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895Y1 -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895Y1
KR200439895Y1 KR2020070008781U KR20070008781U KR200439895Y1 KR 200439895 Y1 KR200439895 Y1 KR 200439895Y1 KR 2020070008781 U KR2020070008781 U KR 2020070008781U KR 20070008781 U KR20070008781 U KR 20070008781U KR 200439895 Y1 KR200439895 Y1 KR 200439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iquid
suction
pump
liquid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의수
하성환
이운석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엔파코 주식회사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엔파코 주식회사,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엔파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8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8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8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용 카고 펌프에서 액상화물 등 액상화물 잔류량의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화물을 담고 있는 액상화물 탱크(20)를 구비하며, 상기 액상화물 탱크(20)의 바닥면(22)의 일부는 함몰된 흡입 오목부(24)를 형성하고, 상기 선박용 카고 펌프의 임펠러(17)로 액상화물이 유입되는 흡입구가 상기 흡입 오목부(24)의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H)를 가지고 설치되는, 선박용 카고 펌프에 있어서,
상기 선박용 카고 펌프의 임펠러(17)로 액상화물이 유입되는 흡입구 단부와 상기 흡입 오목부(24)의 바닥면 사이의 액상화물 잔류량을 제어가능하게 흡입하기 위한 체크 밸브(39)와; 상기 체크 밸브(39)로부터 유입된 액상화물을 일시적으로 담기 위한 흡입공간부(37)와; 상기 흡입공간부(37) 내에 액상화물을 흡입하도록 낮은 압력을 형성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35)과 압축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진공 토출관(33)을 포함한다.
카고 펌프, 선박, 액상화물, 잔류량

Description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STRUCTURE FOR ADDRESSING OIL RESIDUAL IN CARGO PUMP OF SHIP BY SUCTION OIL RESIDUAL}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선박용 카고 펌프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호의 간단한 설명>
L : 액상화물 잔류량 표면
H : 흡입구 높이(액상화물 잔류량 높이)
20 : 액상화물 탱크
22 : 액상화물 탱크 바닥면
24 : 흡입 오목부(suction well)
30 :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 장치
31 : 트랩(trap)
33 : 진공 토출관
35 : 압축공기 공급관
37 : 흡입 공간부
39 : 액상화물 유입 체크 밸브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선박용 카고 펌프에 있어 오일 등 액상화물의 잔류량을 처리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 장치를 액상화물 탱크의 흡입 오목부(suction well) 내에 추가로 설치하여 액상화물 잔류량 공간 내에 잔존하는 액상화물을 흡입 처리함으로써, 펌프 흡입구와 흡입 오목부 사이의 간극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어, 카고 펌프의 성능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화물(cargo)을 하역하거나 적하하는 작업을 위한 이재 장치는 유압을 이용하는 카고 펌프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에는 이러한 종래 카고 펌프의 일반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고 펌프는 하부의 액상화물(오일 등)을 담고 있는 액상화물 탱크(20)에 일부분이 잠긴 형태를 하는데, 카고 펌프의 상부에 가스 또는 에어의 배출구(purging gas of air)(1)를 가지며, 흐름 제어 밸브(flow control valve)(2), 가스 분리기(gas separator)(3), 누출 체크 인렛(leak check inlet)(4), 시스템 오일 인렛(system oil inlet)(5), 시스템 오일 아울렛(system oil outlet)(6), 지지 파이프(support pipe)(7), 누출 체크 아울렛(leak check outlet)(8), 디스차지 파이프(discharge pipe)(9), 스트립핑 파이프(stripping pipe)(10), 시스템 오일 드레인(system oil drain)(11), 유압 모터(hydraulic motor)(12), 베어링(bearing)(13)(15), 샤프트(shaft)(14), 밀봉부(mechanical seal)(16), 및 임펠러(impeller)(17) 등의 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카고 펌프는 종래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디스차징 동작(discharging), 스트립핑 동작(stripping), 및 배출 및 누출 체크 동작(purging and leakage check) 등을 수행한다. 디스차징 동작에 있어서, 카고 펌프는 메인 라인 내의 유압 액상화물을 가압한 후 동작 개시될 수 있다. 흐름 제어 레버는 유압 파일롯 밸브를 통해 유압 오일 모터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카고 펌프는 항구로 화물을 디스차지(적하, discharge)할 수 있다. 디스차지 동작의 마지막 단계에서 화물을 비우는 동작은 스트립핑 동작으로 행해질 수 있다. 먼저, 카고 아울렛 밸브를 닫은 후 에어, 불활성 가스, 또는 질소를 낮은 속도의 카고 펌프 동작 동안 즉 드라이 동작 동안에 주입한다. 카고 펌프의 드라이 러닝 동안에 펌프 임펠러는 카고 라인의 비-리턴 밸브로서 동작하고, 그리하여 스트립핑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카고 펌프 구조에 있어서, 액상화물 탱크(20) 내의 액상화물은 펌프 동작의 시작 전과 완료 후에 완전히 배출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액상화물 탱크(20)내 액상화물의 누출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화물 탱크(20)의 바닥면(22)의 일부분은 오목하게 함몰된 흡입 오목부(suction well)(24)을 형성한다. 펌프의 임펠러(17) 부분이 액상화물을 흡입하는 흡입구는 액상화물 탱크 바닥면(22)으로부터 일정 높이, 예컨대 50 mm 정도 떨어져서 설치된다. 이러한 흡입구의 높이에 따라 액상화물 잔류량의 표면이 결정되는데, 도면에서는 L 로 표시되어 있는 선에 해당된다. 따라서 액상화물이 모두 흡입되어 배출된다고 하더라도, 흡입구 즉 L 선과 바닥면(22) 사이를 채우고 있는 액상화물은 항상 액상화물 탱크(20) 내에 잔존하게 된다.(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렇게 잔존하는 액상화물의 양을 액상화물 잔류량이라 한다)
이러한 액상화물 잔류량의 존재는, 쓸모없는 액상화물의 존재라는 낭비 요소일 뿐 아니라 액상화물 탱크(20)내 액상화물의 누출 여부를 보다 확실하게 식별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바람직하지 못한 요소이기 때문에, 이 액상화물 잔류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펌프의 임펠러(17) 부분의 흡입구는 탱크 바닥면(22)에 최대한 근접하되 고장시에 유지보수가 가능할 수 있도록 예컨대 약 50 mm의 높이로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바닥면(22)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흡입 오목부(24)에 펌프의 흡입구를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흡입구와 바닥면(24) 사이의 높이(H)에 의해 잔존하게 되는 액상화물 잔류량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시키고 있다. 실제로 이러한 액상화물 잔류량의 양은 액상화물 탱크(20)의 용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인 선박용 카고 펌프의 경우 예컨대 약 75 리터 정도의 양이 잔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흡입 오목부(24)를 가진 액상화물 탱크(20)의 구조에 의해서도 상당한 양의 액상화물 잔류량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은 여전하며, 이러한 액상화물 잔류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펌프 흡입구와 흡입 오목부(24) 사이의 간극을 극소화하는 경우, 펌프내의 유로 압력 저항이 커져서 펌프의 성능(효율)과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으므로 이에, 액상화물 잔류량을 적절하게 처리함으로써, 유압 펌프에서의 유로 압력 저항을 제거하여 펌프의 성능과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고안된 것으로서, 특히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 장치를 액상화물 탱크의 흡입 오목부(suction well) 내에 추가로 설치하여 액상화물 잔류량 공간 내에 잔존하는 액상화물을 흡입 처리함으로써, 펌프 흡입구와 흡입 오목부 사이의 간극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어, 카고 펌프의 성능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에 의해 성취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는,
액상화물을 담고 있는 액상화물 탱크(20)를 구비하며, 상기 액상화물 탱크(20)의 바닥면(22)의 일부는 함몰된 흡입 오목부(24)를 형성하고, 상기 선박용 카고 펌프의 임펠러(17)로 액상화물이 유입되는 흡입구가 상기 흡입 오목부(24)의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H)를 가지고 설치되는, 선박용 카고 펌프에 있어서,
상기 선박용 카고 펌프의 임펠러(17)로 액상화물이 유입되는 흡입구 단부와 상기 흡입 오목부(24)의 바닥면 사이의 액상화물 잔류량을 제어가능하게 흡입하기 위한 체크 밸브(39)와; 상기 체크 밸브(39)로부터 유입된 액상화물을 일시적으로 담기 위한 흡입공간부(37)와; 상기 흡입공간부(37) 내에 액상화물을 흡입하도록 낮은 압력을 형성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35)과 압축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진공 토출관(33)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는 질소 또는 불활성 기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선박용 카고 펌프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선박용 카고 펌프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조는 특히 종래 액상화물 탱크(20)의 흡입 오목부(24)의 바닥면과 펌프의 흡입구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액상화물 잔류량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이 흡입 오목부(24)와 펌프 흡입구 사이의 간극을 크게 할 수 있으면서도 액상화물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카고 펌프의 성능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카고 펌프는 액상화물을 담고 있는 액상화물 탱크(20)를 구비하며, 상기 액상화물 탱크(20)의 바닥면(22)의 일부는 함몰된 흡입 오목부(24)를 형성하고, 상기 선박용 카고 펌프의 임펠러(17)로 액상화물이 유입되는 흡입구가 상기 흡입 오목부(24)의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H)를 가지고 설치되는 형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카고 펌프에 있어서, 특히 체크 밸브(39), 흡입공간부(37), 압축공기 공급관(35) 및 진공 토출관(33)으로 이루어진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 장치(30)를 통하여 액상화물 잔류량을 처리함으로써, 이 흡입 오목부(24)와 펌프 흡입구 사이의 간극을 크게 할 수 있으면서도 액상화물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카고 펌프의 성능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체크 밸브(39)는 카고 펌프의 배출 동작(purging) 기간 중에 동작함으로써, 상기 선박용 카고 펌프의 임펠러(17)로 액상화물이 유입되는 흡입구 단부와 상기 흡입 오목부(24)의 바닥면 사이의 액상화물 잔류량을 제어가능하게 흡입하도록 동작한다. 이 체크 밸브(39)와 이것이 설치된 액상화물 유입구는 흡입 오목부(24)의 바닥면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공간부(37)는 상기 체크 밸브(39)로부터 유입된 액상화물을 일시적으로 담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흡입공간부(37)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저압을 형성함으로써 흡입 오목부(24) 내의 액상화물이 흡입공간부(37) 내로 흡입되도록 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흡입공간부(37) 내에 액상화물을 흡입하도록 낮은 압력을 형성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35)과 압축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진공 토출관(33)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는 질소 또는 불활성 기체이다. 이러한 불활성 기체 또는 질소는 액상화물의 성질을 변경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가 설명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 즉 당업자라면 개시된 내용을 기초로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응용하여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특히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 장치를 액상화물 탱크의 흡입 오목부(suction well) 내에 추가로 설치하여 액상화물 잔류량 공간 내에 잔존하는 액상화물을 흡입 처리함으로써, 펌프 흡입구와 흡입 오목부 사이의 간극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어, 카고 펌프의 성능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를 제공하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로서, 액상화물을 담고 있는 액상화물 탱크(20)를 구비하며, 상기 액상화물 탱크(20)의 바닥면(22)의 일부는 함몰된 흡입 오목부(24)를 형성하고, 상기 선박용 카고 펌프의 임펠러(17)로 액상화물이 유입되는 흡입구가 상기 흡입 오목부(24)의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H)를 가지고 설치되는, 선박용 카고 펌프에 있어서,
    상기 선박용 카고 펌프의 임펠러(17)로 액상화물이 유입되는 흡입구 단부와 상기 흡입 오목부(24)의 바닥면 사이의 액상화물 잔류량을 제어가능하게 흡입하기 위한 체크 밸브(39)와;
    상기 체크 밸브(39)로부터 유입된 액상화물을 일시적으로 담기 위한 흡입공간부(37)와;
    상기 흡입공간부(37) 내에 액상화물을 흡입하도록 낮은 압력을 형성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35)과 압축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진공 토출관(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는 질소 또는 불활성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KR2020070008781U 2007-05-29 2007-05-29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KR200439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781U KR200439895Y1 (ko) 2007-05-29 2007-05-29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781U KR200439895Y1 (ko) 2007-05-29 2007-05-29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895Y1 true KR200439895Y1 (ko) 2008-05-13

Family

ID=4164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781U KR200439895Y1 (ko) 2007-05-29 2007-05-29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8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540B1 (ko) 2010-04-16 2010-12-08 한국기계연구원 압력기체를 이용한 저장탱크의 액상화물 잔류량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20170086256A (ko) 2016-01-18 2017-07-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카고 펌프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540B1 (ko) 2010-04-16 2010-12-08 한국기계연구원 압력기체를 이용한 저장탱크의 액상화물 잔류량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20170086256A (ko) 2016-01-18 2017-07-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카고 펌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3032B2 (ja) 中間チャンバを備えるガス加圧式液体ポンプ
KR200439895Y1 (ko)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KR102167561B1 (ko) 고압 플런저 방식 싱글 다이아프램 펌프
KR200439896Y1 (ko)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JP4628934B2 (ja) 廃蒸気回収装置
KR20120100580A (ko) 원유 운반선의 원유 선적 및 하역 시스템
CN108702057B (zh) 带轴封装置的旋转电机
JP4908463B2 (ja) 液体圧送装置
JP4273254B2 (ja) 起動時吐出性能を改善した浸漬式ポンプ
HRP970073A2 (en) A centrifugal pump device
CN110685923A (zh) 复合式强自吸离心泵组
JP4628933B2 (ja) 廃蒸気回収装置
KR101335094B1 (ko) 케미컬 공급장치
JP6644364B1 (ja) 流体吸引装置及び流体吸引方法
CN210769348U (zh) 复合式强自吸离心泵组
CN114658664B (zh) 一种能自动补水的自吸罐装置及方法
CN216339828U (zh) 一种能辅助供水的真空引水设备
JP2001317426A (ja) 燃料供給装置
JPH08144990A (ja) 排液装置
KR200151022Y1 (ko) 오일순환식 로터리 베인 진공펌프 자흡장치
CN207455189U (zh) 基于气液转换的零泄漏卸碱装置
JP3690539B2 (ja) 低流動性液の輸送設備
JP2018009728A (ja) 廃熱回収装置
CN205908479U (zh) 一种潜水自吸泵
WO2003083310A1 (en) Loading pum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