(3)의 축심과 평행하게 리프팅한다. 여기서, 도 6에 있어서, 리프팅 수단의 와이어 로프(77)를 나타내고 있고, 2개의 상부 수납 베이스(72)와 프론트 프로펠러(13)의 전부 3개소에서 리프팅하고 있다.
한편, 만약 가능하면, 2개소에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리프팅해도 된다. 또한, 만약 가능하면, 리프팅 포인트의 1개를 프론트 프로펠러(13) 대신에 리어 프로펠러(15)으로 해도 된다.
이어서, 리프팅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선미관 내통(3)에 삽입해 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축 고정 툴(50)이, 외축(11)의 외경과 같거나 그 이상이고 또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이 탑재되는 본선의 선미관 베어링부(전측 부시(5) 및 후측 부시(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 본체(51)를 가지고, 가이드 본체(51)가 선미관 베어링부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선단의 외주연부에 챔퍼부(51a)를 가지므로(도 3 참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본선의 선미관 내통(3)에 삽입할 때 외축(11)이 선미관 베어링부에 접촉해도 외축(11)과 선미관 베어링부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선미관 내통(3) 내부로의 삽입량의 증대에 수반하여, 상부 수납 베이스(72)에 의해 리프팅하고 있는 포인트가 선미관 내통(3)의 후부에 가까워진 시점에서 필요한 바와 같이, 상부 수납 베이스(72)에 의한 외축(11)의 지지 포인트를 후방으로 옮기거나, 상부 수납 베이스(72)를 외축(11)으로부터 떼어낸다. 내축(12)이 선미관 내통(3)으로부터 기관실 측으로 튀어나오면, 기관실 내에서 내축 리프팅 툴(60)을 적절한 리프팅 수단으로 리프팅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정해진 위치까지 삽입한다.
상기의 탑재 방법에 따르면, 상부 수납 베이스(72)가, 조립 하부대(71)와 분리하여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리프팅할 때의 외축(11)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기능하므로, 외축(11)에 대하여 별도의 지지 부재를 부착하지 않고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리프팅하여 선미관 내통(3)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단시간에 본선에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리어 씰링 고정 툴(45)이 반경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 가능한 구성을 가지므로, 건조 조선소로 운반되어 외축(11)이 본선의 선미관 내통(3)에 삽입된 후에 리어 씰링 고정 툴(45)을 분해하여 외축(11)으로부터 떼어내고,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를 선미관 내통(3)의 후단부에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은 선미관 베어링부(전측 부시(5) 및 후측 부시(6))가 장착되고 외축(11)이 삽입되고 외축(11)을 지지하는 중공 형상의 선미관 내통(3)과, 선미관 내통(3)의 후단부에 부착된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와, 선미관 내통(3)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외축(11)의 전측의 소정 부위를 일시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외축(11)의 선미관 내통(3)에 대한 축방향 이동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외축 고정 툴(69)을 구비한다.
외축 고정 툴(69)은 선미관 관통 홀(1)(도 9 참조)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부재이며, 반경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 가능한 구성(이 구성예에서는 2분할 구성)을 가진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에서는 유닛 조립 단계에서는 선미관 내통(3)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 형태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에서는 유닛 조립 단계에서 선미관 내통(3)이 포함되며, 이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이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와 달리 제2 실시 형태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에는 리어 씰링 고정 툴(45)이 마련되지 않았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의 구성을 구비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조립 작업은 임시 거치대(70) 위에서 행한다. 임시 거치대(70)는 상부 수납 베이스(72)가 외축(11) 대신에 선미관 내통(3)을 지지하는 점 이외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임시 거치대(7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8을 참조하면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조립 작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선미관 내통(3)의 전부 내측과 후부 내측에 각각 전측 부시(5) 및 후측 부시(6)를 압입한다.
(2) 외축(11)의 뱃머리 측으로부터 플랜지 커버(49)를 외축(11)의 후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단면까지 삽입하여 임시 거치한다. 이어서,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를 외축(11)에 삽입하고 나서, 전측 부시(5) 및 후측 부시(6) 가 장착된 선미관 내통에 외축을 소정 위치까지 삽입하고, 선미관 내통(3)의 후단부에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를 고정한다.
(3) 선미관 내통(3)의 선단부에 외축 고정 툴(69)을 볼트 등의 고정 수단으로 부착하고, 외축(11)의 전측의 소정 부위를 일시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외축(11)의 선미관 내통(3)에 대한 축방향 이동을 일시적으로 구속한다.
(4) 상기 (3)의 상태까지 조립된 것을 상부 수납 베이스(72)의 수납 베이스 본체(73) 위에 두고, 상부 커버(74)를 볼트 등의 고정 수단으로 수납 베이스 본체(73)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이후의 조립 순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조립 순서의 (2) 내지 (5)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과 그 조립 방법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전문적인 조립 공장에서 사전에 조립하고, 완성품을 건조 조선소로 반송하여, 건조 조선소에서 본선으로의 거치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에 대한 조립 노하우가 부족한 건조 조선소에서도 본선으로의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운반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임시 거치대(70) 위에서 조립하고, 조립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임시 거치대(70)에 실은 상태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과 임시 거치대(70)를 수송 수단(트럭 등)에 실어 운반한다. 이 운반 방법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의 운반 방법과 마찬가지로, 수송 수단에 싣기 위한 별도의 지지대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수송 수단으로의 이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임시 거치대(70)에 실린 상태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수송 수단에 의해 건조 조선소까지 운반해 오면, 이것을 본선의 선미관(3)의 후방의 소정 위치에 둔다. 그리고, 상부 수납 베이스(72)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지지한 상태로 조립 하부대(71)에 대한 상부 수납 베이스(72)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어서, 리프팅 수단에 의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 중 선미관 내통(3)보다 후방 부위와 상부 수납 베이스(72)를 리프팅함으로써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선미관 관통 홀(1)의 축심과 평행하게 리프팅한다. 여기서, 도 9에 있어서, 리프팅 수단의 와이어 로프(77)를 나타내고 있고, 2개의 상부 수납 베이스(72)와 프론트 프로펠러(13)의 전부 3개소에서 리프팅하고 있다.
한편, 만약 가능하면, 2개소에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리프팅해도 된다. 또한, 만약 가능하면, 리프팅 포인트의 1개를, 프론트 프로펠러(13) 대신에 리어 프로펠러(15)로 해도 된다.
이어서, 리프팅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선미관 관통 홀(1)에 삽입해 간다.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선미관 관통 홀(1) 내부로의 삽입량의 증대에 수반하여, 상부 수납 베이스(72)로 리프팅하고 있는 포인트가 선미관 관통 홀(1)의 후부에 가까워진 시점에서 필요한 바와 같이, 상부 수납 베이스(72)에 의한 선미관 내통(3)의 지지 포인트를 후방으로 옮기거나, 상부 수납 베이스(72)를 선미관 내통(3)으로부터 떼어낸다. 내축(12)이 선미관 관통 홀(1)로부터 기관실 측으로 튀어나오면, 기관실 내에서 내축 리프팅 툴(60)을 적절한 리프팅 수단으로 리프팅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정해진 위치까지 삽입하여 도 7과 같은 상태로 한다.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의 탑재 방법에 따르면, 상부 수납 베이스(72)가, 조립 하부대(71)와 분리하여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리프팅할 때의 선미관 내통(3)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기능하므로, 선미관 내통(3)에 대하여 별도의 지지 부재를 부착하지 않고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리프팅하여 선미관(3)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단시간에 본선에 탑재할 수 있다.
본선에 탑재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10′))은 구동원 측과 연결되어 이중 반전 프로펠러 추진 장치로서 완성된다. 도 10은 이중 반전 프로펠러 추진 장치의 전체 개략도이다.
외축(11)의 뱃머리 측 단부에는 외축용 슬리브 조인트(16)가 연결 고정된다. 외축용 슬리브 조인트(16)의 뱃머리 측 단부에는 중공 형상의 외축 중간축(17)이 연결 고정된다. 도 10의 구성예에 있어서, 이중 반전 프론트 베어링(35)이 외축용 슬리브 조인트(16)와 내축(12) 사이에 배치된다.
윤활유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축용 슬리브 조인트(16)의 뱃머리 측 단면에 이중 반전 프론트 씰링 장치(37)가 배치된다. 선미관(3) 내부의 윤활유의 기관실 측으로의 리크를 막기 위하여, 선미관 내통(3)의 뱃머리 측의 단면에 선미관 프론트 씰링 장치(7)가 마련된다. 한편, 제2 실시 형태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경우, 외축 고정 툴(69)을 떼어내고 나서 선미관 프론트 씰링 장치(7)가 부착된다.
도 10의 구성예에서 채용하는 구동 장치(30)는 외축(11)의 회전 구동원인 제1 구동 장치(31)와, 내축(12)의 회전 구동원인 제2 구동 장치(32)로 이루어진다. 제1 구동 장치(31)와 제2 구동 장치(32)는 가스 터빈 엔진이나 디젤 엔진 등의 주기관이어도 되고 전동기라도 무방하다. 전동 모터의 경우, 예를 들어 기관실에 1개 또는 복수의 가스 터빈 발전기나 디젤 발전기 등을 탑재하여, 이것을 전원으로 할 수 있다.
도 10의 구성예에서 채용하는 동력 전달 장치(20)는 제1 구동 장치(31)와 제2 구동 장치(32)의 회전 구동력을 각각 독립적으로 외축(11)과 내축(12)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이중 반전 기어 전달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력 전달 장치(20)는 하우징(21)을 가지고, 하우징(21)의 내부에 외축용 전달 기구(18A)와 내축용 전달 기구(18B)를 구비한다.
도 10의 구성에 있어서, 외축용 전달 기구(18A)와 내축용 전달 기구(18B)는 모두 기어 전달 기구로 구성된다.
외축용 전달 기구(18A)는 제1 구동 장치(31)의 출력축(31a)에 연결된 외축용 입력 기어(22)와, 중공 형상의 외축용 출력 주기어(24)와, 외축용 입력 기어(22)와 외축용 출력 주기어(24) 사이에 배치된 외축용 중간 소기어(23)를 가진다. 제1 구동 장치(31)의 출력축(31a)과 외축용 입력 기어(22)는 기어 커플링(33a)을 개재하여 연결된다.
내축용 전달 기구(18B)는 제2 구동 장치(32)의 출력축(32a)에 연결된 내축용 입력 기어(27)와, 내축의 내부를 지나는 중공 형상의 내축용 출력 주기어(29)와, 내축용 입력 기어(27)와 내축용 출력 주기어(29) 사이에 배치된 내축용 중간 소기어(28)를 가진다. 제2 구동 장치(32)의 출력축(32a)과 내축용 입력 기어(27)는 기어 커플링(33b)을 개재하여 연결된다. 내축용 출력 주기어(29)와 내축(12)은 내축용 슬리브 조인트(26)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내축(12)으로부터 쓰러스트 하중(내축(12)만의 쓰러스트 하중과 외축(11)만의 쓰러스트 하중을 합성한 하중)을 받아 선체(2)로 전달하는 내축용 쓰러스트 베어링(41)이 동력 전달 장치(20)의 하우징(21)의 뱃머리 측 부분에 마련된다. 이 때문에, 내축(12)으로부터의 쓰러스트 하중은 하우징(21)을 개재하여 선체(2)로 지지된다.
외축용 출력축(24)과 외축(11)은 중공 형상의 플렉서블 조인트(19)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도 10의 구성예에 있어서, 플렉서블 조인트(19)는 기어 커플링이고, 외축용 출력 주기어(24)가 기어 커플링의 뱃머리 측과 연결 고정되고, 외축 중간축(17)이 기어 커플링의 선미 측과 연결 고정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제1 구동 장치(31)를 회전 구동하면, 그 구동력이 외축용 전달 기구(18A), 플렉서블 조인트(19) 등을 경유하여 외축(11)으로 전달되고, 외축(11)에 부착된 프론트 프로펠러(13)가 회전한다. 또한, 제2 구동 장치(32)를 회전 구동하면, 그 구동력이 내축용 전달 기구(18B) 및 내축용 슬리브 조인트(26)를 경유하여 내축(12)으로 전달되고, 내축(12)에 부착된 리어 프로펠러(15)가 회전한다.
이때, 외축(11)과 내축(12)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프론트 프로펠러(13)와 리어 프로펠러(15)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프론트 프로펠러(13)와 리어 프로펠러(15)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장치(31)와 제2 구동 장치(32)의 구동축의 회전 방향은 동력 전달 장치(20)의 구성에 따르지만, 도 8의 구성예의 경우, 제1 구동 장치(31)와 제2 구동 장치(32)의 출력축의 회전 방향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하면, 프론트 프로펠러(13)와 리어 프로펠러(15)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도 10에 나타낸 구성예에서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의 구동 방식으로서, 2축의 회전 입력에 대하여 2축의 회전을 출력하는 방식의 구동 기구를 채용하였지만, 1축의 회전 입력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2축의 회전을 출력하는 방식의 구동 기구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구성예에서는, 외축용 출력 주기어(24)와 외축(11)이 플렉서블 조인트(19)를 개재하여 연결된 구성이었지만, 외축용 출력 주기어(24)와 외축(11)이 고정 조인트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발명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나타내며, 또한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9)

  1. 후단부에 프론트 프로펠러(13)가 부착된 중공 형상의 외축(11)과, 후단부에 리어 프로펠러(15)가 부착되고 상기 외축에 삽입 및 지지된 내축(12)을 구비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10')으로서,
    상기 프론트 프로펠러의 보스(13a)의 내부에 마련된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36)에 의해 상기 내축(12)의 후측의 소정 부위가 지지되고,
    상기 외축(11)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내축의 전측의 소정 부위를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내축 고정 툴(50)과,
    상기 프론트 프로펠러의 보스(13a)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외축(11)으로부터 쓰러스트 하중을 받아 상기 내축(12)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40)을 구비하고,
    상기 내축 고정 툴(50)은 상기 외축(11)의 외경과 같거나 그 이상이고 또한 선미관 베어링부(5,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 본체(51)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선미관 베어링부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선단의 외주연부에 챔퍼부(51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축(12)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선단에 리프팅 피스(65)가 마련된 내축 리프팅 툴(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축(12)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축의 중공부(12a)와, 상기 내축(12)과 상기 외축(11) 사이가 동일 계통의 윤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내축 고정 툴(50)과 상기 외축(11) 사이에 제1 씰링 부재(55)가 마련되고, 상기 내축 고정 툴과 내축(12) 사이에 제2 씰링 부재(56)가 마련되고,
    상기 내축 리프팅 툴(60)과 상기 내축(12) 사이에 제3 씰링 부재(64)가 마련되고,
    상기 내축 리프팅 툴은 상기 내축의 중공부에 윤활유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 유로(6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축 리프팅 툴(60)은 상기 내축(12)의 선단부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상기 외축(1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62)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축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선단의 외주연부에 챔퍼부(62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축 고정 툴(50)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 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11)의 후측의 소정 부위에 마련된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와, 상기 외축에 부착되고 상기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를 상기 외축에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리어 씰링 고정 툴(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씰링 고정 툴(45)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 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선미관 베어링부(5,6)가 장착되고 상기 외축(11)이 삽입되고 상기 외축을 지지하는 중공 형상의 선미관 내통(3)과, 상기 선미관 내통의 후단부에 부착된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와, 상기 선미관 내통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외축의 전측의 소정 부위를 일시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상기 외축의 상기 선미관 내통에 대한 축방향 이동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외축 고정 툴(6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
  10. 후단부에 프론트 프로펠러(13)가 부착된 중공 형상의 외축(11)과, 후단부에 리어 프로펠러(15)가 부착되고 상기 외축의 내부에 삽입 및 지지된 내축(12)을 구비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외축(11)의 내부에 상기 내축(12)을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프론트 프로펠러의 보스(13a)의 내부에, 상기 외축으로부터 쓰러스트 하중을 받아 상기 내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40)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내축(12)의 상기 외축(11)에 대한 축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공정과,
    프론트 프로펠러의 보스의 내부에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36)을 마련하고, 상기 내축(12)의 후측의 소정 부위를 상기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으로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외축(11)의 선단부에 내축 고정 툴(50)을 부착하고, 상기 내축 고정 툴에 의해 상기 내축(12)의 전측의 소정 부위를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내축 고정 툴(50)은 상기 외축의 외경과 같거나 그 이상이고 또한 선미관 베어링부(5,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 본체(51)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선미관 베어링부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선단의 외주연부에 챔퍼부(51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방법.
  11. 후단부에 프론트 프로펠러(13)가 부착된 중공 형상의 외축(11)과, 후단부에 리어 프로펠러(15)가 부착되고 상기 외축의 내부에 삽입 및 지지된 내축(12)을 구비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의 조립 방법으로서,
    선미관 베어링부(5,6)가 장착된 중공 형상의 선미관 내통(3)에 상기 외축(11)을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선미관 내통의 후단부에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를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선미관 내통에 외축 고정 툴(69)을 부착하고, 상기 외축 고정 툴에 의해 상기 외축(11)의 전측의 소정 부위를 일시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상기 외축의 상기 선미관 내통(3)에 대한 축방향 이동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공정과,
    상기 외축(11)의 내부에 상기 내축(12)을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프론트 프로펠러의 보스(13a)의 내부에, 상기 외축으로부터 쓰러스트 하중을 받아 상기 내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중 반전 쓰러스트 베어링(40)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내축(12)의 상기 외축(11)에 대한 축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공정과,
    프론트 프로펠러의 보스의 내부에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36)을 마련하고, 상기 내축(12)의 후측의 소정 부위를 상기 이중 반전 리어 베어링으로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외축(11)의 선단부에 내축 고정 툴(50)을 부착하고, 상기 내축 고정 툴에 의해 상기 내축의 전측의 소정 부위를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내축 고정 툴(50)은 상기 외축의 외경과 같거나 그 이상이고 또한 선미관 베어링부(5,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 본체(51)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선미관 베어링부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선단의 외주연부에 챔퍼부(51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축(12)의 선단부에, 선단에 리프팅 피스(65)가 마련된 내축 리프팅 툴(60)을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11)의 후측의 소정 부위에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8)를 마련하는 공정과, 리어 씰링 고정 툴(45)을 상기 외축에 부착하여 상기 선미관 리어 씰링 장치를 상기 외축에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설치면에 설치되는 조립 하부대(71)와, 상기 조립 하부대 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외축(11)을 지지하는 상부 수납 베이스(72)를 구비한 임시 거치대(70) 위에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조립하고,
    상기 조립 하부대(71)에 대하여 상기 외축(11)의 크기에 대응한 복수 종류의 크기의 상부 수납 베이스(72)를 부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설치면에 설치되는 조립 하부대(71)와, 상기 조립 하부대 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선미관 내통(3)을 지지하는 상부 수납 베이스(72)를 구비한 임시 거치대(70) 위에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조립하고,
    상기 조립 하부대(71)에 대하여 상기 선미관 내통(3)의 크기에 대응한 복수 종류의 크기의 상부 수납 베이스(72)를 부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방법.
  16. 제1항에 기재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운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임시 거치대(70) 위에서 조립하고, 조립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상기 임시 거치대에 실은 상태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과 상기 임시 거치대를 수송 수단에 실어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운반 방법.
  17. 제9항에 기재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운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임시 거치대(70) 위에서 조립하고, 조립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상기 임시 거치대에 실은 상태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과 상기 임시 거치대를 수송 수단에 실어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운반 방법.
  18. 제16항에 기재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운반 방법에 따라 운반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본선에 탑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임시 거치대(70)는 설치면에 설치되는 조립 하부대(71)와, 상기 조립 하부대 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외축(11)을 지지하는 상부 수납 베이스(72)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수납 베이스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조립 하부대(71)에 대한 상기 상부 수납 베이스(72)의 고정을 해제함과 함께, 리프팅 수단(77)에 의해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 중 본선의 선미관 내통(3)에 삽입되는 부분보다 후방 부위와 상기 상부 수납 베이스를 리프팅함으로써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선미관의 축심과 평행하게 리프팅하고,
    리프팅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선미관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
  19. 제17항에 기재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운반 방법에 따라 운반된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본선에 탑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임시 거치대(70)는 설치면에 설치되는 조립 하부대(71)와, 상기 조립 하부대 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외축(11)을 지지하는 상부 수납 베이스(72)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수납 베이스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조립 하부대(71)에 대한 상기 상부 수납 베이스(72)의 고정을 해제함과 함께, 리프팅 수단(77)에 의해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 중 상기 선미관 내통(3)보다 후방 부위와 상기 상부 수납 베이스를 리프팅함으로써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을 선미관 관통 홀(1)의 축심과 평행하게 리프팅하고,
    리프팅한 상기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1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선미관 관통 홀(1)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의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
KR1020107016584A 2008-01-23 2008-11-28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과 그 조립 방법, 운반 방법 및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 KR101255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12713 2008-01-23
JP2008012713A JP5014177B2 (ja) 2008-01-23 2008-01-23 二重反転プロペラユニットとその組立方法、運搬方法及び本船への搭載方法
PCT/JP2008/071650 WO2009093379A1 (ja) 2008-01-23 2008-11-28 二重反転プロペラユニットとその組立方法、運搬方法、及び本船への搭載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680A KR20100102680A (ko) 2010-09-24
KR101255609B1 true KR101255609B1 (ko) 2013-04-16

Family

ID=4090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584A KR101255609B1 (ko) 2008-01-23 2008-11-28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과 그 조립 방법, 운반 방법 및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59950B2 (ko)
EP (1) EP2236408A4 (ko)
JP (1) JP5014177B2 (ko)
KR (1) KR101255609B1 (ko)
CN (1) CN101925510B (ko)
BR (1) BRPI0821982A2 (ko)
WO (1) WO2009093379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026A (ko) 2014-02-17 2015-08-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024022A (ko) 2014-08-22 2016-03-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024023A (ko) 2014-08-22 2016-03-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024021A (ko) 2014-08-22 2016-03-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116228A (ko) 2015-03-27 2016-10-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116224A (ko) 2015-03-27 2016-10-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116227A (ko) 2015-03-27 2016-10-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116229A (ko) 2015-03-27 2016-10-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4444A (zh) * 2009-04-06 2012-04-11 彼得·V·比塔尔 同轴风力涡轮机
KR100962774B1 (ko) * 2009-11-09 2010-06-10 강현문 풍력발전장치
KR101313616B1 (ko) * 2011-06-15 2013-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K2845795T3 (en) * 2012-05-04 2019-03-04 Samsung Heavy Ind SHIP PROGRESSOR
DK2848517T3 (en) 2012-05-10 2017-09-25 Samsung Heavy Ind Propulsion device for a ship and ship with this device
DK2927111T3 (en) * 2012-12-03 2018-09-17 Samsung Heavy Ind Propeller for ship and assembly method and removal procedure therefor
EP2962931B1 (en) * 2014-06-20 2019-04-24 Mehmet Nevres Ülgen Torque boosting propeller device
CN104527923B (zh) * 2014-12-12 2017-04-19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应用辅助托架的主推电机进舱安装方法
CN104743060A (zh) * 2015-04-27 2015-07-01 上海外高桥造船海洋工程有限公司 船舶主机安装方法
EP3383737B1 (en) 2015-12-02 2021-08-18 AB Volvo Penta A propeller drive assembly
CN105563391B (zh) * 2015-12-30 2017-04-19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导管螺旋桨组装用台架
CN106081032A (zh) * 2016-08-04 2016-11-09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上海分部 一种适用于单尾船型的对转螺旋桨
JP6532927B1 (ja) * 2017-11-20 2019-06-19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装置の軸封装置
CN108482578B (zh) * 2018-05-03 2023-06-02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轴段进舱导向工装的使用方法
CN109229274B (zh) * 2018-09-07 2019-08-13 广州中船文冲船坞有限公司 一种对转螺旋桨的检修拆卸方法
CN109946604B (zh) * 2019-03-29 2021-06-04 大连海事大学 基于opc通讯技术的船舶螺旋桨负载模拟装置及其控制方法
US11046404B2 (en) 2019-07-31 2021-06-29 Abb Schweiz Ag Dual propeller drive system for a ship
WO2022233810A1 (en) * 2021-05-06 2022-11-10 Zf Friedrichshafen Ag Marine drive assembly with counterrotating propell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7600U (ko) * 1977-12-02 1979-06-21
JPS5536020U (ko) * 1978-08-31 1980-03-07
JPH01240399A (ja) * 1988-03-22 1989-09-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二重反転プロペラの潤滑油供給装置
JPH0752881A (ja) * 1993-08-20 1995-02-28 Mitsubishi Heavy Ind Ltd 二重反転プロペラ船の軸系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122171B (ko) 1965-12-09 1971-05-24 Stal Laval Turbin Ab
US3527545A (en) 1969-04-14 1970-09-08 Algoship Int Contrarotating propeller drive
JPS581828B2 (ja) * 1977-12-23 1983-01-13 富士電機株式会社 券類発行装置
JPS5536020A (en) * 1978-09-04 1980-03-13 Mitsubishi Electric Corp Brazing method and joint
JPS6018095A (ja) 1983-07-11 1985-01-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岐・插入回路
JPS6018094A (ja) 1983-07-12 1985-01-30 Nec Corp 通話路スイツチ制御方式
JPS6018095U (ja) * 1983-07-18 1985-02-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装置
US4567829A (en) 1984-07-30 1986-02-04 General Electric Company Shaped charge projectile system
JPH0321358Y2 (ko) * 1984-09-12 1991-05-09
GB2164550B (en) 1984-09-20 1989-01-11 Griffin G D An improved body support arrangement
JPS6199752A (ja) 1984-10-19 1986-05-17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調圧バルブ
JPS62181998A (ja) 1986-02-07 1987-08-10 Eagle Ind Co Ltd 船尾管への潤滑油供給方法
JPS6366400A (ja) 1986-09-09 1988-03-25 帝人株式会社 紙状物
JPS6487996A (en) 1987-09-30 1989-04-03 Taisei Corp Vibrationproof device for underwater pipe
JPH07112832B2 (ja) * 1988-03-16 1995-12-0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二重反転プロペラ駆動装置
JPH0627519A (ja) * 1992-07-08 1994-02-04 Canon Inc カメラ
DE4232753C2 (de) * 1992-09-30 2001-03-08 Blohm & Voss Ind Gmbh Schmieranordnung für Abdichtungen von Propellerantrieben für Schiffe mit zwei konzentrisch zueinander angeordneten gegenläufigen Propellern
DE4235737C2 (de) * 1992-10-23 2000-11-30 Blohm & Voss Ind Gmbh Stevenrohrlagersystem für gegenläufige Schiffsschrauben
JP3117333B2 (ja) 1993-06-25 2000-12-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重反転プロペラ装置における船尾管の給水および軸封・給水装置
JPH0733084A (ja) * 1993-07-20 1995-02-03 Mitsubishi Heavy Ind Ltd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式推進装置
AUPM842194A0 (en) 1994-09-26 1994-10-20 Larkin, Bryan James Propulsion unit
JPH11270571A (ja) 1998-03-25 1999-10-05 Mitsubishi Heavy Ind Ltd バックラッシ量調整装置
US6506120B1 (en) 2000-08-10 2003-01-14 Dirk Lockwood Flexible shaft coupling
JP2005067436A (ja) * 2003-08-26 2005-03-17 Ihi Marine United Inc 船舶の推進装置
US20080089786A1 (en) 2006-10-17 2008-04-17 Sinreich Mark G Counter-Rotating Integrated Propeller Assembly
CN100581027C (zh) * 2007-07-03 2010-01-13 哈尔滨工程大学 同轴反转船用推进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7600U (ko) * 1977-12-02 1979-06-21
JPS5536020U (ko) * 1978-08-31 1980-03-07
JPH01240399A (ja) * 1988-03-22 1989-09-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二重反転プロペラの潤滑油供給装置
JPH0752881A (ja) * 1993-08-20 1995-02-28 Mitsubishi Heavy Ind Ltd 二重反転プロペラ船の軸系組立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026A (ko) 2014-02-17 2015-08-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024022A (ko) 2014-08-22 2016-03-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024023A (ko) 2014-08-22 2016-03-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024021A (ko) 2014-08-22 2016-03-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116228A (ko) 2015-03-27 2016-10-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116224A (ko) 2015-03-27 2016-10-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116227A (ko) 2015-03-27 2016-10-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60116229A (ko) 2015-03-27 2016-10-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36408A4 (en) 2014-10-29
WO2009093379A1 (ja) 2009-07-30
JP5014177B2 (ja) 2012-08-29
CN101925510B (zh) 2013-06-19
KR20100102680A (ko) 2010-09-24
EP2236408A1 (en) 2010-10-06
CN101925510A (zh) 2010-12-22
JP2009173118A (ja) 2009-08-06
US20100296929A1 (en) 2010-11-25
US8459950B2 (en) 2013-06-11
BRPI0821982A2 (pt)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609B1 (ko) 이중 반전 프로펠러 유닛과 그 조립 방법, 운반 방법 및 본선으로의 탑재 방법
CN101909986B (zh) 双反转螺旋桨式船用推进装置
US8641463B2 (en) Contra-rotating propeller marine propulsion device
CN106184678A (zh) 用于船舶的推进器
US3790356A (en) Device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stern post bearing
KR20130125164A (ko) 선박용 추진장치의 설치방법
KR101652224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617027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44330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JP5037374B2 (ja) 二重反転シール装置の潤滑構造
KR101380650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JP5723295B2 (ja) 副駆動部を有する船舶推進装置
US20230286620A1 (en) Fin bearing assembly for a fin stabilizer
KR20130125672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101608190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571423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CN115503927A (zh) 艉轴装置及船只
JP2500590Y2 (ja) 舶用スラスタの上部ギヤボックス構造
KR101444647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그 설치방법과 이를 갖춘 선박
KR101422492B1 (ko) 선박 추진용 회전축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의 추진장치
CN116002034A (zh) 一种轴结构及其制造方法和轴带发电机的负荷试验方法
KR100958879B1 (ko) 샤프트 보관함을 탑재한 선체
KR20130125870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추진장치 설치방법
KR20130125679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20130125996A (ko) 선박의 추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