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630B1 -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630B1
KR101549630B1 KR1020130104071A KR20130104071A KR101549630B1 KR 101549630 B1 KR101549630 B1 KR 101549630B1 KR 1020130104071 A KR1020130104071 A KR 1020130104071A KR 20130104071 A KR20130104071 A KR 20130104071A KR 101549630 B1 KR101549630 B1 KR 101549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fermented product
fermented
product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905A (ko
Inventor
조주현
박인재
최구희
Original Assignee
(주)휴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럼 filed Critical (주)휴럼
Priority to KR102013010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6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4Ganoder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2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fung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오가피-버섯 발효물(발효물 소재)를 이용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건강기능식품의 소재(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과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과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 등의 발효물 소재를 2종 이상 혼합하여 간 기능 개선 효과의 기능성을 증대시킨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오가피를 천연물배지로 하고, 이 천연물배지에 버섯종균을 접종하여 획득되는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가피 천연물배지에 복수의 버섯종균을 각각 접종하여 각각의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획득하고, 이 획득된 복수의 오가피-버섯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추출되는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게 된다.

Description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본 발명은 다양한 오가피-버섯 발효물(발효물 소재)를 이용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건강기능식품의 소재(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과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과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 등의 발효물 소재를 2종 이상 혼합하여 간 기능 개선 효과의 기능성을 증대시킨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가피는 잎이 다섯 개로 갈라져 있으며 하나의 가지에 다섯 개의 잎이 나는 것이 좋다 하여 오가(五佳)라고 하였다가 지금의 오가(五加)로 바뀌었다고 하며,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다.
이러한 오가피는 간과 신장의 기운을 보하여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므로 사지마비, 구련, 허리와 무릎의 연약증상, 하지무력감, 골절상, 타박상, 부종 등에 쓰이며, 약리작용은 면역증강, 항산화, 항피로, 항고온, 항자극작용, 내분비기능조절, 혈압조절, 항방사능, 해독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약리작용에 의하여 오가피를 이용한 다양한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KR)등록특허 제399374호의 오가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장기 뼈 형성 촉진 및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KR)공개특허번호 제2003-86749호의 가시오가피의 성분이 함유된 버섯 및 이의 제조방법과, (KR)공개특허번호 제2004-23122호의 가시오가피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KR)공개특허번호 제2002-93672호의 한방타조.오가피 추축액을 주제로한 건강식품과, (KR)등록특허 제605292호의 신규한 오가피 및 오가피 열매, 가시오가피 다당체,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과, (KR)등록특허 제463984호의 가시오가피 엑기스를 주원료로한 자양음료의 제조방법 및 (KR)공개특허번호 제2005-100890호의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등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는 오가피를 이용한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발명자)도 오가피를 천연기질로 이용하여 발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KR)특허등록 제1192452호 간 기능 개선용 오가피-버섯 발효물과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제제와 (KR)특허등록 제1013527호 오가피-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포함하는 위염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과 그로부터 추출된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염예방 및 치료용 약제에 대한 기술을 확보하였다. 상기 특허에는 오가피를 천연기질로 하여 영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상황버섯 등 버섯균을 이용하여 오가피-버섯발효물을 획득하는 방법이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 등 각각의 발효물이 간 기능개선효과와 위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소재에 대한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출원인은 오가피를 이용한 발효소재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기존 발명자들과 차별성을 확보하였으며, 그 기술을 이용하여 얻어진 소재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과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 및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 등의 각각의 발효물 소재를 2종 이상 혼합하되 조성비를 달리하여 기존의 각각의 소재보다 간 기능 개선 분야의 기능성이 증대된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KR) 특허등록 제1192452호 (KR) 특허등록 제1013527호
본 발명에서는 오가피를 천연물배지로 한 다양한 버섯균을 발효시켜 얻어진 각각의 오가피-버섯 발효물 소재를 최적 혼합비율을 확립하여 각각의 발효물소재보다 그 기능성이 증대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오가피를 천연물배지로 하고, 이 천연물배지에 버섯종균을 접종하여 획득되는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가피 천연물배지에 복수의 버섯종균을 각각 접종하여 각각의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획득하고, 이 획득된 복수의 오가피-버섯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추출되는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섯종균은 영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상황버섯을 사용하며,
상기 오가피-버섯 발효물은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 및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이다.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과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오가피-버섯 혼합발효물은 중량대비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 40~60중량과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 60~40중량으로 이루어진다.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과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오가피-버섯 혼합발효물은 중량대비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 85~65중량와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 15~35중량으로 이루어진다.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과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오가피-버섯 혼합발효물은 중량대비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 1~25중량와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 75~99중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오가피를 배지(기질)로 하고, 이 천연물의 (오가피)배지에 버섯종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오가피-버섯 발효물은 숙취해소 및 관능적인 측면에서 우수하여 식품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 기능개선에 탁월한 효능이 있어 의약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오가피-버섯 발효물로부터 추출되는 추출물은 오가피 추출물이 가지는 강한 맛에 비하여 부드러운 특징을 가지고 있어 추출물을 직접 음료로 제품화되어지는 식품에 이용할 경우 그 활용도 및 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오가피-버섯 발효물은 다양한 버섯 종균을 사용으로 성분과 효능면에서 조금씩 상이한 다양한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 다양한 오가피-버섯 발효물(소재)를 적정한 혼합비로 혼합되는 오가피-버섯 혼합발효물의 경우에는 본연의 오가피-버섯 발효물이 가지는 기능성보다 우수한 기능성을 가짐으로써 간 기능 개선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오가피-버섯 발효물과 이들을 혼합한 오가피-버섯 혼합발효물에 따른 간기능 개선효과를 측정한 ALT 억제효율표(%)
도 2는 다양한 오가피-버섯 발효물과 이들을 혼합한 오가피-버섯 혼합발효물에 따른 간기능 개선효과를 측정한 AST 억제효율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오가피로 이루어지는 오가피 천연물배지에 버섯 종균을 접종/발효시켜 획득되는 오가피-버섯 발효물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며, 이와 같이 획득되어지는 오가피-버섯 발효물은 물을 용매로 추출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한 버섯종균은 영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및 상황버섯을 사용하였다.
1. 오가피-버섯 발효물의 제조.
첫째, 오가피(본 발명에서는 가시오가피를 사용하였으며, 이하 '오가피'라 칭함)를 이용한 천연물배지는, 오가피 가지와 잎을 사용하였으며, 수분의 함량을 63%로 조절한 다음 115~125℃에서 60분간 멸균한 후 상온으로 급랭하여 오가피 천연물배지(기질)를 준비하였다.
상기 오가피를 이용한 천연물배지는 오가피의 가지와 잎의 비율을 달리할 수 있으며, 영지버섯 종균을 접종할 천연물배지의 경우 중량대비 가지와 잎의 비율은 8(가지):2(잎)로 하였으며, 노루궁뎅이버섯과 상황버섯 종균을 접종할 천연물배지의 경우 중량대비 가지와 잎의 비율은 5(가지):5(잎)로 하였다.
이 오가피의 가지와 잎의 비율은 다수의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비율이다.
둘째, 24~28℃에서 4~5일간 배양하여 오가피를 이용한 천연물배지에 접종할 버섯의 종균을 준비하였다.
보통 노루궁뎅이버섯은 24℃에서 5일간 배양하며, 영지버섯은 28℃에서 4일간 배양하며, 상황버섯은 28℃에서 5일간 배양한다.
셋째, 준비된 오가피 천연물배지에 기 배양된 버섯 종균을 9%를 접종하였다.
넷째, 버섯 종균을 접종한 오가피 천연물배지를 발효시켜 수득한다.
영지버섯을 접종한 오가피 천연물배지(중량대비 줄기 80중량% 대 잎 20중량%)는 28℃에서 14일간 배양하여 발효물을 수득하였으며,
노루궁뎅이버섯을 접종한 오가피 천연물배지(중량대비 줄기 50중량% 대 잎 50중량%)는 24℃에서 40일간 배양하여 발효물을 수득하였으며,
상황버섯을 접종한 오가피 천연물배지(중량대비 줄기 50중량% 대 잎 50중량%)는 28℃에서 30일간 배양하여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2. 오가피-버섯 발효물의 추출물 제조방법
열수추출방법으로 각각의 오가피-버섯 발효물 중량의 3~5배(건조 발효물인 경우 10배)를 넣어 가열 추출 및 회수하는 작업을 2회 반복하여 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거쳐 시료(추출물)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오가피를 이용한 천연물배지에 다양한 버섯 종균을 접종시켜 획득되는 다양한 오가피-버섯 발효물은 그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로 혼합되며, 그 혼합비는 오가피-버섯 발효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즉, 본 발명인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오가피 천연물배지에 복수의 버섯종균을 각각 접종하여 각각의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획득하고, 이 획득된 복수의 오가피-버섯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추출되는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버섯종균은 영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상황버섯을 사용하며,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 및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을 획득한다.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과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오가피-버섯 혼합발효물은 중량대비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 40~60중량과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 60~40중량으로 이루어지며,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과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오가피-버섯 혼합발효물은 중량대비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 85~65중량와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 15~35중량으로 이루어지며,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과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오가피-버섯 혼합발효물은 중량대비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 1~25중량와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 75~99중량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고자한다.
실시 예 1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 제조
1) 오가피 천연물배지 준비단계 :
버섯종균의 최적배양조건에 적합한 천연물배지 준비 및 수분조절
- 영지버섯의 종균을 접종할 천연배지는 오가피 가지와 잎의 비율을 중량대비 8:2로 혼합한 천연물배지(8:2)를 준비하고, 노루궁뎅이버섯과 상황버섯의 종균을 접종할 배지는 오가피 가지와 잎의 비율을 중량대비 5:5로 혼합된 천연물배지(5:5)를 준비한 다음 각각의 오가피 천연물배지의 수분함량을 각각 63%로 조절하되, 2단계에 걸쳐서 수분조절 및 멸균을 실시한다.
1단계 - 1차적으로 수분을 50%로 내외로 조절한 다음 1차 멸균(120℃, 20분)을 한다. 이는 멸균은 물론이고 천연물배지에 수분흡수가 잘되게 도와준다.
2단계 - 2차로 최종수분함량이 63%가 되게 조절한 다음 배양용기에 넣어서 멸균(120℃, 40분)을 실시한 다음 실온까지 급랭하여 각각의 천연배지를 준비한다.
오가피 천연물배지의 기질이 세절된 가지로 단계적인 멸균을 실시할 경우, 가지 내에 충분한 수분공급이 이루어지며, 또한 천연배지의 멸균시간 단축과 오염률을 줄일 수가 있다.
2) 종균준비 및 접종단계 :
상기 준비한 (오가피) 천연물배지에 접종할 영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및 상황버섯의 종균을 준비 및 접종하는 단계로, 영지버섯종균은 28℃에서 4일간 배양하여 준비된 오가피 천연물배지(8:2)에 9%를 접종한다. 또한 노루궁뎅이버섯종균은 24℃에서 5일간 배양하여 준비된 오가피 천연물배지(5:5)에 9%를 접종한다. 그리고 상황버섯의 종균은 28℃에서 5일간 배양하여 준비된 오가피 천연물배지(5:5)에 9%를 접종한다.
3) 발효 및 수득단계 :
① 영지버섯 종균을 접종한 오가피 천연물배지(8:2)는 온도 28℃, 습도 60% 조건에서 14일간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한다.
② 노루궁뎅이버섯 종균을 접종한 오가피 천연물배지(5:5)는 온도 24℃, 습도 60% 조건에서 40일간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한다.
③ 상황버섯 종균을 접종한 오가피 천연물배지(5:5)는 온도 28℃, 습도 60% 조건에서 30일간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한다.
실시 예 2
오가피-버섯 발효물 추출물 제조
① 오가피-버섯 발효물 중량의 3-6배(발효물이 건조물일 경우, 10배수) 물을 첨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1차 추출을 하고, 같은 방법으로 4시간 동안 2차 추출한다.
② 1차 및 2차 추출액을 혼합한 후 여과한 다음 농축기로 10 brix 정도로 농축한다.
③ 진공냉동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sample화 한다.
실험 1
오가피-버섯발효물의 혼합조성에 따른 간기능 개선효과 확인(1) : ALT 측정실험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과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 및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인 각각의 오가피-버섯발효물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최고의 ALT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조성비를 확인한다. 양성대조군으로 실리마린(silymarin)를 사용한다.
실험농도는 1.000 mg/ml, 0.500 mg/ml, 0.250 mg/ml, 0.125 mg/ml, 0.063 mg/ml 등 5 농도에서 ALT 측정실험을 하였다.
이 중에서 거의 공통적으로 0.250 mg/ml 농도에서 ALT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가장 우수하여 아래의 [표 1]로 나타내었다.
세포 독성이 유도된 간세포의 배양액을 취해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치(흡광도)를 계산식에 따라 unit/L로 수치를 계산하고, 음성대조군의 활성을 100% 활성으로 하여 CCl4에 의한 간세포의 독성유도 시 ALT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수치화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ALT 억제효율(%) 비 고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가) 38.5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나) 44.3
오가피-상황버섯발효물(다) 56.9
혼합 발효물 1 52.3
혼합 발효물 2 51.5
혼합 발효물 3 76.6
혼합 발효물 4 55.6
혼합 발효물 5 42.3
혼합 발효물 6 48.5
혼합 발효물 7 53.5
혼합 발효물 8 70.7
혼합 발효물 9 66.5
혼합 발효물 10 58.4
실리마린(silymarin) 70.0
혼합 발효물 1은 (가)+(나)+(다)의 혼합물(중량대비 33.3:33.3:33.3)
혼합 발효물 2는 (가)+(나)의 혼합물(중량대비 75:25)
혼합 발효물 3은 (가)+(나)의 혼합물(중량대비 50:50)
혼합 발효물 4는 (가)+(나)의 혼합물(중량대비 25:75)
혼합 발효물 5는 (가)+(다)의 혼합물(중량대비 75:25)
혼합 발효물 6은 (가)+(다)의 혼합물(중량대비 50:50)
혼합 발효물 7은 (가)+(다)의 혼합물(중량대비 25:75)
혼합 발효물 8은 (나)+(다)의 혼합물(중량대비 75:25)
혼합 발효물 9는 (나)+(다)의 혼합물(중량대비 50:50)
혼합 발효물 10은 (나)+(다)의 혼합물(중량대비 25:75)
실험 2
오가피-버섯발효물의 혼합조성에 따른 간기능 개선효과 확인(1) : AST 측정실험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과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 및 오가피-상황버섯발효물인 각각의 오가피-버섯발효물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최고의 AST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조성비를 확인한다. 양성대조군으로 실리마린(silymarin)를 사용하였다.
실험농도는 1.000 mg/ml, 0.500 mg/ml, 0.250 mg/ml, 0.125 mg/ml, 0.063 mg/ml 등 5 농도에서 AST 측정실험을 하였다.
이 중에서 거의 공통적으로 0.250 mg/ml 농도에서 AST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가장 우수하여 아래의 [표 2]로 나타내었으며, 실리마린의 경우 0.500 mg/ml 농도에서 가장 우수하여 0.250 mg/ml 농도와 같이 표기하였다.
세포 독성이 유도된 간세포의 배양액을 취해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치(흡광도)를 계산식에 따라 unit/L로 수치를 계산하고, 음성대조군의 활성을 100% 활성으로 하여 CCl4에 의한 간세포의 독성유도시 AST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수치화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AST 억제효율(%) 비 고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가) 59.5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나) 82.3
오가피-상황버섯발효물(다) 78.9
혼합 발효물 1 68.5
혼합 발효물 2 81.7
혼합 발효물 3 91.6
혼합 발효물 4 82.6
혼합 발효물 5 61.3
혼합 발효물 6 67.5
혼합 발효물 7 73.5
혼합 발효물 8 90.7
혼합 발효물 9 84.5
혼합 발효물 10 76.4
실리마린(silymarin) 33.3 0.500mg/ml 농도:55.5
혼합 발효물 1은 (가)+(나)+(다)의 혼합물(중량대비 33.3:33.3:33.3)
혼합 발효물 2는 (가)+(나)의 혼합물(중량대비 75:25)
혼합 발효물 3은 (가)+(나)의 혼합물(중량대비 50:50)
혼합 발효물 4는 (가)+(나)의 혼합물(중량대비 25:75)
혼합 발효물 5는 (가)+(다)의 혼합물(중량대비 75:25)
혼합 발효물 6은 (가)+(다)의 혼합물(중량대비 50:50)
혼합 발효물 7은 (가)+(다)의 혼합물(중량대비 25:75)
혼합 발효물 8은 (나)+(다)의 혼합물(중량대비 75:25)
혼합 발효물 9는 (나)+(다)의 혼합물(중량대비 50:50)
혼합 발효물 10은 (나)+(다)의 혼합물(중량대비 25:75)
상기 실험한 ALT, AST 측정실험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염, 간 경화증 따위에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간 질환 치료제 중 하나인 실리마린(silymarin)에 비하여 월등히 좋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험에서와 같이 오가피로 이루어지는 오가피 천연물배지로 하여 버섯종균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회득되는 오가피 발효물은 간 질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며,
실험 1과 2에서와 같이 접종되는 버섯 종균에 따라 획득되는 다양한 오가피-버섯 발효물은 그 발효물의 종류와 혼합비에 따라 효능이 상이함을 확인하는 한편, 그 효능이 상승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다양한 오가피-버섯 발효물 중 선택되는 복수의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할 경우 그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기능성이 개선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획득할 수 있다.

Claims (5)

  1. 오가피를 천연물배지로 하고, 이 천연물배지에 버섯종균을 접종하여 획득되는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가피 천연물배지에 영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의 버섯종균을 각각 접종하여 각각의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획득하고,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과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을 조합하여 오가피-버섯 혼합발효물을 형성하되, 상기 오가피-버섯 혼합발효물은 중량대비 오가피-영지버섯 발효물 40~60중량과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 60~40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2. 오가피를 천연물배지로 하고, 이 천연물배지에 버섯종균을 접종하여 획득되는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가피 천연물배지에 노루궁뎅이버섯, 상황버섯의 버섯종균을 각각 접종하여 각각의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획득하고,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과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을 조합하여 오가피-버섯 혼합발효물을 형성하되, 상기 오가피-버섯 혼합발효물은 중량대비 오가피-노루궁뎅이버섯 발효물 85~65중량과 오가피-상황버섯 발효물 15~35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104071A 2013-08-30 2013-08-30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549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071A KR101549630B1 (ko) 2013-08-30 2013-08-30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071A KR101549630B1 (ko) 2013-08-30 2013-08-30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905A KR20150025905A (ko) 2015-03-11
KR101549630B1 true KR101549630B1 (ko) 2015-09-03

Family

ID=5302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071A KR101549630B1 (ko) 2013-08-30 2013-08-30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6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435A (ko) 2020-06-18 2021-12-27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493496B1 (ko) 2022-09-16 2023-02-01 최윤서 천연물 유래의 간 손상 완화 및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435A (ko) 2020-06-18 2021-12-27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493496B1 (ko) 2022-09-16 2023-02-01 최윤서 천연물 유래의 간 손상 완화 및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905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245B1 (ko) 발효 현미 미강을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 및 그 제조방법
JP2017042125A (ja) 多種多様な効能を有する蛹虫草及びその生産方法
KR20130057507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KR101799424B1 (ko) 황기 발효산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N106070779A (zh) 一种虫草菌丝发酵茶及其加工方法
KR101549630B1 (ko) 오가피-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090063929A (ko) 인진쑥 추출물에서 발아된 발아곡류를 천연배지로 이용한버섯균사체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용한 기능성식품
KR20070104293A (ko) 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1189A (ko) 발효 산양삼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3564A (ko) 영지발효삼 음료 제조방법과 그 음료
KR101892615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2-6-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329412B1 (ko) 버섯을 이용한 김치속 양념 조미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김치속 양념 조미액
KR20050014296A (ko) 칼슘 및 셀레늄원이 강화된 버섯의 재배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재배된 버섯
KR100824035B1 (ko) 녹차, 민들레 및 동충하초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김치발효균주를 제어하는 방법
KR101358944B1 (ko) 오가피-버섯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169156B1 (ko) 아스퍼질러스 시로우사미(Aspergillus shirousamii)를 이용하여 도라지의 플라티코시드 E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KR101385234B1 (ko) 간기능을 위한 오가피추출물을 천연배지로 하여 획득한 오가피-버섯 발효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235205B1 (ko) 인진쑥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액체 배양방법 및 그 방법으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물
KR101263567B1 (ko) 한방발효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한방발효 조성물
KR20170014238A (ko) 발효 숙성시킨 흑마늘이 포함된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285190A (zh) 一种发酵型茶叶的制备方法
KR101755338B1 (ko) 2단 발효된 잎새버섯 자실체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암기능성 잎새버섯 자실체 발효물
KR102382778B1 (ko)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68460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8378A (ko)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표고버섯 재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