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981B1 - 소변기용 위생장치 - Google Patents

소변기용 위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981B1
KR101253981B1 KR1020120035120A KR20120035120A KR101253981B1 KR 101253981 B1 KR101253981 B1 KR 101253981B1 KR 1020120035120 A KR1020120035120 A KR 1020120035120A KR 20120035120 A KR20120035120 A KR 20120035120A KR 101253981 B1 KR101253981 B1 KR 101253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network
urinal
collection box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복
Original Assignee
최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복 filed Critical 최경복
Priority to KR102012003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981B1/ko
Priority to CN201380029210.7A priority patent/CN104602583A/zh
Priority to PCT/KR2013/002752 priority patent/WO2013151318A1/ko
Priority to JP2015504490A priority patent/JP6396282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기용 위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과정에서 사용자 발과의 걸림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소변기에 모두 적용가능하도록 하여 설치가 쉽고 제작이 용이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변기용 위생장치{Sanitating apparatus for urinal}
본 발명은 소변기용 위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남성용 소변기 주변 지면에 설치되어 배뇨 과정에서 소변기 주변 지면으로 떨어진 소변이 수집되어 처리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용 화장실에는 소변기가 별도로 설치되는데,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소변기 앞에서 선 상태로 소변기 안으로 소변을 배출하는데, 소변을 보는 과정과 소변을 마치는 과정에서 소변 일부가 소변기 아래 지면으로 떨어져 해당 지점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해당 지점을 수시로 청소해야 하고 청소인원이 수시로 대기해야함으로 인적낭비가 심하고 청소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도 수반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0351093호 등이 제안되어 있는데, 소변기 앞쪽 지면 상에 별도의 집수함 형태의 장치를 설치하여 소변기 주변으로 떨어지는 소변이 집수되도록 한 후 세척수와 함께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소변기 주변 지면이 오염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집수함이 지면 상에 돌출된 구조임으로 지면과의 높이차로 인해 사용자의 발이 걸려 넘어질 우려가 크다.
그리고 이렇게 외부로 돌출된 구조에서 소변기와의 간극을 없애 소변의 유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 일측이 소변기의 하단 형상에 맞게 파여진 상태에서 소변기의 해당 지점이 끼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그런데 소변기의 크기나 형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렇게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소변기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구조에서는 각 소변기 종류에 따라 집수함의 구조를 달리 제작해야 함으로, 각 소변기와의 호환성이 떨어지며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0351093호(2004.05.10)
본 발명은 이러한 종리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사용과정에서 사용자 발과의 걸림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소변기용 위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소변기에 모두 적용가능하도록 하여 설치가 쉽고 제작이 용이한 소변기용 위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소변기본체로부터 돌출된 소변집수함의 바닥면이 안착된 지면에 매설되되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집수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구를 갖고 있는 집수함, 상기 집수함의 상부면 중 상기 소변기의 하단으로부터 전측을 향한 일부구간을 덮고 있고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집수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1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소변유입망 및 상기 집수함의 상부면 중 상기 제1소변유입망이 위치하지 않은 구간을 덮고 있고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집수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2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소변유입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집수함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배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배출부는 내부로 외부의 세척수가 공급되고 상기 집수함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소변유입망은 전측테두리가 상기 소변집수함의 전측 하단테두리와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변집수함의 바닥면이 상기 제1소변유입망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소변유입망의 전측 테두리가 상기 소변집수함 하단 전측테두리와 상하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변유입망은 후측테두리가 상기 소변집수함의 전측 하단테두리와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변집수함의 전측 하단테두리와 상하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측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소변유입망은 상기 집수함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소변유입망은 상기 집수함의 상부면을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변유입망의 테두리 및 상기 제1소변유입망의 테두리와 마주하는 테두리 중 어느 한쪽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결합홈에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는 결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집수함이 지면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이 걸리는 현상이 방지되어 그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소변이 유입되는 소변유입망이 소변기의 하단에 위치되는 제1소변유입망 및 집수함을 개폐하는 제2소변유입망로 나뉘어 구성되되 제1소변유입망이 소변기의 하단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돌출된 구조임으로 소변기의 하단이 항시 제1소변유입망의 범위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소변기의 종류에 따라 구조 및 크기를 변경할 필요없이 적용이 가능하므로 설치가 쉽고 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1소변유입망과 제2소변유입망이 상호 결합홈 및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기 때문에 상호간 안정적인 결합 및 손쉬운 분리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1은 전체 분해사시도
도2는 제1소변유입망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2소변유입망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제1소변유입망과 제2소변유입망이 집수함에 안착된 상태의 결합사시도
도4는 전체 설치상태의 단면도
도5는 도4 중 소변기의 하단 전측테두리와 제1소변유입망의 후측테두리가 상하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소변유입망이 소변기의 하단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위치된 상태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6은 도5의 평면도
도7은 소변기의 하단이 제1소변유입망에 안착된 상태에서 소변기의 하단전측테두리와 제1소변유입망의 전측테두리가 상하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8은 도7의 평면도
도9는 제1소변유입망과 제2소변유입망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부확대 평면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변기는 소변기본체(1)의 하단에 소변집수함가 전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소변기본체(1)와 소변집수함(2)의 바닥면이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측에는 세척수의 공급을 위한 공급배관(3)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변기에 적용되는 본 발명 소변기용 위생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집수함(100)과 세척수배출부(200), 소변유입망(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집수함(100)은 소변기 외부로 이탈된 소변이 유입되어 집수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이고 내부에는 소변이 집수된 소변이 담겨지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측벽의 내부면에는 후술하는 소변유입망(300)의 안착 설치를 위한 단턱(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집수함(100)의 수용공간(110) 바닥 중앙에는 소변 및 후술하는 세척수의 외부배출을 위한 배수공(114)이 형성되고, 이때 집수함의 바닥면은 내측 테두리로부터 배수공(114)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떨어진 소변이 집수함 쪽으로 유도되어 원활하고 신속한 배수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집수함은 [도 4] 내지 [도 8]처럼 소변기 하단 테두리 주변의 지면에 매설되되 상단 개방면이 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로 위치되어 수용공간(110) 지면상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집수함(100)의 후측 테두리 중간지점은 전측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의 오목홈(116)이 형성는데, 오목홈(116)은 소변기 중 제일작은 소변기의 소변집수함(2) 외경 및 모양과 동일하게 제작된다.
이렇게 설치된 집수함(100)에는 세척수배출부(200)가 설치된다.
세척수배출부(200)는 집수함 내부에 묻은 소변을 씻어내기 위한 세척수의 배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배출배관(210)이 집수함(100)의 내측바닥 테두리를 따라 배설되고 배출배관(210)에는 분사노즐이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배출배관(210)은 소변기내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배관(3)과 연결되어 소변기로 공급되는 세척수 중 일부가 배출배관(210)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분사노즐(220) 분사공이 집수함 바닥 중앙의 배수공(114)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집수함 내측 테두리에서부터 바닥면 전체를 씻어낼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배출배관(210)은 공급배관(3)과 연결되지 않고 별도의 세척수 공급구조와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세척수배출부(200)까지 설치된 집수함(100)에는 소변유입망(300)이 설치된다.
소변유입망(300)은 소변기로 부터 이탈된 소변이 집수함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최초 통과되고 외부 이물질이 집수함(100)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소변유입망(310)과 제2소변유입망(320)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제1소변유입망(310)은 소변유입망의 기본기능, 즉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소변기의 종류에 따라 소변기의 안착 기능을 하기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판재 형태이고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제1통공(314)이 하부면까지 관통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지지대(316)가 아래를 향해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소변유입망(310)은 후측테두리가 집수함(100)의 오목홈(116)을 비롯한 후측 테두리와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집수함(100)의 후측 테두리에 형성된 단턱(112)에 안착된 상태에서 나머지 구간은 지지대(316)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되어 집수함의 상단 후측테두리로 부터 전측을 향한 일부구간을 덮은 상태가 된다.
이때 제1소변유입망(310)의 두께는 집수함의 상단부와 단턱 간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제1소변유입망(310)의 상부면은 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소변유입망(310)의 전측 테두리는 소변기 종류 중 가장 큰 소변기의 소변집수함 테두리 모양과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소변유입망(310)의 후측테두리는 가장 작은 소변기의 소변집수함 테두리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이고 제1소변유입망(310)의 전측테두리는 가장 큰 소변기의 소변집수함 테두리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제일 작은 크기의 소변기에 적용할 경우에는 [도 ]과 같이 제1소변유입망(310)의 후측테두리가 해당 소변기의 소변집수함 전측 테두리와 상하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한다.
이 경우 제1소변유입망(310)은 지면상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제일 큰 크기의 소변기에 적용할 경우에는 [도 ]과 같이 해당 소변기의 소변집수함(2)이 제1소변유입망(310)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소변집수함(2)의 전측 테두리가 제1소변유입망(310)의 전측 테두리와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 경우 제1소변유입망(310)은 소변집수함(2)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을 중간크기의 소변기에 적용할 경우에는 해당 소변기의 소변집수함의 하닥면 일부가 제1소변유입망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소변유입망의 일부가 지면상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소변유입망(310)이 집수함에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소변기의 소변집수함 바닥면으로부터 전측을 향한 일부구간을 덮도록 위치됨에 따라 소변기의 전측테두리가 소변집수함 크기 및 모양에 상관 없이 항시 제1소변유입망의 면적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변기의 종류에 따라 제2유입망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없이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제1소변유입망(310)의 전측 테두리에는 후술하는 제2소변유입망(320)과의 결합을 위한 슬릿 형태의 결합홈(312)이 형성된다.
참고로 이러한 제1소변유입망(310)은 도면처럼 판재에 타공이 이루어진 구조 외에도 매쉬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1소변유입망과 더불어 소변유입망을 구성하는 제2소변유입망(320)은 실질적으로 집수함(100)의 개폐기능과 더불어 외부 쓰레기 등의 집수함 유입을 차단하는 것으로, 판재 형태이고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제2통공(324)이 하단까지 관통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소변유입망(320)은 집수함(100)의 상부면 중 제1소변유입망(310)이 덮고 있는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모양 및 크기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제2소변유입망(320)은 집수함(100)의 상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단턱(112)에 안착되며 후측 테두리가 제1소변유입망(310)의 전측테두리와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2소변유입망(320)의 후측테두리에는 제1소변유입망(310)의 결합홈(312)과 체결 가능한 결합부재(3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322)가 결합홈(312)에 슬라이딩 형태로 삽입됨에 따라 제2소변유입망(320)과 제1소변유입망(310)이 상호 체결되고 역시 슬라이딩 타입으로 분리된다.
참고로 제1소변유입망(310)과 제2소변유입망(320) 간의 체결구조는 상호 반대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즉 결합홈(312)이 제1소변유입망(310)에 형성되고 결합부재(322)가 제2소변유입망(3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집수함(100) 중 제1소변유입망(310)에 의해 덮여있는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제2소변유입망(320)을 통해 분리하거나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개폐된다.
이러한 구조 외에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소변유입망(320)과 단턱(112) 사이에 별도의 압력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소변기의 공급배관(3)에는 별도의 제어밸브를 연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제2소변유입망(320)위에 섰을 때 체중을 감지하여 세척수를 배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별도의 타이머를 제어밸브와 연결시켜 세척수의 배출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제2소변유입망(320)위에 서면 체중에 의해 제2소변유입망(320)이 하강되면서 압력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한 후 제어밸브에 작동신호를 보낸다.
이로 인해 제어밸브가 작동됨에 따라 용변 과정에서 세척수가 공급배관을 통해 배출되어 소변기본체 내부를 세척한다.
그리고 용변 과정에서 소변기 본체 외부로 이탈된 소변은 제1소변유입망(310) 또는 제2소변유입망(320)을 통과한 후 집수함(100) 내부 바닥에 묻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 중 일부는 배출배관(210)으로 공급된 후 분사노즐(220)을 통해 배출되어 집수함(100) 내부 바닥면 전체에 묻어 있던 소변을 씻어낸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집수함(100) 바닥면이 배수공(114)을 향해 아래로 오목한 형태이므로 세척수와 소변이 배수공(114)으로 원활히 유입된 후 배수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설치과정에서 해당 소변기의 크기 규격에 따라 소변집수함의 위치를 제1소변유입망(310)의 상부면 구간 내에서 설정한다.
즉 소변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소변집수함의 위치가 항시 제1소변유입망의 상부면 구간내에 위치됨으로 모든 종류의 소변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집수함을 소변기 주변의 지면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되고 집수함의 소변유입망이 소변기본체의 하단으로부터 전측을 향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크기의 소변기에 적용 가능하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 : 소변기본체 2 : 소변집수함
3 : 공급배관 100 : 집수함
110 : 수용공간 112 : 단턱
114 : 배수공 116 : 오목홈
200 : 세척수배출부 210 : 배출배관
220 : 분사노즐 300 : 소변유입망
310 : 제1소변유입망 312 : 결합홈
314 : 제1통공 320 : 제2소변유입망
322 : 결합부재 324 : 제2통공
316 : 지지대

Claims (7)

  1. 소변기본체로부터 돌출된 소변집수함의 바닥면이 안착된 지면에 매설되되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집수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구를 갖고 있는 집수함,
    상기 집수함의 상부면 중 상기 소변기의 하단으로부터 전측을 향한 일부구간을 덮고 있고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집수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1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소변유입망 및
    상기 집수함의 상부면 중 상기 제1소변유입망이 위치하지 않은 구간을 덮고 있고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집수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2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소변유입망.
    을 포함하는 소변기용 위생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집수함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배출부
    를 더 포함하는 소변기용 위생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세척수배출부는,
    내부로 외부의 세척수가 공급되고 상기 집수함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노즐을 포함하는
    소변기용 위생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1소변유입망은 전측테두리가 상기 소변집수함의 전측 하단테두리와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변집수함의 바닥면이 상기 제1소변유입망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소변유입망의 전측 테두리가 상기 소변집수함 하단 전측테두리와 상하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있는
    소변기용 위생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1소변유입망은 후측테두리가 상기 소변집수함의 전측 하단테두리와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변집수함의 전측 하단테두리와 상하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측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위치되어 있는
    소변기용 위생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제1소변유입망은 상기 집수함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소변유입망은 상기 집수함의 상부면을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소변기용 위생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소변유입망의 테두리 및 상기 제1소변유입망의 테두리와 마주하는 테두리 중 어느 한쪽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결합홈에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는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소변기용 위생장치.






KR1020120035120A 2012-04-04 2012-04-04 소변기용 위생장치 KR10125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20A KR101253981B1 (ko) 2012-04-04 2012-04-04 소변기용 위생장치
CN201380029210.7A CN104602583A (zh) 2012-04-04 2013-04-03 小便器用卫生装置
PCT/KR2013/002752 WO2013151318A1 (ko) 2012-04-04 2013-04-03 소변기용 위생장치
JP2015504490A JP6396282B2 (ja) 2012-04-04 2013-04-03 小便器用衛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20A KR101253981B1 (ko) 2012-04-04 2012-04-04 소변기용 위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981B1 true KR101253981B1 (ko) 2013-04-17

Family

ID=4844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120A KR101253981B1 (ko) 2012-04-04 2012-04-04 소변기용 위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96282B2 (ko)
KR (1) KR101253981B1 (ko)
CN (1) CN104602583A (ko)
WO (1) WO201315131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373A (ko) 2020-02-17 2021-08-25 정진우 낙하요 세척장치
WO2022250179A1 (ko) * 2021-05-27 2022-12-01 정진우 낙하요 세척장치
KR20240000109A (ko) 2022-06-23 2024-01-02 김동환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6687B (zh) * 2016-04-01 2018-08-10 任鑫 一种男性小便器及其冲洗方法
JP3207207U (ja) * 2016-08-19 2016-10-27 張文通 尿収集盤の自動洗浄装置
CN112081209A (zh) * 2019-06-14 2020-12-15 聂后昌 同时可供多个男人共用小便池
KR102064717B1 (ko) * 2019-09-23 2020-02-11 김우일 비산 소변 세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산 소변 세척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93A (ja) * 1992-07-13 1994-0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2003024247A (ja) * 2001-07-13 2003-01-28 Hirokazu Ishii 便器の敷物
JP2006150003A (ja) * 2004-11-26 2006-06-15 Yoshio Mizumoto 携帯用小便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6449A (ja) * 1995-03-31 1996-10-15 Toto Ltd 汚垂石及び汚垂石セット
JP3060805U (ja) * 1999-01-12 1999-09-07 康司 井上 尿吸収シ―ト付き小便器用床マット
JP2002336164A (ja) * 2001-03-12 2002-11-26 Harui Tsuji 洋式トイレ用の補助マット
JP3470757B2 (ja) * 2001-05-01 2003-11-25 山崎産業株式会社 連結用ブロック及びその関連技術
JP2002364058A (ja) * 2001-06-05 2002-12-18 Hiroyuki Kaede 小便器用ステップ
JP2004316211A (ja) * 2003-04-15 2004-11-11 Kikuhiyori Kk 男性用便器
CN1601004A (zh) * 2003-09-27 2005-03-30 北京金陶诚基投资管理有限公司 卫生间地面清洁保持的方法
KR200351093Y1 (ko) * 2004-03-03 2004-05-17 김공겸 발받침부가 구비된 소변기
KR20050080143A (ko) * 2005-07-15 2005-08-11 박실상 소변기
CN2828174Y (zh) * 2005-10-17 2006-10-18 齐春红 锁定式防盗下水箅子
JP2007186877A (ja) * 2006-01-12 2007-07-26 Kazuyuki Honjo 水洗式小便器装置
CN201067296Y (zh) * 2007-06-15 2008-06-04 太仓力九和塑胶工业有限公司 一种组合地垫
CN201095804Y (zh) * 2007-07-18 2008-08-06 黄坤火 小便斗用地板保持干燥装置
WO2010096958A1 (zh) * 2009-02-25 2010-09-02 Lin Hsiao-Hui 小便斗结构总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93A (ja) * 1992-07-13 1994-0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2003024247A (ja) * 2001-07-13 2003-01-28 Hirokazu Ishii 便器の敷物
JP2006150003A (ja) * 2004-11-26 2006-06-15 Yoshio Mizumoto 携帯用小便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373A (ko) 2020-02-17 2021-08-25 정진우 낙하요 세척장치
WO2022250179A1 (ko) * 2021-05-27 2022-12-01 정진우 낙하요 세척장치
KR20240000109A (ko) 2022-06-23 2024-01-02 김동환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2475A (ja) 2015-04-27
JP6396282B2 (ja) 2018-09-26
CN104602583A (zh) 2015-05-06
WO2013151318A1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981B1 (ko) 소변기용 위생장치
JP6721356B2 (ja) 水洗式便器
JP2014070374A (ja) 男性用循環式水洗トイレ
KR100999397B1 (ko)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KR101387640B1 (ko)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
JP2007186877A (ja) 水洗式小便器装置
KR102251074B1 (ko)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JP4051404B2 (ja) 固液分離洗浄水循環便器
KR20110054294A (ko) 욕실 및 화장실의 배수구조
JP5769682B2 (ja) 男性用水洗トイレ
KR20050080143A (ko) 소변기
JP2004316211A (ja) 男性用便器
KR101918037B1 (ko) 소변기용 절수위생 배수 트랜치
JP5130447B1 (ja) 洗濯機用防水パン及び排水トラップ
JP2011132701A (ja) 機能ケースの便器への取付構造
KR101226143B1 (ko) 친환경 화장실
JP3580006B2 (ja) 浴室
JP6669981B2 (ja) 小便器
JP2002097702A (ja) 洋風大便器
CN215105826U (zh) 一种女性小便专用厕所
KR102646068B1 (ko) 절수형 소변기
KR20130002511A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음식물 쓰레기통
KR20130014667A (ko) 페달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소변 튐 방지 기능을 갖는 계란형 소변기
KR100951028B1 (ko) 배수구용 악취 차단구
JP6607342B2 (ja) 小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