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780B1 -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 - Google Patents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780B1
KR101249780B1 KR1020100135657A KR20100135657A KR101249780B1 KR 101249780 B1 KR101249780 B1 KR 101249780B1 KR 1020100135657 A KR1020100135657 A KR 1020100135657A KR 20100135657 A KR20100135657 A KR 20100135657A KR 101249780 B1 KR101249780 B1 KR 101249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raw material
metal
size
ing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790A (ko
Inventor
이택근
박우진
추동균
김재중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5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7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 B22D43/001Retaining slag during pouring molten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0Cruci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0Crucibles
    • F27B14/12Cov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0Crucibles
    • F27B2014/102Form of the cruci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를 개시한다. 개시된 용해로는, 전반부, 중반부 및 후반부를 가지며,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가 용해되어 용탕이 담겨지는 도가니; 상기 도가니 후반부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도가니 내에 제1크기의 잉곳 상태로 원료를 제공하는 원료 제공 유닛; 및 상기 도가니 후반부의 상부 부분 내에 설치되며, 저면에 상기 원료 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제1크기의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가 상기 제1크기보다 작은 제2크기의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로 상기 도가니 내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다수의 홀을 갖는 청정 박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해로 내부로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의 투입시,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가 자유낙하 위치를 감소시켜 자유낙하에 의해 발생되는 용해 부산물의 교란 및 부유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해 부산물이 용탕 내에 혼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용탕을 보다 더 청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캐스트에 공급되는 용탕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직의 금속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MELTING FURNACE HAVING ECO BOX}
본 발명은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잉곳(Ingot) 상태의 금속 원료 투입시에 도가니 바닥에 존재하는 용해 부산물이 교란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한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얇은 판재의 금속을 얻기 위해서 금속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 공정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금속 스트립 캐스팅 공정은 금속을 잉곳(Ingot) 상태에서 중간 공정 단계, 예를 들어, 슬래브 제조 공정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얇은 판재로 만드는 방법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금속 스트립-캐스팅 공정은 잉곳 상태의 금속을 용해로에 투입하여 용해시킨 후, 금속이 용해된 용탕을 캐스트에 공급하여 슬래브 제조 공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금속 재질의 얇은 판재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금속 스트립 캐스팅 공정에 있어서는 공정 진행 중에도 빈번하게 추가적인 금속 원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정 후반부에서도 잉곳 상태의 금속을 투입시켜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용해로 내의 용탕의 양이 적절한 양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금속 스트립 캐스팅 공정은 보통 10시간 내지 24시간으로 장시간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해로 또한 장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용해로 내에 금속 용해 부산물이 쌓이게 되는바, 상기 금속 용해 부산물을 며칠 또는 몇 주 주기로 청소하여 제거해야만 한다.
여기서, 잉곳 상태의 금속이 용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대표적인 용해 부산물로서, 드로스(Dross)와 슬러지(Sludge)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드로스는 용탕의 산화 등을 통해 발생된 용탕 찌꺼기로서 상기 용탕의 상부에 존재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며, 대부분 산화물과 질화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러지는 상기 드로스 보다 점성이 높은 용탕 찌꺼기로서 용탕의 하부, 즉, 도가니 바닥에 존재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며, 예를 들어, 주로 금속간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일반적인 용해로의 경우, 용해로 전반부의 중심부에 있는 용탕 부분으로부터 펌핑(Pumping)을 통해 캐스트에 용탕, 즉, 금속 원료가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용해로의 경우, 잉곳이 투입될 때, 상기 잉곳이 용해로 내부에서 자유낙하 하기 때문에 드로스는 물론 슬러지, 특히, 용해로의 도가니 바닥에 존재하고 있는 슬러지가 교란되어 용탕 중심부에 혼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이렇게 용탕 중심부에 혼입된 슬러지가 용해로의 전반부까지 이동하여 캐스트로 공급됨으로써 금속 판재 제품의 불량을 유발하게 된다.
특별히, 마그네슘 스트립 캐스팅과 같이 용해 부산물에 민감한 캐스팅 공정에서는 잉곳의 자유낙하에 따른 슬러지의 교란으로 인해 상기 슬러지가 캐스트로 공급되는 현상을 최소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잉곳 투입시의 용해 부산물의 교란 및 부유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킨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해 부산물의 교란 및 부유되는 현상을 최소화시켜 용탕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는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캐스트에 공급되는 용탕의 청정도를 높임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금속 판재를 제조할 수 있는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는, 전반부, 중반부 및 후반부를 가지며,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가 용해되어 용탕이 담겨지는 도가니; 상기 도가니 후반부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도가니 내에 제1크기의 잉곳 상태로 금속 원료를 제공하는 원료 제공 유닛; 및 상기 도가니 후반부의 상부 부분 내에 설치되며, 저면에 상기 원료 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크기의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가 상기 제1크기보다 작은 제2크기의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로 상기 도가니 내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다수의 홀을 갖는 청정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청정 박스는 상기 다수의 홀이 상기 도가니 내의 용탕에 잠기도록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홀은 상기 제1크기의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 투입시의 용해 부산물의 교란 및 부유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청정 박스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 이상에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청정 박스는 상기 용탕과 반응하지 않는 연강(Mild steel)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은 상기 제1크기의 잉곳 상태의 원료보다 1/2∼1/3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은, 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35∼45mm의 폭 및 450∼460mm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은 슬릿(Sl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가니는, 단면상으로 볼 때, 상기 전반부가 후반부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Slope)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가니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도가니가 장착된 본체 상면에 배치되는 덮개; 및 상기 도가니 전반부에 설치되고 용해된 용탕을 캐스트에 제공하는 펌핑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크기의 잉곳 상태의 원료는 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가 공급되는 도가니 후반부의 상부 부분에 측면에 다수의 슬릿을 구비한 청정 박스를 설치하여 용해로를 구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해로 내에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가 투입될 때 상기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가 상기 용해로 내부로 자유낙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잉곳의 자유낙하에 기인하여 도가니 바닥에 존재하는 용해 부산물, 즉, 슬러지의 교란 및 부유를 최소화 또는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용해 부산물의 교란을 억제시킴으로써 상기 용해 부산물이 상기 용탕의 중심부에 혼입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캐스트에 공급되는 용탕의 청정도를 높임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얇은 금속 판재 제품, 예를 들어, 마그네슘 판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에서의 청정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80)는 본체(10), 도가니(20), 덮개(30), 원료 제공 유닛(44), 청정 박스(50) 및 펌핑 유닛(7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그 내부에 도가니(20)를 장착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10)는 그의 외측면이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이며, 그의 내측면은 상기 도가니(20)가 안정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는 1∼1.5m의 깊이, 바람직하게, 1.3m의 깊이를 가지며, 상기 도가니(20)를 가열하도록 설치된 가열 장치(도시안됨)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의 내측면 바닥은 상기 도가니(20)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지만, 그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가니(20)는 그 내부로 제공된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를 녹는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또한, 상기 금속 원료(60)가 용해되어 얻어진 용탕(21)이 담겨지도록 할 목적으로 마련된 것으로, 상기 금속 원료(60)와 반응하지 않는 재료로 제조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원료(60)는 필라(pillar) 형태이면서 제1크기를 갖는 잉곳 상태의 마그네슘이고, 상기 도가니(20)는 마그네슘 잉곳이 용해되는 과정에서 마그네슘과 반응하지 않는 재료로 제조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가니(20)는 전반부(A), 중반부(B) 및 후반부(C)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도가니(20)는, 단면상으로 볼 때, 그 바닥면이 상기 전반부(A)가 후반부(C)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Slope)져 있다. 이것은 용해 부산물, 특히, 슬러지가 도가니(20)의 중반부(B)나 전반부(A)가 아닌 후반부(C) 바닥 부분에 존재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해 부산물은 각각 상기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가 용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며, 예를 들어, 드로스(D)와 슬러지(S)를 들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스(D)는 용탕(21)의 상부에 주로 존재하고, 상기 슬러지(S)는 용탕(21)의 하부, 즉, 도가니(20)의 후반부(C) 바닥에 주로 존재한다. 여기서, 상기 드로스(D)는 용탕(21)의 산화 등을 통해 발생된 산화물 또는 질화물로 이루어진 용탕 찌꺼기이고, 상기 슬러지(S)는 금속간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덮개(30)는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가 투입되는 도가니(20)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도가니(20)의 나머지 부분를 포함한 본체(1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30)는 상기 용탕(21)이 대기 중의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역할한다.
상기 원료 제공 유닛(44)은 상기 도가니(20) 후반부(C)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도가니(20) 내부로 제1크기를 갖는 잉곳 상태의 원료(60)를 제공한다. 상기 원료 제공 유닛(44)은, 예를 들어,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를 운반하는 이송부(40) 및 상기 이송부(40)를 둘러싸는 공급관(Feeding duct; 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40)는,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 등을 포함하며, 제1크기를 갖는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를 도가니(20)의 후반부(C) 상부 부분까지 운반하여 상기 도가니(20) 내에 금속 원료(60)를 투입시키도록 역할한다. 상기 공급관(42)은 상기 제1크기를 갖는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가 상기 도가니(20) 내부로 안전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며, 이송부(42) 전체를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상기 펌핑 유닛(70)은 상기 도가니(20)의 전반부(A)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펌핑 유닛(70)은 용해된 용탕(21)을 캐스트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종단은 도가니(20)의 전반부 중심 부분, 즉, 용탕(21)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펌핑 유닛(70)은 도가니(20) 전반부(A)의 중심부에 있는 용탕(21) 부분으로부터 최대한 용해 부산물이 없는 청정한 용탕(21)을 펌핑을 통해 캐스트에 공급하게 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청정 박스(50)는 상기 도가니(20) 후반부(C)의 상부 부분 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청정 박스(50)는 상기 원료 제공 유닛(44)으로부터 제공된 제1크기를 갖는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가 상기 제1크기보다 작은 제2크기를 갖는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a)로 상기 도가니(20) 내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저면을 제외한 측면에 다수의 홀(H)을 갖도록 마련되고, 특히, 그의 측면에 마련된 다수의 홀(H)이 상기 도가니(20) 내의 용탕(21)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청정 박스(50)는, 예를 들어, 상기 용탕(21)과 반응하지 않는 연강(Mild steel)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청정 박스(50)는 상면이 개방된 다각형 박스, 또는, 원형 박스, 바람직하게,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청정 박스(50)는 저면을 제외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 이상에 다수의 홀(H)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청정 박스(50)의 저면에 홀(H)을 설치하지 않는 것은 상기 청정 박스(50) 내에 유입된 제1크기를 갖는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가 도가니(20) 내부에 담겨진 용탕(21) 내에 바로 자유낙하됨으로써 슬러지와 같은 용해 부산물이 교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청정 박스(50)는, 예를 들어, 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250∼300mm의 폭 및 900∼950mm의 높이를 가지며, 바람직하게, 255mm의 폭 및 920mm의 높이를 가진다.
상기 홀(H)은 상기 제1크기의 잉곳 상태의 원료(60)보다 1/2∼1/3의 작은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홀(H)은, 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35∼45mm의 폭 및 450∼460mm의 높이를 가지며, 바람직하게, 40mm의 폭 및 453mm의 높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홀(H)은 다각형 또는 구형을 갖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H)은 좁고 기다란 슬릿(Slit)은 물론 상대적으로 작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홀(H)을 구비한 청정 박스(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로서, 예를 들어,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질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도 2a는 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청정 박스(50)의 왼쪽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도 1에서와 같이 도가니(20)의 바닥 부분이 아닌 도가니(20)의 중반부(B)에 향하는 면, 예를 들어, 청정 박스(50)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c는, 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청정 박스(50)의 오른쪽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a, b, c는 상기 청정 박스(50)의 전술한 높이에 대응하며, 예를 들어, 상기 청정 박스(50)의 a는 187mm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b는 453mm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c는 280mm의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상기 청정 박스(50)의 높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920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에 해당하는 부분은 다수의 홀(H) 중에서, 좁고 기다린 슬릿 형상으로 구비된 홀(H)을 나타낸다. 상기 b 부분에 구비된 좁고 슬릿 형상의 홀(H)은, 바람직하게는, 40mm의 폭 및 453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청정 박스(50)를 갖는 용해로(80)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홀(H)을 갖는 청정 박스(50)가 상기 도가니(20)의 용탕(21) 내에 잠기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도가니(20) 내에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의 투입시 상기 원료(60)가 상기 도가니(20) 내에서 자유낙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자유낙하에 의해 교란 및 부유되는 용해 부산물(D, S)을 최소화 및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에 따르면, 상기 용해 부산물(D, S)이 상기 용탕(21) 내에 혼입되는 것을 최소화 및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용탕(21)을 보다 더 청정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캐스트에 공급되는 용탕(21)의 청정도를 높임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금속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가니 내의 용탕이 청정화되도록 슬릿 형상의 홀을 갖는 청정 박스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다수의 홀들은 당업자 수준에서 적절히 설계 변경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즉, 용탕(21)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정 박스(50)를 갖는 용해로(80)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이하에서 상기 용해로(80)의 구동 방법은 자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기의 설명을 토대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용탕(21)이 형성된 도가니(20) 내에 제1크기를 갖는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를 투입하기 전에, 상기 도가니(20) 후반부(C)의 상부 부분에 설치된 다수의 홀(H)을 갖는 청정 박스(50) 내에 상기 제1크기를 갖는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를 투입한다.
여기서, 상기 청정 박스(50)는 상기 다수의 홀(H)이 상기 도가니(20) 내의 상기 용탕(21)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용탕(21)이 상기 다수의 홀(H)을 통과하여 상기 도가니(20) 내에 상기 제1크기를 갖는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의 투입시 상기 제1크기를 갖는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가 상기 용탕(21)에 의하여 용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홀(H)들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용탕(21)에 의하여 상기 제1크기를 갖는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가 용해되어 상기 제1크기보다 작은 제2크기의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a)로 된다.
상기 제2크기의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a)는 상기 용탕(21)에 의하여 용해되어 처음에 제공된 제1크기를 갖는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보다 크기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상기 제2크기의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a)가 상기 다수의 홀(H)으로부터 상기 도가니(20) 내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처음에 제공된 제1크기를 갖는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60)가 상기 용탕(21)에 의하여 용해되어 상기 제1크기보다 감소된 크기 및 부피를 가지기 때문에,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용해로 내에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가 투입될 때 상기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가 상기 용해로 내부로 자유낙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잉곳의 자유낙하에 기인하여 도가니 바닥에 존재하는 용해 부산물, 즉, 슬러지의 교란 및 부유를 최소화 또는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용해 부산물의 교란을 억제시킴으로써 상기 용해 부산물이 상기 용탕의 중심부에 혼입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캐스트에 공급되는 용탕의 청정도를 높임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얇은 금속 판재 제품, 예를 들어, 마그네슘 판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고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10 : 본체 20 : 도가니
21 : 용탕 30 : 덮개
44 : 원료 제공 유닛 H : 홀
50 : 청정 박스 60 : 원료
70 : 펌핑 유닛 80 : 용해로

Claims (8)

  1. 전반부, 중반부 및 후반부를 구비하되 단면상 상기 전반부가 후반부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가 용해되어 용탕이 담겨지는 도가니;
    상기 도가니 후반부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도가니 내에 제1크기의 잉곳 상태로 금속 원료를 제공하는 원료 제공 유닛; 및
    상기 도가니 후반부의 상부 부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원료 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크기의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가 상기 제1크기보다 작은 제2크기의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로 상기 도가니 내부로 빠져나가도록 다수의 홀을 갖는 청정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청정 박스는 상기 다수의 홀이 상기 도가니 내의 용탕에 잠기도록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홀은 상기 제1크기의 잉곳 상태의 금속 원료 투입시의 용해 부산물의 교란 및 부유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청정 박스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된 용해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 박스는 상기 용탕과 반응하지 않는 연강(Mild steel)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제1크기의 잉곳 상태의 원료보다 1/2∼1/3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35∼45mm의 폭 및 450∼460mm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슬릿(Sl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도가니가 장착된 본체 상면에 배치되는 덮개; 및
    상기 도가니 전반부에 설치되고 용해된 용탕을 캐스트에 제공하는 펌핑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기의 잉곳 상태의 원료는 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
KR1020100135657A 2010-12-27 2010-12-27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 KR101249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657A KR101249780B1 (ko) 2010-12-27 2010-12-27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657A KR101249780B1 (ko) 2010-12-27 2010-12-27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790A KR20120073790A (ko) 2012-07-05
KR101249780B1 true KR101249780B1 (ko) 2013-04-02

Family

ID=4670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657A KR101249780B1 (ko) 2010-12-27 2010-12-27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651B1 (ko) * 2012-12-06 2015-04-06 (주)에치엠케이 용탕의 반응 유도 장치 및 용탕의 반응 유도 방법
KR102092072B1 (ko) * 2018-11-30 2020-03-23 주식회사 포스코 잉곳의 용해장치
CN112524618B (zh) * 2020-11-27 2023-08-22 重庆商勤禹水环境科技有限公司 便于排渣的废盐熔融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474A (ja) 1996-07-02 1998-01-23 Ykk Corp 溶解炉内への原材料投入装置
JPH1144488A (ja) 1997-07-25 1999-02-16 Nippon Rutsubo Kk ルツボ炉
JP2010127538A (ja) * 2008-11-27 2010-06-10 Taiyo Nippon Sanso Corp 金属溶解炉へのカバーガスの供給方法
KR20100126918A (ko) * 2009-05-25 2010-12-03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용해로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용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474A (ja) 1996-07-02 1998-01-23 Ykk Corp 溶解炉内への原材料投入装置
JPH1144488A (ja) 1997-07-25 1999-02-16 Nippon Rutsubo Kk ルツボ炉
JP2010127538A (ja) * 2008-11-27 2010-06-10 Taiyo Nippon Sanso Corp 金属溶解炉へのカバーガスの供給方法
KR20100126918A (ko) * 2009-05-25 2010-12-03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용해로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용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790A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780B1 (ko) 청정 박스를 갖는 용해로
JP6575355B2 (ja) 連続鋳造機
JP6317478B2 (ja) 環状堰
JP6230847B2 (ja) アルミ溶解保持炉
JP4725244B2 (ja) 連続鋳造用取鍋及び鋳片の製造方法
JP2007161566A (ja) 溶融ガラスの輸送方法及び輸送装置
JP2009066603A (ja) 鋼の連続鋳造方法及び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上ノズル
JP2019214057A (ja) 連続鋳造方法
JP2006247737A (ja) アルミニウム溶湯用スクリーン
JP2004276039A (ja) 高融点金属の電子ビーム溶解方法
JP2008100248A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及び連続鋳造方法
KR101909513B1 (ko) 용강 처리 방법
JP4526251B2 (ja) アルミニウム溶解炉
KR101909512B1 (ko) 용강 이송 장치
JP7011862B1 (ja) 溶湯混合システム
KR20070001071A (ko) 연속 주조 금형 안으로 함유된 용융 금속의 불순물 구속장치
JP2015182113A (ja) インゴット鋳造装置
JP4210063B2 (ja) タンディッシュノズル
JP5450205B2 (ja) 注湯ノズル
JP4471875B2 (ja) アノード鋳造用計量鍋
JP2004098082A (ja) 電磁攪拌を行うステンレス溶鋼の鋳造方法
JP2007326118A (ja) 高清浄度鋼の連続鋳造方法
JP2010179340A (ja) 鋼中の非金属介在物の除去方法
JP2010247201A (ja) 金属インゴットの溶製装置および同装置を用いた金属インゴットの溶製方法
JP2003025048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