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143B1 -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 - Google Patents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143B1
KR950002143B1 KR1019920013812A KR920013812A KR950002143B1 KR 950002143 B1 KR950002143 B1 KR 950002143B1 KR 1019920013812 A KR1019920013812 A KR 1019920013812A KR 920013812 A KR920013812 A KR 920013812A KR 950002143 B1 KR950002143 B1 KR 95000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ting
vacuum
water
pump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505A (ko
Inventor
염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우엔지니어링
염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우엔지니어링, 염병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19920013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143B1/ko
Publication of KR940002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펌프의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동용 진공탱크 2 : 기동용수 배출관
3 : 기동용수 배출밸브 4 : 배기관
5 : 배기밸브 6 : 급수관
7 : 급수밸브 8 : 급수원
9 : 레벨스위치 10 : 수위감시관
11 : 진공파괴방지용 수조 12 : 보조급수원
13 : 플로트스위치 15 : 배수거
16 : 진공흡입관 17 : 진공흡입밸브
18 : 만수검지기 19 : 압력스위치
20 : 펌프 21 : 흡입관
22 : 토출관 23 : 모터
27 : 토출밸브
본 발명은 펌프의 기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기동할 수 있도록 한 펌프의 자동진공 기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축원심펌프를 기동함에 있어서는, 흡입수두가 있을 경우 반드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기동시키는 진공 기동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진공펌프는 수봉식(水封式)으로 케이싱내의 회전차를 회전시키면서 적당량의 물을 순환시키는 것에 의하여 진공이 발생되며 이 진공에 의하여 횡축원심펌프내에 물을 채우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펌프 진공 기동방법에서는 진공펌프에 적당량의 물을 순환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펌프의 크기나 흡입고에 따라서 장시간의 진공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펌프의 자동운전시에는 진공펌프의 신뢰성이 희박하여 연동운전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펌프를 기동하는데 많은 량의 전력등의 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펌프등을 사용하지 않고 펌프를 기동시킬 수 있도록 한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펌프를 신속하게 기동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펌프를 기동하는데 소요되는 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동운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펌프의 흡입수두(h)보다 높은 수두(H)를 얻을 수 있게 구성된 진공설비에서 펌프 케이싱의 상단과 진공흡입관으로 연결된 기동용 진공탱크에 기동용수(起動用水)를 충만시키는 진공준비단계와, 상기 기동용 진공탱크의 하단에서 기동용수를 배출시킴으로써 발생되는 기동용 진공탱크내의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펌프 케이싱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펌프의 흡입구를 통하여 양수할 물을 끌어올려 펌프를 만수시키는 기동단계를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자동진공 기동방법이 제공된다.
기동용 진공탱크에 기동용수를 충전시키는 동안에는 기동용 진공탱크의 상단에 설치된 배기밸브를 열어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동용수가 원활하게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배기밸브는 기동용 진공탱크에 기동용수가 충만된 후에는 닫아서 기동용 진공탱크로부터 기동용수를 배출할 때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지 않고 펌프 케이싱내의 공기만이 흡입되도록 한다.
초기 상태에서는 별도의 급수원으로부터 기동용수를 기동용 진공탱크에 공급하며, 일단 펌프가 기동하여 펌핑 작동을 하게 되면 그 토출수중 일부를 기동용 진공탱크에 공급하여 펌프의 휴지(休止)가 끝나고 다시 기동할 경우에는 별도의 급수원으로부터 기동용수를 공급하지 않아도 된다.
펌프 케이싱의 상단과 기동용 진공탱크의 상단을 연결하는 진공흡입관에는 진공흡입밸브를 설치하여 기동용 진공탱크에 기동용수가 충만된 후 기동용수를 탱크의 하단에서 배출할 때 열고, 기동이 시작되어 토출수의 일부가 기동용 진공탱크로 공급되어 기동용 진공탱크가 완전히 충만되면 닫는다.
펌프 케이싱의 상단에는 펌프 케이싱 내에 물이 만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만수검지기를 설치하여 펌프 케이싱이 만수임이 검지되면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를 가동시키도록 한다.
기동용 진공탱크의 하단에 일정 이상의 수위를 유지하는 진공파괴방지용 수조를 설치하여 이에 기동용수 배출관의 하단을 침지(沈池)시켜 기동용수 배출관이 대기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기동용수 배출시 기동용 진공탱크내의 진공이 파괴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펌프의 계통도로서, 펌프(20)의 설치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기동용수탱크(1)가 설치되어 펌프(20) 케이싱 상단과 기동용 진공탱크(1)의 상단이 진공흡입관(16)으로 연결되고, 이 진공흡입관(16)에는 진공흡입밸브(17)가 설치된다.
기동용 진공탱크(1)의 상단에는 기동용수 급수관(6)과 급수밸브(7)을 통하여 기동용수 급수원(8)에 연결됨과 아울러 배기관(4)이 설치되어 이 배기관(4)에는 배기밸브(5)가 설치된다.
기동용 진공탱크(1)의 하단에는 기동용수 배출관(2)의 기동용수 배출밸브(3)이 설치되며, 기동용수 배출관(2)의 하단은 진공파괴방지용 수조(11)에 침지된다.
진공파괴방지용 수조(11)에는 플로트스위치(13)를 통하여 보조급수원(12)으로부터 급수되며, 일류관(14)이 설치되어 수위가 일정 이상으로 되면 일류되어 배수거(15)로 배수되도록 되어 있다.
펌프(20)의 상단에는 만수검지기(18)가 설치되고, 토출구(22)측에는 압력스위치(19)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펌프 계통도를 도시하는 제 1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초기상태에서는, 기동용 진공탱크(1)내에 기동용수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기동용 진공탱크(1)의 하단에 연결된 기동용수 배출관(2)에 설치된 기동용수 배출밸브(3)를 닫고, 상단에 연결된 배기관(4)에 설치된 배기밸브(5)를 열어둔 상태에서 기동용 진공탱크(1)의 상단에 연결된 기동용수 급수관(6)에 설치된 급수밸브(7)를 열어 기동용수(W)를 급수원(8)으로부터 급수하여 기동용 진공탱크(1)내에 충전한다.
이때 기동용수 배출밸브(3)를 닫는 것은 급수되는 기동용수(W)가 그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배기밸브(5)를 개방하는 것은 기동용 진공탱크(1)에 기동용수(W)가 충전됨에 따라 기동용 진공탱크(1) 내부에 있던 공기가 배출되면서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기동용 진공탱크(1)가 기동용수(W)로 충만되면 기동용 진공탱크(1) 내부에 설치된 레벨스위치(9)가 동작하여 기동용수 충만 신호를 콘트롤러(도시되지 않음)에 보내게 되고 이에 따라 급수밸브(7)와 배기밸브(5)가 닫히면서 기동 준비 완료상태가 된다(제2도의 진공준비단계 참조).
상기 기동용 진공탱크(1)에는 수위감시관(10)이 설치되어 운전자가 기동용수(W)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동용수 배출관(2)의 하단에는 진공파괴방지용 수조(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진공파괴방지용 수조(11)에는 기동용수 배출관(2)의 하단 보다 높은 수위를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보조급수원(12)과 플로트밸브(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정 수위 이상으로 되었을 때 일류시키기 위한 일류관(溢流管)(14)이 설치되고, 일류관(14)의 하단은 배수거(1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진공파괴방지용 수조(11)는 기동용수 배출관(2)내에 공기가 들어가면 기동용 진공탱크(1)에서 기동용수 배출관(2)을 통하여 기동용수(W)를 배출할 때 기동용 진공탱크(1) 내부의 진공이 파괴되므로 기동용수 배출관(2)이 기동용수로 채워지게 하여 진공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기동준비가 완료되면, 콘트롤러에 의하여 기동용수 탱크(1)의 상단과 펌프(20)의 케이싱 상단을 연결하는 진공흡입관(16)에 설치된 진공흡입밸브(17)가 열림과 아울러 기동용수 탱크(1)의 하단에 연결된 기동용수 배출관(2)에 설치된 기동용수 배출밸브(3)가 열려서 기동용 진공탱크(1)내에 충만된 기동용수(W)가 기동용수 배출밸브(3)를 통하여 배출된다.
기동용 진공탱크(1)로부터 기동용수(W)가 배출됨에 따라 기동용 진공탱크(1)의 내부는 진공상태로 되며 이 진공압력에 의하여 펌프(20)의 케이싱 내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이에 따라 펌프(20)의 흡입구(21)를 통하여 양수할 물을 끌어올려져서 펌프(21)의 케이싱내로 흡입된다.
여기서 기동용 진공탱크(1)의 용량은 펌프(20) 케이싱의 용적과, 진공흡입관(16)의 용적 및 펌프(20)의 흡입관(21)내의 공기의 용적의 합 보다 크게 함으로써 기동용 진공탱크(1)내에 충만된 기동용수(W)를 배출할 때 발생되는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펌프(20) 케이싱 내부가 양수할 물로서 만수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펌프(20)의 케이싱에 물이 충만되어 그 상부에 설치된 만수검지기(18)가 동작하게 되면, 기동용수 배출밸브(3)와 진공흡입밸브(17)가 닫히게 됨과 아울러 펌프(20)를 구동하는 모터(23)가 가동되어 펌프(20)가 기동된다(제2도의 펌프 기동단계 참조).
여기서 상기 급수밸브(7)와 기동용수 배출밸브(2)와 진공흡입밸브(17) 및 배기밸브(5)는 상폐형(常閉形) 전자밸브와 상개형(常開形) 수동밸브를 직렬로 연결하고 이를 다시 상폐형 수동밸브와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전자밸브가 정상작동할 때는 전자밸브를 콘트롤러의 작동신호에 의하여 개폐하는 것이며, 전자밸브가 기능고장을 일으킨 경우에는 전자밸브와 직렬로 연결된 상개형 수동밸브를 닫고 상폐형 수동밸브를 열어 수동으로 운전하면서 전자밸브를 분해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펌프(20)를 구동시키는 모터(23)는 모터 주차단기(24)와 타이머(25) 및 리엑터(reactor)(26)를 통하여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기동용 진공탱크(1)로부터 기동용수(W)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기동용수(W)의 수위가 하강하게 되고, 만수검지기(18)가 만수를 검지하기 전에 기동용 진공탱크(1)내의 수위가 저수위(LWL)보다 높지 않으면, 레벨스위치(9)가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 신호에 따라 콘트롤러는 기동용수 배출밸브(3)와 진공흡입밸브(17)를 닫고, 배기밸브(5)와 기동용수 급수밸브(7)를 열어 다시 상술한 진공준비상태를 반복하도록 제어한다(제2도의 점선연결루틴 참조).
펌프(20)가 기동되면 펌프(20)의 토출압력이 상승되기 시작하며, 이 토출압력은 압력스위치(19)에 의하여 감지된다.
압력스위치(19)에 의하여 토출압력이 소정치에 달하였음이 감지되면, 그 신호가 콘트롤러에 보내지고 콘트롤러 토출관(22)에 설치된 토출밸브(27)를 개방하게 되어 흡입된 물을 토출관(22)으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 펌프(20)의 흡입 수두(h)보다 진공파괴방지용 수조(11)의 수면에서 기동용 진공탱크(1)의 저수위에 이르는 수두(H)를 크게 한다(h<H).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기동용 진공탱크에 충만된 기동용수를 배출함으로써 기동용 진공탱크내에 발생되는 진공흡입력을 이용하여 펌프 케이싱 내에 물을 만수시키는 것이므로 진공펌프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펌프를 신속하고 원할하게 기동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펌프(20)가 기동되어 물을 토출하는 과정에서 진공흡입관(16)에 설치된 진공흡입밸브(17)를 열어 토출수의 일부가 진공흡입관(16)을 통하여 기동용 진공탱크(1)측으로 공급되어 기동용 진공탱크(1)를 충만시키도록 함으로써 펌프(20)를 휴지시킨 다음 다시 기동시킬 때에는 별도의 급수원(8)으로부터 급수할 필요가 없도록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기동용 진공탱크(1)가 충만되면 진공흡입밸브(17)를 닫아 토출수는 토출관(22)으로만 토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흡입관(16)에 다수개의 펌프를 연결함으로써 연동운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펌프의 흡입수두(h)보다 높은 수두(H)를 얻을 수 있게 구성된 진공설비에서 펌프 케이싱의 상단과 진공흡입관으로 연결된 기동용 진공탱크에 기동용수(起動用水)를 충만시키는 진공준비단계와, 상기 기동용 진공탱크의 하단에서 기동용수를 배출시킴으로써 발생되는 기동용 진공탱크내의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펌프 케이싱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펌프의 흡입구를 통하여 양수할 물을 끌어올려 펌프를 만수시키는 기동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용수 탱크에 기동용수를 충전하는 진공준비단계에서는 기동용 진공탱크의 상단에 설치된 배기밸브를 열고, 기동용수를 배출하는 기동단계에서는 배기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단계에서는 기동용수 배출관의 하단이 대기에 노출되지 않게 하여 기동용 진공탱크내의 진공이 파괴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단계에서 기동용 진공탱크내의 수위가 저수위에 도달한 상태에서 펌프가 만수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진공준비단계가 수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진공 기동방법.
KR1019920013812A 1992-07-31 1992-07-31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 KR95000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812A KR950002143B1 (ko) 1992-07-31 1992-07-31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812A KR950002143B1 (ko) 1992-07-31 1992-07-31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505A KR940002505A (ko) 1994-02-17
KR950002143B1 true KR950002143B1 (ko) 1995-03-13

Family

ID=1933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812A KR950002143B1 (ko) 1992-07-31 1992-07-31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1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686B1 (ko) * 2012-11-13 2013-04-02 김찬숙 양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7841B (zh) * 2023-05-25 2023-11-21 世通海泰泵业(天津)股份有限公司 单级叶片式离心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686B1 (ko) * 2012-11-13 2013-04-02 김찬숙 양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505A (ko) 199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7663A (en) Sewage pump priming system
JP2006161791A (ja) 給排水槽の水位制御装置
KR950002143B1 (ko) 펌프의 자동 진공 기동방법
JPH1193882A (ja) 横軸ポンプ
CN113915138A (zh) 一种水泵免抽真空的启动方法
JP3659506B2 (ja) 液状エマルジョンの液体分離を検出し、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JP2819486B2 (ja) 予備ポンプの保持方法
CN209761747U (zh) 一种消防水泵供水系统
JP4240301B2 (ja) ターボ型ポンプ
KR200206487Y1 (ko) 양수펌프 파손 방지장치
US5984626A (en) Evacuation means for pumps
JP4083540B2 (ja) サイホンブレーク装置付きポンプ設備
JPS59113294A (ja) 排水ポンプの排気装置
JP2678203B2 (ja) 立軸ポンプ
JP2010207716A (ja) 厨芥処理排水の移送装置
JPH07103865B2 (ja) 汚水・汚物ポンプの運転停止方法
JPS5928146Y2 (ja) 揚液装置
JP2004293449A (ja) 満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揚水ポンプ機場
JPS5849436Y2 (ja) 揚水装置
JPS586072B2 (ja) 自動給水装置
KR0171537B1 (ko) 무동력 폐수 자동배출 장치
JPH1113636A (ja) 汲み上げ装置
JPH0734504A (ja) 厨芥移送装置
CN113495587A (zh) 渗滤液提升方法及提升系统
JPH08134964A (ja) ポンプへの呼び水補給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