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512B1 - 용강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용강 이송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9512B1 KR101909512B1 KR1020170020303A KR20170020303A KR101909512B1 KR 101909512 B1 KR101909512 B1 KR 101909512B1 KR 1020170020303 A KR1020170020303 A KR 1020170020303A KR 20170020303 A KR20170020303 A KR 20170020303A KR 101909512 B1 KR101909512 B1 KR 1019095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supply
- nozzle
- supply unit
- inert gas
- molten ste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8—Pouring-nozzles with gas injec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용강 이송 장치는 래들로부터 턴디시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용강이 이동되는 통로가 마련된 노즐 및 노즐에 연결되어, 노즐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및 상기 턴디시로 용강을 공급하기 시작하는 주조 개시 시점부터 주조 종료 시점까지의 주조 구간 중, 주조 시점에 따라 노즐로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다르게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가스 공급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조 시기에 따라 래들의 용강이 턴디시로 이송되는 노즐로의 불활성 가스의 공급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턴디시 내 개재물을 제거하고, 래들 슬래그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조 시기에 따라 래들의 용강이 턴디시로 이송되는 노즐로의 불활성 가스의 공급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턴디시 내 개재물을 제거하고, 래들 슬래그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강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재물을 제거가 용이하거나, 슬래그 혼입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용강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 주조 설비는 제강 설비로부터 정련된 용강을 공급받아 주편을 제조하는 설비로서, 용강(molten steel)을 운반하는 래들(Ladle), 래들에서 용강을 공급받아 임시 저장하는 턴디시(Tundish), 턴디시로부터 지속적으로 용강을 공급받으면서 이를 주편(Slab)으로 1차 응고시키는 주형(Mold), 주형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인발되는 주편을 2차 냉각시키며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하는 냉각대로 구성된다. 또한, 래들의 용강을 턴디시로 공급하는 쉬라우드 노즐, 턴디시의 용강을 주형으로 공급하는 침지 노즐을 포함한다.
주편 표면 품질은 용강의 개재물에 대한 청정도에 의하여, 그 정도가 결정된다. 예컨대 개재물에 대한 용강의 청정도가 좋지 않을 경우, 개재물 자체로 인하여 주편 표면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고, 개재물에 의해 침지 노즐이 막히며 용강 흐름에 이상이 발생하여 주편 표면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래들의 용강을 턴디시로 이송할 때, 용강이 공기와 접촉하게 되고, 이때 질소가 용강으로 픽업되어, Al, Si, Cr, Ti, Mn, Fe 등 산소와 친화력이 강한 원소들이 산화되는 재산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재산화는 개재물을 형성시키며, 개재물이 턴디시에서 제거되지 않고 주형으로 공급됨에 따라, 주편의 내부 및 표면 품질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래들과 턴디시 사이에 쉬라우드 노즐을 설치하여, 래들의 용강을 쉬라우드 노즐을 통해 턴디시로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급 방법에서도 용강의 재산화에 의한 개재물 발생이 여전히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래들 내 슬래그에는 재산화를 유발하는 FeO, MnO, SiO2, TiO2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래들 내 잔탕의 높이가 낮은 주조 말기에 래들 내에서 와류가 생되며, 와류에 의해 슬래그가 턴디시로 딸려들어오는 문제 즉, 슬래그가 혼입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래들 내에 잔탕을 많이 남기면 슬래그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후 잔탕을 처리하기 위한 비용과 잔탕에 들어가 합금철 비용 등이 고스란히 낭비되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실수율이 낮아져 전체적으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노즐을 통해 턴디시로 용강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용강 중 개재물 제거가 용이하고, 슬래그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용강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래들 내 용강을 턴디시로 이송시키는 용강 이송 장치로서, 상기 래들로부터 상기 턴디시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용강이 이동되는 통로가 마련된 노즐; 및 상기 노즐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및 상기 턴디시로 용강을 공급하기 시작하는 주조 개시 시점부터 주조 종료 시점까지의 주조 구간 중, 주조 시점에 따라 상기 노즐로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다르게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가스 공급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은 내부에 상기 용강이 흐르는 통로가 마련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은, 일단이 상기 바디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바디의 통로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불활성 가스를 이송시키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배관을 포함하는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 상기 바디의 통로와 대응하도록 중앙이 개구된 중공형의 형상이며,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내벽면이 상기 바디의 통로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다공성 부재 및 상기 다공성 부재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 부재를 포함하는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 상기 바디 내부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판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한 쌍의 판 부재 사이에 상기 불활성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슬릿(slit)을 가지는 슬릿 부재를 포함하는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 중 2개를 포함하고, 이들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노즐은 상기 바디 내부로 용강이 유입되는 유입구 주변을 포함하는 상기 바디의 상부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된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스 내측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은 상기 주조 개시 시점부터 주조 말기 시작 시점 전까지의 제 1 구간에서 제 1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주조 말기 시작 시점부터 주조 종료 시점까지의 제 2 구간에서 상기 제 1 유량에 비해 큰 제 2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구간에서 상기 제 1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한다.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은 상기 주조 개시 시점부터 주조 말기 시작 시점 전까지의 제 1 구간에서 제 1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주조 말기 시작 시점부터 주조 종료 시점까지의 제 2 구간에서 상기 제 1 유량에 비해 큰 제 2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며, 상기 제 1 구간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 1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제 2 구간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 중 다른 하나를 이용하여 제 2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한다.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이 상기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와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간에서 상기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를 이용하여 제 1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며, 상기 제 2 구간에서 상기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를 이용하여 제 2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한다.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이 상기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간에서 상기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를 이용하여 제 1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며, 상기 제 2 구간에서 상기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를 이용하여 제 2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한다.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이 상기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간에서 상기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를 이용하여 제 1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며, 상기 제 2 구간에서 상기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를 이용하여 제 2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용강 이송 장치에 의하면, 주조 시기에 따라 래들의 용강이 턴디시로 이송되는 노즐로의 불활성 가스의 공급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턴디시 내 개재물을 제거하고, 래들 슬래그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턴디시 내 용강이 노즐을 통해 몰드로 공급될 때, 개재물이 몰드로 이동되지 않거나, 종래에 비해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래들 슬래그가 노즐로 딸려 들어가는 것이 종래에 비해 차단되거나, 방지되고, 이로 인해 래들 슬래그로 인해 용강이 재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강 이송 장치가 적용된 주조 설비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제 1 노즐 및 이에 연결된 가스 공급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4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주조 시기 또는 시점에 따른 불활성 가스의 유속 조절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제 1 노즐 및 이에 연결된 가스 공급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4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주조 시기 또는 시점에 따른 불활성 가스의 유속 조절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강 이송 장치가 적용된 주조 설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제 1 노즐 및 이에 연결된 가스 공급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주조 시기 또는 시점에 따른 불활성 가스의 유속 조절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용강을 응고시켜 주편을 주조하는 주조 설비는 용강을 수강하는 래들(L), 래들(L)로부터 제공된 용강을 일시 수용하는 턴디시(100), 래들(L)의 용강을 턴디시(100)로 공급하는 노즐(제 1 노즐(200))과 제 1 노즐(200)로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가스 공급부를 구비하는 용강 이송 장치(400), 턴디시(100)로부터 용강을 공급받아 상기 용강을 1차 응고시키는 몰드(500), 턴디시(100) 내 용강을 몰드(500)로 공급하는 노즐(제 2 노즐(600))을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몰드(500)의 하측에서 주조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어 몰드(500)로부터 인발된 주편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회전 구동하는 가이드롤과, 이동되는 주편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래들(Ladle)(L)은 전로 정련을 마친 용강을 수강하여 턴디시(100)로 제공하는 일종의 용기로서, 해당 제철, 제강 또는 주조 분야에서 일반적인 구성이다. 실시예에 따른 래들(L)은 270 톤(Ton) 내지 300 톤(Ton)의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턴디시(100)는 래들(L)로부터 출강된 용강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용강이 배출되는 배출공(111)이 마련된 본체(110), 본체(110) 내부에서 상기 본체(110) 내 바닥과 이격되도록 상측에 설치된 위어(130), 위어(130)와 배출공(111) 사이에서 일단이 본체(110) 바닥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댐(120)을 포함한다.
턴디시(100)의 본체(110)는 래들(L)로부터 출강된 용강을 일시 저장하여, 턴디시(100)의 하측에 위치한 몰드(500)로 공급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래들(L)과 턴디시 본체(1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 1 노즐(200)이 설치되고, 턴디시 본체(110)와 몰드를 연결하도록 제 2 노즐(600)이 설치된다. 배출공(111)은 본체(110)의 바닥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개구로서, 본체(110)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노즐(600)은 통상 해당 기술 분야에서 침지 노즐(SEN : submerged entry nozzle)로 명명되는 노즐로서, 상부가 본체(110) 하부에서 배출공(111)과 연통되고, 적어도 하부가 몰드(500) 내 용강 중으로 침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턴디시 본체(110)로 공급된 용강은 배출공 및 제 2 노즐(600)을 통해 몰드(500)로 주입된다.
용강의 체류 시간을 증대시키고, 상향류를 형성하여, 용강 중 비금속 개재물을 부상 분리시키기 위해, 턴디시(100)의 본체 내부에는 댐(120) 및 위어(weir)(130)가 설치된다.
댐(120)은 턴디시 본체(110)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어, 하부는 본체(110) 바닥과 연결되어 있고, 상단의 상측 공간은 용강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댐(120)은 소정 형상의 블록 형상을 가지며, 그 상하 방향의 길이 또는 높이가 본체의 높이에 비해 작다. 이러한 댐(120)이 본체(110) 바닥에 장착되면, 댐(120)의 상측 공간은 용강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인 통로 역할을 한다.
위어(130)는 턴디시 본체(110) 내부에서 제 1 노즐(200)과 댐(120) 사이에 위치하며, 하단이 본체(110) 바닥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위어(130) 하단의 하측으로 용강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어(130)는 소정 형상의 블록 형상을 가지며, 그 상하 방향의 길이 또는 높이가 본체의 높이에 비해 작다. 이러한 위어(130)의 상단은 본체(110)의 상부, 턴디시 커버 또는 본체(110) 상측에 위치한 다른 구성물에 연결되고, 하단은 본체(110) 바닥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용강이 위어 하부를 통해 이동되도록 한다.
이렇게 턴디시 본체(110) 내에 위어(130) 및 댐(120)이 설치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어긋나 있는 배치 상태가 되어, 위어(130)와 댐(120)에 의해 용강 유동을 변화시켜, 상기 위어(130)와 댐(120) 사이에 용강이 체류되는 시간을 증대시킨다. 용강의 흐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노즐(200)로부터 턴디시 본체(110) 내로 공급된 용강은 본체(110) 바닥에 마련된 배출공(111)을 향해 이동하는데, 이때 배출공(111) 방향으로 이동 중인 용강은 먼저 위어(130)와 충돌하여 유동이 변화되며(도 1의 A), 위어(130)의 하부를 통과하여 빠져 나가, 위어(130)와 댐(120) 사이로 이동한다(도 1의 B, C). 위어(130)와 댐(120) 사이로 이동한 용강은 바로 댐(130) 상측 공간으로 흘러 배출공(111) 방향으로 이동하거나(도 1의 B), 이동 중에 댐(130)에 의해 그 이동이 차단되어, 상기 댐(120)과 충돌되어 그 유동이 변화되며(도 1의 C), 두 흐름 모두 댐(120)의 상측 공간으로 통과되어(도 1의 D)어 댐(120)의 일측 공간으로 이동된 후 배출공(111)을 향해 이동된다.
실시예에 따른 용강 이송 장치(400)는 래들(L)의 용강을 턴디시(100)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일단이 래들(L)에 연결되고, 타단이 턴디시(100)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제 1 노즐(200), 제 1 노즐(200)과 연결되어 불활성 가스 예컨대 Ar(아르곤) 가스를 공급하고, 불활성 가스의 유량 또는 유속을 제어하는 가스 공급 유닛(300)을 포함한다.
제 1 노즐(200)은 래들(L)에 수강된 용강을 턴디시(100)로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통상 해당 기술 분야에서는 쉬라우드 노즐(shroud nozzle)로 명명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노즐(200)은 일단이 래들(L)과 연결되어 래들(L)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턴디시(100) 내에 위치하도록 연장 설치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강 이송 장치(400)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노즐(200)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래들(L)과 대향하는 일단과 턴디시(100)와 대향하는 타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용강이 이동하는 통로(21)가 마련된 바디(210), 바디(210)의 일단을 포함하는 바디(210)의 상부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된 케이스(220)를 포함한다.
바디(210)는 래들(L)과 턴디시(1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래들(L) 내 용강을 턴디시(100)로 공급 또는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바디(210)는 래들(L)로부터 턴디시(100)가 위치한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상측의 개구(이하, 유입구(22))는 래들(L)에 마련된 용강 배출구와 연통되고, 하측 개구(배출구(23))는 턴디시(100)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바디(210)는 고온의 용강을 이송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므로, 내열성을 가지는 재료 예컨대 내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210)는 Al2O3, SiO2, SiC, C 중 적어도 하나의 이루어진 내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20)는 바디(210)의 상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체결되며, 바디(210)의 유입구(22)와 대응하는 방향이 개구된 형상이다. 이때 케이스는 바디(210)의 상부의 측면에 해당하는 외주면과, 바디(210)의 유입구 주변에 해당하는 바디(210)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는 금속(metal)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바디(210)의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이때, 바디(210)의 통로(21)의 직경 변화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바디(210)는 유입구(22)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직경을 가지는 제 1 통로(21a)를 가지는 제 1 본체(211), 제 1 본체(2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 1 본체(211)의 제 1 통로(21a)와 연통되며 연장 방향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 2 통로(21b)를 가지는 제 2 본체(212), 제 2 본체(212)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 2 본체(212)의 제 2 통로(21b)와 연통되며, 제 2 통로(21b)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그 직경이 점차 커지다가 다시 하측 연장 방향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 3 통로(21c)를 가지는 제 3 본체(21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바디(210)를 가지는 제 1 노즐(200)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종형 타입(bell type)의 노즐이라 명명된다.
또한, 바디(210)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가능하다.
예컨대, 바디(210)는 도 3a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와 같이, 유입구(22)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직경을 가지는 제 1 통로(21a)를 가지는 제 1 본체(211) 및 제 1 본체(2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 1 본체(211)의 제 1 통로(21a)와 연통되며 연장 방향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 2 통로(21b)를 가지는 제 2 본체(2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본체(212)의 연장 길이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바디(210)의 제 2 본체(212)의 연장 길이에 비해 길고, 제 1 실시예의 제 2 본체(212)와 제 3 본체(213)의 연장 길이의 합과 대응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바디(210)를 가지는 제 1 노즐(200)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슬릿 타입(slit type)의 노즐이라 명명된다.
또한, 다른 예로 바디(210)에 상기 바디와 다른 내화물로 이루어진 내화물 부재(230)가 추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b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바디(210)의 제 2 본체(212)의 하부 내부에 바디(210)와 다른 내화물 부재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도시한 것이 도 3c의 제 2 변형예이다.
이러한 제 1 노즐(200)을 통해 래들(L) 내 용강이 턴디시(100)로 공급된다. 그런데, 제 1 노즐(200)을 통해 래들(L)의 용강을 턴디시로 공급하더라도, 용강과 공기의 접촉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다. 이에, 용강의 공기 중 질소가 용강으로 픽업되거나, 소와 친화력이 높은 용강 중의 Al, Si, Cr, Ti, Mn, Fe 등이 공기 중 산소와 반응하는 재산화 현상이 발생되며, 재산화의 생성물로 예컨대 Al2O3 와 같은 비금속 개재물(이하, 개재물)이 형성된다. 개재물을 가지는 용강이 그대로 몰드(500)로 공급되어 주편을 주조하면, 주편 내부 및 표면 결함 유발의 원인이 된다.
또한, 래들(L) 내 용강 탕면에 있는 슬래그(즉, 래들 슬래그)에는 재산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FeO, MnO, SiO2, TiO2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주조 말기에 래들(L) 내 용강량(즉, 잔탕)의 높이가 낮아지면, 와류가 발생되고, 이 와류에 의해 래들 슬래그가 용강과 함께 제 1 노즐(200)로 딸려 들어와 턴디시로 이동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노즐(200)을 통해 래들(L)의 용강을 턴디시(100)로 이송 또는 공급할 때, 제 1 노즐(200)로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턴디시(100) 내 용강의 개재물을 제거하고, 주조 말기에 래들(L) 내에서의 용강 와류 발생을 억제시켜 슬래그가 턴디시(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제 1 노즐(200)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를 구비하는 가스 공급 유닛(300)을 설치한다. 가스 공급 유닛(300)은 제 1 노즐(200) 내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래들(L)의 용강을 턴디시로 공급하기 위해, 제 1 노즐(200)로 용강을 이송 또는 공급할 때, 턴디시(100) 내 용강의 개재물 제거 및 래들 슬래그가 제 1 노즐(2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노즐(200)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유닛(300)은 불활성 가스 예컨대, Ar(아르곤) 가스가 저장된 가스 저장부, 일단이 가스 저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바디(210)의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2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가스 공급부, 상기 가스 공급부와 가스 저장부의 연통 및 상기 가스 공급부로의 불활성 가스 공급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가스 공급부의 연장 경로 상에 설치되어 가스 저장부와 가스 공급부 간의 연통을 제어하는 밸브(330) 및 가스 공급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기(MFC; Mass Flow Meter)(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부(310a)는 불활성 가스가 흐르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배관(pipe) 타입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로 명명한다.
즉,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노즐(200)에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가 연결된다. 이때,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는 케이스(2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디(210)의 유입구(22) 주변에 해당하는 바디(210)의 상부면 상에 위치된 케이스(2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그 타단이 케이스(220)의 내주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케이스(220)의 내부에 위치된 유입구 또는 바디(210) 내 상부 통로와 연통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를 포함하는 가스 공급 유닛을 이용하여 제 1 노즐(200)을 통해 래들(L)의 용강을 턴디시(100)로 이송 또는 공급할 때, 제 1 노즐(200)로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턴디시(100) 내 용강의 개재물을 제거하고, 주조 말기에 래들(L) 내에서의 용강 와류 발생을 억제시켜 슬래그가 턴디시(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주조 말기 시점은 래들(L) 내에서 와류가 발생되기 시작하는 시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조 말기 시점은 래들(L) 내 용강 잔탄량에 따라 구분되는데, 연속 주조에 의해 래들(L) 내 용강 잔탕량이 주조 전에 래들(L)로 처음 수강된 용강량의 8% 내지 12%가 되는 시점을 주조 말기 시점으로 한다. 보다 바람지하게 래들(L) 내 용강 잔탕량이 주조 전에 래들(L)로 처음 수강된 용강량의 10% 내외가 되는 시점을 주조 말기 시점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노즐(200)로 용강을 공급 또는 이송시키는데 있어서, 주조 개시 시점부터 주조 말기 시작 시점 전까지의 불활성 가스의 흐름과, 주조 말기 시작 시점부터의 주조 종료 시점까지 불활성 가스의 흐름을 다르게 한다. 즉, 주조 개시 시점부터 주조 말기 시작 시점 전까지는 불활성 가스 또는 상기 불활성 가스가 턴디쉬 내 용강으로 유입됨에 따라 발생되는 버블(bubble)의 흐름이 턴디시(100) 내 하측으로 이송되는 하강류가 되도록 하고, 주조 말기 시점부터는 불활성 가스의 흐름 중 적어도 일부는 래들(L)이 위치한 방향으로의 상승류를 가지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주조 개기 시작 시점부터 주조 말기 시작 시점까지를 제 1 구간, 주조 말기 시작 시점부터 주조 종료 시점까지를 제 2 구간으로 명명한다.
제 1 구간에서 불활성 가스는 주가되는 흐름이 하강류이며, 상승류가 없거나,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구간에서 불활성 가스의 하강류를 형성하는 것은, 하강류의 불활성 가스와 턴디시(100) 내부벽 예컨대 하부벽이 충돌하여 버블(bubble)을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버블이 발생되면, 상기 버블의 표면에 개재물이 부착되며, 버블은 그 비중이 작기 때문에 상측으로 부상한다. 즉, 불활성 가스의 하강류에 의해 형성된 버블의 표면에 개재물이 부착되고, 개재물이 부착된 버블이 용강 탕면으로 부상함에 따라, 용강으로부터 개재물이 분리 부상 즉, 제거된다.
또한, 제 2 구간에서 불활성 가스의 흐름 중 적어도 일부가 상승류가 발생된다는 것은 제 1 노즐(200)로 공급된 불활성 가스의 흐름 중, 일부는 바로 턴디시(100)로 향하는 하강류이고, 다른 일부는 래들(L) 측으로 향하는 상승류임을 의미한다. 이때, 상승류의 량 또는 상승류의 세기는 주조 말기에 제 1 노즐(200)을 통해 이송되는 용강의 흐름을 이기고 상승하여 래들(L)로 올라가, 래들(L)의 용강 배출구 주변에서 와류의 흐름을 방해하여 와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일 수 있다.
상술한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의 불활성 가스의 공급을 다른 말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노즐(200)로 용강을 공급 또는 이송시키는데 있어서, 제 1 구간의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상대적으로 작게(이하, 제 1 유량), 제 2 구간의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상기 제 1 유량에 비해 크게 한다. 여기서, 제 1 구간의 불활성 가스의 유량인 제 1 유량과, 제 2 구간의 불활성 가스의 유량인 제 2 유량 각각은 보다 구체적으로 분당(시간당) 불활성 가스의 량으로서, 유속(L/min) 명명될 수도 있다.
이때, 제 1 구간에서 제 1 노즐(200) 내로 공급되어 흐르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턴디시(100) 내 용강 중 발생된 버블이 턴디시(100) 하측 방향으로 흘러, 턴디시(100) 바닥에 충돌함에 따라 미세 버블이 발생되도록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 1 구간에서는 제 1 노즐(200) 내로 공급되어 흐르는 불활성 가스의 제 1 유량을 5 내지 20L/min로 조절한다.
또한, 제 2 구간에서 제 1 노즐(200) 내로 공급되어 흐르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제 1 노즐(200)의 상측 또는 래들(L)이 위치된 방향으로 흐르는 상승류가 형성되도록 유량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 2 구간에서 제 1 노즐(200) 내로 공급되어 흐르는 불활성 가스의 제 2 유량을 100 L/min 이상, 200L/min 이하로 조절한다.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의 유량이 20L/min을 초과하거나, 3L/min 미만인 경우, 상대적으로 하강류량이 줄어들거나, 개재물의 흡착되는 버블 발생량이 줄어들어 버블에 의한 개재물 부산 분리 제거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구간에서 버블에 의한 개재물의 부상 분리를 유도하기 위하여, 용강이 흐르는 제 1 노즐(200)로 5 내지 20L/min의 제 1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하강류를 형성함으로써 버블을 발생시킨다.
또한,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의 유량이 100L/min 미만인 경우, 래들(L)이 위치한 상측으로 향하는 상승류가 발생하지 않거나, 제 2 구간에서 래들(L) 내에서의 와류 발생을 방해하거나 억제할 정도의 상승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구간에 래들(L) 내 와류 발생에 의해 래들 슬래그가 턴디시로 유입될 수 있다.
반대로, 불활성 가스의 유량이 200L/min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노즐(200)로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의 변화 정도가 너무 큰 헌팅(hunting) 현상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제어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2 구간에 래들(L) 내 와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용강이 흐르는 제 1 노즐(200)로 100L/min 이상, 200L/min 이하의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상승류를 형성함으로써 래들(L) 내 와류 발생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래들(L) 내 슬래그가 턴디시(100)의 용강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가 도 2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노즐(2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는 제 1 및 제 2 변형예에 따른 제 1 노즐(200)에 각기 적용될 수 있다.
가스 공급부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 형태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부는 제 1 실시예에 비해 다공성 부재(311b)를 더 포함한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부는 제 1 노즐(200)의 바디(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미세 구멍 또는 기공을 가지는 다공성 부재(311b) 및 일단이 바디(210) 내로 삽입되어 다공성 부재(311b)와 연결된 공급 부재(312b)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술한 가스 공급부를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로 명명한다.
다공성 부재(311b)는 가스의 통과가 가능한 미세 구멍 또는 기공을 가지는 다공성이며 내화물인 재료로 이루어지고, 예컨대 ZrO2-C(지르코니아 탄소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다공성 부재(311b)는 내화물이며, 복수의 미세 구멍 또는 기공을 가지는 다양한 다공성 재료의 적용이 가능하다.
다공성 부재(311b)는 제 1 노즐(200)의 통로(21)와 대응하도록 중앙이 개구된 중공형의 형상이며, 바디(210) 내부에서 통로를 향하는 내벽면이 바디(210)의 통로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 2 실시예에서는 다공성 부재(311b)가 바디(210)의 상부 내부에 설치되는데, 케이스(220)에 의해 커버된 바디(2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다공성 부재(311b)가 상하 위치적으로 케이스(220)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고, 케이스(220) 내부에 해당하는 바디(2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노즐(200)이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종형 타입(bell type)일 경우, 제 1 본체(211)에서부터 제 2 본체(212)의 일부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다공성 부재(311b)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공성 부재(311b)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노즐의 통로로 공급되는 가스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급 부재(312b)는 다공성 부재(311b)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타단이 가스 저장부와 연결되고, 일단이 제 1 노즐(200)의 통로와 마주보는 다공성 부재(311b)의 일면(내벽면)까지 삽입 설치되지 않고,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이면에 연결되거나, 일면과 이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공급 부재(312b)에 의해 이송된 불활성 가스는 다공성 부재(311b)를 통과하여 제 1 노즐(200)의 통로(21)로 공급된다. 이때, 다공성 부재(311b)로 유입된 불활성 가스는 상기 다공성 부재(311b)의 복수의 기공을 통해 이동 및 확산하여 제 1 노즐(200) 내 통로(21)로 이송된다.
또한, 용강 이송 시에 불활성 공급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즉, 제 1 구간에서 3 내지 20L/min의 유속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 부재로 공급하고, 제 2 구간에서 100 내지 200L/min의 유속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 부재로 공급한다.
상기에서는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 및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 중 하나를 포함하는 가스 공급 유닛에 대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타입의 복수의 가스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따른 가스 공급 유닛(300)은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와,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가 상측에,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가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에 비해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는 바디(210) 상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22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는 케이스(220)의 하측의 바디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가 케이스(220)의 하측에,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가 케이스(220) 및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상하로 서로 다른 타입의 가스 공급부가 설치되는 경우,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에서 각기 다른 타입의 가스 공급부를 이용한다.
즉, 상하로 제 1 및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가 설치되는 경우, 제 1 구간에서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를 이용하여 제 1 유량 즉, 3 내지 20mL/min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고, 제 2 구간에서 다공성 부재(311b)를 포함하는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를 이용하여 제 2 유량 즉, 100L/min 내지 200L/min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와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를 포함하는 가스 공급 유닛(300)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후 설명되는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c)는 상호 마주보며 이격 설치된 한 쌍의 판 부재(31c)를 구비하여, 상기 한 쌍의 판 부재(31c) 사이에 불활성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슬릿(slit)(32)을 가지는 슬릿 부재(311c) 및 슬릿 부재(311c)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 부재(312c)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판 부재(31c)에 의해 구획된 슬릿 부재(311c)가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인 배관의 직경에 비해 상당히 작은 사이즈로서, 0.1mm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 ㎛ 이하이다. 그리고 이러한 슬릿 부재(311c)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슬릿 부재(311c)를 포함하는 가스 공급부를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c)라 명명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유닛(300)은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가 상측에,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c)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의 다공성 부재(311b)가 케이스(220)가 설치된 바디(210) 상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c)의 슬릿 부재(311c)가 케이스(220) 및 다공성 부재(311b) 하측의 바디(210) 내부에 설치된다.
물론,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가 케이스(220) 하측에,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c)가 케이스(220) 및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상하로 제 2 및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b, 310c)가 설치되는 경우, 제 1 구간에서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c)를 이용하여 제 1 유량 즉, 3 내지 20mL/min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고, 제 2 구간에서 다공성 부재(311b)를 포함하는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를 이용하여 제 2 유량 즉, 100L/min 내지 200L/min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제 3 및 제 4 실시예에서는 가스 공급 유닛(300)이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와, 제 1 및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a, 310b, 310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제 5 실시예와 같이 다공성 부재(311b)를 포함하지 않는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유닛(300)은 상측에 설치되는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c)와, 하측에 설치된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c)의 슬릿 부재(311c)는 케이스(220) 및 바디(210) 상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는 케이스(220) 및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c)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상하로 제 1 및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a, 310c)가 설치되는 경우, 제 1 구간에서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c)를 이용하여 제 1 유량 즉, 3 내지 20mL/min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고, 제 2 구간에서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를 이용하여 제 2 유량 즉, 100L/min 내지 200L/min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컨대, 제 1 노즐(200)이 종형 타입이고,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가 하측에 설치되는 경우, 용강의 이송 경로인 통로(21) 중, 면적이 증가 또는 확대되는 영역과 대응하는 바디(210)에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제 2 통로(21b)에서 제 3 통로(21c)로 연장될 때, 제 2 통로(21b)에서부터 하측의 일부 구간까지 면적이 확대되는데, 상기 면적이 넓어지는 제 3 통로(21c)를 구획하는 제 3 본체(213)에 연결되도록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를 연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지 않을 때, 제 1 노즐(200)의 통로를 따라 흐르는 용강에 상기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용강이 제 1 통로(21a), 제 2 통로(21b)를 거쳐 제 3 통로(21c)로 이송될 때, 적어도 제 1 및 제 2 통로(21b) 주위의 내벽면을 타고 내려간다. 그런데,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가 제 1 및 제 2 본체(211, 212)에 설치되는 경우, 제 1 및 제 2 통로(21a, 21b) 주위의 내벽면을 타고 흐르는 용강에 의해 상기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의 일단의 개구가 막힐 수 있다. 그러나, 용강이 제 2 통로(21b)에서 제 3 통로(21c)로 흐를 때, 제 2 통로(21b)의 면적만큼의 폭으로 흐르므로, 용강이 제 2 통로(21b)에서 제 3 통로(21c)로 연장되는 제 3 통로(21c)의 상부의 내벽면을 타고 흐르지 않으므로,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의 일단 개구가 막히지 않는다.
물론,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는 케이스 및 바디 상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의 일단 개구가 막힌 경우, 내부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일단 개구를 뚫을 수 있다.
또한,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c)는 상술한 제 1 및 제 2 변형예에 따른 제 1 노즐(200)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에도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의 일단 개구가 막힌 경우, 내부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일단 개구를 뚫을 수 있다.
상술한 제 2 내지 제 5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바디(210) 형상을 기본으로 하여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제 1 내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310a, 310b, 310c) 중 하나 또는 이 중 2개의 서로 다른 타입의 가스 공급부는 도 3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변형예의 노즐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2,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용강 이송 장치가 적용된 주조 설비를 이용한 주편 주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목적하는 성분으로 성분이 조정이 완료된 또는 정련이 완료된 용강을 턴디시 상측의 래들(L)로 수강시킨다. 이후, 제 1 노즐(200)을 통해 래들(L)의 용강을 턴디시로, 제 2 노즐(600)을 통해 턴디시(100)의 용강을 몰드(500)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S100), 몰드(500)에서 주편을 응고시켜 주편을 연속 주조한다.
이렇게, 제 1 노즐(200)로 용강을 공급하면서, 상기 제 1 노즐(200)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한다. 이때, 현 주조 시점이 주조 말기 또는 주조 말기 시작 시점인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주조 말기 시작 시점 전까지와, 주조 말기 시작 시점 이후로 불활성 가스의 유량 또는 유속을 다르게 조절한다.
즉, 제 1 노즐(200)을 통해 래들(L) 내 용강을 턴디시로 이송시키는데 있어서, 주조 구간 중, 제 1 구간에서는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310a)를 이용하여 제 1 유량(3 내지 20L/min)으로 제 1 노즐(200)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 1 노즐(200)로 공급된 불활성 가스 및 이로 인해 발생된 턴디시(100) 용강 내 버블이 하강류를 형성하며, 이 하강류의 버블이 턴디시(100) 내 벽과 충돌하여 미세 버블을 생성한다. 생성된 미세 버블의 표면에는 용강 중 개재물이 부착되고, 이 버블은 탕면으로 부상된다. 이에 따라 턴디시(100) 내 용강 중 개재물이 부상 분리되며, 따라서 턴디시(100) 내 용강이 제 2 노즐(600)을 통해 몰드(500)로 공급될 때, 개재물이 몰드로 이동되지 않거나, 종래에 비해 억제된다.
그리고, 제 2 구간에서는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310b)를 이용하여 제 1 노즐(200)로 100L/min 이상, 200L/min 이하의 유속(제 2 유속)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 1 노즐(200)로 공급된 불활성 가스 중 적어도 일부의 흐름은 제 1 노즐(200)의 상측 또는 래들(L)로 흐르는 상승류가 된다. 그리고 상승류의 불활성 가스는 래들(L)로 이송되어 래들(L) 내 용강의 와류 흐름을 방해함에 따라, 와류 발생을 억제한다. 특히, 래들(L)의 용강이 제 1 노즐(200)로 배출되는 개구 주변에서의 와류 발생을 억제하고, 상승류는 상기 개구 주변의 와류 발생을 방지하며, 상기 개구 주변의 슬래그를 개구와 멀어지도록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에, 래들 슬래그가 제 1 노즐(200)로 딸려 들어가는 것이 종래에 비해 차단되거나, 방지되고, 이로 인해 래들 슬래그로 인해 용강이 재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L : 래들 100: 턴디시
200: 제 1 노즐 600: 제 2 노즐
500: 몰드
200: 제 1 노즐 600: 제 2 노즐
500: 몰드
Claims (9)
- 래들 내 용강을 턴디시로 이송시키는 용강 이송 장치로서,
상기 래들로부터 상기 턴디시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용강이 이동되는 통로가 마련된 노즐; 및
상기 노즐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및 상기 턴디시로 용강을 공급하기 시작하는 주조 개시 시점부터 주조 종료 시점까지의 주조 구간 중, 주조 시점에 따라 상기 노즐로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다르게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가스 공급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조 개시 시점부터 주조 말기 시작 시점 전까지의 제 1 구간에서, 상기 턴디시 내로 공급된 불활성 가스가 상기 턴디시 내 하측으로 이송되는 하강류가 되도록, 상기 노즐에 제 1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며,
상기 주조 말기 시작 시점부터 주조 종료 시점까지의 제 2 구간에서, 상기 제 1 유량에 비해 크며, 상기 턴디시 내로 공급된 불활성 가스가 상기 래들이 위치한 방향으로 상승류가 되도록, 상기 노즐에 제 2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용강 이송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내부에 상기 용강이 흐르는 통로가 마련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은,
일단이 상기 바디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바디의 통로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불활성 가스를 이송시키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배관을 포함하는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
상기 바디의 통로와 대응하도록 중앙이 개구된 중공형의 형상이며,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내벽면이 상기 바디의 통로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다공성 부재 및 상기 다공성 부재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 부재를 포함하는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
상기 바디 내부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판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한 쌍의 판 부재 사이에 상기 불활성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슬릿(slit)을 가지는 슬릿 부재를 포함하는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용강 이송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 중 2개를 포함하고, 이들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용강 이송 장치.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바디 내부로 용강이 유입되는 유입구 주변을 포함하는 상기 바디의 상부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스 내측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 용강 이송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구간에서 상기 제 1 유량으로, 상기 제 2 구간에서 상기 제 2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용강 이송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구간과 제 2 구간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데 있어서,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에서 서로 다른 타입 가스 공급부를 통해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용강 이송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이 상기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와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간에서 상기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를 이용하여 제 1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며,
상기 제 2 구간에서 상기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를 이용하여 제 2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용강 이송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이 상기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간에서 상기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를 이용하여 제 1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며,
상기 제 2 구간에서 상기 제 2 타입 가스 공급부를 이용하여 제 2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용강 이송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유닛이 상기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와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간에서 상기 제 3 타입 가스 공급부를 이용하여 제 1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며,
상기 제 2 구간에서 상기 제 1 타입 가스 공급부를 이용하여 제 2 유량으로 상기 노즐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용강 이송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0303A KR101909512B1 (ko) | 2017-02-15 | 2017-02-15 | 용강 이송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0303A KR101909512B1 (ko) | 2017-02-15 | 2017-02-15 | 용강 이송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4236A KR20180094236A (ko) | 2018-08-23 |
KR101909512B1 true KR101909512B1 (ko) | 2018-10-18 |
Family
ID=6345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0303A KR101909512B1 (ko) | 2017-02-15 | 2017-02-15 | 용강 이송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951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6858B1 (ko) * | 2019-11-07 | 2021-11-16 | 주식회사 포스코 | 용융물 처리 장치 및 용융물 처리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36508A (en) | 1988-05-03 | 1989-06-06 | Vesuvius Crucible Company | Ladle shroud with co-pressed gas permeable ring |
KR19990028645U (ko) * | 1997-12-27 | 1999-07-15 | 이구택 | 래들연결시 불활성기체 유입을 통한 침적개공장치 |
KR101323298B1 (ko) * | 2011-09-17 | 2013-10-30 | 주식회사 포스코 | 연속 주조 장치 및 불활성 가스 주입 방법 |
KR20130046739A (ko) * | 2011-10-28 | 2013-05-08 | 현대제철 주식회사 | 노즐 실링용 가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2017
- 2017-02-15 KR KR1020170020303A patent/KR10190951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4236A (ko) | 2018-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18675B2 (ja) | 連続鋳造設備の上ノズル | |
KR101909512B1 (ko) | 용강 이송 장치 | |
JP2005131661A (ja) | タンディッシュによる高清浄度鋼の連続鋳造方法と装置 | |
JP5082700B2 (ja) | 鋼の連続鋳造方法 | |
JP2017064778A (ja) | 連続鋳造用の上ノズル | |
KR101909513B1 (ko) | 용강 처리 방법 | |
KR101914084B1 (ko) | 용융물 처리장치 | |
JP4725244B2 (ja) | 連続鋳造用取鍋及び鋳片の製造方法 | |
JP4815821B2 (ja) | アルミキルド鋼の連続鋳造方法 | |
JP2019214057A (ja) | 連続鋳造方法 | |
JP5510047B2 (ja) | 連続鋳造方法および連続鋳造装置 | |
KR101907277B1 (ko) | 용강 유동 방지용 이중 튜브 및 이를 갖는 턴디쉬 | |
KR102361362B1 (ko) | 웰 블록, 주조 장치 및 방법 | |
JP4319072B2 (ja) | 介在物浮上性に優れるタンディシュ | |
KR20130046718A (ko) | 턴디쉬용 스토퍼 | |
JP5053226B2 (ja) |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 | |
JP2010274321A (ja) |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 | |
JPH04238658A (ja) |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 |
KR101881971B1 (ko) | 주조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 |
KR101914089B1 (ko) | 용융물 처리장치 및 용융물 처리방법 | |
JP2024043884A (ja) | ノズルシステム | |
JP2007054861A (ja) |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及び鋳片の製造方法 | |
JP2023067010A (ja) | 溶鋼の供給システム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 |
JPH10249498A (ja) | 底部を密閉した固定堰を備えたタンディッシュによる高清浄度鋼連続鋳造方法 | |
JP2011110561A (ja) | 鋼の連続鋳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