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205B1 -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 - Google Patents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205B1
KR101235205B1 KR1020100049018A KR20100049018A KR101235205B1 KR 101235205 B1 KR101235205 B1 KR 101235205B1 KR 1020100049018 A KR1020100049018 A KR 1020100049018A KR 20100049018 A KR20100049018 A KR 20100049018A KR 101235205 B1 KR101235205 B1 KR 101235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culum
culture
days
roe deer
mycel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570A (ko
Inventor
정재현
김동구
박천규
Original Assignee
정재현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현,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filed Critical 정재현
Priority to KR1020100049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20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적화된 조건하에서 노루궁뎅이 버섯을 배양할 수 있고,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노루궁뎅이 버섯의 배양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 및 노루궁뎅이 버섯의 생리활성물질의 활성을 증가시키거나 인진쑥의 풍부한 약용성분이 포함된 노루궁뎅이 버섯의 배양물을 수득할 수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특히, 배지에 노루궁뎅이 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10일 내지 15일간 배양하여 균사체를 수득하는 단계(S110); 수득한 균사체를 절취하여 복수개의 균사체 디스크를 제조하는 단계(S120); MCM 배지에 균사체 디스크를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10 내지 15일간 진탕배양하여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30); MCM 배지에 제 1차 접종원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5일 내지 7일간 진탕배양하여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 인진쑥 분말이 포함된 MCM 배지에 제 2차 접종원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8일 내지 10일간 배양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A liquid culture method of Hericium erinaceum using Artemisia swayomogi and Hericium erinaceum culture material of cul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지에 버섯종균을 접종하여 균사체 디스크를 제조한 다음 버섯균을 배양시키기 위한 배지의 한 종류로써, 대부분의 버섯균사체 배양을 위한 최적의 배지인 MCM(Mushroom Complete Medim) 배지에 균사체 디스크를 접종 및 배양하여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한 후, 또 다른 MCM 배지에 제 1차 접종원을 접종 및 배양하여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한 후, 마지막으로 인진쑥이 포함된 MCM 배지에 제 2차 접종원을 접종 및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에 관한 것이다.
노루궁뎅이 버섯은 일반적으로 졸참나무나 떡갈나무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학명으로는 Hericium erinaceum으로 알려져 있으며, 민주름 버섯목(Aphyophorales), 턱수염 버섯과(Hydnaecase), 산호침 버섯속(Hericiaceae)에 속한다. 노루궁뎅이 버섯은 한방에서 사용되는 약재로서 중국의 본초도감에 따르면 오장을 이롭게 하고, 소화를 도우며 자양강장과 보신작용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최근 노루궁뎅이 버섯은 사람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헤테로 β-D-글루칸을 100g 당 34.4g 정도 다량 함유하고 항암효과가 뛰어나며 치매예방을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노루궁뎅이 버섯은 각종의 영양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Hella cell 증식저해물질, 신경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NGF) 합성유도촉진 물질, 면역기능조절 성분(BRM 효과), 항종양 다당류, Lectin, 식이섬유(β-glucan, chitin질, hetero 다당)등의 약리활성 성분이 있으며, 이들에 대응하는 각종의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은 냇가의 모래땅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약 30~100cm이며 겨울에 죽지 않고 이듬해 줄기에서 다시 싹이 나온다고 해서 사철쑥 또는 정경쑥이라 불린다. 인진쑥의 연구는 정유성분에 대한 분석 및 항균활성과 추출물들의 항산화 활성, 항돌연변이 활성, 혈중 지질감소 및 간기능 개선효과 등이 각각 연구되어 있다. 민간에서는 간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하여 간암, 간경변, 황달 등 주로 간질환의 치료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인진쑥에 대한 연구로는 항산화작용, 간 보호 효과, 항염증 및 진통 효과, 항균작용, 항진균활성, 담즙분비 효과, 당대사 개선 효과, 과산화지질에 대한 효과, 충치억제 효과, 항돌연변이 효과, 항암 효과, 혈압강하작용, 당뇨병 및 고혈당증의 치료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인진쑥의 다당체는 글루코오스(glucose) 71%, 자일로오스(xylose) 25.4%, 만노오스(manose) 2.8%와 람노오스(ramnose) 0.6%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ong, K. W., Phytochemical Study of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Artemisia spicies., M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1996)). 그리고 주요성분으로서 카필렌(capilene), 피넨(pinene), 비타민 B1등이 함유된 건강식품으로 간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인진쑥 추출물은 일반약리, 급성독성 및 4주 반복투여에 의한 독성평가에서도 안전한 것으로 밝혀졌다(The Journal of Applied Pharmacology, 4, 354-363 (1996), The Journal of Applied Pharmacology, 4, 174-183 (1996)).
노루궁뎅이 버섯의 재배기술은 1981년도 리우에 의해 개발되어 고체배양에 의한 인공재배가 가능해졌지만 아직도 산업적 생산체제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는 고체배양에 의한 자실체 생산에는 광선, 온도, 습도의 제어를 필요로 하며, 또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도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실체보다 배양이 용이한 자실체 발생 이전의 단계인 균사체의 액체 배양에 의한 생리활성의 물질 생산이 널리 시도되고 있다. 특히 자실체 형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용도이면 산업적으로 매우 유리한 장점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들 액체배양은 주로 자실체 및 종균생산을 위한 액체 종균 생산이나 식품 또는 의약품 원료 생산의 균사체 또는 세포외 대사산물 생산을 위해 이용되는데, 1948년 미국에서 흄펠드가 주름버섯(Agaricus campestris)에 대해 최초로 시도한 이래, 지금까지 60종 이상의 식용버섯에 대해 액체배양이 검토되었다.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배양에 관해서도 그동안 몇몇 종 배지를 사용하여 노루궁뎅이 버섯의 균사체를 생산한 Grigansky 및 Lomberh등의 연구가 있다. 국내의 경우도 노루궁뎅이 버섯의 균사체 생산을 위한 기초연구 및 식품부산물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 균사체의 액체배양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한편, "약용식물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균사체 및 자실체의 고체배양방법 및 이 균사체 및 자실체의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등록특허 제 10-0432360)" 등 종래의 노루궁뎅이 버섯의 고체배양에 의한 배양기술은 산업화하는 공정에서 균을 접종시킨 후 60일 정도 배양하여야 사용할 수 있었으므로 배양기간이 너무 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표 1은 종래의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고체배양기술에 의한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균사체 수율은 60일 정도 배양했을 때 최고치를 나타내며, 산업화과정에 이용될 수 있는 균사체의 수율을 얻으려면 60일 이상 배양하여야 했다. 한편, 도 1은 표 1에 따른 종래의 고체배양방법에 의한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배양일수(날) 30 40 50 60 70
균사체수율(g/L) 2.7 4.1 7.2 9.5 9.1
따라서, 최적화된 조건하에서 노루궁뎅이 버섯을 배양하고, 산업화하는 공정에서의 노루궁뎅이 버섯의 배양기간을 단축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인진쑥의 풍부한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된 노루궁뎅이 버섯의 배양물을 수득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최적화된 조건하에서 노루궁뎅이 버섯을 배양할 수 있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의 배양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인진쑥의 풍부한 약용성분이 포함된 노루궁뎅이 버섯의 배양물을 수득할 수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배지에 노루궁뎅이 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10일 내지 15일간 배양하여 균사체를 수득하는 단계(S110); 수득한 균사체를 절취하여 복수개의 균사체 디스크를 제조하는 단계(S120); MCM 배지에 균사체 디스크를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10 내지 15일간 진탕배양하여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30); MCM 배지에 제 1차 접종원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5일 내지 7일간 진탕배양하여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 및 인진쑥 분말이 포함된 MCM 배지에 제 2차 접종원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8일 내지 10일간 배양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균사체를 수득하는 단계(S110)에서 배지는 평판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균사체 디스크를 제조하는 단계(S120)는 코르크볼러로 균사체를 절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코르크볼러는 직경이 8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균사체 디스크를 제조하는 단계(S120)에서 균사체 디스크는 적어도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30)는 제 1차 접종원을 균질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는 제 2차 접종원을 균질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에서 MCM 배지에 접종되는 제 1차 접종원의 부피는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30)에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의 총부피 기준으로 10부피% 내지 15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에서 MCM 배지와 접종되는 제 1차 접종원의 부피는 비율이 10:0.8 내지 10:1.2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S150)에서 MCM 배지에 접종되는 제 2차 접종원의 부피는 제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수득된 제 2차 접종원의 총부피 기준으로 10부피% 내지 15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S150)에서 MCM 배지와 접종되는 제 2차 접종원의 부피는 비율이 10:0.8 내지 10:1.2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30),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 및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S150)에서 MCM 배지는 PH가 5.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에서 MCM 배지와 인진쑥 분말 사이의 비율이 MCM 배지 100㎖당 1g 내지 10g의 인진쑥 분말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30),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 및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S150)에서 진탕속도는 100rpm 내지 140rp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카테고리로서, 상기의 방법으로 배양된 인진쑥 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최적화된 조건하에서 노루궁뎅이 버섯을 배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을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노루궁뎅이 버섯의 배양기간을 단축하여 8일 정도만 배양하면 되므로 상당한 시간이 절약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노루궁뎅이 버섯의 생리활성물질의 활성을 증가시키거나 인진쑥의 풍부한 약용성분이 포함된 노루궁뎅이 버섯의 배양물을 수득할 수 효과가 있다.
도 1은 표 1에 따른 종래의 고체배양방법에 의한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
도 2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배양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실험예 1의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실험예 2의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실험예 3의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실험예 4의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실험예 5의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액체 배양방법>
도 2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배양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배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노루궁뎅이 버섯의 배양방법은 배양온도, 배지의 PH, 진탕속도 및 배양기간에 따라 균사체 수율에 영향을 받는다.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의 최적의 액체배양 조건은 "버섯 배양물을 포함하는 배지 및 상기 배지를 이용한 버섯재배방법(등록특허 10-0523263)"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사체를 수득하는 단계(S110) 내지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S150)의 배양온도, 배지의 PH, 진탕속도 및 배양기간은 노루궁뎅이 버섯 균사체를 최대로 수득하기 위한 범위이다. 또한,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에서 MCM 배지의 부피와 접종되는 제 1차 접종원의 부피를 일정한 비율로 한정하는 이유 및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S150)에서 MCM 배지의 부피와 접종되는 제 2차 접종원의 양을 일정한 비율로 한정하는 이유는 그 한정된 비율의 범위내에서 균사체가 가장 활발한 생육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즉 한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균사체의 생육이 저하된다.
우선, 배지에 노루궁뎅이 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10일 내지 15일간 배양하여 균사체를 수득한다(S110). 여기서 배지는 PDA 평판배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배양온도는 23℃ 내지 26℃일 수 있으나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일수는 10일 내지 15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15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수득한 균사체를 절취하여 복수개의 균사체 디스크를 제조한다(S120). 이때 균사체 디스크는 코르크볼러로 절취할 수 있으며, 코르크 볼러의 직경은 4mm 내지 8mm일 수 있으며 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되는 균사체 디스크는 적어도 2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MCM 배지에 균사체 디스크를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10 내지 15일간 진탕배양하여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한다(S130). 여기서 접종되는 균사체 디스크는 적어도 2개이며 8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온도는 23℃내지 26℃일 수 있으나 25℃인 것이 바람직하며, 진탕속도는 100rpm 내지 140rpm으로 할 수 있으나 140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일수는 10일 내지 15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15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은 제 2차 접종원으로 배양하기 전에 균질화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표 2는 대표적인 버섯배지의 종류별 성분표를 나타낸 것이다. 노루궁뎅이 버섯은 질소원과 무기질원이 풍부한 배지에서 활발한 생육을 보이는 바, MCM 배지 또는 YMPG 배지에서 배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30),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 및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S150)에서의 배지로 MCM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MCM 배지는 물 1ℓ에 K2HPO4 1.0 g, KH2PO4 0.46 g, MgSO4·7H2O 0.5 g, 글루코스 20.0 g, 펩톤 2.0 g, 효모 추출물 2.0 g, 한천 20.0 g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양원 배지종류(g/L)
MCM MYPA PDA ME YM YMPG YMG PYG GP GPY
감자 250.0
K2HO4 1.0 10
KH2PO4 0.46 2.0
MgSO4·7H2O 0.5 1.0 0.7 0.5
FeSO4·7H2O
글루코스 20.0 20.0 10.0 10.0 4.0 14 30 20
티아민-HCL 1.0-3
DL-아스파라진 1.0
펩톤 2.0 1.0 5.0 5.0 2.0 1.25 3 2
말트 추출물 30.0 20.0 3.0 10.0 10.0
효모 추출물 2.0 2.0 3.0 2.0 4.0 1.25 2
한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다음으로 MCM 배지에 제 1차 접종원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5일 내지 7일간 진탕배양하여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한다(S140). 여기서 배양온도는 23℃ 내지 26℃일 수 있으나 25℃인 것이 바람직하며, 진탕속도는 100rpm 내지 140rpm으로 할 수 있으나 140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일수는 5일 내지 7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5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CM 배지에 접종되는 제 1차 접종원의 부피는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30)에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의 총부피 기준으로 10부피% 내지 15부피%일 수 있으나 10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의 MCM 배지와 접종되는 제 1차 접종원의 부피는 비율이 10:0.8 내지 10:1.2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차 접종원은 인진쑥 분말이 포함된 MCM 배지에 접종하기 전에 균질화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진쑥 분말이 포함된 MCM 배지에 제 2차 접종원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8일 내지 10일간 배양한다(S150). 여기서 MCM 배지에 접종되는 제 2차 접종원의 부피는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에서 수득된 제 2차 접종원의 총부피 기준으로 10부피% 내지 15부피%일 수 있으나 10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S150)의 MCM 배지와 접종되는 제 2차 접종원의 부피는 비율이 10:0.8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온도는 23℃ 내지 26℃일 수 있으나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일수는 8일 내지 10일간 배양할 수 있으나 8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에서, MCM 배지와 인진쑥 분말 사이의 비율이 MCM 배지 100㎖당 1g 내지 10g의 인진쑥 분말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배양을 위한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30),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 및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S150)의 MCM 배지의 PH는 5.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을 액체 배양하면 종래의 고체배양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균사체 수율의 결과와 비슷한 결과를 배양일수 8일 만에 얻을 수 있어 배양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함으로써 산업화에 커다란 경제적 효과가 있게 된다.
상기한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배양방법은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에 대한 실험예를 설명한다. 실험예에서 배지는 습윤멸균법에 의한 멸균과정을 거치고, 플라스크등은 건열멸균법에 의한 멸균과정을 거치나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험예 1>
(1) PDA 평판배지에 노루궁뎅이 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25℃에서 15일간 배양한다.
(2) 상기 (1)에서 배양된 균사체를 지름이 8mm인 코르크볼러로 절취하여 8개의 균사체 디스크를 만든다.
(3)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와 8개의 균사체 디스크를 넣어 25℃에서 15일간 배양하여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한 후 균질화시킨다.
(4)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와 (3)에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 10㎖를 취해서 넣고 25℃에서 5일간 배양하여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한 후 균질화시킨다.
(5)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 인진쑥 분말 1g 및 (4)에서 수득된 제 2차 접종원 10㎖을 취해서 넣은 후 PH를 0.1N Hcl 과 0.1N Nacl로 적정하여 5.5로 만든 다음 25℃에서 8일간 배양한다.
표 3은 실험예 1의 배양일수에 다른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에 따른 균사체 수율은 배양일수가 8일째 되는 날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실험예 1의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배양일수(날) 6 7 8 9 10 11
균사체수율(g/L) 4.5 6.8 9.3 9.1 8.8 8.0
<실험예 2>
(1) PDA 평판배지에 노루궁뎅이 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25℃에서 15일간 배양한다.
(2) 상기 (1)에서 배양된 균사체를 지름이 8mm인 코르크볼러로 절취하여 8개의 균사체 디스크를 만든다.
(3)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와 8개의 균사체 디스크를 넣어 25℃에서 15일간 배양하여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한 후 균질화시킨다.
(4)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와 (3)에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 10㎖를 취해서 넣고 25℃에서 5일간 배양하여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한 후 균질화시킨다.
(5)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 인진쑥 분말 3g 및 (4)에서 수득된 제 2차 접종원 10㎖을 취해서 넣은 후 PH를 0.1N Hcl 과 0.1N Nacl로 적정하여 5.5로 만든 다음 25℃에서 8일간 배양한다. 표 4는 실험예 2의 배양일수에 다른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에 따른 균사체 수율은 배양일수가 8일째 되는 날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실험예 2의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배양일수(날) 6 7 8 9 10 11
균사체수율(g/L) 4.2 6.6 9.1 8.9 8.7 8.1
<실험예 3>
(1) PDA 평판배지에 노루궁뎅이 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25℃에서 15일간 배양한다.
(2) 상기 (1)에서 배양된 균사체를 지름이 8mm인 코르크볼러로 절취하여 8개의 균사체 디스크를 만든다.
(3)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와 8개의 균사체 디스크를 넣어 25℃에서 15일간 배양하여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한 후 균질화시킨다.
(4)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와 (3)에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 10㎖를 취해서 넣고 25℃에서 5일간 배양하여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한 후 균질화시킨다.
(5)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 인진쑥 분말 5g 및 (4)에서 수득된 제 2차 접종원 10㎖을 취해서 넣은 후 PH를 0.1N Hcl 과 0.1N Nacl로 적정하여 5.5로 만든 다음 25℃에서 8일간 배양한다.
표 5는 실험예 3의 배양일수에 다른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에 따른 균사체 수율은 배양일수가 8일째 되는 날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실험예 3의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배양일수(날) 6 7 8 9 10 11
균사체수율(g/L) 3.9 6.3 9.0 8.7 8.4 8.3
<실험예 4>
(1) PDA 평판배지에 노루궁뎅이 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25℃에서 15일간 배양한다.
(2) 상기 (1)에서 배양된 균사체를 지름이 8mm인 코르크볼러로 절취하여 8개의 균사체 디스크를 만든다.
(3)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와 8개의 균사체 디스크를 넣어 25℃에서 15일간 배양하여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한 후 균질화시킨다.
(4)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와 (3)에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 10㎖를 취해서 넣고 25℃에서 5일간 배양하여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한 후 균질화시킨다.
(5)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 인진쑥 분말 7g 및 (4)에서 수득된 제 2차 접종원 10㎖을 취해서 넣은 후 PH를 0.1N Hcl 과 0.1N Nacl로 적정하여 5.5로 만든 다음 25℃에서 8일간 배양한다.
표 6은 실험예 4의 배양일수에 다른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에 따른 균사체 수율은 배양일수가 8일째 되는 날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실험예 4의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배양일수(날) 6 7 8 9 10 11
균사체수율(g/L) 4.0 6.7 9.3 9.1 8.9 8.5
<실험예 5>
(1) PDA 평판배지에 노루궁뎅이 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25℃에서 15일간 배양한다.
(2) 상기 (1)에서 배양된 균사체를 지름이 8mm인 코르크볼러로 절취하여 8개의 균사체 디스크를 만든다.
(3)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와 8개의 균사체 디스크를 넣어 25℃에서 15일간 배양하여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한 후 균질화시킨다.
(4)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와 (3)에서 수득된 제 1차 접종원 10㎖를 취해서 넣고 25℃에서 5일간 배양하여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한 후 균질화시킨다.
(5) 250㎖ 삼각플라스크에 MCM 배지 100㎖, 인진쑥 분말 9g 및 (4)에서 수득된 제 2차 접종원 10㎖을 취해서 넣은 후 PH를 0.1N Hcl 과 0.1N Nacl로 적정하여 5.5로 만든 다음 25℃에서 8일간 배양한다.
표 7은 실험예 5의 배양일수에 다른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에 따른 균사체 수율은 배양일수가 8일째 되는 날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실험예 5의 균사체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배양일수(날) 6 7 8 9 10 11
균사체수율(g/L) 3.7 6.4 8.9 8.6 8.0 7.4
<배양물>
상기의 액체배양 방법에 따라 배양된 배양물은 사람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헤테로 β-D-글루칸, Hella cell 증식저해물질, 신경성장인자, 합성유도촉진 물질, 면역기능조절 성분, 항종양 다당류, 렉틴, 식이섬유 등의 약리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배양물에는 인진쑥의 항산화작용, 간 보호, 항염증 및 진통 억제, 항균작용, 항진균활성 등에 유용한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인진쑥을 포함한 액체 배지에서 노루궁뎅이 버섯을 배양하면 상승효과로 인해 노루궁뎅이 버섯의 약리활성 성분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인진쑥을 이용하여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은 가공하여 기능성 건강보조식품인 음료와 분말을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음료와 분말은 약용식물 중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섬유소가 분해되어 식이섬유로 전환됨으로써 정장작용 및 소화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인진쑥내의 생리활성 물질들은 인체의 영양상태를 개선시키고, 노루궁뎅이 버섯의 균사체로부터 생산된 생리활성 물질들간의 상승작용을 일으켜 건강보조식품의 생리활성을 크게 개선시킨다.

Claims (15)

  1. 배지에 노루궁뎅이 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10일 내지 15일간 배양하여 균사체를 수득하는 단계(S110);
    상기 수득한 균사체를 절취하여 복수개의 균사체 디스크를 제조하는 단계(S120);
    MCM 배지에 상기 균사체 디스크를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10 내지 15일간 진탕배양하여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30);
    MCM 배지에 상기 제 1차 접종원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5일 내지 7일간 진탕배양하여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
    인진쑥 분말이 포함된 MCM 배지에 상기 제 2차 접종원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3℃ 내지 26℃로 조정한 다음 8일 내지 10일간 진탕배양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사체를 수득하는 단계(S110)에서,
    상기 배지는 평판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사체 디스크를 제조하는 단계(S120)는 코르크볼러로 상기 균사체를 절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르크볼러는 직경이 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사체 디스크를 제조하는 단계(S120)에서,
    상기 균사체 디스크는 적어도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30)는,
    상기 제 1차 접종원을 균질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는,
    상기 제 2차 접종원을 균질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에서,
    상기 MCM 배지에 접종되는 상기 제 1차 접종원의 부피는 상기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30)에서 수득된 상기 제 1차 접종원의 총부피 기준으로 10부피% 내지 15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에서,
    상기 MCM 배지와 접종되는 상기 제 1차 접종원의 부피는 비율이 10:0.8 내지 10: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S150)에서,
    상기 MCM 배지에 접종되는 상기 제 2차 접종원의 부피는 상기 제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에서 수득된 상기 제 2차 접종원의 총부피 기준으로 10부피% 내지 15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S150)에서,
    상기 MCM 배지와 접종되는 상기 제 2차 접종원의 부피는 비율이 10:0.8 내지 10: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30), 상기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 및 상기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S150)에서,
    상기 MCM 배지는 PH가 5.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S150)에서,
    상기 MCM 배지와 상기 인진쑥 분말 사이의 비율이 상기 MCM 배지 100㎖당 1g 내지 10g의 인진쑥 분말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30), 상기 제 2차 접종원을 수득하는 단계(S140) 및 상기 제 2차 접종원을 배양하는 단계(S150)에서의 진탕배양의 속도는 100rpm 내지 140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배양된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
KR1020100049018A 2010-05-26 2010-05-26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 KR101235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018A KR101235205B1 (ko) 2010-05-26 2010-05-26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018A KR101235205B1 (ko) 2010-05-26 2010-05-26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570A KR20110129570A (ko) 2011-12-02
KR101235205B1 true KR101235205B1 (ko) 2013-02-20

Family

ID=4549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018A KR101235205B1 (ko) 2010-05-26 2010-05-26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464B1 (ko) * 2011-08-09 2013-01-17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비타민나무를 이용한 버섯의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배양물
CN104876705A (zh) * 2015-05-15 2015-09-02 陈素素 一种猴头菇专用的缓释营养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878A (ko) * 2001-03-13 2002-09-19 에이치엔엠바이오(주) 약용식물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균사체 및 자실체의고체배양방법 및 이 균사체 및 자실체의 추출물을 함유한건강보조식품
KR100523263B1 (ko) 2003-07-24 2005-10-24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버섯 배양물을 포함하는 배지 및 상기 배지를 이용한 버섯배양방법
KR100599343B1 (ko) 2003-10-24 2006-07-14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항알레르기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0826446B1 (ko) 2006-11-22 2008-04-29 씨제이제일제당 (주) 미강 또는 홍삼을 기질로 한 노루궁뎅이버섯의 기능성균사체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미강 또는홍삼의 유효성분을 함유한 노루궁뎅이버섯의 기능성 균사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878A (ko) * 2001-03-13 2002-09-19 에이치엔엠바이오(주) 약용식물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균사체 및 자실체의고체배양방법 및 이 균사체 및 자실체의 추출물을 함유한건강보조식품
KR100523263B1 (ko) 2003-07-24 2005-10-24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버섯 배양물을 포함하는 배지 및 상기 배지를 이용한 버섯배양방법
KR100599343B1 (ko) 2003-10-24 2006-07-14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항알레르기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0826446B1 (ko) 2006-11-22 2008-04-29 씨제이제일제당 (주) 미강 또는 홍삼을 기질로 한 노루궁뎅이버섯의 기능성균사체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미강 또는홍삼의 유효성분을 함유한 노루궁뎅이버섯의 기능성 균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570A (ko) 201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89422B (zh) 生产蘑菇的方法
JP6548520B2 (ja) 多種多様な効能を有する蛹虫草及びその生産方法
KR101258893B1 (ko) 버섯 및 홍국균 종균을 이용한 커피생두 발효방법, 조성물, 및 발효커피
KR20120095753A (ko) 폐 한방 슬러지를 함유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항종양활성 및 면역증강활성이 강화된 기능성 버섯
KR20200025135A (ko) 배암차즈기 추출액을 이용한 기능성 동충하초 자실체의 재배방법
CN103548557A (zh) 一种用发芽麦粒制备桑黄菌丝块的方法
KR20170050572A (ko) 항산화 성분이 증가된 황기의 제조방법
KR20100104408A (ko) 현미를 이용한 밀리타리스동충하초 균사체와 그를 이용한 건강보양용 밀타리스동충하초 삼계탕
KR101127271B1 (ko) 동충하초균의 배양방법 및 이에 따른 배양물의 용도
KR101235205B1 (ko)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
KR100405990B1 (ko) 유기게르마늄 함유 동충하초의 제조방법
CN1826866A (zh) 富含微量元素的无花果或绞股蓝的种植方法及其用途
KR20010025337A (ko) 이노노투스 오브리쿠우스의 인공배양물로부터 분리된 항암면역활성 다당류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101223464B1 (ko) 비타민나무를 이용한 버섯의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배양물
KR20030030636A (ko) 버섯 자실체의 발효를 이용하여 고활성 항암 단백다당체를제조하는 방법
KR101549630B1 (ko)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0375784C (zh) 一种复合功能型北冬虫夏草及其生产方法
KR102117227B1 (ko) 까시구지뽕을 이용한 상황버섯 재배방법 및 그에 따른 상황버섯
KR100218897B1 (ko) 상황균사체 배양용 배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상황균사체의 배양방법
KR20010110316A (ko) 코르다이세프스 큐슈엔시스 와이 코바야시의 인공 배양방법 및 그의 포자낭과의 용도
KR20020096575A (ko) 고함량의 미량무기물을 함유하는 버섯 균사체의 생산방법및 그 산물
KR20180120125A (ko) 복령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KR20030029423A (ko)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 균사체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600164B1 (ko) 목질 액체배지와 led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균사체의 함량을 증대하는 배양방법
KR20180125354A (ko) 천연 복합 버섯 성분이 함유된 아토피 개선 연고 및 로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