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109A -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 Google Patents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109A
KR20240000109A KR1020220076649A KR20220076649A KR20240000109A KR 20240000109 A KR20240000109 A KR 20240000109A KR 1020220076649 A KR1020220076649 A KR 1020220076649A KR 20220076649 A KR20220076649 A KR 20220076649A KR 20240000109 A KR20240000109 A KR 20240000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urine
urine receiver
drain
ur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220076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109A/ko
Publication of KR2024000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10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기 몸체 하부에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소변받침부를 설치하여 소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발밑으로 진입함으로써 소변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는, 집수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배수관(H)과 연결되는 제1 배수구(11)가 구비되는 소변기몸체부(10); 내부로 유입된 오수가 배출되는 제2 배수구(21)가 구비되며, 상기 소변기몸체부(10) 하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소변받침부(20); 상기 소변기몸체부(10) 일측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30); 및 상기 소변받침부(20)와 상기 급수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Urinal with spill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기 몸체 하부에 소변받침부를 설치하여 소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발밑을 받침으로써 소변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용 화장실에는 바닥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소변기가 설치되는데, 소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변기 앞에서 선 상태로 소변기 안으로 소변을 할 때, 일부 소변이 소변기 아래 바닥으로 떨어져 바닥이 더러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소변으로 인한 위생적인 문제점과, 이러한 위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53981호에는 바닥에 집수함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발이 걸리지 않도록 하며 바닥에 떨어지는 소변을 청소하는 기술을 도시하였다.
하지만, 집수함의 넓이만큼 화장실 바닥면을 깎아내야 하는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였으므로 바닥이 얇은 이동식화장실, 열차내 화장실 등 다양한 환경의 화장실에 적용하기 어렵고, 바닥에 집수함을 매설하는 공사로 인한 비용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3981호 (2013.04.08.)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기를 사용하는 사람의 발밑으로 진입하여 소변기의 외부로 떨어지는 일부 소변을 받아내는 소변받침부를 설치함으로써 소변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소변받침부의 내부를 청소하도록 급수대를 구비하여 청소하는 인력을 줄일 수 있는 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는, 집수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배수관(H)과 연결되는 제1 배수구(11)가 구비되는 소변기몸체부(10); 내부로 유입된 오수가 배출되는 제2 배수구(21)가 구비되며, 상기 소변기몸체부(10) 하부에 위치하는 소변받침부(20); 상기 소변기몸체부(10) 일측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30); 및 상기 소변받침부(20)와 상기 급수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소변기몸체부(10)는, 상기 배수관(H) 단부에 안착되며, 상면 일측에 상기 제1 배수구(11)와 연결되는 제1 통로(14)와, 상기 제2 배수구(21)와 연결되는 제2 통로(15)가 형성되어 있는 역류방지트랩(13)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가 상기 소변받침부(20)의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소변받침부(20)는, 일면이 상기 소변기몸체부(10)의 하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소변기몸체부(10) 방향으로 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소변기몸체부(10)는, 상기 소변받침부(2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소변받침부(20)는, 외주면 일측이 상기 개구부 일측에 구비되는 실린더부(23)의 로드부(24)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실린더부(23)를 동작하여 상기 로드부(2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소변받침부(20)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며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소변받침부(20)는, 외주면 일측에 상기 로드부(24)와 나란한 방향으로 레일(22)이 구비되며, 상기 소변기몸체부(10)는, 상기 레일(22)에 대응하는 가이드(12)가 구비되어 상기 소변받침부(20)의 이동 방향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부(30)는, 상기 소변받침부(20)의 외주면 일측에서 내부로 관통되어 삽입되며, 단부에 세척수가 분사되는 급수대(31)이 구비되어 상기 소변받침부(20)의 내부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대(31)는, 외주면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배출구(32)가 구비되어 상기 소변받침부(2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는 소변기를 사용하는 사람의 발밑으로 진입하여 소변기의 외부로 떨어지는 일부 소변을 받아내는 소변받침부를 설치함으로써 소변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소변받침부의 내부를 청소하도록 급수대를 구비하여 청소하는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바닥공사를 하지 않고 소변받침부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받침부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트랩의 개략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의 측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받침부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받침부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받침부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는 크게 소변기몸체부(10), 소변받침부(20), 급수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먼저, 소변기몸체부(10)는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로 사용자의 소변을 받는 집수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급수부(30)는 소변기몸체부(1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제어부(40) 소변기몸체부(10) 전방의 사람을 감지하여 급수부(30)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며, 공급된 오수 및 세척수는 소변기몸체부(10)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H)와 연결되는 제1 배수구(11)를 통하여 배출된다.
다만, 전술한 소변기몸체부(10)와 근접하는 사람을 감지하여 제어부(40)를 통한 급수부(30)를 제어하는 기술은 기존의 소변기에 널리 적용되는 보편적인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소변받침부(20)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40)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도록 한다.
먼저, 소변받침부(20)는 소변기몸체부(10) 하부 일측에 위치하며, 내면이 제2 배수구(21)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어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소변받침부(20)는 일면이 상기 소변기몸체부(10)의 하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소변기몸체부(10) 방향으로 밀착하여 소변기몸체부(10)와 소변받침부(20) 사이의 공간을 줄임으로써 바닥이 더러워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급수부(30)는 소변받침부(20)의 외주면 일측에서 내부로 관통되어 삽입되며, 단부에 세척수가 분사되는 급수대(31)가 구비되어 소변받침부(20)의 내부를 청소한다.
이때, 급수대(31)는 소변받침부(20)의 일면과 나란하게 밀착되고, 세척수는 소변받침부(20)의 내면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배치되는데, 급수대(31)는 외주면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배출구(32)가 구비되어 소변받침부(20)의 내부 벽면으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다시 말하여, 급수대(31)는 소변받침부(20)의 내측에 설치되되, 배출구(32)는 소변기몸체부(10) 방향으로 바라보도록 설치되어 배출구(32)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사용자에게 분사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다.
더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출구(32)에 노즐(미도시)을 설치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식을 변경할 수 있으며, 급수대(31)의 길이를 조절하여 소변받침부(20) 내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소변받침부(20) 벽면 전체로 급수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급수대(31)의 길이와 배출구(32)의 간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소변받침부(20) 내부에는 일부의 소변과 세척수 등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유체는 배수구(21)로 배수되고, 배수구(21)는 소변기몸체부(10) 하면에 구비되는 배수관(H)과 연결된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의 소변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에는 배수관(H)이 미리 설치되어있고, 소변기몸체부(10) 하면에 위치하여 내부의 오수의 유로가 되는 제1 배수구(11)이 배수관(H)과 연결된다.
그리고, 배수관(H)의 상부에는 역류방지트랩(13)이 설치되며, 상기 역류방지트랩(13)은 상면에 상기 제1 배수구(11)과 연결되는 제1 통로(14)와, 상기 소변받침부(20)의 배수구(21)와 연결되는 제2 통로(15)가 구비되어 소변기몸체부(10)에 분사되는 세척수가 상기 배수구(21)로 역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역류방지트랩(13)은 배수관(H)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는 배수관(H)의 직경보다 넓게 구비되고, 하부는 상기 배수관(H)의 직경보다 좁게 구비하여 역류방지트랩(13)이 배수관(H)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수관(H)의 외곽을 일부 감싸도록 턱을 구비하여 배수관(H)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역류방지트랩(13)의 상부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더하여, 역류방지트랩(13)은 오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며,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제1 통로(14)와 제2 통로(15)의 상면에 각각 덮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역류방지트랩(13)의 제1 통로(14)와 제2 통로(15)는 배수관(H)을 구분하는 격벽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소변기는 소변기몸체부(10)를 안착하기 위한 별도의 바닥면 공사를 실시하지 않아 간단하면서, 오수를 배수관(H)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의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의 측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받침부의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받침부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기몸체(10) 하부에 위치한 소변받침부(2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소변기몸체부(10)는 하부에 개구부가 구비되며, 소변받침부(20)는 외주면 일측이 측면에 구비되는 실린더부(23)의 로드부(24)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실린더부(23)를 동작하여 상기 로드부(2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소변받침부(20)의 위치를 제어한다.
다시 말하여, 제어부(40)는 소변기몸체부(10)의 전방에 사람을 감지하고, 실린더부(23)를 동작하여 로드부(24)의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소변받침부(20)를 사용자의 발밑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즉, 소변받침부(20)는 상기 소변기몸체부(10)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부(23)의 로드부(24)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실린더부(23)를 동작하여 상기 로드부(2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소변받침부(20)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수구(21)는 로드부(24)의 길이의 변화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변화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고무,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조된 주름관, 호스 등 그 길이가 조절되는 부속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소변기를 사용하는 사람의 체형과 자세가 각기 다르므로 소변받침부(20)가 동일한 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소변받침부(20)와 사용자의 발과 접촉하여 사용자가 넘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소변받침부(20)는외주면 일측에 전방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도록 근접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로드부(24)의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소변받침부(20)가 사용자의 발과 접촉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근접센서가 사용자를 감지하면, 제어부(40)는 실린더부(23)의 동작을 정지하여 소변받침부(20)가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여기서, 근접센서는 적외선, 레이저, 음파 등 파장을 통해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근접센서(25)의 종류로 사용되는 센서의 종류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소변받침부(20)는 외주면 일측에 로드부(24)와 나란한 방향으로 레일(22)이 구비되며, 소변기몸체부(10)는 내면에 레일(22)에 대응하는 가이드(12)가 구비되어 상기 소변받침부(20)의 이동 방향을 보조한다.
그리고, 소변받침부(20)는 소변기몸체(10)를 완전히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 소변받침부(20)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소변기몸체(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로드부(24)의 길이를 조절하며, 이를 통해 로드부(24)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실린더부(23)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소변기는 소변기몸체부(10)로 근접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는 소변받침부(20)가 소변기몸체부(10)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고, 사용자가 근접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발밑으로 소변받침부(20)가 진입하며, 그 후에 사용자가 다시 멀어지는 경우 소변받침부(20) 내부를 세척수로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소변기몸체부
11: 제1 배수구 12: 가이드
13: 역류방지트랩 14: 제1 통로
15: 제2 통로
20: 소변받침부
21: 제2 배수구 22: 레일
23: 실린더부 24: 로드부
30: 급수부
31: 급수대 32: 배출구
40: 제어부
H: 배수관

Claims (7)

  1. 집수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배수관(H)과 연결되는 제1 배수구(11)가 구비되는 소변기몸체부(10);
    내부로 유입된 오수가 배출되는 제2 배수구(21)가 구비되며, 상기 소변기몸체부(10) 하부에 위치하는 소변받침부(20);
    상기 소변기몸체부(10) 일측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30); 및
    상기 소변받침부(20)와 상기 급수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몸체부(10)는,
    상기 배수관(H) 단부에 안착되며,
    상면 일측에 상기 제1 배수구(11)와 연결되는 제1 통로(14)와, 상기 제2 배수구(21)와 연결되는 제2 통로(15)가 형성되어 있는 역류방지트랩(13)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가 상기 소변받침부(20)의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소변받침부(20)는,
    일면이 상기 소변기몸체부(10)의 하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소변기몸체부(10) 방향으로 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몸체부(10)는,
    상기 소변받침부(2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소변받침부(20)는,
    외주면 일측이 상기 개구부 일측에 구비되는 실린더부(23)의 로드부(24)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실린더부(23)를 동작하여 상기 로드부(2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소변받침부(20)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며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받침부(20)는,
    외주면 일측에 상기 로드부(24)와 나란한 방향으로 레일(22)이 구비되며,
    상기 소변기몸체부(10)는,
    상기 레일(22)에 대응하는 가이드(12)가 구비되어 상기 소변받침부(20)의 이동 방향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30)는,
    상기 소변받침부(20)의 외주면 일측에서 내부로 관통되어 삽입되며,
    단부에 세척수가 분사되는 급수대(31)이 구비되어 상기 소변받침부(20)의 내부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대(31)는,
    외주면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배출구(32)가 구비되어 상기 소변받침부(2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KR1020220076649A 2022-06-23 2022-06-23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KR20240000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649A KR20240000109A (ko) 2022-06-23 2022-06-23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649A KR20240000109A (ko) 2022-06-23 2022-06-23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09A true KR20240000109A (ko) 2024-01-02

Family

ID=8951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649A KR20240000109A (ko) 2022-06-23 2022-06-23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1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981B1 (ko) 2012-04-04 2013-04-17 최경복 소변기용 위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981B1 (ko) 2012-04-04 2013-04-17 최경복 소변기용 위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49276B (zh) 模块式宠物排便器清洁装置
US8082605B2 (en) Low flow hygienic apparatus and methods
US4228554A (en) Toilet for animals
JP4813557B2 (ja) オーバーフロー防止機能を具える身体の排泄物を処理するための設備及びその製造方法
US9737181B1 (en) Self-cleaning helical drain toilet
US20190368182A1 (en) Toilet having a bidet shower
KR20090113423A (ko) 다기능 소변수집 배출기
KR20240000109A (ko) 소변 흘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US4974268A (en) Chair bathtub
JP5808875B1 (ja) 洋風便器
US9915060B2 (en) Rinsing toilet seat
US20220243444A1 (en) Shower bidet
US5596774A (en) Self cleaning toilet
KR101985189B1 (ko) 진공 흡입식 좌변기
EP3746606B1 (en) Sanitary bowl
KR101016716B1 (ko) 애완동물용 변기
KR101359284B1 (ko) 여성 전용 소변기
US20210047820A1 (en) Restroom System
KR102646068B1 (ko) 절수형 소변기
KR102495541B1 (ko) 반려동물용 자동 배변판
JP4816190B2 (ja) トイレ装置
WO2005093177A1 (ja) 飛沫飛散防止装置
KR102275208B1 (ko) 좌변기용 시트 클리닝 장치
KR20220105836A (ko) 휴대용 보조 소변기
WO2023068451A1 (ko) 양변기 물내림시 비말 튐을 방지할 수 있는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