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940A -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940A
KR20150062940A KR1020140155777A KR20140155777A KR20150062940A KR 20150062940 A KR20150062940 A KR 20150062940A KR 1020140155777 A KR1020140155777 A KR 1020140155777A KR 20140155777 A KR20140155777 A KR 20140155777A KR 20150062940 A KR20150062940 A KR 20150062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ibration
sound
transmitt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자
Original Assignee
장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선자 filed Critical 장선자
Publication of KR2015006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940A/ko
Priority to PCT/KR2015/01196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765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99Room acoustics, i.e. forms of, or arrangements in, rooms for influencing or directing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4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for conducting sound through solid bodies, e.g. wi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6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은 건물 내 소음.진동이 발
생하면 소음.진동이 발생한 근원지에 근접한 각 구조체(40,50,60)별로 설
치된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자석판(140,240,340)에 건물 내 발생한 직
사(10) 소음.진동의 파동이 전해지고, 맞은 편 세대 내 설치된 흡음 송화기
(100,200,300) 후면의 자석판(140,240,340)에 투과(20) 소음.진동의 파동이
전해지고, 이 외 구조체 내부 전도(30)되는 소음.진동의 파동은 구조체(40,
50,60)를 타고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자석판(140,240,340)에 전해져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내부로 밀어내며, 맞은편 자석판(140,240,340)
과 서로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 내면서 발생하는 공명에 위해 진
동판(110,210,310)의 진동을 울리고, 진동판(140,240,340)의 진동으로 탄
소 입자(130,230,330)에 음압의 변화로 탄소 입자(130,230,330)간 충돌이 발
생하여 전류로 변환(120,220,320)하는 단계와 흡음 송화기(100,200,300)에
변화된 전류(120,220,320)를 송화 간선(170)을 통하여 각 구조체(40,50,60)
별 송화 집음기(400)로 보내 송화 집음기(400) 회로판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
하는 단계와 송화 집음기(400)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중계기함(500)의 각
구조체(40,50,60)별 수신부(510)에서 수신을 하여 송출부(520)로 보내어 송
출부(520)의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무음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중계기함(500) 내 송출부(520)의 A/D CONVERTER(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변환된 무음 신호를 송출 주선(530)을 통하여 외부
무음 수화기(600)로 보내는 단계와 건물 내소음.진동 감지기(700)에 충격으
로 인하여 발생된 일정 기준 이상의 소음.진동을 감지하고, 소음.진동 크기
값을 중계기함(500) 내 소음.진동 감지.조작부(720)보내어 소음.진동 감지.
조작부(720)에서 감지.조절 신호를 소음.진동 조절 주선(810)을 통하여 조작
판넬(800)에 보내 경고음과 소음.진동 크기 값을 나타내어 거주자 본인이 조
작 판넬(800)의 조절 스위치를 조작하여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이 발생된
근원지에 근접한 각 구조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석
판(140,240.340) 코일(150,250,350)에 전류를 흘려 보내 자력을 키워 소음.
진동을 처리하고, 거주자 본인이 각 구조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
200,300)와 중계기함(500) 내의 소음.진동 감지기 조작부(720)의 이상 유무
를 확인하여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발생부터 배출까지 일원화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Building inter-noise,vibration,exhaust system}
본 발명은 일상 생활 시 건물 내 세대에 층간 소음.진동이 발생하면 소음
.진동 근원지에 근접한 각 구조체(40,50,60)에 설치된 흡음 송화기(100
,200,300)를 기준으로 하여 직사(10),투과,(20),전도(30) 소음.진동 별로
근원지에 근접한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자석판(140,240,340)에 소음
.진동의 파동이 전해져 자석판(140,240,340)이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려 들어가며, 맞은편 자석판(140,240,340)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내면서 발생하는 공명에 의해서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진
동판(110,210,310)의 진동이 울리고, 진동판(110,210,310)의 진동으로 인하
여 탄소 입자(130,230,330)가 음압의 변화로 인한 충돌이 발생하여 전류로
변환(120,220,320)되며, 변환된 전류는 송화 간선(170)을 통하여 각 구조
체(40,50,60)별 송화 집음기(400)로 보내지며, 송화 집음기(400)에 집중된
전류는 송화 집음기(400) 내 회로판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이 되고, 변환된
전기 신호는 송화 주선(410)을 통하여 중계기함(500)의 구조체 별 수신부
(510)로 보내져 수신된 전기 신호를 모아 송출부(520)로 보내고 송출부
(520)의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무음 전기 신호
로 변환시켜, 송출 주선(530)을 통하여 외부 무음 수화기(600)로 보내어 건
물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소음.진동을 배출을 하고, 건물 내 소음.진동 감지
기(700)를 통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이 발생하면 감
지 신호 주선(710)을 통하여 중계기함(500) 내의 감지.조작부(720)로 소음.
진동의 크기 값을 보내며, 소음.진동 감지.조작부(720)에서 조작 판넬(800)
의 조작 판넬 조절 신호 주선(810)을 통하여 조작 판넬(800)에 경고음과 액
정에 소음.진동의 크기 값을 표시하여 조작 판넬(800)의 조절 스위치를 통하
여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 발생이 된 근원지의 각 구조체(40,50,60)별 흡
음 송화기(100,200,300)를 기준으로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자석판 코
일(150,250,350)에 전류를 보내 자석판(140,240,340)의 자력을 키우고 충격
으로 인하여 발생한 소음.진동의 파동이 각 구조체(40,50,60) 별 흡음 송화
기(100,200,300)의 전류가 흐르는 자석판(140,240,340)으로 전해져 자석판
(140,240,340)이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려 들어가며, 맞은편
자석판(140,240,340)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내면서 발생하는 공
명에 위해서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진동판(110,210,310)의 진동이 울
리고, 진동판(110,210,310)의 진동으로 인하여 탄소 입자(130,230,330)가 음
압의 변화로 인한 충돌이 발생하여 전류로 변환(120,220,320) 되어 외부로
배출을 시키고 거주 공간의 소음.진동을 구조체(40,50,60)별로 상시 체크하
여 거주자 본인이 건물 내 발생하는 모든 소음.진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층간 소음.진동으로 인한 분쟁을
최대한 줄이고자 함.
현대 사회는 늘어나는 인구와 산업의 고도화로 인한 고층 건물이 증가되고
삶의 질도 향상이 되어 환경 문제나 생활의 편리성을 강조한 건물이 많이 있
으며, 또한 공동 건물에 거주함에 따른 각종 생활 규범과 규칙도 더불어 늘
어만 가고 있는 실정이다.
각종 현안들 중에서도 최근 대두되고 있는 층간 소음.진동으로 인한 분쟁은
다른 현안들 보다도 좀 더 심각하게 다가오고 있는데, 법적으로도 규제를 가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고, 세대 내 거주자 들도 각종 질환에 시달리고, 거
주자 사이에 분쟁이 발생하여 각종 강력 사건으로 비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에서 중재를 해주는 기관이 있지만, 현실적으로 층간 소음.진동으로 인
하여 감정의 골이 깊어진 거주자들이 원만하게 해결이 되는 것도 어렵고, 매
번 중재 기관을 거쳐야만 하는 상황도 가히 웃지 못할 상황인 것이다.
건설사들에게 층간 소음.진동 방지 대책을 요하는 시공을 하라고 하지만, 층
간 소음.진동이 파동과 에너지의 흐름이라 이를 잡는다는 것도 난해한 부분
이며, 잡는다고 하여도 기존의 방식으로라면 건설비가 올라가 건물을 분양
받을 시 코스트 부담으로 작용을 하여 2차 폐단으로 이어진다.
또한, 시공을 하더라도 기준 구조체가 과다하게 두꺼워져 이에 대한 현실에
서 기준 메뉴얼을 적용하기도 여간 어려운게 아닌 상황이다.
따라서, 건물을 신축 및 개축, 수선 시 용이하게 설치가 되고, 비용 차원에
서도 효과적이며, 거주자가 쉽게 체크, 대응 할 수 있는 층간 소음.진동 방
지 대책이 요구가 된다.
없음.
없음.
본 발명은 건물 내 발생하는 층간 소음.진동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 하였으며, 건물 내 거주자의 일상 생활 시 소음.진동이 발생이 되면
소음.진동 발생 근원지에 근접해 있는 각 구조체(40,50,60) 별로 설치 되어
있는 흡음 송화기(100,200,300)를 기준으로 하여 소음.진동의 발생 근원지에
근접한 흠음 송화기(100,200,300)의 자석판(140,240,340)에 소음.진동의 파
동이 전해져 자석판(140,240,340)이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려
들어가며, 맞은편 자석판(140,240,340)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
내면서 발생하는 공명에 의해서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진동판(110
,210,310)의 진동이 울리고, 진동판(110,210,310)의 진동으로 인하여 탄소
입자가 음압의 변화로 인한 충돌이 발생하여 전류로 변환(120,220,320)이 되
어 외부 무음 수화기(600)를 통하여 건물 층간 소음.진동을 배출하는 방법이
다.
또한, 건물 내 거주자가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소음,진동 감지기(700)를 통
하여 충격 등으로 발생하는 일정 기준 이상의 소음.진동이 감지되면 조절
판넬(800)의 조절 스위치를 조절하여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한 소음.진동의
근원지에 근접한 각 구조체(40,50,60) 별 흡음 송화기(100,200,300)를 기준
으로 하여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자석판(140,240,340)의 코일(150,
250,350)에 전류를 흘려 보내 자력을 키우고 전류가 흐르는 자석판(140,240
,340)이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한 소음.진동의 파동의 영향으로 내부로 밀려
들어가 맞은편 자석판(140,240,340)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내면
서 발생하는 공명에 위해서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진동판(110,210
,310)의 진동이 울리고, 진동판(110,210,310)의 진동으로 인하여 탄소 입자
(130,230,330)가 음압의 변화로 인한 충돌이 발생하여 전류로 변환(120,220
,320)이 되어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 발생한 근원지의 소음.진동을 처리하
여 거주자 본인이 소음.진동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것 이 외의 다수간의 개선 방법이
있으며, 언급되지 않은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건물 내 발생하는 층간 소음.진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
시예 따라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은 건물 내 발생하는 소음.진동
을 전류 및 무음 신호로 변환하여 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물 내 소음.진
동이 발생하면 소음.진동 근원지에 근접한 각 구조체(40,50,60)별 흡음 송화
기(100,200,300)를 기준으로 하여 직사(10),투과(20),전도(30) 소음.진동이
근원지에 근접한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자석판(140,240,340)에 소음.
진동의 파동이 전해져 자석판(140,240,340)이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부로 밀려 들어가며, 맞은편 자석판(140,240,340)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
끼리 밀어내면서 발생하는 공명에 위해서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진동
판(110,210,310)의 진동이 울리고, 진동판(110,210,310)의 진동으로 인하여
탄소 입자(130,230,330)가 음압의 변화로 인한 충돌이 발생하여 전류로 변환
(120,220,320)되는 단계와 흡음 송화기(100,200,300)에서 변환된 전류(120,
220,320)를 중간 집음하여 송화 집음기(400)의 회로판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
하는 송화 집음기(400) 단계와 구조체(40,50,60)별로 집음되어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송출하는 중계기함(500) 단계와 중계기함(500)에서 송출되는 무음 신
호를 외부에 배출하는 외부 무음 수화기(600) 단계와 거주자가 건물 내 충격
으로 인하여 소음.진동 감지기(700)에서 일정 기준 이상의 소음.진동이 발생
하면 소음.진동 감지 조작부(720)에 조작 판넬 조절 신호선(810)으로 조작
판넬(800)에 경고음과 충격으로 발생한 소음.진동의 크기 값을 확인하여 조
절 스위치를 조작하여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이 발생된 근원지의 각 구조
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200,300)를 기준으로 흡음 송화기(100,200,
300)의 자석판(140,240,340) 코일(150,250,350)에 전류를 보내 자석판(140,
240,340)의 자력을 키우고,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한 소음.진동의 파동이 각
구조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전류가 흐르는 자석판(140
,240,340)으로 전해져 자석판(140,240,340)이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부로 밀려 들어가며, 맞은편 자석판(140,240,340)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
끼리 밀어내면서 발생하는 공명에 위해서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진동
판(110,210,310)의 진동이 울리고, 진동판(110,210,310)의 진동으로 인하여
탄소 입자(130,230,330)가 음압의 변화로 인한 충돌이 발생하여 전류로 변환
(120,220,320)이 되어 외부 무음 수화기(600)로 소음.진동을 배출하여 거주
자 본인이 능동적으로 대응을 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 설명 및 도면 들에 포함하는 것으
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에 따르면 건
물 내 구조체(40,50,60)에 설치된 흡음 송화기(100,200,300)에 소음.진동이
흡수되어 전류로 변환(120,220,320)이 되고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무음 신호로 변환이 되어 외부 무음 수화기(6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이 되면 거주자의 소음.진동에 대한 불쾌감이 다소 해소되어 거
주 공간에서의 생활이 쾌적하게 되고 소음. 진동으로 인하여 발생이 되는 스
트레스성 질병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에 따르면 공
동 건물 내 거주자들 간 층간 소음.진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분쟁이 줄어들어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각종 강력 사건이 감소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에 따르면 건
물 내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이 일정 이상이 발생하면 소음.진동 감지기
(700)를 통하여 감지된 소음.진동의 크기 값을 중계기함(500) 내 감지.조작
부(720)에 보내 감지.조작부(720)에서 조작 판넬(800)으로 조절 신호(810)
를 보내 조절 스위치를 조절하여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자석판(140,
240,340) 코일(150,250,350)에 전류를 흘려 보내 흡음 송화기(100,200,300)
의 자력을 키워 충격 발생으로 인한 소음.진동을 흡수하여 전류로 변환한 후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무음 신호로 변환하여 거
주자 본인 및 이웃 세대 공간의 쾌적함을 거주자 본인이 임의로 조절하여 소
음.진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에 따르면 흡
음 송화기(100,200,300)의 주 기동이 소음.진동의 발생 근원지를 기준으로
기동하기 때문에 거주자 본인이 거주 공간 내 동선에서 소음.진동의 발생의
주 근원지를 사전에 체크하여 소음.진동에 능동적으로 대처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에 따르면 전
문 영역으로만 간주되던 음향 분야를 소음.진동 감지기(700) 및 조작 판넬
(800)을 통하여 보편화 시켜 음향 관련 기기들의 대량 생산으로 이어져 생산
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에 따르면 신
축 건물 이 외의 기존 건물에도 설치가 용이한 시스템으로 기존 건물 구조체
에 설치를 하여 산업 전반의 경기 활성화에 이바지 할 수 있으며, 기존 건물
거주자들의 소음.진동으로 인한 스트레스성 질병 및 분쟁 등을 해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에 따르면 시
스템의 적용으로 거주자 간 소음.진동으로 인한 분쟁이 줄어들어 이를 해결
하려 설치된 공공기관의 업무도 효율적으로 진행하여 인력 및 시간 낭비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
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 범위의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거주자의 거주 시 건물 층간 소
음.진동 배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의 구
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건물 내 소음.진동이 발생하여 소음.진동의 파동이 벽면(40) 내 흡음
송화기(100)로 흡수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이다.
도 4는 건물 내 소음.진동이 발생하여 소음.진동의 파동이 벽면(40)에 흡음
송화기에(100) 직사소음(10),투과소음(20),전도소음(30) 별로 구분하여 흡음
송화기(100)에 전해지는 상황을 표현한 도이다.
도 5는 건물 내 소음.진동이 발생하여 소음.진동의 파동이 천정(60),바닥
(50)면의 흡음 송화기(200,300)로 흡수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이다.
도 6은 건물 내 소음.진동이 발생하여 소음.진동의 파동이 천정(60),바닥
(50)면에 직사소음(10),투과소음(20),전도소음(30) 별로 구분하여 흡음 송화
기(200,300)에 흡수되는 상황을 표현한 도이다.
도 7은 건물 내 발생하는 소음.진동의 파동이 흡음 송화기(100)에 전해져 흡
음 송화기(100) 내 진동판(110),전류변환판(120),탄소입자(130) 별로 구분하
여 직사소음(10),투과소음(20),전도소음(30) 등이 전류로 변환되는 원리를
표현한 도이다.
도 7은 건물 내 소음.진동이 발생하여 소음.진동의 파동이 흡음 송화기(100)
에 흡수 되면 자석판(140)이 흡음 송화기(100) 내부로 밀려 들어가며, 맞은
편 자석판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내어 공명이 발생하고, 진동판
(110)에 진동이 발생하여 탄소 입자(130)의 음압의 변화로 탄소 입자(130)간
충돌이 발생하여 전류로 변환(120)이 되는 원리를 표현한 도이다.
도 7에 표현한 흡음 송화기(100)의 원리는 천정(60),바닥(50)면에 설치한
흡음 송화기(200,300)에도 같이 적용이 된다.
도 8은 건물 내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 발생 시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
파동이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감겨있는 코일(150,250,350)에 전류가
흐르는 자석판(140,240,340)을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어내며,
맞은편 자석판(140,240,340)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내어 공명이
발생하는 원리를 표현한 도이다.
도 8에서 표현한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석판(140) 코일(150)에 전
류를 흘려 보내어 자석판(140)끼리 같은 극을 설정하여 밀어내어 공명이 발
생하는 원리는 천정(60),바닥(50)면에 설치한 흡음 송화기(200,300) 내 자석
판(240,340) 코일(250,350)에도 같이 적용이 된다.
도 9는 건물 내 소음.진동 발생 시 소음.진동의 파동을 흡음 송화기(100)에
타공(160)을 내어 직사 소음(10),투과소음(20),전도 소음(30)이 흡음 송화
기(100) 내 자석판(140)과 진동판(110)에 전해져 전류로 변환 하도록 한 원
리를 표현한 도이다.
도 9에서 표현한 흡음 송화기(100) 외함에 타공(160)을 내어 소음.진동의
파동이 전해지는 원리는 천정(60),바닥(50)면에 설치한 흡음 송화기(200
,300) 외함에도 같이 적용이 된다.
도 10은 흡음 송화기(100,200,300)에서 변환된 소음.진동의 전류를 각 구조
체(40,50,60)의 송화 간선(170)을 통하여 송화 집음기(400)로 보내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이다.
도 11은 흡음 송화기(100,200,300)에서 변환된 소음.진동의 전류를 송화 간
선(170)을 통하여 송화 집음기(400)로 보내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
이다.
도 12는 송화 집음기(400)의 회로판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송화 주선(410)
을 통하여 중계기함(500)의 각 구조체(40,50,60)별 수신부(510)로 보내는 과
정을 표현한 도이다.
도 13은 송화 집음기(400)에서 송화 주선(410)을 통하여 중계기함(500)의 수
신부(510)로 수신을 하고 중계기함(500)의 내부 구조를 수신부(510)와 송출
부(520)로 하여 수신 단계와 송출 단계를 구분한 도이다.
도 14는 중계기함(500) 내 송출부(520)의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
버터)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무음 처리하여 송출 주선(530)을 통하여 외부
무음 수화기(600)로 보내는 과정을 표현한 도이다.
도 15은 중계기함(500) 내 송출부(520)의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
버터)에서 변환된 무음 신호를 송출 주선(530)을 통하여 수신하는 외부 무음
수화기(600)의 구조를 진동판(610)과 철판(620)으로 표현한 도이다.
도 16은 건물 내 소음.진동 감지기(700)를 설치하여 충격으로 인한 일정 기
준 이상의 소음.진동이 발생하면 조작 판넬(800)에 경고음과 소음.진동 크
기 값을 나타내어 거주자 본인이 조작 판넬(800)의 조절 스위치를 조절하여
흡음 송화기(100) 내 자석판(140) 코일(150)에 전류를 흘려 보내 자력을 키
워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을 흡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이다.
도 17은 소음.진동 감지기(700)를 통해 감지된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을
조작 판넬(800)의 조절 스위치를 조절하여 흡음 송화기(100) 내 자석판(140)
코일(150)에 전류를 흘려 보내 자력을 키워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을 흡수
하는 단계를 표현하고, 중계기함(500)의 수신부(510)와 송출부(520) 이 외
에 소음.진동 감지.조작부를 두어 거주자 본인이 소음.진동에 대해 능동적
으로 대처할 수 있는 원리를 표현한 도이다.
도 17에서 표현한 소음.진동 감지기(700)를 통해 감지된 충격으로 이한 소
음.진동을 조작 판넬(800)의 조절 스위치를 조절하여 흡음 송화기(100) 내
자석판(140) 코일(150)에 전류를 흘려 보내 자력을 키워 충격으로 인한 소
음.진동이 흡수가 되는 원리는 천정(60),바닥(50)면에 설치한 흡음 송화기
(200,300)에도 같이 적용이 된다.
도 18은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의
전 과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
확이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 되거나, 생략
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 되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
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의 개
략 도면이고, 도 2는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의 각 구성부를 나타
내주는 블록도이고, 도 3 ~ 17은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의 각 구
성부의 부분도이고, 도 18은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의 순서도이
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은 구조체 흡음 송화기(100,200,300), 송화 간선
(170), 송화 집음기(400), 송화 주선(410), 중계기함(500)의 수신부(510)
및 송출부(520), 송출 주선(530), 외부 무음 수화기(600), 소음.진동 감지기
(700), 소음.진동 감지 회로선(710), 중계기함(500) 내의 소음.진동 감지.조
작부(720), 조작 판넬(800), 조작 판넬 신호 주선(810), 조작 판넬 신호 간
선(820,8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건물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진동을
중계기함(500) 내 송출부(520)의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무음 전기 신호로 변환을 한 후 외부 배출을 하여 소음.진동에 대한
대응 비용과 효율 면에서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소음.진동 감지기(700) 및 조작 판넬(800)과 흡음 송화기(100,200,
300) 내 자석판(140,240,340) 코일(150,250,350)은 선택 사항으로 거주자 본
인이 층간 소음.진동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를 할 수 있게 한다.
도 1에서 건물 내 거주자는 소음.진동 감지기(700)에서 감지한 소음.진동을
조작 판넬(800)에서 구조체(40,50,60)별로 소음.진동 크기 값을 확인을 하고
거주 공간의 소음.진동에 대한 원인을 능동적으로 대처를 하여 각 구성부의
이상 유무를 수시 체크하여 소음.진동을 줄일 수 있다.
도 3에서 벽면(40)의 흡음 송화기(100)는 소음.진동이 발생하면 도 4의 직사
(10),투과(20),전도(30) 소음.진동 등의 파동이 소음.진동이 발생한 근원지
에 근접한 흡음 송화기(100)에 전해져 흡음 송화기(100) 내 자석판(140)이
흡음 송화기(100) 내부로 밀려 들어가고, 맞은편 자석판(140)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내어 발생한 공명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되어 진동판
(110) 울리고 진동판(110)의 진동으로 인하여 탄소 입자(130)에 음압의 변화
로 탄소 입자(130) 간 충돌이 발생하여 전류로 변환(120)이 되고, 도 16 ~
17의 소음.진동 감지기(700) 및 조작 판넬(800)를 통하여 충격으로 인한 일
정 기준 이상의 소음.진동 발생 시 조작 판넬(800)의 조절 스위치를 조작하
여 흡음 송화기(100) 내 자석판(140) 코일(150)에 전류를 흘려보내 자력을
키워 이 때 자석판(140)은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의 파동의 영향으로 흡음
송화기(100) 내부로 밀려 들어가고 맞은편 자석판(140)과 서로 같은 극을 설
정을 하여 극끼리 밀어내면서 내부에 공명이 발생하여 진동판(110)을 진동을
울리며, 진동판(110)의 진동으로 탄소입자(130)의 음압의 변화로 탄소 입자
(130)간 인한 충돌로 전류 변환판(120)에서 전류로 변환을 한다.
도 4에서 벽면(40)의 흡음 송화기(100)는 양면 구조로 하여 벽면(40)에 설치
를 하여 소음.진동의 발생 시 흡음 송화기에 직사(10) 소음.진동의 파동이
전해지고 직사(10)된 소음.진동 이 외의 투과(20)된 소음.진동의 파동은 맞
은편 흡음 송화기(100) 후면에 전해 지도록 하며, 직사(10).투과(20) 소음.
진동 이 외의 전도(30)되는 소음.진동의 파동은 구조체(40)를 타고 흡음 송
화기(100)에 전해 지도록 한다.
도 3 ~ 4에서 벽면(40) 흡음 송화기(100)의 작동은 통신 전력을 주 전력으로
하여 24시간 작동이 되도록 하고, 조작 판넬(800)의 조절 스위치를 조작하여
흡음 송화기(100) 내 자석판(140) 코일(150)에 전류를 흘려 보낼 시에는 전
자석이 될 수 있을 정도의 전력을 필요로 하며, 건물 내 거주자 및 전기 제
품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조 전력으로 사용을 하고, 기기의
이상 작동 시 보수가 용이 하도록 흡음 송화기(100) 외함의 덮개는 벽면의
마감선과 일치 시키며, 덮개를 분리 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한다. 또한, 흡음
송화기(100)의 외함은 소음.진동이 충분히 흡수가 되도록 타공을 내며, 철근
콘크리트 건물에서는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한
다. 타공 구멍은 콘크리트 등 이물질이 들어오지 못하게 충분한 사전 보양이
되어 있어야 한다.
도 3 ~ 4에서 벽면(40) 흡음 송화기(100)의 설치는 신규 건물 이 외의 기존
건물 등에서도 설치가 용이 하도록 흡음 송화기(100) 두께를 얇게 하며, 송
화 간선(170)은 간소하게 한다.
도 5에서 바닥(50).천정(60)면의 흡음 송화기(200,300)는 소음.진동이 발생
하면 도 6의 직사(10),투과(20),전도(30) 소음.진동의 파동이 흡음 송화기
(200,300)내 자석판(240,340)이 소음.진동의 파동으로 인하여 흡음 송화기
(200,300) 내부로 밀려 들어가고, 맞은편 자석판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
리 밀어 내면서 발생한 내부 공명으로 인하여 진동판(210,310)에 진동이 울
리며, 진동판(210,310)의 진동으로 탄소 입자(230,330)에 음압의 변화로 탄
소 입자(230,330) 간 충돌로 인하여 전류로 변환(220,320)이 되며, 도 16 ~
17의 소음.진동 감지기(700) 및 조작 판넬(800)를 통하여 충격으로 인한 일
정 기준 이상의 소음.진동 발생 시 조작 판넬(800)의 조절 스위치를 조작하
여 흡음 송화기(200,300) 내 자석판(240,340) 코일(250,350)에 전류를 흘려
보내 자력을 키우고, 이 때 자석판(240,340)은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의
파동으로 흡음 송화기(200,300) 내부로 밀려 들어가고 맞은편 자석판(240
,340)과 서로 같은 극을 설정을 하여 극끼리 밀어내면서 내부에 공명이 발생
하여 진동판(210,310)을 울리며, 진동판(210,310)의 진동으로 탄소입자(230
,330)의 음압의 변화로 탄소 입자(230,330)간 인한 충돌로 전류 변환판에서
(120) 전류로 변환을 한다.
도 6에서 바닥(50),천정(60)면의 흡음 송화기(200,300)는 양면 구조로 하여
바닥(50) 및 천정(60)에 설치를 하여 층간 세대 간 직사(10) 소음.진동의 파
동이 전해지고 직사(10)된 소음.진동 이 외의 투과(20)된 소음.진동의 파동
은 맞은편 흡음 송화기(200,300) 후면에 전해 지도록 하며, 직사(10).투과
(20) 소음.진동 이 외의 전도(30)되는 소음.진동의 파동은 구조체(40)를 타
고 흡음 송화기(200,300)에 전해 지도록 한다.
도 5 ~ 6에서 바닥(20),천정(30)면 흡음 송화기(200,300)의 작동은 통신 전
력을 주 전력으로 하여 24시간 작동이 되도록 하고, 조작 판넬(800)의 조절
스위치를 조작하여 흡음 송화기(200,300) 내 자석판(240,340) 코일(250,350)
에 전류를 흘려 보낼 시에는 전자석이 될 수 있을 정도의 전력을 필요로 하
며, 건물 내 거주자 및 전기 제품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조
전력으로 사용을 하고, 기기의 이상 작동 시 보수가 용이 하도록 흡음 송화
기(200,300) 외함의 덮개는 바닥(50) 및 천정(60)의 마감선과 일치 시키며,
덮개를 분리 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한다. 또한, 흡음 송화기(200,300)의 외함
은 소음.진동이 충분히 흡수가 되도록 타공을 내며, 철근콘크리트 건물에서
는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한다. 타공 구멍은
콘크리트 등 이물질이 들어오지 못하게 충분한 사전 보양이 되어 있어야 한
다. 또한, 도 14 ~ 15에서 외부 무음 수화기(600)의 작동도 통신 전력을 주
전력으로 하며, 24시간 작동이 되도록 하고 기기의 이상 작동 시 보수가 용
이 하도록 외벽의 내측 마감선에 일치 시키는 구조로 하여 덮개를 개방 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도 5 ~ 6에서 바닥(20),천정(30)면의 흡음 송화기(200,300)의 설치는 신규
건물 이 외의 기존 건물 등에서도 설치가 용이 하도록 흡음 송화기(200,300)
두께를 얇게 하며, 송화 간선(170)은 간소하게 한다.
도 3 ~ 6에서 벽(40),바닥(50),천정(60)면의 흡음 송화기(100,200,300) 및
송화 집음기(400)를 기존 건물에 설치 시 미관을 저해하지 않게 데코레이션
을 가미해서 노출 설치도 가능 하도록 한다.
도 3 ~ 6에서 벽(40),바닥(50),천정(60)면의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설치 개수는 건물에 설치 시 거주자의 필요 수량에 따라 설치를 하여 탄력
적인 운용을 하도록 한다.
도 7에서 흡음 송화기(100,200,300)는 보호용 박스 내부에 진동판(110,210,
310) 및 전류 변환판(120,220,320), 탄소입자(130,230,330), 자석판(140,
240,340)을 두어 소음.진동이 발생 시 소음.진동의 파동으로 인하여 자석판
(140,240,340)이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려 들어가고, 맞은편
자석판(140,240,340)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내어 발생하는 공명
으로 인한 진동판(110,210,310)의 진동으로 인한 탄소입자(130,230,330) 간
음압의 변화로 충돌이 발생하여 전류 변환판에서(120,220,320) 전류로 변환
을 한다.
도 7에서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형태는 원통형, 정방형 이 외에 건물
구조체 형상 및 가구 배치에 따라 형상을 변형 배치한다. 또한, 도 16 ~ 17
에서 소음.진동 감지기(700)에서 충격 발생으로 일정 기준 이상의 소음.진동
을 감지하면 조작 판넬(800)이 경고음을 울리고, 소음.진동의 크기 값을 육
안으로 확인 후에 조절 스위치를 조작하여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
석판(140,240,340) 코일(150,250,350)에 전류를 흘려 보내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한 소음.진동을 전류로 변환 할 수 있도록 자력을 증폭 한다.
도 7에 표현한 흡음 송화기(100)의 원리는 천정(60),바닥(50)면에 설치한
흡음 송화기(200,300)에도 같이 적용이 된다.
도 8에서 흡음 송화기(100,200,300)에 충격으로 인한 일정 기준 이상의 소
음.진동이 발생하여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석판(140,240,340)에 감
겨 있는 코일(150,250,350)에 전류를 흘려 보내 자력을 키워 충격으로 인하
여 발생한 소음.진동을 흡수 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 도이다. 자석
판(140,240,340)에 감겨 있는 코일(150,250,350)의 개수는 거주자 및 공급자
와 전문가의 참고하에 설치를 한다. 또한, 자석판(140,240,340)이 소음.진동
의 파동이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려 들어가기 위해서 레일을
설치 한다.
도 8에서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석판(140,240,340) 배열은 맞은편
자석판과 서로 같은 극을 배열하여 소음.진동 흡수 시 자석판(140,240,340)
이 서로 밀어내면서 공명이 발생하여 진동판(110,210,310)을 울리도록 한다.
도 8에서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석판(140,240,340) 코일(150,250,
350)에 전류를 흘려 보내 전자석을 만들 경우에는 충격에 위해 발생하는 소
음.진동을 충분히 흡수 할 수 있도록 하되, 전자석의 자력으로 인하여 건물
내 거주자 및 전자 제품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흡음 송화기(100,200,300)
외함의 내면에 전자파 차단 방지를 위한 장치를 설치 한다.
도 9에서 흡음 송화기(100,200,300)에 소음.진동이 흡수가 되도록 타공을 한
형태를 나타낸 예시 도이며, 타공(160)의 개수는 필요 요구량에 맞추어 거주
자 및 공급자, 전문가의 참고 하에 타공(160)을 한다.
도 9에서 표현한 흡음 송화기(100) 외함에 타공(160)을 내어 소음.진동이
흡수가 되는 원리는 천정(60),바닥(50)면에 설치한 흡음 송화기(200,300)
외함에도 같이 적용이 된다.
도 3 ~ 9에서 흡음 송화기(100,200,300)를 통하여 건물 내 소음.진동을 흡
수 하여 전류로 변환하는 원리는 평시와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진
동의 근원지에 근접해 있는 흡음 송화기(100,200,300)를 기준으로 작동을 하
며, 충격으로 인하여 소음.진동이 발생 시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
석판(140,240,340) 코일(150,250,350)에 전류를 흘려 보내 흡음 송화기(100
,200,300) 내 자석판(140,240,340)의 자력을 키워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려 들어가며, 맞은편 자석판(140,240,340)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 내면서 공명이 발생하여 진동판(110,210,310)의 진동을 울려
탄소 입자(130,230,330)에 음압의 변화로 탄소 입자(130,230,330) 간 충돌
이 발생하여 전류로 변환(120,220,320) 할 수 있게 한다.
도 3 ~ 9에서 각 구조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석판
(140,240,340)은 소음.진동의 파동으로 인하여 내부로 밀려 들어 가면서 진
동판(110,210,310) 및 전류 변환판(120,220,320)과 탄소 입자(130,230,330)
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이격 거리를 두어야 한다.
도 3 ~ 9에서 각 구조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200,300) 외함은 구조
체(40,50,60) 마감선과 일치가 됨으로 충격 등으로 인하여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한다. 또한, 바닥(50)면의 흡음 송화기(200) 외함은 거주자의
동선 및 가구 등의 이동으로 인하여 파손이 발생할 여지가 충분함으로 구조
체(40,50,60)에서 특히 유념을 하여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강성을 가진 재
질로 설치를 한다.
도 10 ~ 11에서 송화 흡음기(100,200,300)에 변환된 전류(120,220,330)는 송
화 간선(170)을 타고 각 구조체 별 송화 집음기(400)로 보내지며, 송화 집음
기(400)의 회로판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을 한다.
도 10 ~ 11에서 송화 집음기(400)는 각 구조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
,200,300)에 변환된 전류(120,220,320)를 충분이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하
며, 각 구조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200,300)의 자석판(140,240,
340)의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로 한다.
도 10 ~ 11에서 송화 집음기(400)에 변환된 전기 신호는 송화 주선(410)을
타고 중계기함(500)으로 보내지며, 도 12 ~ 13에서 중계기함(500)은 송화
집음기(400)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구조체(40,50,60)별로 수신하는 수신
부(510)와 수신부(510)에서 받은 신호를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
버터)를 통하여 무음 변환하여 송출하는 송출부(520)으로 구분을 한다.
또한, 도 16 ~ 17의 중계기함(500) 내에 감지.조작부(720)도 병행 설치하여
소음.진동 감지기(700)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감지.조작부(720)
에서 조작 팔넬 조절 신호 주선(810)을 통하여 조작 판넬(800)에서 조절 스
위치를 조작하여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석판(140,240,340) 코일
(150,250,350)에 전류를 흘려 보내 자력을 키워 소음.진동을 처리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 ~ 13에서 중계기함(500)의 수신부(510)는 각 구조체(40,50,60)별로
송화 집음기(400)의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송출부(520)로 보내고 송출부
(520)는 수신된 신호를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서 하나의
무음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 주선(530)을 통하여 외부 무음 수화기(600)로
보낼 수 있는 구조로 한다. 또한, 송출부(520)는 여러 수신된 신호의 부하
를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도 12 ~ 13에서 중계기함(500)의 수신부(510)에서 수신된 전기 신호는 송출
부(520)로 보내 무음 신호로 변환을 하지 않고, 단락을 시켜 거주자가 선택
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 ~ 13에서 중계기함(500)의 외함은 전파 등의 간섭을 받지 않는 재질과
구조로 설치한다.
도 14 ~ 15에서 외부 무음 수화기(600)는 중계기함(500) 내 송출부(520)의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변환된 무음 신호를 송출
주선(530)을 통해 받아서 외부로 배출을 하며, 외부 무음 수화기(600)를 외
벽면에 설치 시 송출부(520)의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이상
으로 인한 유음 신호가 발생이 되어 배출이 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소
음 장치를 설치한다. 또한, 외부 무음 수화기(600)는 외벽 면에 설치가 됨으
로 강풍,강우,강설 등을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조류,곤충류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도 16 ~ 17의 소음.진동 감지기(700) 및 조작 판넬(800)은 거주자의 선택
항목이 될 수 있는 부분으로 거주자 본인이 소음.진동 감지기(700)에서 감
지된 충격으로 인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소음.진동이 발생하면 중계기함
(500) 내 감지.조작부(720)에서 조절 신호 주선(810)을 통하여 조작 판
넬(800)에 경고음과 함께 소음.진동의 크기 값을 나타내고, 조작 판넬(800)
의 조절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조체(40,50,60) 별 흡음 송화기(100,200,300)
의 자석판(140,240,340) 코일(150,250,350)에 전류를 흘려 보내 자력을 키워
소음.진동을 처리하며, 각 구조체(40,50,60)별 흠음 송화기(100,200,30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소음.진동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를 하고자 하면
설치 한다.
도 16 ~ 17의 소음.진동 감지기(700) 및 조작 판넬(800)은 건물 내 발생하는
모든 소음.진동의 크기를 일정 기준 이상이 되면 소음.진동 감지기(700)에서
감지하여 경고음과 소음.진동의 크기 값을 조작 판넬(800)에 표시 하도록 한
다. 이 때, 일정 기준 이상의 소음.진동을 감지하여 발생하는 경고음은 거주
자의 정신 건강에 해롭지 않은 차원에서 경고음이 울리도록 한다. 또한, 건
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의 흡음 송화기(100,200,300), 송화 집음기
(400), 외부 무음 수화기(600), 소음.진동 감지기(700), 조작 판넬(800)은
건물 내 거주자와 가전 제품 및 건물 구조체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 내
에서 거주자 및 시공자, 전문가의 참고 하에 설정을 하여 설치가 되도록 한
다.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은 각 구조체별(40,50,60)로 작동이 되
도록 하여 거주자 본인이 소음.진동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를 할 수 있게
한다.
도 16 ~ 17에서 건물 내 층간 소음.진동의 크기 값이 일정 기준 이하의 평
상 시 소음.진동이면 중계기함(500)의 수신부(510)가 주 시스템으로 가동을
하여 소음.진동 발생 근원지에 근접한 구조체(40,50,60) 별 흡음 송화기(100
,200,300)를 기준으로 하여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석판(140,240,
340)이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려들어 가며, 맞은편 자석판(140
,240,340)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내면서 발생하는 공명에 위해
진동판(110,210,310)의 진동이 울리고, 진동판(110,210,310)의 진동으로 인
하여 탄소 입자(130,230,330)에 음압의 변화로 탄소 입자(130,230,330) 간
충돌이 발생 하면서 전류로 변환(120,220,320)이 되어 평상 시 소음.진동을
처리 하며,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한 소음.진동의 크기 값이 일정 기준 이상
이 되면 소음.진동 감지부(720)가 주 시스템이 되어 충격으로 인하여 소음.
진동이 발생한 근원지에 근접한 흡음 송화기(100,200,300)를 기준으로 하여
소음.진동 감지기(700)에서 소음.진동을 감지하여 소음.진동의 크기 값을 중
계기함(500) 내 소음.진동 감지.조작부(720)로 보내고, 소음.진동 감지.조작
부(720)는 조작 판넬 조절 신호 주선(810)을 통하여 조작 판넬(800)로 보내
고, 조작 판넬(800)의 조절 스위치를 조작하여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석판(140,240,340) 코일(150,250,350)에 전류를 흘려 보내고 자석판(140
,240,340)은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려 들어가며 맞은편 자석판
(140,240,340)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내어 공명이 발생하면서 진
동판(110,210,310)의 진동을 울리고, 진동판(110,210,310)의 진동으로 인하
여 탄소 입자(130,230,330)에 음압의 변화로 탄소 입자(130,230,330) 간 충
돌이 발생하여 전류로 변환(120,220,320)이 된다. 또한, 이 때 발생하는 구
조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200,300),송화 집음기(400) 등은 자석판
(140,240,340)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호 간섭이 되지 않도록 한다.
도 16 ~ 17의 소음.진동 감지기(700)및 조작 판넬(800)은 각 장치의 이상
발생 시 교체가 용이한 구조가 되도록 하며, 구조체(40,50,60) 별 흡음 송화
기(100,200,300)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의 산업상 이
용 가능성에 대한 의견은 도 1에서 구현한 바 소음.진동으로 인한 세대 간의
분쟁이 줄어들어 공급자,거주자,해당 공공 기관 간의 상호 연계가 되어 상당
부분 다각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도 3 ~ 9의 흡음 송화기(100,200,300), 도 14 ~ 15의 외부 무음 수화기(600)
는 사양길의 전화기 사업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이며, 도 12 ~ 13, 도
16 ~ 17의 중계기함(500)은 통신 신호 변환에 대한 축소화를 이루어 통신 산
업 부분에 변화가 예상이 되며, 도 16 ~ 17의 소음.진동 감지기(700) 및 조
작 판넬(800)은 전문 영역으로만 간주되던 음향 분야를 보편화 시켜 관련 기
기들의 대량 생산으로 이어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추가로 도 1에서 구현한 바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은 건설 시장에
소음.진동에 대한 새로운 시공 기술 방향을 제시하여 자재 및 시공비, 공사
기간 단축 등의 절감 효과를 가져와 신규 분양 등에 대한 분양가 상승 억제
등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10 : 직사 소음
20 : 투과 소음
30 : 전도 소음
40 : 벽체
50 : 바닥
60 : 천정
100 : 벽체 흡음 송화기
110 : 벽체 흡음 송화기 진동판
120 : 벽체 흡음 송화기 전류 변환판
130 : 벽체 흡음 송화기 탄소 입자
140 : 벽체 흡음 송화기 자석판
150 : 벽체 흠음 송화기 코일
160 : 벽체 흠음 송화기 타공
170 : 송화 간선
200 : 바닥 흡음 송화기
210 : 바닥 흡음 송화기 진동판
220 : 바닥 흡음 송화기 전류 변환판
230 : 바닥 흡음 송화기 탄소 입자
240 : 바닥 흡음 송화기 자석판
250 : 바닥 흡음 송화기 코일
260 : 바닥 흠음 송화기 타공
300 : 천정 흡음 송화기
310 : 천정 흡음 송화기 진동판
320 : 천정 흡음 송화기 전류 변환판
330 : 천정 흡음 송화기 탄소 입자
340 : 천정 흡음 송화기 자석판
350 : 천정 흡음 송화기 코일
350 : 천정 흡음 송화기 타공
400 : 송화 집음기
410 : 송화 주선
500 : 중계기함
510 : 구조체별 전기 신호 수신부
520 : 변환 신호 송출부
530 : 송출 주선
600 : 외부 무음 수화기
700 : 소음.진동 감지기
710 : 소음.진동 감지 표시 연결선
720 : 소음.진동 감지.조작부
800 : 조작 판넬
810 : 조작 판넬 조절 신호 주선
820 : 조작 판넬 조절 신호 구조체별 주선
830 : 조작 판넬 조절 신호 구조체별 간선

Claims (6)

  1. 건물 내 소음.진동 발생 시 소음.진동 발생 근원지에 근접한 각 구조체
    (40,50,60) 별 흡음 송화기(100,200,300)에 소음.진동의 파동이 전해져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석판(140,240,340)을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어내고, 맞은편 자석판(140,240,340)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 내면서 발생한 공명이 진동판(110,210,310)의 진동을 울리고, 진동판
    (110,210,310)의 진동이 발생하여 탄소 입자(130,230,330)에 음압의 변화로
    인한 탄소 입자(130,230,330) 간 충돌로 전류로 변환(120,220,320)이 되고,
    변환된 전류는 송화 간선(170)을 통하여 각 구조체(40,50,60)별 송화 집음기
    (400)로 모여져 송화 집음기(400)내 회로판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이 되고,
    송화 집음기(400)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는 송화 주선(410)을 통하여 중계기
    함(500)의 각 구조체(40,50,60)별 수신부(510)로 보내져 이 신호를 다시 송
    출부(520)로 보내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서 무음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 주선(530)을 통하여 외부 무음 수화기(600)로 보내는 과정에
    서 충격으로 인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소음.진동이 발생하면 소음.진동 감지
    기(700)에서 감지를 하여 소음.진동의 크기 값을 중계기함(500) 내 소음.진
    동 감지.조작부(720)로 보내어 소음.진동 감지.조작부(720)에서 조작 판넬
    (800)의 조절 신호 주선(810)을 통하여 조작 판넬(800)에 보내어 경고음을
    울리고 거주자 본인이 조작 판넬(800)에 나타난 소음.진동 크기 값을 확인하
    고 조절 스위치를 조절하여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한 소음.진동의 근원지에
    근접한 각 구조체(40,50,60) 별 흡음 송화기(100,200,300)를 기준으로 하여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석판(140,240,340) 코일(150,250,350)에 전
    류를 흘려 보내고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한 소음.진동의 파동이 전류가 흐르
    는 코일(150,250,350)의 자석판(140,240,340)에 전해져 자석판(140,240,340)
    이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려 들어가고, 맞은편 자석판(140,240
    ,340)을 같은 극으로 설정을 하여, 극끼리 밀어내면서 발생한 공명이 진동판
    (110,210,310)의 진동을 울리고, 진동판(140,240,340)의 진동으로 인한 탄소
    입자(130,230,330)에 음압의 변화로 인한 탄소 입자(140,240,340)의 충돌로
    전류로 변환(120,220,320)이 되고, 거주자 본인이 각 구조체(40,50,60)별 흡
    음 송화기(100,200,300)와 중계기함(500) 내부의 소음.진동 감지.조작부(720
    )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소음.진동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를 하는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 내 소음.진동 발생 시 직사(10
    ),투과(20),전도(30) 소음.진동의 파동이 소음.진동의 발생 근원지에 근접한
    구조체(40,50,60) 별 흡음 송화기(100,200,300)를 기준으로 하여 흡음 송화
    기(100,200,300) 내 자석판(140,240,340)에 전해져 자석판(140,240,340)이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려 들어가고 맞은편 자석판(140,240
    ,340)과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내면서 공명이 발생되어 진동판(110
    ,210,310)의 진동으로 탄소 입자(130,230,330)에 음압의 변화로 인한 탄소
    입자(130)간 충돌이 발생하여 전류로 변환(120,220,320)이 되는 단계 ;
    흡음 송화기(100,200,300)에서 변환된 전류가 송화 간선(170)을 통하여 구조
    체(40,50,60)별 송화 집음기(400)로 보내져 송화 집음기(400)의 회로판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이 되는 단계 ;
    송화 집음기(400)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송화 주선(410)을 통하여 중계
    기함(500)의 각 구조체(40,50,60)별 수신부(510)에서 수신을 하여 송출부
    (520)로 보내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무음 신호
    로 변환하는 단계 ;
    중계기함(500) 내 송출부(520)의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변환된 무음 신호를 송출 주선(530)을 통하여 외부 무음 수화기(600)
    로 보내 층간 소음.진동을 배출하는 단계 ;
    건물 내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일정 기준 이상의 소음.진동을 소음.진동
    감지기(700)를 통하여 감지하고, 감지된 소음.진동의 크기 값을 중계기함
    (500) 내 소음.진동 감지.조작부(720)에 보내어 소음.진동 감지.조작부(720)
    에서 조절 신호 주선(810)을 통하여 조작 판넬(800)에 신호를 보내 경고음과
    소음.진동의 크기 값을 나타내어 거주자 본인이 조작 판넬(800)의 조절 스위
    치를 조절하여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이 발생한 근원지에 근접한 각 구조
    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200,300)를 기준으로 하여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한 소음.진동의 파동이 전해져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석판
    (140,240,340) 코일(150,250,350)에 전류를 흘려보내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
    한 소음.진동을 흡수하고 거주자 본인이 각 구조체(40,50,60)별 흡음 송화기
    (100,200,300)와 중계기함(500) 내부의 소음.진동 감지.조작부(72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소음.진동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단계 ; 및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발생부터 배출까지 일원화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통한
    공급자와 거주자, 해당 공공 기관 간의 건물 층간 소음.진동에 대한 문제 해
    결에 대한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건물 내 소음.진동이 각 구조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200,300)에
    흡수되어 전류로 변환(120,220,330)이 되는 단계는,
    소음.진동이 발생한 근원지에 근접한 구조체(40,50,60)별로 설치된 흡음 송
    화기(100,200,300)를 기준으로 하여 소음.진동의 파동이 전해져 흡음 송화기
    (100,200,300) 내 자석판(140,240,340)을 직사(10) 소음.진동의 파동이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어내고, 맞은편 세대 내 설치된 흡음 송화기
    (100,200,300) 내 자석판(140,240,340)을 투과(20) 소음.진동의 파동이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어내고, 이 외 구조체(40,50,60) 내부 전도
    되는 소음.진동의 파동이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석판(140,240,340)
    을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부로 밀어내고 맞은편 자석판(140,240,340)
    과 서로 같은 극을 설정하여 극끼리 밀어내면서 발생하는 공명이 진동판
    (110,210,310)의 진동을 울리고 진동판(110,210,310)의 진동으로 탄소 입자
    (130,230,330)에 음압의 변화로 인한 충돌이 발생하여 전류로 변환(120,220
    ,320)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흡음 송화기(100,200,300)에서 변환된 전류(120,220,320)를 송화 간선(170)
    을 통하여 송화 집음기(400)로 보내는 단계는,
    흡음 송화기(100,200,300)에 변화된 전류(120,220,320)를 송화 간선(170)을
    통하여 각 구조체(40,50,60)별 송화 집음기(400)로 보내 송화 집음기(400)
    회로판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송화 집음기(400)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송화 주선(410)을 통하여 중계기
    함(500)으로 보내는 단계는,
    송화 집음기(400)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중계기함(500)의 각 구조체(40,50
    ,60)별 수신부(510)에서 수신을 하여 송출부(520)로 보내어 송출부(520)의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무음 신호로 변환하는 방
    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중계기함(500) 내 송출부(520)의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서 변환된 무음 신호를 송출 주선(530)을 통하여 외부 무음 수화기(600)로
    보내는 단계는,
    중계기함(500)내 송출부(520)의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서
    변환된 무음 신호를 송출 주선(530)을 통하여 외부 무음 수화기(600)로 보내
    어 외부 환경에 건물 내 소음.진동이 영향을 주지 않게 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건물 내 설치된 소음.진동 감지기(700)를 통하여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한
    소음.진동을 감지하고 소음.진동 감지기(700)에서 감지된 소음.진동 크기
    값을 중계기함(500)내 소음.진동 감지.조작부(720)로 보내고 소음.진동 감
    지.조작부(720)에서 감지.조작 신호를 조작 판넬 조절 신호 주선(810)을 통
    하여 조작 판넬(800)에 보내어 경고음과 소음.진동의 크기 값을 나타내고,
    거주자 본인이 조작 판넬(800)의 조절 스위치를 조작하여 충격으로 인한 소
    음.진동이 발생한 근원지에 근접한 각 구조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
    ,200,300) 내 자석판(140,240,340) 코일(150,250,350)에 전류를 흘려 보내어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한 소음.진동을 흡수하고 거주자 본인이 각 구조체(40,
    50,60)별 흡음 송화기(100,200,300)와 중계기함(500) 내의 소음.진동 감지기
    조작부(72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는,
    건물 내 소음.진동이 각 구조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200,300)에
    전해져 전류로 변환(120,220,330)이 되는 단계 ;
    흡음 송화기(100,200,300)에서 변환된 전류(120,220,320)를 송화 간선(170)
    을 통하여 송화 집음기(400)로 보내는 단계 ;
    송화 집음기(400)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송화 주선(410)을 통하여 중계기
    함(500)으로 보내는 단계 ;
    중계기함(500) 내 송출부(520)의 A/D CONVERTER(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변환된 무음 신호를 송출 주선(530)을 통하여 외부 무음 수화기(600)
    로 보내는 단계 ; 및 소음.진동 감지기(700)에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된 일정
    기준 이상의 소음.진동을 감지하고, 소음.진동 크기 값을 중계기함(500) 내
    소음.진동 감지.조작부(720)보내어 소음.진동 감지.조작부(720)에서 감지.조
    조절 신호를 소음.진동 조절 주선(810)을 통하여 조작 판넬(800)에 보내 경
    고음과 소음.진동 크기 값을 나타내어 거주자 본인이 조작 판넬(800)의 조절
    스위치를 조작하여 충격으로 인한 소음.진동이 발생한 근원지에 근접한 각
    구조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200,300) 내 자석판(140,240.340) 코일
    (150,250,350)에 전류를 흘려 보내 자력을 키워 소음.진동을 처리하고, 거주
    자 본인이 각 구조체(40,50,60)별 흡음 송화기(100,200,300)와 중계기함
    (500) 내의 소음.진동 감지기 조작부(72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발생부터 배출까지 일원화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통한 공급자
    와 거주자, 해당 공공 기관 간의 건물 층간 소음.진동의 문제 해결에 대한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방법.
KR1020140155777A 2013-11-29 2014-11-11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KR20150062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1967 WO2016076580A1 (ko) 2014-11-11 2015-11-09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780 2013-11-29
KR20130146780 2013-11-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764A Division KR20160103961A (ko) 2016-08-23 2016-08-23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KR1020160110405A Division KR20160106031A (ko) 2016-08-30 2016-08-30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KR1020160112887A Division KR20160107143A (ko) 2016-09-02 2016-09-02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940A true KR20150062940A (ko) 2015-06-08

Family

ID=5350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777A KR20150062940A (ko) 2013-11-29 2014-11-11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29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948A (ko) 2014-12-11 2016-06-21 장선자 건물 층간 소음.진동 무선 배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948A (ko) 2014-12-11 2016-06-21 장선자 건물 층간 소음.진동 무선 배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2064B2 (ja) 通知装置及び通知方法
US20090103704A1 (en) Vo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wiring system using the same device
KR20170054963A (ko) 동시 발생 상쇄 진동음을 이용한 층간소음 감소장치
JP2006526921A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
CN102630324A (zh) 通过至少一声传感器监控预先确定的限定区的设备和方法
US20110260875A1 (en) Alert device and method
JP3031635B2 (ja) 静止誘導器用広域消音装置
JP2005057820A (ja) 音及び振動エネルギーの利用方法、音及び振動エネルギーを利用した発電装置、吸音装置及び音響・振動源の探査装置
JP2012187089A (ja) 有害動物撃退装置
KR20150062940A (ko)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JP4553394B2 (ja) 音声情報伝達装置
JP2015158542A (ja) 閉じた空間における騒音低減方法および騒音低減システム
JP5396219B2 (ja) 警報器連動装置
KR20170058900A (ko) 건물 층간 소음.진동 무선 배출 시스템
KR20160103961A (ko)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JP2016001775A (ja) 超指向性マイクロフォンシステム
KR20160107143A (ko)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KR20160106031A (ko)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KR20190057831A (ko) 버려지는 소음을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CN209089216U (zh) 一种次声波主动消除设备
KR101235603B1 (ko) 층간 소음 알림 장치
KR20180048517A (ko) 건물 층간 소음 감쇠 장치
JP2724855B2 (ja) アンサーバックシステム
KR20170059432A (ko) 건물 층간 소음.진동 무선 배출 시스템
JP2017043214A (ja) 車両用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