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690B1 - 증폭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폭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690B1
KR101236690B1 KR1020077006543A KR20077006543A KR101236690B1 KR 101236690 B1 KR101236690 B1 KR 101236690B1 KR 1020077006543 A KR1020077006543 A KR 1020077006543A KR 20077006543 A KR20077006543 A KR 20077006543A KR 101236690 B1 KR101236690 B1 KR 101236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load
output
input signal
c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6937A (ko
Inventor
준 마키노
분기 팅
Original Assignee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 엘티디 filed Critical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70046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44Stepped control
    • H03F1/025Stepped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32Two or more amplifiers of different type are coupled in parallel at the input or output, e.g. a class D and a linear amplifier, a class B and a class A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0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being continuously controlled by a controlling signal, e.g. the controlling signal of a transistor implemented as variable resistor in a supply path for, an IC-block showed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11Many discrete supply voltages or currents or voltage levels can be chosen by a control signal in an IC-block amplifier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78A comparator being used in a controlling circuit of an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증폭기 장치는 입력 신호(19)를 수개의 기준 전위들과 비교하는 비교 측정기(20)를 포함한다. 스위칭 스테이지(22)는 비교 측정기(20)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며, 확성기 시스템과 같은 부하(24)의 일 측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을 선택하기 위해 배치된다. 증폭기/감산기(21)는 입력 신호(19)로부터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선택된 전압 레벨의 일정 비율을 감하기 위해 포함된다. 상기 증폭기/감산기(21)는 상기 입력 신호(19)에서 선택된 전압 레벨의 일정 비율을 감한 것을 증폭하고, 이를 부하(24)의 타 측에 인가한다. 또한 신호를 증폭하는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
증폭기, 효율, 전력 손실, 클래스 μ 증폭기

Description

증폭기 장치 및 방법{An Amplifier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증폭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오디오 증폭기 회로에서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것이다.
환경의 고려는 제품 개발을 위해 점점 더 중요한 디자인 요소가 되고 있다. 증폭기 디자인을 위해, 저 에너지 손실을 가지는 고 효율의 증폭기에 관한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종래의 클래스 비(Class B) 증폭기들보다 더 높은 효율로 작동하는 다양한 토폴로지들이 존재한다. 그러한 증폭기들의 예는 클래스 디(Class D), 클래스 쥐(Class G) 및 클래스 에이치(Class H)이다. 그러한 증폭기들은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들보다 더 작은 히트 싱크(heat sink)들을 필요로 하며, 결과적으로 더 가볍고 작은 제품이 만들어진다.
고정 주요 전력 공급을 가진 클래스 B 증폭기에 있어, 사인파(sine wave)에 의해 포화될 때의 이론상의 최대 효율은 78.5%이나, 실제로, 상기 효율은 70%를 넘지 못한다.
종래의 클래스 D 증폭기의 기본 개념은 입력 신호를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ed;PWM)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신호를 부하로 전달하기 전에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를 통해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회복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클래스 D 증폭기로 이론상의 100% 효율을 성취할 수 있을 수도 있으며, 실제로, 90% 이상의 효율이 클래스 D 디지털 증폭기를 사용하여 성취되었다. 클래스 D 증폭기들의 불이익한 점들은 상기 PWM 신호의 고 레벨(level) 스위칭으로부터 기인한 EMI 문제들이다. 또한, 출력 로우 패스 필터에 대해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은 클래스 D 증폭기 구현에 드는 비용을 추가시킨다. 동시에, 상기 출력 로우 패스 필터는, 예를 들어 6옴(ohms)의 고정 부하 임피던스가 그것을 설계하는 동안 가정되어야 함에 따라, 상기 증폭기의 출력 특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인 확성기 부하에 관한 것만은 아니다. 일반적인 확성기 시스템의 경우, 2옴 내지 수 십옴 범위의 부하에 연결되었을 때, 출력 특성이 목적 설계를 벗어날 것이다.
종래의 클래스 G 증폭기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고정 레벨의 전력 공급 레벨을 상기 출력 신호와 가까운 전력 공급을 가지도록 스위칭함으로써,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보다 높은 효율을 성취한다. 이론상으로, 100% 효율은 고정 전력 공급 레벨의 수를 무한정 증가시킴으로써 성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상이한 공급 전압들 중에서 스위칭하기 위해 여러 개의 장치가 사용되어야만 하므로, 이는 사실상 손실을 가져온다.
종래의 클래스 H 증폭기들은 상기 입력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펄스 폭 변조(PWM)로 상기 전력 공급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출력 신호 를 감싸게 된다. 비록 이론적으로 100%에 달하는 매우 높은 효율이 그러한 증폭기에서는 성취될 수도 있지만, 종래의 클래스 H 증폭기의 일시적인 응답은 불충분할 수도 있으며, 대역폭이 상기 전력 공급의 느린 응답으로 극도로 제한될 수도 있다. 또한, EMI 문제도 상기 증폭기들에서는 주요한 관심사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다양한 고정 레벨의 전압을 부하의 일 측에 인가하고,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부하에 인가한 전압의 일부를 감하여 끌어낸 차 신호(difference signal)를 얻고, 상기 증폭기를 통해 상기 부하의 타 측에 상기 차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증폭기의 전압 신호 레벨이 감소된 증폭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부하에 걸쳐 상기 신호의 재건으로 귀착된다. 상기 부하에 걸쳐 획득할 수 있는 전압 스윙(swing)은 상기 증폭기만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출력 전압 스윙보다 더 크다. 따라서, 상기 증폭기 장치의 효율 및 상기 증폭기 장치의 전력 처리 용량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 연결 가능함으로써 입력 신호를 수 개의 기준 전위(reference potential)들과 비교하는 비교 측정기로서, 출력을 가지는 비교 측정기; 상기 비교 측정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 가능함으로써 부하의 일 측에 인가될 전압 레벨을 선택하는 스위칭 스테이지(switching stage); 및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부하에 인가될 선택된 상기 전압 레벨의 일부를 감하여, 그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감산기를 포함하되, 상기 증폭기는 상기 감산기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부하의 타 측에 인가될 상기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증폭기는 차동 증폭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증폭기는 상기 감산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증폭기는 선형 증폭기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증폭기는 그것과 관련된 이득을 가지며, 상기 감산기에 의해 감해진 상기 선택된 전압의 비율은 상기 증폭기의 이득에 반비례한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신호는 제1 전위와 제2 전위 사이에서 변하며, 상기 기준 전위들은 상기 입력 신호의 제1 및 제2 전위 사이의 범위를 갖는 하나 이상의 공급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부하는 확성기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확성기 장치를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출력을 가지는 비교 측정기에서, 제 1 전위 및 제 2 전위 사이에서 변화하는 입력 신호를 수 개의 기준 전위들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측정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스위칭 스테이지에서, 부하의 일 측에 인가될 전압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선택된 전압 레벨의 일정 비율을 감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선택된 전압 레벨의 일정 비율을 감한 차이를 기초로하여 상기 차이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부하의 타 측에 상기 증폭된 차이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폭기 장치에서 신호를 증폭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증폭기는 그것과 관련된 이득을 가지며, 상기 선택된 전압의 일정 비율을 감하는 단계는 상기 증폭기의 이득에 반비례하는 비율을 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신호는 제1 전위와 제2 전위 사이에서 변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입력 신호의 제1 및 제2 전위 사이의 범위를 갖는 하나 이상의 공급으로부터 상기 기준 전위들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설명의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들이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1은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폭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3은 사인파 형태의 입력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유형의 사인파 입력 신호일 때, 도 2의 회로의 노드 1에서의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3에서 도시된 유형의 사인파 입력 신호일 때, 도 2의 회로의 노드 3에서의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다.
도 6은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와 비교하여, 도 2의 증폭기의 표준화한 전력에 대한 효율의 그래프이다.
도 7은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와 비교하여, 도 2의 증폭기의 표준화한 출력 전력에 대한 전력 손실의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9는 사인파 입력 신호일 때, 도 8의 회로의 노드 1에서의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다.
도 10은 사인파 입력 신호일 때, 도 8의 회로의 노드 3에서의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다.
도 11은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와 비교하여, 도 8의 증폭기의 표준화한 전력에 대한 효율의 그래프이다.
도 12는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와 비교하여, 도 8의 증폭기의 표준화한 출력 전력에 대한 전력 손실의 그래프이다.
도 13은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와 비교하여, 도2 및 도 8의 증폭기들의 표준화한 전력에 대한 효율의 그래프이다.
도 14는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와 비교하여, 도 2 및 도 8의 증폭기들의 표준화한 출력 전력에 대한 전력 손실의 그래프이다.
도 1은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입력 신호(10)는 접지 및 Gv의 이득을 가지는 증폭기(12)의 양의 입력 단자 사이에 인가된다. 상기 증폭기(12)의 출력으로부터 접지까지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저항(14, 15)을 포함하는 전위 디바이더(potential devider)에서 그 출력 신호를 나눔으로써, 음의 피드백이 상기 증폭기(12)에 인가된다. 상기 두 개의 저항(14, 15)의 접합점(16)은 상기 증폭기(12)의 음의 단자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두 개의 저항(14, 15)은 상기 증폭기(12)의 이득을 한정한다. 상기 증폭기(12)는 각각 Vcc 및 -Vcc로 고정된 전력 공급 전압을 가진 트윈 전력 공급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상기 증폭기(12)의 출력 신호는 -Vcc 내지 +Vcc 범위 내에서 변화할 것이다.
클리핑(clipping)이 없다고 가정할 때, 만약 상기 입력 신호(10)의 최대 크기가 Vref이고 Vcc의 상응하는 최대 출력을 낸다면, 상기 증폭기(12)의 이득은 아래의 식과 같이 표시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01
크기 V0의 사인파 모양으로 변화하는 입력에 기초한 상기 증폭기(12)의 이론적인 효율은 아래의 식과 같으며,
Figure 112007022685251-pct00002
전력 손실은 R이 저항성 부하일 때 아래의 식과 같이 표시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03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폭기 회로(18)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증폭기 회로(18)는 입력 신호(19), 비교 측정기(20), 제어 회로(21), 멀티 웨이(multi-way) 스위치(22) 및 차동 증폭기(23)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신호(19)는 저항기 R7을 통과해서 상기 차동 증폭기(23)의 음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저항기 R8은 노드 3의 상기 차동 증폭기(23)의 출력과 상기 차동 증폭기(23)의 음의 입력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입력 신호(19)는 상기 비교 측정기(20)의 입력에 인가된다. 상기 비교 측정기(20)의 출력 단자들은 상기 멀티 웨이 스위치(22)에 연결되고, 상기 멀티 웨이 스위치의 출력은 노드 1에서 확성기(24)의 양의 단자, 및 상기 노드 1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저항기 R9 및 R10을 포함하는 전위 디바이더에 연결된다. 상기 저항기들 R9 및 R10의 접합점(노드 2)은 상기 차동 증폭기(23)의 양의 입력으로 연결된다.
상기 비교 측정기(20)는 상기 입력 신호(19)를 상기 비교 측정기(20) 내의 저항기들 R1, R2, R3, R4, R5 및 R6에 의해 정해진 기준 전압들 -2/3Vref, -1/3Vref, +1/3Vref 및 +2/3Vref과 비교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수식을 만족한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04
또한, |Vref|는 상기 입력 신호(19)의 최대 크기와 일치한다.
상기 입력 신호(19)의 크기가 |Vref/3| 이하일 때, 접지 전위가 상기 부하(24)의 양의 단자에서 노드 1에 인가된다. 상기 입력 신호(19) 크기가 상기 기준 전압들을 초과할 때, 해당 신호는 상기 입력 신호(19)의 레벨을 나타내는 제어 회로(21)로 보내진다. 상기 멀티 웨이 스위치(22)를 통해, 상기 제어 회로(21)는 각각 -Vcc2, -Vcc1, Vcc1 또는 Vcc2 인 적절한 직류(DC) 전압을 상기 부하(24)의 양의 단자에 인가하는데, 이때, 아래의 식들을 만족하고,
Figure 112007022685251-pct00005
Figure 112007022685251-pct00006
Vcc는 최대 출력 전압을 나타내며, 또한, 이는 도 2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출력 전력을 내는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의 전력 공급 전압이다.
도 3은 사인파 모양으로 이루어진 입력 신호 파형(19)을 도시하며, 상기 파형의 최대 크기는 상기 비교 측정기(20)에서의 최대 전압과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파형, 즉 크기가 Vref인 사인파 입력이 상기 비교 측정기(20)에 인가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인파 모양과 유사한 계단 파형이 상기 부하의 양의 단자에서 나타난다.
상기 차동 증폭기(23)의 이득은 아래의 식과 같이 결정되며,
Figure 112007022685251-pct00007
그 전력 공급 전압은 +Vcc1 및 -Vcc1이다. 노드 2로부터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DC 전압의 일부는 상기 차동 증폭기(23)의 양의 입력에 인가되는데, 상기 전압의 크기는 적절한 상기 저항기들 R9 및 R10의 값을 선택함으로써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크기는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DC 전압의 1/Gv가 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상기 DC 전압들이 -Vcc2, -Vcc1, 접지, Vcc1 및 Vcc2로 고정됨에 따라, 상기 차동 증폭기(23)의 양의 입력에 인가되는 신호는 이에 상응하여 2/3Vref, -1/3Vref, 접지, +1/3Vref, +2/3Vref이 된다.
상기 입력 신호(19)는 저항기 R7을 통해 상기 차동 증폭기(23)의 음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상기 차동 증폭기(23)의 양의 입력과 음의 입력 사이의 차는 증폭되고,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하의 음의 단자인 노드 3에 인가된다. 상기 차동 증폭기(23)는 본질적으로 상기 부하의 양의 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와 요구되는 신호 사이의 차를 보상한다. 따라서, 상기 부하에 의해 보여지는 전체 신호는 Gv의 이득으로 증폭되는 입력 신호와 동등하다.
상기 부하(24)의 양의 단자에서, 이는 본질적으로 여러 DC 전압 레벨 사이에 서 스위칭하는데, 효율은 이론적으로 100%이다. 상기 부하의 음의 단자에서는,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 설계가 상기 차동 증폭기(23)에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차동 증폭기의 효율은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의 효율과 동일하다. 그러나, 공급되는 전압이 +Vcc/3 및 -Vcc/3이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상기 증폭기 회로의 전체 효율은 동일한 출력 전력을 내는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와 비교하여 상당히 높게 보일 수도 있다. 효율 및 전력 손실 결과는 아래에서 기재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효율 대 출력 전력의 그래프를 그렸을 때, 그 곡선(curve)의 결과적인 형태 때문에, 본 발명을 구현하는 증폭기들을 클래스 μ 증폭기라고 부를 것을 제안한다.
기호 정의
ε 효율
εB 통상의(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의 효율
ε1 클래스 μ 증폭기의 스테이지(Stage) 1의 효율
ε2 클래스 μ 증폭기의 스테이지 2의 효율
ε3 클래스 μ 증폭기의 스테이지 3의 효율
f 주파수
I 전류
Pin 입력 전력
Pout 출력 전력
Ptotal - in -2+ 클래스 μ 증폭기의 스테이지 2의 양의 단자의 전체 입력 전력
Ptotal - in -2- 클래스 μ 증폭기의 스테이지 2의 음의 단자의 전체 입력 전력
Ptotal - in -3+ 클래스 μ 증폭기의 스테이지 3의 양의 단자의 전체 입력 전력
Ptotal - in -3- 클래스 μ 증폭기의 스테이지 3의 음의 단자의 전체 입력 전력
Pave - in 평균 입력 전력
Pave - out 평균 출력 전력(본 적용에서는 클래스 B 및 클래스 μ에서 동일함)
Pave - in -B 클래스 B 증폭기의 평균 입력 전력
Pave - in -1 클래스 μ 증폭기의 스테이지 1의 평균 입력 전력
Pave - loss -1 클래스 μ 증폭기의 스테이지 1의 평균 전력 손실
Pave - in -2 클래스 μ 증폭기의 스테이지 2의 평균 입력 전력
Pave - loss -2 클래스 μ 증폭기의 스테이지 2의 평균 전력 손실
Pave - in -3 클래스 μ 증폭기의 스테이지 3의 평균 입력 전력
Pave - loss -3 클래스 μ 증폭기의 스테이지 3의 평균 전력 손실
R 임피던스, 본 발명의 경우 저항성으로 가정함
t 시간
t1 Vcc1이 스위치 온(switch on) 되는 순간의 시간
t2 Vcc2가 스위치 온(switch on) 되는 순간의 시간
T 주기
Vout 출력 전압
V0 출력 전압의 크기(=|Vout|)
Vcc 최대 출력 전압, 또한, 통상의 클래스 B 증폭기의 공급 전압이기도 함
Vcc1 클래스 μ 증폭기의 부하의 양의 단자에 걸리는 스테이지 1 출력 전압
Vcc2 클래스 μ 증폭기의 부하의 양의 단자에 걸리는 스테이지 2 출력 전압
Vref 기준 전압,
ω 각주파수(=2πf)
이하의 계산에서, 상기 부하(24)의 양의 단자는 -Vcc2, -Vcc1, 접지, Vcc1 및 Vcc2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DC 전압을 갖는 단자를 의미하며, 상기 부하(24)의 음의 단자는 +Vcc1 및 -Vcc1의 공급 전압으로 상기 차동 증폭기(23)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부하 R은 저항성이다.
이하의 계산은 사인파 입력들을 기초로 한 것이다.
출력 전압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08
전류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09
입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10
출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11
1 주기 동안의 평균 입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12
1 주기 동안의 평균 출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13
효율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14
도 2에 예시된 타입의 증폭기(이하 클래스 μ 증폭기라 함) 및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 모두에 적용된다:
평균 출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15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
평균 입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1/2 주기 동안, T/2)
Figure 112007022685251-pct00016
평균 효율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17
평균 전력 손실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18
클래스 μ 증폭기 - 스테이지 1: 사인파 출력 전압 | V 0 |<| V cc1 |:
동작의 본 스테이지에 있어서, 접지 전위가 상기 부하(24)의 양의 단자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차동 증폭기(23)만이 상기 부하(24)의 음의 단자로 신호를 공급한다.
따라서, 평균 입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19
Figure 112007022685251-pct00020
Figure 112007022685251-pct00021
효율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22
Figure 112007022685251-pct00023
동작의 본 스테이지 동안, 상기 결과를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와 비교하면, 아래과 같고,
Figure 112007022685251-pct00024
평균 전력 손실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25
클래스 μ 증폭기 스테이지 2: 사인파 출력 전압 | V cc1 |<| V 0 |<| V cc2 |:
본 스테이지에 있어서, Vcc1이 스위치 온 되는 순간인 Vout=Vcc1일 때의 시간 t1을 결정해야 한다.
출력 전압은 아래와 같고,
Figure 112007022685251-pct00026
t1에서, Vout=Vcc1 일 때,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27
양의 단자에 있어서, 1/4 주기 동안의 전체 입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28
음의 단자에 있어서, 1/4 주기 동안의 전체 입력 전력은 아래의 수학식 2와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29
평균 입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30
효율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31
상기 결과를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와 비교하면 아래와 같고,
Figure 112007022685251-pct00032
Figure 112007022685251-pct00033
평균 전력 손실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34
클래스 μ 증폭기 스테이지 3: 사인파 출력 전압 | V cc2 |<| V 0 |<| V cc |:
상기 수학식 1로부터,
Figure 112007022685251-pct00035
Vcc2가 스위치 온 되는 순간인 Vout=Vcc2 일 때, t2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36
상기 부하(24)의 양의 단자에 있어서, 1/4 주기 동안의 전체 입력 전력은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37
그러나, ∵Vcc2=2Vcc1 일 때,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38
상기 부하(24)의 음의 단자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2로부터,
Figure 112007022685251-pct00039
평균 전체 입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40
효율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41
상기 결과를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와 비교하면 아래와 같고,
Figure 112007022685251-pct00042
평균 전력 손실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43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상기 증폭기 회로의 표준화한 출력 전력(Normalized Output Power)에 대한 효율의 그래프를 도시하며, 비교를 위해,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의 표준화한 출력 전력에 대한 효율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상기 도시된 그래프들은 사인파 입력으로, 클리핑(clipping) 없이, 최대 출력 전력에서 작동하는 1로 표준화된 증폭기들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표준화한 출력 전력에 대한 도 2에 도시된 상기 증폭기에서의 전력 손실의 그래프를 도시하며, 비교를 위해, 표준화한 출력 전력에 대한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에서의 전력 손실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6에서처럼, 상기 도시된 그래프들은 사인파 입력으로, 클리핑(clipping) 없이, 최대 출력 전력에서 작동하는 1로 표준화된 증폭기들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 μ 증폭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참조 번호들과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8에 도시된 회로는 도 2에 도시된 회로와 동일하나, 그 차이점은 상기 스위칭 유닛(또는 멀티 웨이 스위치)(22)의 입력들 사이의 전압 스텝(step)인 Vcc1이 도 8에 도시된 회로에서는 Vcc/5이고, 따라서, 상기 부하(24)의 노드 1에서 양의 단으로의 DC 전압 출력이 -4Vcc1, -2Vcc1, 접지, 2Vcc1 및 4Vcc1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회로에서의 저항기 값들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44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회로의 부하(24)의 양의 단자(노드 1)에서의 파형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회로의 음의 단자의 노드 3에서의 신호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하(24)의 음의 단자에 있는 차동 증폭기는 하프 스윙(half swing)을 제공하는 대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 스윙(full swing)을 제공한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상기 증폭기에서의 표준화한 출력 전력에 대한 효율의 그래프를 도시하며, 비교를 위해,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에서의 표준화한 출력 전력에 대한 효율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상기 도시된 그래프들은, 사인파 입력으로, 클리핑(clipping) 없이, 최대 출력 전력에서 작동하는 1로 표준화된 증폭기들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표준화한 출력 전력에 대한 도 8에 도시된 상기 증폭기에서의 전력 손실의 그래프를 도시하며, 비교를 위해, 표준화한 출력 전력에 대한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에서의 전력 손실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1에서처럼, 상기 도시된 그래프들은 사인파 입력으로, 클리핑(clipping) 없이, 최대 출력 전력에서 작동하는 1로 표준화된 증폭기들에 관한 것이다.
도 13은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상기 증폭기들에서의 표준화한 출력 전력에 대한 효율의 그래프를 도시하며, 비교를 위해,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에서의 표준화한 출력 전력에 대한 효율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상기 도시된 그래프들은, 사인파 입력으로, 클리핑(clipping) 없이, 최대 출력 전력에서 작동하는 1로 표준화된 증폭기들에 관한 것이다.
도 14는 표준화한 출력 전력에 대한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상기 증폭기에서의 전력 손실의 그래프를 도시하며, 비교를 위해, 표준화한 출력 전력에 대한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에서의 전력 손실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3에서처럼, 상기 도시된 그래프들은 사인파 입력으로, 클리핑(clipping) 없이, 최대 출력 전력에서 작동하는 1로 표준화된 증폭기들을 위한 것이다.
비록, 효율 및 전력 손실의 측면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의 성능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만큼 뛰어나지 않지만, 도 8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의 이점은 더 낮은 출력 전압을 가지는 차동 증폭기라는 것과 더 낮은 출력 전력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만약, 상기 차동 증폭기(23)의 최대 출력 전압이 12V라면, 상기 부하(24)로의 전체 출력 전압은 60V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효율 및 전력 손실 계산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이전과 같이, Vcc의 공급 전압을 가지고, 크기 Vcc의 최대 출력 전압을 낼 수 있는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가 비교를 위해 사용된다. 상기 사용된 기호들이 동일하게 사용되며, 단, Vcc1은 Vcc/5로 변경된다.
출력 전압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45
평균 출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46
클래스 μ 증폭기 스테이지 1: 사인파 출력 전압 | V 0 |<| V cc1 |:
동작의 본 스테이지에 있어서, 접지 전위가 상기 부하(24)의 양의 단자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차동 증폭기(23)만이 상기 부하(24)의 음의 단자로 신호를 공급한다.
평균 입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47
효율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48
동작의 본 스테이지 동안, 상기 결과를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와 비교하면, 아래와 같고,
Figure 112007022685251-pct00049
평균 전력 손실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50
클래스 μ 증폭기 스테이지 2: 사인파 출력 전압 | V cc1 |<| V 0 |<|3 V cc1 |:
본 스테이지에 있어서, Vcc1이 스위치 온 되는 순간인 Vout=Vcc1일 때의 시간 t1을 결정해야 한다.
출력 전압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51
Vout=Vcc1일 때, t1에서 아래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52
상기 부하(24)의 양의 단자에 있어서, 1/4 주기 동안의 전체 입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53
상기 부하(24)의 음의 단자에 있어서, 1/4 주기 동안의 전체 입력 전력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54
평균 입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55
효율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56
상기 결과를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와 비교하면, 아래와 같고,
Figure 112007022685251-pct00057
평균 전력 손실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58
클래스 μ 증폭기 스테이지 3: 사인파 출력 전압 |3 V cc1 |<| V 0 |<| V cc |:
상기 수학식 3으로부터,
Figure 112007022685251-pct00059
3Vcc1이 스위치 온 되는 순간인 Vout=Vcc2 일 때, t2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60
상기 부하(24)의 양의 단자에 있어서, 1/4 주기 동안의 전체 입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61
그러나,
Figure 112007022685251-pct00062
이므로,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63
상기 부하(24)의 음의 단자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4로부터,
Figure 112007022685251-pct00064
평균 전체 입력 전력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65
효율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66
상기 결과를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와 비교하면, 아래와 같고,
Figure 112007022685251-pct00067
평균 전력 손실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22685251-pct00068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효율 대 출력 전력의 그래프를 그렸을 때, 그 곡선(curve)의 결과적인 형태 때문에, 본 발명을 포함한 증폭기 들을 클래스 μ 증폭기라고 부를 것을 제안한다.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로부터, 상기 최대 출력 전력의 1/8 내지 1/3에서 제안된 일반적인 동작 중, 동작의 3 스테이지를 구현한 클래스 μ 증폭기는 약 62% 내지 75%의 효율이 달성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들보다 1.5 배 더 효율적이다.
상기 클래스 μ 증폭기와 상기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 사이의 실제 전력 손실 차는 도 7에 도시된 전력 손실 대 출력 전력의 그래프에서 명백하다. 최대 출력 전력의 1/8 내지 1/3에서 동작시, 상기 클래스 μ 증폭기의 전력 손실은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의 전력 손실의 1/3 보다 더 적을 수도 있다. 출력 전력의 전체 범위에서는, 상기 클래스 μ 증폭기의 최대 전력 손실은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의 최대 전력 손실의 절반보다 더 적을 수도 있다.
상기 클래스 μ 증폭기에 관해서 더 많은 스테이지의 동작이 사용된다면, 더 높은 효율이 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래의 클래스 B 증폭기보다 상당히 더 높은 효율을 달성하는 증폭기 회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다른 이점은, 상기 스위칭 회로 안에서 생성된 에러들이 상기 차동 증폭기가 상기 에러들을 상기 부하(24)의 반대쪽 단자에 인가함으로써 이들을 상쇄하여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Claims (13)

  1.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 연결 가능함으로써 입력 신호를 수개의 기준 전위들과 비교하는 비교 측정기로서, 출력을 가지는 비교 측정기;
    상기 비교 측정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 가능함으로써 부하의 일 측에 인가될 전압 레벨을 선택하는 스위칭 스테이지; 및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선택된 상기 전압 레벨의 일부를 감하여, 그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감산기를 포함하되,
    상기 증폭기는 상기 감산기의 상기 출력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부하의 타 측에 인가되는 출력 신호를 증폭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입력 신호는 제 1 전위 및 제 2 전위 사이에서 변화하고, 상기 기준 전위들은 상기 입력 신호의 상기 제 1 전위 및 제 2 전위 사이의 범위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공급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그와 연관되는 이득을 가지며,
    상기 감산기에 의해 감해지는 선택된 전압의 비율은 상기 증폭기의 이득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장치.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확성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증폭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9. 증폭기 장치에서 신호를 증폭하는 방법에 있어서,
    출력을 가지는 비교 측정기에서, 제 1 전위 및 제 2 전위 사이에서 변화하는 입력 신호를 수 개의 기준 전위들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측정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스위칭 스테이지에서, 부하의 일 측에 인가될 전압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선택된 전압 레벨의 일정 비율을 감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선택된 전압 레벨의 일정 비율을 감한 차이를 기초로하여 상기 차이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부하의 타 측에 상기 증폭된 차이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의 상기 제 1 전위 및 제 2 전위 사이의 범위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공급으로부터 상기 기준 전위들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증폭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77006543A 2004-08-26 2005-08-22 증폭기 장치 및 방법 KR101236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27,351 2004-08-26
US10/927,351 US7106135B2 (en) 2004-08-26 2004-08-26 Amplifier system and method
PCT/SG2005/000286 WO2006022596A1 (en) 2004-08-26 2005-08-22 An amplifier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937A KR20070046937A (ko) 2007-05-03
KR101236690B1 true KR101236690B1 (ko) 2013-02-22

Family

ID=3594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543A KR101236690B1 (ko) 2004-08-26 2005-08-22 증폭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06135B2 (ko)
EP (1) EP1787386A4 (ko)
JP (1) JP2008511247A (ko)
KR (1) KR101236690B1 (ko)
CN (1) CN100525076C (ko)
AU (1) AU2005275555B2 (ko)
HK (1) HK1089003A1 (ko)
TW (1) TWI365600B (ko)
WO (1) WO20060225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6295A1 (en) * 2006-03-21 2007-10-11 Leadis Technology, Inc. FM Power Amplifier With Antenna Power Control
US7498880B2 (en) * 2006-03-21 2009-03-03 Leadis Technology, Inc. Class L amplifier
US20070285176A1 (en) * 2006-03-21 2007-12-13 Leadis Technology, Inc. Phase-Slipping Phase-Locked Loop
US7522433B2 (en) * 2006-03-21 2009-04-21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Efficient voltage rail generation
US8081785B2 (en) * 2006-03-21 2011-12-20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 efficiency converter providing switching amplifier bias
US8081777B2 (en) 2006-03-21 2011-12-20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Volume-based adaptive biasing
US7408414B2 (en) * 2006-03-21 2008-08-05 Leadis Technology, Inc. Distributed class G type amplifier switching method
US8179372B1 (en) 2007-10-01 2012-05-15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Electronic display with array context-sensitive search (ACS) technology
US7733178B1 (en) 2007-10-24 2010-06-08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 efficiency audio amplifier
US7750732B1 (en) 2007-12-04 2010-07-06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Adaptive rail amplifier (ARA) technology
US8514015B2 (en) 2008-12-10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Amplifier with programmable off volt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541A (ko) * 1998-06-22 2000-01-15 김덕중 오디오 전원 증폭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9175A (en) * 1964-07-27 1967-05-09 Hugh L Dryden Electronic amplifier with power supply switching
US3585517A (en) * 1968-05-01 1971-06-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High-efficiency power amplifier
JPS51121239A (en) * 1975-04-17 1976-10-23 Sony Corp An amplification circuit
JPS59212006A (ja) * 1983-05-18 1984-11-30 Nippon Gakki Seizo Kk 増幅器
JPS61234106A (ja) * 1986-01-29 1986-10-18 Nippon Gakki Seizo Kk 電力増幅器
JPH01137706A (ja) * 1987-11-25 1989-05-30 Nec Corp パルスステップ音声増幅器
US5115203A (en) * 1990-06-25 1992-05-19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Digital power amplifier
US5329245A (en) * 1993-06-28 1994-07-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ybrid high power amplifier
KR100226226B1 (ko) * 1997-02-24 1999-10-15 윤덕용 혼합형 증폭기
JP3369503B2 (ja) * 1998-03-10 2003-01-20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スイッチングアンプ
JP3514978B2 (ja) * 1998-07-31 2004-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スイッチングアンプ
DE69934966T2 (de) * 1999-01-28 2007-11-08 Alcatel Lucent Leistungsverstärkervorrichtung
US6229390B1 (en) * 1999-03-09 2001-05-08 Tripath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noise shaping a mixed signal power output
US6373340B1 (en) * 2000-08-14 2002-04-16 K. S. Waves, Ltd. High-efficiency audio power amplifier
US6496059B1 (en) * 2000-11-17 2002-12-17 Tranh T. Nguyen Clas-N amplifer
US6486643B2 (en) * 2000-11-30 2002-11-26 Analog Technologies, Inc. High-efficiency H-bridge circuit using switched and linear stages
JP3820947B2 (ja) * 2001-09-21 2006-09-13 ヤマハ株式会社 D級増幅器
EP2180594A1 (en) * 2002-12-17 2010-04-28 ASK Industries S.p.A. Audio power amplifier
JP4072765B2 (ja) * 2003-05-12 2008-04-09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電力増幅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541A (ko) * 1998-06-22 2000-01-15 김덕중 오디오 전원 증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5600B (en) 2012-06-01
US20060044063A1 (en) 2006-03-02
HK1089003A1 (en) 2006-11-17
CN100525076C (zh) 2009-08-05
EP1787386A4 (en) 2009-02-18
US7106135B2 (en) 2006-09-12
KR20070046937A (ko) 2007-05-03
WO2006022596A1 (en) 2006-03-02
CN1741370A (zh) 2006-03-01
AU2005275555B2 (en) 2010-06-17
JP2008511247A (ja) 2008-04-10
EP1787386A1 (en) 2007-05-23
AU2005275555A1 (en) 2006-03-02
TW200618458A (en)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690B1 (ko) 증폭기 장치 및 방법
US7642847B2 (en) Power supply processing for power amplifiers
DK2845314T3 (en) CLASS-D AUDIO AMPLIFIER WITH ADJUSTABLE LOOP FILTER FEATURES
US6229388B1 (en) Multiple channel class D audio amplifier
US5200711A (en) Pulse-width modulated, linear audio-power amplifier
JP6392786B2 (ja) エンベロープ追跡型変調器のための改善された共振抑制
JP4841800B2 (ja) デジタルd級オーディオ増幅器
US20060044057A1 (en) Class-D amplifier having high order loop filtering
GB2053609A (en) High efficiency amplifier and power supply
US7863956B2 (en) Pulse-elimination pulse-width modulation
JP3776752B2 (ja) Dc−dcコンバータ
JP5042031B2 (ja) 電力乗算器装置及び方法
CN102265504A (zh) 功率放大装置
US7113030B2 (en) Class-D power amplifier capable of eliminating excessive response phenomenon when returning to a steady state from an abnormal state and an amplification method thereof
US5852557A (en) Switching converter utilizing dual switch outputs
KR101041913B1 (ko) 다중위상 임피던스 변환 증폭기
EP1432120B1 (en) Audio power amplifier
JP2006506887A (ja) パルス変調電力変換器
KR100453708B1 (ko) 고효율 스위칭 증폭기
JP2005184273A (ja) 高出力増幅器
CN111464141A (zh) 一种数字音频功率放大器及电子设备
JP4380933B2 (ja) スイッチング信号制御回路
KR20080080874A (ko) 가상 접지를 이용한 오디오 파워 앰프 및 그 신호 처리방법
JP2003524979A (ja) 複数の電圧源に接続可能なa/b級出力段を備える信号処理回路
CN111404498A (zh) 一种数字音频功率放大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