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592B1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592B1
KR101255592B1 KR1020077027112A KR20077027112A KR101255592B1 KR 101255592 B1 KR101255592 B1 KR 101255592B1 KR 1020077027112 A KR1020077027112 A KR 1020077027112A KR 20077027112 A KR20077027112 A KR 20077027112A KR 101255592 B1 KR101255592 B1 KR 101255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absorbent
sheet
absorbent core
cu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475A (ko
Inventor
하루코 토요시마
준 사사키
미치코 오츠카
미나 토미타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18450A external-priority patent/JP46624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1814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7292B1/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top-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absorbent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absorbent material located in discrete regions, e.g. pockets

Abstract

표면시트와 흡수성 코어를 갖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허리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1)로서, 흡수성 코어(4)는, 중앙 흡수체(41)와 그 양측방에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42)를 구비하고, 중앙 흡수체(41)와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흡수체(42)는 각각 적어도 가랑이 하부(C)에 있어서 분리하고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흡수체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 근방에 사이드 흡수체 기립용의 탄성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 상기 사이드 흡수체(42)가, 기저귀 착용시에 기립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장골능으로부터 상전장골극에 걸친 부위에 접촉하는 영역(91)의 장착압력이, 허리개구부의 장착압력보다도 높아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표면시트, 이면시트, 흡수성 코어, 흡수성 본체, 허리개구부, 다리개구부, 사이드 흡수체, 중앙 흡수체, 탄성부재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특히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시에 있어서의 외관이 깔끔하며, 샘방지 성능이 뛰어난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허리개구부와 다리개구부의 사이에, 기저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를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기저귀의 적어도 배쪽이, 코어의 앞단 가장자리를 경계로 하는 상하 각 최대 20㎜의 범위로 형성되는 제1몸통주위영역과, 상기 제1몸통주위영역과 다리개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몸통주위영역을 갖는 동시에, 제1몸통주위영역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각각의 배열간격 크기를, 제2몸통주위영역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각각의 배열간격 크기보다도 작게 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가 제안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이 기저귀는, 제1몸통주위영역 및 제2몸통주위영역에 있어서의 일정면적당 면 압력을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하면서, 피부에 대한 밀착성에 관해서 제1몸통주위영역을 제2몸통주위영역보다도 양호하게 함으로써, 기저귀의 착용감을 해하지 않고 샘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탄성부재의 배치형성 간격을, 허리개구부를 향함에 따라 점차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몸통부 허리뼈의 상부에 강한 수축력이 작용하도록 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도 알려져 있다(하기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이들 기저귀에서는, 착용중에 기저귀가 흘러내려 외관이 저하하고, 움직임이나 오줌의 무게로 기저귀가 흘러내려서 가랑이 하부가 처지기 때문에, 가랑이 하부가 헐렁거려서 착용자가 움직이기 어려워질 염려가 있다. 또한 허리개구부에 강한 조임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기저귀를 착용시키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상태에 있어서 가랑이 하부의 헐렁거림이 크고, 부푼 모양의 외관을 나타내는 것이 많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이하의 "부푼 모양"이란, 과도하게 부푸는 것 또는 과도하게 부푼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기저귀를 착용하면, 다리를 움직이기 어렵고,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기저귀의 위치가 어긋나기 쉽기 때문에 샘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가랑이 하부가 헐렁거리면, 기저귀 위에 바지 등의 겉옷을 착용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어떻게 해서 겉옷을 착용했다 하더라도 그 외관은 양호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가랑이 하부의 헐렁거림을 해소하고, 가랑이 하부에서의 고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폭을 좁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가랑이 하부의 폭이 좁게 되어 있는 흡수체는, 실질적으로 가랑이 하부에서의 흡수체의 폭이 좁기 때문에 흡수력이 낮고, 흡수체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오줌 등의 배설물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랑이 하부에서의 샘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상기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의 샘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랑이 하부의 흡수성 폴리머의 양을 많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착용 직후에 있어서의 외관 및 고정성은 양호하지만, 오줌을 흡수한 후의 가랑이 하부의 외관은, 다량의 폴리머의 팽윤에 의해 과도하게 팽창하므로(부풀어서) 양호한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게 되는 것이 현상(現狀)이다.
그래서, 가랑이 하부에서의 고정성과 샘방지성의 양립을 도모한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흡수체를,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폭이 좁게 되어 있는 제1의 흡수체와, 이 폭이 좁게 된 부위의 양측에서 제1의 흡수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제2의 흡수체의 3개로 분할하여, 제1의 흡수체와 한 쌍의 제2의 흡수체를 친수성 시트로 연결한 일회용 기저귀가 제안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3 참조).
또한 가랑이 하부에서 3개로 분할시킨 흡수체 중, 기저귀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각각 기립시키도록 한 기저귀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흡수체가,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폭이 좁게 되어 있는 제1흡수체와, 이 폭이 좁게 된 부위의 양측에서 제1흡수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제2흡수체를 가지고, 또한 제2흡수체에 있어서의 제1흡수체와는 반대쪽의 길이방향 양측부에, 자유단에 탄성체를 갖는 샘방지 커프가 배치형성되어 있으며, 이 샘방지 커프와 함께 제2흡수체가 최외층 시트로부터 떨어져서 제1흡수체의 측부에 있어서 기립하는 일회용 기저귀가 제안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4 참조).
또한 기저귀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에 평탄한 형상으로 위치하는 제1의 흡수체와, 상기 제1의 흡수체의 양측에 상기 제1의 흡수체와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의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의 흡수체의 상부에 탄성체가 부착되어, 상기 제2의 흡수체에 기립성향과 개더(gather)가 부여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가 제안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5 참조).
특허문헌 3∼5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가랑이 하부에서 3분할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기저귀에 있어서는, 착용시에, 폭방향 양측의 사이드 흡수체의 기립단의 위치가 불안정해지기 쉽고, 게다가 폭방향 중앙부의 중앙 흡수체가, 기립한 사이드 흡수체에 의해 폭방향 안쪽으로 눌려져서 형상이 불안정해지기 쉽다. 그 때문에, 가랑이 하부에서의 고정성 및 샘방지 성능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기립하는 사이드 흡수체의 측부에 샘방지 커프를 구비하는 기저귀에 있어서는, 착용상태에 있어서 다리개구부로부터 샘방지 커프가 삐져나올 염려가 적지 않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평9-84826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 실용신안공개 평6-421호 공보
특허문헌 3:일본 특허공고 평7-28892호 공보
특허문헌 4:일본 특허공개 평10-5274호 공보
특허문헌 5:일본 특허 제2884355호 명세서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기저귀의 착용중에 착용자의 동작 등에 기인하는 기저귀의 흘러내림, 및 오줌 등의 흡수에 의한 가랑이 하부의 처짐이 일어나기 어려운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착용상태에 있어서 외관이 깔끔하며, 가랑이 하부에서의 고정성 및 샘방지 성능이 뛰어나고, 양측부에 형성한 샘방지 커프가 다리개구부로부터 삐져나오기 어려운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발명은, 표면시트와 흡수성 코어를 갖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허리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중앙 흡수체와 상기 중앙 흡수체의 양측방에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흡수체와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흡수체는 각각 적어도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분리하고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흡수체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 근방에 사이드 흡수체 기립용의 탄성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 상기 사이드 흡수체가, 기저귀 착용시에 기립하도록 되어 있으며,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장골능(腸骨稜)으로부터 상전장골극(上前腸骨棘)에 걸친 부위에 접촉하는 영역의 장착압력이, 허리개구부의 장착압력보다도 높아지도록 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발명은, 표면시트와 흡수성 코어를 갖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중앙 흡수체와 상기 중앙 흡수체의 양측방에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흡수체와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흡수체는 각각 적어도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분리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성 코어의 양측에 사이드 흡수체 기립용의 탄성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의 양측부가 기립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측에는, 샘방지 커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샘방지 커프는, 상기 흡수성 본체에 접합된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 및 상기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의 자유단 근방에 신장상태로 고정된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커프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흡수체 기립용의 탄성부재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바깥쪽의 위치에,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1발명에 대해서, 그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제1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이하, 간단히 기저귀(1)이라고도 함)는, 소위 말하는 팬츠형의 기저귀로서,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투과성의 표면시트(2)와 액보유성의 흡수성 코어(4)를 갖는 흡수성 본체(5)를 구비하고, 또한 흡수성 본체(5)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외장체(外裝體;exterior laminate)(10)를 구비한다.
이 기저귀(1)는, 착용시에 착용자의 배쪽에 배치되는 배측부(A)와, 착용자의 등쪽에 배치되는 등측부(B)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하부(C)로 구분된다. 배측부(A), 등측부(B) 및 가랑이 하부(C)는, 전개상태(각 부의 탄성부재를 신장시키고, 평면형상으로 펼친 상태.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도 2의 상하방향)의 전체길이를 대략 3등분하도록 3영역으로 구분했을 때의 각 영역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 비접촉면측"이란, 흡수성 본체 등의 각 부재의 앞뒤 양면 중,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쪽과는 반대쪽으로 향해지는 면측이다. 또한 "피부 접촉면측"이란, 각 부재의 앞뒤 양면 중,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쪽에 배치되는 면측이다.
흡수성 본체(5)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그 길이방향을 기저귀의 길이방향에 일치시켜서, 배측부(A)로부터 등측부(B)에 걸쳐지도록, 핫멜트(hot-melt)형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합수단에 의해 상기 외장체(10)의 폭방향 중앙부에 접합되어 있다.
외장체(10)는 배측부(A)에 위치하는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등측부(B)에 위치하는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히트 실(heat sealing), 고주파 실(high frequency sealing), 초음파 실(ultrasonic sealing) 등의 공지의 접합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사이드 실부(S, 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접합에 의해, 기저귀(1)에 허리개구부(7) 및 한 쌍의 다리개구부(8, 8)가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의 상술한 구성은 종래 공지의 기저귀와 동일하다.
기저귀(1)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4)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흡수체(41)와 중앙 흡수체(41)의 양측방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42, 42)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 흡수체(41)와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42, 42)는 각각 적어도 가랑이 하부(C)에 있어서 분리하고 있다. 사이드 흡수체(42)의 길이방향 한쪽부 및 길이방향 다른쪽부는, 각각 중앙 흡수체(41)의 길이방향 한쪽부(배측부)(F) 및 길이방향 다른쪽부(등측부)(R)에서 연결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 흡수체(41)와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42, 42)의 사이에는, 각각 도려낸 형상의 절리부(切離部)(43, 43)가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4)는 도 2 및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흡수체(42, 42)가 적어도 가랑이 하부(C)에 배치되도록 기저귀(1)에 배치된다. 흡수성 코어(4)는 사이드 흡수체(42, 42)가 가랑이 하부(C)에 배치되는 동시에, 중앙 흡수체(41)의 길이방향 한쪽부(F)가 배측부(A)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길이방향 한쪽부(F), 길이방향 중앙부(M), 길이방향 다른쪽부(R)는, 도 3(a)에 나타내는 상태의 흡수성 코어(4)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의 전체길이를 대략 3등분하도록 3영역으로 구분했을 때의 각 영역이다.
중앙 흡수체(41)는 도 3(a)∼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자형의 상부 흡수체(411)와, 상부 흡수체(411)보다도 큰 모래시계형의 하부 흡수체(412)로 이루어진다. 상부 흡수체(411)는, 하부 흡수체(412)의 길이방향 한쪽부(F)에서 길이방향 중앙부(M)에 걸쳐서, 하부 흡수체(412)의 피부 접촉면측에 서로 포개져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42, 42)는 하부 흡수체(41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흡수체(411) 및 하부 흡수체(412)는 모두 펄프섬유 등의 섬유성분과 고흡수성 폴리머와의 혼합적층 섬유물로 이루어진다. 흡수성 코어(4)는, 그 전체가 티슈페이퍼나 투수성(透水性)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투수성의 피복시트(도시하지 않음)로 피복되어 있다.
기저귀(1)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42, 42)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42a, 42a)의 근방에, 각 사이드 흡수체 기립용의 탄성부재(9)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9)는, 기저귀(1)의 폭방향에 있어서는, 표면시트(2)와 흡수성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기저귀(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는, 기저귀의 배측부(A)와 등측부(B)의 사이에 걸쳐지도록,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코어(4)의 길이방향의 대략 전체길이에 걸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9)는 인접하는 표면시트(2)에 신장상태로 접합되어 있으며, 기저귀 착용시에는, 상기 탄성부재(9)가 수축함으로써 각 사이드 흡수체(42, 42)가 기립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흡수성 본체(5)의 길이방향의 양측에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샘방지 커프(6, 6)가 형성되어 있다. 샘방지 커프(6)는 각각 기저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샘방지 커프(6)는 흡수성 본체(5)에 접합된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의 자유단 근방에 신장상태로 고정된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 및 샘방지 커프(6)의 자유단과 고정단의 중간부에 신장상태로 고정된 중간부 탄성부재(62)를 구비하고 있다.
기저귀 착용시에는, 이 중간부 탄성부재(62)가 수축함으로써, 각 상기 사이드 흡수체(42, 42)를 한층 기립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 탄성부재(62)의 존재에 의해, 사이드 흡수체(42)가 착용자의 서혜부(鼠蹊部)에 한층 들어가기 쉬워져서, 사이드 흡수체(42)의 존재에 의한 가랑이 하부의 처짐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가 수축함으로써, 사이드 흡수체(42, 42)를 기립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61)가 서혜부를 따름으로써 샘방지성도 높이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9)와 상기 중간부 탄성부재(62)는, 흡수성 본체(5)의 양측부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1)에 있어서는,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로서, 소정 폭의 띠형상의 발수성(撥水性) 시트 1장을, 그 길이방향을 따른 절곡선(折曲線;folding line)으로 2개로 접어서, 서로 대향하는 층 사이를 핫멜트형 접착제 또는 부분적인 히트 실 혹은 초음파 실 등으로 접합한 2층 구조의 시트를 이용하고 있다.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는 이 2층 구조의 시트의 층 사이에 신장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기저귀(1)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시트(2)가 흡수성 코어(4)의 피부 접촉면(4a)측의 전체영역, 흡수성 코어(4)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4b, 4b)의 전체영역 및 흡수성 코어(4)의 피부 비접촉면(4c)측의 기저귀 폭방향 양측부 근방을 피복하고 있다. 표면시트(2)의 양측 단부(21, 21)는, 각각 또한 중앙 흡수체(41)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일부도 피복하고 있다. 또한 기저귀(1)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5)는, 흡수성 코어(4)의 피부 비접촉면(4c)측의 전체영역을 피복하는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3)를 갖고 있다. 이면시트(3)는 흡수성 코어(4)와, 흡수성 코어(4)의 피부 비접촉면(4c)측의 기저귀 폭방향 양측부 근방을 피복하는 표면시트(2)와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표면시트(2)는, 그 양측 단부(21, 21)에 있어서, 이면시트(3) 및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에 히트 실 등의 접합수단에 의해 접합고정되어, 본체 접합고정부(67, 67)를 형성하고 있다. 본체 접합고정부(67)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흡수체(42)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최내측점(사이드 흡수체(42)에 있어서 가장 폭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기저귀 폭방향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본체 접합고정부(67)는, 히트 실, 고주파 실, 초음파 실, 핫멜트형의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합수단을 이용하여,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와, 표면시트(2)의 측단부(21)와, 이면시트(3)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4)의 피부 접촉면(4a)측을 피복하는 표면시트(2)와, 흡수성 코어(4)의 피부 비접촉면(4c)측을 피복하는 이면시트(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4)의 절리부(43)를 통과해서 접합되어 앞뒤면 접합부(2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절리부(43)에는 상기 피복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표면시트(2) 및 이면시트(3)는 상기 피복시트를 통해서 접합되어 있다.
외장체(10)의 피부 접촉면측에는,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 및 흡수성 본체(5)가 순차 접합되어 있다. 외장체(10)와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를 접합고정하는 접합고정부(13)의 폭방향 바깥단은, 본체 접합고정부(67)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외장체(10)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2장의 부직포, 즉 외층 부직포(11)와 상기 외층 부직포(11)의 내면측에 배치된 내층 부직포(12)를 갖고 있다. 외층 부직포(11)는 기저귀(1)의 외면을 이루고, 내층 부직포(12)는 외층 부직포(11)의 내면측에, 핫멜트 점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외층 부직포(11)는, 내층 부직포(12)의 전후단(端) 가장자리(길이방향의 양단 가장자리)보다 각각 연장되어 나온 연장부를 가지고, 연장부가 각각 흡수성 본체(5)측에 되접혀져 있다. 되접혀진 외층 부직포(11)의 연장부는, 흡수성 본체(5)의 전후 단부 위(즉 흡수성 본체(5)의 전후 단부에 있어서의 표면시트(2) 위)를 피복하고 있다.
외장체(10)에 있어서의 전후 단부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복수의 허리부 탄성부재(71, 71)가 그 폭방향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각 허리부 탄성부재(71, 71)는 외층 부직포(11)와 내층 부직포(12)에 의해 신장상태로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각 허리부 탄성부재(71, 71)는, 기저귀(1)의 배측부(A)의 양측 가장자리(A1, A2)와 등측부(B)의 양측 가장자리(B1, B2)를 서로 접합시켰을 때에, 양 탄성부재(71, 71)의 단부끼리가 포개지도록 배치되어 있거나, 양 접합부분까지 양 탄성부재(71, 71)의 단부가 연속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의 허리개구부(7)의 부근에는 실질적으로 연속한 링형상의 허리 개더가 형성된다.
외장체(10)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의 만곡부(灣曲部)에는, 다리부 탄성부재(81, 82)가 배치되어 있다. 각 다리부 탄성부재(81, 82)는, 상기 만곡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각 다리부 탄성부재(81, 82)는, 외층 부직포(11)와 내층 부직포(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소정의 접합수단에 의해, 양 부직포(11, 12)에 신장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각 다리부 탄성부재(81, 82)는, 그 일단끼리가 가랑이 하부(C)에 있어서 서로 포개져 있다. 한편, 각 다리부 탄성부재(81, 82)의 타단은 배측부(A) 및 등측부(B)의 각 측 가장자리의 위치에 있어서 단이 끝나 있다.
각 다리부 탄성부재(81, 82)는 기저귀(1)의 배측부(A)의 양측 가장자리(A1, A2)와 등측부(B)의 양측 가장자리(B1, B2)를 서로 접합시켰을 때에, 양 탄성부재(81, 82)의 단부끼리가 포개지도록 배치되어 있거나, 양 접합부분까지 양 탄성부재(81, 82)의 단부가 연속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의 다리개구부(8, 8)의 부근에는 실질적으로 연속한 링형상의 다리 개더가 형성된다.
기저귀(1)에 있어서는, 기저귀(1)의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에 있어서의 허리개구부(7)와 다리개구부(8)의 사이에, 기저귀(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가 다수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가 배치됨으로써, 허리개구부(7)와 다리개구부(8)의 사이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의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제1영역(91)과 제2영역(92)이 형성되어 있다. 제1영역(91)에는 제1탄성부재(91a)가 배치되어 있고, 제2영역(92)에는 제2탄성부재(92a)가 배치되어 있다. 제1영역(91)은 허리개구부(7)와 다리개구부(8)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2영역(92)은 제1영역(91)과 다리개구부(8)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탄성부재(91a) 및 제2탄성부재(92a)는, 모두 외층 부직포(11)와 내층 부직포(12)에 의해 신장상태로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제1탄성부재(91a)는, 기저귀(1)의 배측부(A)의 양측 가장자리(A1, A2)와 등측부(B)의 양측 가장자리(B1, B2)를 서로 접합시켰을 때에, 배측부(A)의 제1탄성부재(91a)와 등측부(B)의 제1탄성부재(91a)의 단부끼리가 포개지도록 배치되어 있거나, 양 접합부분까지 각 탄성부재(91a, 91a)의 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제2탄성부재(92a)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1탄성부재(91a) 및 제2탄성부재(92a)는, 모두 기저귀(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즉 외장체(1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와 흡수성 코어(4)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걸쳐서 연장하여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성 코어(4)가 존재하고 있는 부위에는, 제1탄성부재(91a) 및 제2탄성부재(92a)는 모두 실질적으로 존재하고 있지 않다. 그 결과, 제1영역(91) 및 제2영역(92)에 형성되는 개더는, 기저귀(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와 흡수성 코어(4)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흡수성 코어(4)가 존재하는 부위에는 개더가 실질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장착상태에 있어서도 흡수성 코어(4)가 존재하고 있는 부위는, 제1탄성부재(91a) 및 제2탄성부재(92a)의 수축에 의해 외장체(10)가 줄어들지 않아서, 기저귀(1)는 외관적으로도, 흡수 성능적으로도 양호한 것이 된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의 각 탄성부재로서는 각각 천연고무, 폴리우레탄계 수지, 발포 우레탄계 수지, 신축성 부직포 또는 핫멜트계 신축부재 등의 신축성 소재를 실형상(실고무), 띠형상(평고무), 네트형상(망형상) 또는 필름형상으로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제1영역(91)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이 1.1∼2.5kPa로 되어 있다. 제1영역(91)은, 기저귀(1)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장골능으로부터 상전장골극에 걸친 부위(이하, "장골영역"이라고도 함)에 접촉하는 부위에 바람직하게는 형성되어 있다. 장골능 및 상전장골극은 해부학의 용어이다. 장골능이란 도 7에 있어서 부호 15로 표현되는 부위이며, 상전장골극이란 상기 도에 있어서 부호 16으로 표현되는 부위이다.
종래, 팬츠형 기저귀의 착용중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특히 유아용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중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허리개구부에 배치형성되는 탄성부재의 조임압력을 높게 하여, 상기 허리개구부에 의해 팬츠형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시키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되어져 왔다(예를 들면, 앞에 기술한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의 결과, 팬츠형 기저귀의 착용중의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허리개구부의 조임압력을 높게 하는 것보다도, 착용자의 장골영역에 대응하는 기저귀의 부위의 조임압력을 종래보다도 높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이유는, 착용자 특히 유아는 그 신체적인 특징으로서 배둘레가 불룩하게 나와 있기 때문에 당해 불룩하게 나와 있는 배둘레에 접촉하는 허리개구부의 조임압력을 높게 하면, 그 조임압력이 높기 때문에 허리개구부가 점점 죄어 들어가서, 배둘레가 가늘어지는 부위에까지 상기 허리개구부가 흘러내려오기 때문이다.
도 8은 아기의 몸을 원추로 세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중 θ는 허리부(점 A)에 있어서의 접선에 대한 수선(垂線)과, 몸의 중심을 향하는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또한 F는 탄성체의 조이는 힘을 나타내고, P는 조이는 힘(F)에 기인하는 마찰력을 나타내며, f1은 조이는 힘(F)에 기인하는 흘러내리는 힘을 나타내고, f2는 수직항력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f1=Fsinθ이고, 또한 P=νN=νf2=νFcosθ(ν는 마찰계수를 나타냄)이므로, 점 A에 있어서의 아래쪽을 향하는 흘러내리는 힘(Z)은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Z=f1-P=Fsinθ-νFcosθ=F(sinθ-νcosθ)
이 식으로부터, 허리부가 흘러내림이 발생하는 상태에 있을 경우, 조이는 힘(F)이 클수록 흘러내리는 힘이 커지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영역(91)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은 1.1∼2.5kPa이다. 제1영역(91)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이 1.1kPa 미만이면, 기저귀(1)의 제1영역(91)을 착용자의 장골영역에 고정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그 결과 기저귀(1)가 흘러 내려서, 착용상태에서의 기저귀(1)의 외관이 매우 저하해 버린다. 특히 기저귀(1)의 가랑이 하부(C)에서의 헐렁거림이 현저해지고, 또한 오줌 및 변의 샘의 원인이 된다.
한편, 제1영역(91)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이 2.5kPa 초과이면, 착용자의 신체를 과도하게 조이게 될 뿐만 아니라, 기저귀(1)의 장착조작이 곤란해져 버린다. 기저귀(1)의 흘러내림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또한 착용상태에서의 기저귀(1)의 외관이나 기저귀(1)의 장착조작을 한층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제1영역(91)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은 1.1∼2.0kPa인 것이 바람직하고, 1.2∼1.8kPa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1영역(91)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은, 예를 들면 제1탄성부재(91a)의 소재나 두께, 신장률, 혹은 배치형성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컨트롤할 수 있다.
제1영역(91)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은, 둘레길이가 500㎜인 원통에 기저귀(1)를 장착하고, 장착압 측정장치(주식회사 에이엠아이·테크노 제품의 접촉압 측정기(AMI3037-2))에 의해 측정된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이하와 같다.
[제1영역(91)의 압력의 측정방법]
φ=15㎜의 에어팩을 이용해 허리개구부의 선단부(先端部)에 에어팩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세트하여 장착압력 P1을 측정한다. 에어팩을 세트하는 기저귀의 폭방향의 위치는, 기저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와 흡수성 코어(4)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의 거의 중심으로 한다(도 6 중, E의 위치). 계속해서 에어팩의 중심을 기저귀(1)의 길이방향으로 5㎜ 이동시켜서 장착압력 P2를 측정한다. 마찬가지로, 에어팩의 중심을 5㎜ 간격으로 이동시켜서 측정을 행하여 P3, P4, P5, …, Pn을 얻는다.
장착압력(P1 내지 Pn)의 측정은, 외장체(10)에 있어서의 허리개구부로부터 다리개구부까지의 좌우 양측부끼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범위에 걸쳐서 행한다. P1 내지 Pn은 배측부에 있어서, 좌우 2점씩 합계 4점 측정을 행한다. 이들의 평균치를 배측부의 장착압력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등측부에 있어서도, 합계 4점 측정을 행하여 평균치를 등측부의 장착압력으로 한다.
P1에서 Pn의 값에 있어서 1.1∼2.5kPa에 연속적으로 해당하는 부위간의 거리를 제1영역(91)의 폭으로 한다. 예를 들면, P3에서 P6까지의 값이 1.1∼2.5kPa에 연속적으로 해당하는 경우, 제1영역(91)의 폭=(6-3)×5=15㎜로 한다. 또한 그때의 제1영역(91)의 중심은 측정점 3과 측정점 6의 중심으로 한다.
원통의 둘레길이를 500㎜로 한 이유는,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를 착용하는 주된 대상자인 유아의 배둘레의 길이의 평균이 대략 500㎜이기 때문이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배둘레의 길이는, 유아의 자세가 변화했을 때의 배둘레의 둘레길이의 변화를 고려하여, 서있는 위치 및 앉은 위치에서 측정한 배둘레의 평균치이다. 성인용의 기저귀의 경우에는, 둘레길이 500㎜의 원통을 대신하여 둘레길이 850㎜의 원통을 이용한다.
착용자의 장골능으로부터 상전장골극에 걸친 부위(장골영역)에는 소정의 폭이 있는데, 당해 폭의 범위 내에서 기저귀(1)의 제1영역(91)을 당해 부위에 고정함으로써, 기저귀(1)의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제1영역(91)의 폭(즉, 기저귀(1)의 길이방향을 따른 제1영역(91)의 길이) W1(도 6 참조)을 12∼35㎜로 하고 있다. 이 폭 W1이 20∼35㎜, 특히 25∼30㎜이면, 기저귀(1)의 흘러내림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착용상태에서의 기저귀(1)의 외관이나 기저귀(1)의 장착조작(입히기 용이함 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기저귀(1)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1영역(91)이 착용자의 장골능으로부터 상전장골극에 걸친 부위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저귀(1)의 크기와 착용자의 체격과의 관계가 중요하다. 예를 들면 팬츠형 기저귀의 주된 착용대상자인 유아를 생각했을 경우,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배측부(A)의 제1영역(91)의 중심위치(기저귀(1)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심위치)와 기저귀(1)의 길이방향 중심선(CL)의 사이에 거리 K1(도 6 참조)을 180∼230㎜으로 하면서,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등측부(B)의 제1영역(91)의 중심위치(기저귀(1)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심위치)와 기저귀(1)의 길이방향 중심선(CL)의 사이의 거리 K2(도 6 참조)를 180∼230㎜로 함으로써, 제1영역(91)을 착용자의 장골영역에 순조롭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 값은 팬츠형 기저귀의 주된 착용대상자인 유아 약 350인의 신체 계측을 실시하여 결정된 것이다. 이 값은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전장골극의 수평위치 높이에 있는 배측부의 좌우중심점을 상전장골극 높이 앞 중심으로 하고, 상전장골극의 수평위치 높이에 있는 등측부의 좌우중심점을 상전장골극 높이 뒤 중심으로 하면, 상전장골극 높이 앞 중심으로부터 가랑이 아래를 경유해 상전장골극 높이 뒤 중심까지의 길이를 상전장골극 높이 전후 길이로 하여, 이 상전장골극 높이 전후 길이에 기저귀의 재료에 의한 두께 등을 고려한 필요길이를 부가하여 얻어진 수치를 이분(二分)한 것이다.
당해 거리 K1 및 K2를 185∼220㎜, 특히 195∼215㎜로 함으로써, 제1영역(91)을 착용자의 장골영역에 한층 순조롭게 접촉시킬 수 있다. 성인용의 기저귀의 경우에는, 당해 거리 K1 및 K2를 300∼350㎜, 특히 305∼335㎜로 함으로써, 제1영역(91)을 착용자의 장골영역에 한층 순조롭게 접촉시킬 수 있다.
제1영역(91)은 배측부(A) 및 등측부(B)에 존재하는데, 배측부(A) 및 등측부(B)에 있어서의 장착시의 압력은 완전히 동일할 필요는 없다. 즉, 배측부(A) 및등측부(B)에 있어서의 제1영역(91)의 장착시의 압력이 1.1∼2.5kPa인 것을 만족하면, 탄성체의 소재, 굵기, 신장률, 배치형성 간격은 배측부(A) 및 등축부(B)에 있어서 달라도 된다.
그러나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의 제1영역(91)의 구성이 과도하게 다르면, 외장체(1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전후 단부의 좌우 양측부끼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부위가, 장착시에 있어서 전후 어느 한쪽으로 어긋나게 되어, 기저귀(1)의 외관에 문제가 생기는 일이 있다. 그래서, 배측부(A) 및 등측부(B)에 있어서의 제1영역(91)의 장착시의 압력이 큰 쪽을 A, 작은 쪽을 B로 했을 때, (A-B)/A의 비가 3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저귀(1)의 길이방향 중심선(CL)이란, 기저귀(1)의 배측부(A)의 양측 가장자리(A1, A2)와 등측부(B)의 양측 가장자리(B1, B2)가 실질적으로 어긋나지 않고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A1, B1의 중점을 통과하는 기저귀 폭방향을 따른 직선을 말한다(도 6 참조).
이와는 다르게, 예를 들면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쪽의 허리개구부의 단 가장자리의 위치와, 등쪽의 허리개구부의 단 가장자리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세하게는 배측부(A)의 양측 가장자리(A1, A2)가, 등측부(B)의 양측 가장자리(B1', B2')와 접합되어 있지 않고, 양측 가장자리(B1', B2')보다도 길이방향 안쪽의 위치인 B1, B2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B1, B2에서 B1', B2'에 걸친 영역을 없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술과 마찬가지로 기저귀의 길이방향 중심선(CL)을 정한다.
또한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외장체(10)의 전체길이 L(도 6 참조)은 임의로 설정 가능한데, 기저귀 장착시 및 사용후의 "외관" 및 "흘러내림 방지성"을 고려하면, 당해 전체길이 L은 유아용의 기저귀에 있어서는, 470∼54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착시의 안심감"을 고려하면, 배꼽을 완전히 덮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관점에서 490∼58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인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당해 전체길이 L은 780∼83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꼽을 완전히 덮는 관점에서 800∼88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주로 제1영역(91)에 배치된 제1탄성부재(91a)에 의한 조이는 힘에 의해, 기저귀(1)를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팬츠형 기저귀와 다르게, 허리개구부(7)에 배치된 탄성부재에 의한 조이는 힘은,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기저귀(1)를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주된 수단이 아니다. 반대로, 허리 개구부(7)의 조이는 힘을 높게 해버리면, 기저귀(1)의 흘러내림이 조장되어 버리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확인되어 있다.
이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기저귀 착용시의 허리개구부(7)의 압력은, 종래의 팬츠형 기저귀의 그것보다도 낮은 값인 0.3∼1.2kPa로 되어 있다. 이 압력은, 기저귀 착용시의 제1영역(91)의 압력의 평균치보다도 0.5∼1.0kPa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저귀 착용시의 허리개구부(7)의 압력을 상기 범위내로 함으로써, 기저귀(1)의 착용시에 허리개구부(7)를 확대전개하기 쉬워져, 장착조작을 행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한편, 허리개구부(7)의 압력이 0.3kPa 미만이면, 장착하기 전의 기저귀(1)의 자연길이가 커져서, 의복으로서 봤을 때의 외관이 나쁘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기저귀 착용시의 허리개구부(7)의 압력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0.4∼1.0kPa, 더 바람직하게는 0.4∼0.8kPa로 되어 있으면, 기저귀(1)의 흘러내림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허리개구부(7)의 압력은, 앞에서 기술한 제1영역(91)의 압력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즉, 기저귀(1)의 허리개구부(7)에 둘레길이 500㎜의 원통을 삽입(장착)하고, 허리개구부의 선단부로부터 기저귀 길이방향으로 15㎜의 위치에, 상기 장착압 측정장치의 에어팩의 중심을 위치시켜서 장착압력을 측정한다. 측정은 원주방향으로 50㎜ 간격으로 10점 행하고, 그 평균치를 가지고 허리개구부의 압력으로 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쪽의 허리개구부의 단 가장자리의 위치와, 등쪽의 허리개구부의 단 가장자리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는, 배쪽과 등쪽이 포개져 있는 영역 중, 가장 단부에 가까운 위치를 가지고 허리개구부로 한다. 허리개구부(7)의 압력은, 예를 들면 허리부 탄성부재(71)의 소재, 굵기나 신장률, 혹은 배치형성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컨트롤할 수 있다. 한편, 허리개구부(7)의 압력이 제1영역(91)의 압력의 범위에 들어가는 경우는, 당해 위치는 제1영역(91)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성인용의 기저귀의 경우에는, 둘레길이 500㎜의 원통을 대신하여 둘레길이 850㎜의 원통을 이용한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기저귀 착용시에 있어서의 제1영역(91), 허리개구부(7) 및 다리개구부(6) 이외의 영역의 압력, 예를 들면 제1영역(91)과 다리개구부(6)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영역(92)의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0.2∼0.8kPa, 더 바람직하게는 0.3∼0.6kPa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저귀(1)를 착용자의 신체에 적당한 압력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액이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영역(92)은, 기저귀(1)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장골영역의 아래쪽의 영역(하복부)에 접촉한다. 제2영역(92)의 폭(즉, 기저귀(1)의 길이방향을 따른 제2영역(92)의 길이) W2(도 6 참조)는 40∼70㎜, 특히 45∼6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련하여, 기저귀(1)에 있어서는, 기저귀 착용시에 있어서의 허리개구부(7), 제1영역(91) 및 제2영역(92)의 압력을 비교했을 때에, 제1영역(91)의 압력이 가장 높고, 이어서 허리개구부(7)의 압력이 높으며, 제2영역(92)의 압력이 가장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각 부위의 압력에 이러한 서열을 마련함으로써, 착용중의 기저귀(1)의 흘러내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뿐만 아니라, 기저귀(1)가 착용자의 신체에 위화감 없이 밀착하여 액이 새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가 유아용의 기저귀인 경우, 기저귀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중앙흡수체(41)의 양측 가장자리(41a, 41a)로부터 각 사이드 흡수체(42)의 외측 가장자리(42a)까지의 거리 K3(도 3(a) 참조)는 30∼55㎜인 것이 바람직하고, 35∼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리 K1(도 6 참조)과 상기 거리 K3의 비(K1/K3) 및 상기 거리 K2(도 6 참조)와 상기 거리 K3의 비(K2/K3)는, 각각 3.3∼7.7인 것이 바람직하고, 4.0∼6.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가 성인용의 기저귀인 경우, 기저귀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중앙 흡수체(41)의 양측 가장자리(41a, 41a)로부터 각 사이드 흡수체(42)의 외측 가장자리(42a)까지의 거리 K3(도 3(a) 참조)은 5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55∼7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리 K1(도 6 참조)과 상기 거리 K3의 비(K1/K3) 및 상기 거리 K2(도 6 참조)와 상기 거리 K3의 비(K2/K3)는, 각각 3.5∼7.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6.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거리 K1, K2 및 K3을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착용시에, 기립한 사이드 흡수체(42)를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틀어지거나 피부로부터 떨어지게 하지 않고, 착용자의 서혜부에 양호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이드 흡수체(42)의 존재에 의한 가랑이 하부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저귀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K1/K3) 및 상기 비(K2/K3)를 7.7 이하로 함으로써, 사이드 흡수체의 개더를 서혜부에 들어가기 쉽게 하여, 기저귀를 신체에 고정시키기 쉽게 하고 있다. 더욱이 제1영역(91)에서 기저귀가 흘러내리기 어려운 상태로 하여 착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저귀가 처지는 것도 억제하여 기저귀 외관을 향상시키고 있다.
상기 비(K1/K3) 및 상기 비(K2/K3)를 3.3 이상으로 함으로써,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흡수체가 틀어지거나, 제1영역(91)과의 크기와의 관계에 의해 가랑이 하부를 부풀게 하지 않고, 기저귀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샘방지성을 향상시키는 종래의 기술로서,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4)를, 중앙 흡수체(41)와 그 양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흡수체(42)로 구성하고, 상기 사이드 흡수체(42)를 착용시에 기립시키는 기술은 알려져 있었으나, 종래의 기저귀에 있어서는 그러한 구성이 기저귀의 흘러내림을 조장하고 있었다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지견했다. 본 발명자들은 더욱이, 상기 거리 K1, K2 및 K3이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그러한 흘러내림의 조장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오줌을 흡수했을 때의 가랑이 하부의 처짐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지견했다. 본 기저귀(1)에 있어서는, 상기 거리 K1, K2 및 K3을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사이드 흡수체(42)에 의한 흘러내림의 조장 및 액 흡수시의 가랑이 하부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사이드 흡수체(42)에 의한 흘러내림의 조장 및 액 흡수시의 가랑이 하부의 처짐을 한층 방지하는 관점에서, 상기 거리 K3은, 35∼50㎜, 특히 35∼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K1/K3) 및 상기 비(K2/K3)는, 각각 3.6∼6.6, 특히 4.0∼6.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인용의 기저귀인 경우에는, 상기 거리 K3은 55∼75㎜, 특히 6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K1/K3) 및 상기 비(K2/K3)는, 각각 4.0∼6.4, 특히 4.3∼5.8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거리 K3은 기저귀의 길이방향 중심선(CL)상에서 측정한다.
사이드 흡수체(42)에 의해 흘러내림이 조장되는 것을 한층 방지하는 관점에서, 중앙 흡수체(41)의 기저귀 길이방향 중심선(CL)상에 있어서의 폭 W(도 3(a) 참조)는, 유아용의 기저귀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35∼55㎜, 더 바람직하게는 40∼50㎜이고, 성인용의 기저귀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45∼65㎜, 더 바람직하게는 50∼60㎜이다.
상기 거리 K3과 상기 폭 W의 비(K3/W)는, 바람직하게는 0.6∼1.4, 더 바람직하게는 0.7∼1.1이다. 또한 길이방향 중심선(CL)상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4)의 폭(K3×2+W)은, 유아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100∼150㎜, 더 바람직하게는 100∼140㎜이고, 성인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190∼220㎜, 더 바람직하게는 190∼210㎜이다.
기립한 사이드 흡수체(42)의 선단부가, 사이드 흡수체(42)의 길이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착용자의 서혜부에 양호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흘러내림의 조장을 한층 방지하는 관점에서, 가랑이 하부(C)에 있어서의 중앙 흡수체(41)와 사이드 흡수체(42)의 사이의 절리부(43)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4)의 길이방향의 중앙부 부근에 있어서 가장 폭이 넓게 되어 있고, 길이방향의 전후단 각각을 향하여 그 폭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리부(43)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흡수체(42)의 내측 가장자리가 직선형상이고, 중앙 흡수체(41)의 양측 가장자리가,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 부근에 있어서는 직선형상 내지 조금 만곡한 원호형상이며, 그 길이방향의 전후단 각각을 향하여 점차 사이드 흡수체(42)의 내측 가장자리에 가까워지는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이드 흡수체(42)의 전체길이 L1(도 3(a) 참조)은 170∼220㎜, 특히 175∼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각 부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시트(2)로서는, 친수성이면서 액투과성의 부직포나, 개공(開孔)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이면시트(3)로서는, 액불투과성의 재료나 발수성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액불투과성의 재료로서는, 수지필름이나, 수지필름과 부직포 등과의 라미네이트(laminate)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발수성의 재료로서는, 발수성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발수성 부직포로서는, 후술하는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의 형성재료로서의 부직포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4)로서는, 펄프섬유, 연속섬유(토우(tow)) 등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집합체, 또는 섬유집합체와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흡수성 폴리머와 섬유재료와의 혼합적층 섬유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아크릴산-비닐알코올)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나트륨가교체, (전분-아크릴산)그라프트공중합체, (이소부틸렌-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및 그 비누화물(saponification product), 폴리아스파라긴산(polyaspartic acid)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코어(4)를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펄프섬유, 레이온섬유, 코튼섬유, 초산셀룰로오스 등의 친수성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축합(縮合)계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 및 섬유는,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로서는, 스펀본드(spun bonded)·멜트블론(melt blown)·스펀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층구조의 복합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히트본드(heat bonded) 부직포, 에어스루(air-through)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연성, 내수성 등의 점에서 스펀본드와 멜트블론으로 이루어지는 다층구조의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의 평량(坪量)은 12g/㎡ 정도가 바람직하다.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는, JIS L1092(1998년도) 섬유제품의 방수성 시험방법에 있어서의 내수도(耐水度) 시험(저수압법)에 준하여 측정한 내수압이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수압의 측정시에는, 물을 넣은 수준(水準)장치를 10±0.5㎝/min의 속도로 상승시키고 시험편의 뒤쪽에 3군데로부터 물이 나온 것을 눈으로 관찰하여, 그 시점의 수위를 측정한다. 한편 시험편의 부착이 완료하면 지체 없이 측정한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따르면, 제1영역(91)이 착용자의 장골영역에 양호하게 고정되어, 기저귀의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기립하는 사이드 흡수체(42)에 의한 흘러내림의 조장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기저귀의 착용중에 착용자의 동작 등에 기인하는 기저귀의 흘러내림이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착용상태의 기저귀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기저귀의 흘러내림에 기인하여 착용자의 동작이 방해되는 일도 없다.
또한 허리 탄성부재 등에 의하지 않고 흘러내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기 때문에, 기저귀에 배치되어 있는 탄성부재가 착용자의 신체를 과도하게 조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착용감이 양호해진다. 더욱이 기저귀의 흘러내림이 억제됨으로써, 착용중에 있어서의 오줌이나 변의 샘의 발생이 한층 억제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제1발명을 그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제1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흡수성 코어는, 도 12(a)∼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어도 된다. 도 12(a)∼도 12(c) 중, 부호 44는 흡수성 코어(4)를 피복하는 티슈페이퍼(대지(臺紙))로서, 도 12(a)∼도 12(c)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4)의 피부 접촉면측을 피복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2(a)∼도 12(c)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4)는, 배설 포인트 근방에 다층구조를 갖지 않으나, 상술한 기저귀(1)와 마찬가지로, 이들의 흡수성 코어(4)에 있어서의 중앙 흡수체(41)의 부분을 2층구조 등의 다층구조로 할 수도 있다.
도 12(a)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4)는, 중앙 흡수체(41)와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42)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단층의 흡수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b)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4)는, 사이드 흡수체(42)가 중앙 흡수체(41)의 길이방향 한쪽부에서 연결접촉되어 있으나, 길이방향 다른쪽부에서 연결형성되어 있지 않고, 절리부(43)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도 12(c)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4)는, 사이드 흡수체(42)가 중앙 흡수체(41)와 연결형성되어 있지 않고, 절리부(43)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기저귀(1)에 있어서는 배측부(A)의 양측 가장자리(A1, A2)와 등측부(B)의 양측 가장자리(B1, B2)를 서로 접합하여 사이드 실부(S)를 형성했으나, 이것을 대신하여 후크(hook), 버튼, 면 패스너(fastener) 등의 각종 패스닝(fastening) 부재로 미리 패스닝시켜서, 팬츠형의 형상을 이루어도 된다. 또한 배측부(A)의 양측 가장자리(A1, A2)와 등측부(B)의 양측 가장자리(B1, B2)의 접합위치 또는 패스닝 위치는, 신체의 바로 옆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신체의 약간 앞쪽 또는 약간 뒤쪽의 위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기저귀(1)에 있어서는 외장체(10)를 외층 부직포(11) 및 내층 부직포(12)로 구성했으나, 외장체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부직포와 발수성 시트와의 적층시트여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발명에 대해서, 그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제2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이하, 기저귀라고도 함)(1)는, 소위 말하는 팬츠형의 기저귀로서, 도 13, 도 14, 도 15(a)∼도 15(c),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투과성의 표면시트(2)와 액보유성의 흡수성 코어(4)를 갖는 흡수성 본체(5)를 구비하며, 또한 흡수성 본체(5)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외장체(10)를 구비한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제1실시형태의 종단면도인데, 제2실시형태의 종단면 형상은 제1실시형태의 종단면 형상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제2실시형태의 종단면 형상에 대해서도 설명하기로 한다.
이 기저귀(1)는, 착용시에 착용자의 배쪽에 배치되는 배측부(A)와, 착용자의 등쪽에 배치되는 등측부(B)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하부(C)로 구분된다. 배측부(A), 등측부(B) 및 가랑이 하부(C)는, 전개상태(각 부의 탄성부재를 신장시켜서 평면형상으로 펼친 상태,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도 14의 상하방향)의 전체길이를 대략 3등분하도록 3영역으로 구분했을 때의 각 영역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 비접촉면측"이란, 흡수성 본체 등의 각 부재의 앞뒤 양측(면) 중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쪽과는 반대쪽에 배치되는 측(면)이다. 또한 이하, "피부 접촉면측"이라는 어구를 사용하는 일이 있는데, 이는 각 부재의 앞뒤 양측(면) 중,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쪽에 배치되는 측(면)이다.
"길이방향"이란, 각 부재의 긴 변과 평행한 방향이다. 또한 이하, "폭방향"이라고 하는 어구를 사용하는 일이 있는데, 이는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흡수성 본체(5)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그 길이방향을 기저귀의 길이방향에 일치시켜서 배측부(A)로부터 등측부(B)에 걸쳐지도록,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합수단에 의해 상기 외장체(10)의 폭방향 중앙부에 접합되어 있다.
외장체(10)는, 배측부(A)에 위치하는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등측부(B)에 위치하는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히트 실, 고주파 실, 초음파 실 등의 공지의 접합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사이드 실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접합에 의해, 기저귀(1)에 허리개구부(7) 및 한 쌍의 다리개구부(8, 8)가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상술한 구성은, 종래 공지의 기저귀와 동일하다.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4)의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그 전체에 걸쳐서, 흡수성 본체(5)의 측부(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사이드 흡수체(42)) 기립용의 탄성부재(9)가 한 쌍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본체(5)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랑이 하부(C)에 있어서의 양측부(52, 52)(사이드 흡수체(42, 42))가 기립하도록 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5)의 양측에는, 샘방지 커프(6, 6)가 형성되어 있다. 샘방지 커프(6)는, 흡수성 본체(5)에 접합된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의 자유단 근방에 신장상태로 고정된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 및 샘방지 커프(6)의 고정단과 자유단의 사이에 신장상태로 고정된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중간부 탄성부재)(62)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성 코어(4)는, 도 13, 도 14 및 도 15(a)∼도 1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 기저귀(1)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세로로 긴(세로 300∼500㎜, 가로 80∼170㎜) 직사각형 모양의 평면으로 보이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전체가 티슈페이퍼나 투수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투수성의 피복시트(도시하지 않음)로 피복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4)는, 모래시계형의 중앙 흡수체(41)와 중앙 흡수체(41)의 양측방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42, 42)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 흡수체(41)와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42, 42)는 각각 적어도 가랑이 하부(C)에 있어서 분리하고 있다. 사이드 흡수체(42)의 길이방향 한쪽부 및 길이방향 다른쪽부는, 각각 중앙 흡수체(41)의 길이방향 한쪽부(배측부)(F) 및 길이방향 다른쪽부(등측부)(R)에서 연결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흡수체(41)와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42, 42)의 사이에는, 각각 도려낸 형상의 절리부(43, 4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길이방향 한쪽부(F), 길이방향 중앙부(M), 길이방향 다른쪽부(R)는, 도 15(a)에 나타내는 상태의 흡수성 코어(4)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의 전체길이를 대략 3등분하도록 3영역으로 구분했을 때의 각 영역이다.
흡수성 코어(4)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흡수체(42, 42)가 적어도 가랑이 하부(C)에 배치되도록 기저귀(1)에 배치된다. 흡수성 코어(4)는, 사이드 흡수체(42, 42)가 가랑이 하부(C)에 배치되는 동시에, 중앙 흡수체(41)의 길이방향 한쪽부(F)가 배측부(A)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앙 흡수체(41)는, T자형의 상부 흡수체(411)와, 상부 흡수체(411)보다도 큰 모래시계형의 하부 흡수체(412)로 이루어진다. 상부 흡수체(411)는, 하부 흡수체(412)의 길이방향 한쪽부(F)로부터 길이방향 중앙부(M)에 걸쳐서(즉 배뇨 포인트 근방에서) 하부 흡수체(412)의 피부 접촉면측에 서로 포개져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42, 42)는, 하부 흡수체(41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흡수체(411)와 하부 흡수체(412)가 이처럼 서로 포개진 상태에 있어서, 하부 흡수체(412)에 있어서의, 상부 흡수체(411)의 가장자리로부터 삐져나온 부분의 길이(d)(도 15(a) 참조)는, 바람직하게는 0∼20㎜, 더 바람직하게는 5∼15㎜이다.
하부 흡수체(412)와 상부 흡수체(411)를 배뇨 포인트 근방에서 이처럼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배치함으로써, 기저귀 전체의 두께를 그다지 증가시키지 않고, 배뇨 포인트 근방의 흡수성 폴리머 및 펄프의 실질량을 높일 수 있으며, 흡수성 폴리머 및 펄프의 이용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양호한 샘방지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상부 흡수체(411)의 폴리머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80∼230g/㎡, 더 바람직하게는 100∼200g/㎡이다. 상부 흡수체(411)의 펄프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80∼230g/㎡, 더 바람직하게는 100∼200g/㎡이다. 하부 흡수체(412)의 폴리머 평량 및 펄프 평량에 대해서도, 각각 상부 흡수체(411)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흡수체(411) 및 하부 흡수체(412)의 폴리머 평량 및 펄프 평량이 각각 상기의 하한(下限) 미만에서는, 샘방지 성능에 문제가 생기거나, 가공 성능적으로 안정한 상태에서 성형할 수 없는(균일하게 배치할 수 없는) 등의 염려가 있다. 반대로, 상부 흡수체(411) 및 하부 흡수체(412)의 폴리머 평량 및 펄프 평량이 각각 상기의 상한(上限) 초과에서는, 착용시에 있어서의 고정성에 문제가 생기거나, 배뇨 후의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과도하게 흡수체가 팽윤하여 부풀거나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등의 염려가 있다.
상부 흡수체(411) 및 하부 흡수체(412)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폴리머와 펄프의 중량비율은, 펄프와 폴리머의 혼합상태를 고려하면, 4:6∼6:4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 흡수 후의 가랑이 하부의 외관(폴리머의 팽윤에 의한 부품의 방지)을 고려하면, 상부 흡수체(411)의 폴리머 평량과 하부 흡수체(412)의 폴리머 평량의 합계치는 160∼4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흡수체(41)(하부 흡수체(412))의 길이방향 중앙부(M)의 폭 W1(도 15(a) 참조)은, 바람직하게는 30∼80㎜, 더 바람직하게는 40∼70㎜이다. 중앙 흡수체(41)의 길이방향 중앙부(M)는 가랑이 하부(C)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길이방향 중앙부(M)의 폭 W1이 30㎜ 미만에서는, 특히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샘이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중앙 흡수체(41)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가공성이 나빠지게 되는 등의 염려가 있다. 폭 W1이 80㎜ 초과에서는, 착용시에 있어서의 외관의 악화, 가랑이 하부에서의 고정성의 저하 등의 염려가 있다.
또한 하부 흡수체(412) 및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42, 42)를 구비하는 흡수성 코어(4)의 폭 W2(도 15(a) 참조)는, 착용시에 있어서의 외관(깔끔함) 및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의 고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0∼170㎜, 더 바람직하게는 90∼160㎜이다.
사이드 흡수체(42)는, 그 길이(길이방향의 길이) L1(도 15(a) 참조)이 바람직하게는 100∼270㎜, 더 바람직하게는 120∼250㎜이고, 그 폭 W3(도 15(a) 참조)이 바람직하게는 10∼50㎜, 더 바람직하게는 15∼45㎜이다.
또한 상기 폭 W1, W2 및 W3은, 중앙 흡수체(41)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2등분하는 폭방향의 중심선상을 측정한 값이다.
절리부(43)는,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활모양 형상을 갖고 있다. 절리부(43)의 길이는, 사이드 흡수체(42)의 길이 L1과 일치하고 있다. 절리부(43)의 폭 W4(도 15(a) 참조)는 바람직하게는 5∼30㎜, 더 바람직하게는 5∼25㎜이다.
상세히 기술하면, 절리부(43)의 외측 가장자리부(43b)의 형상은, 사이드 흡수체(42)의 직선형상의 내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직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절리부(43)의 내측 가장자리부(43a)의 형상은, 중앙 흡수체(41)의 만곡선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만곡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만곡선 형상은, 거시적으로 봐서 착용자의 서혜부의 만곡형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직선형상"은, 기하학상의 직선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거시적으로 봐서 직선형상이면, 예를 들면 약간 만곡한 형상이나 약간 비뚤어진 형상도 포함된다. 또한 "만곡선 형상"은, 한 방향으로만 만곡하면서 직선부분이 전혀 없는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거시적으로 봐서 만곡선 형상이면, 예를 들면 일부가 반대쪽으로 만곡하고 있는 형상이나 직선형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형상도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절리부(43)의 내측 가장자리부(43a)의 길이방향 중앙부는 직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시트(2)가 흡수성 코어(4)의 피부 접촉면(4a)측의 전체영역, 흡수성 코어(4)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4b, 4b)의 전체영역 및 흡수성 코어(4)의 피부 비접촉면(4c)측의 기저귀 폭방향 양측부 근방을 피복하고 있다.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시트(2)의 양측 단부(21, 21)는, 각각 또한 중앙 흡수체(41)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일부도 피복하고 있다.
또한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5)는 흡수성 코어(4)의 피부 비접촉면(4c)측의 전체영역을 피복하는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3)를 갖고 있다. 이면시트(3)는 흡수성 코어(4)와, 흡수성 코어(4)의 피부 비접촉면(4c)측의 기저귀 폭방향 양측부 근방을 피복하는 표면시트(2)와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전체영역"이란, "거의 전체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코어(4)의 피부 비접촉면(4c)측 중 폭방향으로 90% 이상이면서 길이방향으로 90% 이상의 영역이 이면시트(3)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면, 흡수성 코어(4)의 피부 비접촉면(4c)측의 "전체영역"이 피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면시트(3)의 폭 및/또는 길이가 흡수성 코어(4)의 폭(도 15(a)에 있어서의 W2) 및/또는 길이보다도 큰 경우에는, 이면시트(3)의 폭은 흡수성 코어(4)의 폭의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마찬가지로 이면시트(3)의 길이는 흡수성 코어(4)의 길이의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코어(4)가 투수성의 피복시트로 피복되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흡수성 코어(4)의 폭 및 길이란, 각각 피복시트를 포함한 흡수성 코어(4) 전체의 폭 및 길이를 말한다.
표면시트(2)는, 그 양측 단부(21, 21)에 있어서, 이면시트(3) 및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에 히트 실 등의 접합수단에 의해 접합고정되어, 접합고정부(이하 "본체 접합고정부"라고도 함)(67, 67)를 형성하고 있다.
본체 접합고정부(67)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흡수체(42)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최내측점 P(사이드 흡수체(42)에 있어서 가장 폭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부분)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 접합고정부(67)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바깥쪽으로, 흡수성 본체(5)의 측부(사이드 흡수체(42)) 기립용의 탄성부재(9)가 신장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체 접합고정부(67)의 위치"라고 하는 경우, 본체 접합고정부(67)의 폭방향 바깥쪽 단(端)의 위치를 의미한다.
본체 접합고정부(67)는, 히트 실, 고주파 실, 초음파 실, 핫멜트형의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합수단을 이용하여,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와 표면시트(2)의 측단부(21)와 이면시트(3)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본체 접합고정부(67)를 연속한 직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본체 접합고정부(67)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기저기에 간헐부를 갖는 불연속한 직선형상, 혹은 연속 또는 불연속한 곡선형상 등이어도 된다.
흡수성 코어(4)의 피부 접촉면(4a)측을 피복하는 표면시트(2)와, 흡수성 코어(4)의 피부 비접촉면(4c)측을 피복하는 이면시트(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4)의 절리부(43)를 통과해서 앞뒤면 접합부(22)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절리부(43)에는, 상기 피복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표면시트(2) 및 이면시트(3)는 상기 피복시트를 통해서 접합되어 있다.
외장체(10)의 피부 접촉면측에는,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 및 흡수성 본체(5)가 순차 접합되어 있다. 외장체(10)와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는, 접합고정부(이하 "외장체 접합고정부"라고도 함)(13)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외장체 접합고정부(13)는, 본체 접합고정부(67)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바깥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외장체 접합고정부(13)의 폭방향 바깥단과 본체 접합고정부(67)의 폭방향 바깥단과의 거리 L5(도 5 참조)는, 바람직하게는 0㎜∼50㎜, 더 바람직하게는 10㎜∼40㎜이다.
이들 각 부재의 접합에는,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합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외장체(10)는 도 14,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장의 외장체 형성용 시트(11, 12)와, 이들 2장의 시트 사이에 고정된 각 부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2장의 외장체 형성용 시트(11, 12) 사이에는, 허리개구부(7)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허리 개더를 형성하는 허리부 탄성부재(71), 다리개구부(8)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다리 개더를 형성하는 다리부 탄성부재(81), 및 몸통둘레부(D)(허리개구부(7)의 둘레 가장자리단에서 아래쪽으로 20㎜ 떨어진 위치로부터 다리개구부(8)의 상단까지의 영역)에 좌우로 분할된 상태의 몸통둘레 개더를 형성하는 몸통둘레 탄성부재(91a, 92a)가, 각각 신장상태로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합수단에 의해 접합고정되어 있다.
외장체 형성용 시트(11, 12)는 모두 통기성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2장의 시트 중, 피부 비접촉면측에 위치하는 시트(외층 부직포)(11)는,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 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는 시트(내층 부직포)(12)의 전후단 가장자리(길이방향의 양 단 가장자리)보다도 각각 연장되어 나온 연장부를 갖고 있다. 이들의 연장부는, 각각 외장체(10)의 시트(12)상에 흡수성 본체(5)가 배치된 후, 흡수성 본체(5)의 전후단(길이방향의 양단)을 덮도록 흡수성 본체(5)측에 되접혀져 접착되어 있다.
샘방지 커프(6)는, 도 14,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5)의 길이방향의 양측 각각에, 기저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 복수개의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 및 1개의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를 구비하고 있다.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로서, 소정 폭의 띠형상의 발수성 시트 1장을, 그 길이방향을 따른 절곡선으로 2개로 접어서, 서로 대향하는 층 사이를 핫멜트형 접착제 또는 부분적인 히트 실 혹은 초음파 실 등으로 접합한 2층 구조의 시트를 이용하고 있다.
복수개의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 및 1개의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는, 이 2층 구조의 시트의 층 사이에 신장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본체(5)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 각각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5)를 피부 접촉면측으로부터 피부 비접촉면측에 걸쳐서 덮고 있다.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는, 흡수성 본체(5)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 각각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5)의 피부 접촉면측에 히트 실, 고주파 실, 초음파 실,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합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샘방지 커프(6)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가랑이 하부(C)에 있어서 기립가능하다. 샘방지 커프(6)의 자유단(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의 되접는 단) 근방에는, 복수개의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가, 흡수성 본체(5)의 폭방향으로 나열된 상태에서,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샘방지 커프(6))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립한 샘방지 커프(6)의 선단 부분이 착용자의 피부에 면 접촉하게 되고, 그 결과 기저귀의 몸으로의 밀착성이 높아져 샘방지 성능이 향상하는 동시에, 기저귀를 피부에 부드럽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는, 샘방지 커프(6)에 있어서의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와 본체 접합고정부(67)의 사이에 있어서,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샘방지 커프(6))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는,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샘방지 커프(6)에 있어서의 사이드 흡수체 기립용의 탄성부재(9)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바깥쪽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후술하는 효과를 얻는데 있어서,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본체 접합고정부(67),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 사이드 흡수체 기립용의 탄성부재(9) 및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의 위치관계를 이하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 접합고정부(67)의 폭방향 바깥단과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의 중심)와의 거리 L2(도 4 참조)는, 바람직하게는 30㎜∼70㎜, 더 바람직하게는 35㎜∼60㎜이다. 한편,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가 복수개 형성된 형태의 경우는, 본체 접합고정부(67)로부터 가장 근방에 배치된 상기 탄성부재(62)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와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와의 거리 L4(도 4 참조)는, 바람직하게는 20㎜∼50㎜, 더 바람직하게는 20㎜∼40㎜이다. 한편,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가 복수개 형성된 형태의 경우는, 본체 접합고정부(67)로부터 가장 근방에 배치된 상기 탄성부재(62)를 기준으로 하고, 제2실시형태와 같이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가 복수개 형성된 형태의 경우는,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탄성부재(61)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있어서의 고무 자국 방지의 관점에서,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의 개수는 적은 편이 좋은데, 1개 또는 2개가 바람직하다.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각 부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 및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의 형태로서는, 실형상의 것(실고무 등), 소정 폭의 띠형상의 것(평고무 등)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실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61, 62)의 소재로서는,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 부타디엔, 이소프렌, 네오프렌 등의 합성고무, 에바(EVA), 신축성 폴리올레핀, 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9, 71, 81, 91a, 92a)의 형태로서는, 실형상의 것 및 소정 폭의 띠형상의 것, 또한 박막형상의 것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들의 소재로서는, 상기 탄성부재(61, 62)의 소재로서 기재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따르면, 샘방지 커프(6)에,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와는 별도로,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즉, 만약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가 없다고 하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16에 나타내는 기저귀는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로부터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를 생략한 비교 참고 형태를 나타낸다], 샘방지 커프(6)에 의해 사이드 흡수체(42)를 착용자의 다리둘레쪽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약하고, 사이드 흡수체(42)의 기립단(폭방향 안쪽의 단부)의 위치가 안정하지 못하다. 또한 중앙 흡수체(41)를 끌어당기는 힘도 약하고, 중앙 흡수체(41)가 폭방향 안쪽으로 압축되어, 중앙 흡수체(41)의 형상도 안정하지 못하다. 그 때문에, 가랑이 하부에서의 고정성 및 샘방지 성능이 확보되기 어렵다.
한편,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따르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방지 커프(6)에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62)에 의한 수축력에 의해 샘방지 커프(6)에 있어서의,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가 존재하는 자유단과 외장체 접합고정부(13)와의 사이의 영역이, 착용자의 다리둘레쪽으로 당겨진다. 그 때문에,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에 접합된 표면시트(2)를 통해서 사이드 흡수체(42)에 있어서의 특히 기립단쪽은, 착용자의 다리둘레쪽으로 당겨져서, 다리둘레를 따르기 쉬워진다. 더욱이, 사이드 흡수체(42)가 다리둘레쪽으로 당겨짐으로써, 중앙 흡수체(41)도 폭방향 바깥쪽으로 당겨져서, 중앙 흡수체(41)의 형상이 안정된다. 그 결과, 가랑이 하부의 외관이 향상하고, 샘방지 성능도 향상한다.
한편, 도 11은 제1실시형태의 종단면도인데, 제2실시형태의 종단면 형상은 제1실시형태의 종단면 형상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11을 이용하여 제2실시형태의 종단면 형상에 대해서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따르면, 외장체 접합고정부(13)가, 본체 접합고정부(67)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바깥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리 개구부(8)에 배치된 탄성부재(81)의 수축력에 의해, 외장체(10)가 폭방향 바깥쪽으로 당겨지면, 외장체 접합고정부(13),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 및 본체 접합고정부(67)를 통해서 흡수성 코어(4)(사이드 흡수체(42), 중앙 흡수체(41))도 폭방향 바깥쪽으로 효율적으로 당겨진다. 그 결과, 가랑이 하부의 외관이나 샘방지 성능이 더욱 향상한다.
또한 샘방지 커프(6)에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62)가 수축하여, 착용상태에 있어서, 샘방지 커프(6)가 다리개구부(8)로부터 삐져나오기 어렵게 된다.
게다가, 흡수성 코어(4)의 피부 접촉면(4a)측을 피복하는 표면시트(2)와, 흡수성 코어(4)의 피부 비접촉면(4c)측을 피복하는 이면시트(3)가, 흡수성 코어(4)의 절리부(43)를 통과해서 앞뒤면 접합부(22)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흡수체(42)가 기립해도 중앙 흡수체(41)가 표면시트(2)로부터 흘러내리기 어렵다.
또한, 흡수성 코어(4)에 있어서의 사이드 흡수체(42)의 길이방향 한쪽부 및 길이방향 다른쪽부가, 각각 중앙 흡수체(41)의 길이방향 한쪽부(배측부)(F) 및 길이방향 다른쪽부(등측부)(R)에서 연결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착용자가 앉은 상태에 있어서의 오줌이나 무른 변의 샘방지 효과가 높다. 즉, 착용자가 앉은 상태에 있어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한 사이드 흡수체(42)가 중앙 흡수체(41)에 피복되도록 이동하여 중앙 흡수체(41)를 착용자 앞쪽 및 뒤쪽으로 밀어낸다. 그 결과, 착용자의 전후 배설부를 포위하도록, 앉은 상태에서도 찌그러지지 않는 팽출(膨出)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앉은 상태에서 배설된 오줌이나 무른 변이 상기 팽출 공간에 의해 유지되어 오줌이나 무른 변의 샘방지 효과가 높다.
또한, 상술한 특징적인 형태를 갖는 흡수성 코어(4)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상태에서 가랑이 하부가 헐렁거리지 않고, 기저귀의 외관이 깔끔하며, 가랑이 하부에서의 고정성 및 샘방지 성능이 뛰어나다. 또한 중앙 흡수체(41)와 사이드 흡수체(42)의 사이에 절리부(43)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이드 흡수체(42)의 펄프 및 폴리머의 평량이 큰 경우라도 사이드 흡수체(42)의 양호한 기립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코어(4)는, 중앙 흡수체(41)와 사이드 흡수체(42, 42)가 연결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기저귀(1)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취급이 용이하며, 절리부(43)를 기저귀(1)에 있어서의 소정의 배치 위치에 고정밀도로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뛰어난 성능을 갖는 기저귀(1)를 효율 좋게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절리부(43)에 있어서의 내측 가장자리부(43a)가 폭방향 안쪽을 향하여 만곡한 활모양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착용시에 흡수성 코어(4)가 착용자의 서혜부에 의해 폭방향 안쪽을 향하여 눌려져서, 사이드 흡수체(42)가 가랑이 하부(C)에 있어서의 중앙 흡수체(41)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기립하면, 내측 가장자리부(43a)가 착용자의 다리둘레를 따르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착용자는 착용시에 있어서 위화감을 느끼지 않으면서, 샘에 대한 방지성능이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중앙 흡수체(41)의 길이방향 한쪽부(F)가 배측부(A)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흡수성 코어(4)가 상부 흡수체(411)와 하부 흡수체(412)로 형성되어 있으며, 흡수성 코어(4)의 흡수용량을 앞(배)쪽으로 편재시켜 놓았기 때문에, 특히 앞쪽으로부터의 샘에 대한 방지성능이 뛰어나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유아용 기저귀의 용도에 있어서는, 엎드린 상태의 유아가 사용하는 때에도, 앞쪽으로부터의 샘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 접합고정부(67)가 사이드 흡수체(42)의 최내측점 P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안쪽에 있고, 본체 접합고정부(67)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바깥쪽으로, 흡수성 본체(5)의 측부(사이드 흡수체(42)) 기립용의 탄성부재(9)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5)의 양측부(52, 52) 및 샘방지 커프(6, 6)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랑이 하부(C)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여 크게 기립하도록 되어, 그 결과, 기저귀의 샘방지 성능이 향상한다. 즉, 이러한 구성이라면, 가랑이 하부(C)에, 전후 좌우에 기립부를 갖는 흡수성 본체(5)에 의한 오목형상의 포켓이 형성되기 쉽고, 상기 포켓 내로부터의 배설물의 새어나옴이 생기기 어려워져서, 다량의 오줌이 단시간에 모아져 배설되거나, 흡수되기 어려운 물 형태의 변이나 무른 변 등이 배설된 경우 등에 있어서도, 상기 포켓으로부터 배설물이 새어나오기 어렵다.
더욱이, 상기 포켓으로부터 배설물이 새어나온 경우라도, 흡수성 본체(5)의 양측에 샘방지 커프(6)가 존재하고, 흡수성 본체(5)가 기립한 측부(52)와,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와의 사이에 배설물의 보유성이 뛰어난 포켓 Q(도 5 참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배설물이 외장체(10)의 측 가장자리부를 넘어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샘방지 커프(6)가 착용자의 피부에 면 접촉하고, 흡수성 본체(5)의 기립한 측부(52)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느끼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2발명의 제3∼제5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2실시형태의 설명이 적용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대한 도 5의 상당도이다. 이 제3실시형태는, 이면시트(3)의 배치형성 부위와, 상기 이면시트(3)와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와의 접합수단으로서의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도포 패턴이 다른 점 이외에는, 상술한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3실시형태에서는, 외장체(10)의 피부 접촉면측에,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3)가 접합되고, 이면시트(3)의 피부 접촉면측에,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 및 흡수성 본체(5)가 순차 접합되어 있다. 이면시트(3)는, 흡수성 본체(5)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세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흡수성 본체(5)와 동일한 위치(외장체(10)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그 길이방향을 기저귀 길이방향으로 일치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면시트(3)는, 상기 흡수성 본체(5)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전체영역을 피복하도록 상기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접합고정되어 있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전체영역"이란, "거의 전체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본체(5)의 피부 비접촉면측 중 폭방향으로 90% 이상이면서 길이방향으로 90% 이상의 영역이 이면시트(3)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면, 흡수성 본체(5)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전체영역"이 피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면 시트(3)의 폭 및/또는 길이가 흡수성 본체(5)의 폭 및/또는 길이보다도 큰 경우에는, 이면시트(3)의 폭은 흡수성 본체(5)의 폭의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마찬가지로 이면시트(3)의 길이는 흡수성 본체(5)의 길이의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코어(4)가 투수성의 피복시트로 피복되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흡수성 본체(5)의 폭 및 길이란, 각각 피복시트를 포함한 흡수성 본체(5) 전체의 폭 및 길이를 말한다.
외장체(10)와 이면시트(3)와의 외장체 접합고정부(13)는,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와 흡수성 본체(5)와의 본체 접합고정부(67)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바깥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면시트(3)와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의 접합고정은, 외장체 접합고정부(13)의 폭방향보다도 큰 폭의 이면시트 접합부(14)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접합되어 있으면, 샘방지 커프(6)의 액불투과성(샘방지성)이 향상한다. 또한 흡수성 본체(5)보다도 폭이 넓은 이면시트(3)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흡수성 본체(5)보다도 폭이 넓은 이면시트 접합부(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표면시트(2)는 흡수성 코어(4)의 피부 접촉면(4a)측의 전체영역, 흡수성 코어(4)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4b)의 전체영역 및 흡수성 코어(4)의 피부 비접촉면(4c)측의 폭방향 양측부 근방을 피복하고, 표면시트(2)의 양측 단부(21, 21)에 있어서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에 접합고정되어 있다.
제3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사이드 흡수체(42)의 피부 비접촉면측이 액투과성의 표면시트(2)로 덮여 있기 때문에, 사이드 흡수체(42)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부터의 액의 흡수가 가능하여, 샘방지 성능이 특히 뛰어나다. 또한 이면시트(3)가 외장체(1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면시트(3)에 각종 모양이나 제조업자의 브랜드마크 등의 인쇄모양이 가해져 있는 경우에는, 인쇄모양의 외부로부터의 가시성(visibility)이 높아진다고 하는 장점도 있다.
도 19, 도 20 및 도 21(a)∼도 21(c)는, 다른 형태의 흡수성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4)는, 사이드 흡수체(42)가 중앙 흡수체(41)와 연결형성되어 있지 않고, 절리부(43)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그 이외에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4)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4)는, 사이드 흡수체(42)가 중앙 흡수체(41)의 길이방향 한쪽부에서 연결접속되어 있으나, 길이방향 다른쪽부에서 연결형성되어 있지 않고, 절리부(43)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그 이외에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4)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흡수성 코어로서, 도 19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4) 또는 도 20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4)를 채용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1(a)∼도 21(c)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4)는, 상기 중앙 흡수체(41)가 하부 흡수체(412)(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4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앙 흡수체)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점 이외에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4)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대한 도 5의 상당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2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대한 도 5의 상당도이다. 제4실시형태는, 도 21(a)∼도 21(c)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4)를 이용하고 있는 점 이외에는, 상술한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5실시형태는, 도 21(a)∼도 21(c)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4)를 이용하고 있는 점 이외에는, 상술한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2발명의 제2∼제5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제2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제2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사이드 흡수체 기립용의 탄성부재(9)는, 흡수성 코어(4)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고,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 및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62)는,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으나, 이들 탄성부재(9, 61 및 62)는, 소망하는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반드시 흡수성 코어(4) 또는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9, 61 및 62)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앙 흡수체(41)는 각각 독립한 부재인 상부 흡수체(411) 및 하부 흡수체(412)로부터 형성되며, 상부 흡수체(411)와 하부 흡수체(412)는 분리가능한데, 본 발명에 따른 중앙 흡수체는, 상부 흡수체 및 하부 흡수체가 일체화되어(분리 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중앙 흡수체의 형상은, 상부 흡수체(411) 및 하부 흡수체(412)를 각각 변형시키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포개져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중앙 흡수체의 각 부의 크기는, 상술한 설명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앙 흡수체의 평량에 대해서는, 상술한 상부 흡수체(411)의 평량과 하부 흡수체(412)의 평량의 합계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4)는, 중앙 흡수체(41)의 길이방향 한쪽부(F)가 배측부(A)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는 반대로, 중앙 흡수체의 길이방향 다른쪽부(R)가 배측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이드 흡수체 기립용의 탄성부재(9)가 흡수성 코어(4)의 양측부의 전체에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 탄성부재(9)의 배치형성 위치는, 흡수성 코어(4)의 양측에서 사이드 흡수체(42)를 기립가능한 위치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9)는 예를 들면, 흡수성 코어(4)와 상기 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는 표면시트(2)와의 사이, 혹은 흡수성 코어(4) 전체를 피복하는 상기 피복 시트(도시하지 않음)의 내부 등에 배치할 수도 있다. 단, 흡수성 본체(5)의 양측부(52, 52)를, 가랑이 하부(C)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여 크게 기립시키도록 하는 관점에서, 상기 탄성부재(9)는, 흡수성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부 혹은 그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인데,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기저귀 고정용의 패스닝 테이프가 형성된, 소위 말하는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1발명 및 제2발명에 있어서는, 양 발명의 구성을 적의 조합할 수 있다. 즉 제1발명에, 제2발명의 상기 각 실시형태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반대로, 제2발명에, 제1발명의 상기 각 실시형태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예를 들면, 흡수성 본체(5)의 양측에 샘방지 커프(6)가 형성되어 있고, 샘방지 커프(6)가, 흡수성 본체(5)에 접합된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 및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의 자유단 근방에 신장상태로 고정된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61)를 구비하며,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장골능으로부터 상전장골극에 걸친 부위에 접촉하는 영역(91)의 장착압력이, 허리개구부(7)의 장착압력보다도 높아지도록 되어 있는 제1발명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5)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적어도 다리개구부(8)를 형성하는 외장체(10)를 구비하고, 외장체(10)의 피부 접촉면측에,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3),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 및 흡수성 본체(5)가 순차 접합되어 있는 종단면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러한 종단면 형상을 갖는 형태에 있어서, 이면시트(3)와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는, 외장체(10)와 이면시트(3)와의 접합고정부(13)의 폭방향보다도 큰 폭의 이면시트 접합부(14)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종단면 형상, 또는 외장체(10)와 이면시트(3)와의 접합고정부(13)가,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60)와 흡수성 본체(5)와의 접합고정부(67)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바깥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종단면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제1발명에 있어서의 이러한 종단면 형상의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상술한 제1실시형태에, 제2발명의 제3실시형태 또는 제5실시형태의 종단면 형상을 채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발명의 일실시형태(제1실시형태)로서의 팬츠형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기저귀를 사이드 실부로 떼어내서 전개하고, 각 부의 탄성부재를 신장시켜서 평면형상으로 펼친 상태에 대해서 일부 파단(破斷)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나타내는 기저귀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나타내는 C-C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L선을 따르는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의 외장체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장골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착용자의 허리부에 있어서의 흘러내리는 힘의 산출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상전장골극 높이 전후(前後) 길이의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1발명의 기저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반(半)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1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제1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발명의 일실시형태(제2실시형태)로서의 팬츠형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기저귀를 사이드 실부로 떼어내어 전개하고, 각 부의 탄성부재를 신장시켜서 평면형상으로 펼친 상태에 대해서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a)는 도 13에 나타내는 기저귀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를 나타내는 평 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a)에 나타내는 C-C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발명의 비교 참고 형태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반 단면도이다.
도 17은 착용시에 있어서의 제2실시형태의 앉은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대한 도 5 상당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코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코어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a)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코어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b)는 도 21(a)에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도 21(c)는 도 21(a)에 나타내는 C-C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a)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2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기저귀에 대한 도 5 상당도이다.
도 23은 도 21(a)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2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기저귀에 대한 도 5 상당도이다.
본 발명의 제1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기저귀의 착용중에 착용자의 동작 등에 기인하는 기저귀의 흘러내림이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오줌 등의 흡수에 의한 기저귀의 가랑이 하부의 처짐, 헐렁거림이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착용상태의 기저귀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가랑이 하부가 과도하게 부풀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의 동작이 방해되는 일도 없다. 또한 기저귀에 배치되어 있는 탄성부재가 착용자의 신체를 과도하게 조이는 것이 방지되어 착용감이 양호해진다. 더욱이 기저귀의 흘러내림이 억제됨으로써, 착용중에 있어서의 오줌이나 변의 샘의 발생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2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특히 양측부에 형성된 샘방지 커프에,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와는 별도로,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상태에 있어서 가랑이 하부가 헐렁거리지 않고, 기저귀의 외관이 깔끔하다. 그 때문에 가랑이 하부에서의 고정성 및 샘방지 성능이 뛰어나며, 또한 샘방지 커프가 다리개구부로부터 삐져나오기 어렵다.

Claims (10)

  1. 표면시트와 흡수성 코어를 갖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허리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기저귀로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중앙 흡수체와 상기 중앙 흡수체의 양측방에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흡수체와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흡수체는 각각 적어도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분리하고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흡수체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 근방에 사이드 흡수체 기립용의 탄성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 상기 사이드 흡수체가, 기저귀 착용시에 기립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측에는 샘방지 커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샘방지 커프는 상기 흡수성 본체에 접합된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 및 상기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의 자유단 근방에 신장 상태로 고정된 샘방지 커프 형성용의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적어도 다리개구부를 형성하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체의 피부 접촉면측에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 상기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 및 상기 흡수성 본체가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면시트와 상기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는 상기 외장체와 상기 이면시트와의 접합고정부의 폭방향보다도 큰 폭의 이면시트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상기 허리개구부의 부근에 기저귀의 폭방향에 걸쳐 허리부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허리개구부와 상기 다리개구부의 사이에 기저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어 기저귀의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제1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장골능(腸骨稜)으로부터 상전장골극(上前腸骨棘)에 걸친 부위에 접촉하는 상기 제1영역의 장착압력이, 허리개구부의 장착압력보다도 높아지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기저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와 상기 이면시트와의 접합고정부가, 상기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와 상기 흡수성 본체와의 접합고정부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바깥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양측에 사이드 흡수체 기립용의 탄성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의 양측부가 기립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커프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흡수체 기립용의 탄성부재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바깥쪽의 위치에, 샘방지 커프 끌어당김용의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기저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와 상기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와의 접합고정부가, 상기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와 상기 흡수성 본체와의 접합고정부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바깥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기저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시트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피부 접촉면측의 전체영역, 상기 흡수성 코어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의 전체영역 및 상기 흡수성 코어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폭방향 양측부 근방을 피복하고, 상기 표면시트의 양측 단부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에 접합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전체영역을 피복하는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를 갖고, 상기 이면시트는, 상기 흡수성 코어와, 상기 흡수성 코어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폭방향 양측부 근방을 피복하는 상기 표면시트와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 삭제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시트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피부 접촉면측의 전체영역, 상기 흡수성 코어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의 전체영역 및 상기 흡수성 코어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폭방향 양측부 근방을 피복하고, 상기 표면시트의 양측 단부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커프 형성용 시트에 접합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1020077027112A 2005-05-09 2006-04-18 일회용 기저귀 KR101255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35625 2005-05-09
JP2005135625 2005-05-09
JP2005218450A JP4662463B2 (ja) 2005-05-09 2005-07-28 使い捨ておむつ
JPJP-P-2005-00218450 2005-07-28
JP2005218146A JP3857292B1 (ja) 2005-07-28 2005-07-28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JP-P-2005-00218146 2005-07-28
PCT/JP2006/308144 WO2006120847A1 (ja) 2005-05-09 2006-04-18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475A KR20080007475A (ko) 2008-01-21
KR101255592B1 true KR101255592B1 (ko) 2013-04-16

Family

ID=3739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112A KR101255592B1 (ko) 2005-05-09 2006-04-18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72316B2 (ko)
EP (1) EP1880700B1 (ko)
KR (1) KR101255592B1 (ko)
CN (2) CN101947164A (ko)
TW (1) TW200701961A (ko)
WO (1) WO20061208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3259A (ja) * 2007-04-11 2010-07-15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漏出バリアを備えた吸収用品
BRPI0722202B8 (pt) * 2007-11-20 2021-06-22 Essity Hygiene & Health Ab artigo absorvente modelado com elásticos de borda
WO2009067059A1 (en) * 2007-11-20 2009-05-28 Sca Hygiene Products Ab Shaped absorbent article
JP5328203B2 (ja) * 2008-03-31 2013-10-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着用物品
US8974430B2 (en) * 2008-06-17 2015-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activated region
JP5253064B2 (ja) * 2008-09-18 2013-07-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100292663A1 (en) * 2009-05-15 2010-11-18 Gary Dean Lavo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5764287B2 (ja) * 2009-08-13 2015-08-19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CA2838951C (en) 2011-06-10 2019-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diapers comprising longitudinal channels
SG194984A1 (en) 2011-06-10 2013-12-30 Procter & Gamble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JP5897829B2 (ja) * 2011-07-01 2016-03-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814063B2 (ja) * 2011-09-30 2015-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AU2012359507B2 (en) 2011-12-28 2015-01-22 Livedo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CN102715985A (zh) * 2012-06-28 2012-10-10 杭州豪悦实业有限公司 一种成人失禁裤
JP6124625B2 (ja) * 2013-03-08 2017-05-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ES2655690T3 (es) 2013-06-14 2018-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ículo absorbente y canales de formación de núcleo absorbente cuando están húmedos
JP6118703B2 (ja) * 2013-10-04 2017-04-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80263B2 (ja) * 2013-11-20 2017-02-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271997B2 (en) 2014-04-08 2019-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substrates having zonal treatments
US20150320613A1 (en) 2014-05-08 2015-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ist-to-side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ES2849555T3 (es) 2014-05-08 2021-08-19 Procter & Gamble Siluetas entre longitud y cintura de artículos y conjuntos absorbentes desechables para adultos
WO2015171384A1 (en) 2014-05-08 2015-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ength to side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RU2668519C2 (ru) 2014-05-08 2018-10-01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Конфигурации отдельных одноразовых абсорбирующих изделий для взрослых и конфигурации таких изделий в наборах
WO2015171378A1 (en) 2014-05-08 2015-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p to waist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EP2949300B1 (en) *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CN107072827A (zh) 2014-09-09 2017-08-18 H.B.富乐公司 一次性衣服
US10034801B2 (en) * 2014-10-03 2018-07-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comprising improved product lengths
US10864117B2 (en) 2014-10-09 2020-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ength-to-waist and hip-to-side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CN112472426B (zh) 2014-10-09 2022-06-21 宝洁公司 成人一次性吸收制品和系列的长度对侧部轮廓和髋部对腰部轮廓
JP6674205B2 (ja) * 2014-10-20 2020-04-01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US10376428B2 (en) 2015-01-16 2019-08-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pant with advantageously channeled absorbent core structure and bulge-reducing features
EP3244855B1 (en) 2015-01-16 2020-07-2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of said articles comprising absorbent cores having channels
EP3058916B1 (en) * 2015-02-17 2018-01-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ackage for absorbent articles forming a three-dimensional basin
EP3058913B1 (en) * 2015-02-17 2018-07-2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forming a three-dimensional basin
JP1547533S (ko) * 2015-02-27 2016-04-11
US10603402B2 (en) 2015-03-16 2020-03-31 H.B. Fuller Company Elastic adhesive composition and an elastic composite made with the same
US10449099B2 (en) 2015-06-25 2019-10-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of said articles comprising improved capacity profiles
JP1557383S (ko) * 2015-07-10 2016-08-29
TR201804946T1 (tr) * 2015-10-07 2018-05-21 Kao Corp Yaprak ve yaprağın üretimi için yöntem.
TR201804953T1 (tr) * 2015-10-07 2018-05-21 Kao Corp Yaprak şeklinde madde ve yaprak şeklinde maddenin üretimi için yöntem.
US9913763B2 (en) 2015-10-30 2018-03-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hannels
US10583054B2 (en) 2015-11-06 2020-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silhouettes and silhouette arrays
MY176762A (en) * 2015-12-31 2020-08-21 Sj Circle Sdn Bhd Diaper core with triple leak guard
USD834785S1 (en) * 2016-02-12 2018-12-04 Kikuo Yamada Disposable pants
EP3554439B1 (en) 2016-12-19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absorbent core
JP1592702S (ko) 2017-04-18 2020-12-07
US11432971B2 (en) 2017-06-30 2022-09-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p-to-side and waist-to-side silhouettes for bikini/low rise brief typ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JP2020524034A (ja) 2017-06-30 2020-08-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ボクサーブリーフ型使い捨て吸収性物品及び群の臀部対側部シルエット
WO2019006318A1 (en) 2017-06-30 2019-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ENGTH-TO-HIPS SILHOUETTES AND LENGTH-TO-SIZE OF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LOTS
US11432974B2 (en) 2017-06-30 2022-09-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ength-to-side silhouettes for boxer brief/boyshort typ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JP2020525090A (ja) 2017-06-30 2020-08-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ビキニ型/ローライズブリーフ型の使い捨て吸収性物品及びアレイの長−側部シルエット
US11229561B2 (en) 2017-12-21 2022-01-25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US10966882B2 (en) 2017-12-21 2021-04-06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US11793683B2 (en) 2017-12-21 2023-10-24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ES2962376T3 (es) * 2017-12-21 2024-03-18 Essity Hygiene & Health Ab Artículo absorbente con flacidez reducida
EP3727257B1 (en) * 2017-12-21 2023-08-23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n absorbent article for newborns
MY196715A (en) 2017-12-21 2023-05-02 Essity Hygiene & Health Ab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MX2020006491A (es) 2017-12-21 2020-08-17 Essity Hygiene & Health Ab Articulo absorbente con pandeo reducido y metodo para fabricar el articulo absorbente.
CN112040918A (zh) * 2018-04-24 2020-12-04 尤妮佳股份有限公司 短裤型吸收性物品
JP1650758S (ko) * 2019-04-25 2020-01-20
JP7274354B2 (ja) * 2019-05-31 2023-05-16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7212583B2 (ja) * 2019-05-31 2023-01-25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890173B1 (ja) * 2019-12-20 2021-06-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405628B2 (ja) * 2020-01-23 2023-12-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4355B2 (ja) * 1989-10-06 1999-04-19 株式会社資生堂 使い捨ておしめ
JP2001340380A (ja) * 2000-06-06 2001-12-11 Daio Paper Corp 使い捨て紙おむつ
JP2004290646A (ja) * 2002-07-26 2004-10-21 Kao Corp 前後どちらからでも装着が容易な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892B2 (ja) 1987-10-30 1995-04-0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599018Y2 (ja) 1992-06-18 1999-08-30 トーヨー衛材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US5601544A (en) * 1993-12-23 1997-02-11 Kimberly-Clark Corporation Child's training pant with elasticized shaped absorb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GB2309908B (en) * 1994-12-21 1998-03-11 Kimberly Clark Co Absorbent article providing improved fecal containment
JP3343189B2 (ja) 1995-07-14 2002-1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体液吸収性着用物品
AU712652C (en) * 1995-07-14 2004-11-11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undergarment of pants type
JPH105274A (ja) 1996-06-25 1998-01-13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US6673982B1 (en) * 1998-10-02 2004-0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enter fill performance
JP4219069B2 (ja) * 1999-11-10 2009-02-0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TW595464U (en) * 2000-12-28 2004-06-21 Kao Corp Disposable diaper
JP4113397B2 (ja) * 2002-08-30 2008-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US8388595B2 (en) * 2002-12-19 2013-03-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a detachable crotch member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JP3975176B2 (ja) * 2003-04-18 2007-09-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2005065729A (ja) * 2003-08-25 2005-03-17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US20050107763A1 (en) * 2003-11-19 2005-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US7569039B2 (en) * 2003-11-19 2009-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US7744579B2 (en) * 2005-06-29 2010-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providing a better fit and more comfort to a wear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4355B2 (ja) * 1989-10-06 1999-04-19 株式会社資生堂 使い捨ておしめ
JP2001340380A (ja) * 2000-06-06 2001-12-11 Daio Paper Corp 使い捨て紙おむつ
JP2004290646A (ja) * 2002-07-26 2004-10-21 Kao Corp 前後どちらからでも装着が容易な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0700A1 (en) 2008-01-23
TW200701961A (en) 2007-01-16
CN101947164A (zh) 2011-01-19
CN101170978B (zh) 2012-07-04
TWI377051B (ko) 2012-11-21
US20090088718A1 (en) 2009-04-02
KR20080007475A (ko) 2008-01-21
EP1880700A4 (en) 2011-08-31
CN101170978A (zh) 2008-04-30
EP1880700B1 (en) 2017-03-01
US7972316B2 (en) 2011-07-05
WO2006120847A1 (ja)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592B1 (ko) 일회용 기저귀
JP4530937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5632261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KR101836190B1 (ko) 팬티형 흡수성 물품
JP4519021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EA021659B1 (ru) Предмет одежды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2012100694A5 (ko)
JP5144229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4662463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3856904B2 (ja) 使い捨て紙おむつ
JP5632520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390325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356145B2 (ja) スカート付使い捨ておむつ
JP2011072429A5 (ko)
JP3857292B1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528753B2 (ja) 紙おむつ
JP4471769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5064671B2 (ja) 男性用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008559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2065818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638305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4519027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530938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5297772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497362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