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607B1 -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607B1
KR101262607B1 KR1020110131739A KR20110131739A KR101262607B1 KR 101262607 B1 KR101262607 B1 KR 101262607B1 KR 1020110131739 A KR1020110131739 A KR 1020110131739A KR 20110131739 A KR20110131739 A KR 20110131739A KR 101262607 B1 KR101262607 B1 KR 101262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supply line
hybrid vehicle
can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607B1/ko
Priority to JP2012085424A priority patent/JP5959900B2/ja
Priority to US13/455,884 priority patent/US9163592B2/en
Priority to DE102012104068.0A priority patent/DE102012104068B4/de
Priority to CN201210150295.1A priority patent/CN10316161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9Layout of the fuel vapour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0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B60W20/18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for avoiding ageing of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0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 B60K2015/0351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with vapor recovery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025/0881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with means to heat or cool the cani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온 환경에서도 모터 작동 구간에서 연료 탱크 내부의 증발가스를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연료펌프와 벤트 밸브가 내장되는 연료 탱크와 캐니스터 사이에 증발가스를 유도하는 베이퍼 라인이 마련되고, 캐니스터로부터 엔진으로 증발가스를 송출하는 퍼지 라인이 접속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 니플, 상기 배출 니플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라인,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배기관 측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연통되도록 제어되는 양방향 밸브 및 상기 양방향 밸브의 후단에 형성되는 전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VAPOR GAS DISCHARGING APPARATUS FOR HYBRID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온 환경에서도 모터 작동 구간에서 연료 탱크 내부의 증발가스를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과 모터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을 설계할 때에 연료시스템에서 가장 문제되는 사항은 엔진 정지구간에서 연료탱크에서 방출되는 증발가스를 외부로 어떻게 방출하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으로 대두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엔진이 작동되면 가솔린 엔진에 의해 연료와 함께 캐니스터에서 증발가스가 엔진으로 송출된다.
즉, 하이브리드 차량은 중/저속 및 아이들 상태에서 모터로 구동되며, 이때 엔진이 정지되므로 캐니스터에서 엔진으로 유입되는 증발가스 퍼지량은 0이 되지만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는 끊임없이 증발가스를 방출하게 되므로 연료탱크에서 캐니스터로 유입된 증발가스가 퍼지라인으로 방출되지 못하게 되면 에어 출구를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따라서 배출가스 규제 법규를 만족하지 못하게 되고, 냄새 등의 상품성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탱크를 증발가스의 과도한 압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두께가 두꺼운 고장력 강판으로 구성하고, 연료탱크(10)와 캐니스터(20)의 사이에 마련되는 베이퍼라인(30)에 벤트 밸브(40)를 장착하며, 캐니스터(20)의 출구 니플(21)에 가압식 OBD 밸브(50)를 장착한 형태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구조가 제안되었다.
상기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구조에 있어서 모터 작동시 퍼지가 없을 때 증발가스 흐름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구조에 있어서는 아이들 또는 저속 구간 엔진이 정지되고, 모터가 작동하게 되면 베이퍼라인(30)의 벤트 밸브(40)를 차단하게 되며, 그에 따라 연료탱크(10) 내부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20)로 유입되지 못하고 연료탱크(10) 내부에 머물게 된다.
그리고 가속 구간에서 엔진이 가동되면 베이퍼라인(30)의 벤트 밸브(40)를 개방하게 되며, 이 때에는 연료탱크(10) 내부의 증발가스가 베이퍼라인(30)을 통해 캐니스터(20)로 유입되고, 캐니스터(20)에 접속되는 퍼지라인(60)을 따라 엔진으로 송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는 모터 작동 시에 증발가스가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캐니스터(20)의 내부에는 축열재가 포함된다. 이러한 축열재는 소정 온도에서 액체/고체의 상변화를 반복하게 되고, 액체에서 고체로 상변화 시 잠열을 발산하게 된다. 즉, 상기 축열재로 사용되는 Hexadecane은 상온 법규 기준온도(약 18도)에서 상변화를 일으키며 이때 발생되는 잠열로 캐니스터(20) 내부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증발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활성탄의 탈착 효율을 증대시킨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축열재 및 구조물로 인하여 원가 및 중량이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축열재는 기준 온도에서만 상면화로 인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저온 시에는 캐니스터(20)의 효율 증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한지 및 겨울철에는 작동이 불가한 문제점을 내포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10993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작동구간에서 연료탱크 내부의 증발가스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는 연료펌프와 벤트 밸브가 내장되는 연료 탱크와 캐니스터 사이에 증발가스를 유도하는 베이퍼 라인이 마련되고, 캐니스터로부터 엔진으로 증발가스를 송출하는 퍼지 라인이 접속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 니플, 상기 배출 니플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라인,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배기관 측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연통되도록 제어되는 양방향 밸브 및 상기 양방향 밸브의 후단에 형성되는 전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 부재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 라인에는 상기 전도 부재의 후류 측에 설치되고, 공기 공급 라인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유출입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방향 밸브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작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공기가 배출 니플과 연통됨과 동시에 배기관과는 차단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차량의 모터가 작동되는 동안에는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공기가 배기관과 연통됨과 동시에 공기 공급은 차단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에 의하면, 엔진이 오프되어 퍼지가 불가능한 모터 작동구간에서 캐니스터 내부의 증발가스를 배기관으로 유도하고 촉매제를 거쳐 대기중으로 방출시키게 되므로 안전하게 증발가스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엔진 작동 시에는 전도 부재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캐니스터에 공급됨으로써 저온 시에도 활성탄의 탈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축열재 및 구조물이 생략되므로 원가 및 중량이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에 적용되는 공기 공급 라인, 캐니스터 및 배기관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에 적용되는 양방향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에서 머플러의 촉매제에 의해 증발가스가 분해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에 적용되는 공기 공급 라인, 캐니스터 및 배기관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는 연료 펌프(미설명 부호)와 벤트 밸브(101)가 내장되는 연료 탱크(100), 캐니스터(300) 사이에 증발가스를 유도하는 베이퍼 라인(110)이 형성되고, 상기 캐니스터(300)에는 엔진으로 증발가스를 송출하는 퍼지 라인(220)이 접속된다.
상기 캐니스터(300)에는 공기가 공급되도록 배출 니플(201)이 형성되고, 이러한 배출 니플(201)은 공기 공급 라인(210)과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 라인(210)의 외주면이 촉매제(미도시)가 설치되는 배기관(3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공급 라인(210)의 내부에는 전도 부재(301)가 설치되고 이러한 전도 부재(301)에 의해 상기 배기관(310)의 열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 라인(2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전도 부재(301)와 배기관(310) 간의 열교환으로 인하여 가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 라인(210)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관(310)과 연통되도록 양방향 밸브(3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양방향 밸브(300)는 상기 전도 부재(301)의 상류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도 부재(301)는 공기와의 열전달이 용이하도록 상기 공기 공급 라인(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에 적용되는 양방향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방향 밸브(300)는 상기 공기 공급 라인(2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배출 니플(201)과 연통시킴과 동시에 배기관(310)과는 차단되도록 작동하거나,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공급 라인(210)의 공기가 배기관(310)과 연통됨과 동시에 공기 공급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차량의 엔진이 작동하는 구간인 경우(S100), 즉 퍼지가 가능한 엔진 작동 구간에서는 유출입 밸브(211)를 개방하게 된다.(S110)
이후, 양방향 밸브(300)에 의해서 공기 공급 라인(2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배출 니플(201)과 연통시킴과 동시에 배기관(310)과는 차단되도록 작동하게 된다.(S120)
따라서, 전도 부재(301)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가 캐니스터(200)의 내부로 유입된다.(S130)
한편, 도 5의 (b)를 참조하면, 모터가 작동하는 구간인 경우(S200) 즉, 퍼지가 불가능한 구간에서는 유출입 밸브(211)를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한다.(S210)
이후, 상기 양방향 밸브(300)에 의해서 공기 공급 라인(210)의 공기가 배기관(310)과 연통됨과 동시에 공기 공급은 차단되도록 한다.(S220)
따라서, 상기 캐니스터(200)의 내부에 잔여하는 증발가스는 상기 배기관(310)을 통하여 방출되도록 한다.(S230)
이때,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에서 머플러의 촉매제에 의해 증발가스가 분해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캐니스터(200)의 증발가스가 상기 배기관(310)을 통해 방출되는 과정에서 배기관(310) 내부에 구비되는 촉매제를 거쳐 대기 중으로 방출되도록 한다. 즉, 증발가스 성분은 탄화수소(HC)이며, 상기 증발가스가 촉매제에서 산소와 화학반응에 의하여 수소와 이산화탄소 분리되어 대기중으로 방출되므로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게 된다.(HC+O2 = H2+CO2)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연료 탱크
101: 벤트 밸브
110: 베이퍼 라인
200: 캐니스터
201: 배출 니플
210: 공기 공급 라인
211: 유출입 밸브
220: 퍼지 라인
300: 양방향 밸브
301: 전도 부재
310: 배기관

Claims (4)

  1. 연료펌프와 벤트 밸브가 내장되는 연료 탱크와 캐니스터 사이에 증발가스를 유도하는 베이퍼 라인이 마련되고, 캐니스터로부터 엔진으로 증발가스를 송출하는 퍼지 라인이 접속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 니플;
    상기 배출 니플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라인;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배기관 측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연통되도록 제어되는 양방향 밸브; 및
    상기 양방향 밸브의 후단에 형성되는 전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부재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라인에는 상기 전도 부재의 후류 측에 설치되고, 공기 공급 라인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유출입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밸브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작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공기가 배출 니플과 연통됨과 동시에 배기관과는 차단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차량의 모터가 작동되는 동안에는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공기가 배기관과 연통됨과 동시에 공기 공급은 차단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
KR1020110131739A 2011-12-09 2011-12-09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 KR101262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739A KR101262607B1 (ko) 2011-12-09 2011-12-09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
JP2012085424A JP5959900B2 (ja) 2011-12-09 2012-04-04 ハイブリッド車両の蒸発ガス排出構造
US13/455,884 US9163592B2 (en) 2011-12-09 2012-04-25 Vapor gas discharging apparatus for hybrid electric vehicle
DE102012104068.0A DE102012104068B4 (de) 2011-12-09 2012-05-09 Verdunstungsgas-Ableitungsvorrichtung für ein Hybrid-Elektrofahrzeug
CN201210150295.1A CN103161618B (zh) 2011-12-09 2012-05-15 用于混合电动车辆的汽油蒸气排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739A KR101262607B1 (ko) 2011-12-09 2011-12-09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607B1 true KR101262607B1 (ko) 2013-05-08

Family

ID=4846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739A KR101262607B1 (ko) 2011-12-09 2011-12-09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63592B2 (ko)
JP (1) JP5959900B2 (ko)
KR (1) KR101262607B1 (ko)
CN (1) CN103161618B (ko)
DE (1) DE10201210406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0832B2 (en) * 2015-09-21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s for preventing hydrocarbon breakthrough emissions
CN106762175B (zh) * 2015-11-20 2019-10-22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载加油油气回收系统、控制单元及汽车
KR101876036B1 (ko) * 2016-07-12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 넘침 방지 장치 및 방법
EP3800080B1 (en) * 2019-10-03 2022-01-26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Solar heated canister for fuel vapour
JP7428162B2 (ja) 2021-05-24 2024-02-06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5098A (en) * 1970-09-28 1972-02-29 Gen Motors Corp Exhaust emission control
US4368711A (en) * 1979-11-26 1983-01-18 Larry All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R2618855B1 (fr) * 1987-07-30 1992-08-21 Peugeot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 vapeurs d'essence
JPH0694851B2 (ja) * 1988-06-27 1994-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蒸発燃料制御装置
US5021071A (en) * 1990-03-14 1991-06-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fuel tank pressure control method
US5207734A (en) * 1991-07-22 1993-05-04 Corning Incorporated Engine exhaust system for reduction of hydrocarbon emissions
DE4213173C2 (de) * 1992-04-22 2002-10-10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prüfen der Funktionsfähigkeit eines einen Fluidstrom führenden Leitungssystems an einem Verbrennungsmotor
JPH05306658A (ja) * 1992-04-30 1993-11-19 Nippondenso Co Ltd 燃料蒸散防止装置
US5273020A (en) * 1992-04-30 1993-12-28 Nippondenso Co., Ltd. Fuel vapor purging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5845485A (en) * 1996-07-16 1998-12-08 Lynnte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hydrogen into a catalytic converter
SE506971C2 (sv) 1996-07-22 1998-03-09 Volvo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vgasrening med hjälp av en kanister
JPH10121949A (ja) * 1996-10-24 1998-05-12 Fuji Heavy Ind Ltd 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3596671B2 (ja) 2000-02-09 2004-12-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蒸気処理装置及び排気ガス浄化装置
EP1124053A3 (en) * 2000-02-09 2003-01-08 Nissan Motor Co., Ltd. Fuel vapor treatment system
EP1619379A1 (en) * 2004-07-22 2006-01-25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A) Fuel vapour storage and recovery apparatus
US7114492B2 (en) * 2004-09-29 2006-10-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and system of purging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canister using heated purge air
JP2006096137A (ja) * 2004-09-29 2006-04-13 Hitachi Ltd 鉄道車両用軸箱支持装置
US7036489B1 (en) * 2005-05-17 2006-05-02 Delphi Technologies, Inc. Exhaust system and methods of NOx adsorber desulfation
KR20070060434A (ko) 2005-12-08 2007-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구동방식의 연료장치
US7331334B2 (en) * 2006-02-15 2008-0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purging fuel vapors using exhaust gas
US7467620B1 (en) 2007-06-08 2008-12-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with new adsorbents
US7527045B2 (en) * 2007-08-03 2009-05-05 Honda Motor Co., Ltd.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microcondenser device
JP2009085036A (ja) * 2007-09-27 2009-04-23 Toyota Motor Corp 蒸発燃料処理装置
US8448427B2 (en) * 2007-11-12 2013-05-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drocarbon retaining and purging system for flex-fuel combustion engine
DE102007058197B4 (de) 2007-12-04 2017-12-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Hybridfahrzeug
KR20090109930A (ko) 2008-04-17 2009-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구조
DE102009020789A1 (de) 2008-06-26 2009-12-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arborn Kohlenwasserstoffrückhalte- und Spülanlage
KR101247456B1 (ko) * 2008-10-27 2013-03-25 가부시키가이샤 다쯔노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US20130160746A1 (en) * 2011-12-21 2013-06-27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ed Exhaust Heating Of A Charcoal Canister Of An Emissions System To Reduce H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59900B2 (ja) 2016-08-02
CN103161618B (zh) 2017-04-12
DE102012104068B4 (de) 2021-07-29
US9163592B2 (en) 2015-10-20
US20130146031A1 (en) 2013-06-13
JP2013121811A (ja) 2013-06-20
DE102012104068A1 (de) 2013-06-13
CN103161618A (zh)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607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
JP4039383B2 (ja) 水素利用内燃機関
EP2105601B1 (en) Engine system
KR101028668B1 (ko) 히터가 구비된 캐니스터
JP2008517201A (ja) 機械式作動隔離バルブを備えた燃料タンクエミッション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2001313056A (ja) 燃料電池車両の排水装置
US8671918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uel state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109250685B (zh) 利用尾气制取富氢气体的车载甲醇重整系统及控制方法
US11603785B2 (en) Exhaust aftertreatment unit for cleaning exhaust gases
KR10126260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
US4380970A (en) Combustion engines
KR101262466B1 (ko) 히터 일체형 캐니스터유닛
CN103147884B (zh) 带改性器的发动机系统
JP2010270618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US6863084B2 (en) Fuel tank and a method of making same
KR20090109930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구조
CN102265021A (zh) 带重整器的发动机系统
KR20160121983A (ko) 폐열을 활용한 캐니스터 시스템
WO2010114511A1 (en) Hybrid power system
JP2010132066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KR101262511B1 (ko) 연료탱크 증발가스 퍼지시스템
CN109264669B (zh) 利用尾气制取富氢气体的机载甲醇重整系统及控制方法
KR100782134B1 (ko) 탄화수소 개질/연소 장치용 연료 및 공기 공급장치
CN218862711U (zh) 后处理排气净化系统和具有其的车辆
JP5804090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