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300A - 리어 백빔 구조 - Google Patents

리어 백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300A
KR20190128300A KR1020180052289A KR20180052289A KR20190128300A KR 20190128300 A KR20190128300 A KR 20190128300A KR 1020180052289 A KR1020180052289 A KR 1020180052289A KR 20180052289 A KR20180052289 A KR 20180052289A KR 20190128300 A KR20190128300 A KR 20190128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rch
external force
back beam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682B1 (ko
Inventor
박경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캠스
Priority to KR102018005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68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3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백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완만한 곡선형으로 차체의 전단이나 후단에 위치되되, 차체의 사이드 멤버의 스테이에 취부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외력을 흡수하는 충격방지커버부, 및 상기 충격방지커버부의 후단 양측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충격방지커버부로 전달되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크래쉬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방지커버부의 내부로 충격흡수부재의 삽입 설치와 함께, 상기 크래쉬박스의 내부로 아치 구조의 부재나 격자형 구조의 부재 적용과 더불어, 이들 부재에 대한 강화플라스틱 소재 사용이 이루어진 리어 백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리어 백빔 구조{Rear Back Beam Structure}
본 발명은 리어 백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추돌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 충격에 대한 차체 전달을 최소화하고, 백빔의 소요되는 부품의 파손율도 현저히 낮추면서도 백빔의 경량화도 도모할 수 있는 리어 백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범퍼의 내측에 구비되는 백빔은 다른 자동차나 장애물과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기존 백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충격을 1차 흡수하는 충격흡수부(10)와 상기 충격흡수부의 후미 양측에 구성되어 차체 쪽으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는 크래쉬박스(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백빔의 전방에는 범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력을 먼저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 업소버가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기존 백빔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a-a' 절개선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 2와 같이 충격흡수부(10)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C형 타입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도 3과 같이 역 C형 타입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혹은 도 4와 같이 H형 타입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백빔에 있어 충격흡수부(10)의 구조가 도 2 내지 4와 같이 단순히 C형, 역 C형, H형 타입과 같이 단순한 구조인 관계로, 다른 자동차 혹은 장애물과의 충돌과 같은 외부 충격을 받을 때에 그 충격을 온전하게 감당하기에 취약하다.
이러한 기존 백빔의 취약 구조는 자동차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고, 백빔을 구성하는 부품의 파손도 자주 발생하여 백빔의 잦은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백빔은 차체의 후방에 배치되는바, 충격흡수부(10)의 후미 양측에는 크래쉬박스(crash box)(20)가 개재되어 소정의 완충 공간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크래쉬박스(20)는 범퍼 백빔(10)이 차체 측으로 밀려들어 갈 때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백빔은 주로 스틸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차체 중량을 증가시켜 차량의 구동 성능 및 연비를 저하시키는 요인도 무시할 수 없으며, 금속 재질은 차량 탑승자 및 운전자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고, 백빔의 부품 파손도 심각하다.
한편, 차량용 백빔의 기술들은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특허문헌들을 참고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2953호 특허문헌 00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5068호 특허문헌 00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9754호 특허문헌 004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7919호 특허문헌 005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286호 특허문헌 006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7032호 특허문헌 007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5885호 특허문헌 008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2004호 특허문헌 009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5564호 특허문헌 010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2221호 특허문헌 01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3020호 특허문헌 01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1342호 특허문헌 01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4709호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추돌로 인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점진적으로 흡수하는 방식으로 감소하면서도, 차체로 전달되는 백빔의 밀림 현상을 최소화하고, 백빔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한 리어 백빔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만한 곡선형으로 차체의 전단이나 후단에 위치되되, 차체의 사이드 멤버의 스테이에 취부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외력을 흡수하는 충격방지커버부, 및 상기 충격방지커버부의 후단 양측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충격방지커버부로 전달되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크래쉬박스를 포함하는 리어 백빔 구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충격방지커버부의 내부에는 외력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가 삽입되는 구조로 더 설치되되,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그 선단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후단의 내측 중앙 부위로 외력의 흡수를 위해 상기 충격방지커버부의 방향으로 아치 형상을 갖는 흡수홈, 및 선단과 후단 사이의 내부에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형태로 다수 배열되어 외력을 분산하는 방식으로 흡수하는 타원 형상의 보조흡수공을 더 포함하는 리어 백빔 구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크래쉬박스의 충격완충박스부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 폭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걸림 고정된 충격완충판, 상기 충격완충판들의 사이로 설치 고정되는 구조로서 외력을 흡수하는 다수의 제2 아치부재, 및 상기 제2 아치부재들과 엇갈리는 구조로 설치되어 외력을 흡수 분산하는 다수의 제1 아치부재, 및 상기 제2,1 아치부재들의 사이로 개재되어 상기 제2,1 아치부재들의 유격을 규제하며 외력을 흡수하는 끼움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어 백빔 구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제1,2 아치부재들은 외력을 흡수하기 위한 아치중공의 구성과 함께, 상호 간 엇갈리는 배열 구조로 걸착되는 리어 백빔 구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크래쉬박스의 충격완충박수부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 폭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걸림 고정되고, 가로로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형성된 연결부재의 구성을 통해 구획된 구획공간들의 구성에 의해 그 전체의 구조가 격자형 구조로 이루어져 외력을 완충하는 충격완충판, 및 상기 구획공간들 속에 삽입되는 구조로 예측 불허의 여러 방향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완충 분산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어 백빔 구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소정의 중공을 갖는 원형부, 및 상기 원형부의 외주를 따라 다수로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보조중공을 갖는 반호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서 그 전체적 구조가 해바라기 형태의 구조인 리어 백빔 구조에 일 특징이 있다.
한편, 충격흡수부재, 충격완충판, 제1 아치부재, 제2 아치부재, 끼움부재, 및 완충부재들은 사출 성형의 방식으로 제조되는 강화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강화플라스틱 소재는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 60 내지 65 중량부와 유리섬유(Glass Fiber) 수지 35 내지 40 중량부가 혼합된 복합수지로 이루어지는 리어 백빔 구조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리어 백빔 구조는, 자동차의 충돌 시에 그 충격을 흡수 완화시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어 백빔 구조는, 범퍼의 충격방지커버부 및 크래쉬박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충격흡수부재, 충격완충판, 제1,2 아치부재, 및 완충부재들이 외력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차체로 전달되는 외력 충격을 현저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어 백빔 구조는, 충격흡수부재, 충격완충판, 제1,2 아치부재, 및 완충부재들의 소재를 강화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함에 따라, 외력의 충격에도 그 파손율을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백빔의 부품 교체나 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어 백빔 구조는, 기존의 백빔 구조에 비하여 자동차의 충돌로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시키며 완충하기에 적합한 구조인 관계로, 백빔의 차체 방향 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어 백빔 구조는, 자동차의 충돌로 발생되는 충격의 차체 전달 방향이 예측 불허의 여러 방향으로 작용될 경우에도 크래쉬박스의 내부에 충격완충판 및 아치 구조뿐 아니라, 충격완충판의 격자형 구조 및 해바라기 형의 완충부재의 구조 적용에 따라, 차체의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리어 백빔 구조는, 범퍼의 충격방지커버부 및 크래쉬박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충격흡수부재, 충격완충판, 제1,2 아치부재, 및 완충부재들의 소재를 강화플라스틱 소재로 적용함에 따라, 리어 백빔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는 자동차의 무게 감소로 이어져 주행에 소모되는 연비의 절약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백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 절삭선의 단면을 도시한 제1 타입의 종래 백빔 단면도,
도 3은 제2 타입의 종래 백빔 단면도,
도 4는 제3 타입의 종래 백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리어 백빔 구조의 외관 파악을 위한 백빔의 외관을 입체적으로 개념화한 백빔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표시된 A-A' 절개선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충격흡수부재만을 별도로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크래쉬박스의 B-B' 절개선을 함께 표시한 크래쉬박스의 개념적 사시도,
도 9는 도 8에 표시된 B-B' 절개선의 단면도로서, 크래쉬박스의 내부 구조를 일 실시예로 도시한 절개도,
도 10은 도 8에 표시된 B-B' 절개선의 단면도로서, 크래쉬박스의 내부 구조를 다른 일 실시예로 도시한 절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크래쉬박스의 내부의 완충부재에 관한 도면으로서, 여러 방향에서 발생하는 외력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완충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리어 백빔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후단이나 전단에 설치되는 범퍼(100)로서, 충격방지커버부(110) 및 크래쉬박스(20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범퍼(100)는 차체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방지커버부(110)는 완만한 곡선형으로 차체의 후단에 위치되되, 차체의 사이드 멤버의 스테이에 취부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외력을 1차 흡수할 수 있으며, 상기 크래쉬박스(200)는 상기 충격방지커버부(110)의 내측 양단 부위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 구성되어 상기 충격방지커버부(110)로 전달되는 충돌에 의한 외력에 의해 범퍼(100)가 차체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충격방지커버부(110)에는 충돌에 대한 견고성 확보를 위해 상 하단에 별도의 보강리브(120)가 더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리브(120)를 기준으로 커버부(130)가 더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충격방지커버부(110)의 내부에는 충격흡수부재(140)가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충격흡수부재(140)는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그 선단이 완만한 곡선형을 이루며 상기 충격방지커버부(110)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있으며, 차체의 충돌로 발생하는 외력을 흡수하기 위해 그 후단의 중심 내부로 형성된 흡수홈(144) 및 선단과 후단 사이의 내부를 따라 방사 형태로 배열 형성된 다수의 보조흡수공(14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보조흡수공(143)들은 도 7과 같이 상기 흡수홈(144)의 중심에 해당하는 점 P에서 방사상으로 충격흡수부재(140)의 내부를 따라 배열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외력을 분산하는 방식으로 흡수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상기 충격흡수부재(140)는 도 6과 같이 그 선단이 상기 충격방지커버부(11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구조로서 상호 간의 유동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충격흡수부재(140)의 선단 부위와 상기 충격방지커버부(110)의 내측면 부위 간에 요철(凹凸) 구조로 물려진 형태이다. 즉, 충격방지커버부(110)의 내측면 부위에 형성된 요부(111)와 철부(112)(112')는 상기 충격흡수부재(140)의 선단 부위에 형성된 철부(142)와 요부(141)(141')와의 물림 구조를 통해, 상기 충격방지커버부(110) 및 상기 충격흡수부재(140)와의 접촉 결합력이 제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방지커버부(110)의 내측에는 상기 충격흡수부재(140) 선단의 요철 물림 접촉 부위 주변으로 외력을 완충할 수 있는 완충공간(11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완충공간(110a)과 함께 상기 충격흡수부재(140)의 구성으로 외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크래쉬박스(200)는 범퍼(100)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범퍼(100)가 차체 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크래쉬박스(200)는 도 8에 도시된 B-B'의 절개선 방향으로 절개된 상태에서 그 내부의 구조를 일 실시예로 살펴보면, 도 9를 참고할 수 있다.
즉, 상기 크래쉬박스(200)의 충격완충박스부(210) 내부에는 충격완충판(220)들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걸림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충격완충판(220)들의 사이로 제1 아치부재(230)들 및 제2 아치부재(240)들과 함께 상기 제1 아치부재(230)들의 사이로 개재되는 끼움부재(250)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치부재(230)들은 외력이 전달되는 방향으로 아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아치 내부에 아치중공(231)과 함께 그 아치 선단 중앙으로 물림팁(232)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재(250)는 상기 제1 아치부재(230)들의 사이로 개재되어 외력에 의해 작용될 수 있는 상기 제1 아치부재(230)들의 요동을 억제하면서도 제2 아치부재(240)들의 탈거도 방지하며, 이와 동시에 외력을 완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아치부재(240)들도 외력이 전달되는 방향으로 아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아치 내부에 아치중공(241)과 함께 그 아치 선단 중앙으로 형성된 물림팁(242) 및 그 아치 양 후단에 형성된 물림홈(2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아치부재(240)들은 상기 제1 아치부재(230)들의 사이에서 걸착되는 구조로 고정되는바, 그 아치 양 후단에 형성된 물림홈(243)이 제1 아치부재(230)들의 아치 선단 중앙에 돌출 형성된 물림팁(232)에 걸착되는 되는 구조이면서, 아치 선단 중앙으로 형성된 상기 물림팁(242)은 충격완충판(220)에 걸착되는 구조로 고정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제2 아치부재(240)의 고정에 설명하자면, 하나의 제2 아치부재(240)의 아치 양 후단에 형성된 물림홈(243)들 중 어느 하나의 물림홈(243)은 어느 하나의 제1 아치부재(230)의 아치 선단에 형성된 물림팁(232)에 걸림되고, 다른 하나의 물림홈(243)은 어느 다른 하나의 제1 아치부재(230)의 아치 선단에 형성된 물림팁(232)에 걸림되며, 하나의 제2 아치부재(240)의 아치 선단 중앙에 돌출 형성된 물림팁(242)은 충격완충판(220)에 형성된 걸림홈(부호미표기)에 걸착되는 구조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아치부재(240)들과 상기 제1 아치부재(230)들은 상호 간에 엇갈린 배치 구조로 이루어져 아치중공(241) 및 아치중공(231)도 엇갈려 있으며, 상기 제1 아치부재(230)들의 사이로 개재되는 끼움부재(250)는 제1,2 아치부재(230,240)들의 유동성 및 탈거를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외력에 의한 범퍼(100)의 차체 방향 밀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크래쉬박스(200)는 범퍼(100)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범퍼(100)가 차체 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크래쉬박스(200)는 도 8에 도시된 B-B'의 절개선 방향으로 절개된 상태에서 그 내부의 구조를 다른 실시예로 살펴보면,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할 수 있다.
즉, 상기 크래쉬박스(200)의 충격완충박스부(210) 내부에는 충격완충판(220)들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걸림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충격완충판(220)들은 횡 방향으로 구획된 연결부재(221)들에 의해 상호 간 일체화되는 구조이면서 격자형 구조이고, 이로 인해 충격완충판(220)들의 사이로 도 10과 같은 소정의 구획공간(S)들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획공간(S)들에는 완충부재(260)들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바, 이러한 상기 완충부재(260)들은 소정의 중공(261a)을 형성한 원형부(261) 및 소정의 보조중공(262a)을 형성한 반호부(262)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반호부(262)들은 상기 원형부(261)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완충부재(260)들은 그 전체적 형상 구조가 해바라기의 형태로 이루어져, 예측 불허의 여러 방향으로 전달되는 도 11과 같은 외력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완충부재(260)에 다양한 방향으로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중공(262)이 형성된 반호부(262)들이 이러한 외력을 우선적으로 완충하며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후 중공(261a)이 형성된 원형부(261)가 완충 분산된 외력을 마지막으로 완충할 수 있음에 따라, 외력의 효과적인 완충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기 완충부재(260)들은 구획공간(S) 내에서 연결부재(221)에 형성된 걸림돌기(221a)에 의해 어느 한 반호부(262)들의 사이 부위가 걸린 상태로 구획공간(S)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걸림돌기(221a)는 백빔의 활용 목적 및 사용처에 따라 연결부재(221) 뿐 아니라 구획공간(S) 내의 충격완충판(22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크래쉬박스(200)의 충격완충박스부(210) 내부에 구성된 충격완충판(220)들, 구획공간(S), 및 완충부재(260)들의 조합 구성은 외력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음에 따라 백빔의 차체 방향 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가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충격흡수부재(140), 상기 충격완충판(220), 제1 아치부재(230), 제2 아치부재(240), 끼움부재(250), 및 완충부재(260) 따위의 부재들은 사출 성형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소재는 강화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한다.
강화플라스틱 소재는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 60 내지 65 중량부와 유리섬유(Glass Fiber) 수지 35 내지 40 중량부가 혼합된 복합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폴리아미드가 6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유리섬유가 차지하는 상대적인 중량부가 많아져 상기 부재들의 유연성 저하 즉 경직도의 상승으로 외력에 의한 부재들의 파손율이 증가할 수 있으나, 폴리아미드가 6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유리섬유가 차지하는 상대적인 중량부가 적어져 상기 부재들의 유연성 상승 즉 경직도의 하락으로 부재들의 외력에 관한 흡수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중량부 범위에서 상기 폴리아미드와 상기 유리섬유가 서로 혼합될 때에, 상기 부재들에 관한 파손율이 최소화되면서도 동시에 외력의 흡수력도 강화될 수 있고, 이와 함께 범퍼의 경량화도 도모할 수 있다.
범퍼(100)
충격방지커버부(110) 보강리브(120)
커버부(130) 충격흡수부재(140)
보조흡수공(143) 흡수홈(144)
크래쉬박스(200)
충격완충박스부(210) 충격완충판(220)
제1 아치부재(230) 아치중공(231)
물림팁(232)
제2 아치부재(240) 아치중공(241)
물림팁(242) 물림홈(243)
끼움부재(250)
충격완충판(220) 연결부재(221)
걸림돌기(221a) 구획공간(S)
완충부재(260)
원형부(261) 중공(261a)
반호부(262) 보조중공(262a)

Claims (7)

  1. 완만한 곡선형으로 차체의 전단이나 후단에 위치되되, 차체의 사이드 멤버의 스테이에 취부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외력을 흡수하는 충격방지커버부; 및
    상기 충격방지커버부의 후단 양측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충격방지커버부로 전달되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크래쉬박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백빔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방지커버부의 내부에는 외력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가 삽입되는 구조로 더 설치되되,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그 선단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후단의 내측 중앙 부위로 외력의 흡수를 위해 상기 충격방지커버부의 방향으로 아치 형상을 갖는 흡수홈; 및
    선단과 후단 사이의 내부에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형태로 다수 배열되어 외력을 분산하는 방식으로 흡수하는 타원 형상의 보조흡수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백빔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쉬박스의 충격완충박스부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 폭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걸림 고정된 충격완충판;
    상기 충격완충판들의 사이로 설치 고정되는 구조로서 외력을 흡수하는 다수의 제2 아치부재; 및 상기 제2 아치부재들과 엇갈리는 구조로 설치되어 외력을 흡수 분산하는 다수의 제1 아치부재; 및,
    상기 제2,1 아치부재들의 사이로 개재되어 상기 제2,1 아치부재들의 유격을 규제하며 외력을 흡수하는 끼움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백빔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아치부재들은 외력을 흡수하기 위한 아치중공의 구성과 함께, 상호 간 엇갈리는 배열 구조로 걸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백빔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쉬박스의 충격완충박수부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 폭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걸림 고정되고, 가로로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형성된 연결부재의 구성을 통해 구획된 구획공간들의 구성에 의해 그 전체의 구조가 격자형 구조로 이루어져 외력을 완충하는 충격완충판; 및
    상기 구획공간들 속에 삽입되는 구조로 예측 불허의 여러 방향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완충 분산하는 완충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백빔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소정의 중공을 갖는 원형부; 및 상기 원형부의 외주를 따라 다수로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보조중공을 갖는 반호부;
    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서 그 전체적 구조가 해바라기 형태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백빔 구조.
  7. 충격흡수부재, 충격완충판, 제1 아치부재, 제2 아치부재, 끼움부재, 및 완충부재들은 사출 성형의 방식으로 제조되는 강화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강화플라스틱 소재는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 60 내지 65 중량부와 유리섬유(Glass Fiber) 수지 35 내지 40 중량부가 혼합된 복합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백빔 구조.




KR1020180052289A 2018-05-08 2018-05-08 리어 백빔 구조 KR102069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289A KR102069682B1 (ko) 2018-05-08 2018-05-08 리어 백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289A KR102069682B1 (ko) 2018-05-08 2018-05-08 리어 백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300A true KR20190128300A (ko) 2019-11-18
KR102069682B1 KR102069682B1 (ko) 2020-01-23

Family

ID=6872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289A KR102069682B1 (ko) 2018-05-08 2018-05-08 리어 백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6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5503A (zh) * 2020-04-14 2020-09-01 上海凌云工业科技有限公司凌云汽车技术分公司 一种汽车防撞保护构件总成及其制备方法
CN113492783A (zh) * 2020-04-07 2021-10-12 吕国清 双拱型可伸缩防撞梁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42B1 (ko) 2011-06-08 2012-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범퍼용 백빔의 구조
KR20120126427A (ko) * 2011-05-11 2012-11-2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범퍼 스테이
KR101244709B1 (ko) 2011-06-08 2013-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범퍼용 백빔
KR101252221B1 (ko) 2011-11-03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KR101273020B1 (ko) 2011-09-08 2013-06-10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핫 프레스 포밍 빔을 이용하여 경량화가 용이한 범퍼 백빔
KR101305564B1 (ko) 2011-12-12 2013-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튜블러 백빔
KR101319754B1 (ko) 2013-08-02 2013-10-17 정운덕 자동차용 범퍼 백빔
KR101335068B1 (ko) 2013-09-26 2013-12-03 정운덕 자동차용 범퍼 백빔
KR101372004B1 (ko) 2011-12-21 2014-03-12 (주)엘지하우시스 중공단면을 갖는 섬유복합보강재가 내장되어 있는 범퍼백빔 및 이를 갖는 범퍼
KR101438286B1 (ko) 2012-12-12 2014-09-12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충돌 성능을 향상시킨 범퍼 백빔
KR101467032B1 (ko) 2012-07-10 2014-12-01 (주)엘지하우시스 에너지 흡수율을 향상시킨 복합 재료 범퍼 백빔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KR101495885B1 (ko) 2012-06-13 2015-03-02 정운덕 자동차용 범퍼 백빔
KR101617919B1 (ko) 2013-01-25 2016-05-03 (주)엘지하우시스 보강부를 갖는 주행 장치용 백빔
KR101752953B1 (ko) 2014-05-09 2017-07-03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범퍼 백빔 조립체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6427A (ko) * 2011-05-11 2012-11-2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범퍼 스테이
KR101191342B1 (ko) 2011-06-08 2012-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범퍼용 백빔의 구조
KR101244709B1 (ko) 2011-06-08 2013-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범퍼용 백빔
KR101273020B1 (ko) 2011-09-08 2013-06-10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핫 프레스 포밍 빔을 이용하여 경량화가 용이한 범퍼 백빔
KR101252221B1 (ko) 2011-11-03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자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백빔
KR101305564B1 (ko) 2011-12-12 2013-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튜블러 백빔
KR101372004B1 (ko) 2011-12-21 2014-03-12 (주)엘지하우시스 중공단면을 갖는 섬유복합보강재가 내장되어 있는 범퍼백빔 및 이를 갖는 범퍼
KR101495885B1 (ko) 2012-06-13 2015-03-02 정운덕 자동차용 범퍼 백빔
KR101467032B1 (ko) 2012-07-10 2014-12-01 (주)엘지하우시스 에너지 흡수율을 향상시킨 복합 재료 범퍼 백빔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KR101438286B1 (ko) 2012-12-12 2014-09-12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충돌 성능을 향상시킨 범퍼 백빔
KR101617919B1 (ko) 2013-01-25 2016-05-03 (주)엘지하우시스 보강부를 갖는 주행 장치용 백빔
KR101319754B1 (ko) 2013-08-02 2013-10-17 정운덕 자동차용 범퍼 백빔
KR101335068B1 (ko) 2013-09-26 2013-12-03 정운덕 자동차용 범퍼 백빔
KR101752953B1 (ko) 2014-05-09 2017-07-03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범퍼 백빔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2783A (zh) * 2020-04-07 2021-10-12 吕国清 双拱型可伸缩防撞梁
CN113492783B (zh) * 2020-04-07 2024-05-28 吕国清 双拱型可伸缩防撞梁
CN111605503A (zh) * 2020-04-14 2020-09-01 上海凌云工业科技有限公司凌云汽车技术分公司 一种汽车防撞保护构件总成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682B1 (ko)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0842A (zh) 带吸能器的保险杠系统
KR20130068415A (ko) 차량용 범퍼 빔 조립체
KR20090063028A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102069682B1 (ko) 리어 백빔 구조
US10807647B2 (en) Vehicle body structure
KR20150145356A (ko) 차량용 범퍼 백빔
US11352061B2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KR102092667B1 (ko)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
KR102049581B1 (ko) 폐단면 리어 백빔 구조
US10279763B2 (en) Beam for bumper
US9517742B2 (en) Shock absorber member for vehicle, vehicle door panel assembly including shock absorber member and vehicle including door panel assembly
KR101691803B1 (ko) 자동차의 범퍼
KR101372231B1 (ko) 자동차용 범퍼 백빔
KR101523851B1 (ko) 충격흡수 및 회피 구조를 갖는 사이드멤버
JP2020128169A (ja) 車両用フロントフード
KR102251342B1 (ko) 차량용 사이드멤버 구조
KR200271277Y1 (ko) 차량용 전방보조범퍼
KR101463912B1 (ko) 자동차용 범퍼빔
US20240083515A1 (en) Hybrid electric vehicles with a reinforcing devic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member
CN112026931B (zh) 车身上部构造
JPWO2012153601A1 (ja) 車体前部構造体
KR102400178B1 (ko) 자동차용 범퍼빔
KR102400177B1 (ko) 자동차용 범퍼빔
KR102123977B1 (ko) 차량용 범퍼
KR200242749Y1 (ko) 중앙분리대의 안전커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