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603B1 - 층간 소음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603B1
KR101235603B1 KR1020120061994A KR20120061994A KR101235603B1 KR 101235603 B1 KR101235603 B1 KR 101235603B1 KR 1020120061994 A KR1020120061994 A KR 1020120061994A KR 20120061994 A KR20120061994 A KR 20120061994A KR 101235603 B1 KR101235603 B1 KR 101235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noise
support
boundary structure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대우
한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티씨 (Newtc)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티씨 (Newtc)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티씨 (Newtc)
Priority to KR1020120061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5/00Measuring propagation velocity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of pressure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층간 소음 알림 장치가 개시된다.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주택의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에 결합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하여 상기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을 두드리는 헤머부; 및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헤머부가 상기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을 두드리도록 상기 헤머부를 제어하는 헤머 제어부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는 위층 거주자에 의해 발생한 소음의 발생 사실을 위층 거주자에게 즉시 또는 간헐적으로 알려줄 수 있고, 층간 소음으로 고통을 겪고 있거나,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공동 주택의 주민, 아파트 주민 또는 입주자 회의 등을 통해 해당 주택 전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층간 소음이 심각하여 분쟁과 소송으로 이어지기 전에 미리 분쟁을 방지 및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층간 소음 알림 장치{Noise ala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주택 형태는 2층 이상의 공동 주택이 많아서 높은 층에 사는 사람이 뛰거나 물건을 바닥에 끌면 소음이 발생하여 낮은 층에 사는 사람에게 불측의 피해를 주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실제로 층간 소음으로 인하여 위아래층에 사는 거주자간에 싸움이 발생하기도 하고, 연간 층간 소음으로 인한 소송 건수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선행기술들은 대부분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차단재를 개발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6-0008307호(발명의 명칭 : 소음차단재 가공방법 및 그 가공장치)에는 소음차단재를 가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하지만, 소음이 발생한 경우 위층에 사는 거주자는 해당 소음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위층에 사는 거주자에 의해 아래층의 천장에 특정 진동 또는 크기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소음 발생 사실을 위층의 거주자가 즉시 인식할 수 있도록 알리는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위층 거주자에 의해 발생한 소음의 발생 사실을 위층 거주자에게 즉시 또는 간헐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층간 소음으로 고통을 겪고 있거나,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공동 주택의 주민, 아파트 주민 또는 입주자 회의 등을 통해 해당 주택 전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층간 소음이 심각하여 분쟁과 소송으로 이어지기 전에 미리 분쟁을 방지 및 조정할 수 있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주택의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에 결합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하여 상기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을 두드리는 헤머부; 및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헤머부가 상기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을 두드리도록 상기 헤머부를 제어하는 헤머 제어부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에는 상기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의 진동 또는 소리를 감지하여 헤머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충격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헤머 제어부는 상기 헤머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헤머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머부는,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는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일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외부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홀에 돌출되며,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일 방향으로 당겨지는 헤머 헤드부; 및 상기 전기 신호의 입력시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헤머 헤드부를 당기는 전자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머 헤드부가 상기 외부 프레임의 외부에 돌출되는 경우 상기 헤머 헤드부는 상기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에 닿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머부는, 상기 지지대와 중간 영역의 일측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바 형상의 헤머 몸체부; 상기 헤머 몸체부의 일단에 결합하며, 탄성 수단에 의해 일 방향으로 당겨지는 헤머 헤드부; 상기 전기 신호의 입력시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헤머 몸체부의 타단을 당기는 전자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석부에 상기 전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헤머 헤드부는 상기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에 닿을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는 위층 거주자에 의해 발생한 소음의 발생 사실을 위층 거주자에게 즉시 또는 간헐적으로 알려줄 수 있고, 층간 소음으로 고통을 겪고 있거나,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공동 주택의 주민, 아파트 주민 또는 입주자 회의 등을 통해 해당 주택 전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층간 소음이 심각하여 분쟁과 소송으로 이어지기 전에 미리 분쟁을 방지 및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의 일부 측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지지대(111), 제2 지지대(112), 높이 조절부(120), 제1 지지 결합부(131), 제2 지지 결합부(132), 헤머부(140), 연결부(150)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층을 가진 주택, 예를 들면, 아파트, 다세대 주택, 다가구 주택, 빌라, 주상복합 건물, 공동주택, 연립주택 등과 같이 명칭에 한정되지 않는 복수의 층을 가진 주택에서 층간 소음을 발생시키는 당사자에게 소음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천장에 결합하여 층간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천장을 두드리는 해머 구조를 가지는 장치를 제공한다.
지지대는 복수의 층을 가진 주택의 천장 내부 공간의 상부면에 일측이 결합하는 프레임이다. 지지대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제1 지지대(111), 제2 지지대(112), 높이 조절부(120), 제1 지지 결합부(131), 제2 지지 결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지지대(112)는 제1 지지대(111)의 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높이 조절부(12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 조절부(120)는 나비 너트가 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대(111)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일단이 제2 지지대(112)에 접촉하여 제2 지지대(11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지지대는 주택의 천장 내부 공간, 즉,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과 생활 공간의 상부 천장 사이, 예를 들면, 화장실 천장 내부 공간, 방 천장 내부 공간, 거실 천장 내부 공간 등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은 건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조물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목조, 석조, 철제 등의 구조물이 될 수 있다.
제1 지지 결합부(131)는 층 구분 구조물, 예를 들면, 석조 구조물과 결합하며, 제2 지지 결합부(132)는 생활 공간의 상부 천장 상면과 결합할 수 있다. 제1 지지 결합부(131)와 제2 지지 결합부(132)는 압착 고무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머부(140)는 지지대에 결합하여 천장 내부의 상부면을 두드린다. 헤머부(140)는 천장 내부의 상부면에 부딪혀서 소정의 진동과 음을 생성하여 상층의 거주자에게 소음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헤머부(140)의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실시예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헤머 제어부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헤머부(140)가 천장 내부의 상부면을 두드리도록 헤머부(140)를 제어한다. 헤머 제어부는 헤머부(140)의 작동 시간, 작동 주기, 작동 리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헤머 제어부는 상층에서 진동이 있음을 감지하는 경우 헤머부(140)가 미리 설정된 리듬에 따라 천장 내부의 상부면을 두드리도록 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리듬은 "대~한민국"과 같이 응원 리듬으로 널리 알려진 리듬, 모르스 부호에 해당하는 리듬, 일정한 간격의 두드림 등과 같이 소음이 발생하였음을 기계 장치에 의해 알리고 있음을 상층의 거주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리듬이 될 수 있다.
연결부(150)는 헤머부(140)와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물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150)는 지지대에 형성된 홀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지지대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다. 헤머부(140)는 연결부(150)와 결합하여 연결부(150)의 이동 동작에 따라 천장 내부의 상부면을 두드릴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5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전자석과 탄성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홀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150)는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며, 헤머부(140)의 두드림 동작은 후술할 바와 같이 헤머부(140) 내부에서 전자석, 탄성 수단, 헤머 헤드부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의 진동 또는 소리를 감지하여 헤머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충격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머 제어부는 헤머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헤머부의 두드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 구조물의 진동 또는 소리 크기는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값, 예를 들면, 정부의 행정규칙상 규정하는 진동, 경량충격음 또는 중량충격음의 유효 범위를 벗어나는 값이 되는 경우 상술한 헤머 작동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층에서 울리는 진동을 특정 센서, 예를 들면, 정확한 MEMS 방식의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임계치 크기 이상의 진동이 일어나면 진동을 야기한 곳에 상술한 헤머부로 진동을 줘서 알려주며, 이 경우 최초 발생하여 측정된 소음의 60% 내지 80%의 소음을 발생시켜서 불쾌감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소음을 발생시킨 당사자에게 바로 해당 소음 발생 사실을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헤머부의 두드림 동작을 수동으로 개시하거나 중지하는 동작 버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층 주거인이 상층 주거인에게 소음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하여 동작 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술한 헤머 작동 신호가 발생하고, 헤머 제어부는 헤머 작동 신호를 이용하여 헤머부의 두드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만약, 헤머부가 두드림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동작 버튼이 다시 눌리면, 작동 해제 신호가 발생하고, 헤머 제어부는 작동 해제 신호를 이용하여 헤머부의 두드림 동작을 정지할 수도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프레임(141), 헤머 헤드부(142), 자석(143), 탄성 수단(144), 전자석부(145), 헤머 제어부(146)가 도시된다.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은 헤머 헤드부(142)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 프레임(141)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4는 헤머 헤드부(142)가 전자석부(145)에 의해 당겨져서 외부 프레임(141)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두드림 동작을 수행하는 구조를 헤머부 내부에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후술할 구조에서 헤머 헤드부(142) 대신 상술한 연결부(150)를 적용하여 연결부(150)가 지지대의 홀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외부 프레임(141)은 지지대와 결합하며, 헤머부의 외부 구조를 형성한다. 실제 천장을 두드리는 부분은 헤머 헤드부(142)이므로, 외부 프레임(141)은 헤머 헤드부(142)의 동작을 지지하는 형태, 예를 들면, 원통형, 다각통형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헤머 헤드부(142)는 외부 프레임(14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두드릴 대상인 천장을 향하는 방향인 일 방향으로 이동시 외부 프레임(141)의 일단에 형성된 홀에 돌출되며, 탄성 수단(144)에 의해 일 방향으로 당겨진다.
전자석부(145)는 전기 신호의 입력시 코일에 전류가 흘러서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헤머 헤드부(142)에 결합한 자석(143)을 당김으로써, 헤머 헤드부(142)를 당긴다. 도 4를 참조하면, 헤머 헤드부(142)의 자석(143)이 인력을 받아서 전자석부(145)의 코일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된다.
여기서, 헤머 헤드부(142)가 외부 프레임(141)의 외부에 돌출되는 경우 헤머 헤드부(142)는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에 닿는다.
헤머 제어부(14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헤머부(140)가 천장 내부의 상부면을 두드리도록 전자석부(145)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헤머 헤드부(142)는 탄성 수단(144)에 의해 천장 방향인 일 방향으로 당겨지고, 전자석부(145)에 의해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는 구조가 설명되었으나, 이와 반대로 헤머 헤드부(142)는 탄성 수단(144)에 의해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고, 전자석부(145)에 의해 일 방향으로 당겨져서 두드림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는 층을 구분하는 구조물에만 결합할 수 있다. 지지대는 나사, 못 등과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하여 해당 구조물에 결합하며, 헤머부(140)는 지지대에 결합하여 층을 구분하는 구조물을 두드릴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층을 구분하는 구조물이 거주자가 직접 볼 수 있는 생활 공간의 상부면이 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헤머부는 지지대와 중간 영역의 일측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헤머부는 시소 형상의 바 형상이며, 중간 영역이 지지대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헤머 몸체부의 일단에는 헤머 헤드부가 결합하며, 헤머 헤드부는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구조물 방향인 일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탄성 수단이 스프링인 경우, 일단이 헤머 몸체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층을 구분하는 구조물 또는 지지대와 결합하여 헤머 헤드부를 구조물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탄성 수단이 헤머 몸체부의 타단에 결합하여 헤머 헤드부를 일 방향으로 당기기 위해서는 몸체부의 타단이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지지대에 탄성 수단이 결합된 구조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구현하기에 자명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는 전기 신호의 입력시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헤머 몸체부의 타단을 당기는 전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석부에 전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헤머 헤드부는 탄성 수단에 의하여 천장 내부 공간의 상부면에 닿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음 측정횟수와 대응횟수를 기록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측정횟수는 발생한 소음이 상술한 임계치를 넘어서는 소음으로 인정되는 경우의 횟수 또는 모든 소음이 발생한 횟수가 될 수 있다. 또한, 대응횟수는 소음이 발생하여 헤머부가 두드림 동작을 수행한 횟수가 될 수 있다. 대응횟수는 발생한 소음이 상술한 임계치를 넘어서는 소음으로 인정되는 경우의 횟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는 소정의 디스플레이어를 통해 출력되며, 사용자는 출력된 각 횟수를 소음 발생 및 대응 처리를 위한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층간 소음 발생 장치는 소정의 충격 및 소음 흡수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소음 발생을 알리는 하층 거주자에게는 헤머부의 두드림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 및 소음 흡수 케이스는 상술한 헤머부만을 수용할 수도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알림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장치 구성도, 통신 프로토콜, I/O 인터페이스 등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및 엑추에이터, 배터리, 센서 등 부품 표준화 기술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에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1 : 제1 지지대 112 : 제2 지지대
120 : 높이 조절부 131 : 제1 지지 결합부
132 : 제2 지지 결합부 140 : 헤머부
141 : 외부 프레임 142 : 헤머 헤드부
143 : 자석 144 : 탄성 수단
145 : 전자석부 146 : 헤머 제어부
150 : 연결부

Claims (4)

  1.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주택의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에 결합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하여 상기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을 두드리는 헤머부; 및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헤머부가 상기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을 두드리도록 상기 헤머부를 제어하는 헤머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머부는,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는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일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외부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홀에 돌출되며,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일 방향으로 당겨지는 헤머 헤드부; 및
    상기 전기 신호의 입력시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헤머 헤드부를 당기는 전자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머 헤드부가 상기 외부 프레임의 외부에 돌출되는 경우 상기 헤머 헤드부는 상기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에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층을 구분하는 경계 구조물의 진동 또는 소리를 감지하여 헤머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충격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헤머 제어부는 상기 헤머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헤머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알림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20061994A 2012-06-11 2012-06-11 층간 소음 알림 장치 KR101235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994A KR101235603B1 (ko) 2012-06-11 2012-06-11 층간 소음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994A KR101235603B1 (ko) 2012-06-11 2012-06-11 층간 소음 알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603B1 true KR101235603B1 (ko) 2013-02-21

Family

ID=4789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994A KR101235603B1 (ko) 2012-06-11 2012-06-11 층간 소음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6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172B1 (ko) * 2013-05-07 2013-09-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건물의 바닥 충격음 경고장치
WO2016076580A1 (ko) * 2014-11-11 2016-05-19 장선자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2082A (ja) * 1993-02-22 1994-09-02 Kunio Yagi 小型携帯用壁面検査機
KR100569698B1 (ko) 2004-03-23 2006-04-10 김대규 층간 소음방지재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100810502B1 (ko) 2004-12-28 2008-03-07 정한석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KR20090081560A (ko) * 2008-01-24 2009-07-29 전찬배 건축물의 층간 소음 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2082A (ja) * 1993-02-22 1994-09-02 Kunio Yagi 小型携帯用壁面検査機
KR100569698B1 (ko) 2004-03-23 2006-04-10 김대규 층간 소음방지재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100810502B1 (ko) 2004-12-28 2008-03-07 정한석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KR20090081560A (ko) * 2008-01-24 2009-07-29 전찬배 건축물의 층간 소음 경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172B1 (ko) * 2013-05-07 2013-09-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건물의 바닥 충격음 경고장치
WO2016076580A1 (ko) * 2014-11-11 2016-05-19 장선자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67394B (zh) 用于操作自行式清洁设备的方法
US93966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ome automation integration with a doorbell
KR101305138B1 (ko) 층간 소음 및 진동 경보시스템
ES2404097T3 (es) Método y dispositivo de generación de una sirena de voz en un sistema de seguridad
US7839290B2 (en) Sonic building rescue beacon
KR101235603B1 (ko) 층간 소음 알림 장치
JP2013088314A (ja) 電力機器の出力制御装置及び電力機器の出力制御方法
KR20080074999A (ko) 도어 제어 장치
US9646583B2 (en) Remote hi-hat mouth controller
JP2012167434A (ja) 自動ドア
CN112365668A (zh) 一种安防用具有防护结构防误触型警报装置
JP2017159033A (ja) 天井裏隠ぺい型トイレブース長居抑止装置
JP6901871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ユニット
JP2011209860A (ja) 異変検知システム
JP3830890B2 (ja) 浴室監視装置
CN110201328B (zh) 一种电动挡烟垂壁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762422B1 (ko) 화재감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JP3242928U (ja) 公衆トイレにおける個室トイレ利用予定者待ち状況知らせ装置
JP6560561B2 (ja) 感震通電遮断器
JP6324636B2 (ja) エレベータ乗場操作機器、およびエレベータ乗場操作機器による利用者誘導方法
JP2005337923A (ja) 地震検知器及びそれを用いた地震警報機
KR20150062940A (ko)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JP2004259246A (ja) 床式警報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60103961A (ko)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JP2019118423A (ja) 消火栓装置操作方法案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