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686B1 - 양수장치 - Google Patents

양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686B1
KR101247686B1 KR1020120128259A KR20120128259A KR101247686B1 KR 101247686 B1 KR101247686 B1 KR 101247686B1 KR 1020120128259 A KR1020120128259 A KR 1020120128259A KR 20120128259 A KR20120128259 A KR 20120128259A KR 101247686 B1 KR101247686 B1 KR 10124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pump
storage tank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숙
Original Assignee
김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숙 filed Critical 김찬숙
Priority to KR1020120128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05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09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F04D15/0218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the condition being a liquid level or a lack of liquid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20Application within closed fluid conduits, e.g.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진공펌프를 이용하지 않고 물을 양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수장치는 펌프(10)의 하우징(11)과 흡입관(20)에 물이 차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밸브(61,62,63)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관(30)을 폐쇄하고 순환관(41,42)을 개방한 상태에서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을 흡입관(20)에 공급하면, 물이 펌프(10)로 공급되어 펌프(10)가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펌프(10)의 하우징(11)과 상기 흡입관(20)에 물이 차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별도의 진공펌프(10)를 이용하지 않고 흡입관(20)을 통해 강이나 저수지 또는 수조의 물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진공펌프(10)에 저장된 오일이 물에 섞여 분사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양수장치{WATER PUMP}
본 발명은 별도의 진공펌프를 이용하지 않고 물을 양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차에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양수하는 양수장치가 구비되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양수장치로 양수하여 분사노즐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물이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고속으로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수장치는 수량확보가 용이한 원심펌프를 이용한다.
상기 원심펌프는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고속으로 회전되는 임펠러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을 양수하는 것으로, 이러한 원심펌프의 구조는 공개특허 제10-1995-0006402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러한 소방차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모두 소진된 경우, 상기 양수장치에 연결된 흡입관을 이용하여 강이나 저수지 또는 수조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배출관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한다.
그런데, 이러한 양수장치에 이용되는 원심펌프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을 배출하고, 이때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흡입관을 통해 물을 흡입한다.
따라서, 상기 원심펌프의 하우징에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지 못할 경우, 하우징의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되지 않아서 흡입관을 통해 물을 흡입하는 흡입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강이나 저수지 또는 수조의 물을 흡입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소방차의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모두 소진되어 외부에서 물을 흡입하기 위해 상기 흡입관을 양수장치에 연결한 상태에서는 원심펌프의 하우징과 흡입관의 내부가 비어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원심펌프를 이용하여 강이나 저수지 또는 수조의 물을 흡입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소방차에는 상기 흡입관에 별도의 진공펌프가 연결되어, 흡입관을 원심펌프에 연결한 후 상기 진공펌프를 작동시켜 강이나 저수지 또는 수조의 물을 양수하고, 양수된 물이 흡입관과 원심펌프의 하우징 내부에 충전되면 상기 원심펌프를 작동시켜 물을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원심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양수하면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은 정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흡입하기 위해서는 진공펌프에 별도의 동력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양수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 아니라, 장치의 관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진공펌프는 내부에 오일이 충전되므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양수할 때 진공펌프 내부의 오일이 물에 혼합되어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소방차에 구비되는 양수장치 뿐 아니라, 원심펌프를 이용하는 모든 종류의 양수장치에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진공펌프를 이용하지 않고 물을 양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양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탱크(1) 내의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펌프(10); 상기 펌프(10)에 연결되어 외부의 수원에서 물을 흡입하는 흡입관(20); 및 상기 펌프(10)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30);을 포함하는 양수장치로, 상기 흡입관(20)과 상기 배출관(30)을 연결하는 순환관(41,42); 상기 순환관(41,42)의 중간부에 구비된 저수탱크(50); 및 상기 배출관(30)과 상기 순환관(41,42)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30)과 상기 순환관(41,42)을 개폐하는 개폐밸브(61,62,63);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배출관(3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61)를 닫고, 상기 순환관(41,42)을 개폐하는 개폐밸브(62,63)를 열면, 상기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이 상기 펌프(10)로 공급되고, 상기 펌프(10)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순환관(41,42)을 통해 상기 저수탱크(50)로 순환되어 상기 펌프(10)가 지속적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순환관(41,42)은 상기 배출관(30)과 저수탱크(50)를 연결하는 흡입측 순환관(41)과 상기 저수탱크(50)와 흡입관(20)을 연결하는 배출측 순환관(42)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측 순환관(42)의 지름은 상기 흡입관(20)에 비해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수탱크(50)는 상기 펌프(10)에 비해 상측에 위치되어,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이 중력에 의해 순환관(41,42)과 흡입관(20)을 통해 펌프(10)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폐밸브(61,62,63)는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식 제어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저수탱크(5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수탱크(50)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수단(70)과, 상기 수위측정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밸브(61,62,63)를 제어하는 제어유닛(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수위측정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수탱크(50) 내부의 수위가 상승되면 상기 개폐밸브(61,62,63)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관(30)을 개방하고 상기 순환관(41,42)을 폐쇄하여, 상기 흡입관(20)으로 흡입된 물이 배출관(3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순환관(41,42)은 상기 배출관(30)과 저수탱크(50)를 연결하는 흡입측 순환관(41)과 상기 저수탱크(50)와 흡입관(20)을 연결하는 배출측 순환관(42)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밸브(61,62,63)는 상기 배출관(30) 중 흡입측 순환관(41)이 연결된 부위와 분사노즐(2) 사이에 배치된 배출관 개폐밸브(61)와, 상기 흡입측 순환관(41)에 연결된 흡입측개폐밸브(62)와, 상기 배출측 순환관(42)에 구비된 배출측 개폐밸브(63)를 포함하며 상기 저수탱크(50)는 일측에 배수구(71)가 형성된 상태로 물탱크(1)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1)와 흡입관을 연결하는 분기관(21)과, 상기 분기관(21)에 구비되어 분기관(21)을 개폐하는 분기관 개폐밸브(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순환관(41,42)을 통해 저수탱크(50)의 물을 순환시켜 흡입관(20)을 통해 외부의 수원의 물을 흡입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측 개폐밸브(63)를 제어하여 배출측 순환관(42)을 폐쇄하여 상기 저수탱크(50) 내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배수구(71)를 통해 물탱크(1)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수장치는 펌프(10)의 하우징(11)과 흡입관(20)에 물이 차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밸브(61,62,63)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관(30)을 폐쇄하고 순환관(41,42)을 개방한 상태에서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을 흡입관(20)에 공급하면, 물이 펌프(10)로 공급되어 펌프(10)가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펌프(10)의 하우징(11)과 상기 흡입관(20)에 물이 차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별도의 진공펌프(10)를 이용하지 않고 흡입관(20)을 통해 강이나 저수지 또는 수조의 물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진공펌프(10)에 저장된 오일이 물에 섞여 분사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수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수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수장치의 제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수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수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수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수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수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소방차에 구비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소방차는 차대에 대용량의 물탱크(1)가 구비되며, 상기 양수장치는 상기 물탱크(1)에 연결되어, 물탱크(1)에 저장된 물을 분사노즐(2)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수장치는 펌프(10)와, 상기 펌프(10)에 연결된 흡입관(20) 및 배출관(30)을 포함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펌프(10)는 하우징(11)의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12)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는 일반적인 원심펌프(10)를 이용하며, 상기 흡입관(20)의 중간부에서 분기된 분기관(21)을 통해 상기 물탱크(1)에 연결되고, 상기 분기관(21)에는 분기관(21)을 개폐하는 분기관 개폐밸브(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20)과 배출관(30)은 지름이 동일한 파이프를 이용하며, 상기 흡입관(20)에는 상기 펌프(10)쪽으로 개방되는 원웨이밸브(23)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30)은 분사노즐(2)에 연결되어, 펌프(10)에서 배출된 물이 배출관(30)을 통해 분사노즐(2)로 공급되어 분사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수장치는 상기 배출관(30)과 흡입관(20)을 연결하는 순환관(41,42)과, 상기 순환관(41,42)의 중간부에 구비된 저수탱크(50)와, 상기 배출관(30)과 순환관(41,42)에 구비되어 배출관(30)과 순환관(41,42)을 개폐하는 개폐밸브(61,62,63)와, 상기 저수탱크(5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수탱크(50)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수단(70)과, 상기 수위측정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밸브(61,62,63)를 제어하는 제어유닛(80)이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순환관(41,42)은 상기 배출관(30)과 저수탱크(50)를 연결하는 흡입측 순환관(41)과 상기 저수탱크(50)와 흡입관(20)을 연결하는 배출측 순환관(42)으로 구성되어, 상기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이 배출측 순환관(42)을 통해 상기 흡입관(20)으로 공급되고, 상기 펌프(10)를 통과하여 배출관(30)으로 배출된 물이 상기 흡입측 순환관(41)을 통해 상기 물탱크(1)로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순환관(41,42) 중 흡입측 순환관(41)은 상기 흡입관(20)과 배출관(30)에 비해 지름이 작게 구성되고, 상기 배출측 순환관(42)은 상기 흡입측 순환관(41)에 비해 지름이 작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관(20)의 지름이 100mm 일 때, 상기 순환관(41,42) 중 흡입측 순환관(41)은 지름 15mm, 그리고 배출측 순환관(42)은 지름 10mm로 구성된다.
즉, 지름의 크기는 흡입관(20), 배출관(30)>흡입측 순환관(41)>배출측 순환관(42) 순이다.
상기 저수탱크(50)는 상기 물탱크(1)에 비해 매우 작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물탱크(1)의 내부 중 상기 펌프(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밸브(61,62,63)는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식 제어밸브, 즉,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30) 중 흡입측 순환관(41)이 연결된 부위와 분사노즐(2) 사이에 배치된 배출관 개폐밸브(61)와, 흡입측 순환관(41)과 배출측 순환관(42)에 각각 연결된 순환관 개폐밸브(62,63)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관(30)과 순환관(41,42)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과 흡입관(20)의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펌프(10)를 작동시키면서 상기 배출관 개폐밸브(61)를 폐쇄하고, 상기 순환관 개폐밸브(62,63)를 개방하면, 상기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이 배출측 순환관(42)과 흡입관(20)을 통해 펌프(10)의 하우징(11) 내부로 공급되고, 펌프(10)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배출관(30)과 흡입측 순환관(41)을 통해 상기 저수탱크(50)로 순환된다.
이와 같이 물이 상기 저수탱크(50)와 펌프(10)의 하우징(11)으로 지속적으로 순환되면서, 펌프(10)가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관(20)을 통해 강이나 저수지 또는 수조의 물을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강이나 저수지 또는 수조의 물이 흡입관(20)을 통해 흡입되어 하우징(11)의 내부로 공급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 개폐밸브(61)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순환관 개폐밸브(62,63)를 폐쇄하여 상기 펌프(10)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배출관(30)을 통해 분사노즐(2)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위측정수단(70)은 상기 저수탱크(5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수위센서이다.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수위측정수단(70)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배출관 개폐밸브(61)는 폐쇄되고, 상기 순환관 개폐밸브(62,63)가 개방되어 상기 저수탱크(50) 내부의 물이 순환되는 상태에서, 저수탱크(50) 내부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배출관 개폐밸브(61)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순환관 개폐밸브(62,63)를 폐쇄하여, 펌프(10)에서 배출된 물이 배출관(30)을 통해 분사노즐(2)로 공급되도록 한다.
즉, 상기 하우징(11)과 흡입관(20)의 내부가 빈 상태에서 상기 배출관 개폐밸브(61)를 폐쇄하고, 상기 순환관 개폐밸브(62,63)를 개방하면,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순환관(41,42)을 통해 하우징(11)의 내부로 공급되어 저수탱크(50) 내부의 수위가 저하된다.
그리고, 펌프(10)가 작동되어 펌프(10)에서 배출된 물이 저수탱크(50)로 순환되면서 발생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기 흡입관(20)을 통해 강이나 저수지 또는 수조의 물이 흡입되면, 흡입된 물은 배출관(30)으로 배출된 후 흡입측 순환관(41)을 통해 상기 저수탱크(50)로 공급되어 저수탱크(50) 내부의 수위가 상승된다.
따라서, 낮아진 저수탱크(50) 내부의 수위가 낮아진 후 다시 일정수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흡입관(20)을 통해 강이나 저수지 또는 수조의 물이 흡입되는 것을 의미함으로,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수위측정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저수탱크(50) 내부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배출관 개폐밸브(61)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순환관 개폐밸브(62,63)를 폐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10)에서 배출된 물이 저수탱크(50)로 순환되지 않고 배출관(30)을 통해 분사노즐(2)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수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1)의 내부에 물이 저장되었을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관 개폐밸브(22)를 이용하여 상기 물탱크(1)가 펌프(10)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펌프(10)가 물탱크(1) 내부의 물을 흡입하여 상기 분사노즐(2)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1) 내부의 물을 모두 사용한 후에는 상기 흡입관(20)의 단부를 강이나 저수지 또는 수조에 담그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밸브(61,62,63)를 제어하여 상기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이 순환관(41,42)을 통해 펌프(10)와 저수탱크(50)로 순환되도록 하면, 펌프(10)에는 상기 흡입관(20)을 통해 강이나 저수지 또는 수조의 물을 흡입할 수 있는 힘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20)을 통해 흡입된 물이 펌프(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저수탱크(50) 내부의 수위가 상승되면,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개폐밸브(61,62,63)를 제어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 저수탱크(50)로 순환되지 않고 상기 배출관(30)을 통해 분사노즐(2)로 공급되도록 하여 화제를 진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수장치는 펌프(10)의 하우징(11)과 흡입관(20)에 물이 차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밸브(61,62,63)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관(30)을 폐쇄하고 순환관(41,42)을 개방하여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이 흡입관(20)으로 공급되게 하면, 물이 펌프(10)로 공급되어 펌프(10)가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펌프(10)의 하우징(11)과 상기 흡입관(20)에 물이 차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별도의 진공펌프(10)를 이용하지 않고 흡입관(20)을 통해 강이나 저수지 또는 수조의 물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진공펌프(10)에 저장된 오일이 물에 섞여 분사됨으로써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출측 순환관(42)의 지름은 상기 흡입관(20)에 비해 작게 구성되므로, 배출측 순환관(42)을 통해 흡입관(20)으로 공급되는 물의 속도가 증가됨과 동시에 압력이 저하되어, 펌프(10)의 하우징(11) 내부의 진공압이 더욱 용이하게 상승되고, 흡입관(20)을 통해 물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탱크(50)는 상기 펌프(10)에 비해 상측에 위치되어,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이 중력에 의해 배출측 순환관(42)과 흡입관(20)을 통해 펌프(10)로 유입되므로, 상기 저수탱크(50)의 물을 흡입관(20)으로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10)가 필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양수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며, 양수장치의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개폐밸브(61,62,63)는 상기 배출관(30) 중 흡입측 순환관(41)이 연결된 부위와 분사노즐(2) 사이에 배치된 배출관 개폐밸브(61)와, 상기 흡입측 순환관(41)과 배출측 순환관(42)에 각각 연결된 순환관 개폐밸브(62,63)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개폐밸브(61,62,63)는 상기 배출관(30)과 흡입측 순환관(41)의 연결부위에 구비된 절환밸브와, 상기 순환관(41,42)의 배출측(42)에 연결된 배출관 개폐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밸브(61,62,63)의 배열이나 개수 또는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관(20)에 별도의 개폐밸브(24)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펌프(10)를 이용하여 물탱크(1)에 저장된 물을 분사노즐(2)로 공급할 때는 흡입관(20)을 폐쇄하여 흡입관(2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저수탱크(50)는 물탱크(1)의 내부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저수탱크(50)는 물탱크(1)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양수장치는 물탱크(1)가 구비된 소방차에 적용되는 것 이외에, 원심펌프와 같이 내부에 물이 없을 경우 물을 양수할 수 없는 펌프가 구비된 모든 종류의 양수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순환관 개폐밸브(62,63)는 상기 흡입측 순환관(41)에 연결된 흡입측 개폐밸브(62)와, 상기 배출측 순환관(42)에 구비된 배출측 개폐밸브(63)로 구성되며, 상기 저수탱크(50)는 일측에 배수구(7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1)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보조수위측정수단(90)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80)은 사용자가 도시안된 입력수단을 조작하여, 펌프(10)에서 분사노즐(2)로 물을 공급하는 소방모드와, 상기 흡입관(20)을 통해 흡입된 물을 상기 물탱크(1)에 저장하는 저장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1)의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수단을 조작하여 제어유닛(80)이 저장모드로 변환되도록 하면,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배출관 개폐밸브(61)를 폐쇄하고, 상기 순환관 개폐밸브(62,63)를 개방하여, 상기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이 배출측 순환관(42)과 흡입관(20)을 통해 펌프(10)의 하우징(11) 내부로 공급되고, 펌프(10)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배출관(30)과 흡입측 순환관(41)을 통해 상기 저수탱크(50)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입관(20)을 이용하여 강이나 저수지 또는 수조의 물을 흡입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관(20)을 통해 물이 흡입되어 상기 저수탱크(50) 내부의 수위가 상승되면,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배출측 개폐밸브(63)를 제어하여 배출측 순환관(42)을 폐쇄함으로써, 저수탱크(50)의 내부로 공급된 물이 배출측 순환관(42)을 통해 흡입관(20)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저수탱크(50) 내부의 물이 흡입관(20)으로 배출되지 못하면, 상기 저수탱크(50) 내부의 물의 수위가 상승되어 상기 배수구(71)를 통해 물탱크(1)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보조수위측정수단(90)의 수위를 수신하여, 물탱크(1) 내부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펌프(1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수장치는 상기 흡입관(20)을 통해 저수탱크(50)로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물탱크(1)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상기 물탱크(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구조가 더욱 간단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 펌프 20. 흡입관
30. 배출관 41,42. 순환관
50. 저수탱크 61,62,63 개폐밸브
70. 수위측정수단 80. 제어유닛
90. 보조수위측정수단

Claims (5)

  1. 물탱크(1) 내의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펌프(10);
    상기 펌프(10)에 연결되어 외부의 수원에서 물을 흡입하는 흡입관(20); 및 상기 펌프(10)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30);을 포함하는 양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20)과 상기 배출관(30)을 연결하는 순환관(41,42);
    상기 순환관(41,42)의 중간부에 구비된 저수탱크(50); 및
    상기 배출관(30)과 상기 순환관(41,42)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30)과 상기 순환관(41,42)을 개폐하는 개폐밸브(61,62,63);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배출관(3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61)를 닫고, 상기 순환관(41,42)을 개폐하는 개폐밸브(62)를 열면, 상기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이 상기 펌프(10)로 공급되고, 상기 펌프(10)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순환관(41,42)을 통해 상기 저수탱크(50)로 순환되어 상기 펌프(10)가 지속적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41,42)은:
    상기 배출관(30)과 상기 저수탱크(50)를 연결하는 흡입측 순환관(41);
    상기 저수탱크(50)와 상기 흡입관(20)을 연결하는 배출측 순환관(42);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측 순환관(42)의 지름은 상기 흡입관(20)에 비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50)는 상기 펌프(10)에 비해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이 중력에 의해 상기 순환관(41,42)과 상기 흡입관(20)을 통해 상기 펌프(10)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61,62,63)는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식 개폐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저수탱크(5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탱크(50)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수단(70); 및
    상기 수위측정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밸브(61,62,63)를 제어하는 제어유닛(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수위측정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수탱크(50) 내부의 수위가 상승되면 상기 개폐밸브(61,62,63)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관(30)을 개방하고 상기 순환관(41,42)을 폐쇄하여, 상기 흡입관(20)으로 흡입된 물이 상기 배출관(3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41,42)은
    상기 배출관(30)과 저수탱크(50)를 연결하는 흡입측 순환관(41)과,
    상기 저수탱크(50)와 흡입관(20)을 연결하는 배출측 순환관(42)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밸브(61,62,63)는
    상기 배출관(30) 중 흡입측 순환관(41)이 연결된 부위와 분사노즐(2) 사이에 배치된 배출관 개폐밸브(61)와,
    상기 흡입측 순환관(41)에 연결된 흡입측개폐밸브(62)와,
    상기 배출측 순환관(42)에 구비된 배출측 개폐밸브(63)를 포함하며,
    상기 저수탱크(50)는 일측에 배수구(71)가 형성된 상태로 물탱크(1)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1)와 흡입관을 연결하는 분기관(21)과,
    상기 분기관(21)에 구비되어 분기관(21)을 개폐하는 분기관 개폐밸브(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순환관(41,42)을 통해 저수탱크(50)의 물을 순환시켜 흡입관(20)을 통해 외부의 수원의 물을 흡입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측 개폐밸브(63)를 제어하여 배출측 순환관(42)을 폐쇄하여 상기 저수탱크(50) 내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배수구(71)를 통해 물탱크(1)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장치.
KR1020120128259A 2012-11-13 2012-11-13 양수장치 KR10124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259A KR101247686B1 (ko) 2012-11-13 2012-11-13 양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259A KR101247686B1 (ko) 2012-11-13 2012-11-13 양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686B1 true KR101247686B1 (ko) 2013-04-02

Family

ID=4844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259A KR101247686B1 (ko) 2012-11-13 2012-11-13 양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315A (ko) 2018-03-22 2019-10-02 오재준 이동식 양수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143B1 (ko) * 1992-07-31 1995-03-13 주식회사신우엔지니어링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
KR0129809B1 (ko) * 1994-03-15 1998-04-10 박상근 대기압을 이용한 급수장치
JP2000310200A (ja) * 1998-12-18 2000-11-07 General Electric Co <Ge> 重力駆動吸引ポンプ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62416A (ko) * 2007-12-13 2009-06-17 김낙연 파스칼원리를 이용한 물순환식 양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143B1 (ko) * 1992-07-31 1995-03-13 주식회사신우엔지니어링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
KR0129809B1 (ko) * 1994-03-15 1998-04-10 박상근 대기압을 이용한 급수장치
JP2000310200A (ja) * 1998-12-18 2000-11-07 General Electric Co <Ge> 重力駆動吸引ポンプ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62416A (ko) * 2007-12-13 2009-06-17 김낙연 파스칼원리를 이용한 물순환식 양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315A (ko) 2018-03-22 2019-10-02 오재준 이동식 양수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4106B2 (ja) 除染液噴霧装置、並びに除染液噴霧装置を備えたアイソレータ
US9702076B2 (en) Washing machine with a storage tank for reusing water and method for carrying out a water reuse step
KR102312776B1 (ko) 연료 전지 시스템을 위한 연료 공급 장치 및 연료 전지 시스템
TR200100665T2 (tr) Bir ev tipi bulaşık makinesini çalıştırma yöntemi ve bu yöntemi uygulayan ev tipi bulaşık makinesi
KR100984267B1 (ko) 진공상태로 흡입하고 압축상태로 배출하는 슬러지 이송차량
KR101247686B1 (ko) 양수장치
EP1957394A1 (en) Tank-refilling pump arrangements
KR101031030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JP2014037716A (ja) 給水ポンプ装置
JP2019073860A (ja) 給水装置
JP2019005730A (ja) オゾン水生成装置
JP2019018897A (ja) 液体燃料供給装置
CN106697203B (zh) 一种化学品船扫舱系统及该系统的使用方法
KR101200121B1 (ko) 오일 배출 및 공급장치
JP2017030290A (ja) 粘度コントローラ
KR101784810B1 (ko) 선박의 소화수 공급장치
JP2010285972A (ja) 自吸式ポンプ
KR200439895Y1 (ko)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CN213810042U (zh) 用于虹吸罐的冲水防护装置
CN216304545U (zh) 用于洒水车的喷水装置和洒水车
CN205297487U (zh) 一种抽油机
CN219102707U (zh) 供气装置和曝气系统
CN208840103U (zh) 一种钢管冲洗干燥设备
JP2010029777A (ja) 泡洗剤吐出装置
CN215539927U (zh) 一种臭氧水制备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