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635B1 -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 - Google Patents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635B1
KR101219635B1 KR1020120117086A KR20120117086A KR101219635B1 KR 101219635 B1 KR101219635 B1 KR 101219635B1 KR 1020120117086 A KR1020120117086 A KR 1020120117086A KR 20120117086 A KR20120117086 A KR 20120117086A KR 101219635 B1 KR101219635 B1 KR 101219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pipe
water
water supply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권
Original Assignee
이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권 filed Critical 이용권
Priority to KR1020120117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4Treatment of water in water supply networks, e.g. to prevent bacterial grow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는 급수모터, 급수관, 관정관와; 커버, 밸브조립체, 연결관, 맨홀관, 맨홀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접속되는 원수 추출관과; 상기 원수 추출관과 접속되는 검사수조와; 상기 검사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검수수조의 원수의 성분을 검사하는 다수의 성분검사센서와; 상기 각 성분검사센서의 출력값이 입력되고, 검사결과에 따른 약액 투입량을 약액투입장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로 전송하는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와;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에 접속되어 검사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에 접속되어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니트와;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에 접속되어 관리자 단말기에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통신유니트와; 상기 원수 추출관에 설치되고,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에 접속되어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수 추출관을 개폐하는 추출밸브와; 상기 검사수조의 드레인관에 설치되고,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에 접속되어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의 제어신호에 따라 드레인관을 개폐하는 드레인밸브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 메모리, 통신모듈이 설치되는 메인보드와; 상기 검사수조와 메인보드가 내장되고,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가 설치되는 검사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관리자가 직접 관정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원수를 자동 추출하여 온도, 탁도, 염소함유량, 전기전도도, pH 등의 성분검사를 실시한 후 그 검사결과를 토대로 약액주입장치의 약액 투입량을 자동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관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 { a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a village waterworks management system }
본 발명은 관정으로부터 원수를 생산하여 물탱크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원수의 성분을 분석하여 약액의 투입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정수설비를 갖춘 대도시나 그 인근 마을이 아닌 대부분의 농촌마을, 어촌마을, 산간마을에는 이러한 소규모의 자체 마을 상수도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는 실정인 바, 이러한 마을 상수도 시스템은 급수원(給水源)인 관정으로부터 급수모터를 이용하여 물탱크로 원수를 공급하고, 물탱크에 저장된 원수를 마을의 각 사용자가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마을 상수도 시스템에 있어서는 물탱크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관정의 급수모터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물탱크의 수위를 일정 수위 이상으로 유지시키게 되며, 급수모터가 작동될 때에 약액투입장치를 통해 급수관에 일정량의 약품을 투입하여 물탱크에 정수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상기 마을 상수도 시스템에 있어서 지하수 등의 원수를 생산하여 물탱크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정 취수장치는 흡입측이 수중에 설치되는 급수모터와; 상기 급수모터의 토출측에 연결되는 급수관와; 상기 급수관의 둘레에 설치되는 관정관와; 관정관을 밀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부로 돌출되는 급수관과 연결되는 밸브조립체와; 상기 밸브조립체와 접속되는 연결관과; 지면에 매설되고,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밸브조립체와 연결관을 보호하는 맨홀관 및 맨홀덮개;를 포함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관정 취수장치에 있어서 연결관은 공급관을 통해 물탱크와 연결되며, 공급관에 약액을 투입하여 원수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약액투입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관정 취수장치로부터 원수를 추출한 후에 각종 센서로 온도, 탁도, 염소함유량, 전기전도도, pH 등을 측정하여 원수 성분을 검사하고, 그 검사결과에 따라 식수로 적합한 지의 여부와 약액의 투입량을 결정한 후 약액투입장치의 약액 투입량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관리자가 관정 취수장치가 설치된 장소를 방문하여 원수를 추출하는 작업 및 추출한 원수를 별도의 측정장비로 검사하는 작업, 검사결과를 기록하고 약액투입장치의 약액 투입량을 설정하는 작업 등이 매우 번거롭게 되고, 그에 따라 관리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관정 취수장치는 관정관을 밀폐하는 커버가 관정관에 장착되면 커버가 유동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커버에 마련된 관통구멍을 통해 커버 상부로 인출된 급수관의 위치가 고정되고, 급수관에 조립되는 밸브조립체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맨홀관 내부에서 밸브조립체의 일측에 연결관을 접속하거나 분리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0734585호 2. 등록특허공보 제10-0902278호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444호 4.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6621호 5.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18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원수의 검사 및 약액 투입량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맨홀관 내부에서 밸브조립체의 일측에 연결관을 손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는 흡입측이 수중에 설치되는 급수모터와; 상기 급수모터의 토출측에 연결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둘레에 설치되는 관정관과; 상기 관정관을 밀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부로 돌출되는 급수관과 연결되는 밸브조립체와; 상기 밸브조립체와 접속되는 연결관과; 지면에 매설되고,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밸브조립체와 연결관을 보호하는 맨홀관과; 상기 맨홀관의 상단을 밀폐하는 맨홀덮개;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는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접속되는 원수 추출관과; 상기 원수 추출관과 접속되는 검사수조와; 상기 검사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검수수조의 원수의 성분을 검사하는 온도, 탁도, 염소함유량, 전기전도도, pH를 검사하는 센서와; 상기 각 센서의 출력값이 입력되고, 검사결과에 따른 약액 투입량을 약액투입장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로 전송하는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와;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에 접속되어 검사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에 접속되어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니트와;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에 접속되어 관리자 단말기에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통신유니트와; 상기 원수 추출관에 설치되고,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에 접속되어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수 추출관을 개폐하는 추출밸브와; 상기 검사수조의 드레인관에 설치되고,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에 접속되어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의 제어신호에 따라 드레인관을 개폐하는 드레인밸브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 메모리, 통신모듈이 설치되는 메인보드와; 상기 검사수조와 메인보드가 내장되고,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가 설치되는 검사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에 있어서 밸브조립체은 상단에 압력게이지가 설치되고, 일측에 제수밸브가 설치되는 접속관과; 상기 급수관과 접속관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접속관과 연결관을 접속하는 유니온 조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에 있어서 관정관의 상단을 밀폐하는 커버는 장원형으로 구성되어 관정관의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는 관리자가 직접 관정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원수를 자동 추출하여 온도, 탁도, 염소함유량, 전기전도도, pH 등의 성분검사를 실시한 후 그 검사결과를 토대로 약액주입장치의 약액 투입량을 자동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관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는 관정관의 상단을 밀폐하는 커버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맨홀관의 내부에서 밸브조립체에 연결관을 용이하게 접속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원수성분검사 관련 부품의 접속 상태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관정관 커버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원수성분검사 관련 부품의 접속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는
흡입측이 수중에 설치되는 급수모터(10)와; 상기 급수모터(10)의 토출측에 연결되는 급수관(20)과; 상기 급수관(20)의 둘레에 설치되는 관정관(30)과; 상기 관정관(30)을 밀폐하는 커버(40)와; 상기 커버(40)의 상부로 돌출되는 급수관(20)과 연결되는 밸브조립체(50)와; 상기 밸브조립체(50)와 접속되는 연결관(60)과; 지면에 매설되고,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밸브조립체(50)와 연결관(60)을 보호하는 맨홀관(70)과; 상기 맨홀관(70)의 상단을 밀폐하는 맨홀덮개(80);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는 상기 연결관(60)에 설치되는 분기관(90)과; 상기 분기관(90)에 접속되는 원수 추출관(100)과; 상기 원수 추출관(100)과 접속되는 검사수조(110)와; 상기 검사수조(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검수수조(110)의 원수의 성분을 검사하는 다수의 성분검사센서(121)(122)(123)(124)(125)와; 상기 각 성분검사센서(121)(122)(123)(124)(125)의 출력값이 입력되고, 검사결과에 따른 약액 투입량을 약액투입장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300)로 전송하는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와;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에 접속되어 검사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140)와;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에 접속되어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니트(150)와;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에 접속되어 관리자 단말기(400)에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통신유니트(160)와; 상기 원수 추출관(100)에 설치되고,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에 접속되어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수 추출관(100)을 개폐하는 추출밸브(170)와; 상기 검사수조(110)의 드레인관(111)에 설치되고, 상기 검사 마이크콘트롤유니트(130)에 접속되어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드레인관(111)을 개폐하는 드레인밸브(180)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 메모리(140), 통신모듈(160)이 설치되는 메인보드(190)와; 상기 검사수조(110)와 메인보드(180)가 내장되고,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50)가 설치되는 검사케이스(200);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밸브조립체(50)은 상단에 압력게이지(51)가 설치되고, 일측에 제수밸브(52)가 설치되는 접속관(53)과; 상기 급수관(20)과 접속관(53)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54)와; 상기 접속관(53)과 연결관(60)을 접속하는 유니온 조인트(55);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에 있어서는 주기적으로 원수를 자동 추출하여 검사를 진행한 후 해당 검사결과에 따라 약액투입장치의 약액 투입량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며, 관리자가 검사결과를 즉시 알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에 있어서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를 통해 추출밸브(170)을 개방하면 분기관(90) 및 원수 추출관(100)을 통해 원수가 검사수조(110)로 유입된다.
상기에서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는 검사수조(110)가 일정수위 이상의 원수가 충전될 때까지 추출밸브(170)를 개방한 후 다시 추출밸브(170)를 닫게 된다.
검사수조(110)에 원수가 충전되면 검사수조(110)의 내부에 설치된 각 성분검사센서(121)(122)(123)(124)(125)가 원수의 온도, 탁도, 염소함유량, 전기전도도, pH 등을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로 보내게 된다.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는 입력된 각 성분검사센서(121)(122)(123)(124)(125)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약액 투입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를 약액투입장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300)로 전송하게 되며, 약액투입장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300)는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에서 송신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약액 투입량을 자동 설정하게 된다.
아울러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는 통신모듈(160)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검사결과를 송신하고, 검사케이스(200)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유니트(150)에 검사결과를 표시하게 되며, 그에 따라 검사결과를 송신받은 관리자는 굳이 관정 취수장치가 설치된 장소를 방문하지 않더라도 현재의 위치에서 검사결과를 간편하게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검사결과를 송신받지 않은 관리자라 하더라도 관정 취수장치가 설치된 장소를 방문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실시된 원수성분 검사결과를 디스플레이유니트(150)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원수성분검사가 완료되면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는 드레인밸브(180)를 개방하게 되고, 드레인밸브(180)가 개방되면 검사수조(110) 내부의 원수가 드레인관(111)을 통해 모두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관정관 커버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에 있어서 관정관(30)의 상단을 밀폐하는 커버(40)는 장원형으로 구성되어 관정관(3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커버(40)에 급수관(20)과 밸브조립체(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40)와 함께 급수관(20)과 밸브조립체(5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맨홀관(70)의 내부에서 밸브조립체(50)의 접속관(53)에 유니온 조인트(55)로 연결관(60)을 접속하거나 분리하기가 쉽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급수모터
20 : 급수관
30 : 관정관
40 : 커버
50 : 밸브조립체
51 : 압력게이지
52 : 제수밸브
53 : 접속관
54 : 체크밸브
55 : 유니온 조인트
60 : 연결관
70 : 맨홀관
80 : 맨홀덮개
90 : 분기관
100 : 원수 추출관
110 : 검사수조
111 : 드레인관
121, 122, 123, 124, 125 : 성분검사센서
130 :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
140 : 메모리
150 : 디스플레이유니트
160 : 통신유니트
170 : 추출밸브
180 : 드레인밸브
190 : 메인보드
200 : 검사케이스
300 : 약액투입장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
40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3)

  1. 흡입측이 수중에 설치되는 급수모터(10)와;
    상기 급수모터(10)의 토출측에 연결되는 급수관(20)과;
    상기 급수관(20)의 둘레에 설치되는 관정관(30)과;
    상기 관정관(30)을 밀폐하는 커버(40)와;
    상기 커버(40)의 상부로 돌출되는 급수관(20)과 연결되는 밸브조립체(50)와;
    상기 밸브조립체(50)와 접속되는 연결관(60)과;
    지면에 매설되고,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밸브조립체(50)와 연결관(60)을 보호하는 맨홀관(70)과;
    상기 맨홀관(70)의 상단을 밀폐하는 맨홀덮개(8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60)에 설치되는 분기관(90)과;
    상기 분기관(90)에 접속되는 원수 추출관(100)과;
    상기 원수 추출관(100)과 접속되는 검사수조(110)와;
    상기 검사수조(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검수수조(110)의 원수의 성분을 검사하는 온도, 탁도, 염소함유량, 전기전도도 및 pH를 검사하는 센서(121)(122)(123)(124)(125)와;
    상기 각 센서(121)(122)(123)(124)(125)의 출력값이 입력되고, 검사결과에 따른 약액 투입량을 약액투입장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300)로 전송하는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와;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에 접속되어 검사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140)와;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에 접속되어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니트(150)와;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에 접속되어 관리자 단말기(400)에 검사결과를 전송하는 통신유니트(160)와;
    상기 원수 추출관(100)에 설치되고,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에 접속되어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수 추출관(100)을 개폐하는 추출밸브(170)와;
    상기 검사수조(110)의 드레인관(111)에 설치되고,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에 접속되어 상기 검사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드레인관(111)을 개폐하는 드레인밸브(180)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30), 메모리(140), 통신모듈(160)이 설치되는 메인보드(190)와;
    상기 검사수조(110)와 메인보드(180)가 내장되고,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50)가 설치되는 검사케이스(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조립체(50)은
    상단에 압력게이지(51)가 설치되고, 일측에 제수밸브(52)가 설치되는 접속관(53)과;
    상기 급수관(20)과 접속관(53)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54)와;
    상기 접속관(53)과 연결관(60)을 접속하는 유니온 조인트(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관정관(30)의 상단을 밀폐하는 커버(40)는 장원형으로 구성되어 관정관(3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
KR1020120117086A 2012-10-22 2012-10-22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 KR101219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086A KR101219635B1 (ko) 2012-10-22 2012-10-22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086A KR101219635B1 (ko) 2012-10-22 2012-10-22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635B1 true KR101219635B1 (ko) 2013-01-21

Family

ID=4784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086A KR101219635B1 (ko) 2012-10-22 2012-10-22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6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606A (ko) * 2014-07-22 2016-02-01 (주)썬텍엔지니어링 음수기 수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1502A (ko) * 2018-03-23 2019-10-02 물과지열 주식회사 수질관측 지하수 상부보호공
KR20190111315A (ko) * 2018-03-22 2019-10-02 오재준 이동식 양수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945A (ko) * 2008-08-18 2010-02-26 주식회사 남도 수위 조절 시스템
KR100993838B1 (ko) 2010-07-14 2010-11-12 청정테크주식회사 내부 청소가 가능한 밀폐식 관정 상부 보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945A (ko) * 2008-08-18 2010-02-26 주식회사 남도 수위 조절 시스템
KR100993838B1 (ko) 2010-07-14 2010-11-12 청정테크주식회사 내부 청소가 가능한 밀폐식 관정 상부 보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606A (ko) * 2014-07-22 2016-02-01 (주)썬텍엔지니어링 음수기 수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32732B1 (ko) * 2014-07-22 2016-06-23 (주)썬텍엔지니어링 음수기 수질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111315A (ko) * 2018-03-22 2019-10-02 오재준 이동식 양수장
KR102040844B1 (ko) * 2018-03-22 2019-11-05 오재준 이동식 양수장
KR20190111502A (ko) * 2018-03-23 2019-10-02 물과지열 주식회사 수질관측 지하수 상부보호공
KR102072114B1 (ko) * 2018-03-23 2020-03-02 물과지열 주식회사 수질관측 지하수 상부보호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0816B (zh) 天然气水合物三维开采模拟实验装置
KR101219635B1 (ko)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관정 취수장치
CN202195931U (zh) 真空集便器实验台
CN105758904A (zh) 一种多参数水质监测系统、方法以及应用
KR102460023B1 (ko)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다항목 수질 측정을 사용한 통합정보 제공 시스템
CN101706650A (zh) 一种多传感器系统
CN206848259U (zh) 一种水质监测装置
CN106290515B (zh) 微流控可置换腔体结构的自校准海洋多参数化学传感器
CN105929124A (zh) 一种在线水质分析仪器及其水质分析方法
CN204065048U (zh) 一种反渗透水处理阻垢剂质量评价试验装置
CN204803967U (zh) 一种用于一二次水源水质分析对比的装置
CN205958562U (zh) 一种在线水质分析仪器
CN219200516U (zh) 一种双流速流量计
CN105258761B (zh) 一种气泡式水位计以及一种水体内含沙量检测方法
CN104215306A (zh) 油田注汽用蒸汽-水两相流体测量仪表标定方法及装置
CN206074585U (zh) 一种高密度水质分析仪
CN205175717U (zh) 输配水管网中试试验平台
CN209215370U (zh) 一种水体剖面水质同步检测仪
CN209820557U (zh) 一种基于体积法的泵站流量测算装置
CN203825000U (zh) 用于岩土地质的土壤水分探测装置
CN106932025A (zh) 一种游泳馆环境实时监测系统
CN207751990U (zh) 一种排水检测装置
CN205348282U (zh) 一种“互联网+”安全二次供水系统水质检测装置
CN203323838U (zh) 油田注汽用蒸汽-水两相流体测量仪表标定装置
CN203490212U (zh) 水质检测流通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