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315A - 이동식 양수장 - Google Patents

이동식 양수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315A
KR20190111315A KR1020180033306A KR20180033306A KR20190111315A KR 20190111315 A KR20190111315 A KR 20190111315A KR 1020180033306 A KR1020180033306 A KR 1020180033306A KR 20180033306 A KR20180033306 A KR 20180033306A KR 20190111315 A KR20190111315 A KR 20190111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pipe
ho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844B1 (ko
Inventor
오재준
Original Assignee
오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준 filed Critical 오재준
Priority to KR1020180033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84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양수장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벽에 걸어 사용하는 벽걸이용 거울 또는 시계에 시각적으로 표현을 용이하게 조명부를 본체의 내주연에 마련하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의 외주연으로 걸편을 돌출시켜 걸구에 걸려 고정하는 걸대를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벽걸이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조립과정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내부에 저수부를 마련한 몸체의 하부에 저장부를 마련하여 양수기를 마련하고 저장부 상부로 걸림망을 통해 투입되는 투입관을 연결하고 상부로 배기관을 통해 농수로 공급가능케하고 양수기와 연결된 배기관을 상부의 입구를 배출하게 하거나 일측에 연결관을 통해 제수밸브에서 저장부의 물을 배출호스로 배출가능케 하여 농수로 공급가능케 하여,
양수기의 작업 정지시 배출호스에서 다 빠지지 않는 물이 체크밸브에 의해 다시 제수밸브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점과 가뭄으로 인해 4대강의 보에서 농가로 방류시켜 보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낮아진 군데 군데 고여진 웅덩이 수위에 본 발명의 이동식 양수장의 투입관을 마련하도록 간단하게 농가로 농수를 공급하기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양수장{movable water lifting machinery}
본 발명은 이동식 양수장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가뭄으로 인해 농가에 농수를 공급하여 보의 수위가 낮아진 수위에 따른 현장에서 군데 군데 고여진 웅덩이 등에서도 농가로 농수를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현장에 맞도록 이동하면서 설치하도록 양수장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수위가 낮은 부위로 간편하게 이동가능케 설치하는 이동식 양수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수장은 하천수나 호수 등 수면이 관개지역(灌漑地域)보다 낮아서 자연관개를 할 수 없는 경우에 양수기를 설치하여 물을 퍼 올려 농업용수로 사용하기 위한 일종의 수원공시설인 것이다.
상기 양수장은 넓은 의미로는 하천수나 호수 등 지표수만을 양수하는 수원공시설이 아니라 관정이나 집수암거 등 지하수도 양수하는 수원공시설까지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양수장은 농업용수 개발에 있어 저수지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수원공시설로, 양수장에는 양수기와 이를 구동하는 원동기가 필요하며 시설을 유지관리할 건물도 필요로 하며, 양수장의 건물은 양수기와 원동기의 설치, 조작, 분해, 조립 등에 필요한 충분한 넓이와 하중, 기계의 진동, 지반의 지내력 등을 고려하여 견고한 콘크리트 구조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의 양수기는 하우징 구조가 복잡하여 농어촌 지역이나 비용절감을 위한 시설물에서는 경제적 비용이 증가하여 설치가 제한적으로 농어촌 지역이나 비용절감을 위한 시설물에서는 경제적 비용이 증가하여 설치가 제한적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양수장은 일반적으로 설치 비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로 되어 있어 한번 설치된 상태에서는 가뭄시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농가로 물을 공급하기 어려운 실정인 것이다.
따라서, 가뭄시 콘크리트 양수장에 수위가 낮아지면 또 다른 강이나 하천에 크거나 작은 곳에 모인 웅덩이의 물을 농업 용수로 사용하기에는 직접 양수기를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하나 이때, 웅덩이에서 발생된 자갈 등의 이물질 까지 양수되어 농가에서 사용함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인 것이다.
최근들어 4대강 보 수위를 더 낮추면 인근 양수장 수십 곳이 제 기능을 못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정부가 4대강 수계에 있는 양수장에 대한 전면적인 실태 조사에 들어간 상태를 메스컴을 통해 알 수 있는 실정으로 가뭄으로 인해 4대강 보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양수장의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양수장을 선호하게 되었다.
즉, 가뭄으로 인해 농가에 농수를 공급하기 위해 4대강의 보에서 농가로 방류하여 보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낮아진 수위에 따른 현장에서 군데 군데 고여진 웅덩이 등에서도 농가로 농수를 공급하기 용이한 이동식 양수장을 선호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7686호 "양수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가뭄으로 인해 농가에 농수를 공급하기 위해 4대강의 보에서 농가로 방류하여 보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낮아진 수위에 따른 현장에서 군데 군데 고여진 웅덩이 등에서도 농가로 농수를 공급하기 용이한 이동식 양수장을 공급하기 위해,
내부에 저수부를 마련한 몸체의 하부에 저장부를 마련하고 저장부 상부로 걸림망을 통해 투입되는 투입관을 연결하고 상부에는 양수기를 저장부로 투입가능한 입구를 마련하여 마개로 덮고 상부 일측에는 연결공을 형성하고 연결공에는 양수기와 연결된 제수밸브와 제수밸브로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내부에 연결하는 연결관을 마련하여 신축관으로 외부로 돌출된 배출관과 연결하도록 하는 양수장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수위가 낮은 부위로 간편하게 이동가능케 함과 동시에 걸림망에 의해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하는 이동식 양수장을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10)의 내부에 저수부(11)를 마련하되 저수부(11) 하부에는 저장부(12)를 마련하도록 하고 상기 저장부(12)의 상부에는 통공(13)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시키는 투입관(20)의 투입공(21)과 통하게 연결하며,
상기 저수부(11) 상부에는 저수부(11)의 저장부(12)로 양수기(2)를 투입가능한 입구(14)를 마련하여 마개(15)로 덮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몸체(10)의 내부에 저수부(11)를 마련하되 저수부(11) 하부에는 저장부(12)를 마련하도록 하고 상기 저장부(12)의 상부에는 통공(13)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시키는 투입관(20)의 투입공(21)과 통하게 연결하며,
상기 저수부(11) 상부에는 저수부(11)의 저장부(12)로 양수기(2)를 투입가능한 입구(14)를 마련하여 마개(15)로 덮도록 하고,
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연결홈(16)을 형성하고 연결홈(16)에는 연결관(30)의 연결공(31)을 연결하되, 상기 연결관(30)의 상부 일측에는 연결공(31)과 통하는 개구공(33)을 상부로 돌출 형성하여 뚜껑(34)으로 덮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개구공(33)의 하부에는 양수기(2)와 연결된 제수밸브(40)와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41)를 연결하여 연결관(30)의 외부로 돌출된 배출관(32)과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배출관(32)에는 농가로 공급가능한 배출호스(43)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투입관(20)은 몸체(10)의 통공(13)과 연결하는 투입공(21)을 내부에 마련하고 일측에는 경사대(22)를 형성하되 경사대(22)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걸홈(23)을 형성하여 걸림대(24)를 마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30)은 몸체(10)의 연결홈(16)과 연결된 연결관(30)의 내부에는 저장부(12)에 마련한 양수기(2)와 연결하는 제수밸브(40)를 마련하고 제수밸브(40)의 일측에는 배출호스(43)에서 제수밸브(40)로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41)를 제수밸브(40)와 연결하고 상기 체크밸브(41)의 타측은 신축관(42)을 연결하여 연결관(3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 배출관(32)과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수부를 마련한 몸체의 하부에 저장부를 마련하여 양수기를 마련하고 저장부 상부로 걸림망을 통해 투입되는 투입관을 연결하고 상부로 배기관을 통해 농수로 공급가능케,
양수기와 연결된 배기관을 상부의 입구를 배출하게 하거나 일측에 연결관을 통해 제수밸브에서 저장부의 물을 배출호스로 배출가능케 하여 농수로 공급가능케 하며,
양수기의 작업 정지시 배출호스에서 다 빠지지 않는 물이 체크밸브에 의해 다시 제수밸브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점과 가뭄으로 인해 4대강의 보에서 농가로 방류시켜 보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낮아진 군데 군데 고여진 웅덩이 수위에 본 발명의 이동식 양수장의 투입관을 마련하도록 간단하게 농가로 농수를 공급하기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관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저수부(11)를 마련하되 저수부(11) 하부에는 저장부(12)를 마련하도록 하고 상기 저장부(12)의 상부에는 통공(13)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시키는 투입관(20)의 투입공(21)과 통하게 연결하며,
상기 저수부(11) 상부에는 저수부(11)의 저장부(12)로 양수기(2)를 투입가능한 입구(14)를 마련하여 마개(15)로 덮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저수부(11)를 마련하되 저수부(11) 하부에는 저장부(12)를 마련하도록 하고 상기 저장부(12)의 상부에는 통공(13)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시키는 투입관(20)의 투입공(21)과 통하게 연결하며,
상기 저수부(11) 상부에는 저수부(11)의 저장부(12)로 양수기(2)를 투입가능한 입구(14)를 마련하여 마개(15)로 덮도록 하고,
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연결홈(16)을 형성하고 연결홈(16)에는 연결관(30)의 연결공(31)을 연결하되, 상기 연결관(30)의 상부 일측에는 연결공(31)과 통하는 개구공(33)을 상부로 돌출 형성하여 뚜껑(34)으로 덮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개구공(33)의 하부에는 양수기(2)와 연결된 제수밸브(40)와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41)를 연결하여 연결관(30)의 외부로 돌출된 배출관(32)과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배출관(32)에는 농가로 공급가능한 배출호스(43)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투입관(2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0)의 통공(13)과 연결하는 투입공(21)을 내부에 마련하고 일측에는 경사대(22)를 형성하되 경사대(22)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걸홈(23)을 형성하여 걸림대(24)를 마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3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0)의 연결홈(16)과 연결된 연결관(30)의 내부에는 저장부(12)에 마련한 양수기(2)와 연결하는 제수밸브(40)를 마련하고 제수밸브(40)의 일측에는 배출호스(43)에서 제수밸브(40)로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41)를 제수밸브(40)와 연결하고 상기 체크밸브(41)의 타측은 신축관(42)을 연결하여 연결관(3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 배출관(32)과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신축관(42)은 연결관(30)의 내부에서 배출관(32)과 일선상으로 연결되는 제수밸브(40)와 체크밸브(41)의 연결 및 설치와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수밸브(40)와 체크밸브(41) 설치시 연결공(31)의 내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배출관(32) 방향으로 길이로 신축관(42)을 밀면 배출관(32) 방향으로 길이를 줄여 연결관(30)의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뭄으로 인해 농가에 농수를 공급하기 위해 4대강의 보에서 농가로 방류하여 보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낮아진 수위로 인해 군데 군데 고여진 웅덩이 등에서도 본 발명의 이동식 양수장(1)을 마련하여 상부에 위치한 농가로 배출호스(43)를 1 ~ 5km 길이로 연결하여 농수를 공급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이동식 양수장(1)을 수위가 낮은 곳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치하여 투입관(20)의 걸림대(24)를 거쳐 몸체(10)의 통공(13)을 통해 저장부(12)로 유입하도록 하여 저수부(11)의 하부에 물이 고이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양수기(2)의 흡입관(3)을 저장부(12)의 바닥에 위치시키고 배기관(4)은 상부의 입구(14)를 통해 연결하여 양수기(2)를 작동시키면 저장부(12)의 바닥에 위치한 흡입관(3)으로 흡입되면서 몸체(10)의 외부에서 걸림대(24)에 의해 걸러진 물이 투입관(20)을 통해 유입하도록 하여 양수기(2)의 흡입관(3)을 통해 배기관(4)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투입관(20)의 일측에 경사대(22)에 마련한 걸림대(24)에 의해 투입공(21)으로 유입되는 물은 자갈 등과 같이 섞여 있는 이물질은 걸림대(24)에 의해 걸려지게 하여 양수기(2)에서 흡입시 깨끗한 물을 흡입시켜 농가로 배출가능케 함과 동시에 양수기(2)에서 무거운 자갈 등의 이물질을 걸러서 양수기(2)로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치하여 투입관(20)의 걸림대(24)를 거쳐 몸체(10)의 통공(13)을 통해 저장부(12)로 유입하도록 하여 저수부(11)의 하부에 물이 고이게 하고 몸체(10)의 상부 일측에 연결관(30)으로 연결하여 배출호스(43)로 농수를 배출하도록 연결한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저장부(12) 바닥에 마련한 양수기(2)의 흡입관(3)은 위치시키고 배기관(4)은 몸체(10)의 연결홈(16)을 통해 연결된 연결관(30)의 내부 연결공(31)에 마련한 제수밸브(40)와 연결하도록 하여 제수밸브(40)에서 양수기(2)의 배기관(4)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양수기(2)의 배출관(32)과 연결된 연결관(30)의 내부에 마련한 제수밸브(40)를 거쳐 체크밸브(41)를 통해 배출되어 신축관(42)을 통해 배출관(32)으로 배출하여 배출관(32)과 연결된 배출호스(43)를 거치면서 농가의 농수로 공급가능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관(30)의 연결공(31) 내부에 제수밸브(40)와 연결된 체크밸브(41)는 물이 고인 하나의 웅덩이에서 본 발명의 이동식 양수장(1)에 의해 농수로 사용이 완료 되면 양수기(2)를 정지시켜 다음 물이 고인 웅덩이로 이동을 하여야 하나, 이때 배출호스(43) 내부에서 미처 다 배출되지 않은 물은 상부로 1 ~ 5km 연결된 배출호스(43)의 수압으로 인해 제수밸브(40)로 역류를 하게 된다.
이러한 농수가 제수밸브(40)를 통해 양수기(2)로 역류를 자주하게 되면 양수기(2)의 내부 모터 등이 손상으로 인해 잦은 수리 및 교체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하나의 웅덩이에서 양수작업이 완료되어 양수기(2)의 작동을 정지시키면 배출호스(43) 내부에 위치한 농수가 체크밸브(41)에서 제수밸브(4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배출호스의 내부에 농수를 그대로 마련하도록 한 후,
다시 물이 고여있는 다른 웅덩이로 본 발명의 이동식 양수장(1)을 이동시켜 투입관(20)을 통해 다시 저수부(11)의 하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한 후 양수기(2)를 작동시키게 하면 양수기(2)의 배기관(4)을 통해 배출되면서 체크밸브(41)를 거치면서 배출호스(43)의 내부에 마련한 농수를 다시 공급가능케 하여 체크밸브(41)에 의해 여러 곳의 웅덩이를 찾아 이동식 양수장(1)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체크밸브(41)와 배출관(32) 사이에는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관(42)으로 연결하여 연결관(30)의 내부에 마련한 제수밸브(40)와 체크밸브(41)의 손상으로 인해 교체시 신축관(42)을 배출관 방향으로 줄이게 하여 연결관(30) 내부에서 제수밸브(40)와 체크밸브(41)의 수리 또는 교체의 공간을 확보하기 용이한 것이다.
1 : 양수장 2 : 양수기
3 : 흡입관 4 : 배기관
10 : 몸체 11 : 저수부
12 : 저장부 13 : 통공
14 : 입구 15 : 마개
16 : 연결홈 20 : 투입관
21 : 투입공 22 : 경사대
23 : 걸홈 24 : 걸림대
30 : 연결관 31 : 연결공
32 : 배출관 33 : 개구공
34 : 뚜껑 40 : 제수밸브
41 : 체크밸브 42 : 신축관
43 : 배출호스

Claims (4)

  1. 몸체(10)의 내부에 저수부(11)를 마련하되 저수부(11) 하부에는 저장부(12)를 마련하도록 하고 상기 저장부(12)의 상부에는 통공(13)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시키는 투입관(20)의 투입공(21)과 통하게 연결하며,
    상기 저수부(11) 상부에는 저수부(11)의 저장부(12)로 양수기(2)를 투입가능한 입구(14)를 마련하여 마개(15)로 덮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양수장.
  2. 몸체(10)의 내부에 저수부(11)를 마련하되 저수부(11) 하부에는 저장부(12)를 마련하도록 하고 상기 저장부(12)의 상부에는 통공(13)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시키는 투입관(20)의 투입공(21)과 통하게 연결하며,
    상기 저수부(11) 상부에는 저수부(11)의 저장부(12)로 양수기(2)를 투입가능한 입구(14)를 마련하여 마개(15)로 덮도록 하고,
    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연결홈(16)을 형성하고 연결홈(16)에는 연결관(30)의 연결공(31)을 연결하되, 상기 연결관(30)의 상부 일측에는 연결공(31)과 통하는 개구공(33)을 상부로 돌출 형성하여 뚜껑(34)으로 덮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개구공(33)의 하부에는 양수기(2)와 연결된 제수밸브(40)와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41)를 연결하여 연결관(30)의 외부로 돌출된 배출관(32)과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배출관(32)에는 농가로 공급가능한 배출호스(43)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양수장.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20)은 몸체(10)의 통공(13)과 연결하는 투입공(21)을 내부에 마련하고 일측에는 경사대(22)를 형성하되 경사대(22)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걸홈(23)을 형성하여 걸림대(24)를 마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양수장.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0)은 몸체(10)의 연결홈(16)과 연결된 연결관(30)의 내부에는 저장부(12)에 마련한 양수기(2)와 연결하는 제수밸브(40)를 마련하고 제수밸브(40)의 일측에는 배출호스(43)에서 제수밸브(40)로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41)를 제수밸브(40)와 연결하고 상기 체크밸브(41)의 타측은 신축관(42)을 연결하여 연결관(3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 배출관(32)과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양수장.
KR1020180033306A 2018-03-22 2018-03-22 이동식 양수장 KR102040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306A KR102040844B1 (ko) 2018-03-22 2018-03-22 이동식 양수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306A KR102040844B1 (ko) 2018-03-22 2018-03-22 이동식 양수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315A true KR20190111315A (ko) 2019-10-02
KR102040844B1 KR102040844B1 (ko) 2019-11-05

Family

ID=6842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306A KR102040844B1 (ko) 2018-03-22 2018-03-22 이동식 양수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8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3225A (ja) * 1997-09-24 1999-04-06 Shimizu Corp 地下水取水施設の管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地下水取水設備
KR200449653Y1 (ko) * 2009-05-15 2010-07-28 신우중공업주식회사 수중모터펌프 설비
KR101219635B1 (ko) * 2012-10-22 2013-01-21 이용권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
KR101247686B1 (ko) 2012-11-13 2013-04-02 김찬숙 양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3225A (ja) * 1997-09-24 1999-04-06 Shimizu Corp 地下水取水施設の管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地下水取水設備
KR200449653Y1 (ko) * 2009-05-15 2010-07-28 신우중공업주식회사 수중모터펌프 설비
KR101219635B1 (ko) * 2012-10-22 2013-01-21 이용권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
KR101247686B1 (ko) 2012-11-13 2013-04-02 김찬숙 양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844B1 (ko)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93931B (zh) 一种土建施工基坑排水结构及其施工方法
US8973324B2 (en) Basement sump system and method
CA2436303A1 (en) Sump liner
KR101063950B1 (ko)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된 지하수계량기 및 수압계 동파방지장치
KR101557473B1 (ko) 지하수 지열 굴착공 토사 슬러리 배출 장치 및 방법
CN214993987U (zh) 基坑排水结构
KR102040844B1 (ko) 이동식 양수장
CN211368754U (zh) 一种施工现场基坑用排水装置
CN206956917U (zh) 一种自汇集污泥的自清洁泵站底座
KR100728583B1 (ko) 영구배수시스템
US20110070027A1 (en) System for draining land areas through the use of a venturi apparatus from a permeable catch basin
CN212003619U (zh) 水源水池泵水系统
CN211922678U (zh) 应用于基坑的多通孔降水装置
CN211057828U (zh) 一种土方填挖临时排水结构
CN209975546U (zh) 基坑排水装置
KR20180001386A (ko) 일체형 펌프장 및 이의 구동 방법
CN205636891U (zh) 一种河道取水装置
CN219992646U (zh) 一种机场区域可穿围界防钻的排水沟
CN105178135A (zh) 一种蓄水灌溉的绿化排水渠道
CN202338021U (zh) 一种环保型全自动污水提升装置
KR101371151B1 (ko) 밸브실
KR102580456B1 (ko) 맨홀 펌프장의 오폐수 바이패스 장치
CN214530730U (zh) 一种用于建筑地基的排水装置
RU2796668C1 (ru) Дренажная система, применяемая при строительстве смежных сверхглубоких вертикальных стволов, и метод дренажа, применяемый при строительстве смежных сверхглубоких вертикальных стволов
CN219865097U (zh) 一种低位暗埋防护风管排水设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