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456B1 -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456B1
KR101247456B1 KR1020117000104A KR20117000104A KR101247456B1 KR 101247456 B1 KR101247456 B1 KR 101247456B1 KR 1020117000104 A KR1020117000104 A KR 1020117000104A KR 20117000104 A KR20117000104 A KR 20117000104A KR 101247456 B1 KR101247456 B1 KR 101247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oline vapor
desorption
gasoline
adsorption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144A (ko
Inventor
료우 요시다
야스히로 타니무라
타케시 스기모토
케이조 후쿠하라
아키라 타나카
카츠히코 세키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쯔노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쯔노,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쯔노
Publication of KR2011002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2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direct contact between vapours or gases and the cooling medium
    • B01D5/003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direct contact between vapours or gases and the cooling medium within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0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6Arrangements of devices for purifying liquids to be transferred, e.g. of filters, of air or water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2Hydrocarbons

Abstract

프레임 테두리 내에 수용되는 각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억제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프레임 테두리(120) 내에서, 응축탑(2) 및 흡탈착탑(4)을 가솔린 베이퍼 펌프(1) 및 탈착용 펌프(5)보다도 상방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GASOLINE VAPOR RECOVERY APPARATUS}
본 발명은, 기화한 가솔린(이하, 가솔린 베이퍼라고 칭한다)을 회수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가솔린 탱크 내부는, 하부에 가솔린 액을 저장하고 있고, 상부에 가솔린 베이퍼가 포화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가솔린 스탠드에서 가솔린을 가솔린 탱크에 급유할 때, 가솔린 탱크 내에 존재하고 있는 가솔린 베이퍼가 급유구로부터 추출되어, 대기중에 방출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솔린 베이퍼를 그대로 대기중에 방출하여 버리면, 광화학(光化學) 스모그의 원인이 되고, 인체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로 발전하게 된다. 그래서, 가솔린 베이퍼를 회수하고, 냉각·재이용하도록 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가 개발되고, 지금까지도 여러가지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3 참조).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에 의해 회수된 가솔린 베이퍼는, 부동액(예를 들면, 브라인(프로필렌글리콜 등)이나 가솔린, 등유라는 석유계 물질)이 충전된 응축탑(가솔린 베이퍼 응축 용기)의 내부를 도통하는 가솔린 베이퍼 응축관에서 냉각하고, 방출되기 된다. 이대로의 상태로 방출되면, 방출을 위해 도통되는 배관의 주위에 결로(結露)를 일으키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펌프에 의해 가압된 고온의 가솔린 베이퍼와, 대기 방출한 저온의 공기(회수되지 않고 남은 약간량의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를 열교환함으로써, 대기 방출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법이 생각된다.
특허 문헌 1 : 특허 제3843271호 공보(제 7 내지 9페이지, 제 1도)
특허 문헌 2 : 특개2005-177563호 공보(제 5 내지 10페이지, 제 1도)
특허 문헌 3 : 특개2006-198604호 공보(제 4 내지 7페이지, 제 2도)
그러나, 상기한 방법으로 결로의 발생을 방지하는데는, 열교환기를 별도 마련하여야 하여, 제품 비용이 증가하여 버릴뿐만 아니라, 배관 배치의 제한도 증가하여 버리게 된다. 한편, 대기 방출하는 공기에는 약간량의 가솔린 베이퍼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가연 성분이 섞인 공기의 송풍이, 예를 들면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의 전기품 에어리어(이하, 비방폭 에어리어라고 칭한다)에 유입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대기 방출하는 공기에는 미량의 가솔린 냄새의 성분도 남고 있고, 이것이 비산(飛散)함으로써, 가솔린 스탠드 내의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도 된다.
또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에 흡탈착탑을 마련하고, 이 흡탈착탑에 충전한 흡착제(예를 들면 실리카 겔이나 제오라이트, 활성탄 등)를 이용하여 가솔린 베이퍼를 회수하고 있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라면, 흡착제에 흡착된 가솔린 성분을 탈착할 때에,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이게 되는데, 이 탈착 용도의 공기에 방출한 가솔린 성분이 혼입되어 버리면, 흡착제에 여분의 가솔린 성분이 부착하게 되어, 흡착제의 성능을 저하시켜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프레임 테두리 내에 수용되는 각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억제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 1의 목적에 더하여, 공기를 대기 방출하는 배관의 결로를 방지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 1의 목적 및 제 2의 목적에 더하여, 가솔린 냄새 성분의 비산을 억제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3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 1의 목적, 제 2의 목적 및 제 3의 목적에 더하여, 대기 방출하는 공기와, 탈착용에 흡입하는 공기가 섞이는 일이 없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4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는, 가솔린 탱크로부터 배출된 가솔린 베이퍼를 흡인하는 가솔린 베이퍼 펌프와, 내부에 브라인이 충전되고, 상기 가솔린 베이퍼 펌프에 의해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를 냉각하는 응축탑과, 상기 가솔린 베이퍼 펌프에 의해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제에 의해 흡착하고, 상기 흡착제에 흡착한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하는 흡탈착탑과, 상기 흡탈착탑에 탈착용 공기를 공급하는 탈착용 펌프와, 상기 가솔린 베이퍼, 상기 응축탑, 상기 흡탈착탑 및 상기 탈착용 펌프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레임 테두리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 테두리 내에서, 상기 응축탑 및 상기 흡탈착탑을 상기 가솔린 베이퍼 펌프 및 상기 탈착용 펌프보다도 상방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에 의하면, 프레임 테두리 내에 수용되는 각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고, 가솔린 베이퍼 회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의 형태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전체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2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의 레이아웃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의 레이아웃의 다른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의 레이아웃의 또다른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 전체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의거하여,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의 회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이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흡인한 가솔린 베이퍼를 응축탑에서 냉각하여 회수함과 함께,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 또는 탈착하는 2개의 흡탈착탑을 마련하고, 이 2개의 흡탈착탑의 기능을 적절히 전환하여 가솔린 베이퍼를 회수(흡착) 및 재이용(탈착)하는 것이다. 또한, 도 1을 포함하여, 이하의 도면에서는 각 구성 부재의 크기의 관계가 실제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자동차 등에 가솔린을 급유하기 위한 가솔린 계량기(101)와 함께, 가솔린 스탠드 등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자동차 등의 급유구로부터 대기중에 방출되는 가솔린 베이퍼를 회수하고, 재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크게 나누어 가솔린 베이퍼 응축 회로(A)와, 냉매 회로(B)와, 브라인 회로(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가솔린 베이퍼 응축 회로(A)는, 가솔린 베이퍼 흡착 회로(A1)와,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A2)로 구성되어 있다.
[가솔린 베이퍼 흡착 회로(A1)]
흡탈착탑(4a)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하는 경우의 가솔린 베이퍼 흡착 회로(A1)는, 급유 노즐(102)과, 제 1 전자 밸브(22)와, 가솔린 베이퍼 펌프(1)와, 가솔린 응축기(24)와, 기액 분리기(3)와, 제 2 전자 밸브(26a)와, 흡탈착탑(4a)과, 제 3 전자 밸브(27a)와, 제 1 감압 밸브(28)와, 배출구(10)가 가솔린 흡착용 배관(29) 및 대기 배출용 배관(36)으로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흡탈착탑(4b)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하는 경우의 가솔린 베이퍼 흡착 회로(A1)는, 급유 노즐(102)과, 제 1 전자 밸브(22)와, 가솔린 베이퍼 펌프(1)와, 가솔린 응축기(24)와, 기액 분리기(3)와, 제 2 전자 밸브(26b)와, 흡탈착탑(4b)과, 제 3 전자 밸브(27b)와, 제 1 감압 밸브(28)와, 배출구(10)가 가솔린 흡착용 배관(29)으로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제 2 전자 밸브(26a)와 제 2 전자 밸브(26b)의 전환과, 제 3 전자 밸브(27a)와 제 3 전자 밸브(27b)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의 한쪽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상기한 각 전자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의 한쪽을 가솔린 베이퍼의 흡착을 행하는 흡탈착탑으로서 기능시키고, 다른쪽을 가솔린 베이퍼의 탈착을 행하는 탈착탑으로서 기능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흡탈착탑(4a)과 흡탈착탑(4b)의 전환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행하거나, 흡착탑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의 출구 부근의 가솔린 베이퍼 농도에 응하여 행하거나 하면 좋다.
가솔린 계량기(101)는, 자동차 등에 급유하는 가솔린을 계량하는 것이다. 급유 노즐(102)은, 가솔린 계량기(101)로부터 가솔린을 급유할 때에 자동차 등의 급유구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 급유 노즐(102)은, 급유구로부터 대기중에 방출되는 가솔린 베이퍼를 흡인할 때의 입구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여기서는, 하나의 급유 노즐(102)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지만, 급유 노즐(102)의 설치수를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전자 밸브(22)는, 급유 노즐(102)로부터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의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제 1 전자 밸브(22)는, 급유 노즐(102)의 설치수에 응하여 마련하도록 하면 좋다.
가솔린 베이퍼 펌프(1)는, 가솔린 베이퍼를 급유 노즐(102)로부터 흡인·가압하는 것이다. 가솔린 응축기(24)는, 가솔린 베이퍼 응축 용기 등의 응축탑(2) 내에 구비되어 있고, 내부를 도통하는 가솔린 베이퍼를 냉각하여 응축 액화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가솔린 응축기(24)가 나선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액 분리기(3)는, 응축액화된 가솔린을 포착함으로써, 액화 가솔린과 가솔린 베이퍼를 분리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액 분리기(3)에서 분리된 액화 가솔린을 도통시키는 배관에 개폐 밸브(30)를 마련하여 두면 좋다.
제 2 전자 밸브(26a) 및 제 2 전자 밸브(26b)는, 개폐가 제어됨으로써, 응축탑(2)에서 회수할 수가 없었던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통하거나 하지 않거나 하는 것이다.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은,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하는 흡착탑으로서의 기능과,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하는 탈착탑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흡탈착탑(4a)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흡착제 냉각기(13a)와 흡착제(9a)가 마련되어 있다. 흡탈착탑(4b)의 내부에도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흡착제 냉각기(13b)와 흡착제(9b)가 마련되어 있다.
흡착제 냉각기(13a)는, 응축탑(2) 내에 충전되어 있는 브라인(7)에 의해, 흡탈착탑(4a)의 내부를 냉각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흡착제 냉각기(13b)도 흡착제 냉각기(13a)와 마찬가지로, 응축탑(2) 내에 충전되어 있는 브라인(7)에 의해, 흡탈착탑(4b)의 내부를 냉각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흡착제 냉각기(13a) 및 흡착제 냉각기(13b)를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에 마련함에 의해, 소량의 흡착제(9a) 및 흡착제(9b)로 가솔린 베이퍼의 흡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흡착제(9a) 및 흡착제(9b)는,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함으로써 평균 1vol% 이하의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로 하는 것이다. 이 흡착제(9a) 및 흡착제(9b)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겔이나 제오라이트, 활성탄 등을 사용하면 좋다. 즉,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의 흡착제(9a) 또는 흡착제(9b)에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시키고, 다른쪽의 흡착제(9a) 또는 흡착제(9b)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시키고 있다. 그리고, 흡착과 탈착을 교대로 전환하여, 연속 운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제 3 전자 밸브(27a) 및 제 3 전자 밸브(27b)는, 개폐가 제어됨으로써,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의 한쪽에서 더욱 가솔린 베이퍼가 흡착된 후의 공기를 도통하거나 하지 않거나 하는 것이다. 제 1 감압 밸브(28)는,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을 경유한 후의 공기를 감압하는 것이다. 배출구(10)는, 제 1 감압 밸브(28)에서 감압되고, 대기 배출용 배관(36)을 통하여 도달한 공기를 대기중에 배출시키는 것이다. 가솔린 흡착용 배관(29)은,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통하는 배관이다. 또한, 각 전자 밸브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제어 수단(도시 생략)이 행하도록 되어 있다. 대기 배출용 배관(36)은,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에서의 가솔린 베이퍼 흡착 후의 공기를 도통하는 배관이다.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A2)]
흡탈착탑(4b)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하는 경우의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A2)는, 흡기구(11)와, 제 2 감압 밸브(31)와, 제 4 전자 밸브(32b)와, 흡탈착탑(4b)과, 제 5 전자 밸브(33b)와, 탈착용 펌프(5)가 가솔린 탈착용 배관(35)으로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한편, 흡탈착탑(4b)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하는 경우의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A2)는, 흡기구(11)와, 제 2 감압 밸브(31)와, 제 4 전자 밸브(32a)와, 흡탈착탑(4a)과, 제 5 전자 밸브(33a)와, 탈착용 펌프(5)가 가솔린 탈착용 배관(35)으로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 4 전자 밸브(32a) 및 제 4 전자 밸브(32b)의 전환과, 제 5 전자 밸브(33a) 및 제 5 전자 밸브(33b)의 전환을, 가솔린 베이퍼 흡착 회로(A1)에서의 각 전자 밸브와의 제어에 응하여 제어함으로써,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의 한쪽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A2)의 각 전자 밸브를, 가솔린 베이퍼 흡착 회로(A1)의 각 전자 밸브와 아울러서 제어함으로써, 흡탈착탑(4a)의 기능과 흡탈착탑(4b)의 기능을 적절히 전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흡기구(11)는, 가솔린 베이퍼의 탈착에 사용하는 공기를 외기로부터 받아들이는 것이다. 제 2 감압 밸브(31)는, 흡기구(11)로부터 받아들여진 공기를 감압하는 것이다. 제 4 전자 밸브(32a) 및 제 4 전자 밸브(32b)는, 개폐가 제어됨으로써, 제 2 감압 밸브(31)에서 감압된 공기를 도통하거나 하지 않거나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A2)를 구성하는 흡탈착탑(4b)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하는 탈착탑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흡탈착탑(4a)도 흡탈착탑(4b)과 마찬가지로,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A2)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하는 탈착탑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제 5 전자 밸브(33a) 및 제 5 전자 밸브(33b)는, 개폐가 제어됨으로써,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통하거나 하지 않거나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탈착용 펌프(5)는, 탈착용 공기를 흡탈착탑(4b) 또는 흡탈착탑(4a)에 공급하기 위해, 흡기구(11)를 통하여 외기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가솔린 탈착용 배관(35)은, 공기나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통하는 배관이다. 이 가솔린 탈착용 배관(35)은, 가솔린 베이퍼 흡착 회로(A1)의 제 1 전자 밸브(22)와 가솔린 베이퍼 펌프(1)의 사이에서의 가솔린 흡착용 배관(29)에 접속되어 있다.
[냉매 회로(B)]
냉매 회로(B)는, 냉동기(6)에 탑재되고, 압축기(41)와, 응축기(42)와, 조임장치(43)와, 냉매 증발기(44)가 냉매 배관(45)으로 순차적으로 접속된 히트 펌프 사이클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냉매 회로(B)는, 냉매 배관(45) 내에 냉매를 도통하고, 이 냉매가 각 구성 기기를 순환함으로써, 응축탑(2) 내에 충전되어 있는 브라인(7)을 냉각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응축기(42)의 부근에는, 응축기(42)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 등의 송풍기(46)가 마련되어 있다.
압축기(41)는, 냉매 배관(45)을 흐르는 냉매를 흡입하고, 그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상태로 하는 것이다. 응축기(42)는, 냉매의 응축열을 방출하고, 그 냉매를 응축액화하는 것이다. 조임장치(43)는, 감압 밸브나 전자식 팽창 밸브, 온도식 팽창 밸브, 캐피럴리 튜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냉매를 감압하여 팽창시키는 것이다. 냉매 증발기(44)는, 브라인(7)으로부터 열을 빼앗고(즉, 브라인(7)을 냉각하고), 그 냉매를 증발 가스화하는 것이다. 또한, 냉매 회로(B)에 사용할 수 있는 냉매를 특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어떤 냉매라도 사용할 수 있다.
[브라인 회로(C)]
브라인 회로(C)는, 응축탑(2)과, 브라인 펌프(8)와, 흡착제 냉각기(13a) 및 흡착제 냉각기(13b)가 브라인 배관(54)으로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응축탑(2)은, 설치면적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해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브라인(7)을 저장하는 브라인 탱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브라인(7)은,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이나 가솔린, 등유라는 석유계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부동액이다. 이 브라인(7)은, 냉매 회로(B)가 제어됨에 의해, 소정의 온도 범위(예를 들면, 1 내지 3℃ 정도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응축탑(2) 내에서는, 브라인(7)이 냉각됨으로써 브라인(7)이 교반되도록 되어 있고, 온도의 조절이 되어 있는 것이다.
브라인 펌프(8)는, 응축탑(2)에 저장되어 있는 브라인(7)을 흡인·가압하는 것이다. 즉, 브라인(7)은, 브라인 펌프(8)에 의해 브라인 회로(C)를 순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흡착제 냉각기(13a) 및 흡착제 냉각기(13b)는, 응축탑(2)으로부터 공급되는 브라인(7)에 의해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의 내부를 냉각하도록 되어 있다.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의 내부 온도를 낮게 함에 의해, 가솔린 베이퍼의 흡착 용량을 크게할 수 있다. 흡착제 냉각기(13a) 및 흡착제 냉각기(13b)의 각각으로부터 유출된 브라인(7)은, 합류하고, 응축탑(2)에 재차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응축탑(2)의 측면에는, 내부의 브라인(7)의 액면(液面)을 검출하기 위한 액면계(5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응축탑(2)에는, 내부의 브라인(7)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서미스터나 온도계 등의 브라인 온도 검지기(1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브라인 온도 검지기(12)에서 검지된 온도 정보는, 도시 생략의 제어 수단에 보내져서, 브라인(7)의 온도를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냉매 회로(B)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어 수단은, 각 전자 밸브의 개폐나, 각 펌프의 구동 주파수, 압축기(41)의 구동 주파수, 송풍기(46)의 회전수 등을 제어한다.
도 2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의 레이아웃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에 의거하여,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의 레이아웃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는, 2개의 사이드 프레임(사이드 프레임(114) 및 사이드 프레임(115))과, 윗면이 되는 천장 패널(111)과, 저면이 되는 베이스판(119)으로 프레임 테두리(120)를 구성하고 있다. 이 프레임 테두리(120)의 내부에는, 복수장의 패널(냉동기 패널(112), 에어 갭 패널(113), 응축탑 및 흡탈착탑 패널(116), 탈착용 펌프 패널(117), 및, 가솔린 베이퍼 펌프 패널(118))이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술한 각 기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즉, 냉동기 패널(112), 에어 갭 패널(113), 응축탑 및 흡탈착탑 패널(116), 탈착용 펌프 패널(117), 및, 가솔린 베이퍼 펌프 패널(118)은, 프레임 테두리(120) 내를 소정의 간격으로 구획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술한 각 기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의 패널은, 용접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에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 공간의 열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의 방열을 억제하고, 내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또한 가솔린 베이퍼의 흡착 용량을 크게할 수 있고, 가솔린 베이퍼 회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프레임 테두리(120)의 최상단에는 냉동기 패널(112)이 마련되고, 천장 패널(111)과 냉동기 패널(112) 사이에 공간(비방폭 에러리어(125))이 형성되고, 냉동기 패널(112)에 냉동기(6)가 재치된다. 냉동기 패널(112)의 아래에는 에어 갭 패널(113)이 마련되고, 냉동기 패널(112)과 에어 갭 패널(11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이 에어 갭(110)으로서의 역할을 다한다. 이 에어 갭(110)은, 안전상의 관점에서 방폭 부품(가연물의 착화원(着火源)이 되지 않도록, 특별한 기술적 대책을 강구한 부품이고, 여기서는 주로 방폭 전기 설비를 가리킨다)과 비방폭 부품(가연물의 착화원이 되지 않도록 특별한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지 않은 부품이고, 여기서는 냉동기(6)나 제어 수단이 탑재되어 있는 제어 기판 등을 가리킨다)을 떼어놓기 위한 공간으로서 마련되어 있고, 또한 법률로도 설치하여야 하는 취지로 규정되어 있다.
에어 갭 패널(113)의 아래에는 응축탑 및 흡탈착탑 패널(116)이 마련되고, 에어 갭 패널(113)과 응축탑 및 흡탈착탑 패널(116)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응축탑 및 흡탈착탑 패널(116)에 응축탑(2),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이 재치된다. 응축탑(2),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은, 가솔린 베이퍼를 냉각하여 회수하는 것이고, 이들이 재치된 공간은, 냉각되게 되기 때문에, 이 공간을 이하의 설명에서 냉각 에어리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응축탑 및 흡탈착탑 패널(116)의 아래에는 탈착용 펌프 패널(117)이 마련되고, 응축탑 및 흡탈착탑 패널(116)과 탈착용 펌프 패널(117)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탈착용 펌프 패널(117)에 탈착용 펌프(5)가 재치된다. 탈착용 펌프 패널(117)의 아래에는 가솔린 베이퍼 펌프 패널(118)이 마련되고, 탈착용 펌프 패널(117)과 가솔린 베이퍼 펌프 패널(118)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가솔린 베이퍼 펌프 패널(118)에 가솔린 베이퍼 펌프(1)가 재치된다. 탈착용 펌프(5) 및 가솔린 베이퍼 펌프(1)는, 구동함으로써 발열하는 것이고, 이들이 재치되는 공간을 이하의 설명에서 발열 에어리어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 및 가솔린 계량기(101)는, 가솔린 스탠드 내에 형성한 설치 기초(121)상에 마련되게 된다. 또한, 설치 기초(121)의 내부에는, 전원, 대기 배출용 배관(36) 및 배출구(10)가 마련되는 아일랜드 내 피트(1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설치 기초(121)의 크기, 형상, 두께 및 재질을 특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 및 가솔린 계량기(101)의 크기나 형상, 설치 대수, 또는, 가솔린 스탠드의 크기나 목적(예를 들면, 승용 자동차 전용으로 할 것인지, 대형차도 이용 가능한 것인지 등)에 응하여 결정하면 좋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의 기본적인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냉매 회로(B)를 동작시켜서, 냉매 증발기(44)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압축기(41)를 구동시켜, 냉매를 순환시킴에 의해, 응축탑(2) 내에 마련되어 있는 냉매 증발기(44)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이 때, 응축탑(2) 내에 충전되어 있는 브라인(7)이 소정의 온도까지 저하되게 된다. 그리고, 브라인(7)이 소정의 온도에 달하면, 압축기(41)의 구동을 정지한다.
브라인(7)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보다 상승하면, 압축기(41)의 구동을 재개한다. 즉, 도시 생략의 제어 수단은, 브라인 온도 검지기(12)로부터의 온도 정보에 의거하여, 냉매 회로(B)의 압축기(41)를 제어하고, 브라인(7)의 온도를 소정의 범위에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응축탑(2) 내의 브라인(7)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로 제어됨으로써,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의 준비가 정돈되게 된다. 그리고, 가솔린 계량기(101)로부터 액화 가솔린이 자동차 등에 급유되는 동시에,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이 시작된다.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은, 급유 노즐(102)로부터 액화 가솔린이 자동차 등의 가솔린 탱크에 급유될 때에, 급유구에서 추출되는 가솔린 베이퍼를 가솔린 베이퍼 응축 회로(A) 내에 흡인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즉, 가솔린 베이퍼 응축 회로(A)를 구성하는 가솔린 베이퍼 펌프(1)의 운전에 의해, 급유 노즐(102)을 통하여 가솔린 베이퍼 응축 회로(A) 내에 가솔린 베이퍼가 흡인됨으로써 가솔린 베이퍼 회수 운전이 시작하는 것이다.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는, 설치 기초(121)의 내부에 있는 아일랜드 내 피트(122)를 통과하고, 프레임 테두리(120)를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흐르고, 응축탑(2) 내로 유도된다(도 2에 도시하는 화살표(a)). 응축탑(2) 내로 유도된 가솔린 베이퍼는, 응축탑(2) 내의 가솔린 응축기(24) 내를 서서히 냉각되면서 상방부터 하방으로 흐른다. 냉각된 가솔린 베이퍼는, 그 일부가 액화하여 응축탑(2)으로부터 유출된다. 액화한 가솔린은, 기액 분리기(3)에서 포착, 회수되고,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기액 분리기(3)에서 포착된 액화 가솔린은, 가솔린 계량기(101)로 되돌아와, 재이용된다.
또한, 액화하지 않은 가솔린 베이퍼는,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에 유입한다. 즉, 응축탑(2)만으로는, 가솔린 베이퍼의 전부를 액화, 회수할수가 없기 때문에, 가솔린 베이퍼는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에서 흡착 및 탈착되고, 회수되게 된다. 흡탈착탑(4a)에서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하는 경우는, 제 2 전자 밸브(26a)가 개방제어, 제 2 전자 밸브(26b)가 폐쇄제어되고, 기액 분리기(3)를 유출한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탈착탑(4a)에 유입한다.
흡탈착탑(4a)에서는, 흡탈착탑(4a)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흡착제(9a)로 가솔린 베이퍼가 흡착된다. 따라서 가솔린 베이퍼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가솔린 베이퍼가 흡착되기 때문에, 가솔린 베이퍼 농도가 더욱 저감하게 된다. 예를 들면, 흡착제(9a)는,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함에 의해, 가솔린 베이퍼의 함유량을 1vol% 이하로 한다. 그리고, 이 공기는, 개방제어되어 있는 제 3 전자 밸브(27a) 및 제 1 감압 밸브(28)를 경유하여, 배출구(10)로부터 대기에 방출된다(도 2에 도시하는 화살표(b)).
한편, 흡탈착탑(4b)에서는, 흡착제(9b)에 흡착되어 있는 가솔린 베이퍼의 탈착이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탈착용 펌프(5)가 구동됨에 의해, 흡기구(11)로부터 받아들여진 공기가 제 2 감압 밸브(31)에서 감압되고, 제 4 전자 밸브(32b)를 경유하여 흡탈착탑(4b)에 유입한다(도 2에 도시하는 화살표(c)). 이 때, 흡탈착탑(4b) 내의 압력은 부압이 되어 있다. 즉, 흡착제(9b)에 흡착되어 있는 가솔린 베이퍼는, 흡탈착탑(4b)에 유입한 공기의 부압의 작용에 의해, 흡착제(9b)로부터 탈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공기에 포함된 가솔린 베이퍼의 함유량을 증가하여(즉 가솔린 베이퍼 농도를 높게 하여), 흡탈착탑(4b)으로부터 유출시켜, 재이용한다.
흡탈착탑(4b)으로부터 유출된 가솔린 베이퍼는, 탈착용 펌프(5)에 흡인되고, 재차 가솔린 흡착용 배관(29)(즉 가솔린 베이퍼 흡착 회로(A1))에 유입한다. 그리고, 급유 노즐(102)로부터 유입한 가솔린 베이퍼라와 합류하여, 응축탑(2)에 유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에서는, 가솔린 베이퍼의 회수율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 내를 저온으로 유지하는 것은, 응축 성능 및 흡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때문이고, 브라인(7)의 온도를 플러스로 유지시키는 것은, 가솔린 베이퍼와 함께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은, 소정의 시간 간격이나, 흡탈착탑(4a) 또는 흡탈착탑(4b)의 출구 부근의 가솔린 베이퍼 농도에 의해, 기능을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그것은, 흡착제(9a) 및 흡착제(9b)로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할 수 있는 양(量)에는, 소정의 한계가 존재하고, 연속 운전을 실행하는데는, 가솔린 베이퍼의 흡착과 탈착을 전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예에서는, 흡착탑으로서 기능하고 있던 흡탈착탑(4a)을 탈착탑으로서 기능시키고, 탈착탑으로서 기능하고 있던 흡탈착탑(4b)을 흡착탑으로서 기능시키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여기서, 프레임 테두리(120) 내의 각 기기의 배치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테두리(120) 내에서는, 냉동기(6)가 최상단에 배치되고, 이하 순번대로 에어 갭(110), 냉각 에어리어, 발열 에어리어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기를 대기에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0)는, 아일랜드 내 피트(122), 즉 발열 에어리어보다도 하방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솔린 탈착용 배관(35)은,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에 접속시키기 위해, 냉각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있다. 즉, 흡기구(11)를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의 부근에 마련하고, 사이드 프레임측부터 탈착용 공기를 흡기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응축탑 및 흡탈착탑 패널(116), 탈착용 펌프 패널(117), 가솔린 베이퍼 펌프 패널(118), 및, 베이스판(119)에는, 가솔린 흡착용 배관(29), 가솔린 탈착용 배관(35) 및 대기 배출용 배관(36)을 삽통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관통 구멍을 통하여 각 배관이 설치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레이아웃 구성으로 되어 있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에서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도통하고 있는 대기 배출용 배관(36)을, 발열 에어리어인 탈착용 펌프(5)의 설치 공간 및 가솔린 베이퍼 펌프(1)의 설치 공간을 경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기 배출용 배관(36) 내를 도통하는 공기를 특별한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서 가온할 수가 있어서, 대기 배출용 배관(36)의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여분의 단열재를 대기 배출용 배관(36)에 휘감을 필요가 없어지고, 비용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공기를 하방을 향하여 배출함으로써, 배기 공기에 포함되는 약간량의 가솔린 베이퍼의 비산을 방지하게도 된다. 이것은, 가솔린 베이퍼는, 공기보다도 무겁다는 특성을 활용한 것이다. 또한, 가솔린 냄새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도 되어, 가솔린 스탠드 내에서 급유 작업을 행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탈착용 공기의 흡기구(11)를, 대기 배출용의 배출구(10)보다도 상방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탈착용 공기에 배출한 공기에 약간량 포함되어 있는 가솔린 베이퍼가 혼입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흡착제(9a) 및 흡착제(9b)의 성능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냉각 에어리어를 발열 에어리어보다도 상방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 에어리어를 발열 에어리어보다도 하방에 마련한 경우에 비교하여, 대기 배출용 배관(36) 자체에 특별한 단열을 시행하는 일 없이, 대기 배출용 배관(36)의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 테두리(120) 내를 복수의 패널(냉동기 패널(112), 에어 갭 패널(113), 응축탑 및 흡탈착탑 패널(116), 탈착용 펌프 패널(117), 및, 가솔린 베이퍼 펌프 패널(118))로 구획하도록 함으로써, 열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고, 대기 배출용 배관(36)의 결로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 에어리어에의 외부(예를 들면, 발열 에어리어 등)로부터의 가열을 방지할 수 있고, 냉동기(6)의 여분의 가동을 억제할 수 있고, 운전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은,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의 레이아웃의 다른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에 의거하여,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의 레이아웃의 다른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2에서는, 흡기구(11)를 흡탈착탑(4a) 및 흡탈착탑(4b)의 부근에 마련한 경우를 예로 나타냈지만, 도 3에서는, 흡기구(11)를 배출구(10)와 동등한 높이 위치에 마련한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다. 이 흡기구(11)는, 배출구(10)의 설치 위치와 동등 이상의 높이가 되는 위치에 마련하고 있으면 좋다. 흡기구(11)로부터는 흡착제(9a) 또는 흡착제(9b)에 흡착되어 있는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하기 위한 탈착용 공기가 받아들여진다(도 3에 도시하는 화살표(c1)). 이 탈착용 공기에는 가솔린 베이퍼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2에서는, 흡기구(11)를 배출구(10)의 설치 위치보다도 상방에 설치하여, 배출구(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약간량의 가솔린 베이퍼 성분을 탈착용 공기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단,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의 레이아웃에 의해서는, 흡기구(11)를 배출구(10)와 동등한 높이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도 상정된다. 그래서, 도 3에서는, 흡기구(11) 방향과 배출구(10) 방향이 같은 방향이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도, 배출구(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도 3에 도시하는 화살표(b1))에 포함되어 있는 약간량의 가솔린 베이퍼 성분이 흡기구(11)로부터 받아들여지는 탈착용 공기에 포함되는 일이 없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구(10)가 아일랜드 내 피트(122) 내에 마련되는 것에서는, 흡기구(11)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의 접지면 이상의 높이에 마련되어 있으면, 배출구(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흡기구(11)로부터 받아들여지는 일이 없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구(11)와 배출구(10)가 동등한 높이 위치에 설치되는 것에서는, 흡기구(11) 방향과 배출구(10) 방향을 같은 방향으로 하면, 배출구(1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흡기구(11)로부터 받아들여저 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도 3에서는 흡기구(11) 방향과 배출구(10) 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도 4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의 레이아웃의 또다른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에 의거하여,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의 레이아웃의 또다른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배출구(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흡기구(11)로부터 받아들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흡기구(11)를 배출구(10)의 설치 위치와 동등 이상의 높이가 되는 위치에 마련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도 4에서는, 배출구(1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흡기구(11)로부터 더욱 받아들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궁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2에서는 배출구(10)를 연직 방향 하향을 향한 경우를, 도 3에서는 배출구(10)를 수평 방향을 향한 경우를, 각각 예로 나타냈지만, 이 범위, 즉 수평 방향부터 연직 방향 하향의 범위(즉, 도 4에 도시하는 화살표(b) 내지 화살표(b1)의 범위)를 향하도록 배출구(10)를 마련하도록 하면 좋다. 가솔린 베이퍼 성분은 공기보다도 무겁기 때문에, 이 범위 내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것으로 하면, 그 이상의 높이에 가솔린 베이퍼 냄새가 올라오지 않는다. 따라서 배기 공기에 포함되는 약간량의 가솔린 베이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가솔린 스탠드 내에서 급유 작업을 행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흡기구(11)를 수평 방향을 향한 경우를 예로 나타냈지만,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부터 연직 방향 윗방향의 범위(즉, 도 4에 도시하는 화살표(c) 내지 화살표(c2)의 범위)를 향하도록 흡기구(11)를 마련하도록 하면 좋다. 흡기구(11) 방향과, 배출구(10) 방향을 적절히 조정함에 의해, 배출구(10)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흡기구(11)로부터 더욱 받아들여지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흡기구(11) 방향은, 가솔린 탈착용 배관(35)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고, 배출구(10) 방향은, 대기 배출용 배관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100)의 크기나 형상 등에 의거하여, 각 배관의 배치 선택 회수를 증가할 수 있고, 각 배관의 레이아웃을 결정할 수 있고, 스페이스 절약화나 디자인화에의 기여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 가솔린 베이퍼 펌프
2 : 응축탑
3 : 기액 분리기
4a : 흡탈착탑
4b : 흡탈착탑
5 : 탈착용 펌프
6 : 냉동기
7 : 브라인
8 : 브라인 펌프
9a : 흡착제
9b : 흡착제
10 : 배출구
11 : 흡기구
12 : 브라인 온도 검지기
13a : 흡착제 냉각기
13b : 흡착제 냉각기
22 : 제 1 전자 밸브
24 : 가솔린 응축기
26a : 제 2 전자 밸브
26b : 제 2 전자 밸브
27a : 제 3 전자 밸브
27b : 제 3 전자 밸브
28 : 제 1 감압 밸브
29 : 가솔린 흡착용 배관
30 : 개폐 밸브
31 : 제 2 감압 밸브
32a : 제 4 전자 밸브
32b : 제 4 전자 밸브
33a : 제 5 전자 밸브
33b : 제 5 전자 밸브
35 : 가솔린 탈착용 배관
36 : 대기 배출용 배관
41 : 압축기
42 : 응축기
43 : 조임장치
44 : 냉매 증발기
45 : 냉매 배관
46 : 송풍기
54 : 브라인 배관
55 : 액면계
100 :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101 : 가솔린 계량기
102 : 급유 노즐
110 : 에어 갭
111 : 천장 패널
112 : 냉동기 패널
113 : 에어 갭 패널
114 : 사이드 프레임
115 : 사이드 프레임
116 : 응축탑 및 흡탈착탑 패널
117 : 탈착용 펌프 패널
118 : 가솔린 베이퍼 펌프 패널
119 : 베이스판
120 : 프레임 테두리
121 : 설치 기초
122 : 아일랜드 내 피트
125 : 비방폭 에러리어
A : 가솔린 베이퍼 응축 회로
A1 : 가솔린 베이퍼 흡착 회로
A2 : 가솔린 베이퍼 탈착 회로
B : 냉매 회로
C : 브라인 회로

Claims (10)

  1. 가솔린 탱크로부터 배출된 가솔린 베이퍼를 흡인하는 가솔린 베이퍼 펌프와,
    내부에 브라인이 충전되고, 상기 가솔린 베이퍼 펌프에 의해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를 냉각하는 응축탑과,
    상기 가솔린 베이퍼 펌프에 의해 흡인된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제에 의해 흡착하고, 상기 흡착제에 흡착한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하는 흡탈착탑과,
    상기 흡탈착탑에 탈착용 공기를 공급하는 탈착용 펌프와,
    상기 가솔린 베이퍼 펌프, 상기 응축탑, 상기 흡탈착탑 및 상기 탈착용 펌프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레임 테두리와,
    상기 흡탈착탑 중에서 흡착탑으로서 기능 하고 있던 상기 흡탈착탑으로 상기 가솔린 베이퍼를 흡착한 후의 공기를 도통 하는 대기 배출용 배관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 테두리 내에서, 상기 응축탑 및 상기 흡탈착탑을 상기 가솔린 베이퍼 펌프 및 상기 탈착용 펌프보다도 상방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대기 배출용 배관을, 상기 가솔린 베이퍼 펌프 및 상기 탈착용 펌프의 설치 공간을 경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탑 내부에 충전되는 브라인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테두리 내에서, 상기 냉동기를 최상부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기, 상기 가솔린 베이퍼 펌프, 상기 응축탑, 상기 흡탈착탑 및 상기 탈착용 펌프가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는 패널로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배출용 배관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배출구를, 상기 가솔린 베이퍼 펌프 및 상기 탈착용 펌프의 수용 공간보다도 하방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수평 방향부터 연직 방향 하향의 범위 내를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탈착탑의 상기 흡착제에 흡착된 상기 가솔린 베이퍼를 탈착하기 위한 탈착용 공기를 도통하는 가솔린 탈착용 배관을 마련하고,
    상기 가솔린 탈착용 배관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흡기구를 상기 배출구의 설치 위치와 동등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를 상기 배출구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가 수평 방향을 향하고, 상기 배출구가 연직 방향 하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와 상기 배출구를 동등한 높이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와 상기 배출구가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를 수평 방향부터 연직 방향 윗방향의 범위 내를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10. 삭제
KR1020117000104A 2008-10-27 2008-10-27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KR101247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9403 WO2010049981A1 (ja) 2008-10-27 2008-10-27 ガソリンベーパ回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144A KR20110029144A (ko) 2011-03-22
KR101247456B1 true KR101247456B1 (ko) 2013-03-25

Family

ID=4212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104A KR101247456B1 (ko) 2008-10-27 2008-10-27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86472B2 (ko)
KR (1) KR101247456B1 (ko)
CN (1) CN102099088A (ko)
TW (1) TW201016300A (ko)
WO (1) WO2010049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607B1 (ko) * 2011-12-09 2013-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
CN102719197A (zh) * 2012-04-17 2012-10-10 中国轻工业长沙工程有限公司 松节油回收系统
JP5598682B2 (ja) 2012-07-19 2014-10-01 株式会社タツノ 給油装置
ES2814352T3 (es) * 2012-11-29 2021-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JP6313595B2 (ja) * 2013-12-27 2018-04-18 株式会社前川製作所 ヒートポンプ式乾燥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060A (ja) * 1995-08-29 1997-03-04 Syst Enji Service:Kk 廃棄ガスに含まれるガス状炭化水素の処理・回収方法
JP2005177563A (ja) 2003-12-17 2005-07-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ソリンベーパ回収装置
JP2006198604A (ja) 2004-12-22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状炭化水素の処理・回収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596A (ja) * 1997-06-20 1999-01-19 Tokico Ltd 給油装置
CN2456118Y (zh) * 2000-12-20 2001-10-24 李晓波 高效节能干燥机
CN1994858A (zh) * 2006-11-24 2007-07-11 江苏工业学院 加油站油气回收的方法及装置
JP5247046B2 (ja) * 2007-02-23 2013-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ソリンベーパ凝縮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060A (ja) * 1995-08-29 1997-03-04 Syst Enji Service:Kk 廃棄ガスに含まれるガス状炭化水素の処理・回収方法
JP2005177563A (ja) 2003-12-17 2005-07-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ソリンベーパ回収装置
JP2006198604A (ja) 2004-12-22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状炭化水素の処理・回収装置及び方法
KR100815720B1 (ko) 2004-12-22 2008-03-20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상태 탄화수소의 처리 및 회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6481B (ko) 2012-06-21
WO2010049981A1 (ja) 2010-05-06
KR20110029144A (ko) 2011-03-22
CN102099088A (zh) 2011-06-15
TW201016300A (en) 2010-05-01
JPWO2010049981A1 (ja) 2012-03-22
JP5586472B2 (ja)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720B1 (ko) 가스 상태 탄화수소의 처리 및 회수 방법
KR101293382B1 (ko)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KR101247456B1 (ko)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JP4671940B2 (ja) ガス状炭化水素の処理・回収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103228B1 (ko) 가스상태 탄화 수소 회수 장치 및 방법
KR101215211B1 (ko) 가스상태 탄화 수소의 처리· 회수 장치 및 방법
JP2007289802A (ja) ガス状炭化水素の処理・回収装置及びその方法
JP3606854B2 (ja) 高湿度燃料ガスの圧縮供給装置
JP5247046B2 (ja) ガソリンベーパ凝縮容器
KR102167308B1 (ko) 급유장치
JP2008303795A (ja) ガソリンベーパ回収用吸脱着塔
JP2009028723A (ja) ガス状炭化水素の処理・回収方法
JPH09152233A (ja) 冷媒回収装置
JP2009000646A (ja) ガソリンベーパ回収容器
JP5808933B2 (ja) 冷凍機の抽気装置及び抽気方法
JP5606714B2 (ja) 抽気回収装置とその運転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ターボ冷凍機
JP2005177563A (ja) ガソリンベーパ回収装置
JP2013248615A (ja) ガソリンベーパ回収装置
CN202538604U (zh) 高沸点有机气体的回收装置
JP4490362B2 (ja) 可燃性冷媒の処理装置
JP2001032752A (ja) 燃料蒸気処理装置
JP5273954B2 (ja) ガソリンベーパ凝縮容器
CN105536280A (zh) 汽油蒸气回收装置
KR101739527B1 (ko) 유증기 회수장치
JP4107018B2 (ja) エンジン暖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