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227B1 -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227B1
KR101245227B1 KR1020110042065A KR20110042065A KR101245227B1 KR 101245227 B1 KR101245227 B1 KR 101245227B1 KR 1020110042065 A KR1020110042065 A KR 1020110042065A KR 20110042065 A KR20110042065 A KR 20110042065A KR 101245227 B1 KR101245227 B1 KR 101245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rel
rail
roller assembly
flat tub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269A (ko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우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우공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우공영
Priority to KR102011004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22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 B21D5/143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making use of a mand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되는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봉합(seaming)하고 가장자리를 절곡하는 동작을 연속으로 수행하는,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모형이 되는 맨드릴(1, mendrel); 상기 맨드릴(1)의 저부에서 공급되는 금속판재(C1)로 하여금 상기 맨드릴(1)의 외표면에 접촉되면서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부(3); 상기 맨드릴(1)의 상부에서 상기 맨드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맨드릴(1)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금속판재의 끝단을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봉합(seaming)함으로써 평관체(C2)를 만드는 롤포밍부(21); 상기 평관체(C2)를 후속공정으로 이송하는 캐리어수단; 상기 캐리어수단에 의해 이송된 평관체(C2)의 양단을 확관성형하여 확관체(C3)를 만드는 확관부(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Machine For Manufacturing The Casing Of Muffler Of Vehicle}
본 발명은 제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단된 후 공급되는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봉합(seaming)하고 가장자리를 절곡하는 동작을 연속으로 수행하는,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차량 소음기에 사용되는 케이싱으로서 본 발명의 제관장치가 제작하고자 하는 목적물의 한 예에 해당한다. 케이싱의 단면 형태는 둥근형,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등 차종 및 주문자의 요구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도 1에 도시된 케이싱(C)은 원형이다. 종래에 이러한 케이싱은 각각 분리된 몇 개의 공정을 개별적으로 거침으로써 완성되었다. 즉 평편한 금속판재를 둥글게 절곡하는 절곡공정, 절곡된 판재의 끝단을 말아 접음으로써 봉합하는 봉합공정 및 양 끝단의 직경을 벌리는 2차 절곡공정인 확관공정을 개별적으로 시행하여 왔다. 도면부호 100은 봉합부를 나타내며 102는 확관부를 나타낸다.
하나의 케이싱을 생산하기 위해 여러 공정을 거치다보니 작업속도는 더딜 수 밖에 없었으며 품질 또한 각양각색이 될 수밖에 없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을 제작하는 제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편한 금속판재를 둥글게 절곡하는 절곡공정, 절곡된 판재의 끝단을 말아 접음으로써 봉합하는 봉합공정 및 양 끝단을 확관하는 2차 절곡공정인 확관공정을 연속적이며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 서술되는 내용을 통해 명확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형상의 케이싱을 성형하기 위한 모형이 되는 맨드릴(mandrel); 상기 맨드릴의 저부에서 상기 맨드릴의 외형을 따라 상승되면서 상기 맨드릴의 저부에 공급되는 직사각 금속판재로 하여금 상기 맨드릴의 외표면에 접촉되면서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부; 상기 맨드릴의 상부에서 상기 맨드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맨드릴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금속판재의 끝단을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봉합(seaming)함으로써 평관체를 만드는 롤포밍부; 상기 봉합에 의해 통형상을 갖춘 평관체를 후속공정으로 이송하는 캐리어수단; 상기 캐리어수단에 의해 이송된 평관체의 양단을 확관성형하여 확관체를 만드는 확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롤포밍부는 상기 맨드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저면에는 상기 맨드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레일이 설치되는 상부가이드프레임;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왕복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금속판재를 롤포밍 방식으로 절곡하는 롤러어셈블리; 상기 롤러어셈블리를 기동시키기 위한 포밍부기동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캐리어수단은; 상기 맨드릴의 일단을 지지하되 맨드릴에서 만들어진 평관체를 빼낼 시에는 상기 맨드릴로부터 이탈되는 맨드릴지지기구; 상기 롤러어셈블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롤러어셈블리가 원상 복귀할 때, 상기 맨드릴에 걸쳐있던 평관체를 이끌고 복귀하게 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관장치는; 복수개의 맨드릴을 설치한 상태에서 그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맨드릴고정블럭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제3레일; 상기 제3레일의 끝에 그와 같은 높이이며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4레일; 상기 제4레일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 상기 제3레일과 평행하게 상기 이동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맨드릴고정블록이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복수개의 제5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 제관장치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편한 금속판재를 둥글게 절곡하는 절곡공정, 절곡된 판재의 끝단을 말아 접음으로써 봉합하는 봉합공정 및 양 끝단을 확관하는 2차 절곡공정인 확관공정을 연속적이며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관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의 주요부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의 절곡 및 봉합공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봉합된 평관체를 맨드릴로부터 이탈시키고 확관부로 이송시키는 공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10에 연속되는 공정으로서 확관부에 의한 확관 공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중 확관부의 동작을 단계별로 표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 제관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맨드릴(1, mandrel)은 통형상의 케이싱을 성형하기 위한 모형이 되는 것으로서 금형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맨드릴(1)은 소음기의 형태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그 형태는 소음기의 종류만큼이나 다양하며 계속적으로 개발 및 변형될 수 있다.
미도시된 판재공급부는 맨드릴의 저부에 직사각 금속판재(C1)를 공급한다. 판재공급부는 기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판재공급부는 단순히 작업자의 인력을 의미할 수도 있다. 금속판재(C1)는 소음기의 사양에 따라 한번에 2장 이상이 공급될 수도 있다.
절곡부(3)는 맨드릴(1)의 저부에서 상기 맨드릴의 외형을 따라 상승되면서 상기 금속판재(C1)로 하여금 맨드릴(1)의 외표면에 접촉되면서 절곡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하 절곡부(3)의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해 도 3 내지 도 7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맨드릴(1)은 가운데 부분이 공중에 떠있는 상태가 되도록 양단이 지지된다. 공급되는 금속판재(C1)는 맨드릴(1) 저부에 위치된다. 맨드릴(1) 하부에는 맨드릴(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끔 한쌍의 승강판(5)이 설치된다.
각각의 승강판(5) 위에는 금속판재(C1)로 하여금 승강판 상면의 정해진 지점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고정기구(7)가 설치된다. 위치고정기구(7)는 평행하게 이격된 기다란 막대 형태의 아대(9) 1쌍과, 아대(9)를 연결하며 승강판(5)에 마련된 제1레일(11)을 따라 이동되는 아대연결바(13, 도 17 참조) 및 아대연결바(13)를 미세조정하기 위한 아대조정핸들(15)을 포함한다.
승강판(5)은 제1실린더(2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으며, 제2실린더(25)에 의해 맨드릴(1)을 향한 방향으로 서로 모이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기동을 할 수 있다. 승강판(5) 사이에는 맨드릴(1)의 중심 직하부에 받침대(17)가 제3실린더(27)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실린더(23)와 제3실린더(27)는 같은 실린더일 수 있으며, 그렇지 아니하고 제1실린더(23)에 의해 기동되는 센터프레임(29)위에 제3실린더(27)가 설치됨으로써 제3실린더(27)는 제1실린더(23)에 종속되어 기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도의 작동방식은 당업자에 의해 능히 변형 설계될 수 있는 사항이다.
승강판(5) 하부에는 맨드릴(1)을 향한 방향으로 단면이 반원형인 누름대(19)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누름대(19)는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절곡부(3)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하면서 금속판재(C1)로 하여금 맨드릴(1) 표면을 밀착하여 감싸도록 한다.
도 3은 금속판재(C1)가 맨드릴(1) 하부에 공급되어 있으며 아대(9)에 의해 도면상 좌우방향으로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받침대(17)가 상승하여 금속판재(C1)의 중간부분이 맨드릴(1)의 중심에 밀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균형을 위해 승강판(5)도 받침대와 함께 상승하는 것이 좋다. 도 5는 승강판(5)이 더 상승하면서 금속판재(C1)가 유(U)자 형태로 절곡되는 것을 도시한다. 누름대(19)는 맨드릴(1)의 양쪽 옆을 누름으로써 금속판재(C1)를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승강판(5)은 맨드릴(1)을 향해 서로 모이도록 기동된다. 결과적으로 금속판재(C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양 끝이 서로 인접되게끔 굽혀진다(절곡된다).
절곡이 끝난 다음 롤포밍부(21)가 작동한다. 롤포밍부(21)는 맨드릴(1)의 상부에서 맨드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하면서 맨드릴(1)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금속판재(C1)의 끝단을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봉합(seaming)하는 장치이다. 이하, 도 2 및 도 7 이하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부가이드프레임(31)이 맨드릴(1)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부가이드프레임(31)의 저면에는 맨드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레일(33)이 설치된다. 롤러어셈블리(35)는 제2레일(33)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다. 포밍부기동장치(미도시됨)는 롤러어셈블리(35)를 제2레일(33)을 따라 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유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롤러어셈블리(35)는 일반적인 롤포밍장치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롤러(37)쌍이 제2레일(33)을 따라 점진적으로 다른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2장의 판재가 롤러어셈블리(35)를 통과하게 되면 롤러어셈블리(35)에 끼인 부분은 절곡 및 접합되어 서로 일체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어셈블리(35)의 최후단에는 헬리컬 기어와 같은 형상을 같은 기어롤러(37')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롤러(37')는 절곡된 부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국부적 압력을 가함으로써 봉합된 부위가 더욱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금속판재(C1)는 절곡 및 롤포밍을 거치면서 맨드릴(1)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 통형상의 평관체(C2)가 된다.
한편 맨드릴(1)은 어떻게 설치되는지, 나아가 금속판재(C1)가 절곡 및 봉합되는 동안 맨드릴(1)의 양단은 어떻게 지지되는지를 도 2 또는 도 13을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의 개략 평면도로서 구체적으로는 상부가이드프레임(31)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복수개의 맨드릴(1a,1b,1c, 도 13 참조)을 제관장치에 상시 설치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그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언급한 것처럼 맨드릴(1)의 크기 및 형태는 실로 다양하다. 따라서 자주 사용되는 것 몇가지를 제관장치에 걸어 놓고 작업 스케줄 또는 긴급상황에 따라 그중 어느 하나를 인출하여 작업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관장치에는 맨드릴고정블럭(39)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제3레일(41)이 제관장치의 중간높이에 설치된다. 제3레일(41)의 끝에는 그와 같은 높이이며 그와 직각을 이루도록 제4레일(43)이 설치된다. 제4레일(43) 상에는 이동판(4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이동판(45)은 제4레일(43)을 따라 제3레일(41)과 직각방향으로 기동할 수 있다. 이동판(45)은 작업자가 손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동판(45)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짤막한 제5레일(47)이 제3레일(41)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5레일(47)과 제3레일(41)은 형상 및 구격이 서로 같아 서로 이어 붙여서 사용할 수 있다. 제5레일(47)에는 맨드릴고정블록(39)이 결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제5레일(47)은 도시된 바에 의하면 3개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5레일(47)중 하나인 제5-1레일(47a)은 비어 있는데 제1맨드릴(1a)를 고정하고 있는 제1맨드릴고정블록(39a)이 이미 제3레일(41)에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나머지 맨드릴고정블록(39b,39c)들은 제5-2레일(47b) 및 제5-3레일(47c) 위에서 제2,3맨드릴(1b,1c)을 각각 지지하고 있으며 제4레일(43) 위에서 대기하고 있다.
이동판(45)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기동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이동판(45)을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제3레일(41)의 끝단에 제5레일(47) 중 어느 하나를 맞추고 맨드릴고정블럭(39)을 밀어 제3레일(41)에 결합시킴으로써 맨드릴(1)을 작업지점까지 편리하고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장비는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설명된 것처럼 맨드릴(1)의 일측은 맨드릴고정블록(39)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맨드릴고정블록(39)은 제3레일(41)과 결합된 상태에서 맨드릴(1)을 외팔보 형태로 지지하고 있다.
맨드릴(1)의 타측, 즉 그의 선단은 맨드릴지지기구(49)에 의해 지지되는데, 맨드릴지지기구(49)는 맨드릴(1)의 타측을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것은 맨드릴의 교체를 위해 필요하기도 하며 후술하는 것처럼 완성된 평관체(C2)를 맨드릴(1)에서 빼내기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이하 맨드릴지지기구에 대해 도 2, 도 3, 도 9, 도 10,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맨드릴(1)의 타측 선단에는 축봉(51)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봉(51)에는 회전결합구(53)의 결합공(53a)이 끼워지게 된다. 회전결합구(53)는 지지대(55)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공압모터 또는 유공압실린더 등의 구동수단(미도시됨)에 의해 수직축(X)을 중심으로 90° ~ 120°의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대(55)는 수직프레임(57)에 고정되므로 회전결합구(53)에 전달되는 하중은 지지대(55)를 거쳐 수직프레임(57)에 전달된다.
캐리어수단은 완성된 평관체(C2)를 후속공정, 즉 확관부(59)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확관부(59)는 제관장치의 일부로서 본체의 일측부에 설치된다. 먼저 캐리어수단에 대해 도 2, 도 8 내지 도 10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캐리어수단은 위에 언급된 맨드릴지지기구(49)와 후크부재(61)를 포함한다. 후크부재(61)는 롤러어셈블리(35)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롤러어셈블리(35)가 원상 복귀할 때(도 9에서 도 10의 상태로 이동할 때), 맨드릴(1)에 걸쳐있던 평관체(C2)를 이끌기 위한 것이다. 후크부재(61)는 일방향으로의 회전만 할 수 있는 래칫과 유사한 작용을 하며 도 8 내지 도 10에 그의 작용이 잘 나타나 있다. 후크부재(61)는 롤러어셈블리(35)가 도 8에서 도 9의 위치로 이동할 때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고 평관체(C2) 위를 미끄러져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도 9에서 도 10으로 귀환할 때에는 래칫과 같이 평관체(C2)의 접힌 부분에 걸려 평관체를 이끌고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맨드릴(1)의 선단에는 축봉 이외에 현수봉(63)이 길게 설치되어 있다. 현수봉(63)은 후크부재(61)가 이끌고 온 평관체(C2)가 임시로 얹혀지는 곳이며, 절곡부(3)와 확관부(59)까지의 간격을 보충해주는 다리 역할을 한다. 롤러어셈블리(35)가 상부가이드프레임(31)을 따라 끝까지 기동하게 되면 평관체(C2)는 현수봉(63)을 떠나 픽업봉(65)에 끼워지게 된다. 사실상 픽업봉(65)은 이하에 설명되는 확관부(59)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확관부(59)는 공급되는 평관체(C2)의 양단을 확개시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관체(C3) 형태의 케이싱을 성형하는 본 제관장치의 최종 공정에 해당된다. 이하, 도 2, 도 10 이하를 참조하여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특히 도 14 내지 도 16은 확관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이다.
전술된 픽업봉(65)은 현수봉(63)에 나란하게 위치되어 그로부터 평관체(C2)를 인가받는다. 픽업봉(65)은 제4실린더(67)에 의해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는 픽업봉지지대(69)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된다. 평관체(C2)가 픽업봉(65)에 얹히면 픽업봉지지대(69)는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기동하고, 이 과정에서 평관체(C2)는 그의 끝단이 블로킹판(71)에 걸려 진행하지 못함으로써 평관체(C2)는 그 자리에 머물다가 픽업봉(65)이 완전히 빠지게 되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평관체(C2)는 상부를 향해 유(U)자 형태의 개구부(73a)를 가지는 리셉터(73, receipter)의 개구부(73a)에 안착되게 된다.
리셉터(73)는 맨드릴(1)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6레일(75)을 따라 이동하여 도 14의 위치(평관체(C2)를 인가받은 위치)에서 도 15의 위치(확관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리셉터(73)는 체인컨베이어 등의 이동수단에 의해서도 이동될 수 있다.
제6레일(75)의 좌우에 설치되는 가이드판(77,79)은 평관체(C2)가 확관 위치로 운반되는 중에 일정한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는 안내수단이다. 가이드판(77,79)사이의 간격은 케이싱의 길이에 따라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면상 좌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판(77)은 위에서 언급된 블로킹판(71)과 일체를 이루고 있다.
리셉터(73)에 안착된 평관체(C2)는 성형 위치에서 소정의 클램퍼(미도시됨)에 의해 고정되며 양쪽에 설치된 확관금형(81)은 제5실린더(83)에 의해 작동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관체(C2)의 양단을 확개시켜 확관체(C3)를 만든다. 이 확관체(C3)가 곧 도 1에 도시된 케이싱(C)이 되는 것이다.
이후 소정의 탈거수단은 리셉터(73)에 안착되어 있는 완성된 확관체(C3)를 제관장치 밖으로 보내게 된다. 탈거수단은 수작업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며 간단한 푸쉬장치를 통해서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1(1a,1b,1c) ; 맨드릴 3 ; 절곡부
5 ; 승강판 7 ; (아대)위치고정기구
9 ; 아대 11,33,41,43,47,75 ; 제1,2,3,4,5,6레일
15 ; 조정핸들 17 ; 받침대
19 ; 누름대 21 ; 롤포밍부
23,25,27,67,83 ; 제1,2,3,4,5실린더
29 ; 센터프레임 31 ; 상부가이드프레임
35 ; 롤러어셈블리 37 ; 롤러
39 ; 맨드릴고정블록 45 ; 이동판
49 ; 맨드릴지지기구 51 ; 축봉
53 ; 회전결합구 55 ; 지지대
57 ; 수직프레임 59 ; 확관부
61 ; 후크부재 63 ; 현수봉
65 ; 픽업봉 69 ; 픽업봉지지대
71 ; 블로킹판 73 ; 리셉터(receipter)
81 ; 확관금형
C ; 케이싱(C1 ; 금속판재, C2 ; 평관체, C3 ; 확관체)

Claims (4)

  1. 통형상의 케이싱을 성형하기 위한 모형이 되는 맨드릴(1, mendrel); 상기 맨드릴(1)의 저부에서 상기 맨드릴(1)의 외형을 따라 상승되면서 상기 맨드릴(1)의 저부에 공급되는 직사각 금속판재(C1)로 하여금 상기 맨드릴(1)의 외표면에 접촉되면서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부(3); 상기 맨드릴(1)의 상부에서 상기 맨드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맨드릴(1)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금속판재의 끝단을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봉합(seaming)함으로써 평관체(C2)를 만드는 롤포밍부(21); 상기 평관체(C2)를 후속공정으로 이송하는 캐리어수단; 상기 캐리어수단에 의해 이송된 평관체(C2)의 양단을 확관성형하여 확관체(C3)를 만드는 확관부(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포밍부(21)는 상기 맨드릴(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저면에는 상기 맨드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레일(33)이 설치되는 상부가이드프레임(31); 상기 제2레일(33)을 따라 왕복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금속판재를 롤포밍 방식으로 절곡하는 롤러어셈블리(35); 상기 롤러어셈블리(35)를 기동시키기 위한 포밍부기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포밍부(21)는 상기 맨드릴(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저면에는 상기 맨드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레일(33)이 설치되는 상부가이드프레임(31); 상기 제2레일(33)을 따라 왕복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금속판재를 롤포밍 방식으로 절곡하는 롤러어셈블리(35); 상기 롤러어셈블리(35)를 기동시키기 위한 포밍부기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수단은; 상기 맨드릴(1)의 일단을 지지하되 상기 맨드릴(1)에서 만들어진 평관체(C2)를 빼낼 시에는 상기 맨드릴(1)로부터 이탈되는 맨드릴지지기구(49); 상기 롤러어셈블리(35)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롤러어셈블리(35)가 원상 복귀할 때, 상기 맨드릴(1)에 걸쳐있던 평관체(C2)를 이끌고 복귀하게 되는 후크부재(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맨드릴(1)을 설치하고; 복수의 맨드릴(1)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맨드릴고정블럭(39)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제3레일(41); 상기 제3레일(41)의 끝에 그와 같은 높이이며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4레일(43); 상기 제4레일(43)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45); 상기 제3레일(41)과 평행하게 상기 이동판(45)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맨드릴고정블록(39)이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복수개의 제5레일(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
KR1020110042065A 2011-05-03 2011-05-03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 KR101245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065A KR101245227B1 (ko) 2011-05-03 2011-05-03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065A KR101245227B1 (ko) 2011-05-03 2011-05-03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269A KR20120124269A (ko) 2012-11-13
KR101245227B1 true KR101245227B1 (ko) 2013-03-19

Family

ID=4750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065A KR101245227B1 (ko) 2011-05-03 2011-05-03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398B1 (ko) * 2016-07-22 2017-12-06 (주)쎌텍 파이프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17518B (zh) * 2023-01-09 2024-03-29 嘉兴市双圆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消音包加工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729A (ja) 2000-07-14 2002-01-29 Silver Tekku Kk 金属管の成形方法並びに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金属管
KR101028727B1 (ko) 2008-07-10 2011-04-14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 패널용 헤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729A (ja) 2000-07-14 2002-01-29 Silver Tekku Kk 金属管の成形方法並びに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金属管
KR101028727B1 (ko) 2008-07-10 2011-04-14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 패널용 헤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398B1 (ko) * 2016-07-22 2017-12-06 (주)쎌텍 파이프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269A (ko) 201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81420B (zh) 一种全自动一体式集成型钢生产线
JP7182260B2 (ja) コイル状に巻かれた薄板状材料を断片にレーザ切断又はプラズマ切断するための装置
CN110860910B (zh) 一种钢拱架生产线
KR101245227B1 (ko) 차량 소음기용 케이싱의 제관장치
CN205328197U (zh) 收卷机的机械手
KR101863263B1 (ko) 선박용 스틸메쉬필터의 제작을 위한 필터망 주름성형 및 커팅장치
JP2019115929A5 (ko)
CN110756968A (zh) 一种链条自动焊接设备及其使用方法
CN106077338A (zh) 一种全自动双辊折弯系统
CN108582755A (zh) 一种u型铝管自动覆膜涂油机
US20110030446A1 (en) Apparatus for forming a duct
CN204979307U (zh) 一种纸箱自动折盖装置
JP2002240162A (ja) タイヤの一次成型方法及び装置
ITVE20090019A1 (it) Dispositivo di chiusura a leva per calzature sportive.-
CN206119265U (zh) 一种口罩自动加工装置
JPS59199402A (ja) 袋詰製品を一対で製造する装置
CN205772226U (zh) 无芯卷网装置
EP29089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metal rods in bars
CN115971559A (zh) 一种管件切割装置
CN205526861U (zh) 瑜伽垫自动弯卷包装设备
CN205660015U (zh) 一种弯管压管联动机构
CN212603567U (zh) 一种一次性薄膜手套装订机
JP2514615B2 (ja) けたの連続製造設備
CN208995515U (zh) 一种皮料切断分片夹持机构
CN111805956A (zh) 一种一次性薄膜手套装订机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