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234B1 -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 - Google Patents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234B1
KR101242234B1 KR1020110022043A KR20110022043A KR101242234B1 KR 101242234 B1 KR101242234 B1 KR 101242234B1 KR 1020110022043 A KR1020110022043 A KR 1020110022043A KR 20110022043 A KR20110022043 A KR 20110022043A KR 101242234 B1 KR101242234 B1 KR 101242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holding
stacker crane
duc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4010A (ko
Inventor
권혁구
Original Assignee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23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4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태커 크레인에 고정되어 상기 스태커 크레인과 함께 움직이는 캐리어 브라켓; 상부면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 형상 단면의 트롤리 덕트와, 상기 트롤리 덕트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전극과, 상기 트롤리 덕트 내면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극과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롤러 브러쉬를 포함하는 트롤리; 및 상기 트롤리 덕트 상부면 개구부를 통해 상기 롤러 브러쉬와 고정되며, 상기 캐리어 브라켓에 의해 견인되어 상기 롤러 브러쉬를 이동시키는 홀딩 브라켓을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TROLLE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STACKER CRANE}
본 발명은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토커에서 랙 또는 선반에 카세트를 로딩 및 언로딩 하는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본견적인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각종 전기적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였고, 이에 부응하여 경량화, 박형화, 저소비전력화의 장점을 지닌 평판표시장치로서, 액정 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전계방출 표시 장치, 전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이 소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들 평판표시장치는 평판 표시 패널을 공통적인 필수 구성요소로 구비하고, 대면된 두 기판 사이로 고유의 형광 또는 편광 물질층을 개재한 후 합착시킨 구성을 나타내는바, 특히 평판표시패널에 화상 표현의 기본 단위 화소를 행렬로 배열하고 각각을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 소자로 개별 제어하는 능동행렬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평판표시장치 제조공정에는 기판을 상대로 그 표면에 소정 박막을 형성하는 박막 증착 공정, 상기 박막의 선택된 일부를 노출시키는 포토리소그라피 공정 상기 박막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목적하는 형태로 패터닝하는 식각 공정이 수차례 반복 포함되고, 아울러 세정, 합착, 절단 등의 수많은 공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공정을 위해 기판, 모듈 등은 수차례 반송 또는 이송되는데, 기판 등은 미세 먼지나 입자에 의해서도 쉽게 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공정 간을 이동하는 기판 등은 매우 청정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판 등은 카세트에 수납된 상태로 공정 간을 이동하며, 카세트 역시 각 공정 간을 이동하면서 스토커의 내부에 저장된다. 카세트가 보관되는 스토커의 내부 또한 미세 먼지나 입자에 의하여 기판이 오염되지 않도록 극도의 청결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카세트(cassette)가 보관되는 스토커(stocker)는, 카세트를 보관하기 위한 랙(rack) 또는 선반(shelf)과 카세트를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하여 이송하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 스토커 내부의 청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청정 에어를 블로잉(blowing)하여 배출하는 블로잉 시스템을 포함한다. 청정 에어는 스토커의 양측에서 헤파 필터(hepa filter)를 이용하여 블로잉되며 바닥으로 배출된다.
스태커 크레인은 카세트를 적재 또는 반출하는 장치로서 트랙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카세트를 랙 또는 선반에 로딩 또는 언로딩한다.
스태커 크레인의 측면으로는 트롤리(trolley)가 설치되어 스태커 크레인의 이동시 전원을 공급한다. 트롤리는 브러쉬와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있다.
종래의 트롤리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 브러쉬를 구비한 개방된 구조의 트롤리 프레임과 상기 전원 브러쉬와 접촉하며 스태커 크레인과 고정되어 연결되는 롤러 브러쉬를 포함하여, 롤러 브러쉬가 스태커 크레인과 함께 이동하면서 스태커 크레인으로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개방된 트롤리 구조는 전원 브러쉬와 롤러 브러쉬 간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파티클(particle)이 스토커 바닥면으로 떨어지고, 이러한 파티클이 스태커 크레인의 이동시 발생하는 공기 저항에 따른 난기류에 의해 비산하면서 기판 등의 제품에 불량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트롤리는 스토커 바닥면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데 그 길이가 수 m 에 이르므로 트롤리와 움직이는 스태커 크레인 사이에 치수 오차가 존재한다. 이러한 치수 오차는 고정된 트롤리와 움직이는 스태커 크레인 사이의 편중 하중을 발생시켜 부하 발생 요인이 되므로, 증가된 마찰력으로 인해 파티클 발생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극과 움직이는 브러쉬 사이의 접촉이 밀폐 형태의 트롤리 덕트 내부에 이루어져 브러쉬의 마찰에 따라 발생하는 파티클이 기류에 의해 비산하여 제품 불량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태커 크레인과 트롤리가 비 구속적으로 결합되어 스태커 트레인과 트롤리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치수 오차가 자동으로 보정됨으로써, 마찰력 증가에 따른 파티클 발생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태커 크레인에 고정되어 상기 스태커 크레인과 함께 움직이는 캐리어 브라켓; 상부면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 형상 단면의 트롤리 덕트와, 상기 트롤리 덕트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전극과, 상기 트롤리 덕트 내면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극과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롤러 브러쉬를 포함하는 트롤리; 및 상기 트롤리 덕트 상부면 개구부를 통해 상기 롤러 브러쉬와 고정되며, 상기 캐리어 브라켓에 의해 견인되어 상기 롤러 브러쉬를 이동시키는 홀딩 브라켓을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리어 브라켓에는 홀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딩 브라켓은 상기 홀딩홈에 삽입되어 상기 홀딩홈 내면과의 접촉에 의해 견인력을 전달받는 홀딩바를 포함하되, 상기 홀딩바는 상기 홀딩홈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비 구속 결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비 구속 결합 시에, 상기 홀딩홈은 상면 및 상기 홀딩바의 삽입 방향으로 개구된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딩바는 상기 홀딩홈 내에서 상하, 좌우 및 상기 홀딩바의 삽입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트롤리 덕트는 상기 트롤리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 프레임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트롤리 덕트가 얹혀지는 하부면과, 상기 트롤리 덕트의 일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을 가진 제1 프레임과, 상기 트롤리 덕트의 타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면은 상기 트롤리 덕트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면이 연장된 연장부에는 연장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관통하여 바닥면에 고정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슬롯 홀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 홀을 따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트롤리 덕트의 상부 양 가장자리에는 측면 상단에서 상부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측면 상단 및 제2 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트롤리 덕트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으며 상기 트롤리 덕트 상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대면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판이 결합하여, 상기 트롤리 덕트의 경사면과 상기 고정판의 경사면이 사면 접촉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전원과 연결되며 트롤리 덕트 내부에 배치된 전극과, 스태커 크레인의 움직임에 따라 견인되어 움직이는 브러쉬 사이의 접촉이 밀폐 형태의 트롤리 덕트 내부에 이루어지므로, 접촉 마찰에 따라 발생하는 파티클이 기류에 의해 비산하여 제품 불량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태커 크레인과 트롤리 간에 비 구속적으로 결합되어 스태커 트레인과 트롤리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치수 오차가 자동으로 보정됨으로서, 구속 결합시 발생하는 마찰력 증가에 따라 파티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이 설치된 스토커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브라켓에서 홀딩홈과 홀딩 브라켓의 홀딩바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에서 트롤리의 부분 측면 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에서 트롤리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에서 전원 공급 라인을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이 설치된 스토커의 개략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토커에는 카세트가 수납되는 랙(2)이 일측으로 마련되고, 타측으로 스태커 크레인(1)이 제공되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카세트를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loading)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태커 크레인(1)은 트랙(미도시)을 따라 움직이며 로봇 암 등이 설치되어 카세트를 로딩 및 언로딩한다. 스태커 크레인을 움직이는 외부 전원은 트롤리 유닛(3)을 통해 스태커 크레인(1)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3)은 스태커 크레인에 고정되는 캐리어 브라켓(10)과, 스태커 크레인(1)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트롤리(30) 및 캐리어 브라켓(10)과 트롤리(30) 간에 설치되어 스태커 크레인(1)의 움직임을 트롤리(30)에 전달하는 홀딩 브라켓(50)을 포함한다.
캐리어 브라켓(10)은 스태커 크레인(1)의 일측에 고정되며, 스태커 크레인(1)과 함께 움직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 브라켓(10)은 브라켓 프레임(12)과, 케이블 가이드(15), 가이드 고정 플레이트(17) 및 홀딩 블럭(25)을 포함한다.
브라켓 프레임(12)은 L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수직 플레이트(13)는 스태커 크레인(1)의 일 측면에 고정되고, 수평 플레이트(14)는 수직 플레이트(13)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평 플레이트(14)에는 홀딩 블럭(25)이 설치된다.
케이블 가이드(15)는 내부로 케이블이 통과하는 관형 부재로서 "ㄱ"자 형태로 굴곡되어 있으며, 스태커 크레인(1)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온 케이블이 통과하여 홀딩 브라켓(50)을 통해 트롤리 덕트(31) 내부의 롤러 브러쉬(45)와 연결된다. 케이블 가이드(15)는 가이드 고정 플레이트(17) 의해 브라켓 프레임(12)에 고정된다. 케이블 가이드(15)는 굴곡되어 홀딩 브라켓(50)을 향해 연장되며 하단은 홀딩 브라켓(50)과 이격되어 있다. 홀딩 브라켓(50)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통해 배선은 트롤리 덕트(31) 내부의 롤러 브러쉬(45)와 연결된다.
가이드 고정 플레이트(17)는 케이블 가이드(15)의 수평부가 놓이는 제1 플레이트(18)와, 제1 플레이트(18)의 상부로 케이블 가이드(15)를 고정하는 제2 플레이트(19)로 구성되며, 제1 플레이트(18)의 일단에서 케이블 가이드(15)는 아래로 굴곡되어 연장된다. 케이블 가이드(15)의 굴곡부는 제1 플레이트(18)의 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브라켓 프레임(12)의 수평 플레이트(14)는 홀딩 블럭(25)을 구비한다. 홀딩 블럭(25)의 중심부에는 홀딩홈(26)이 형성된다.
도 3 은 캐리어 브라켓(10)에서 홀딩홈(26) 및 홀딩바(57)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홀딩홈(26)은 상면과, 홀딩 브라켓(50)의 홀딩바(57)의 삽입 방향으로 양 측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홀딩바(57)가 홀딩홈(26) 내부에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홀딩홈(26)은 홀딩바(57)의 단면 폭 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홀딩홈(26) 내부에서 홀딩바(57)는 상하, 좌우 및 홀딩바(57)의 삽입 방향으로 전후퇴 움직임이 가능하다. 또한 캐리어 브라켓(10)이 스태커 크레인(1)과 함께 움직이는 경우 홀딩홈(26)의 일측 내면이 홀딩바(57)와 접촉하여 캐리어 브라켓(10)의 움직임을 홀딩바(57)를 통해 홀딩 브라켓(50)에 전달한다. 따라서 홀딩 브라켓(50)은 캐리어 브라켓(1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견인된다. 홀딩홈(26)은 홀딩바(57)가 내부에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면서도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본 명세서에는 홀딩홈(26) 및 홀딩바(57)의 이러한 결합을 비 구속 결합으로 지칭한다. 비 구속 결합은 양 부재가 체결 부재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양 부재 사이의 움직임을 허용하지 않는 구속 결합과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롤리(30)는, 트롤리 덕트(31)와, 롤러 브러쉬(45)를 포함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에서 트롤리의 부분 측면 투시도이고,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트롤리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트롤리 덕트(31)는, 스태커 크레인(1)의 측면으로 스태커 크레인(1)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설치된다. 트롤리 덕트(31) 내부에는 롤러 브러쉬(45)가 설치되어 트롤러 덕트(31)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송된다. 일반적으로 트롤리 덕트(31)는 그 길이가 수m에 이르며, 고정 프레임(35)을 매개로 바닥면에 고정된다. 고정 프레임(35)은 트롤리 덕트(3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된다.
트롤리 덕트(31)는 상부면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32)가 형성된 사각 형상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개구부(32)를 따라 홀딩 브라켓(50)의 홀딩 플레이트(52)가 삽입되고 홀딩 플레이트(52)는 개구부(32)의 연장 방향으로 움직인다. 트롤리 덕트(31)는 홀딩 플레이트(52)가 삽입되는 개구부(32)를 제외한 상부면, 양측면 및 하부면이 닫힌 밀폐 형태이므로, 내부에서 파티클이 발생하더라도 스토커 바닥면에 떨어지거나 비산되지 않고 트롤리 덕트(31) 내부에 남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발생한 기류가 내부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트롤리 덕트(31)는 내면 양 측면으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전극(33)을 포함한다. 전극(33)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극(33)과 접촉하면서 움직이는 롤러 브러쉬(45)를 통해 스태커 크레인(1)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트롤리 덕트(31)는 전극(33)과의 통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소재로 형성되거나 절연 구조를 가진다.
트롤리 덕트(31)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35)은 'L' 자 형태의 제1 프레임(36)과 제1 프레임(36)에 고정되는 수직 플레이트 형상의 제2 프레임(41)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36)은 트롤리 덕트(31)가 상부에 얹혀지는 하부면(37)과 트롤리 덕트(31)의 일 측면을 접촉 지지하는 측면(40)을 포함하며, 하부면(37)은 트롤리 덕트(31)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2 프레임(41)은 트롤리 덕트(31)의 타 측면과 접촉 지지하며, 제1 프레임(36)에 고정된다.
제1 프레임(36)의 하부면(37)에서 트롤리 덕트(31)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8)에는 연장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슬롯 홀(39)이 형성된다. 슬롯 홀(39)에는 L 볼트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고정 프레임(35)을 바닥면에 고정한다. 슬롯 홀(39)에 의해 L 볼트의 체결 위치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는 경우에도 슬롯홀(39)을 따라 고정 프레임(35)의 고정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트롤리 덕트(31)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롤리 덕트(31)의 상부 양 가장자리에는 측면 상단에서 상부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34)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프레임(36)의 측면(40) 상단 및 제2 프레임(41) 상단에는 트롤리 덕트(31)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으며 트롤리 덕트 측면 상부의 경사면(34)에 대응하는 대면 경사면(43)이 형성된 고정판(42)이 체결된다. 고정판(42)의 경사면(43)과 트롤리 덕트(31) 측면 상부의 경사면(34)이 서로 접하여 고정되므로 트롤리 덕트(31)의 움직임이 최소화되면서 일부 치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견고한 고정력이 보장될 수 있다.
롤러 브러쉬(45)는 홀딩 브라켓(50)에 고정되어 홀딩 브라켓(50)의 움직임에 따라 트롤리 덕트(31) 내면을 따라 전후 이송된다. 롤러 브러쉬(45)는 홀딩 브라켓(50)에 고정되고 트롤리 덕트(31) 내면에 위치하는 브러쉬 몸체(46), 상기 브러쉬 몸체(46) 전 후측 상하 각각에 한 쌍씩 설치되는 롤러(47), 트롤리 덕트(31) 내면의 전극(33)과 미끄럼 접촉하는 브러쉬(48)를 포함한다.
홀딩 브라켓(50)은 롤러 브러쉬(45)와 고정되므로, 캐리어 브라켓(1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견인될 때 롤러 브러쉬(45)를 트롤리 덕트(31)를 따라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롤러 브러쉬(45)가 스태커 크레인(1)의 움직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홀딩 브라켓(50)은 홀딩 플레이트(52)와 홀딩바 플레이트(54)를 포함한다. 홀딩 플레이트(52)는 트롤리 덕트(31)의 개구부(32)를 통해 트롤리 덕트(31) 내부로 연장되고 트롤리 덕트(31) 내부에서 롤러 브러쉬(45)의 브러쉬 몸체(46)와 고정된다. 홀딩바 플레이트(54)는 홀딩 플레이트(52)의 상단으로 편평하게 배치된다. 홀딩바 플레이트(54)에는 배선이 통과하는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그 상부를 케이블 가이드(15)의 하단이 덮고 있다. 배선은 홀딩바 플레이트(54) 및 홀딩 플레이트(52)를 관통하여 트롤리 덕트(31) 내부로 연장되고 롤러 브러쉬(45)의 브러쉬(48)와 연결된다. 홀딩바 플레이트(54)는 일측으로, 캐리어 브라켓(10)의 홀딩홈(26)을 향해 연장된 홀딩바(57)를 구비한다.
홀딩바(57)는 홀딩홈(26)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홀딩홈(26)과 비 구속 결합된다. 홀딩바(57)는 홀딩홈(26)과 비 구속 결합되므로 홀딩홈(26) 내부에서 홀딩바(57)는 상하, 좌우 및 홀딩바(57)의 삽입 방향으로 전후퇴 움직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어 브라켓(10)의 움직임은 홀딩홈(26)과 홀딩바(57)의 비 구속 결합에 의해 홀딩 브라켓(50)을 거쳐 롤러 브러쉬(45)로 전달된다.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에서, 트롤리 덕트는 그 길이가 수m 에 이르므로 스태커 크레인과의 사이에 치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35)은 그 설치 상태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높낮이 차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프레임(35)은 트롤리 덕트(31)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방식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지지하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트롤리 덕트(31)에서 약간의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구속 결합에서는 이러한 치수 오차 등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변형이 트롤리 덕트(31) 내에서 움직이는 롤러 브러쉬(45)의 편중을 유발하고, 편중된 방향으로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파티클 발생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구속 결합이 아닌 비 구속 결합 방식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므로 치수 오차, 변형에 의한 오차 등은 홀딩홈(26) 내부에서 자동으로 보정된다.
또한, 종래의 구속 결합 방식에서는 필요에 따라 트롤리 덕트(31)의 위치를 움직이는 경우 즉, 스태커 크레인에 대하여 접근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트롤리 덕트(31)를 움직이는 경우 관련 부속들의 교체를 수반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트롤리 덕트(31)의 위치 보정이 홀딩홈(26) 내부에서 자동으로 보정되므로 별도의 장치 변경을 수반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트롤리 덕트(31)의 설치 및 운용의 간편성이 또한 보장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을 동작을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에서 전원 공급 라인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1)은 트롤리 덕트(31)의 전극(33)과 롤러 브러쉬(45)의 접촉을 통해 전극(33)에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공급받는다. 스태커 크레인(1)에 연결된 케이블은 캐리어 브라켓(10)에 설치된 케이블 가이드(15)를 연장되어 홀딩 브라켓(50)을 통과하여 롤러 브러쉬(45)와 결합된다.
스태커 크레인(1)이 움직이는 경우 캐리어 브라켓(10)이 함께 움직이고, 캐리어 브라켓(10)이 움직이면, 홀딩홈(26) 내부에서 홀딩바(57)가 홀딩홈(26)의 일측 내면에 접촉하면서 구동력이 전달된다. 즉, 홀딩 플레이트(50)가 수평방향으로 견인된다. 홀딩바(57)의 움직임에 따라 홀딩 브라켓(50)와 고정 결합된 롤러 브러쉬(45) 역시 트롤리 덕트(31)를 따라 움직인다. 이때 롤러 브러쉬(45)는 전극(33)과 미끄럼 접촉을 하면서 움직이므로 롤러 브러쉬(45)가 움직이는 동안 전극(33)을 통해 스태커 크레인(1)으로 외부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스태커 크레인(1)과 트롤리(30) 사이의 치수 오차 등에 의한 불일치한 움직임은 홀딩홈(26) 내의 홀딩바(57)의 위치 변경에 따라 자동으로 보정된다. 따라서 롤러 브러쉬(45)가 일측으로 편중되어 마찰력이 증가되는 요인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10: 캐리어 브라켓 15: 케이블 가이드
25: 홀딩 블럭 26: 홀딩홈
30: 트롤리 31: 트롤리 덕트
32: 개구부 33: 전극
34: 경사면 35: 고정 프레임
36: 제1 프레임 37: 제1 프레임의 하부면
38: 연장부 39: 슬롯 홀
40: 제1 프레임의 측면 41: 제2 프레임
42: 고정판 43: 대면 경사면
45: 롤러 브러쉬 50: 홀딩 브라켓
57: 홀딩바

Claims (5)

  1.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으로서,
    스태커 크레인에 고정되어 상기 스태커 크레인과 함께 움직이는 캐리어 브라켓;
    상부면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극이 구비된 사각 형상 단면의 트롤리 덕트와, 상기 트롤리 덕트 내면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극과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롤러 브러쉬를 포함하는 트롤리;
    상기 트롤리 덕트 상부면 개구부를 통해 상기 롤러 브러쉬와 고정되며, 상기 캐리어 브라켓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견인되어 상기 롤러 브러쉬를 이동시키는 홀딩 브라켓;
    상기 스태커 크레인 측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롤러 브러쉬측으로 배선되도록 홀딩 브라켓과 캐리어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이 홀딩 브라켓에 고정되는 케이블 가이드; 및,
    상기 케이블 가이드의 타단측을 캐리어 브라켓에 고정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브라켓에는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홀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딩 브라켓은 상기 홀딩홈에 삽입되어 상기 홀딩홈 내면과의 접촉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견인력을 전달받는 홀딩바를 포함하되, 상기 홀딩바는 홀딩홈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비 구속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홈은 상면 및 상기 홀딩바의 삽입 방향으로 개구된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딩바는 상기 홀딩홈 내에서 상하, 좌우 및 상기 홀딩바의 삽입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비 구속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덕트는 상기 트롤리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고정 프레임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트롤리 덕트가 얹혀지는 하부면과, 상기 트롤리 덕트의 일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을 가진 제1 프레임과, 상기 트롤리 덕트의 타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면은 상기 트롤리 덕트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면이 연장된 연장부에는 연장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바닥면에 고정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슬롯 홀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 홀을 따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덕트의 상부 양 가장자리에는 측면 상단에서 상부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측면 상단 및 제2 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트롤리 덕트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으며 상기 트롤리 덕트 상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대면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판이 결합하여, 상기 트롤리 덕트의 경사면과 상기 고정판의 경사면이 사면 접촉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


KR1020110022043A 2011-03-11 2011-03-11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 KR101242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043A KR101242234B1 (ko) 2011-03-11 2011-03-11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043A KR101242234B1 (ko) 2011-03-11 2011-03-11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010A KR20120104010A (ko) 2012-09-20
KR101242234B1 true KR101242234B1 (ko) 2013-03-11

Family

ID=4711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043A KR101242234B1 (ko) 2011-03-11 2011-03-11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2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311A (ja) * 1993-05-14 1994-11-22 Murata Mach Ltd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給電装置
JP2006052063A (ja) * 2004-08-12 2006-02-23 Murata Mach Ltd 搬送台車システム
KR100944154B1 (ko) 2005-09-13 2010-02-24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유궤도 대차 시스템
JP2010275057A (ja) 2009-05-27 2010-12-0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クレーン給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311A (ja) * 1993-05-14 1994-11-22 Murata Mach Ltd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給電装置
JP2006052063A (ja) * 2004-08-12 2006-02-23 Murata Mach Ltd 搬送台車システム
KR100944154B1 (ko) 2005-09-13 2010-02-24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유궤도 대차 시스템
JP2010275057A (ja) 2009-05-27 2010-12-0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クレーン給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010A (ko)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788B2 (en) Belt conveyor for use with semiconductor containers
JP6039260B2 (ja) 基板搬送システム
TWI570042B (zh) With the purification function of the storage device and storage unit
TWI689028B (zh) 搬運裝置
JP2011525053A (ja) コンベヤシステムへの直接受け渡し
JP4378659B2 (ja) 物品保管庫及び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KR101857056B1 (ko) 집적회로 소자 제조용 이송 장치
KR101242234B1 (ko) 스태커 크레인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유닛
KR20130113205A (ko) 호이스트 장치
JP2010272828A (ja) 液晶基板の保管倉庫室
KR20080047127A (ko) 기판 수납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반송장치
TWI734915B (zh) 保管系統
KR20080081692A (ko) 카세트 이송용 스태커로봇
TWI733940B (zh) 檢查裝置
JP2012028464A (ja) ヘッド駆動装置および部品実装装置
KR20110101357A (ko) 카세트 자동반송시스템
KR20090004237A (ko) 자동반송대차
KR102419509B1 (ko) 물품 반송 설비
JP2006245486A (ja) ストッカーの棚フレーム構造
JP2012035948A (ja) 搬送車システム
JP2632419B2 (ja) 荷保管設備
KR20110101623A (ko) 카세트 이송용 스태커로봇
KR100710842B1 (ko)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확산시트 자동공급장치
KR101416903B1 (ko) 스토커
JP3635517B2 (ja) クリーンルーム内の基板保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