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602A - 긴급 신호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긴급 신호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602A
KR20220163602A KR1020210071956A KR20210071956A KR20220163602A KR 20220163602 A KR20220163602 A KR 20220163602A KR 1020210071956 A KR1020210071956 A KR 1020210071956A KR 20210071956 A KR20210071956 A KR 20210071956A KR 20220163602 A KR20220163602 A KR 20220163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p member
transmission device
emergency signa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민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3602A/ko
Publication of KR20220163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호 송신 장치는, 베이스부재 및 베이스부재 상에 부착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며, 베이스부재로부터 일 영역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캡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 베이스부재 상에 구비되며,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캡부재를 개방시키는 개방부재,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캡부재가 개방됨에 따라 하우징의 외부로 이탈되어 긴급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및 캡부재와 베이스부재가 접촉하는 경계부에 에너지를 부가하여, 개방부재의 개방을 보조하는 개방 보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긴급 신호 송신 장치{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긴급 신호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사시 선박의 위치 및 긴급 신호를 자동 송신할 수 있는 긴급 신호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기치 못한 선박의 재난 사고로 인한 침몰 시에는,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기가 자동 분리되어 긴급 신호를 자동 송신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송신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장치로부터 송신기의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여 송신 장치의 오작동 및 미작동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극지방에서의 운항하는 선박의 경우, 송신 장치가 동결되어 작동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085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유사시 선박의 위치 및 긴급 신호를 자동 송신할 수 있고, 송신기의 분리가 용이하여 송신 장치의 미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긴급 신호 송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 및 베이스부재 상에 부착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며, 베이스부재로부터 일 영역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캡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 베이스부재 상에 구비되며,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캡부재를 개방시키는 개방부재,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캡부재가 개방됨에 따라 하우징의 외부로 이탈되어 긴급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및 캡부재와 베이스부재가 접촉하는 경계부에 에너지를 부가하여, 개방부재의 개방을 보조하는 개방 보조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와 캡부재가 접촉하는 경계부를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하우징이 안착되는 홈 또는 홀을 구비하는 프레임, 프레임의 상부 혹은 내부에 구비되어 실시간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프레임의 내부에 매설되되, 경계부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열선 및 경계부의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제2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개방부재는, 베이스부재 상에서 캡부재를 향해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핀부재, 핀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에 의해 핀부재의 전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막아 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고정부재가 물과 접촉됨에 따라 핀부재의 고정이 해제되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핀부재가 캡부재를 밀어낸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개방부재의 동작을 감지하는 작동 감지 센서 및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작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캡부재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개방부재의 작동 중에 캡부재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개방 보조기를 작동시켜 개방부재의 개방을 보조하고, 개방 보조기는, 베이스부재의 내부에 매설되되, 베이스부재와 캡부재가 접촉하는 경계부를 따라 배치되는 제1 열선 및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제1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또한, 작동 감지 센서는, 개방부재와 캡부재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고, 제어기는, 압력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캡부재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배터리를 이용하여 제1 열선을 가동시킨다.
또한, 작동 감지 센서는, 개방부재와 캡부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어기는, 거리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특정 값으로 유지되는 경우, 캡부재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배터리를 이용하여 제1 열선을 가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사시 선박의 위치 및 긴급 신호를 자동 송신할 수 있고, 송신기의 분리가 용이하여 송신 장치의 미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호 송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호 송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 보조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호 송신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호 송신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크기, 두께 및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실제 긴급 신호 송신 장치에서는 이와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배선의 연결 구조는 편의를 위해 간략하게 도시된 것으로써, 이와 다른 연결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소정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 하부, 측부 등을 표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장치의 회전이나 배치에 따라 지칭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살펴볼 본 발명의 긴급 신호 송신 장치는, 유사시 선박의 위치 및 긴급 신호를 자동 송신할 수 있고, 극지방에서도 송신기의 분리가 용이하여 송신 장치의 미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용 분야는 특히 극지방에서 운항하는 선박 분야에 가장 적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사시 긴급 신호의 송신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호 송신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호 송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호 송신 장치(100)는 하우징(110), 개방부재(120), 송신기(130) 및 개방 보조기(140)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10)은 베이스부재(111) 및 베이스부재(111) 상에 부착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며, 베이스부재(111)로부터 일 영역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캡부재(112)를 구비한다.
도면상에는 하우징(110)의 하단에 경첩구조를 적용하여 베이스부재(111)와 캡부재(112)가 상방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재(111)와 캡부재(112)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어서, 개방부재(120)는, 베이스부재(111) 상에 구비되며,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캡부재(112)를 개방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아래와 같은 세부 구성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재(120)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개방부재(120)는, 베이스부재(111) 상에서 캡부재(112)를 향해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핀부재(121), 핀부재(121)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22) 및 탄성부재(122)에 의해 핀부재(121)의 전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막아 핀부재(121)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재(123)가 물과 접촉됨에 따라 핀부재(121)의 고정이 해제되어, 탄성부재(122)의 복원력에 의해 핀부재(121)가 캡부재(112)를 밀어내어 캡부재(112)가 베이스부재(111)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고정부재(123)는 탄성부재(122)가 복원되는 것을 막고 핀부재(121)를 고정시키는 고정핀, 고정핀의 이동을 막는 판상부재 및 판상부재와 고정핀의 사이에 구비되어 물을 흡수함에 따라 부피가 커지는 흡수재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수 시 흡수재가 물을 흡수하여 부피가 커짐에 따라, 판상부재가 자동으로 고정핀으로부터 이격되게 되며, 이로 인해, 핀부재(121)를 고정하고 있던 고정핀의 고정이 해제되어, 탄성부재(122)의 복원력에 의해 핀부재(121)가 캡부재(112)를 향해 상승되게 된다.
고정부재(123)의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탄성부재(122)가 복원되지 못하도록 핀부재(121)를 고정시켰다가 물을 감지하여 핀부재(121)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개방부재(120)는 실린더를 이용한 유압 구동 방식 혹은 래크-피니언(rack-pinion) 구조를 이용한 전기 구동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개방부재(120)의 형상 및 구동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해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송신기(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개방부재(120)가 작동하여 캡부재(112)가 개방됨에 따라, 하우징(110)의 외부로 이탈되어 수면 위로 부상하여 긴급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이어서, 개방 보조기(140)는, 베이스부재(111)와 캡부재(112)가 접촉하는 경계부에 에너지를 부가하여, 개방부재(120)의 개방을 보조하는 기능을 하며, 다음과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 보조기(140)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개방 보조기(140)는, 베이스부재(111)의 내부에 매설되되, 베이스부재(111)와 캡부재(112)가 접촉하는 경계부(115)를 따라 배치되는 제1 열선(141) 및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제1 열선(141)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42)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호 송신 장치(100)는, 상술한 개방 보조기(140)의 동작을 위해서 작동 감지 센서(150) 및 제어기(160)의 구성을 더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작동 감지 센서(150)는 개방부재(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개방부재(120)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기(16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작동 감지 센서(15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캡부재(112)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개방부재(120)의 작동 중에 캡부재(112)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개방 보조기(140)를 작동시켜 개방부재(120)의 개방을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긴급 신호 송신 장치(100)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개방 보조기(140)의 동작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작동 감지 센서(150)는, 개방부재(120)와 캡부재(112)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고, 제어기(160)는, 작동 감지 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압력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캡부재(112)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배터리(142)를 이용하여 제1 열선(141)을 가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 감지 센서(150)는, 개방부재(120)와 캡부재(11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어기(160)는, 작동 감지 센서(150)로부터 측정된 거리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특정 값으로 유지되는 경우, 캡부재(112)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배터리(142)를 이용하여 제1 열선(141)을 가동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작동 감지 센서(150) 및 제어기(16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형태로서,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개방 보조기(140)를 작동시켜 개방부재(120)의 개방을 보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개방부재(120)에 수동 구동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개방부재(120)의 고정부재(123)가 물을 감지하여 핀부재(121)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 때, 개방 보조기(140)가 개방부재(120)의 동작을 감지하여 배터리(142)를 구동시켜 제1 열선(141)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베이스부재(111)와 캡부재(112)가 접촉하는 경계부(115)의 주위에 열을 가하여 결빙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개방부재(120)의 동작과 동시에 개방 보조기(140)의 작동이 시작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캡부재(112)의 개방이 필요한 시점에 개방에 더욱 용이한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쉽게 개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방부재(120)에 전기 구동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작동 감지 센서(150)가 압력 혹은 거리를 측정하고 제어기(160)가 기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캡부재(112)의 개방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개방 보조기(140)의 구동여부를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부재(120)가 최대한의 힘으로 캡부재(112)를 가압했음에도 캡부재(112)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결빙 현상과 같은 개방이 어려운 환경적 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개방 보조기(140)의 제1 열선(141)을 구동시킴으로써 하우징(110)을 캡부재(112)의 개방에 용이한 온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개방부재(120) 또한 배터리(14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되므로, 개방부재(120)의 최초 개방 시도 시, 개방 보조기(140)의 제1 열선(141)을 함께 구동시키는 경우, 개방부재(120)의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까지도 소모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열선(141)은, 개방부재(120)의 최초 개방 시도 이후 개방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구동이 시작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일차적으로 개방부재(12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차 시도 이후 여분의 전력으로 제1 열선(141)을 구동시킴으로써, 배터리(142)의 한정된 전력을 효과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술한 개방 보조기(140)의 구동 방법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방 보조기(140)가 제1 열선(141) 및 배터리(142)의 구성으로 마련된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그 구동 방식 및 형태가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방 보조기(140)는 실린더를 이용한 유압 구동 방식 혹은 래크-피니언(rack-pinion) 구조를 이용한 전기 구동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호 송신 장치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호 송신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송신기(130)는 하우징의 베이스부재(111)와 와이어(50)를 통해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50)는 일반적인 섬유재질의 와이어(5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유선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의 형태로 마련되어 선박의 실시간 위치 및 상황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송신기(130)와 베이스부재(111)가 와이어(50)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송신기(130)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난 이후 해류에 의해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송신기(130)와 선박과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송신기(130)의 송신 위치와 선박의 실제 위치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송신기(130)의 송신 위치 범위를 도출하여 선박의 사고 지점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호 송신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호 송신 장치는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 유지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유지기(200)는 프레임(210), 온도 센서(220), 제2 열선(230) 및 구동기(240)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프레임(210)은 베이스부재와 캡부재가 접촉하는 경계부를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하우징(110)이 안착되는 홈 또는 홀을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하우징(110)의 외부 형상을 감싸 지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온도 센서(220)는 프레임(210)의 상부 혹은 내부에 구비되어 프레임(210)의 실시간 온도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기온을 측정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열선(230)은 프레임(210)의 내부에 매설되되, 경계부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며, 구동기(240)는 경계부의 온도 센서(220)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제2 열선(23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긴급 신호 송신 장치가 상술한 온도 유지기(200)의 구성을 더 포함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극지방에서 운항하는 선박의 경우, 전술한 개방 보조기가 작동하더라도 결빙의 상태가 매우 심한 경우, 결빙을 녹이는 데 많은 열 에너지가 소모될 우려가 있다.
하지만 상술한 온도 유지기의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 베이스부재와 캡부재가 접촉되는 경계부에 열을 지속적으로 가해줌으로써, 평상시에도 결빙을 방지할 수 있고, 예기치 못한 침수 시에도 결빙 정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캡부재와 베이스부재의 경계부를, 개방 동작에 용이한 온도 범위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유사시 개방 보조기를 작동하는 경우, 결빙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최소화함에 따라 전력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게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호 송신 장치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종래의 위치 송출 장치는, 유사시 장치의 오작동 혹은 미작동으로 인해 송신기가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특히, 극지방에서 운항하는 선박들에 사용되는 위치 송출 장치의 경우, 외부 노출 장비의 특성상 극저온 온도의 영향으로 위치 송출 장치에 빙결이 발생하여 송신기 분리 작동에 문제가 생기는 단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긴급 신호 송신 장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개방 보조기의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배터리 및 열선의 구성을 가지는 개방 보조기를 더 포함함에 따라, 베이스부재와 캡부재의 경계부에 열을 가하여 개방 작동에 용이한 온도로 만들어주어 캡부재의 개방이 더욱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개방부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였음에도 캡부재의 개방이 용이하지 않은 것을 감지하여 캡부재의 개방을 보조함으로써, 송신 장치의 오작동 혹은 미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긴급 신호 송신 장치
110 : 하우징
111 : 베이스부재
112 : 캡부재
115 : 경계부
120 : 개방부재
121 : 핀부재
122 : 탄성부재
123 : 고정부재
130 : 송신기
140 : 개방 보조기
141 : 제1 열선
142 : 배터리
150 : 작동 감지 센서
160 : 제어기
200 : 온도 유지기
210 : 프레임
220 : 온도 센서
230 : 제2 열선
240 : 구동기
50 : 와이어

Claims (6)

  1.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부착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일 영역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캡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구비되며,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캡부재를 개방시키는 개방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캡부재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이탈되어 긴급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및
    상기 캡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접촉하는 경계부에 에너지를 부가하여, 상기 개방부재의 개방을 보조하는 개방 보조기를 포함하는 긴급 신호 송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캡부재가 접촉하는 경계부를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이 안착되는 홈 또는 홀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 혹은 내부에 구비되어 실시간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매설되되, 상기 경계부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열선;

    상기 경계부의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제2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긴급 신호 송신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서 상기 캡부재를 향해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핀부재;
    상기 핀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핀부재의 전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막아 상기 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가 물과 접촉됨에 따라 상기 핀부재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핀부재가 상기 캡부재를 밀어내는 긴급 신호 송신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부재의 동작을 감지하는 작동 감지 센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캡부재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방부재의 작동 중에 상기 캡부재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개방 보조기를 작동시켜 상기 개방부재의 개방을 보조하고,
    상기 개방 보조기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부에 매설되되,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캡부재가 접촉하는 경계부를 따라 배치되는 제1 열선;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긴급 신호 송신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감지 센서는,
    상기 개방부재와 상기 캡부재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압력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캡부재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열선을 가동시키는 긴급 신호 송신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감지 센서는,
    상기 개방부재와 상기 캡부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거리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특정 값으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캡부재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열선을 가동시키는 긴급 신호 송신 장치.
KR1020210071956A 2021-06-03 2021-06-03 긴급 신호 송신 장치 KR20220163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956A KR20220163602A (ko) 2021-06-03 2021-06-03 긴급 신호 송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956A KR20220163602A (ko) 2021-06-03 2021-06-03 긴급 신호 송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602A true KR20220163602A (ko) 2022-12-12

Family

ID=84391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956A KR20220163602A (ko) 2021-06-03 2021-06-03 긴급 신호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36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858B1 (ko) 2012-11-26 2013-04-05 (주)썬커뮤니케이션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858B1 (ko) 2012-11-26 2013-04-05 (주)썬커뮤니케이션 해양사고 안전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7607B (zh) 用于电刷磨损记录电路的开关
US8245669B2 (en) Water heating systems and methods
US20050255724A1 (en) Flexible leak detection sensor
US5438322A (en) Thermal sensor for detection of potential mechanical failures and transmission of temperature warning signals
US20070245980A1 (en) Water heating systems and methods
US20070246556A1 (en) Water heating system and method
US20070246552A1 (en) Water heating systems and methods
US20070246557A1 (en) Water heating systems and methods
US20070248340A1 (en) Water heating systems and methods
KR20220163602A (ko) 긴급 신호 송신 장치
US5966080A (en) Drain plug warning system
KR20090006786A (ko) 개선된 위급 비콘
WO2002103226A3 (en) Floating seal pick and place system and unit therefor
US20210118285A1 (en) Switching Assembly and Use Thereof in a Handheld Wireless Device For Remotely Activating A Remote Controlled System
JPH11325378A (ja) マリンホース損傷検知用損傷検知装置
US6053051A (en) Compressive force detecting sensor
US11913584B2 (en) Insert valve cut warning system
US20100014987A1 (en) Control Device for a Power Unit
KR20070082615A (ko) 검출회로부를 구비한 수충격 방지장치
DE69819796D1 (de) Ventilantrieb mit Überwachung der Funktionsfähigkeit
WO1996002903A1 (en) Smart bolt device having communications system in separate housing from bolt
US7030744B2 (en) Alert device for pneumatic object
JP2002090251A (ja) 液体検知スイッチ及びそれを用いた液体漏洩検知方法
TW201740415A (zh) 電纜式浮球液位開關之改良防水結構
JP4516185B2 (ja) 変位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