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858B1 -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858B1
KR101250858B1 KR1020120134233A KR20120134233A KR101250858B1 KR 101250858 B1 KR101250858 B1 KR 101250858B1 KR 1020120134233 A KR1020120134233 A KR 1020120134233A KR 20120134233 A KR20120134233 A KR 20120134233A KR 101250858 B1 KR101250858 B1 KR 101250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larm
fishing vessel
fis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우
Original Assignee
(주)썬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썬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썬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20134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선 및 어선원의 위치발신 단말기로부터 조난신호가 수신되면 알람 경보를 발생하고 각 유관기관으로 상황전파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보 신호를 제공하며, 유관기관으로부터의 어선의 위치정보 등을 통합관리하고 어선 및 어선원의 사고 발생 시부터 상황 종료 시까지 상시 관리하는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하면, 어선 및 어선원의 위치발신 단말기로부터 조난신호가 수신되면 알람경보를 발생하고, 각 유관기관으로 상황전파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구조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marine accident safe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선 및 어선원의 위치발신 단말기로부터 조난신호가 수신되면 알람 경보를 발생하고 각 유관기관으로 상황전파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보 신호를 제공하며, 유관기관으로부터의 어선의 위치정보 등을 통합관리하고 어선 및 어선원의 사고 발생 시부터 상황 종료 시까지 상시 관리하는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보안과 안전에 대한 사항이 규정된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의 해상인명안전협약(SOLAS: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Safety Of Life At Sea)에 따르면, 각종 국제항해선박에는 선박자동식별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와 선박보안감시시스템(SSAS: Ship Security Alert System)이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해상인명안전협약을 비롯한 선박의 장거리위치추적(LRIT: Long-Rang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of ships) 논의나 아시아지역 해적방지협정 및 국제해상보안규칙 등의 국제협약은 체약국이 지켜야 할 국가의무사항이다.
특히, 911테러 이후 해상테러의 위협이 커짐에 따라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 보안 및 안전이 점점 강화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는 선박 운항 상황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선박의 안전 운항을 확보하고 사고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국제항해에 취항하는 여객선 및 5ton 이상의 선박에 선박위치발신장치를 설치할 것을 선박안전법에 규정해 놓고 있으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National Security Council)/국가정보원/행정자치부/해양경찰청 등 국가 주요기관들 간 해양재난정보의 공동활용을 위한 국가 위기관리체제가 마련 중에 있다.
한편, 해양 안전과 관련하여 유럽/미국/캐나다/호주 등의 국가에서는 선박의 관제와 해상 보안시스템을 더욱 확대하고 있고 연안경비대와의 정보를 공유하며 통신비용을 정부에서 보조해 주는 등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는 등 세계 각 국은 통합된 해상 안전시스템 시장으로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911테러 이후 "국제선박과 항만의 보안에 관한 규칙(ISPS)" 및 "선박의 장거리 위치추적(LRIT)"을 강제화하여 세계시장을 이끌고 있으며, 유럽과 일본은 지금까지의 관례처럼 자신들의 표준안을 국제회의에 제안하여 채택시키려 하고 있다.
이에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한국의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통합 해상안전시스템을 연구 개발할 필요성이 있고, 이를 국제회의에 상정하여 국제 표준안으로 채택시킬 필요성이 있다.
더욱이, 해상 보안과 안전에 관한 국제조약과 국내법의 규정 강화로 관련시장은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되므로 조속히 연구 개발하여 세계시장 확보에 나서야 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 선박-선박 및 선박-육상(관제시스템) 간 통신체계는 선박종류와 항해범위에 따라 예컨대 항해범위 100㎞ 이내의 연안해역에서는 선박 자동식별장치(AIS)로, 100㎞∼300㎞의 근해해역에서는 SSB나 위성통신으로, 300㎞ 이상의 원양해역에서는 위성통신으로 항해정보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대부분의 어선은 어업무선국에서 관장하는 음성통신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상이한 통신체계를 사용하는 선박 간 정보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연근해 부근에서 소형 어선과 대형선박 간 충돌사고가 간혹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소형 어선에 비치된 SSB(Single-Side Band)송수신기는 바다에서의 선박위치를 자동으로 발신하는 수단을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파랑이나 좌초에 의한 침몰사고가 발생한 때 신속한 구조가 어렵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토해양부가 AIS통신망을 관리하고 해양경찰청이 VHF/DSC통신망을 관리하는 등 어업/해운관련 통신망을 여러 부처가 분산·관리함으로써 선박의 보안 및 안전확보, 신속한 해상구조활동, 해양자원개발을 위한 종합적인 해양관리체제구축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해양사고 안전관리 서비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정확하고 신속하게 유관기관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 및 기초 정보를 토대로 쉽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여 유관기관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여 신속한 해양 구조가 가능하도록 하며, 유관기관 담당자들이 도착하기 전에 인근 지역에 위치한 어선들과 유기적인 협조 체제를 유지하여 해양 사고시 발생하는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인 것이다.
없음.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어선 및 어선원의 위치발신 단말기로부터 조난신호가 수신되면 알람경보를 발생하고, 각 유관기관으로 상황전파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유관기관으로부터의 어선박 출입항 정보 및 연근해, 원양 어선의 위치정보 등을 통합 관리하고 어선 및 어선원의 사고 발생 시부터 상황 종료 시까지 상시 관리하는 서비스를 구축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어선박의 출항 후 입항 시까지 15분 간격으로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조업 안전정보 제공 및 사고예방을 수행하며, 알람을 1차 및 2차에 걸쳐 제공하여 행정력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어선박의 조난신호 발생시 구조센터에 자동으로 정보가 제공되어지며, 사고발생지 인근 어선박의 최단 거리를 표시하여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5목적은, 조난 신호 발생시 어선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위치추적 단말기의 오작동에 의한 행정력 손실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테스트 관리를 수행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6목적은, 조난자의 위치와 수온 정보를 참조하여 조난자의 생존가능예상 시간과 조난자의 위치발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어선박의 상세 정보를 화면에 제공하여 어선박에 해당 사항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은,
웹 기반으로 관리자 페이지를 제공하여 사용자, 선사, 선원, 선박, 유관기관, 위치발신 단말기, 경보 주기, 운항 제한 지역의 정보를 등록, 수정, 삭제 및 조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운영관리수단(200);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기 위한 어선위치좌표수집부(105)와,
어선원의 위치발신 단말기로부터 조난 신호에 따른 위치 좌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조난어선원위치좌표수집부(110)와,
수집된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 및 어선원의 조난 위치 좌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위치좌표디비(115)와,
어선 제한지역 정보와 운항지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지역정보디비(120)와,
어선의 위치 및 어선원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표시부(125)와,
위치좌표디비에 저장된 위치가 제한지역 침범인지 평상시 운항 지역인지를 판단하여 제한지역 침범이거나, 운항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1차 운항지역 이탈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1차알람발생부(130)와,
상기 1차 알람 발생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제한지역 침범 혹은 운항 지역 이탈을 지속하거나, 어선의 긴급구조 신호 획득시 2차 적색 경보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2차적색경보부(135)와,
상기 2차 적색 경보 알람 발생시, 경보 알람 발생 시간 혹은 생존 보존 예상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부(140)와,
상기 2차 적색 경보 알람 발생시, 어선에 위치 발신 주기 변경 신호를 전송하여 자동으로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 송출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위치정보전송주기자동변경부(145)와,
상기 2차 적색 경보 알람 발생시, 사고 대상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위치좌표디비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비교하여 반경 10킬로미터 이내에 존재하는 어선들의 위치 좌표를 추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있는 주변어선위치좌표디비(150)와,
사고 어선 혹은 어선원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중심으로 전자지도를 이동시킨 후 사고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스크린 좌표계로 변환하여 전자지도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사고화면출력부(155)와,
상기 주변어선위치좌표디비를 참조하여 반경 10킬로미터 이내에 존재하는 어선들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스크린 좌표계로 변환하여 전자지도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주변어선화면출력부(160)와,
사고 대상 어선 및 어선원의 정보를 제공받는 유관 기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유관기관정보디비(165)와,
상기 유관기관정보디비에 저장된 유관기관으로 사고 대상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 및 주변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추출하여 송출하기 위한 유관기관송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100);
상기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에서 송출되는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수의 유관기관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어선 및 어선원의 위치발신 단말기로부터 조난신호가 수신되면 알람경보를 발생하고, 각 유관기관으로 상황전파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구조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유관기관으로부터의 어선박 출입항 정보 및 연근해, 원양 어선의 위치정보 등을 통합 관리하고 어선 및 어선원의 사고 발생 시부터 상황 종료 시까지 상시 관리하는 서비스를 구축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에 따른 즉각적 대응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어선박의 출항 후 입항 시까지 15분 간격으로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조업 안전정보 제공 및 사고예방을 수행하며, 알람을 1차 및 2차에 걸쳐 제공하여 행정력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어선박의 조난신호 발생시 구조센터에 자동으로 정보가 제공되어지며, 사고발생지 인근 어선박의 최단 거리를 표시하여 신속한 구조를 유관기관 담당자들이 도착하기 전에 사전에 수행할 수 있어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난 신호 발생시 어선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위치추적 단말기의 오작동에 의한 행정력 손실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테스트 관리를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조난자의 위치와 수온 정보를 참조하여 조난자의 생존가능예상 시간과 조난자의 위치발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어선박의 상세 정보를 화면에 제공하여 어선박에 해당 사항을 알려주어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1차 알람 발생시 혹은 어선의 긴급구조 신호 획득시 항적 관리서비스를 제공하여 행정력 손실을 제거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운영관리수단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사용자 접속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사용자 관리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선사 정보 등록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선원 정보 등록 화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선박 정보 관리 화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유관기관 정보 관리 화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단말기 정보 관리 화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테스트 관리 화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경보 관리 화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제한지역 관리 화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사용자 인증서비스 화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구조신호 모니터링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운항어선 기본정보 화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어선박 조난신호 경보 화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어선원 조난신호 경보 화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제한지역 침범시 어선박 경보 알람 화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운항지역 이탈시 어선박 경보 알람 화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어선의 구조요청 상황 화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위치정보 전송주기 자동변경 개념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상황발생시 모니터링 화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조업중인 어선의 위치 화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상황 발생시 단계적 모니터링 화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알람 발생 카운팅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어선 조난 상황시 자동 항적 표시 화면.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상황 종료시 흐름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어선원 위치발신기 테스트 흐름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어선원 조난발생 상황 화면.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어선원 조난상황 표시 화면.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조난신호 발생위치 인근 선박 조회 화면.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생존보존 예상시간 도표.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유관기관 연동 흐름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운항지역 이탈 감시 화면.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을 당업자가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은,
웹 기반으로 관리자 페이지를 제공하여 사용자, 선사, 선원, 선박, 유관기관, 위치발신 단말기, 경보 주기, 운항 제한 지역의 정보를 등록, 수정, 삭제 및 조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운영관리수단(200); 해양 사고를 모니터링하여 비상 사태 발생시 유관기관에 해당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100);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에서 송출되는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수의 유관기관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운영관리수단 블록도이다.
상기 운영관리수단은 웹 기반으로 관리자 페이지를 제공하여 사용자, 선사, 선원, 선박, 유관기관, 위치발신 단말기, 경보 주기, 운항 제한 지역의 정보를 등록, 수정, 삭제 및 조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운영관리수단은,
사용자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관리부(210)와,
선사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선사관리부(220)와,
선원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선원관리부(230)와,
선박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선박관리부(240)와,
유관기관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관기관관리부(250)와,
어선원 위치발신 단말기, 어선 위치발신 단말기, 음성통신 단말기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관리부(260)와,
어선 침몰, 선원조난, 제한지역 침범에 대한 경보 종류, 경보 주기 및 경보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경보설정관리부(270)와,
선박의 운항 제한 지역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를 제공하기 위한 제한지역관리부(280)와,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로그인인증부(29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운영관리수단은 정보를 등록, 수정, 삭제, 조회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게 되며, 도 4와 같은 사용자 접속 화면을 최초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운영프로그램은 웹 기반으로 관리자 페이지를 제공하여 모든 정보를 입력, 수정, 삭제를 할 수 있으며, 신속한 정보 검색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관리부(2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①은 유관기관 사용자 등록 시 등급별로 사용권한을 제한하여 사용권한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메뉴 또는 컨텐츠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며, ②는 긴급 상황발생 시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담당자의 필수 정보(핸드폰 번호, 이메일 주소 등)를 입력 하기 위한 것이며, ③은 관리자 권한이 있는 ID로 로그인했을 때만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며, ④는 해당 ID의 로그인부터 로그아웃까지의 접속 상세 내역을 나타낸 화면이다.
상기 선사관리부(2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사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관리부들의 기능을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①은 선사정보 등록란으로 선사의 담당자가 사용자 등록 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며 사용자의 등록요구정보는 최종 관리자가 정보의 신뢰성을 확인 후 최종 가입 승인하게 된다.
관리자 허가가 있어야만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화면이며, ②는 등록된 선사정보 중 사업자등록번호가 고유번호로 자동지정되며 선원관리 및 선박관리와 연동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③의 항목은 관리자가 등록된 모든 선사의 정보를 조회하며 유관기관 사용자는 부여된 권한에 한하여 허가된 선사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며, ④의 항목은 선사 삭제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연관된 선박 및 선원의 정보는 이력을 남겨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선원관리부(23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원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① 항목에 선사 및 유관기관에서 신규 등록하게 되며, 관리자가 정보의 신뢰성을 확인 후 최종 승인하게 된다.
②의 선원 검색 메뉴를 제공하여 이미 등록된 선원이 존재할 경우 신규 등록이 아닌 선원정보 수정을 하며 승인을 요청하도록 하는 것이다.
③의 선원 구명조끼에 설치된 위치추적단말기를 필수사항으로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이며, 긴급상황 시 지정된 자에게 SMS 및 E-Mail이 발송되게 된다.
④의 항목은 관리자가 등록된 모든 선원의 정보를, 유관기관은 부여된 권한에 한하여 허가된 선원의 정보를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선박관리부(24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① 항목에 선사 및 유관기관 사용자가 관련 정보를 등록하게 되며, ② 항목에 선박에 설치된 자동위치발신단말기 고유번호와 음성통신단말기 정보를 등록하게 되는데, SMS로 부여받은 코드를 재입력하여만 등록이 가능하도록 설정하게 된다.
③ 항목에서는 관리자가 등록된 모든 선박의 정보를, 유관기관 사용자는 부여된 권한에 한하여 선박의 정보를 수정변경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유관기관관리부(25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관기관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① 항목에 유관기관별 사용자 특성에 맞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담당자의 비상연락처(핸드폰, 이메일주소 등)를 기입하여 상황전파 시 SMS 및 이메일로 상황발생을 자동으로 통보하게 된다.
상기 단말기관리부(26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선원 위치발신 단말기, 어선 위치발신 단말기, 음성통신 단말기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① 항목에 어선원 위치발신 단말기, 어선 위치발신 단말기, 어선 음성통신단말기로 구분하여 입력하게 되며, ② 항목의 어선원 위치발신 단말기 정보는 선박관리와 연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 운영관리수단(200)은 단말기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는 위치발신 단말기의 테스트 등록 및 조회를 제공하기 위한 테스트관리부(29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① 항목에 위치발신 단말기 정보를 검색하여 장비의 테스트 현황 정보를 제공하게 되며, ② 항목의 위치발신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선택하면 현재까지 테스트 수행 결과정보를 제공하여 장비의 유지보수 및 고장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③ 항목과 같이, 마지막 테스트 일자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테스트관리부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원의 구명조끼에 설치된 위치발신단말기의 테스트 버튼을 클릭하여 정상작동여부를 확인한다.
평상시 정기 일정에 따라 일괄 테스트 및 조업 전 테스트 시 구명조끼에 부착된 위치발신단말기의 테스트 버튼을 눌러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며, 테스트 결과값은 위성을 통해 운영관리수단에 자동으로 저장되며, 테스트 기간 동안 장비 오작동시 상황실에서 관련 유관기관을 통해 상황전파 후 재테스트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선원 조난 침수 시 구명조끼에 부착되어 있는 위치발신 단말기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난자의 위치 정보를 5분 주기로 발신하여 조난자의 위치가 상황실의 모니터링 서비스에 표시되며, 무의식 상태의 조난자가 침수되더라도 위치발신 단말기는 자동으로 작동을 하게 되어 5분 간격으로 위치정보가 발신된다.
또한, 조난자가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도 위치발신 단말기를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경보설정관리부(27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선 침몰, 선원조난, 제한지역 침범에 대한 경보 종류, 경보 주기 및 경보 방법을 설정하게 된다.
① 항목은 어선 침몰, 선원조난, 제한지역침법 등 상황별로 경보종류, 경보주기 및 경보방법 등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며, ② 항목은 상황 별 등록된 경보설정을 변경 및 삭제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한지역관리부(28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의 운항 제한 지역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를 제공하게 된다.
① 항목은 북방한계선, 주요 어장 등 제한지역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며, ② 항목과 같이, 제한지역은 제한선설정, 지역설정으로 구분되게 되며, ③ 항목과 같이, 입력된 제한지역의 경도/위도, 경보종류, 관할기관 조회, 수정, 삭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그인인증부(29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게 되며, ① 항목은 일반로그인과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나타낸 것이며, ② 항목은 관리자가 로그인시 반드시 공인인증서 로그인해야 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의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100)은,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기 위한 어선위치좌표수집부(105)와,
어선원의 위치발신 단말기로부터 조난 신호에 따른 위치 좌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조난어선원위치좌표수집부(110)와,
수집된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 및 어선원의 조난 위치 좌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위치좌표디비(115)와,
어선 제한지역 정보와 운항지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지역정보디비(120)와,
어선의 위치 및 어선원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표시부(125)와,
위치좌표디비에 저장된 위치가 제한지역 침범인지 평상시 운항 지역인지를 판단하여 제한지역 침범이거나, 운항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1차 운항지역 이탈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1차알람발생부(130)와,
상기 1차 알람 발생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제한지역 침범 혹은 운항 지역 이탈을 지속하거나, 어선의 긴급구조 신호 획득시 2차 적색 경보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2차적색경보부(135)와,
상기 2차 적색 경보 알람 발생시, 경보 알람 발생 시간 혹은 생존 보존 예상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부(140)와,
상기 2차 적색 경보 알람 발생시, 어선에 위치 발신 주기 변경 신호를 전송하여 자동으로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 송출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위치정보전송주기자동변경부(145)와,
상기 2차 적색 경보 알람 발생시, 사고 대상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위치좌표디비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비교하여 설정된 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어선들의 위치 좌표를 추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있는 주변어선위치좌표디비(150)와,
사고 어선 혹은 어선원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중심으로 전자지도를 이동시킨 후 사고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스크린 좌표계로 변환하여 전자지도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사고화면출력부(155)와,
상기 주변어선위치좌표디비를 참조하여 반경 10킬로미터 이내에 존재하는 어선들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스크린 좌표계로 변환하여 전자지도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주변어선화면출력부(160)와,
사고 대상 어선 및 어선원의 정보를 제공받는 유관 기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유관기관정보디비(165)와,
상기 유관기관정보디비에 저장된 유관기관으로 사고 대상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 및 주변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추출하여 송출하기 위한 유관기관송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관기관으로부터의 어선박 출, 입항 정보 및 연근해, 원양 어선의 위치정보 등을 통합관리하고 어선 및 어선원의 사고 발생 시부터 상황 종료 시까지 상시 관리하는 서비스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어선위치좌표수집부(105)는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위치좌표디비(115)에 수집된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 및 어선원의 조난 위치① 좌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지역정보디비(120)에는 운영관리수단에서 입력한 어선 제한지역 정보와 운항지역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위치표시부(125)는 치좌표디비(115)에 수집된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참조하여 어선의 위치 및 어선원의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즉,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항 어선의 기본 정보를 제공하게 되며, ① 항목과 같이, 지도에 표시되어 있는 어선박의 아이콘에 마우스를 갖다 대면 말풍선으로 선박명과 위치정보, 수신시각정보, 어선의 진행방향, 속도 등의 정보를 표시하며, 마우스의 위치를 다른 곳으로 옮기면 말풍선이 자동으로 사라지게 된다.
한편, 상기 조난어선원위치좌표수집부(110)는 어선원의 위치발신 단말기로부터 조난 신호에 따른 위치 좌표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치표시부의 처리에 의하여 도 18과 같이 표시하게 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선박의 조난 상황이 발생되면, 자동으로 화면에 표시가 되며, 해당 위치로 지도가 확대되어 표시하여 조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선박에서 조난 신호를 송출하게 되면 이를 획득하여 어선위치좌표수집부에서 수집된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고화면출력부의 처리에 의해 그 즉시 지도에 표시와 함께 경보 알람을 울려주어 상시근무자가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어선박 뿐만 아니라, 어선원의 조난발생 경보 알람을 다르게 설정하여 모니터를 주시하지 않더라도 가청정보로 어선과 어선원의 조난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1차알람발생부 혹은 2차적색경보부에 알람 정보를 다르게 설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1차알람발생부(130)는 위치좌표디비에 저장된 위치가 제한지역 침범인지 평상시 운항 지역인지를 판단하여 제한지역 침범이거나, 운항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1차 운항지역 이탈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선박이 제한지역을 침범할 경우에 운영관리수단에서 설정한 어선을 보호하기 위한 경보 알람을 설정하여 지도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운항제한지역 범위는 운영관리수단의 경보 범위에서 설정 및 변경한 정보에 의해 알람 및 표시되어지며, 관리자는 운항지역이탈을 표시하는 팝업창을 보고 해당 유관기관에 해당 사항을 알려주게 된다.
어선박 제한지역 경보신호가 감지된 경우에 그 즉시 지도에 표시와 함께 경보 알람을 울려 상시근무자가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어선박의 제한지역 침범과 운항지역이탈 경보 알람을 다르게 설정하여 모니터를 주시하지 않더라도 가청정보로 어선의 상황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설정하게 된다.
한편,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항지역을 이탈할 경우에 운영관리수단에서 설정한 어선을 보호하기 위한 경보 알람을 설정하여 지도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지도에 표시하는 기술은 이미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한편, 2차적색경보부(135)는 1차 알람 발생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제한지역 침범 혹은 운항 지역 이탈을 지속하거나, 어선의 긴급구조 신호 획득시 2차 적색 경보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일정시간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며,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부에서 카운팅하게 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관고장 및 좌초 위기에 처했을 때 위치발신장치의 긴급구조요청 버튼을 눌러 구조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에서 이를 획득하여 2차적색경보부에서 적색 경보 알람을 발생시켜 구조기관 및 인근어선에 긴급 구조요청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위급 상황 발생시 1차 및 2차에 걸친 알람을 발생하도록 하는 이유는 어업 활동 중에 밀물 및 썰물에 의해 어선이 움직이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계 구역을 벗어나 제한 지역을 침범할 수 있는데, 이때마다 경보 알람을 울리게 되면 수시로 출동하게 되므로 유관기관의 행정력 손실이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1차 및 2차로 나뉘어 경보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위치정보전송주기자동변경부(145)는 2차 적색 경보 알람 발생시, 어선에 위치 발신 주기 변경 신호를 전송하여 자동으로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 송출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어선박에서 경보알람이 발생하면 위치정보전송 주기를 자동으로 정상작동 15분주기에서 긴급상황으로 인지하여 5분 주기로 변경하여 이동경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보 알람이 해제되면 정상주기로 재전송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위치정보전송주기자동변경부는 2차 적색 경보 알람 해제시, 위치 좌표 송출 주기를 평상시 전송 주기로 자동 변경하게 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정보 발신 주기를 15분 주기로 설정하게 되면 위성을 통해 상황실에 제공하게 되며, 2차 적색 경보 알람 발생시 위성 폴링 서비스에 의해 어선박 위치 발신기의 위치 전송 주기를 자동으로 변경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관기관정보디비(165)에는 사고 대상 어선 및 어선원의 정보를 제공받는 유관 기관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이때, 어선박의 조난발생 신호가 감지되면 화면에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유관기관정보디비에 설정된 담당자와 각 유관기관에 SMS, E-MAIL 등 자동으로 상황전파를 하고 상황 종료 시까지 모든 기록을 남기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은 2차 적색 경보 알람 해제시, 상황 발생부터 해제까지 이벤트 로그를 기록하기 위한 이벤트로그기록부(17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한편, 운영관리수단에서 조난 발생시 구조 협력할 선박과 관련된 유관기관을 등록하여 조난 발생시 자동으로 유관기관에 즉시 조난 사실을 통보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조난상황을 통보받은 유관기관에서는 웹 접속을 통해 상황실과 똑같은 서비스로 조난선박의 위치추적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복합적으로 어선 및 어선원을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은,
1차 알람 발생시 혹은 어선의 긴급구조 신호 획득시 항적 관리서비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항적관리작동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적관리작동부에 의해 조난 선박의 항적 관리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조난위치표시 및 조난발생 화면을 나타내게 되며, 상황발생과 동시에 상황완료시까지 시간을 카운팅하여 기록을 남기게 되며, 조난 선박의 상세정보를 나타내 주며 항적 관리를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중에 하나인 주변어선위치좌표디비(150)는 2차 적색 경보 알람 발생시, 사고 대상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위치좌표디비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비교하여 반경 10킬로미터 이내에 존재하는 어선들의 위치 좌표를 추출하여 별도로 저장하게 된다.
상기 추출된 정보를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변어선위치좌표디비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사고화면출력부(155)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고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중심으로 전자지도를 이동시킨 후 사고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스크린 좌표계로 변환하여 전자지도 화면에 출력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주변어선화면출력부(160)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어선위치좌표디비를 참조하여 관리자가 10킬로미터로 설정하게 되면 반경 10킬로미터 이내에 존재하는 어선들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스크린 좌표계로 변환하여 전자지도 화면에 출력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어선박 조난발생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조난발생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이 표시되어 최단 거리에 있는 인근 어선이 표시되며, 구조기관이 출동하기 전에 신속하게 구조 요청을 하여 인명구조를 최우선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조난신호 위치선박을 중심으로 운영관리수단의 관리자가 설정한 인근 선박 범위 설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반경을 표시하게 되며, 조난신호가 감지된 선박의 아이콘은 빨간색으로 표시하며, 선박명을 노란색으로 표시하여 조난신호 발생 선박임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조난선박 최 인근에 있는 선박이 표시되며 거리표시 및 최우선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선박을 숫자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 25를 참조하여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자면, 모니터링 중에 조난 경보가 발생시 화면은 1 : 500 배율로 자동 줌인되며, 조난경보 알람창이 팝업되고, 경보 발생 카운트도 나타나서 경보 발생 후 얼마의 시간이 흘렀는지 즉시 확인하여보다 빠른 구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운팅부(140)는 2차 적색 경보 알람 발생시, 경보 알람 발생 시간 혹은 생존 보존 예상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람경보 및 상황발생 시부터 상황종료 시까지 자동으로 시간을 카운팅하며, 시간을 카운팅하는 동안 일어나는 모든 상황을 이벤트로그기록부에 의해 로그로 기록하여 보고서 및 통계자료, 사고분석 자료로 활용되어 사고재발방지를 위한 교육자료 등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최초 가청 알람경보를 10분간 또는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알람 지속 시간을 정할 수 있으며, 알람발생 카운트는 상황종료 시까지 작동되며, 강제종료 시 종료 내역을 반드시 기록하여 원인 및 처리결과를 남기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항적관리작동부(180)는 조난 상황발생과 동시에 작동하게 되며 조난자의 위치정보 발신 주기를 빠르게 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최대한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 15분간격으로 위치정보 발신에서 상황발생 시 5분 간격으로 위치정보 발신의 주기를 앞당길 수 있으며, 이를 도 27과 같이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최초 조난위치정보에서 조류 등으로 인해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최근 위치 정보를 정확히 판단하여 구조요청 기관에 통보하기 위해 항적관리를 자동으로 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수색 범위를 좁혀 신속한 구조 및 행정력 낭비를 방지하는 상승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관기관송출부(170)는 유관기관정보디비에 저장된 유관기관으로 사고 대상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 및 주변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추출하여 송출하게 된다.
한편,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기관 및 구조자에 의해 구조가 완료되면 상황실로 구조완료 통보를 하고 상황실 근무자는 상황 알람을 해제하고 상황종료 완료 보고서를 작성한 후 모든 상황이 종료되게 된다.
또한, 사고화면출력부(155)는 조난자의 위치와 수온 정보를 참조하여 조난자의 생존가능예상 시간과 조난자의 위치발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어선박의 상세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게 되는데, 어선원의 조난 상황 표시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난자의 위치표시 및 조난발생 화면을 나타내게 되며, 사이렌 경보를 울려 가청정보를 발생시키며, 상황 발생과 동시에 상황완료시까지 시간을 카운팅하여 기록을 남기게 되며, 조난자의 위치와 수온을 식별하여 조난자의 생존가능예상 시간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조난자의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이 되는 어선박의 상세정보를 나타내 주며 해당 어선박에 전화연결을 시도하게 된다.
또한,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어선화면출력부에 의해 어선원 조난발생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조난발생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이 표시되어 최단 거리에 있는 인근 어선이 표시되어 구조기관이 출동하기 전에 신속하게 구조요청을 하여 인명구조를 최우선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조난신호 위치를 중심으로 운영관리수단의 관리자가 설정한 인근 선박 범위설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반경을 표시해주게 된다.
부수적으로 조난 어선원의 최 인근에 있는 선박이 표시되며, 거리표시 및 최우선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선박을 숫자로 표시하게 된다.
한편,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존보존 예상시간 도표를 별도의 디비에 저장하거나 지역정보디비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이는 어선원 조난신호 발생 시 화면에 표시되며 조난자의 위치정보와 수온 정보를 참조하여 조난자의 생존보존 예상시간을 표시하게 된다.
여름에는 12시간 생존할 수 있으나, 겨울에는 4시간 이상을 생존할 수 없으므로 유관기관에 위치 좌표와 수온 정보 및 생존보존 예상시간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위치좌표디비에 수집된 위치 좌표 데이터는 AIS, 인마셋-C, VHF-DSC, ARGOS, 조업 어선 연동 정보를 통한 위치 수집 좌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관기관과 연동되어 위치정보 및 입출항 정보를 함께 지도에 표시 또는 통계자료로 활용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이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0 :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
200 : 운영관리수단
300 : 유관기관

Claims (10)

  1.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웹 기반으로 관리자 페이지를 제공하여 사용자, 선사, 선원, 선박, 유관기관, 위치발신 단말기, 경보 주기, 운항 제한 지역의 정보를 등록, 수정, 삭제 및 조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운영관리수단(200);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기 위한 어선위치좌표수집부(105)와,
    어선원의 위치발신 단말기로부터 조난 신호에 따른 위치 좌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조난어선원위치좌표수집부(110)와,
    수집된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 및 어선원의 조난 위치 좌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위치좌표디비(115)와,
    어선 제한지역 정보와 운항지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지역정보디비(120)와,
    어선의 위치 및 어선원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표시부(125)와,
    위치좌표디비에 저장된 위치가 제한지역 침범인지 평상시 운항 지역인지를 판단하여 제한지역 침범이거나, 운항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1차 운항지역 이탈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1차알람발생부(130)와,
    상기 1차 알람 발생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제한지역 침범 혹은 운항 지역 이탈을 지속하거나, 어선의 긴급구조 신호 획득시 2차 적색 경보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2차적색경보부(135)와,
    상기 2차 적색 경보 알람 발생시, 경보 알람 발생 시간 혹은 생존 보존 예상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부(140)와,
    상기 2차 적색 경보 알람 발생시, 어선에 위치 발신 주기 변경 신호를 전송하여 자동으로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 송출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위치정보전송주기자동변경부(145)와,
    상기 2차 적색 경보 알람 발생시, 사고 대상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위치좌표디비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비교하여 설정된 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어선들의 위치 좌표를 추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있는 주변어선위치좌표디비(150)와,
    사고 어선 혹은 어선원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중심으로 전자지도를 이동시킨 후 사고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스크린 좌표계로 변환하여 전자지도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사고화면출력부(155)와,
    상기 주변어선위치좌표디비를 참조하여 설정된 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어선들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스크린 좌표계로 변환하여 전자지도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주변어선화면출력부(160)와,
    사고 대상 어선 및 어선원의 정보를 제공받는 유관 기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유관기관정보디비(165)와,
    상기 유관기관정보디비에 저장된 유관기관으로 사고 대상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 및 주변 어선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추출하여 송출하기 위한 유관기관송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100);
    상기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에서 송출되는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수의 유관기관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관리수단(200)은,
    사용자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관리부(210)와,
    선사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선사관리부(220)와,
    선원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선원관리부(230)와,
    선박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선박관리부(240)와,
    유관기관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관기관관리부(250)와,
    어선원 위치발신 단말기, 어선 위치발신 단말기, 음성통신 단말기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관리부(260)와,
    어선 침몰, 선원조난, 제한지역 침범에 대한 경보 종류, 경보 주기 및 경보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경보설정관리부(270)와,
    선박의 운항 제한 지역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 조회를 제공하기 위한 제한지역관리부(280)와,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로그인인증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관리수단은,
    단말기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는 위치발신 단말기의 테스트 등록 및 조회를 제공하기 위한 테스트관리부(29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은,
    2차 적색 경보 알람 해제시, 상황 발생부터 해제까지 이벤트 로그를 기록하기 위한 이벤트로그기록부(1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전송주기자동변경부는,
    2차 적색 경보 알람 해제시, 위치 좌표 송출 주기를 평상시 전송 주기로 자동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관기관송출부는,
    어선원의 조난 신호에 따른 위치 좌표 데이터, 생존보존 예상시간 정보 및 수온 정보와 2차 적색 경보 카운팅 시간 정보를 유관기관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사고모니터링수단은,
    1차 알람 발생시 혹은 어선의 긴급구조 신호 획득시 항적 관리서비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항적관리작동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선원의 위치발신 단말기는,
    구명조끼에 부착되어 물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위성으로 송출하여 재차 어선모니터링 단말기에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화면출력부(155)는,
    조난자의 위치와 수온 정보를 참조하여 조난자의 생존가능예상 시간과 조난자의 위치발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어선박의 상세 정보를 화면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KR1020120134233A 2012-11-26 2012-11-26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KR101250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233A KR101250858B1 (ko) 2012-11-26 2012-11-26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233A KR101250858B1 (ko) 2012-11-26 2012-11-26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858B1 true KR101250858B1 (ko) 2013-04-05

Family

ID=4844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233A KR101250858B1 (ko) 2012-11-26 2012-11-26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858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727A (ko) 2014-12-29 2016-07-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 선박용 dgnss/dmb 내비게이션 시스템
KR20160089694A (ko) 2015-01-20 2016-07-28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어선 안전 조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6806A (ko) * 2015-02-06 2016-08-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안전품질관리서비스방법
KR20160121888A (ko) * 2015-04-13 2016-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의 선박의 안전거리 침입 경고 방법
KR20170035496A (ko) 2015-09-23 2017-03-3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Dmb/ntrip 기반 위성항법 보정과 위치오차 추정 방법 및 선박자동식별 정보 제공 방법
WO2019099596A1 (en) * 2017-11-15 2019-05-23 Pelagic Data, Inc. Distress alert systems and processes related thereto
KR20200030917A (ko) * 2018-09-13 2020-03-23 엑시텍 주식회사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200102172A (ko) * 2019-02-21 2020-08-31 엑시텍 주식회사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KR102212386B1 (ko) 2019-09-25 2021-02-04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웨이브 통신 기반 선박 충돌 회피 시스템 및 방법
CN113573294A (zh) * 2021-09-26 2021-10-29 广东海纬地恒空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能够迅速定位的海洋服务搜救系统
CN113990036A (zh) * 2021-10-28 2022-01-2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一种智能型架空线防触电声光预警装置
CN115346398A (zh) * 2022-08-19 2022-11-15 江苏恒达微波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基于ka波段卫星数据的船只航行轨迹监测系统
KR20220163602A (ko) 2021-06-03 2022-12-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긴급 신호 송신 장치
KR102577287B1 (ko) * 2023-01-31 2023-09-12 주식회사 바바텍 수상주행장치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615917B1 (ko) * 2023-06-30 2023-12-20 주식회사 베타 배수 갑문의 보트 접근으로 인한 위험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635494B1 (ko) * 2023-06-30 2024-02-08 주식회사 베타 배수 갑문의 보트 접근으로 인한 위험 상황 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019B1 (ko) 2002-04-19 2006-01-10 서울텔엔지니어링(주)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무선통신 중계서비스방법,중계처리방법 및 중계시스템
KR100805894B1 (ko) 2007-01-19 2008-02-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00765B1 (ko) 2007-04-25 2009-06-02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선박조난신호 및 해양안전정보 수집/중계가 가능한 다중복합통신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해양안전정보관리시스템
KR101107232B1 (ko) 2010-01-11 2012-01-2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통신을 지원하는 이-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019B1 (ko) 2002-04-19 2006-01-10 서울텔엔지니어링(주)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무선통신 중계서비스방법,중계처리방법 및 중계시스템
KR100805894B1 (ko) 2007-01-19 2008-02-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00765B1 (ko) 2007-04-25 2009-06-02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선박조난신호 및 해양안전정보 수집/중계가 가능한 다중복합통신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해양안전정보관리시스템
KR101107232B1 (ko) 2010-01-11 2012-01-2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통신을 지원하는 이-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통신 방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727A (ko) 2014-12-29 2016-07-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 선박용 dgnss/dmb 내비게이션 시스템
KR20160089694A (ko) 2015-01-20 2016-07-28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어선 안전 조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6806A (ko) * 2015-02-06 2016-08-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안전품질관리서비스방법
KR101670577B1 (ko) * 2015-02-06 2016-10-2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안전품질관리서비스방법
KR102415979B1 (ko) 2015-04-13 2022-07-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의 선박의 안전거리 침입 경고 방법
KR20160121888A (ko) * 2015-04-13 2016-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의 선박의 안전거리 침입 경고 방법
KR20170035496A (ko) 2015-09-23 2017-03-3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Dmb/ntrip 기반 위성항법 보정과 위치오차 추정 방법 및 선박자동식별 정보 제공 방법
US11254400B2 (en) 2017-11-15 2022-02-22 David Belu SOLOMON Distress alert systems and processes related thereto
WO2019099596A1 (en) * 2017-11-15 2019-05-23 Pelagic Data, Inc. Distress alert systems and processes related thereto
KR102098778B1 (ko) * 2018-09-13 2020-05-07 엑시텍 주식회사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200030917A (ko) * 2018-09-13 2020-03-23 엑시텍 주식회사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200102172A (ko) * 2019-02-21 2020-08-31 엑시텍 주식회사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KR102192784B1 (ko) * 2019-02-21 2020-12-21 엑시텍 주식회사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KR102212386B1 (ko) 2019-09-25 2021-02-04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웨이브 통신 기반 선박 충돌 회피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3602A (ko) 2021-06-03 2022-12-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긴급 신호 송신 장치
CN113573294A (zh) * 2021-09-26 2021-10-29 广东海纬地恒空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能够迅速定位的海洋服务搜救系统
CN113990036A (zh) * 2021-10-28 2022-01-2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一种智能型架空线防触电声光预警装置
CN115346398A (zh) * 2022-08-19 2022-11-15 江苏恒达微波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基于ka波段卫星数据的船只航行轨迹监测系统
KR102577287B1 (ko) * 2023-01-31 2023-09-12 주식회사 바바텍 수상주행장치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615917B1 (ko) * 2023-06-30 2023-12-20 주식회사 베타 배수 갑문의 보트 접근으로 인한 위험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635494B1 (ko) * 2023-06-30 2024-02-08 주식회사 베타 배수 갑문의 보트 접근으로 인한 위험 상황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858B1 (ko)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CN100383831C (zh) 一种内河船舶信息系统
CN100589147C (zh) 一种实现区域报警的船载终端及报警方法
CN202110642U (zh) 紧急救助系统
CN101551946A (zh) 船舶安全救助信息化系统及其实施方法
KR101028115B1 (ko) Ais 양방향통신을 이용한 여객선운항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7180071B (zh) 一种基于移动智能终端的大数据风险识别、预警和应急平台
KR20070117244A (ko) 지능형 통합 해상 안전시스템
CN102393993A (zh) 紧急救助系统
CN108140298A (zh) 紧急警报系统和方法
CA2684868C (en) System and method for harvesting business intelligence from maritime communications
CN107481175A (zh) 应急案件处理方法、装置及城市应急联动系统
KR20020034143A (ko)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서비스 방법 및 정보처리 방법및 통신 단말장치
KR101531947B1 (ko) 해상조난 및 해양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중소형 선박 이네비게이터 시스템
WO2008084902A1 (en) Free-pass system for ships
KR20080004825A (ko) 통합 해상 안전장치
JP2010120561A (ja) 船員位置記録システム及び船員位置記録方法
RU99221U1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KR101755326B1 (ko) 비콘 태그를 이용한 연근해 선박의 입출항 관리시스템
CN109118733A (zh) 一种网络报警和处置的系统及方法
JP7452862B2 (ja) 通報処理装置、及び通報処理方法
KR20210079538A (ko)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 대응 방법
CN114091867A (zh) 船舶乘客安全保障系统和船舶乘客安全保障方法
KR20150112253A (ko) 휴대용 디바이스를 이용한 전자해도 및 그 방법
Torii et al. Tsunami early alert and evacuation support system for fishery workers by mobile 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