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369B1 -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체 - Google Patents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369B1
KR101234369B1 KR1020067009374A KR20067009374A KR101234369B1 KR 101234369 B1 KR101234369 B1 KR 101234369B1 KR 1020067009374 A KR1020067009374 A KR 1020067009374A KR 20067009374 A KR20067009374 A KR 20067009374A KR 101234369 B1 KR101234369 B1 KR 101234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itting groove
bit
bit fitting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322A (ko
Inventor
카츠유키 토츠
Original Assignee
카츠유키 토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츠유키 토츠 filed Critical 카츠유키 토츠
Publication of KR20060117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3/00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44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 B21K1/46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with heads
    • B21K1/463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with heads with recessed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01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 B25B15/004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
    • B25B15/005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 with cross- or star-shaped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3/00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 F16B23/0007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recess or the protrusion engaging the tool

Abstract

나사 헤드부에 Y자형의 비트 끼워 맞춤 홈을 형성하는 나사로 하여, 이에 대응하는 드라이버 비트와의 끼워 맞춤 조작이 용이하고, 캠 아웃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토크 전달을 원활하면서 충분하게 하여 강도적으로도 안정화할 수 있도록 비트 끼워 맞춤 홈을 형성한 강도 안정형 나사를 얻는 동시에, 이 나사에 가장 적합한 드라이버 비트와의 조합 및 나사 제조용 헤더 펀치에 관한 것이다. 나사 헤드부의 중심부로부터 소요의 반경 거리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을 마련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홈의 홈 폭을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의 폭 치수와, 각각 거의 등간격이 되게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외주 단부벽면을 개구연부로부터 소요 깊이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 수직 하연부로부터 나사 목부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시켜, 그 교차 중심부를 거의 원뿔형의 바닥면으로 형성한 강도 안정형 나사를 얻을 수 있다.
강도 안정형 나사, 나사 헤드부, 나사 목부, 비트 끼워 맞춤 홈, 하연부, 바닥면

Description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체 {COMBINATION OF SCREW WITH STABILIZED STRENGTH AND DRIVER BIT}
본 발명은 나사 헤드부에 형성하는 비트 끼워 맞춤 홈을 원주 방향으로 3 등분하여 그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각각 Y자형으로 연장하는 3방 홈을 형성한 나사와, 이에 대응하는 3개의 선단부를 구비하여 상기 나사에 대해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드라이버 비트와의 조합체와, 또한 상기 나사 제조용의 헤더 펀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나사의 부착에 의해 각종의 부품의 결합이나 조립이 행해져 완성되는 장치에 있어서, 제3자에 의해 불필요하게 나사가 풀어진 경우, 장치의 분해 내지 부품의 분리가 행해져 조정 부위나 위험 부위가 노출됨으로써, 장치의 기능을 원상으로 복귀시키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또는 구급 사고 등의 발생에 도달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는 플러스 드라이버나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나사 회전 공구)에 의해서는, 간단히 나사 체결이나 제거 작업을 행할 수 없는 손상 방지 나사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나사의 헤드부에 3 갈래 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의 양측이 깊게 됨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결합면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홈의 단부면을 중심에 근접함에 따라 깊어지도록 중심선에 대해 소정 각도(35°보다 작은 각도)만큼 경사진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나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즉, 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나사는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나사에 결합하는 드라이버 비트도 근원이 두꺼워 선단부가 얇은 형상이 되기 때문에, 드라이버 비트의 블레이드가 파손되지 않게 되어 정확한 체결 토크가 얻어지는 동시에, 나사의 홈은 폭이 넓으므로, 홈과 드라이버 비트의 블레이드와의 결합이 비교적 용이하고, 또한 나사의 홈을 압조 성형하는 펀치의 형상도 드라이버 비트의 선단부 형상과 마찬가지이므로, 펀치의 수명도 길어지는 등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나사의 정상부에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방사 방향으로 Y자형의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홈의 교차하는 교점에 이를 중심으로 하는 원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홈의 양측벽을 거의 바닥면으로부터 직립시키고, 한편 서로 인접하는 홈의 측벽의 상기 교점측의 단부를 직선형의 가이드벽에 의해 결합하고, 또한 상기 홈의 바닥면을 중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얕아지도록 경사각이 심한 사면으로 한 "손상 방지용 나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즉, 본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나사는 원뿔 구멍으로의 돌출 부분이 없어지고, 전용의 드라이버 비트를 사용하지 않고 마이너스 드라이버 비트를 사용하여 나사를 풀리게 해도 그 선단부가 홈에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풀릴 수 없는 효과를 갖고, 또 G 치수(3 방향의 홈의 바닥면과 원뿔 구멍과의 교차선으로 형성되는 궤적 원의 직경)와 B 치 수(상기 궤적 원 내에 서로 인접하는 홈의 측벽을 연결하는 원호면의 내접원의 직경)가 거의 같은 치수가 되기 때문에, 드라이버 비트의 블레이드가 체결시에 파괴되는 일이 없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나사 및 상기 나사를 체결하는 나사 체결 공구의 한쪽 및 다른 쪽에 설치되는 것이며, 각각 중심선 주위 120°간격으로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3개의 토크 전달부를 갖는 3 갈래 형상을 이루고 있고, 서로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 구멍 및 끼워 맞춤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나사 체결 구조에 있어서, (1) 상기 토크 전달부는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돌출 방향과 평행한 한 쌍의 직선형의 측부를 갖는 동시에, (2) 인접하는 토크 전달부는, 각각 일정한 곡률 반경(R)의 원호부를 통해 순조롭게 접속되어 있고, (3) 상기 3개의 토크 전달부의 선단부의 외접원의 직경을 g, 상기 3개의 원호부의 내접원의 직경을 b로 하였을 때, (4) 식 0.5 g ≤ b ≤ 0.6 g과, (5) 식 0.5 b ≤ R ≤ 0.6 b를, 모두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체결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즉, 본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나사 체결 구조는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끼워 맞춤 볼록부의 파손 및 끼워 맞춤 구멍의 변형이 모두 억제되고, 보다 높은 체결 토크로 나사를 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캠 아웃 현상이 생기기 어려운 "나사" 및 드라이버 비트를 얻기 위해, 드라이버 비트의 블레이드부를 끼워 맞추는 블레이드 결합부를 구비한 회전부를 갖는 나사에 있어서, 각 블레이드 결합부 중 적어도 한 쪽 혹은 양쪽의 측벽면의 선단부측의 부분을, 상기 측벽면의 기단부측의 부분에 대해, 반대측의 측벽면으로부 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와, 이 나사의 상기 회전부의 블레이드 결합부에 적합한 블레이드부를 구비한 드라이버 비트가, 각각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4 참조). 즉, 본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나사 및 드라이버 비트는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나사에 대해 드라이버 비트가 기울기 어렵게 되고 또한 블레이드부의 굴곡한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한 블레이드 결합부의 측벽면이 파고들어가므로, 상기 측면이 상기 측벽면을 확실하게 파악하고, 블레이드부와 블레이드 결합부와의 걸림이 좋아지기 때문에, 드라이버 비트가 캠 아웃하기 어렵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비교적 얇은 판형의 워크에 체결할 때에, 체결시의 드라이버 비트의 추진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전용의 드라이버 비트로만 체결 및 풀림 작업을 할 수 없게 한 얇은 헤드가 달린 나사이며, (1) 결합 홈을 갖는 헤드부를 비교적 얇게 형성하고, (2) 이 헤드부의 시트면과 다리부의 나사산 사이에 헤드부측이 크고 산측이 작은 테이퍼 형상의 보강부를 형성하고, (3) 게다가 상기 결합 홈 중 적어도 나사 체결 방향 회전시에 드라이버 비트가 결합하는 벽면을 나사의 축선에 거의 평행한 평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얇은 헤드가 달린 나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5 참조). 즉, 본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얇은 헤드가 달린 나사는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소형이면서 두께가 있는 비교적 얇은 제품에 사용하는 나사로서, 원래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 압조 가공에 의해 헤드부를 얇게 하는 가공에 있어서도, 보강부에 의해 결합 홈 사이의 머리부의 두께가 얇게 되지 않으므로, 나사의 머리 분리 현상이 생기는 일 없이, 나사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정밀 전자 기기의 조립에 사용해도, 전용의 드라이버 비트가 아니면 풀리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잘못된 수리에 따른 예상할 수 없는 고장이 생길 우려도 감소하고, 그 방지책으로서도 기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4-6240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10-30625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제3026965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30526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80324호 공보
전술한 종래의 나사 헤드부에 Y자형의 비트 끼워 맞춤 홈을 형성한 각종의 나사는, 일반적으로 시판되어 있는 드라이버 비트에서는 나사의 체결 장치 부착이나 제거를 곤란하게 하는 손상 방지 나사로서의 용도를 갖는 것이며, 종래가 일반적인 나사와 드라이버의 편성과 비교하여, 나사 헤드부의 결합부 및 이에 결합하는 드라이버의 비트 선단부의 각각의 형상 구성에 있어서, 특수한 형상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이러한 나사 및 드라이버 비트의 제조에 있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것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도 증대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특히, 나사 헤드부에 형성하는 비트 끼워 맞춤 홈에 대해서는, Y자형으로 성형하는 경우, 드라이버 비트의 캠 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각 홈 폭을 가늘게 형성하는 경향이 있고, 이로 인해 대응하는 드라이버 비트의 선단부의 형상에 대해서도, 상기 각 홈에 끼워 맞추는 칼날 부재의 두께도 얇게 되고, 강도가 저감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홈 폭을 굵게 형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드라이버 비트의 선단부의 형상을 강화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 드라이버 비트의 캠 아웃 현상이 생기기 쉽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나사 및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은, 특수한 용도로 한정되어 있다.
그런데, 드라이버 비트의 캠 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선단부측 홈부의 측벽면을 굴곡시킨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이에 대응하는 드라이버 비트의 선단부의 형상도 각 주연부를 굴곡시킨 형상으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의 나사의 비트 끼워 맞춤 홈의 형상 및 드라이버 비트의 선단 칼날부의 형상이, 각각으로부터 복잡해지기 때문에, 제조에 관한 번잡화와 함께 제조 비용이 증대한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나사 헤드부에 Y자형의 비트 끼워 맞춤 홈을 형성한 나사를 범용의 나사로서 적용할 수 있게, 그 형상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캠 아웃 현상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대응하는 드라이버 비트의 형상 구조도 간략화하고, 강도적으로도 안정화하여 제조가 용이화와 함께 제조 비용도 저감할 수 있는 나사 및 이에 적합한 드라이버 비트를 얻기 위해, 여러 가지 검토 및 시험 제작을 거듭한 결과,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는 강도 안정형 나사 및 이에 적합한 드라이버 비트의 개발에 성공하였다.
즉, 본 발명자는 나사 헤드부에 Y자형의 비트 끼워 맞춤 홈을 형성하는 나사에 있어서, (1) 헤드부의 중심부로부터 소요의 반경 거리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을 마련하고, (2)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홈의 홈 폭을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의 폭 치수와, 각각 거의 등간격이 되게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하고, (3)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외주 단부벽면을 개구연부로부터 소요 깊이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 수직 하연부로부터 나사 목부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시켜, 그 교차 중심부를 거의 원뿔형의 바닥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비트 끼워 맞춤 홈이 종래의 십자 홈과 비교하여 홈수가 저감되므로, 이에 대응하는 드라이버 비트와의 끼워 맞춤 조작이 용이해지고, 캠 아웃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토크 전달도 원활하면서 충분히 하여 강도적으로도 안정화할 수 있고, 게다가 제조가 용이한 강도 안정형 나사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밝혀냈다.
또, 상기 강도 안정형 나사에 있어서,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를 형성하는 나사 헤드부의 표면을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 지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를 형성함으로써, 비트 끼워 맞춤 홈에 대한 드라이버 비트의 선단부가 적정한 끼워 맞춤 조작을 보다 원활하면서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강도 안정형 나사에 대해, 그 헤드부에 마련한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되어 Y자형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홈에 끼워 맞추는, 거의 직각 내지 둔각 형상의 단연부를 갖는 블레이드부를 각각 선단 칼날부에 마련하고, 상기 각 블레이드부의 선단부에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변위부에 적합한 경사부를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드라이버 비트의 중심축부에 있어서 원뿔형으로 교차 결합하는 돌출부를 형성한 드라이버 비트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강도 안정형 나사에 가장 적합한 드라이버 비트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강도 안정형 나사에 대해, 나사 헤드부에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되어 Y자형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외주 단부벽면을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기 위한 수직 단부벽부를 갖는 돌기 부재를 각각 마련하고, 상기 돌기 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원뿔형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원뿔 돌기부를 마련한 헤더 펀치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강도 안정형 나사의 제조에 가장 적합한 헤더 펀치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 헤드부에 Y자형의 비트 끼워 맞춤 홈을 형성하는 나사로서, 이에 대응하는 드라이버 비트와의 끼워 맞춤 조작이 용이하고, 캠 아웃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토크 전달을 원활하면서 충분히 하여 강도적으로도 안정화할 수 있게 비트 끼워 맞춤 홈을 형성한 강도 안정형 나사를 얻는 동시에, 이 나사에 가장 적합한 드라이버 비트와의 조합 및 강도 안정형 나사 제조용 헤더 펀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는 나사 헤드부의 중심부로부터 소요의 반경 거리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을 마련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홈의 홈 폭을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의 폭 치수와, 각각 거의 등간격이 되게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외주 단부벽면을 개구연부로부터 소요 깊이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 수직 하연부로부터 나사 목부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시켜, 그 교차 중심부를 거의 원뿔형의 바닥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는 나사 헤드부의 중심부로부터 소요의 반경 거리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을 마련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홈의 홈 폭을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의 폭 치수와, 각각 거의 등간격이 되게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외주 단부벽면에 대해, 개구연부측을 소요 각도로 확대 개방 형성하는 동시에 소요 깊이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고, 그 수직 하연부로부터 나사 목부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시켜, 그 교차 중심부를 거의 원뿔형의 바닥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을 마련한 나사 헤드부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홈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부는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에 있어서의 각 홈에 대해, 좌우 대칭적으로 둔각으로 교차하는 각각 평면형의 측벽면에 의해 인접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는,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을, 각 외주 단부벽면의 수직 하연부로부터 나사 목부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경사 변위하는 단차부를 각각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는,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은, 상기 각 경사 변위하는 단차부의 교차 중심부를 거의 원뿔형의 바닥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는,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부를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에 있어서의 각 홈에 대해, 좌우 대칭적인 만곡형의 측벽면에 의해 인접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는,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부를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에 있어서의 각 홈에 대해, 좌우 대칭적으로 둔각으로 교차하는 각각 평면형의 측벽상에 의해 인접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을 마련한 나사 헤드부를 냄비형 또는 접시형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구성한 것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는, 나사 헤드부의 중심부로부터 소요의 반경 거리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을 마련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홈의 홈 폭을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의 폭 치수와, 각각 거의 등간격이 되게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외주 단부벽면을 개구연부로부터 소요 깊이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 수직 하연부로부터 나사 목부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시켜, 그 교차 중심부를 거의 원형 오목부의 바닥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를 형성하는 나사 헤드부의 표면을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 지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는, 나사 헤드부의 중심부로부터 소요의 반경 거리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을 마련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홈의 홈 폭을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의 폭 치수와, 각각 거의 등간격이 되게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외주 단부벽면에 대해, 개구연부측을 소요 각도로 확대 개방 형성하는 동시에 소요 깊이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고, 그 수직 하연부로부터 나사 목부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시켜, 그 교차 중심부를 거의 원형 오목부의 바닥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를 형성하는 나사 헤드부의 표면을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 지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는,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를 형성하는 나사 헤드부의 표면에 마련하는 경사면부를,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외주 단연부보다 내경측으로부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 지향하여 20°내지 50°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은 나사 헤드부의 중심부로부터 소요의 반경 거리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을 마련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홈의 홈 폭을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의 폭 치수와, 각각 거의 등간격이 되게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외주 단부벽면을 개구연부로부터 소요 깊이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 수직 하연부로부터 나사 목부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시켜, 그 교차 중심부를 거의 원뿔형의 바닥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안정형 나사와,
상기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에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되어 Y자형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홈에 끼워 맞추는 거의 직각 내지 둔각 형상의 단연부를 갖는 블레이드부를 각각 선단 칼날부에 마련하고, 상기 각 블레이드부의 선단부에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변위부에 적합한 경사부를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드라이버 비트의 중심축부에 있어서 원뿔형으로 교차 결합하는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비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은 나사 헤드부의 중심부로부터 소요의 반경 거리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을 마련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홈의 홈 폭을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의 폭 치수와, 각각 거의 등간격이 되게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외주 단부벽면에 대해, 개구연부측을 소요 각도로 확대 개방 형성하는 동시에 소요 깊이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고, 그 수직 하연부보다 나사 목부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시켜, 그 교차 중심부를 거의 원뿔형의 바닥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안정형 나사와,
상기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에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되어 Y자형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홈에 끼워 맞추는 거의 직각 내지 둔각 형상의 단연부를 갖는 블레이드부를 각각 선단 칼날부에 마련하고, 상기 각 블레이드부의 선단부에 상기 끼워 맞춤 홈의 변위부에 적합한 경사부를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드라이버 비트의 중심축부에 있어서 원뿔형으로 교차 결합하는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비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은 나사 헤드부의 중심부로부터 소요의 반경 거리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을 마련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홈의 홈 폭을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의 폭 치수와, 각각 거의 등간격이 되게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외주 단부벽면을 개구연부로부터 소요 깊이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 수직 하연부로부터 나사 목부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시켜, 그 교차 중심부를 거의 원형 오목부의 바닥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를 형성하는 나사 헤드부의 표면을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 지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안정형 나사와,
상기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에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되어 Y자형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홈에 끼워 맞추는 거의 직각 내지 둔각 형상의 단연부를 갖는 블레이드부를 각각 선단 칼날부에 마련하고, 상기 각 블레이드부의 선단부에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변위부에 적합한 경사부를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드라이버 비트의 중심축부에 있어서 원뿔형으로 교차 결합하는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비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5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은 나사 헤드부의 중심부로부터 소요의 반경 거리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을 마련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홈의 홈 폭을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의 폭 치수와, 각각 거의 등간격이 되게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외주 단부벽면에 대해, 개구연부측을 소요 각도로 확대 개방 형성하는 동시에 소요 깊이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고, 그 수직 하연부로부터 나사 목부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시켜, 그 교차 중심부를 거의 원형 오목부의 바닥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를 형성하는 나사 헤드부의 표면을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 지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안정형 나사와,
상기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에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되어 Y자형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홈에 끼워 맞추는 거의 직각 내지 둔각 형상의 단연부를 갖는 블레이드부를 각각 선단 칼날부에 마련하고, 상기 각 블레이드부의 선단부에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변위부에 적합한 경사부를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드라이버 비트의 중심축부에 있어서 원뿔형으로 교차 결합하는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비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6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은, 상기 강도 안정형 나사에는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에 있어서, 각 외주 단부벽면의 수직 하연부로부터 나사 목부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경사 변위하는 단차부를 각각 마련하고, 상기 각 경사 변위하는 단차부의 교차 중심부를 거의 원뿔형의 바닥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드라이버 비트에는 상기 각 블레이드부의 선단부에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경사 변위하는 단차부에 적합한 단차부를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드라이버 비트의 중심축부에 있어서 원뿔형으로 교차 결합하는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7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은, 상기 드라이버 비트를 그 선단 칼날부의 중심축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블레이드부의 블레이드 폭이 인접하는 각각 블레이드부 사이의 절결부의 폭 치수와, 각각 거의 등간격이 되도록 점차 확대 개방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8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를 제조하기 위한 헤더 펀치는, 나사 헤드부에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되어 Y자형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외주 단부벽면을 소요 깊이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기 위한 수직 단부벽부를 갖는 돌기 부재를 각각 마련하고, 상기 돌기 부재의 선단부에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원뿔형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원뿔 돌기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9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를 제조하기 위한 헤더 펀치는, 나사 헤드부에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되어 Y자형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각 외주 단부벽면에 대해, 개구연부측을 소요 각도로 확대 개방 형성하기 위한 경사 단부벽과, 소요 깊이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기 위한 수직 단부벽부를 갖는 돌기 부재를 각각 마련하고, 상기 돌기 부재의 선단부에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원뿔형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원뿔 돌기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0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를 제조하기 위한 헤더 펀치는, 상기 돌기 부재의 각각 기초부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돌기 부재 사이의 경계부에 대해,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 지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 융기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1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를 제조하기 위한 헤더 펀치는, 상기 돌기 부재의 선단부에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경사 변위하는 단차부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부를 각각 마련하는 동시에, 그 교차 중심부에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원뿔형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원뿔 돌기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1 내지 8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에 따르면, 나사 헤드부에 Y자형의 비트 끼워 맞춤 홈을 형성하는 나사에 있어서,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형상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이에 대응하는 드라이버 비트와의 끼워 맞춤 조작이 용이하고, 캠 아웃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토크 전달의 균등 분산화를 실현하여 원활하면서 충분히 하여 강도적으로도 안정화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9 내지 11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에 따르면,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형상 구조로부터, 이를 제조하기 위한 헤더 펀치의 강도도 높여지고, 이에 의해 이러한 종류의 나사의 양산화를 가능하게 하고, 게다가 드라이버 비트와의 끼워 맞춤 조작이 용이하므로, 리사이클 제품으로의 적용이나 보수 작업의 용이화 내지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어 범용의 나사로서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강도 안정형 나사에 따르면, 나사 헤드부에 있어서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에, 각각 경사면부를 마련함으로써, 비트 끼워 맞춤 홈에 대한 드라이버 비트의 선단부가 적정한 끼워 맞춤 조작을 원활하면서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 13 및 16, 17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에 따르면, 전술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비트 끼워 맞춤 홈의 형상 구조에 적합시켜 비트 선단부의 형상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강도 안정형 나사와의 결합을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나사 체결 작업에 있어서의 캠 아웃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작업성이 양호하게 하고, 게다가 비트 선단부의 강도를 안정화하여 안전성이 우수한 구조로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에 따르면, 드라이버 비트의 선단부가 강화됨으로써, 나사 체결 작업시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파손이나 변위를 없애어 나사에 대한 여러 가지의 장해나 캠 아웃 등의 부적합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어 범용의 체결구로서 유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 15 및 16, 17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에 따르면,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형상 구조로부터, 이에 적응하는 드라이버 비트의 선단부의 구조가 강화되고, 이에 의해 나사 체결 작업시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파손이나 변위(휘어짐 등)를 없애어 나사에 대한 여러 가지의 장해나 캠 아웃 등의 부적합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대마모성이 우수한 구조가 되기 때문에, 자동기로의 적용에 있어서 무보수가 되는 이점이 얻어지는 것뿐만 아니라, 범용의 체결구로서 유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8 내지 21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를 제조하기 위한 헤더 펀치에 따르면, 상기 강도 안정형 나사의 비트 끼워 맞춤 홈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강도적으로 안정화된 강도 안정형 나사를 용이하면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비트 끼워 맞춤 홈의 형상 구조에 적합시켜 펀치의 형상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펀치로서의 강도도 안정화하여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어, 이러한 종류의 나사의 양산화에 매우 유효하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제1 실시예로서 헤드부를 냄비형으로 구성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A-A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B-B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C-C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제2 실시예로서 헤드부를 냄비형으로 구성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 평면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A-A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7은 도5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B-B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8은 도5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C-C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제3 실시예로서 헤드부를 냄비형으로 구성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 평면도이다.
도10은 도9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A-A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11은 도9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B-B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12는 도9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C-C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제4 실시예로서 헤드부를 냄비형으로 구성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 평면도이다.
도14는 도13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A-A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15는 도13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B-B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3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C-C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제5 실시예로서 헤드부를 냄비형으로 구성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 평면도이다.
도18은 도17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A-A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19는 도17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B-B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0은 도17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C-C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1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와 적합한 비트 선단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 비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21의 (b)는 도21의 (a)에 도시한 드라이버 비트의 주요부 배면도이다.
도21의 (c)는 도21의 (a)에 도시한 드라이버 비트의 주요부 좌측면도이다.
도22는 도21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 비트의 확대 바닥면도이다.
도23은 도9에 도시한 제3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와, 도21의 (a) 내지 (c)에 도시한 드라이버 비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24는 도1 및 도13에 도시한 제1 실시예 또는 제4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와, 도21의 (a) 내지 (c)에 도시한 드라이버 비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25는 도5 및 도17에 도시한 제2 실시예 또는 제5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 사와, 도21의 (a) 내지 (c)에 도시한 드라이버 비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26은 도1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 및 비트 끼워 맞춤 홈을 성형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나사 제조용 헤더 펀치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27의 (a)는 도26의 A-A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7의 (b)는 도26의 B-B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7의 (c)는 도26의 C-C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8은 도5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 및 비트 끼워 맞춤 홈을 성형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나사 제조용 헤더 펀치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29의 (a)는 도28의 A-A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9의 (b)는 도28의 B-B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9의 (c)는 도28의 C-C선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30은 도13에 도시한 제4 실시예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 및 비트 끼워 맞춤 홈을 성형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나사 제조용 헤더 펀치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A, 10B, 10C, 10D, 10E : 강도 안정형 나사
10B' : 치수가 작은 강도 안정형 나사(10E)
10E' : 치수가 큰 강도 안정형 나사(10B)
10a : 나사 헤드부
10b : 나사 목부
12 : 비트 끼워 맞춤 홈
12A, 12B, 12C : 각 홈
12a : 개구연부
12a', 12b : 하연부
12c, 12d : 경사 변위하는 단차부
12c' : 변위부
13A, 13B, 13C : 경계부
14 : 외주 단부벽면의 수직면부
15 : 외주 단부벽면의 경사면부
16 : 바닥면
18 : 경사면부
19 : 평면형의 측벽면
19' : 만곡형의 측벽면
r : 반경
d : 홈 폭
d' : 경계부의 폭
α : 원뿔형의 바닥면의 각도
β : 외주 단부벽면의 경사면부의 각도
20, 20' : 드라이버 비트
20a : 선단 칼날부
21 : 드라이버 비트
22A, 22B, 22C : 블레이드부
23A, 23B, 23C : 절결부
22a : 단연부
22b : 수평면 내지 완경사면
24, 25 : 단차부
26 : 돌출부
r' : 반경
w : 블레이드 폭
w' : 절결부의 폭
30A, 30B, 30C : 헤더 펀치
32A, 32B, 32C : 돌기 부재
32a : 수직 단부벽
32b : 경사 단부벽
34 : 단차부
36 : 원뿔 돌기부
38 : 경사 융기부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 및 드라이버 비트와의 조합 및 강 도 안정형 나사 제조용 헤더 펀치에 관한 각각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강도 안정형 나사의 구성예 1)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도1 내지 도4에 있어서, 참조 부호 10A는 본 발명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를 가리키고, 이 나사(10A)의 헤드부(10a)는 냄비형으로 형성되고, 그 정상부 중앙에는 비트 끼워 맞춤 홈(12)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강도 안정형 나사(10A)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은 나사 헤드부(10a)의 중심부로부터 소요의 반경 거리(r)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중심부로부터 반경(r)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홈(12A, 12B, 12C)의 홈 폭(d)을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13A, 13B, 13C)의 폭 치수(d')와, 각각 거의 등간격(d = d')이 되게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한다(도1 참조).
또한,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외주 단부벽면(14)을 개구연부(12a)로부터 소요 깊이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나사 목부(10b)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경사 변위하는 단차부(12c, 12d)를 각각 마련한다. 또한, 상기 각 경사 단차부(12d)의 교차 중심부를 나사 축과 직각이 되는 수평면에 대해 약 15°내지 35°의 완경사 각도(α)로 이루어지는 거의 원 뿔형의 바닥면(16)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도2 참조). 그리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13A, 13B, 13C)는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중심부에 있어서의 각 홈에 대해, 좌우 대칭적으로 교차하는 각각 평면형의 측벽면에 의해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경계부(13A, 13B, 13C)는, 도9에 도시한 제3 실시예와 같이 좌우 대칭적인 만곡형의 측벽면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A)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대해, 이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후술하는 드라이버 비트(20)의 선단부와, 적정하게 끼워 맞추어 원활한 나사 체결 작업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A)에 있어서,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하방으로 경사 변위하는 단차부(12c, 12d)를 생략하고,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나사 목부(10b)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수직 하연부(12b)가 하방으로 변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도5 내지 도8 참조).
[제2 실시예]
(강도 안정형 나사의 구성예 2)
도5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도5 내지 도8에 있어서, 참조 부호 10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강도 안정형 나사를 가리키고, 이 나사(10B)의 헤드부(10a)는 냄비형으로 형성되 고, 그 정상부 중앙에는 비트 끼워 맞춤 홈(12)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강도 안정형 나사(10B)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1 실시예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10A)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B)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있어서는,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외주 단부벽면(14)에 대해, 개구연부(12a)측을 약 15°내지 35°의 소요 각도(β)로 확대 개방 형성한 경사면(15)으로 하는 동시에, 소요 깊이까지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이 수직면으로 형성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 밖의 점은, 상기 제1 실시예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10A)와 같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B)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대해, 이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후술하는 드라이버 비트(20)의 선단부와, 적정하게 끼워 맞추어 원활한 나사 체결 작업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B)에 있어서는,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외주 단부벽면(14)에 대해, 개구연부(12a)측을 소요 각도(β)로 확대 개방 형성되는 경사면(15)으로 함으로써, 대소 다른 치수로 설정된 강도 안정형 나사(10B)에 각각 적합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비트(20)를 각각 사용한 경우라도, 1개의 드라이버 비트(20)를 사용하여 적어도 2 종류의 치수가 다른 강도 안정형 나 사(10B)의 나사 체결 작업을 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경사면(15)에 대해, 후술하는 드라이버 비트(20)의 선단부로 형성한 단차부를 결합시켜 소요의 나사 체결 작업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B)에 있어서는,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하방으로 경사 변위하는 단차부(12c, 12d)를 생략하고,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나사 목부(10b)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제3 실시예]
(강도 안정형 나사의 구성예 3)
도9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도9 내지 도12에 있어서, 참조 부호 10C는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를 가리키고, 이 나사(10C)의 헤드부(10a)는 냄비형으로 형성되고, 그 정상부 중앙에는 비트 끼워 맞춤 홈(12)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강도 안정형 나사(10C)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은 나사 헤드부(10a)의 중심부로부터 소요의 반경 거리(r)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중심부로부터 반경(r)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홈(12A, 12B, 12C)의 홈 폭(d)을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13A, 13B, 13C)의 폭 치수(d')와, 각각 거의 등간격(d = d')이 되게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한다(도9 참조).
또한,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외주 단부벽면(14)을 개구연부(12a)로부터 소요 깊이까지 약 1°내지 5°의 발형 테이퍼를 갖고 거의 수직면이 되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그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나사 목부(10b)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경사 변위하는 변위부(12c')를 각각 마련한다. 또한, 상기 각 경사 변위부(12c')의 교차 중심부를, 거의 원형 오목부의 바닥면(16)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도10 참조).
또한,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13A, 13B, 13C)를 형성하는 나사 헤드부(10a)의 표면을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중심부로 지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약 20°내지 50°의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부(18)를 각각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13A, 13B, 13C)는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중심부에 있어서의 각 홈에 대해, 좌우 대칭적인 만곡형의 측벽면(19')에 의해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원형 오목부의 바닥면(16)을 상기 만곡형의 측벽면(19')의 선단 모서리로부터 전방의 비교적 얕은 위치보다 광범위하게 걸쳐 형성하고 있지만, 이 원형 오목부의 바닥면(16) 등은 상기 만곡형의 측벽면(19')의 선단 모서리부가 되는 깊은 위치보다 비교적 한정된 범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C)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대해, 이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후술하는 드라이버 비트(20)의 선단부와, 적정하게 끼워 맞추어 원활한 나사 체결 작업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C)에 따르면,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13A, 13B, 13C)에, 각각 경사면부(18)를 마련함으로써,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대한 드라이버 비트(20)의 선단부가 적정한 끼워 맞춤 조작을 원활하면서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예]
(강도 안정형 나사의 구성예 4)
도13 내지 도16은, 본 발명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도13 내지 도16에 있어서, 참조 부호 10D는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를 가리키고, 이 나사(10D)의 헤드부(10a)는 냄비형으로 형성되고, 그 정상부 중앙에는 비트 끼워 맞춤 홈(12)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강도 안정형 나사(10D)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은, 나사 헤드부(10a)의 중심부로부터 소요의 반경 거리(r)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거의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중심부로부터 반경(r)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홈(12A, 12B, 12C)의 홈 폭(d1)을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13A, 13B, 13C)의 폭 치수(d1')와, 각각 거의 등간격(d1 = d1')이 되게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한다(도13 참조).
또한,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외주 단부벽면(14)을 개구연부(12a)로부터 소요 깊이까지 약 1°내지 5°의 발형 테이퍼를 갖고 거의 수직면이 되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그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나사 목부(10b)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경사 변위하는 단차부(12c, 12d)를 각각 마련한다. 또한, 상기 각 경사 단차부(12d)의 교차 중심부를 나사 축과 직각이 되는 수평면에 대해 약 15°내지 35°의 완경사 각도(α)로 이루어지는 거의 원뿔형의 바닥면(16)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도14 참조).
또한,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13A, 13B, 13C)를 형성하는 나사 헤드부(10a)의 표면을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중심부로 지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약 20°내지 50°의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부(18)를 각각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도13 내지 도16 참조). 또, 이 경우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13A, 13B, 13C)는,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중심부에 있어서의 각 홈에 대해, 좌우 대칭적으로 둔각으로 교차하는 각각 평면형의 측벽면(19)에 의해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D)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대해, 이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후술하는 드라이버 비트(20)의 선단부와, 적정하게 끼워 맞추어 원활한 나사 체결 작업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D)에 있어서도,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13A, 13B, 13C)에, 각각 경사면부(18) 를 마련함으로써,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대한 드라이버 비트(20)의 선단부가 적정한 끼워 맞춤 조작을 원활하면서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D)에 있어서,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하방으로 경사 변위하는 단차부(12c, 12d)를 생략하고,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나사 목부(10b)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도5 내지 도8 참조).
[제5 실시예]
(강도 안정형 나사의 구성예 5)
도17 내지 도20은, 본 발명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도17 내지 도20에 있어서, 참조 부호 10E는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를 가리키고, 이 나사(10E)의 헤드부(10a)는 냄비형으로 형성되고, 그 정상부 중앙에는 비트 끼워 맞춤 홈(12)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강도 안정형 나사(10E)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4 실시예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10D)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도13 내지 도16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E)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있어서는,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외주 단부벽면(14)에 대해, 개구연부(12a)측을 약 15°내지 35°의 소요 각도(β)로 확대 개방 형성(d2 = d2')한 경사면(15)으로 하는 동시에, 그 하연부(12a')로부터 소요 깊이까지 상기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약 1°내지 5°의 발현 테이퍼를 갖고 거의 수직면이 되도록 형성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E)에 있어서도, 상기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으로 3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대해, 이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후술하는 드라이버 비트(20)의 선단부와, 적정하게 끼워 맞추어 원활한 나사 체결 작업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E)에 있어서는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외주 단부벽면(14)에 대해, 개구연부(12a)측을 소요 각도(β)로 확대 개방 형성되는 경사면(15)으로 함으로써, 대소 다른 치수로 설정된 강도 안정형 나사(10B, 10E)에 각각 적합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비트(20)를 각각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1개의 드라이버 비트(20)를 사용하여 적어도 2 종류의 치수가 다른 강도 안정형 나사[10B, 10A'(10D'), 10E]의 나사 체결 작업을 달성할 수 있다(도25 참조). 또한,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E)에 있어서는, 그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적합하도록 단차부를 선단 칼날부에 형성한 드라이버 비트(21)를 마련함으로써, 이와 같이 구성된 1개의 드라이버 비트(21)를 사용하여, 각각 치수가 다른 2 종류의 강도 안정형 나사[10A(10D), 10B']의 나사 체결 작업을 달성할 수 있다(도24 참조).
또, 본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E)에 있어서도,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하방으로 경사 변위하는 단차부(12c, 12d)를 생략하고,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나사 헤드부(10b)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6 실시예]
(드라이버 비트의 구성예 1)
도21의 (a), (b), (c) 및 도22는, 본 발명에 관한 강도 안정형 나사(10A, 10B, 10C, 10D, 10E)에 적용하는 드라이버 비트(2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드라이버 비트(20)는 선단 칼날부(20a)가 상기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10a)에 원주 방향으로 3 등분되어 Y자형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각각 끼워 맞추는 선단부에 지향하여 약간 끝이 가늘게 되도록 테이퍼를 마련하고, 단연부(22a)를 거의 직각 내지 둔각 형상으로 형성한 블레이드부(22A, 22B, 22C)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각 블레이드부(22A, 22B, 22C)의 선단부는, 각각 드라이버 비트(20)의 중심축부에 지향하여 수평 내지 완경사면(22b)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경사 단차부(12c, 12d)에 적합한 단차부(24)를 각각 형성하고, 또한 상기 각 단차부(24)의 교차 중심부에 있어서 원뿔형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6)를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드라이버 비트(20)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22A, 22B, 22C)는, 상기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10a)에 원주 방향으로 3 등분되어 Y자형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대응하여, 드라이버 비트(20)의 중심축부로부터 반경(r')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블레이드부(22A, 22B, 22C)의 블레이드 폭(w)을 인접하는 각 블레이드부 사이의 절결부(23A, 23B, 23C)의 폭 치수(w')와, 각각 거의 등간격(w = w')이 되게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한다(도22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관한 드라이버 비트(20)에 있어서는, 도23 내지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블레이드부(22A, 22B, 22C)가, 강도 안정형 나사(10A, 10B, 10C, 10D, 10E)의 헤드부(10a)에 원주 방향으로 3 등분되어 Y자형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홈(12A, 12B, 12C)에 대해 원활하면서 신속하게 끼워 맞추고, 캠 아웃 현상을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나사 체결 작업에 있어서의 토크 전달의 강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또는 비트 끼워 맞춤 홈을 마련한 나사 헤드부 및 드라이버 비트의 선단부에 대해, 각각 강도적 안정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드라이버 비트(20)는, 전술한 강도 안정형 나사(10A, 10B, 10C, 10D, 10E)에 있어서,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마련한 경사 단차부(12c, 12d) 대신에,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나사 목부(10b)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하는 것만의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상기 각 블레이드부(22A, 22B, 22C)의 선단부는,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변위부에 적합한 경사부로서 형성할 수 있다.
A. 본 발명의 강도 안정형 나사와 본 실시예의 드라이버 비트와의 결합예 1
도23은,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C)와, 본 실시예의 드라이버 비트(20)(도21 및 도22 참조)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즉, 도2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비트(20)의 각 블레이드부(22A, 22B, 22C)에 형성한 단연부(22a), 단차부(24) 및 돌출부(26)가, 강도 안정형 나사(10C)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홈(12A, 12B, 12C)에 마련한 수직인 각 외주 단부벽면(14)에 따라 끼워 넣고, 경사 변위하는 변위부(12c') 및 원형 오목부의 바닥면(16)에 각각 결합 내지 끼워 맞추어 드라이버 비트(20)를 회전함으로써, 강도 안정형 나사(10C)에 대해 소요의 토크 전달을 행하여 원활하면서 적정한 나사 체결 작업을 달성할 수 있다.
B. 본 발명의 강도 안정형 나사와 본 실시예의 드라이버 비트와의 결합예 2
도24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 또는 제4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A, 10D)와, 본 실시예의 드라이버 비트(20)(도21 및 도22 참조)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즉, 도2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비트(20)의 각 블레이드부(22A, 22B, 22C)에 형성한 단연부(22a), 단차부(24) 및 돌출부(26)가, 강도 안정형 나사(10A, 10D)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홈(12A, 12B, 12C)에 마련한 수직인 각 외주 단부벽면(14)에 따라 끼워 넣고, 경사 단차부(12c, 12d) 및 원뿔형의 바닥면(16)에 각각 결합 내지 끼워 맞추어 드라이버 비트(20)를 회전함으로써, 강도 안정형 나사(10A, 10D)에 대해 소요의 토크 전달을 행하여 원활하면서 적정한 나사 체결 작업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소 다른 치수로 설정된 강도 안정형 나사[10A(10D)]와, 치수가 큰 제2 실시예 또는 제5 실시예를 기초로 하는 강도 안정형 나사[10B'(10E')](파선으로 나타냄)에 대해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강도 안정형 나사[10B'(10E')]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개구연부(12a)측에 확대 개방 형성된 경사면(15)에 결합하는 단차부(25)(파선으로 나타냄)를 드라이버 비트(21)의 블레이드부(22A, 22B, 22C)에 대해, 또한 마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드라이버 비트(21)(파선으로 나타냄)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치수가 다른 강도 안정형 나사[10A(10D), 10B'(10E')]에 대해, 1개의 드라이버 비트(21)를 사용하여, 이러한 종류의 강도 안정형 나사[10A(10D), 10B'(10E')]의 나사 체결 작업을 원활하게 달성할 수 있다.
C. 본 발명의 강도 안정형 나사와 본 실시예의 드라이버 비트와의 결합예 3
도25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예 또는 제5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B, 10E)와, 본 실시예의 드라이버 비트(20)(도21 및 도22 참조)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2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드라이버 비트(20)의 각 블레이드부(22A, 22B, 22C)에 형성한 단연부(22a), 단차부(24) 및 돌출부(26)가 강도 안정형 나사[10B(10E)]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홈(12A, 12B, 12C)에 마련한 수직인 각 외주 단부벽면(14)에 따라서 끼워 넣고, 드라이버 비트(20)를 회전함으로써, 강도 안정형 나사(10C)에 대해 소요의 토크 전달을 행하여 원활하면서 적정한 나사 체결 작업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소 다른 치수로 설정된 강도 안정형 나사[10B(10E)]와, 치수가 작은 제1 실시예 또는 제4 실시예를 기초로 하는 강도 안정형 나사[10A'(10D')](파선으로 나타냄)에 대해서는, 각각 크기가 다른 강도 안정형 나사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비트(20, 20')를 각각 사용하는 경우, 강도 안정형 나사[10B(10E)]에 대해서는 치수가 큰 드라이버 비트(20')(파선으로 나타냄)의 블레이드부에 형성된 단차부(24)가 강도 안정형 나사[10B(10E)]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개구연부(12a)측에 확대 개방 형성된 경사면(15)에 결합하여 나사 체결 작업을 원활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 치수가 작은 강도 안정형 나사(10B')에 적합한 드라이버 비트(20)도, 도시한 바와 같이 강도 안정형 나사[10B(10E)]의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결합하여 나사 체결 작업을 원활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치수가 다른 강도 안정형 나사[10B(10E), 10A'(10D')]에 대해, 각각 복수의 드라이버 비트(2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1개의 드라이버 비트(20)를 사용하고, 이러한 종류의 강도 안정형 나사[10B(10E), 10A'(10D')]의 나사 체결 작업을 원활하게 달성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강도 안정형 나사 제조용 헤더 펀치의 구성예 1)
도26 및 도27의 (a), (b), (c)는, 상기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A)를 제조하기 위한 헤더 펀치(30A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헤더 펀치(30A)는 나사 헤드부(10a)에 원주 방향으로 3 등분되 어 Y자형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홈(12A, 12B, 12C)에 있어서의 각 외주 단부벽면(14)을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기 위한 수직 단부벽(32a)을 갖는 돌기 부재(32A, 32B, 32C)를 각각 마련한다. 또한, 상기 돌기 부재(32A, 32B, 32C)의 선단부에는,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홈(12A, 12B, 12C)에 있어서의 경사 단차부(12c, 12d)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부(34)를 각각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단차부(34)의 교차 중심부에 있어서 거의 원뿔형의 바닥면(16)을 형성하기 위한 원뿔 돌기부(36)를 마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헤더 펀치(30A)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10A)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헤더 펀치(30A)는, 전술한 강도 안정형 나사(10A)에 있어서, 비트 끼워 맞춤 홈(12)에 마련한 경사 단차부(12c, 12d) 대신에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나사 목부(10b)의 중심부에 지향하여 하방으로 변위하는 것만의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경사 단차부(12c, 12d)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부(34)를 생략하고, 중심부에 있어서 거의 원뿔형의 바닥면(16)을 형성하기 위한 원뿔 돌기부(36)를 마련한 구성으로 한다.
[제8 실시예]
(강도 안정형 나사 제조용 헤더 펀치의 구성예 2)
도28 및 도29의 (a), (b), (c)는, 상기 도5 내지 도8에 도시한 제2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B)를 제조하기 위한 헤더 펀치(30B)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헤더 펀치(30B)는, 나사 헤드부(10a)에 원주 방향으로 3 등분되어 Y자형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홈(12A, 12B, 12C)에 있어서의 각 외주 단부벽면(14)에 대해, 개구연부측(12a)을 소요 각도(β)로 확대 개방 형성하기 위한 경사 단부벽(32b)과, 거의 수직으로 형성하기 위한 수직 단부벽(32a)을 갖는 돌기 부재(32A, 32B, 32C)를 각각 마련한다. 또한, 상기 돌기 부재(32A, 32B, 32C)의 선단부에는, 거의 원뿔형의 바닥면(16)을 형성하기 위한 원뿔 돌기부(36)를 마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헤더 펀치(30B)에 따르면, 전술한 제2 실시예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10B)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헤더 펀치(30B)에 있어서는, 전술한 헤더 펀치(30A)와 같이, 상기 돌기 부재(32A, 32B, 32C)의 선단부에는,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홈(12A, 12B, 12C)에 있어서의 경사 단차부(12c, 12d)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부(34)를 각각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단차부(34)의 교차 중심부에 있어서 거의 원뿔형의 바닥면(16)을 형성하기 위한 원뿔 돌기부(36)를 마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도26, 도27의 (a), (b), (c) 참조].
[제9 실시예]
(강도 안정형 나사 제조용 헤더 펀치의 구성예 3)
도30은, 상기 도13 내지 도16에 도시한 제4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D)를 제조하기 위한 헤더 펀치(30C)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헤더 펀치(30C)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7 실시예에 기재된 헤더 펀치(30A)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도26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헤더 펀치(30C)에 있어서는 돌기 부재(32A, 32B, 32C)의 각각 기초부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돌기 부재(32A, 32B, 32C) 사이의 경계부에 대해,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중심부로 지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18)(도13 참조)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 융기부(38)를 마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헤더 펀치(30C)에 따르면, 전술한 제4 실시예에 기재된 강도 안정형 나사(10D)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도9 내지 도12에 도시한 제3 실시예 및 도17 내지 도20에 도시한 제5 실시예의 강도 안정형 나사(10C, 10E)를 제조하기 위한 헤더 펀치에 대해서도, 전술한 본 실시예와 같이 각각 비트 끼워 맞춤 홈(12)을 형성하기 위한 돌기 부재에 있어서, 각각 돌기 부재의 기초부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돌기 부재 사이의 경계부에 대해,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중심부로 지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18)(도9 및 도17 참조)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 융기부(38)를 마련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각 소요의 헤더 펀치를 얻을 수 있다(도30 참조).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냄비형의 나사를 대상으로 하는 강도 안정형 나사 및 드라이버 비트와의 조합 및 나사 제조용 헤더 펀치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냄비형의 나사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어 접시형 및 기타 각종 형식의 나사를 대상으로 하는 강도 안정형 나사 및 드라이버 비트와의 조합 및 강도 안정형 나사 제조용 헤더 펀치로서도 적용할 수가 있는 것은 물론이며, 기타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많은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냄비형으로 형성한 나사 헤드부(10a)의 중심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반경 거리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3등분하여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12)을 마련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일 치수의 홈 폭으로 이루어지는 각 홈(12A, 12B, 12C)의 홈 폭(d)은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13A, 13B, 13C)의 폭 치수(d')와, 각각 등간격이 되도록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외주 단부벽면(14)은 개구연부(12a)측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깊이까지 수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미리 결정된 깊이로부터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교차 중심부의 바닥부로 지향하는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나사 목부(10b)의 중심부에 사면형으로 하방으로 경사 변위하는 단차부(12c, 12d)를 각각 마련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외주 단부벽면(14)의 개구연부(12a)를, 내경측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지향하여, 15°내지 35°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부(15)를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교차 중심부의 바닥부는 원뿔 오목부의 바닥면(16)으로서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인접하는 각 홈(12A, 12B, 12C)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부(13A, 13B, 13C)는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중심부에 있어서의 각 홈(12A, 12B, 12C)에 대해, 좌우 대칭적으로 둔각으로 교차하는 각각 평면형의 측벽면(19)에 의해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경계부(13A, 13B, 13C)의 나사 헤드부 표면을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 지향하여, 20°내지 50°의 각도로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18)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강도 안정형 나사(10D, 10E)와,
    상기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에 원주 방향으로 3등분하여 Y자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개구연부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에 각각 끼워 맞추는 직각 또는 둔각 형상의 단연부(22a)를 갖는 블레이드부(22A, 22B, 22C)를 각각 선단 칼날부(20a)에 마련하고, 상기 각 블레이드부(22A, 22B, 22C)의 선단부에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단차부(12c, 12d)에 적합한 수평 내지 완경사면(22b) 및 단차부(24)를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드라이버 비트의 중심축부에 있어서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원뿔 오목부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원뿔형으로 교차 결합하는 돌출부(26)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드라이버 비트(20)와의 조합체.
  4. 냄비형으로 형성한 나사 헤드부(10a)의 중심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반경 거리에 있어서, 그 원주 방향으로 3등분하여 Y자형으로 형성한 비트 끼워 맞춤 홈(12)을 마련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일 치수의 홈 폭으로 이루어지는 각 홈(12A, 12B, 12C)의 홈 폭(d)은 인접하는 각 홈 사이의 경계부(13A, 13B, 13C)의 폭 치수(d')와, 각각 등간격이 되도록 점차 확대 개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외주 단부벽면(14)은 개구연부(12a)측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깊이까지 수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미리 결정된 깊이로부터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교차 중심부의 바닥부로 지향하는 수직 하연부(12b)로부터 나사 목부(10b)의 중심부에 사면형으로 하방으로 변위하는 변위부(12c')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각 외주 단부벽면(14)의 개구연부(12a)를, 내경측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지향하여, 15°내지 35°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부(15)를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교차 중심부의 바닥부는 원형 오목부의 바닥면(16)으로서 형성하고,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인접하는 각 홈(12A, 12B, 12C)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부(13A, 13B, 13C)는 비트 끼워 맞춤 홈(12)의 중심부에 있어서의 각 홈(12A, 12B, 12C)에 대해, 좌우 대칭적인 만곡형의 측벽면(19')에 의해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경계부(13A, 13B, 13C)의 나사 헤드부 표면을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중심부로 지향하여, 20° 내지 50°의 각도로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18)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강도 안정형 나사(10C)와,
    상기 강도 안정형 나사의 헤드부에 원주 방향으로 3등분하여 Y자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개구연부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비트 끼워 맞춤 홈에 각각 끼워 맞추는 둔각 형상의 단연부(22a)를 갖는 블레이드부(22A, 22B, 22C)를 각각 선단 칼날부(20a)에 마련하고, 상기 각 블레이드부(22A, 22B, 22C)의 선단부에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변위부(12c')에 적합한 경사면(22b) 및 단차부(24)를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드라이버 비트의 중심축부에 있어서 상기 비트 끼워 맞춤 홈의 원형 오목부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원뿔형으로 교차 결합하는 돌출부(26)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드라이버 비트(20)와의 조합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067009374A 2003-11-14 2004-11-04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체 KR101234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84968 2003-11-14
JP2003384968 2003-11-14
JPJP-P-2004-00016309 2004-01-23
JP2004016309 2004-01-23
PCT/JP2004/016689 WO2005047716A1 (ja) 2003-11-14 2004-11-04 強度安定型ねじ及びドライバービットとの組合せ並びに強度安定型ねじ製造用ヘッダーパン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322A KR20060117322A (ko) 2006-11-16
KR101234369B1 true KR101234369B1 (ko) 2013-02-18

Family

ID=3459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374A KR101234369B1 (ko) 2003-11-14 2004-11-04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01874B2 (ko)
EP (1) EP1693577B1 (ko)
JP (1) JP4823692B2 (ko)
KR (1) KR101234369B1 (ko)
CN (1) CN1882787A (ko)
WO (1) WO20050477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2899B2 (en) * 2008-05-15 2012-10-23 Olsen Russell G Apparatus and system for orthopedic fastener insertion and extraction
JP5021599B2 (ja) * 2008-10-10 2012-09-12 クラウン精密工業株式会社 螺子におけるドライバービット嵌合用十字溝の構造
JP4860725B2 (ja) * 2009-06-15 2012-01-25 株式会社トープラ ビット係合穴付きねじ及び一群のビット係合穴付きねじとドライバビットとの組み合わせ
KR101344960B1 (ko) * 2009-06-24 2014-01-15 오에스지 시스테무 푸로다쿠츠 가부시키가이샤 나사 조임 구조, 나사, 및 나사 조임 공구
US20110048181A1 (en) * 2009-08-27 2011-03-03 Hama Naka Shoukin Industry Co., Ltd. Screw head recess structure and its driving tool
US8540756B2 (en) 2010-05-03 2013-09-24 Ortho Vation Medical Llc Surgical fastener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872544B1 (ko) * 2010-07-07 2018-06-28 인파스텍 인텔렉츄얼 프로퍼티즈 피티이. 엘티디. 토크 전달 드라이버
BR112014004432B1 (pt) * 2011-08-25 2021-11-30 Infastech Intellectual Properties Pte. Ltd Acionador de transmissão de torque, sistema de prendedor, e, seleção de uma pluralidade de prendedores
CN103174723A (zh) * 2011-12-26 2013-06-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紧固螺钉
US8955418B2 (en) 2013-03-08 2015-02-17 Black & Decker Inc. Threaded fastener driving tool
DE102013105812A1 (de) * 2013-06-05 2014-12-11 Ejot Gmbh & Co. Kg Schraubenantrieb
DE102013105810A1 (de) * 2013-06-05 2014-12-11 Ejot Gmbh & Co. Kg Schraube mit einem einen Antrieb aufweisenden Schraubenkopf
EP3115153A1 (fr) * 2015-07-07 2017-01-11 IPP Industries Sarl Outil de vissage et vis correspondante
CN107921612B (zh) * 2015-08-18 2020-08-14 英法斯泰克知识产权私人有限公司 渐细的叶片状驱动器和紧固件
JP6742587B2 (ja) * 2015-12-24 2020-08-19 勝行 戸津 ねじ保持形ドライバービットおよびねじとの組合せ
IT201600099434A1 (it) 2016-10-04 2018-04-04 Fontana Fasteners R D S R L Vite con testa cava.
KR102025085B1 (ko) * 2019-03-20 2019-09-25 김현곤 체결력 증대를 위한 비트홈을 갖는 볼트의 제조방법
JP1657097S (ko) 2019-07-25 2020-04-13
CN113048131A (zh) * 2019-12-27 2021-06-29 上海申标标准件有限公司 一种多用途螺栓
KR102246328B1 (ko) * 2020-05-11 2021-04-29 (주)볼츠원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CN112009019B (zh) * 2020-09-23 2022-08-30 苏州中航盛世刀辊制造有限公司 一种模切独立工作站
TWI784842B (zh) * 2021-12-15 2022-11-21 洪昭敏 起子頭結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2952A1 (en) * 2000-01-06 2003-01-02 Katsuyuki Totsu Combination of screw and screw driver bit and header punch for its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2963A (en) * 1964-03-03 Recess head screw
US2400684A (en) * 1943-12-14 1946-05-21 American Screw Co Tool
US3108623A (en) * 1959-05-05 1963-10-29 Phillips Screw Co Tools for recessed head fasteners
JPS3826549B1 (ko) * 1960-05-06 1963-12-19
FR1558026A (ko) * 1968-02-23 1969-02-21
US3575080A (en) * 1968-12-02 1971-04-13 Patrick M Hannay Fastener wrenching means
JPS4978663U (ko) * 1972-10-30 1974-07-08
BE793763A (fr) 1972-11-06 1973-07-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Procede et appareil de commande de calibre de laminoir comprenant la determination de la plasticite
DD109729A1 (ko) 1974-02-20 1974-11-12
JPS50142956U (ko) * 1974-05-13 1975-11-26
JPS5614614A (en) * 1979-07-11 1981-02-12 Akio Chiba Screw
GB2111886A (en) * 1981-12-18 1983-07-13 Schmalkalden Werkzeug Screwdriver
US5085986A (en) 1989-06-14 1992-02-04 Eastman Kodak Company Diagnostic test kit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chlamydial antigen using a membrane having surface hydroxy groups
JPH0462408A (ja) 1990-06-30 1992-02-27 Mitsutoyo Corp 測定機の制御テーブル作成装置
US5120173A (en) * 1991-07-26 1992-06-09 Phillips Screw Company Screw head with slant rib
IT1269314B (it) * 1994-04-14 1997-03-26 Carlo Sala Vite e relativo attrezzo d'avvitamento
JPH1030625A (ja) 1996-07-12 1998-02-03 Nitto Seiko Co Ltd いじり止め用小ねじ
EP0933538B1 (en) * 1996-10-24 2006-08-09 Katsuyuki Totsu Screw, driver bit and header punch for manufacture of screw
CA2321711C (en) * 1998-02-24 2007-12-11 Katsuyuki Totsu Combination of driver bit and screw
EP0941809B1 (en) * 1998-03-13 2002-09-11 Max Co., Ltd. Screwdriver tip and screw suitable therefor
WO1999047820A1 (es) * 1998-03-18 1999-09-23 Francisco Casino Lorite Conjunto de tornillo y destornillador mutuamente autoagarrables
JP3050542B1 (ja) * 1998-12-18 2000-06-12 有限会社新城製作所 穴付き頭部をもつねじ及びそのドライバビット
JP4220610B2 (ja) 1999-02-15 2009-02-04 輝文 野地川 ネジおよびドライバビット
JP2001280324A (ja) 2000-03-31 2001-10-10 Nitto Seiko Co Ltd 薄頭付きねじ
JP4731054B2 (ja) * 2001-06-29 2011-07-20 勝行 戸津 ねじ及びドライバービットとの組合せ並びにねじ製造用ヘッダーパンチ
US20030059276A1 (en) * 2001-09-26 2003-03-27 Chen Chin Sun Screw socket opening for receiving various tool bits
JP4197599B2 (ja) * 2002-03-12 2008-12-17 勝行 戸津 いじり防止ねじ及びドライバービットとの組合せ並びにいじり防止ねじ製造用ヘッダーパンチ
GB2390408B (en) * 2002-07-04 2005-11-23 Eric Walker Screw and driver therefor
JP4031418B2 (ja) * 2003-09-12 2008-01-09 株式会社スズキ螺子製作所 ねじおよびねじ締め付け用ドライバー
US7111531B1 (en) * 2005-04-11 2006-09-26 Kabushiki Kaisha Suzuki Rashi Seisakusho Screw and screwdriver
US7581910B2 (en) * 2005-09-16 2009-09-01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hea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2952A1 (en) * 2000-01-06 2003-01-02 Katsuyuki Totsu Combination of screw and screw driver bit and header punch for its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01835A1 (en) 2007-05-10
JP4823692B2 (ja) 2011-11-24
EP1693577A4 (en) 2008-03-26
EP1693577A1 (en) 2006-08-23
EP1693577B1 (en) 2016-03-23
JPWO2005047716A1 (ja) 2007-05-31
US8001874B2 (en) 2011-08-23
CN1882787A (zh) 2006-12-20
WO2005047716A1 (ja) 2005-05-26
KR20060117322A (ko)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369B1 (ko) 강도 안정형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체
AU752248B2 (en) Screwdriver bit and its combination with screw
EP0038031B1 (en) Recessed head screw
KR100774095B1 (ko) 나사와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 및 그 제조용 헤더펀치
US8182187B2 (en) Drive system
US6253649B1 (en) Screw with a recessed head and a driver bit engageable therewith
EP1491777B1 (en) Tamperproof screw, combination with screwdriver bit, and headrer punch for manufacturing tamperproof screw
JPS5859768A (ja) フアスナのヘツド及びフアスナのヘツドと工具ヘツドの間の継手
US8261641B2 (en) Screw and driver bit
JP2008256124A (ja) ビット係合穴付きねじ及び一群のビット係合穴付きねじとドライバビットとの組み合わせ並びにビット係合穴の形状寸法設定方法
JPH11311226A (ja) ねじ及びドライバービットとの組合せ
JPH1030625A (ja) いじり止め用小ねじ
JP2804595B2 (ja) ねじ具とねじ具を廻すねじ廻し治具
JP2017057962A (ja) ねじ及びドライバービットとの組合せ並びにねじ製造用ヘッダーパンチ
JP2017057962A5 (ko)
JP4523837B2 (ja) ねじの駆動穴
JP2002168217A (ja) 緩め作用防止ねじ
JPH08170625A (ja) 複合ねじ
JPH0616709U (ja) 十字穴付きね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123

Effective date: 2012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