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362B1 - 웰 블록, 주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웰 블록, 주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362B1
KR102361362B1 KR1020200017168A KR20200017168A KR102361362B1 KR 102361362 B1 KR102361362 B1 KR 102361362B1 KR 1020200017168 A KR1020200017168 A KR 1020200017168A KR 20200017168 A KR20200017168 A KR 20200017168A KR 102361362 B1 KR102361362 B1 KR 102361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block
tundish
block body
gas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2750A (ko
Inventor
김장훈
최수완
이우진
유홍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17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36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02Connection arrangemen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6Refining the metal
    • B22D11/117Refining the metal by treat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8Pouring-nozzles with gas inj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웰 블록, 주조 장치 및 방법은,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상기 용융물을 출강시키기 위한 출강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용기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와 상기 출강구의 사이에서 상기 용융물에 기포 커튼을 형성할 수 있는 웰 블록; 및 상기 웰 블록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부;를 포함하여, 용강 중 개재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용강의 재산화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웰 블록, 주조 장치 및 방법{Well block, apparatus for cast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웰 블록, 주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강의 청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웰 블록, 주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 주조 설비는 제강 설비로부터 정련된 용강을 공급받아 주편을 제조하는 설비로서, 용강(molten steel)을 운반하는 래들(Ladle), 래들에서 용강을 공급받아 임시 저장하는 턴디시(Tundish), 턴디시로부터 지속적으로 용강을 공급받으면서 이를 주편(Slab)으로 1차 응고시키는 몰드(Mold), 몰드에서 인발되는 주편을 2차 냉각시키며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하는 냉각대로 구성된다.
용강은 턴디시에 수강되어 소정 시간 체류되며 개재물이 부상 분리되고 슬래그가 안정화되며 재산화가 방지된다. 이후, 용강은 몰드로 공급되어 주편의 형상으로 초기 응고층을 형성하는데, 이때, 주편의 표면 품질이 결정된다.
몰드에서의 주편 표면 품질은 용강의 개재물에 대한 청정도에 의하여, 그 정도가 결정된다. 예컨대 개재물에 대한 용강의 청정도가 좋지 않을 경우, 개재물 자체로 인하여 주편 표면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고, 개재물에 의해 침지 노즐이 막히며 용강 흐름에 이상이 발생하여 주편 표면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용강은 턴디시에서 용강이 소정 시간 체류하면서 개재물이 부상 분리되는 정도에 따라, 개재물에 대한 청정도가 상당 부분 달라지며, 개재물의 부상 분리되는 정도는 용강 턴디시에서 체류되는 시간에 비례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턴디시에서의 용강 체류 시간을 길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 턴디시 내부에 댐(Dam)이나 위어(Weir) 등과 같은 구조물을 구축하여 용강의 흐름을 제어하여 용강의 체류 시간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용강에 혼입된 개재물 중 크기가 비교적 큰 개재물은 턴디시 내에서 부상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제거되지만,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미세 개재물, 예컨대 크기가 30㎛ 이하인 미세 개재물은 턴디시 내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즉, 미세 개재물은 부상 분리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턴디시 내에서 용강의 체류 시간보다 길기 때문에 턴디시의 댐과 위어를 이용하여 쉽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턴디시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용강 중에 기포를 형성하고, 용강 중 미세 개재물을 기포에 포획시켜 용강 상부에 슬래그로 유입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턴디시 내부의 일부 영역에서 불활성 가스가 취입되기 때문에, 턴디시로 주입되는 용강 전체가 불활성 가스와 접촉하지 못하므로 용강 중 미세 개재물을 충분하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EP 0509699 A
본 발명은 용강 중 개재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웰 블록, 주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강의 청정도를 확보하여 주조 중 노즐 막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웰 블록, 주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웰 블록은, 용융물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를 형성하는 웰 블록 몸체; 및 가스를 분사할 수 있고, 상기 관통구와 이격되도록 상기 웰 블록 몸체에 형성되는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웰 블록 몸체는 상기 관통구를 형성하는 내주면, 상기 내주면과 이격되는 외주면, 상기 내주면과 상기 외주면을 연결하는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사부의 일부는 상기 내주면과 상기 외주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웰 블록 몸체의 상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분사홈과, 상기 분사홈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홈은 상기 관통구와 이격되고, 상기 웰 블록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홈의 폭은 0.1 내지 10㎜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홈의 폭은 상기 웰 블록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변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웰 블록 몸체의 내부에 상기 웰 블록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웰 블록 몸체의 상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분사홈과, 상기 유로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홈은 상기 웰 블록 몸체의 내주면에서 100 내지 300㎜ 이격된 거리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홈의 폭은 상하방향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홈은 상기 웰 블록 몸체의 상부면에 복수 개의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웰 블록 몸체보다 밀도가 낮은 물질로 형성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분사홈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장치는,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상기 용융물을 출강시키기 위한 출강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용기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와 상기 출강구의 사이에서 상기 용융물에 기포 커튼을 형성할 수 있는 웰 블록; 및 상기 웰 블록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철피와, 상기 철피의 내부에 축조되는 내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웰 블록은, 상기 내화물과 접촉하는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과 이격되고, 상기 출강구를 형성하는 내주면과, 상기 철피와 접촉하고 상기 외주면과 상기 내주면을 연결하는 하부면 및 상기 외주면과 상기 내주면을 연결하는 상부면을 포함하는 웰 블록 몸체; 및 상기 웰 블록 몸체의 상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분사홈과, 상기 분사홈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을 포함하는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홈은 상기 내화물 및 상기 출강구와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홈은 상기 출강구의 가장자리에서 100 내지 300㎜ 이격된 거리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분사홈의 적어도 일부에 매립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웰 블록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다공성 내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방법은, 주편을 주조하는 방법으로서, 웰 블록이 설치된 턴디시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웰 블록에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턴디시 내부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과정; 상기 턴디시에 용강을 주입하는 과정; 상기 턴디시 내 용강을 몰드에 주입하는 과정; 및 상기 턴디시에 주입된 용강량에 따라 상기 웰 블록에 주입되는 가스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턴디시에 형성된 출강구의 둘레 방향으로 가스를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강을 몰드에 주입하는 과정 동안 상기 용강 중에 상기 출강구의 둘레 방향으로 기포 커튼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용강을 몰드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턴디시에 주입된 용강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최대 높이가 될 때까지 가스의 주입량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턴디시에 주입된 용강의 높이가 상기 최대 높이에서 감소하면 가스의 주입량을 감소시키는 과정; 및 상기 턴디시에 주입된 높이가 미리 설정된 최소 높이가 되면 상기 웰 블록에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용강 중 개재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턴디시의 출강구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웰 블록을 설치하여, 출강구를 통해 출강되는 용강과 불활성 가스를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턴디시 내 용강이 출강구를 통해 출강되면서 웰 블록에서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와 접촉하게 되므로, 용강 중 개재물을 충분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용강의 청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주조 시 발생할 수 있는 노즐 막힘이나 주편 결함의 발생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웰 블록을 전면에서 투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웰 블록의 단면도.
도 4는 유로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웰 블록을 전면에서 투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웰 블록에 형성되는 분사구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분사홈에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 플러그를 개재한 상태를 보여주는 웰 블럭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고,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정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크기가 부분적으로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장치는, 용융물(M)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100)와, 용융물(M)을 출강시키기 위한 출강구(114)를 형성하도록 용기(100)에 구비되고, 용기(100)와 출강구(114) 사이에서 용융물(M)에 기포 커튼을 형성할 수 있는 웰 블록(200) 및 웰 블록(200)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용기(100)는 턴디시를 포함할 수 있고, 용융물은 용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용기(100)를 턴디시(100)라 하고, 용융물(M)은 용강(M)이라 한다.
턴디시(100)는 내부에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턴디시(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철피(110)와, 철피(110)의 내부에는 고온의 용강에 견딜 수 있는 내화물(120)이 축조될 수 있다. 이때, 내화물(120)은 MgO 혹은 Al2O3-MgO를 주성분으로 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턴디시(100)의 바닥에는 턴디시(100) 내에 수용되는 용강을 몰드(4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용강을 배출시킬 수 있는 출강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출강구(114)에는 턴디시(100) 내에 수용된 노즐 조립체(300)가 연결될 수 있다. 노즐 조립체(300)는 턴디시(100)와 별도의 구조물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턴디시(100)에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노즐 조립체(300)를 턴디시(100)에서 분리하는 경우, 턴디시(100)의 내화물(1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턴디시(100)에 웰 블록(200)을 설치할 수 있다. 웰 블록(200)은 턴디시(100)에 구비되어 출강구(114)를 형성하며, 노즐 조립체(300)를 턴디시(100)에 연결 또는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웰 블록(200)은 턴디시(100)를 구성하는 내화물(120)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조립체(300)의 일부는 출강구(114)를 통해 턴디시(100) 내부에 삽입되고, 일부는 턴디시(100)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노즐 조립체(300)는 상부 노즐(310)과, 상부 노즐(3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슬라이딩 게이트(320) 및 슬라이딩 게이트(320)에 연결되는 침지 노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노즐(310)의 상부는 턴디시(100)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는 턴디시(10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노즐(310)의 상부는 웰 블록(200)에 의해 형성되는 출강구(114, 후술하는 관통구(212))에 삽입되어 턴디시(100)에 고정되고, 상부 노즐(310)의 하부는 턴디시(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상부 노즐(310)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게이트(320)가 연결될 수 있고, 슬라이딩 게이트(320)의 하부에는 침지 노즐(330)이 연결되어, 몰드(400) 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게이트(320)는 상부 노즐(310)과 침지 노즐(330)의 사이에 구비되어 몰드(400)로 공급되는 용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슬라이딩 게이트(320)는 상부 플레이트(미도시)와, 상부 플레이트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미도시) 및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 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플레이트, 중간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에는 각각 용강이 이동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중간 플레이트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통공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턴디시(100)에서 몰드(400)로 공급되는 용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노즐 조립체(300)가 상부 노즐(310), 슬라이딩 게이트(320) 및 침지 노즐(3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노즐 조립체(300)는 상부 노즐(310)과 침지 노즐(33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주조 설비는 턴디시(100)의 상부에서 출강구(114)를 개폐할 수 있는 스토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웰 블록을 전면에서 투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웰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웰 블록(200)은 용강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212)를 형성하는 웰 블록 몸체(210) 및 관통구(212)와 이격되도록 웰 블록 몸체(210)에 형성되는 분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웰 블록(200)은 턴디시(100)에 설치되어, 용강(M)이 배출될 수 있는 출강구(114)를 형성하며, 출강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용강에 가스, 예컨대 아르곤 가스(Ar) 등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웰 블록(200)에서 분사되는 가스는 용강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고, 출강구(114) 주변에 기포 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기포 커튼은 출강구(114)와 턴디시(100), 예컨대 턴디시(100)의 내화물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턴디시(100)에 수용된 용강을 접촉시켜 용강에 함유되는 개재물을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턴디시(100)에 수용된 용강은 출강구(114)를 통해 몰드(400)로 배출되기 때문에, 용강은 출강구(114)로 빠져나가기 이전에 출강구(114) 주변에 형성되는 기포 커튼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강이 기포 커튼에 접촉하게 되면, 용강 중 개재물이 기포에 부착 또는 포획되고, 이렇게 기포에 부착 또는 포획된 개재물은 기포와 함께 용강 상부로 부상하여 용강(M) 상부의 슬래그(S)로 유입되어 제거될 수 있다.
웰 블록 몸체(210)는 내주면(210a), 내주면(210a)과 이격되는 외주면(210b), 내주면(210a)과 외주면(210b)을 연결하는 상부면(210c) 및 하부면(210d)을 포함하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웰 블록 몸체(21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212)가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웰 블록(200)을 턴디시(100)에 설치하는 경우, 관통구(212)는 턴디시(100)의 출강구(11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웰 블록 몸체(210)는 적어도 일부가 턴디시(100)의 내화물(120) 및 철피(11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즉, 웰 블록 몸체(210)의 외주면은 턴디시(100)의 내화물(120)과 직접 연결될 수 있고, 하부면(210d)은 철피(1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웰 블록 몸체(210)의 내주면(210a)은 웰 블록(200)을 턴디시(100)에 설치했을 때 출강구(114)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웰 블록 몸체(210)의 상하방향 길이는 높이라 하고, 수평방향 길이는 길이라 한다. 그리고 웰 블록 몸체(210)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분사부(220)는 웰 블록 몸체(210)의 상부면(210c)을 통해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웰 블록 몸체(210)에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220)는 웰 블록 몸체(210)에 형성되는 분사홈(222)과, 분사홈(222)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224)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홈(222)은 웰 블록 몸체(210)의 내주면(210a)과 외주면(210b)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웰 블록 몸체(210)의 상부면(210c)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상, 예컨대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홈(222)은 웰 블록 몸체(2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홈(222)은 웰 블록 몸체(210)의 내주면(210a) 또는 출강구(114)와, 턴디시(100)의 내화물(120)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웰 블록 몸체(210)의 내주면(210a) 또는 출강구(114)의 가장자리에서 분사홈(222)의 일측, 예컨대 분사홈(222)이 시작되는 부분까지의 거리(L)는 100 내지 300㎜ 정도 또는 150 내지 200㎜ 정도일 수 있다. 웰 블록 몸체(210)의 내주면(210a)에서 분사홈(222)까지의 거리(L) 또는 출강구(114)와 분사홈(222)까지의 거리(L)가 지나치게 가까우면, 분사홈(222)에서 분사되는 가스가 부상하지 못하고 출강구(114)로 이동하는 용강의 흐름에 흐름에 휩쓸려 몰드(4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분사홈(222)에서 분사되는 가스를 이용하여 용강에 함유되는 개재물을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반면, 웰 블록 몸체(210)의 내주면(210a)에서 분사홈(222)까지의 거리(L)가 지나치게 멀면, 용강 중 일부가 분사홈(222)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접촉하지 못하고 출강구(114)로 출강되어 용강 중 개재물 제거 효율이 저감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하나의 분사홈(222)이 웰 블록 몸체(2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분사홈(222)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분사홈(222)은 웰 블록 몸체(210)의 중심(C), 예컨대 웰 블록 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중심(C)을 기준으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홈(222)의 깊이(D)는 웰 블록 몸체(210) 전체 높이를 1이라 할 때, 0.3 내지 0.7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홈(222)의 깊이(D)가 지나치게 얕은 경우에는 분사홈(222)으로 주입되는 가스가 분사홈(222) 내에서 충분하게 확산되지 못하고 용강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사홈(222)을 따라 가스가 균일하게 분사되지 않아, 용강 중 일부가 가스와 접촉하지 못하고 출강구(114)로 출강되어, 용강 중 개재물을 충분하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반면, 분사홈(222)의 깊이(D)가 지나치게 깊은 경우, 분사홈(222)으로 분사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웰 블록 몸체(210)에 크랙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여, 분사홈(222)으로 주입된 가스가 용강 중으로 분사되지 않고 턴디시(100) 외부로 유출되는 등의 조업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사홈(222)의 폭(W), 예컨대 웰 블록 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분사홈(222)의 길이는 0.1 내지 10㎜ 정도 또는 1 내지 3㎜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사홈(222)의 폭(W)은 웰 블록 몸체(210)의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사홈(222)의 폭(W)이 변화하도록, 예컨대 분사홈(222)의 폭(W)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분사홈(222)의 폭(W)이 작을수록 기포를 미세하게 형성할 수 있어 개재물을 제거하는데 좋으나,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 분사홈(222)의 폭(W)이 지나치게 크면 가스가 분사되면서 용강에 거대 기포가 발생하여, 개재물 제거에 효과적이지 않다. 또한, 거대 기포가 부상하여 용강 상부의 슬래그를 밀어내면서 용강의 탕면이 대기에 노출되는 나탕이 형성되기 때문에 용강이 산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분사홈(222)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분사홈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웰 블럭의 단면도이다.
분사홈(222)은 상하방향으로 폭(W)이 변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분사홈(222)은 가스가 유입되는 하부측 폭이 가스가 분사되는 상부측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주입관(224)을 통해 분사홈(222)으로 주입된 가스가 분사홈(222)의 하부측에서 확산된 후 상부측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분사홈(222)의 하부측으로 유입된 가스는 분사홈(222)의 상부측으로 유동하면서 가속되어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분사홈(222)이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폭(W)을 갖도록 형성될 때보다 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키더라도 가스의 분사 압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사홈(222)에서 분사되는 가스를 통해 출강구(114) 주변에 기포 커튼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분사홈(222)은 상하방향으로 폭(W)이 증가하는 구간과 폭(W)이 감소하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폭(W)이 증가하는 구간과 폭(W)이 감소하는 구간은 적어도 1번 이상 반복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스가 배출되는 분사홈(222)의 상부측에는 폭(W)이 감소하는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사홈(222)으로 주입된 가스는 폭(W)이 증가하는 구간과 폭(W)이 감소하는 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스의 이동 속도가 반복적으로 가속되어 분사홈(222)에서 분사되는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분사홈(222)에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저감시키더라도 출강구(114) 주변에 기포 커튼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주입관(224)은 턴디시(100) 외부에 마련된 가스공급부(미도시)에서 공급되는 가스, 예컨대 불활성 가스를 분사홈(222)에 주입할 수 있도록, 웰 블록 몸체(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주입관(224)은 분사홈(222)과 연통되도록 웰 블록 몸체(210)의 외주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웰 블록 몸체(210)에 연결될 수 있다. 주입관(224)은 웰 블록 몸체(210) 내부에 분사홈(222)과 연통되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배관 등을 웰 블록 몸체(210)에 삽입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주입관(224)은 전자의 경우, 웰 블록 몸체(2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일부는 웰 블록 몸체(2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일부는 웰 블록 몸체(210)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주입관(224)은 웰 블록 몸체(210)에는 한 개의 주입관(224)이 연결될 수도 있고, 웰 블록 몸체(210)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분사홈(222)에 가스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웰 블록 몸체(210)에는 복수 개의 주입관(224)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가스공급부에 마련되는 가스공급배관(미도시)으로 턴디시(100)의 바닥면이나 측면 등을 관통시켜 주입관(224)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웰 블록을 전면에서 투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웰 블록(200)은 웰 블록 몸체(210) 및 웰 블록 몸체(210)의 외부로 가스를 분사하기 위해, 웰 블록 몸체에 형성되는 분사부(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사부(220a)는 웰 블록 몸체(210)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에서 가스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사부(220a)는 웰 블록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221)와, 유로(221)와 연통되도록 웰 블록 몸체(210)에 형성되는 분사홈(222)과, 유로(221)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224)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221)는 웰 블록 몸체(210)의 내부에 웰 블록 몸체(2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사홈(222)은 웰 블록 몸체(210)의 내주면(210a)과 외주면(210b)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웰 블록 몸체(210)의 외부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웰 블록 몸체(210)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사홈(222)은 복수 개가 웰 블록 몸체(210)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분사홈(222)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분사홈(222)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웰 블록에 형성되는 분사구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분사홈(222)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분사홈(222)의 단면 형상은 원형, 다각형, 원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홈(222)은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웰 블록 몸체(21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웰 블록 몸체(210)의 둘레 방향으로 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분사홈(222)은 도 6의 (c) 및 도 6의 (d)에 도시된 것처럼, 웰 블록 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분사홈(222)을 웰 블록 몸체(21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거나, 복수 개의 분사홈(222)을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하면, 출강구(114) 주변에 형성되는 기포 커튼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용강이 가스 또는 기포와 접촉하는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용강 중 개재물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분사홈에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 플러그를 개재한 상태를 보여주는 웰 블럭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웰 블록에 형성되는 분사홈(222)은 공간 예컨대,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분사홈(222)에서 분사되는 가스에 의해 형성되는 기포의 크기를 저감시키기 위해 분사홈(222)의 적어도 일부에 다공성 물질로 형성된 플러그(230)를 개재할 수도 있다. 플러그(2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웰 블록 및 변형 예에 따른 웰 블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러그(230)는 분사홈(222)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230)를 분사홈(222) 전체를 매립하도록 형성하는 경우, 분사홈(222)에 고압으로 가스를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분사홈(222)이나 플러그(230)가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분사홈(222)의 일부, 예컨대 주입관(224)과 연결되는 분사홈(222)의 하부측에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플러그(230)는 웰 블록 몸체(210)를 구성하는 내화물보다 밀도가 낮은, 예컨대 다공성 내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230)는 웰 블록 몸체(210)를 구성하는 내화물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재질의 내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230)는 5 내지 30% 또는 10 내지 20% 정도의 기공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230)는 기공의 평균 크기가 100 내지 300㎛ 또는 150 내지 200㎛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230)의 기공률이나 기공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가스 공급시 형성되는 압력이 높아져 플러그(230)가 파손되거나 플러그(230) 주변의 웰 블록 몸체(210)에 크랙 등이 발생하여 웰 블록(200)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플러그(230)의 기공률이나 기공의 크기가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플러그(230)의 기계적인 강도가 낮아서 용강의 흐름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플러그(230)에 형성되는 기공의 크기가 지나치게 크면, 가스가 분사되면서 형성되는 기포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기포가 용강의 탕면에 형성된 슬래그를 밀어내서 나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스의 분사 압력이 낮아져 출강구(114) 주변에 원하는 형태의 기포 커튼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플러그(230)는 웰 블록 몸체(21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웰 블록 몸체(210)는 내화물 원료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의 웰 블록 몸체(210) 형상을 갖는 성형체를 제작하는 성형 공정과, 성형체를 소성시키는 소성 공정 등을 거쳐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성형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분사홈(222)이 형성되는 부분에 연소성 물질을 충진하고, 성형체를 소성시키면 연소성 물질이 연소되어 분사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성형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분사홈(222)이 형성되는 부분 중 일부에는 연소성 물질을 충진하고, 플러그(230)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연소성 물질과 내화물 원료를 혼합하여 충진한 다음, 성형체를 소성시키면 연소성 물질이 연소되어 분사홈(222)과 분사홈(222)의 일부를 충진하는 플러그(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230)는 웰 블록 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웰 블록 몸체(210)에 분사홈(222)과 플러그(230)를 형성하면,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제작하고, 제작된 구조물을 웰 블록 몸체(210)에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나 노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웰 블록(200)의 제작 방법 중 일 예를 설명한 것으로, 웰 블록(200)은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분사홈(222)에 플러그(230)를 개재 또는 삽입하는 경우, 분사홈(222)의 폭은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분사홈(22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사홈(222)의 폭 또는 플러그(230)의 폭은 10 내지 50㎜ 또는 15 내지 30㎜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홈(222)의 폭 또는 플러그(230)의 폭이 지나치게 작으면, 기포 커튼의 두께가 얇아 용강 중 개재물을 충분하게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반면, 분사홈(222)의 폭 또는 플러그(230)의 플러그(230)의 폭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분사홈(222)으로 주입되는 가스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가스가 부상하면서 용강의 탕면이 대기에 노출되는 나탕이 발생하여 용강이 산화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턴디시(100)의 출강구(114)에 가스를 분사할 수 있는 웰 블록(200)을 형성함으로써 출강구(114) 주변에 기포 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턴디시(100)에 수용된 용강을 출강구(114)를 통해 몰드(400)로 출강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턴디시(100)에서 몰드(400)로 출강되는 용강은 출강구(114) 주변의 기포 커튼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용강은 기포 커튼과 접촉하여 개재물이 제거된 상태로 몰드(400)로 주입되기 때문에 개재물에 의해 노즐 막힘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사부(220)가 웰 블록 몸체(210)에 직접 형성되기 때문에 분사부(220)를 웰 블록 몸체(210)에 연결하기 위한 철피, 접착제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웰 블록(200)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웰 블록(200)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방법은, 웰 블록(200)이 설치된 턴디시(100)를 마련하는 과정과, 웰 블록(200)에 가스를 주입하여 턴디시(100) 내부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과정과, 턴디시(100)에 용강을 주입하는 과정과, 턴디시(100) 내 용강을 몰드(400)에 주입하는 과정 및 턴디시(100)에 주입된 용강량에 따라 웰 블록(200)에 주입되는 가스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턴디시(100)의 바닥에 설치된 출강구(114)에 웰 블록(200)을 설치할 수 있다. 웰 블록(200)은 용강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212)를 형성하는 웰 블록 몸체(210) 및 관통구(212)와 이격되도록 웰 블록 몸체(210)에 형성되는 분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웰 블록(200)은 턴디시(100)에 설치되어, 용강(M)이 배출될 수 있는 출강구(114)를 형성하며, 출강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용강에 가스, 예컨대 아르곤 가스(Ar) 등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턴디시(100)가 마련되면, 턴디시(100)를 예열하고, 턴디시(100)의 예열이 완료되면 턴디시(100) 내부에 용강을 주입할 수 있다. 턴디시(100)에 용강을 주입하기 이전 또는 용강을 주입함과 동시에 웰 블록(200)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이때, 턴디시(100)에 용강을 주입하기 이전이란, 턴디시(100)를 예열하기 이전 또는 턴디시(100)를 예열하는 동안을 포함할 수 있고, 턴디시(100)의 예열이 완료되고 턴디시(100)에 용강을 주입하기 직전까지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턴디시(100)에 용강을 주입하면서, 가스공급부를 통해 웰 블록(200)에 가스, 예컨대 Ar 등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주조 중에 웰 블록(200)에 가스를 공급하게 되면, 턴디시(100) 내에서 출강구(114)를 둘러싸는 기포 커튼이 형성되게 되고, 턴디시(100)에서 몰드(400)로 주입되는 대부분의 용강은 기포 커튼에 한번 이상 접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용강에 함유되는 개재물이 기포 커튼, 즉 기포에 부착되어 분리 부상함으로써 용강 상부의 슬래그로 유입되어 청정강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웰 블록(200)에 주입되는 가스량, 즉 가스 주입량 또는 공급량은 턴디시(100)에 주입된 용강량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가스 주입량은 턴디시(100) 내 나탕이 형성되지 않는 조건 하에 설정하여야 하며, 기포 커튼의 형성에 대한 건전성 유무는 가스 공급부의 후단압 모니터링으로 가능하다. 예컨대 턴디시(100)를 예열하는 경우, 웰 블록(200)에 주입되는 가스량은 웰 블록(200)에 주입할 수 있는 최소 가스량에서 최대 가스량에 걸쳐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턴디시(100)에 용강이 주입되기 시작하면, 웰 블록(200)에 주입될 수 있는 최소 가스량을 주입하고, 턴디시(100)에 주입된 용강량이 증가함에 따라 웰 블록(200)에 주입되는 가스량, 예컨대 유량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턴디시(100)에 주입된 용강량이 최대로 되면, 즉 턴디시(100) 내에서 용강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최대 높이가 되면, 웰 블록(200)에 주입할 수 있는 가스량, 즉 가스의 유량이 최대가 되도록 가스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턴디시(100) 내에 주입된 용강의 높이가 900㎜ 이상이 되면, 웰 블록(200)에 주입되는 가스의 유량이 최대가 되도록 가스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웰 블록(200)에 주입하는 가스의 최대량은 강종 및 주조 속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나, 3 내지 20ℓ/min, 또는 5 내지 15ℓ/min 정도일 수 있다. 가스의 주입량 또는 공급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용강 중 개재물의 제거 효율이 저감되고, 가스의 주입량 또는 공급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나탕이 발생하여 용강이 재산화되어 개재물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턴디시(100)에 용강을 주입하여 턴디시(100) 내에서 용강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로 되면, 턴디시(100)에 연결된 노즐 조립체(300)의 슬라이딩 게이트(320)나 스토퍼를 이용하여 출강구(114)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턴디시(100)에 주입된 용강은 노즐 조립체(300)를 통해 몰드(400)로 주입되어 주편으로 주조될 수 있다.
그리고 턴디시(100)로 용강의 공급이 완료되고, 턴디시(100)에 수용된 용강이 몰드(400)로 대부분 배출된 이후, 주조가 완료될 수 있다. 이때, 턴디시(100)로 용강의 공급이 완료되면, 주조가 완료될 때까지 턴디시(100) 내 용강의 높이는 점차 낮아지게 된다. 이에 턴디시(100) 내에서 용강의 높이가 최대로 된 이후, 용강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면, 웰 블록(200)에 공급되는 가스량, 즉 유량을 턴디시(100) 내 용강의 높이에 비례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턴디시(100) 내 용강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예컨대 최소 높이가 되면 웰 블록(200)에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때, 턴디시(100) 내 용강의 최소 높이는 400 내지 600㎜ 정도 또는 450 내지 550㎜ 정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턴디시(100)로 용강의 공급이 완료된 이후, 턴디시(100) 내 용강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로 되면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이유는 웰 블록(200)에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나, 용강 탕면에 존재하는 슬래그가 몰드(4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턴디시(100) 내 용강의 대부분이 몰드(400) 주입되면 주조를 완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턴디시 200: 웰 블록
210: 웰 블록 몸체 220: 분사부
222: 분사홈 224: 주입관
230: 플러그 300: 노즐 조립체

Claims (17)

  1. 용융물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를 형성하는 웰 블록 몸체; 및
    가스를 분사할 수 있고, 상기 관통구와 이격되도록 상기 웰 블록 몸체에 형성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웰 블록 몸체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분사홈과, 상기 분사홈에 가스를 주입하도록 상기 웰 블록 몸체의 내부에 상기 분사홈과 연통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주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는 상기 웰 블록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웰 블록 몸체는 상기 관통구를 형성하는 내주면, 상기 내주면과 이격되는 외주면, 상기 내주면과 상기 외주면을 연결하는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사홈은 상기 내주면과 상기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웰 블록 몸체의 상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사홈의 폭은 상하방향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되는 웰 블록.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홈은 상기 관통구와 이격되고, 상기 웰 블록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웰 블록.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사홈의 폭은 0.1 내지 10㎜를 갖도록 형성되는 웰 블록.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사홈의 폭은 상기 웰 블록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변화하도록 형성되는 웰 블록.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웰 블록 몸체의 내부에 상기 웰 블록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홈은 상기 유로와 연통되도록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주입관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분사홈과 연통되는 웰 블록.
  8. 청구항 1, 4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홈은 상기 웰 블록 몸체의 내주면에서 100 내지 300㎜ 이격된 거리부터 형성되는 웰 블록.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사홈은 상기 웰 블록 몸체의 상부면에 복수 개의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웰 블록.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웰 블록 몸체보다 밀도가 낮은 물질로 형성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분사홈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형성되는 웰 블록.
  12.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상기 용융물을 출강시키기 위한 출강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용기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와 상기 출강구의 사이에서 상기 용융물에 기포 커튼을 형성할 수 있는 웰 블록; 및
    상기 웰 블록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철피와, 상기 철피의 내부에 축조되는 내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웰 블록은,
    상기 내화물과 접촉하는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과 이격되고, 상기 출강구를 형성하는 내주면과, 상기 철피와 접촉하고 상기 외주면과 상기 내주면을 연결하는 하부면 및 상기 외주면과 상기 내주면을 연결하는 상부면을 포함하는 웰 블록 몸체; 및
    상기 웰 블록 몸체의 상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분사홈과, 상기 분사홈에 가스를 주입하도록 상기 웰 블록 몸체의 내부에 공간으로 형성되는 주입관을 포함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는 상기 웰 블록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웰 블록 몸체는 상기 출강구를 형성하는 내주면, 상기 내주면과 이격되는 외주면, 상기 내주면과 상기 외주면을 연결하는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사홈은 상기 내주면과 상기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웰 블록 몸체의 상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사홈의 폭은 상하방향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되는 주조 장치.
  13. 삭제
  14. 주편을 주조하는 방법으로서,
    웰 블록이 설치된 턴디시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웰 블록에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턴디시 내부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과정;
    상기 턴디시에 용강을 주입하는 과정;
    상기 턴디시 내 용강을 몰드에 주입하는 과정; 및
    상기 턴디시에 주입된 용강량에 따라 상기 웰 블록에 주입되는 가스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턴디시를 마련하는 과정은,
    웰 블록 몸체와, 상기 웰 블록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내주면과 이격되는 외주면 사이에 상기 내주면과 상기 외주면을 연결하는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로 함몰되는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폭이 변화하도록 형성되는 분사홈이 일체로 형성된 웰 블록을 마련하는 과정; 및
    마련된 웰 블록을 상기 턴디시에 형성된 출강구에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턴디시 내부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턴디시를 예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턴디시에 형성된 출강구의 둘레 방향으로 가스를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강을 몰드에 주입하는 과정 동안 상기 용강 중에 상기 출강구의 둘레 방향으로 기포 커튼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용강을 몰드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턴디시에 주입된 용강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최대 높이가 될 때까지 가스의 주입량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턴디시에 주입된 용강의 높이가 상기 최대 높이에서 감소하면 가스의 주입량을 감소시키는 과정; 및
    상기 턴디시에 주입된 높이가 미리 설정된 최소 높이가 되면 상기 웰 블록에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KR1020200017168A 2020-02-12 2020-02-12 웰 블록, 주조 장치 및 방법 KR102361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168A KR102361362B1 (ko) 2020-02-12 2020-02-12 웰 블록, 주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168A KR102361362B1 (ko) 2020-02-12 2020-02-12 웰 블록, 주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750A KR20210102750A (ko) 2021-08-20
KR102361362B1 true KR102361362B1 (ko) 2022-02-10

Family

ID=7746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168A KR102361362B1 (ko) 2020-02-12 2020-02-12 웰 블록, 주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3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1257A (en) 1981-02-12 1983-12-20 Uss Engineers And Consultants, Inc. Metal pouring nozzle with gas inlet
JP2016182612A (ja) 2015-03-25 2016-10-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上ポーラス耐火物及び下ポーラス耐火物から不活性ガスを吹き込む連続鋳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64392A1 (en) 1991-04-12 1992-10-13 James D. Engel Gas permeable well nozzle
KR100931159B1 (ko) * 2002-11-21 2009-12-10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용 포러스 플러그장치
KR100986053B1 (ko) * 2008-09-23 2010-10-08 조선내화 주식회사 용강 주조용 웰블럭
KR101795470B1 (ko) * 2015-11-20 2017-11-10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1257A (en) 1981-02-12 1983-12-20 Uss Engineers And Consultants, Inc. Metal pouring nozzle with gas inlet
JP2016182612A (ja) 2015-03-25 2016-10-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上ポーラス耐火物及び下ポーラス耐火物から不活性ガスを吹き込む連続鋳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750A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674B1 (ko) 스토퍼
KR19980064013A (ko) 용융금속, 특히 용강을 보유하기 위한 공급조
JP4271551B2 (ja) タンディッシュによる高清浄度鋼の連続鋳造装置
KR101795470B1 (ko) 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EP0059805A1 (en) Porous nozzle for molten metal vessel
KR102361362B1 (ko) 웰 블록, 주조 장치 및 방법
KR101790002B1 (ko) 노즐, 이를 구비하는 연속주조장치 및 연속주조방법
KR20030084779A (ko) 얇은 슬랩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KR101914084B1 (ko) 용융물 처리장치
JP4815821B2 (ja) アルミキルド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794598B1 (ko) 스토퍼
KR101090927B1 (ko) 버블링플러그
KR101909512B1 (ko) 용강 이송 장치
KR101794599B1 (ko) 가스 취입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융물 처리 장치
KR101526444B1 (ko) 용탕 처리 장치
KR101221994B1 (ko) 연속주조장치의 턴디시
JPS59225862A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KR20190077943A (ko) 용탕 처리 장치
JP6152834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2209610B1 (ko) 노즐 장치
KR20230055193A (ko) 스토퍼
KR200384696Y1 (ko) 주조설비용 순간부상형 슬래그 유입방지장치
RU2815203C1 (ru)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ентилирования бесслиткового литья
KR102207707B1 (ko) 노즐 및 주조 방법
KR102441337B1 (ko) 노즐, 금속 소재 제조 장치 및 금속 소재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