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101B1 - 링거백용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링거백용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101B1
KR101255101B1 KR1020110144217A KR20110144217A KR101255101B1 KR 101255101 B1 KR101255101 B1 KR 101255101B1 KR 1020110144217 A KR1020110144217 A KR 1020110144217A KR 20110144217 A KR20110144217 A KR 20110144217A KR 101255101 B1 KR101255101 B1 KR 101255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layer
protective cover
ring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범
황민영
방남세
Original Assignee
에스알테크노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6651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5510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알테크노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알테크노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30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by excluding light or other outside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거백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에 마련된 충전포트(11)를 통해 내부에 약액이 충진된 링거백(10)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 및 하면은 실링되며, 실링된 하부 양측에 절개용 노치부(101)가 형성되고, 상부에 걸이부(102)가 형성되며, 실링되는 하단부에는 링거백(10)의 저부를 안내 지지하는 지지부(103)가 형성된 보호커버(100)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0)는 내부에 수용되는 링거백(1)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면이 투명필름(110)으로 이루어지고, 후면은 불투명필름(120)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투명필름(110)은 자외선차단을 위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PET층(111), 접착층(112), 증착PET층(113), 접착층(112), 에틸렌비닐알콜(EVOH)층(114), 접착층(112), 나일론(NY)층(115), 접착층(112),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116)의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불투명필름(120)은 자외선 및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PET층(121), 접착층(122),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층(123), 접착층(122), 에틸렌비닐알콜(EVOH)층(124), 접착층(122), 나일론(NY)층(125), 접착층(122),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126)의 다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발명은 보호커버로 하여금 링거백을 이차 포장하는 효과와 함께 전면의 투명필름을 통해 링거백의 약액 종류, 유통기간, 포장상태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보호커버를 이루는 전면필름 및 불투명필름의 다층구조는 자외선 및 온도상승을 방지하는 효과로서 링거백의 변질을 막고, 유통에 대한 신뢰감을 제공하며, 링거백 보호커버를 별도로 준비하지 않고도 바로 보호커버를 절취시켜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보호커버를 챙겨야 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링거백용 보호커버{Protecive cover for ringer bag}
본 발명은 링거백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보호커버를 개선하여 약액이 담긴 링거백의 제품출하시 포장용도로 이용하여 판매되는 링거백의 약액 종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링거백의 포장성에 의한 약액 변질을 방지하고 병원에서 실사용함에 있어, 별도의 보호커버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용이한 사용성과 약액 주사중 약액의 잔존 양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링거백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링거백('링거팩'이라고도 함)은 환자에게 포도당, 각종 영양제 및 필요로 하는 항암주사액 등의 액상으로 이루어진 약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사각 내지 타원형의 논 피브이씨 필름(Non-PVC Film) 또는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부에는 링거 걸이대에 걸어 주기 위한 걸이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환자에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호스와 연결되기 위한 충진 포트 내지 연결포트가 구비되어 있다.
링거백의 충전 포트(연결 포트)는 호스와 연결되기 위한 기능을 더불어 제공하는 것으로, 하나 내지 두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개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는 하나의 포트는 약물의 충전, 주입용으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의 포트는 다른 약물을 주입하여 이와 혼합하여 사용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링거백에 담긴 주사액은 각 양에 따라 다르지만 적지않은 시간 동안 약액을 주사하여야 한다. 보통 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링거의 주사 바늘을 꽂은 채 입원실 내지 병원부지 내에 마련된 야외에서 건강을 위해 산책하거나 휴식을 취하기도 한다.
링거백에 담기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서 대부분의 항암제 종류나 비타민제 등의 약물은 햇볕에 산화되기 쉬워 변질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자외선 및 온도상승을 방지하기에 용이한 소재(예를 들면, 알루미늄 박지와 폴리프로필렌 시트가 합지된 소재)의 보호커버를 링거백의 외측에 씌워 사용하고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처음 링거백에 씌워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나, 약액이 점차 줄어들면서 링거백의 수축되면 링거백으로부터 쉽게 벗겨져 링거백의 충전 포트 측 연결호스를 타고 내려와 환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고, 빛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때부터는 링거백에 남겨있는 약액이 변질될 우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452687호(명칭: 링거백 보호커버)로 등록받은바 있다.
이는 링거백에 충진된 약액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되는 보호커버를 개선하여 링거백으로부터 흘러내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링거 걸이대로부터 링거백을 포함하여 용이하게 걸어줄 수 있도록 하며, 링거백의 하부측 충전 포트(연결 포트)측만이 하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링거백용 보호커버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형태로서 사용 전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보호커버의 상부로부터 링거백을 수용하면서 하부측 경사부에 마련된 노치부를 통해 밑단을 절취하여 링거백의 충전포트만이 노출되도록 하면서 링거백의 저부를 받쳐주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에 마련된 걸이공을 링거 걸이대에 걸어 사용함으로써, 링거백의 전반적인 커버에 있어 약액이 줄어들더라도 보호커버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외부 자외선으로 인한 약액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보호커버는 각각 약액이 담긴 링거백을 사용시 별도로 보호커버를 준비하여 링거백을 보호커버에 수용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손이 많이 가는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약액이 주사되는 동안 대체로 약액이 소진된 정도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주사되는 시간, 링거 백을 수용한 보호커버의 부피의 줄어든 상태를 가늠하기 때문에 약액의 전체용량 중 요구하는 양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보호커버를 벗겨낸 상태에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사용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호커버를 개선하여 약액이 담긴 링거백의 제품출하시 포장용도로 이용하여 판매되는 링거백의 약액 종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링거백의 포장성에 의한 약액 변질을 방지하며, 병원에서 실사용함에 있어, 별도의 보호커버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용이한 사용성과 약액 주사중 약액이 남은 정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링거백용 보호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에 마련된 충전포트를 통해 내부에 약액이 충진된 링거백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 및 하면은 실링되며, 실링된 하부 양측에 절개용 노치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걸이부가 형성되며, 실링되는 하단부에는 링거백의 저부를 안내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내부에 수용되는 링거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면이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후면은 불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투명필름은 자외선차단을 위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PET층, 접착층, 증착PET층, 접착층, 에틸렌비닐알콜(EVOH)층, 접착층, 나일론(NY)층, 접착층,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의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불투명필름은 자외선 및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PET층, 접착층,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층, 접착층, 에틸렌비닐알콜(EVOH)층, 접착층, 나일론(NY)층, 접착층,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의 다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호커버의 지지부는 실링되는 하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출된 양측에는 돌출부분을 개봉하기 위한 상기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투명필름을 이루는 PET층은 5~50㎛, 접착층은 1~5㎛, 증착PET층은 5~30㎛, 접착층은 1~10㎛, 에틸렌비닐알콜(EVOH)층은 10~50㎛, 접착층은 1~5㎛, 나일론(NY)층은 5~50㎛, 접착층은 1~10㎛,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은 10~15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기 불투명필름을 이루는 PET층은 5~50㎛, 접착층은 1~5㎛,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층은 4~50㎛, 접착층은 1~10㎛, 에틸렌비닐알콜(EVOH)층은 10~50㎛, 접착층은 1~5㎛, 나일론(NY)층은 5~50㎛, 접착층은 1~10㎛,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은 10~150㎛의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거백용 보호커버는, 보호커버로 하여금 링거백을 이차 포장하는 효과와 함께 전면의 투명필름을 통해 링거백의 약액 종류, 유통기간, 포장상태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보호커버를 이루는 전면필름 및 불투명필름의 다층구조는 자외선 및 온도상승을 방지하는 효과로서 링거백의 변질을 막고, 유통에 대한 신뢰감을 제공하며, 링거백의 사용시에는 간호사가 보호커버를 별도로 준비하지 않고도 바로 보호커버를 절취시켜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보호커버를 챙겨야 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링거백용 보호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 내에 링거백을 수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링거백이 보호커버 내에 수용되어 상부가 실링된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보호커버의 하부를 절취하여 링거백의 하부측 충전포트가 인출된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의 전면인 투명필름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의 후면인 불투명필름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보호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부에 마련된 충전포트(11)를 통해 내부에 약액이 충진된 링거백(10)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 및 하면은 실링되며, 실링된 하부 양측에 절개용 노치부(101)가 형성되고, 상부에 걸이부(102)가 형성되며, 실링되는 하단부에는 링거백(10)의 저부를 안내 지지하는 지지부(103)가 형성된 보호커버(100)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0)는 내부에 수용되는 링거백(1)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면이 투명필름(110)으로 이루어지고, 후면은 불투명필름(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필름(110)은 자외선차단을 위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PET층(111), 접착층(112), 증착PET층(113), 접착층(112), 에틸렌비닐알콜(EVOH)층(114), 접착층(112), 나일론(NY)층(115), 접착층(112),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116)의 다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불투명필름(120)은 자외선 및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PET층(121), 접착층(122),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층(123), 접착층(122), 에틸렌비닐알콜(EVOH)층(124), 접착층(122), 나일론(NY)층(125), 접착층(122),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126)의 다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필름(110)을 이루는 PET층은 5~50㎛, 접착층은 1~5㎛, 증착PET층은 5~30㎛, 접착층은 1~10㎛, 에틸렌비닐알콜(EVOH)층은 10~50㎛, 접착층은 1~5㎛, 나일론(NY)층은 5~50㎛, 접착층은 1~10㎛,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은 10~150㎛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불투명필름(120)을 이루는 PET층은 5~50㎛, 접착층은 1~5㎛,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층은 4~50㎛, 접착층은 1~10㎛, 에틸렌비닐알콜(EVOH)층은 10~50㎛, 접착층은 1~5㎛, 나일론(NY)층은 5~50㎛, 접착층은 1~10㎛,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은 10~150㎛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된 링거백의 투명필름(110)은 다층의 총 두께가 126㎛로 PET층은 12㎛, 접착층은 3㎛, 증착PET층은 12㎛, 접착층은 3㎛, 에틸렌비닐알콜(EVOH)층은 15㎛, 접착층은 3㎛, 나일론(NY)층은 15㎛, 접착층은 3㎛,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은 60㎛으로 구성되며, 불투명필름(120)은 다층의 총 두께가 125㎛로 PET층은 12㎛, 잉크층 3㎛, 접착층은 3㎛,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층은 9㎛, 접착층은 3㎛, 에틸렌비닐알콜(EVOH)층은 15㎛, 접착층은 3㎛, 나일론(NY)층은 15㎛, 접착층은 3㎛,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은 60㎛으로 구성
상기 투명필름과 불투명필름측에 사용된 나일론(NY)층은 나일론6, 나일론 7, 나일론 66, 나일론 11, 나일론12, 나일론 4, 나일론 46, 나일론 69, 나일론 619, 메타크실릴렌디아민계 나일론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하여 사용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나일론6, 나일론 66 또는 메타크실릴렌디아민계 나일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착층에 사용돠는 접착제는 페놀수지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계, 아크릴레이트계 및 에폭시계 수지 등이 사용되며,, 본 발명의 링거백 보호커버에는 에폭시계 수지가 사용되었다.
한편,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보호커버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여기서 보호커버(100)의 지지부(103)는 실링되는 하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출된 양측에는 돌출부분을 개봉하기 위한 상기 노치부(101)가 형성된 구조로도 채택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인 링거백용 보호커버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작된 보호커버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제작되어 그 내부에 링거백을 수용하며, 링거백이 수용된 상태에서 보호커버의 상부는 도 3에서와 같이 상부가 실링되어 납품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의 전면은 투명필름(110)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단면은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PET층(111), 접착층(112), 증착PET층(113), 접착층(112), 에틸렌비닐알콜(EVOH)층(114), 접착층(112), 나일론(NY)층(115), 접착층(112),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116)의 다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인열강도를 가지면서 자외선 차단효과를 일정부분 유지하며, 수용된 링거백의 제조업체, 포장상태, 링거백의 약액 종류, 유통기간 등을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보호커버의 후면을 이루는 불투명필름(120)은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PET층(121), 접착층(122),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층(123), 접착층(122), 에틸렌비닐알콜(EVOH)층(124), 접착층(122), 나일론(NY)층(125), 접착층(122),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126)의 다층으로 이루어져 자외선 및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특히 약액 주사시 외부에 바람을 쐬러 나갈 때에 자외선과 온도상승을 방지하는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환자 및 보호자에게도 신뢰감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호커버(100)에 수용된 링거백(10)의 사용은, 하부 양측에 마련한 노치부(101)를 통해 보호커버의 하부를 절취시켜주면, 절취되어 개방된 하부측을 통해 링거백(10)의 하부측 충전포트(11)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어 해당하는 주사기 호스측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링거백(10)의 하부는 보호커버(100)의 하부측 실링부분으로 하여금 형성된 지지부(103)에 걸려 하부로 더 이상 인출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상부측 걸이부(102)는 통상적으로 링거백(10)을 걸어 지지시킬 수 있는 걸이대(도면에서 생략함)에 걸어 사용한다.
첨부된 도 7은 상기 지지부(103)가 하부로 돌출된 형태로서 동일하게 링거백(10)을 보호커버(100) 내에 수용하여 포장할 수 있고, 돌출된 부분의 노치부(101)를 통해 상술한 것처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함에 있어서도, 수시로 약액이 어느 정도 주사되었는지를 환자는 물론 간호사가 직접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링거백의 교체, 주사된 약액의 소진상태를 보고 주사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10: 링거백 11: 충전포트
100: 보호커버 101: 노치부
102: 걸이부 103: 지지부
110: 투명필름 120: 불투명필름
111,121: PET층 112,122: 접착층
113: 증착PET층 114,124: 에틸렌비닐알콜(EVOH)층
115,125: 나일론(NY)층 123: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층
116, 126: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

Claims (3)

  1. 하부에 마련된 충전포트(11)를 통해 내부에 약액이 충진된 링거백(10)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 및 하면은 실링되며, 실링된 하부 양측에 절개용 노치부(101)가 형성되고, 상부에 걸이부(102)가 형성되며, 실링되는 하단부에는 링거백(10)의 저부를 안내 지지하는 지지부(103)가 형성된 보호커버(100)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0)는 내부에 수용되는 링거백(1)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면이 투명필름(110)으로 이루어지고, 후면은 불투명필름(120)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투명필름(110)은 자외선차단을 위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PET층(111), 접착층(112), 증착PET층(113), 접착층(112), 에틸렌비닐알콜(EVOH)층(114), 접착층(112), 나일론(NY)층(115), 접착층(112),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116)의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불투명필름(120)은 자외선 및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PET층(121), 접착층(122),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층(123), 접착층(122), 에틸렌비닐알콜(EVOH)층(124), 접착층(122), 나일론(NY)층(125), 접착층(122),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126)의 다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백용 보호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을 이루는 PET층은 5~50㎛, 접착층은 1~5㎛, 증착PET층은 5~30㎛, 접착층은 1~10㎛, 에틸렌비닐알콜(EVOH)층은 10~50㎛, 접착층은 1~5㎛, 나일론(NY)층은 5~50㎛, 접착층은 1~10㎛,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은 10~15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기 불투명필름을 이루는 PET층은 5~50㎛, 접착층은 1~5㎛,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층은 4~50㎛, 접착층은 1~10㎛, 에틸렌비닐알콜(EVOH)층은 10~50㎛, 접착층은 1~5㎛, 나일론(NY)층은 5~50㎛, 접착층은 1~10㎛,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층은 10~150㎛의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커 백용 보호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0)의 지지부(103)는 실링되는 하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출된 양측에는 돌출부분을 개봉하기 위한 상기 노치부(10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백용 보호커버.
KR1020110144217A 2011-12-28 2011-12-28 링거백용 보호커버 KR101255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217A KR101255101B1 (ko) 2011-12-28 2011-12-28 링거백용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217A KR101255101B1 (ko) 2011-12-28 2011-12-28 링거백용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101B1 true KR101255101B1 (ko) 2013-05-24

Family

ID=48665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217A KR101255101B1 (ko) 2011-12-28 2011-12-28 링거백용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763A (ko) * 2018-12-21 2020-07-0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보관용 멸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보관용 파우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3426A (ja) 2003-12-26 2005-07-21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容器
JP2008194483A (ja) 2008-03-05 2008-08-28 Dainippon Printing Co Ltd 積層体
JP2010269851A (ja) 2010-06-15 2010-12-02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包装材料及び包装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3426A (ja) 2003-12-26 2005-07-21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容器
JP2008194483A (ja) 2008-03-05 2008-08-28 Dainippon Printing Co Ltd 積層体
JP2010269851A (ja) 2010-06-15 2010-12-02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包装材料及び包装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763A (ko) * 2018-12-21 2020-07-0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보관용 멸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보관용 파우치
KR102518840B1 (ko) * 2018-12-21 2023-04-0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보관용 멸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보관용 파우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572B1 (ko) 약제 백
JP5984027B2 (ja)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JP6062871B2 (ja) 曝露防止カバー、これを備える曝露防止カバーモジュール、薬液供給システム、及び薬液供給方法
BR112015007018B1 (pt) Disposição de aplicação com um fluido de ingrediente farmacêutico
KR101255101B1 (ko) 링거백용 보호커버
JP2012130577A (ja) 薬剤充填済み容器体を収容した包装体
AU2007258096A1 (en) Pressure infusion device and process for making a pressure infusion device
JP5638206B2 (ja) 薬剤充填済み容器体を収容した包装体
KR200452687Y1 (ko) 링거 백 보호커버
BRPI0808516A2 (pt) Dispositivo para aplicação de medicação com bomba de bolus pré-ajustada
JP5590591B2 (ja) 液剤用バッグ
US10857288B2 (en) Disposable infusion system enclosure
JP5590634B2 (ja) 液剤用バッグ
JP5456587B2 (ja) 医療用複室容器、薬剤入り医療用複室容器、該医療用複室容器の製造方法
JP3190976U (ja) 曝露防止カバー
JP2005211481A (ja) 医療用複室容器
JP6414717B2 (ja)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JP3193534U (ja) 曝露防止カバー
JP2018149037A (ja) 医療用容器
JP5772000B2 (ja) 医療用複室容器
KR20140023605A (ko) 식품 포장용기를 위한 일액형 이형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JP2013233315A (ja) 二室容器
CN116867538A (zh) 光防护性输注套件装置
JP2014033703A (ja) 二室容器
JP2001029465A (ja) 点滴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PJ0202 Trial for correc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140117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0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140512

Request date: 20140117

Appeal identifier: 201410500000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40117

Effective date: 20140512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3D

Patent event date: 2014051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140117

Decision date: 20140512

Appeal identifier: 2014105000007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14062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