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221B1 -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 Google Patents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221B1
KR101252221B1 KR1020110113857A KR20110113857A KR101252221B1 KR 101252221 B1 KR101252221 B1 KR 101252221B1 KR 1020110113857 A KR1020110113857 A KR 1020110113857A KR 20110113857 A KR20110113857 A KR 20110113857A KR 101252221 B1 KR101252221 B1 KR 101252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beam
bumper
bumper back
electronic un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철
하창욱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2019/026Buffers, i.e. bumpers of limited ex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에 관한 것으로, 포밍부(30)와 보강리브(31) 그리고 보강부재(40)에 의해 범퍼백빔(10)의 강성이 크게 증가됨에 따라 충돌사고 시 범퍼백빔(10)의 과도한 변형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고가 장비인 전자유닛(20)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전자유닛(20)과 연결된 와이어(50)의 불필요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BUMPER BACK BEAM WITH ELECTRONIC UNIT}
본 발명은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사고 시 강성 확보가 가능함과 더불어 전자유닛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에 관한 기술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범퍼커버(1) 내측에는 충돌 사고시 차체의 과도한 붕괴를 방지하고 이를 통해 실내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범퍼백빔(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범퍼백빔(2)에는 차량 안전을 위한 각종 센서류(일예로 전,후방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범퍼백빔(2)은 충돌사고 시 강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범퍼커버(1)쪽으로는 밀폐되고 실내쪽으로는 개방된 역 시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일반적이고, 상기와 같은 역 시자(⊃)형 단면을 갖는 범퍼백빔(2)에서는 전자유닛(3)의 설치를 위해 상기 범퍼백빔(2)의 다수부위에 관통구멍(2a)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2a)에 상기 전자유닛(3)을 삽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자유닛(3)의 설치를 위해 관통구멍(2a)이 형성된 범퍼백빔(2)은 관통구멍(2a) 부위의 강성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충돌사고 시 약한 충격력에도 도 4와 같이 관통구멍(2a)이 형성된 부위를 기준으로 범퍼백빔(2)이 과도하게 절곡되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고가 장비인 전자유닛(3)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자유닛(3)은 자량에 구비된 컨트롤러(미도시)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와이어(4)를 통해 연결되는데, 상기와 같이 범퍼백빔(2)의 관통구멍(2a)에 전자유닛(3)이 삽입되어 설치된 구조에서는 전자유닛(3)의 와이어(4)가 범퍼커버(1)와 범퍼백빔(2)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이럴 경우 가벼운 충돌에 의해서도 와이어(4)가 쉽게 절단되는 단점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미설명 도면 번호 5는 범퍼백빔(2)의 좌우 양단에 결합되는 사이드멤버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충분한 강성 확보를 통해 충돌사고 시 과도한 변형을 예방함으로써 전자유닛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전자유닛에 연결된 와이어의 소손을 최대한 예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은, 범퍼커버의 내측에 사이드멤버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에 있어서, 상기 범퍼백빔은 상기 범퍼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실내 방향으로는 밀폐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범퍼백빔의 상단과 하단사이의 내부공간에는 전자유닛이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범퍼백빔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면에는 다수개의 포밍부가 상기 범퍼커버를 향하여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유닛은 상기 포밍부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퍼커버의 내측면에 범퍼마운팅브라켓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범퍼마운팅브라켓에 상기 전자유닛이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밍부는 다수개의 보강리브를 통해 상기 범퍼백빔의 상단 및 하단과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유닛과 상기 포밍부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범퍼백빔의 상단과 하단 및 연결면과 일체로 연결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밍부의 측면에는 와이어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전자유닛과 연결된 와이어는 상기 범퍼백빔의 내부공간을 경유해서 상기 와이어구멍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은, 다수개의 포밍부와 보강리브 그리고 보강부재에 의해 범퍼백빔의 강성이 크게 증가됨에 따라 충돌사고 시 범퍼백빔의 과도한 변형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고가 장비인 전자유닛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전자유닛과 연결된 와이어의 불필요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범퍼백빔을 구비한 차량 리어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종래 범퍼백빔의 사시도,
도 4는 충돌사고 시 종래 범퍼백빔의 변형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의 사시도,
도 6과 도7은 도 5의 Ⅱ-Ⅱ 및 Ⅲ-Ⅲ선 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범퍼백빔에 구비된 포밍부 및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유닛과 연결된 와이어가 포밍부의 와이어구멍을 통해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11은 도 10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10)은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커버(1)의 내측에 사이드멤버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으로 상단(11)과 하단(12) 및 상기 상,하단(11,12)을 연결하는 수직한 연결면(13)을 구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범퍼백빔(10)은 상,하단(11,12)의 개구된 부위가 범퍼커버(1)를 향하고 밀폐된 연결면(13)이 실내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시(⊂)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범퍼백빔(10)의 상,하단(11,12)사이 내부공간(14)에는 전자유닛(20)이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전자유닛(20)은 범퍼마운팅브라켓(21)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범퍼마운팅브라켓(21)은 상기 범퍼커버(1)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범퍼마운팅브라켓(21)에 결합된 전자유닛(20)은 범퍼커버(1)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을 통해 차량의 외부 상황을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범퍼백빔(10)의 상단(11)과 하단(12)을 연결하는 연결면(13)에는 다수개의 포밍부(30)가 상기 범퍼커버(1)를 향하여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포밍부(30)는 범퍼백빔(1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범퍼백빔(10) 성형시 함께 형성된 것이며, 상기 범퍼백빔(10)의 강성을 보다 확실히 증대시키기 위해서 상기 포밍부(30)는 다수개의 보강리브(31)를 통해 상기 범퍼백빔(10)의 상단(11) 및 하단(12)과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전자유닛(20)은 상기 포밍부(30)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바, 이로 인해 충돌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포밍부(30)에 의해 충격력이 상기 전자유닛(20)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전자유닛(20)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범퍼백빔(10)은 상기 전자유닛(20)과 상기 포밍부(30)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범퍼백빔(10)의 상단(11)과 하단(12) 및 연결면(13)과 일체로 연결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보강부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부재(40)는 디귿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포밍부(30)와 함께 상기 범퍼백빔(10)의 강성을 추가로 더 보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포밍부(30)의 측면에는 와이어구멍(32)이 형성되고, 상기 전자유닛(20)과 연결된 와이어(50)는 상기 범퍼백빔(10)의 내부공간(14)을 경유해서 상기 와이어구멍(32)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범퍼백빔(10)은 충돌사고가 발생해서 충돌에너지가 범퍼백빔(10)에 전달되더라도 포밍부(30)와 보강부재(40)에 의해 범퍼백빔(10)의 강성이 충분히 증대된 상황이므로 쉽게 찌그러지거나 절곡 및 붕괴되는 현상은 발생하기 않게 되며, 특히 범퍼백빔(10)의 상,하단(11,12)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31) 및 보강부재(40)에 의해 범퍼백빔(10)의 상,하단(11,12)이 상하로 벌어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범퍼백빔(10)은 포밍부(30)와 보강리브(31) 및 보강부재(40)에 의해 강성이 충분히 향상된 구조이므로, 충돌사고 시 과도하게 변형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가의 전자유닛(20)이 포밍부(30)와 보강부재(40)에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구조이므로, 상기 전자유닛(20)은 포밍부(30)와 보강부재(40)에 의해 충분히 보호받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 충돌에너지가 상기 전자유닛(20)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 한 상기 전자유닛(20)이 파손되거나 또는 손상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유닛(20)과 연결된 와이어(50)가 범퍼백빔(10)의내부공간(14)을 통해 포밍부(30)에 형성된 와이어구멍(32)을 관통하여 설치된 구조이므로, 상기 와이어(50)는 종래의 구조와 같이 범퍼커버(1)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는 않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의 와이어(50)는 충돌사고 시 범퍼커버(1)와 범퍼백빔(10)사이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와이어(50)가 쉽게 절단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범퍼커버 10 - 범퍼백빔
11 - 상단 12 - 하단
13 - 연결면 14 - 내부공간
20 - 전자유닛 30 - 포밍부
40 - 보강부재 50 - 와이어

Claims (6)

  1. 범퍼커버(1)의 내측에 사이드멤버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에 있어서,
    상기 범퍼백빔(10)은 상기 범퍼커버(1)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실내 방향으로는 밀폐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범퍼백빔(10)의 상단(11)과 하단(12)사이의 내부공간(14)에는 전자유닛(20)이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범퍼백빔(10)의 상단(11)과 하단(12)을 연결하는 연결면(13)에는 다수개의 포밍부(30)가 상기 범퍼커버(1)를 향하여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유닛(20)은 상기 포밍부(30)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범퍼커버(1)의 내측면에 범퍼마운팅브라켓(21)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범퍼마운팅브라켓(21)에 상기 전자유닛(20)이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30)는 다수개의 보강리브(31)를 통해 상기 범퍼백빔(10)의 상단(11) 및 하단(12)과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유닛(20)과 상기 포밍부(30)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범퍼백빔(10)의 상단(11)과 하단(12) 및 연결면(13)과 일체로 연결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보강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30)의 측면에는 와이어구멍(32)이 형성되고;
    상기 전자유닛(20)과 연결된 와이어(50)는 상기 범퍼백빔(10)의 내부공간(14)을 경유해서 상기 와이어구멍(32)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KR1020110113857A 2011-11-03 2011-11-03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KR101252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857A KR101252221B1 (ko) 2011-11-03 2011-11-03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857A KR101252221B1 (ko) 2011-11-03 2011-11-03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2221B1 true KR101252221B1 (ko) 2013-04-05

Family

ID=4844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857A KR101252221B1 (ko) 2011-11-03 2011-11-03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2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5097A (zh) * 2017-01-05 2018-07-13 大众汽车有限公司 用于汽车的保险杠横梁以及具有这种保险杠横梁的汽车
WO2019034605A1 (de) * 2017-08-14 2019-02-21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Stossfänger
KR20190128300A (ko)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캠스 리어 백빔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846A (ko) * 1999-10-27 2001-05-15 정주호 자동차 범퍼용 롤 포밍 임팩트 빔 구조
JP2001527480A (ja) 1997-05-09 2001-12-25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自動車のバンパに組み込むためのモジュールを備えた装置
KR20040110464A (ko) * 2003-06-19 2004-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의 백빔 구조
KR20100134789A (ko) * 2008-04-24 2010-12-23 게스탐프 하르트테크 아베 충격 보호 비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7480A (ja) 1997-05-09 2001-12-25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自動車のバンパに組み込むためのモジュールを備えた装置
KR20010038846A (ko) * 1999-10-27 2001-05-15 정주호 자동차 범퍼용 롤 포밍 임팩트 빔 구조
KR20040110464A (ko) * 2003-06-19 2004-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의 백빔 구조
KR20100134789A (ko) * 2008-04-24 2010-12-23 게스탐프 하르트테크 아베 충격 보호 비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5097A (zh) * 2017-01-05 2018-07-13 大众汽车有限公司 用于汽车的保险杠横梁以及具有这种保险杠横梁的汽车
WO2019034605A1 (de) * 2017-08-14 2019-02-21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Stossfänger
US11292409B2 (en) 2017-08-14 2022-04-05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Bumper
KR20190128300A (ko)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캠스 리어 백빔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9307B1 (en)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JP5519559B2 (ja) 車載の電気機器のプロテクト構造
JP5946395B2 (ja) 電池保護構造体
KR101575320B1 (ko) 차체 보강구조
KR20140043639A (ko) 전방 차체 구조
KR100844712B1 (ko) 차량의 카울 사이드부 보강구조
KR102552506B1 (ko)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KR101382296B1 (ko) 차량의 전방 차체 구조물
JP2010042697A (ja) 車体衝撃吸収構造及び自動車搭載部品取付ブラケット
JP2007090999A (ja) インシュレータの取り付け構造
KR20190040792A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JP2014117982A (ja) 車両用ハーネスコネクタ保護構造
KR20190072342A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101252221B1 (ko)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JP2018152942A (ja) 高電圧ケーブルの配索構造
KR20220086047A (ko) 배터리 장착 구조
KR102429018B1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장착구조
JP5882163B2 (ja) ラジエータグリル
JP2006321407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6627330B2 (ja) 車両リアフロア構造
JP4721976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KR101795396B1 (ko) 전기 자동차 배터리 마운팅 보강 구조
JP2008132831A (ja) 車両の前部構造
KR102567277B1 (ko) 차량의 사이드실 구조
JP2017074888A (ja) 車両の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