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640B1 -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 - Google Patents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7640B1 KR101387640B1 KR1020130049222A KR20130049222A KR101387640B1 KR 101387640 B1 KR101387640 B1 KR 101387640B1 KR 1020130049222 A KR1020130049222 A KR 1020130049222A KR 20130049222 A KR20130049222 A KR 20130049222A KR 101387640 B1 KR101387640 B1 KR 1013876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rine
- toilet
- space
- top plate
- washing b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4—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wall, e.g. to a wall outlet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2—Swivel-mounted bowls, e.g. for use in restricted spaces slidably or movably mounted bowls; combinations with flushing and disinfecting devices actuated by the swiveling or sliding movement of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미적으로도 우수한 양변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는, 변기의 본체가 되는 대변부와 변기의 사용 유무에 따라 상기 대변부의 내외로 움직이는 소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변부와 소변부에는, 림수로, 상판, 림급수관이 각각 별개로 형성되며, 오물배출관은 오물을 받아내는 대변부 세척볼의 전면부에서 트랩을 형성한다.
그리고 양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하부가림판 및 가구에 의해 상기 대변부 및 소변부가 가려지게 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는, 변기의 본체가 되는 대변부와 변기의 사용 유무에 따라 상기 대변부의 내외로 움직이는 소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변부와 소변부에는, 림수로, 상판, 림급수관이 각각 별개로 형성되며, 오물배출관은 오물을 받아내는 대변부 세척볼의 전면부에서 트랩을 형성한다.
그리고 양변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하부가림판 및 가구에 의해 상기 대변부 및 소변부가 가려지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실에 설치되는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 본체를 분리해서 형성시킴으로써 양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가변시킬 수 있는,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는 현대화된 건물의 대부분의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고, 대부분의 주택에서도 이를 사용하고 있다. 양변기의 내부에는 항상 물이 차 있어 악취 등이 역류하지 않고 위생적이므로 사람이 생활하는 곳 가까이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할 필요가 있는 소형주택 등에서는 양변기가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용변을 보는 공간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외관을 저해하고 비위생적으로 보인다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 중의 하나로서, 출원번호 10-2010-0102972의 '수납형 양변기'가 있다. 도 1에는, 상기 종래기술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a)는 '수납형 양변기'를 사용할 때의 모습이고, 도 2의 (b)는 사용하지 않을 때의 모습으로서, 양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변기본체(10)를 수납장(12) 내의 공간부(14)에 넣어, 화장실의 공간활용성을 높여주고 변기에 부딪혀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양변기는, 양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울부(20) 내에 물이 차있지 않아 용변을 보려면 변기본체(10)를 전개시킨 후 보울부(20) 내에 물이 채워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용변을 본 후 변기본체(10)를 수납시키면서 보울부(20) 내의 물과 오물이 모두 빠져나가므로 가변형 트랩(30) 내에 봉수 기능을 할 수 있는 물이 남지 않아 오수관 내의 악취 등이 역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변기의 본체를 분리해서 형성시킴으로써 양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가변시킬 수 있고, 외관이 향상된,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변기의 본체가 되는 대변부와, 변기의 사용 유무에 따라 상기 대변부의 내외로 움직이는 소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대변부는, 오물을 받아내는 세척볼과, 상기 세척볼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림수로와, 세척볼의 상부를 덮되 세척볼의 직상부 위치에 제1개구가 구비되어 있는 제1상판과, 세척볼의 후방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트분사구와 연결되는 제트세척수관과, 제1림수로에 세척수를 공급해주는 제1림급수관과, 세척볼의 전방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물배출구와 연결되어 세척볼의 전면부에서 트랩을 형성하는 오물배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세척볼의 전방 상단부에는 소변부가 드나들기 위한 입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변부는, 후방 및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오물받이와, 상기 오물받이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2림수로와, 오물받이의 상부를 덮되 오물받이의 직상부 위치에 제2개구가 구비되어 있는 제2상판과, 제2림수로에 세척수를 공급해주는 제2림급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상판은 후방 단부만이 세척볼과 접합되어 있어, 소변부가 대변부 내로 삽입될 시 제1상판과 세척볼 사이로 소변부의 제2상판이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대변부 및 소변부에는 대변부의 전방 말단, 소변부의 후방 말단에 각각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진 스토퍼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기들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오물받이의 전방 단부에는, 하단에 롤러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의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변부의 앞으로는 변기의 전면을 가리는 수직의 하부가림판이 형성되되, 상기 하부가림판은 소변부와 함께 움직이고; 상기 대변부는 제1상판을 하면으로 하는 상자형의 가구에 의해 둘러싸이되, 상기 가구의 전면판은 여닫는 것이 가능하고, 가구의 양측면판은 하부가림판의 하단 높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는, 대변부와 소변부를 분리하여 형성시키고 변기의 사용 유무에 따라 소변부를 대변부의 내외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양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양변기의 가림을 위한 가구에는 수납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어 공간 활용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양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양변기가 가구 내에 위치하게 되어 대변부 및 소변부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화장실 내의 외관이 향상되고 위생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로서 '수납형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사용상태에 따른 접합수단 및 제1·2상판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를 구성하는 스토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에 하부가림판 및 가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사용상태에 따른 접합수단 및 제1·2상판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를 구성하는 스토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에 하부가림판 및 가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T)의 사시도로서, 도 2의 (a)에는 소변부(200)가 대변부(100) 밖으로 나와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의 (b)에는 소변부(200)가 대변부(100) 내로 들어가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상기 양변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T)는 대변부(100)와 소변부(200)로 이루어져 있어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소변부(200)를 대변부(100) 내로 넣을 수 있게 함으로써 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는 데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그리고 양변기에 세척수를 공급해주는 물탱크가 용변을 보는 부분과 따로 떨어져 형성되거나 수도관에서 바로 세척수가 들어오는 방법을 채용하여 양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한다.
상기 대변부(100)는 변기의 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인 양변기의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되, 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양변기와는 다른 특징 또한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변부(100)는, 오물을 받아내는 세척볼(110)과, 상기 세척볼(110)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림수로(120)와, 세척볼(110)의 상부를 덮되 세척볼(110)의 직상부 위치에 제1개구(131)가 구비되어 있는 제1상판(130)과, 세척볼(110)의 후방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트분사구(114)와 연결되는 제트세척수관(140)과, 제1림수로(120)에 세척수를 공급해주는 제1림급수관(150)과, 세척볼(110)의 전방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물배출구(116)와 연결되어 세척볼(110)의 전면부에서 트랩(161)을 형성하는 오물배출관(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전방은 사람이 양변기를 사용하기 위해 앉았을 때 사람이 바라보게 되는 방향이고, 후방은 그 반대방향을 가리킨다.
세척볼(110)은 오목한 그릇형태로 이루어져 오물을 받아내는 부분으로서, 그 전방 상단부에서 소변부(200)가 드나드는 입출구(117)를 갖는다. 그리고 세척볼(110)에 묻은 오물을 세척해주기 위하여 세척볼(110)의 상단부에서 세척수를 흘려보내주는 제1림수로(120)는 상기 입출구(117)의 전까지만 형성된다.
일반적인 양변기의 경우 오물배출구가 세척볼(110)의 후방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경우 오물배출구(116)가 세척볼(110)의 전방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물배출구(116)와 연결되는 오물배출관(160)은 세척볼(110)의 앞에서 트랩(161)을 형성하게 되어 트랩에 의해 양변기의 전후방향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소변부(200)는, 후방 및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오물받이(210)와, 상기 오물받이(210)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2림수로(220)와, 오물받이(210)의 상부를 덮되 오물받이(210)의 직상부 위치에 제2개구(231)가 구비되어 있는 제2상판(230)과, 제2림수로(220)에 세척수를 공급해주는 제2림급수관(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소변부(200)가 대변부(100)의 밖으로 돌출되면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는 일반적인 양변기 세척볼의 전후방향 길이와 비슷한 길이를 갖게 된다.
상기 오물받이(210)는 오물을 받아내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소변부(200)가 대변부(100)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입출구(117)가 오물받이에 의해 채워지게 된다. 소변부(200)에는 오물받이(210)에 묻은 오물을 세척해주기 위하여 오물받이(210)의 상단부에서 세척수를 흘려보내주는 제2림수로(220)가, 대변부(100)의 제1림수로(120)와는 별개로 형성되고, 제1림수로(120)에 세척수를 공급해주는 제2림급수관(250) 또한 대변부(100)의 제1림급수관(150)과 별개로 형성되되, 소변부(200)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변부(100) 및 소변부(200)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제1상판(130)과 제2상판(230)은, 소변부(200)가 대변부(100) 밖으로 나와있을 때 상면이 같은 레벨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소변부(200)가 대변부(100) 내로 들어가 있을 때에는 제2상판(230)이 제1상판(130)과 세척볼(110)의 사이로 삽입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1상판(130)과 세척볼(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단부만이 접합수단(J)에 의해 접합되게 된다. 상기 접합수단(J)은 제1상판(130)과 세척볼(110)을 접합해주면서도 소변부(200)가 대변부(100) 밖으로 나와있을 때에는, 도 4의 (a)에서와 같이, 제1상판(130)의 저면과 세척볼(110)의 상면이 면하도록 해주고, 소변부(200)가 대변부(100) 안으로 들어가 있을 때에는, 도 4의 (b)에서와 같이, 제1상판(130)과 세척볼(110) 사이가 제2상판(230)의 두께만큼 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제2상판(230)이 제1상판(130)과 세척볼(110)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2상판(130, 230)이 만나는 부분의 각 단부는 비스듬하게 형성된 경사진입부(132, 23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사진입부(132, 232)들의 사이에는 롤러를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사진입부(132, 232)와 롤러는 소변부의 대변부로의 출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소변부(200)를 대변부(100) 내로 삽입시키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 제2상판(230)과 오물받이(210)의 전방 단부만을 접합하고 제1상판(130)이 제2상판(230)과 오물받이(210)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2상판(130, 230)의 제1·2개구(131, 231) 둘레에는 둔부와 접할 때 불쾌하지 않도록 따뜻한 소재를 덧대어 줄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 제1상판(130)의 뒷방향 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시트를 따로 형성시켜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직으로 세워지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1·2개구(131, 231)의 둘레 상을 수평하게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소변부(200)가 움직이는 경로의 말단에는 소변부(200)가 대변부(100)에서 완전히 빠져나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S)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스토퍼(S)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S)는 대변부(100)의 전방 말단, 소변부(200)의 후방 말단에 각각 돌기(S1, S2)를 형성시켜 구성하고, 상기 두 돌기가 맞물림으로써 소변부(200)가 대변부(100)에서 완전히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대변부(100)와 소변부(200)에 각 말단에 형성되는 돌기(S1, S2)의 사이에는 수밀성을 가지는 탄성부재(2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60)는 대변부(100)와 소변부(200) 사이의 틈을 통한 누수의 발생 가능성을 완벽하게 차단할 뿐만 아니라, 소변부(200)의 입출시 돌기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변부(200)의 전면으로는 지지부재(27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70)는 소변부(200)가 대변부(100) 밖으로 나와있는 상태에서 소변부(200) 및 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270)의 하단에 롤러(271)를 더 구비하여 소변부의 인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양변기는 사람이 배설물을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쓰는 것으로서, 눈에 띄는 경우 불쾌감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는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대변부(100) 및 소변부(200)가 가려질 수 있도록 하여, 배설물에서 연상되는 불쾌감을 줄이면서 위생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소변부(200)의 전방으로는 변기의 전면을 가리는 수직의 하부가림판(310)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가림판(310)은 서랍의 전면처럼 소변부(200)에 고정되어 함께 움직인다. 하부가림판(310)은 상기 지지부재(270)와 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하나의 수직판이 지지부재(270)와 하부가림판(310)의 역할을 모두 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부가림판(310)은 소변부(200)의 전면 외에 양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대변부(100)는 제1상판(130)을 하면으로 하는 상자형의 가구(320)로 둘러싼다. 상기 가구(320)의 전면판(321)은 여닫을 수 있도록 여닫이 형식의 문 또는 접이식 문으로 구성하여 양변기를 사용할 때에는 제1개구(131) 및 제2개구(231)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가구(320)의 양측면판(322)은 하부가림판(310)의 하단 높이까지 연장 형성되어 양변기의 측면을 가리고 가구(320)가 바닥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상기의 하부가림판(310) 및 가구(320)를 구비한 양변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부가림판(310) 및 가구(320)는 외관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한 측면판(322)을 그 내부에 공간을 가진 이중구조로 만들어 그 내부에 물탱크가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를 구성하는 부분 중 변기의 사용유무에 따라 움직이게 되는 소변부(200) 및 가구(320)의 전면판(321)은 수동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으나, 자동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대변부 110 : 세척볼
114 : 제트분사구 116 : 오물배출구
117 : 입출구 120 : 제1림수로
130 : 제1상판 131 : 제1개구
132 : 경사진입부 140 : 제트세척수관
150 : 제1림급수관 160 : 오물배출관
161 : 에스트랩 200 : 소변부
210 : 오물받이 220 : 제2림수로
230 : 제2상판 231 : 제2개구
232 : 경사진입부 250 : 제2림급수관
260 : 탄성부재 270: 지지부재
271 : 롤러 310 : 하부가림판
320 : 가구 321 : 전면판
322 : 측면판
J : 접합수단 S : 스토퍼
S1, S2 : 돌기 T : 양변기
114 : 제트분사구 116 : 오물배출구
117 : 입출구 120 : 제1림수로
130 : 제1상판 131 : 제1개구
132 : 경사진입부 140 : 제트세척수관
150 : 제1림급수관 160 : 오물배출관
161 : 에스트랩 200 : 소변부
210 : 오물받이 220 : 제2림수로
230 : 제2상판 231 : 제2개구
232 : 경사진입부 250 : 제2림급수관
260 : 탄성부재 270: 지지부재
271 : 롤러 310 : 하부가림판
320 : 가구 321 : 전면판
322 : 측면판
J : 접합수단 S : 스토퍼
S1, S2 : 돌기 T : 양변기
Claims (6)
- 변기의 본체가 되는 대변부(100)와, 변기의 사용 유무에 따라 상기 대변부(100)의 내외로 움직이는 소변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대변부(100)는, 오물을 받아내는 세척볼(110)과, 상기 세척볼(110)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림수로(120)와, 세척볼(110)의 상부를 덮되 세척볼(110)의 직상부 위치에 제1개구(131)가 구비되어 있는 제1상판(130)과, 세척볼(110)의 후방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트분사구(114)와 연결되는 제트세척수관(140)과, 제1림수로(120)에 세척수를 공급해주는 제1림급수관(150)과, 세척볼(110)의 전방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물배출구(116)와 연결되어 세척볼(110)의 전면부에서 트랩(161)을 형성하는 오물배출관(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세척볼(110)의 전방 상단부에는 소변부(200)가 드나들기 위한 입출구(1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변부(200)는, 후방 및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오물받이(210)와, 상기 오물받이(210)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2림수로(220)와, 오물받이(210)의 상부를 덮되 오물받이(210)의 직상부 위치에 제2개구(231)가 구비되어 있는 제2상판(230)과, 제2림수로(220)에 세척수를 공급해주는 제2림급수관(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판(130)은 후방 단부만이 세척볼(110)과 접합되어 있어, 소변부(200)가 대변부(100) 내로 삽입될 시 제1상판(130)과 세척볼(110) 사이로 소변부(200)의 제2상판(230)이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부(100) 및 소변부(200)에는 대변부(100)의 전방 말단, 소변부(200)의 후방 말단에 각각 형성된 돌기(S1, S2)로 이루어진 스토퍼(S)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S1, S2)들 사이에는 탄성부재(26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받이(210)의 전방 단부에는, 하단에 롤러(271)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의 지지부재(27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부(200)의 앞으로는 변기의 전면을 가리는 수직의 하부가림판(310)이 형성되되, 상기 하부가림판(310)은 소변부(200)와 함께 움직이고;
상기 대변부(100)는 제1상판(130)을 하면으로 하는 상자형의 가구(320)에 의해 둘러싸이되, 상기 가구(320)의 전면판(321)은 여닫는 것이 가능하고, 가구(320)의 양측면판(322)은 하부가림판(310)의 하단 높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9222A KR101387640B1 (ko) | 2013-05-02 | 2013-05-02 |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 |
PCT/KR2014/003852 WO2014178647A1 (ko) | 2013-05-02 | 2014-04-30 |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 |
CN201480024421.6A CN105189882B (zh) | 2013-05-02 | 2014-04-30 | 空间节约型可变坐便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9222A KR101387640B1 (ko) | 2013-05-02 | 2013-05-02 |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87640B1 true KR101387640B1 (ko) | 2014-04-24 |
Family
ID=5065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9222A KR101387640B1 (ko) | 2013-05-02 | 2013-05-02 |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7640B1 (ko) |
CN (1) | CN105189882B (ko) |
WO (1) | WO2014178647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0074B1 (ko) | 2014-02-11 | 2015-02-04 | 조성각 | 소변기 분리형 공간절약형 양변기 |
KR101490075B1 (ko) | 2014-02-11 | 2015-02-11 | 조성각 | 수납공간을 갖는 공간절약형 양변기 |
RU172443U1 (ru) * | 2015-12-15 | 2017-07-07 | Дильшад Даларисович Шарафиев | Унитаз выдвижной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40029A (zh) * | 2018-03-02 | 2018-07-03 | 何星宇 | 新型坐式马桶 |
CN109750726B (zh) * | 2019-03-07 | 2024-03-26 | 广东恒洁卫浴有限公司 | 一种上下水封翻转节水马桶 |
CN112056971A (zh) * | 2020-09-26 | 2020-12-11 | 闵家欢 | 一种户外旅行用移动式尿便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90378U (ko) * | 1987-05-28 | 1988-12-07 | ||
JPH1014814A (ja) * | 1996-07-05 | 1998-01-20 | Tomio Iwai | ポータブルトイレ自動収納装置 |
JPH11346960A (ja) * | 1998-06-10 | 1999-12-21 | Toto Ltd | 収納式便所装置 |
KR101299122B1 (ko) * | 2013-05-15 | 2013-08-21 | 김두복 | 벽체 내장형 접이식 양변기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74154U (zh) * | 1990-06-23 | 1991-04-03 | 广东省顺德县包装装潢印刷厂 | 儿童玩具坐厕 |
JPH1037280A (ja) * | 1996-07-24 | 1998-02-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収納式便器ユニット |
JPH11140949A (ja) * | 1997-11-11 | 1999-05-25 | Matsuya Sogo Kenkyusho:Kk | 収納式便器の構造 |
JP2000008462A (ja) * | 1998-06-22 | 2000-01-11 | Toto Ltd | 収納式便器 |
JP2000265529A (ja) * | 1999-03-19 | 2000-09-26 | Koito Ind Ltd | 収納式便器 |
CN2538856Y (zh) * | 2002-04-22 | 2003-03-05 | 管文勇 | 家庭综合节水装置 |
CN2839399Y (zh) * | 2005-11-07 | 2006-11-22 | 戴敦礼 | 分池节水坐便器 |
CN201057981Y (zh) * | 2007-06-15 | 2008-05-14 | 徐忠明 | 卫生间组合柜 |
CN201212183Y (zh) * | 2008-05-07 | 2009-03-25 | 苏本渭 | 用洗手水冲小便池的组合便器 |
KR20120041491A (ko) * | 2010-10-21 | 2012-05-02 | 혜 선 장 | 수납형 양변기 |
-
2013
- 2013-05-02 KR KR1020130049222A patent/KR10138764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4-30 CN CN201480024421.6A patent/CN10518988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4-30 WO PCT/KR2014/003852 patent/WO201417864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90378U (ko) * | 1987-05-28 | 1988-12-07 | ||
JPH1014814A (ja) * | 1996-07-05 | 1998-01-20 | Tomio Iwai | ポータブルトイレ自動収納装置 |
JPH11346960A (ja) * | 1998-06-10 | 1999-12-21 | Toto Ltd | 収納式便所装置 |
KR101299122B1 (ko) * | 2013-05-15 | 2013-08-21 | 김두복 | 벽체 내장형 접이식 양변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0074B1 (ko) | 2014-02-11 | 2015-02-04 | 조성각 | 소변기 분리형 공간절약형 양변기 |
KR101490075B1 (ko) | 2014-02-11 | 2015-02-11 | 조성각 | 수납공간을 갖는 공간절약형 양변기 |
RU172443U1 (ru) * | 2015-12-15 | 2017-07-07 | Дильшад Даларисович Шарафиев | Унитаз выдвижной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78647A1 (ko) | 2014-11-06 |
CN105189882A (zh) | 2015-12-23 |
CN105189882B (zh) | 2017-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7640B1 (ko) | 공간절약형 가변 양변기 | |
KR101299122B1 (ko) | 벽체 내장형 접이식 양변기 | |
CN109736402A (zh) | 一种站坐分置复合型马桶 | |
KR101059127B1 (ko) | 다기능 소변수집 배출기 | |
CN204715498U (zh) | 一种小便池 | |
KR101492182B1 (ko) |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 |
KR100840073B1 (ko) | 소음, 비산 및 튀김 방지기능을 가지는 소변수집 배출기 | |
JP2016063944A (ja) | 電気温水器の設置構造 | |
KR20140045757A (ko) | 다기능 위생비데 | |
KR200471885Y1 (ko) | 양변기 | |
CN202595876U (zh) | 一种新式马桶 | |
KR101186534B1 (ko) | 자동승강식 변기시트와 착탈식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좌변기 | |
CN210989948U (zh) | 一种组合式座便器 | |
KR100989201B1 (ko) | 매립형 양변기 | |
KR101853381B1 (ko) | 변기 커버 부착용 소변기 | |
JP5028928B2 (ja) | トイレの手洗い装置 | |
JP2558873B2 (ja) | 収納式便器ユニット | |
KR20130014667A (ko) | 페달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소변 튐 방지 기능을 갖는 계란형 소변기 | |
KR20120041492A (ko) | 화장실용 복합 위생기 | |
CN217232116U (zh) | 一种自动冲水的蹲坐两用马桶 | |
JP6991457B2 (ja) | 衛生設備機器 | |
KR20120105868A (ko) | 소변기 일체형 좌변기 | |
JPH0527570Y2 (ko) | ||
KR101284712B1 (ko) | 소변 튐 방지용 소변기 | |
JP2021041128A (ja) | 浴室トイ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