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328B1 -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 Google Patents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328B1
KR102246328B1 KR1020200055616A KR20200055616A KR102246328B1 KR 102246328 B1 KR102246328 B1 KR 102246328B1 KR 1020200055616 A KR1020200055616 A KR 1020200055616A KR 20200055616 A KR20200055616 A KR 20200055616A KR 102246328 B1 KR102246328 B1 KR 102246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ool
bolt
screw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기
Original Assignee
(주)볼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볼츠원 filed Critical (주)볼츠원
Priority to KR1020200055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328B1/ko
Priority to EP20935101.4A priority patent/EP4151868A4/en
Priority to PCT/KR2020/008506 priority patent/WO2021230420A1/ko
Priority to CN202080041698.5A priority patent/CN113994109B/zh
Priority to AU2020448169A priority patent/AU2020448169A1/en
Priority to BR112022017054A priority patent/BR112022017054A2/pt
Priority to CA3167486A priority patent/CA3167486A1/en
Priority to JP2022545035A priority patent/JP2023519649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328B1/ko
Priority to US17/314,208 priority patent/US2021034863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 F16B11/006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by glu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3/00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 F16B23/0007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recess or the protrusion engaging the to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3/00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 F16B23/0007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recess or the protrusion engaging the tool
    • F16B23/0023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recess or the protrusion engaging the tool substantially cross-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2Locking by means of special shape of work-engaging surfaces, e.g. notched or toothed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Dowel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헤드부 및 나사부로 이루어져 공구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부를 통해 구조물에 체결되는 볼트를 제시하며, 상기 공구에 대응하는 단면의 홈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헤드부 또는 상기 나사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의 결합을 허용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의 일부분에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된 상기 공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헤드부 또는 상기 나사부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BOLT WITH OPENING PART}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헤드부 및 나사부로 이루어진 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부가 구비됨으로써 헤드부의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는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볼트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0910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이 나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각종 공구와의 결합이 가능한 헤드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상적인 볼트는 헤드부에 형성되는 공구결합홈에 드라이버나 렌치와 같은 공구가 결합되어 공구에 의해 헤드부 및 나사부가 회전하며, 나사부가 너트 등의 구조물에 체결되거나 목재로 이루어진 구조물의 모재에 직접적으로 체결되면서 고정 또는 체결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상적인 볼트는 공구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공구결합홈의 깊이가 소정의 길이로 확보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헤드부 또한 소정의 높이로 확보되어야 한다.
물론, 공구결합홈을 나사부로 연장시킬 경우에는 헤드부의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나사부의 굵기가 공구의 굵기 이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인 볼트는 공구결합홈에 공구가 완전히 수용되므로 헤드부의 체결상태를 공구를 통해서는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통상적인 볼트는 나사부가 구조물에 체결된 후 헤드부를 구조물에 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이 반복될 경우 나사부가 임의로 역회전하면서 풀리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공구가 결합되는 결합홈의 일부분에 공구의 일부분이 노출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나사부를 굵게 형성하지 않고도 헤드부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할 수 있는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결합홈에 형성된 개구부로 공구의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돌출된 부분을 통해 헤드부의 체결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헤드부가 체결이 완료된 상태로 고정되어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부 및 나사부로 이루어져 공구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부를 통해 구조물에 체결되는 볼트에 있어서, 상기 공구에 대응하는 단면의 홈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헤드부 또는 상기 나사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의 결합을 허용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의 일부분에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된 상기 공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헤드부 또는 상기 나사부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헤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이루는 입구부; 및 상기 입구부에서 상기 나사부를 향해 연장형성되어 상기 공구를 수용하되, 상기 헤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나사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개구부가 일부분에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부분에 형성되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나사부의 경계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부는, 상기 나사부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입구부에서 상기 나사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소정의 각도의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용부의 경사상에 형성되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나사부의 경계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경사의 각도가 상기 헤드부와 상기 나사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매개로 연장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용부의 경사를 따라 결합되는 상기 공구의 일부분을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나사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는, 상기 헤드부의 저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의 체결에 의해 구조물에 밀착되어 걸리면서 상기 나사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풀림방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공구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구성하는 수용부가 헤드부와 나사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각도로 연장되면서 헤드부와 나사부의 경계에 개구부가 형성되므로 헤드부의 높이를 기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결합홈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개구부를 통해 배출할 수 있고, 개구부를 통해 헤드부에 가해지는 열기를 방열 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개구부를 통해 공구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헤드부의 체결시 공구의 돌출된 부분이 구조물에 먼저 접촉하므로 공구를 통해 헤드부의 체결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헤드부가 체결된 후 개구부를 통해 접착제를 투입하여 헤드부를 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헤드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풀림방지돌기가 구조물에 밀착되어 걸리므로 헤드부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에 공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의 요부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와 종래의 볼트를 비교하는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에 공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의 요부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 및 나사부(2)로 이루어져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3)에 의해 회전하면서 나사부(2)를 통해 구조물에 체결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10)는 결합홈(100) 및 개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00)은 공구(3)의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공구(3)에 대응하는 홈형태로 형성되어 공구(3)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자 드라이버의 결합을 허용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면서 '-'자 드라이버의 결합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결합홈(100)은 다각렌치에 대응하는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결합홈(100)은 공구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구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나사부(2)에 형성되어 공구(3)의 결합을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00)이 헤드부(1) 및 나사부(2)에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110) 및 수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110)는 공구(3)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홈(100)의 입구를 이루는 구성요소로, 헤드부(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구부(110)는 공구(3)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2)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수용부(120)는 입구부(110)에서 나사부(2)를 향해 연장형성됨으로써 입구부(110)를 통해 결합되는 공구(3)를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용부(120)는 입구부(110)에서 나사부(2)를 향해 연장형성되면서 헤드부(1)를 관통하여 나사부(2)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개구부(200)가 일부분에 형성됨으로써 공구(3)의 일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120)는 공구(3)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20)는 입구부(110)와 동일한 폭을 이루면서 나사부(2)로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입구부(110)에서 나사부(2)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소정의 각도의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될 수도 있다.
특히, 수용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110)의 폭이 나사부(2)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나사부(2)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으며, 나사부(2)로 연장되면서 나사부(2)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00)의 일부분에 구멍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00)에 결합된 공구(3)의 적어도 일부분을 헤드부(1) 또는 나사부(2)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개구부(200)는 결합홈(100)의 일부분을 외부와 소통시킴으로써 공구(3)의 일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고, 결합홈(100)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거나 헤드부(1)에 가해지는 열기를 방열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200)는 나사부(2)의 체결이 완료된 후 접착제의 투입을 허용함으로써 헤드부(1) 또는 나사부(2)를 구조물의 모재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개구부(200)는 결합홈(100)을 이루는 수용부(120)에 형성되면서 헤드부(1)로 관통형성되거나 나사부(2)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200)는 헤드부(1)로 관통형성되거나 나사부(2)로 관통형성될 경우에는 수용부(120)에 수용된 공구(3)의 일부분을 투시 가능하게 노출시킬 수 있으나, 공구(3)를 헤드부(1)나 나사부(2)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는 노출시킬 수 없다.
한편, 개구부(200)는 수용부(120)에 형성되면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와 나사부(2)의 경계부위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200)는 수용부(120)가 나사부(2)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각도의 경사로 연장되면서 헤드부(1)와 나사부(2)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각도로 연장될 경우에는 헤드부(1)와 나사부(2)의 경계부위로 관통형성되면서 수용부(120)의 경사면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수용부(120)는 헤드부(1)와 나사부(2)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각도의 경사로 연장되면서 개구부(200)를 매개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구(3)는 수용부(120)의 경사면을 따라 결합되면서 일부분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 및 나사부(2)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볼트(5)에 비하여 헤드부(1)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하면서도 결합홈(100)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20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시머리볼트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머리볼트 등 헤드부(1)의 형상에 관계없이 적용되면서 헤드부(1)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허용할 수 있다.
또한, 공구(3)는 개구부(20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노출됨으로써 나사부(2)를 구조물에 체결할 경우, 구조물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나사부(2)의 체결이 완료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물론, 개구부(200)는 수용부(120)가 입구부(110)와 동일한 폭으로 연장될 경우와, 수용부(120)가 헤드부(1)와 나사부(2)의 경계를 가로지르지 않는 각도로 연장될 경우에도 헤드부(1)와 나사부(2)의 경계부위에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부(200)는 헤드부(1)와 나사부(2)의 경계부위에 관통형성되면서 공구(3)의 일부분을 투시 가능하게 노출시킬 수 있으나 공구(3)를 헤드부(1)나 나사부(2)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는 노출시킬 수 없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림방지돌기(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풀림방지돌기(500)는 체결이 완료된 나사부(2)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풀림방지돌기(500)는 헤드부(1)의 저면에 복수를 이루면서 돌출될 수 있으며, 나사부(2)의 체결에 의해 구조물의 모재에 밀착되어 걸림으로써 헤드부(1)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풀림방지돌기(500)는 쐐기 형태의 단면을 이루면서 헤드부(1)의 저면에 돌출될 수 있으며, 나사부(2)의 조임방향과 역방향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풀림방지돌기(500)는 나사부(2)의 조임방향과 역방향으로 돌출되어 구조물의 모재에 걸림으로써 헤드부(1)에 반복적인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헤드부(1)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나사부(2)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풀림방지둘기(500)는 쐐기 형태의 단면을 이루면서 나사부(2)의 조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풀림방지돌기(500)는 나사부(2)의 조임방향과 순방향으로 돌출되어 나사부(2)의 체결시 구조물의 표면에 대면함으로써 나사부(2)의 회전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를 갖는 볼트(10)의 사용방법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나사부(2)는 헤드부(1)의 결합홈(100)에 결합되는 공구(3)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조물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공구(3)는 결합홈(100)에 결합되면서 일부분이 개구부(200)로 돌출된 상태로 헤드부(1) 및 나사부(2)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나사부(2)가 구조물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구조물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나사부(2)의 체결이 완료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는 개구부(200)에 의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됨으로써 설치부위의 부피가 감소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는 저면에 돌출형성된 풀림방지돌기(500)를 통해 구조물의 표면에 걸린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임의로 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헤드부(1)는 구조물에 체결이 완료된 후 개구부(200)를 통해 접착제가 투입됨으로써 구조물에 체결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10)에 의하면, 결합홈(100)을 구성하는 수용부(120)가 헤드부(1)와 나사부(2)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각도로 연장되면서 헤드부(1)와 나사부(2)의 경계에 개구부(200)가 형성되므로 헤드부(1)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함으로써 제작 시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100 : 결합홈
110 : 입구부
120 : 수용부
200 : 개구부
500 : 풀림방지돌기
1 : 헤드부
2 : 나사부
3 : 공구

Claims (7)

  1. 헤드부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로 이루어져 공구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부를 통해 구조물에 체결되는 볼트에 있어서,
    상기 공구에 대응하는 단면의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공구의 결합을 허용하되 상기 홈이 오직 하나의 결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헤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나사부까지 연장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의 일부분에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된 상기 공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헤드부 또는 상기 나사부의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결합홈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하면서 상기 헤드부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허용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헤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이루되, 상기 나사부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입구부; 및
    상기 입구부에서 상기 나사부를 향해 연장형성되어 상기 공구를 수용하되, 상기 헤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나사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개구부가 일부분에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부분에 형성되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나사부의 경계부위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입구부에서 상기 나사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소정의 각도의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용부의 경사상에 형성되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나사부의 경계부위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경사의 각도가 상기 헤드부와 상기 나사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매개로 연장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용부의 경사를 따라 결합되는 상기 공구의 일부분을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나사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헤드부의 저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의 체결에 의해 구조물에 밀착되어 걸리면서 상기 나사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풀림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KR1020200055616A 2020-05-11 2020-05-11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KR102246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616A KR102246328B1 (ko) 2020-05-11 2020-05-11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EP20935101.4A EP4151868A4 (en) 2020-05-11 2020-06-30 BOLT WITH OPENING
PCT/KR2020/008506 WO2021230420A1 (ko) 2020-05-11 2020-06-30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CN202080041698.5A CN113994109B (zh) 2020-05-11 2020-06-30 具备开口部的螺栓
AU2020448169A AU2020448169A1 (en) 2020-05-11 2020-06-30 Bolt having opening
BR112022017054A BR112022017054A2 (pt) 2020-05-11 2020-06-30 Parafuso dotado de aberturas
CA3167486A CA3167486A1 (en) 2020-05-11 2020-06-30 Bolt provided with openings
JP2022545035A JP2023519649A (ja) 2020-05-11 2020-06-30 開口部を備えたボルト
US17/314,208 US20210348639A1 (en) 2020-05-11 2021-05-07 Bolt provided with open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616A KR102246328B1 (ko) 2020-05-11 2020-05-11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328B1 true KR102246328B1 (ko) 2021-04-29

Family

ID=7572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616A KR102246328B1 (ko) 2020-05-11 2020-05-11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348639A1 (ko)
EP (1) EP4151868A4 (ko)
JP (1) JP2023519649A (ko)
KR (1) KR102246328B1 (ko)
CN (1) CN113994109B (ko)
AU (1) AU2020448169A1 (ko)
BR (1) BR112022017054A2 (ko)
CA (1) CA3167486A1 (ko)
WO (1) WO202123042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8061A1 (en) * 2001-01-24 2002-07-25 Fastenair, Inc. Tapered fastener for deforming parent materal aperture whereby the aperture conforms to fastener taper
CN2615411Y (zh) * 2003-04-25 2004-05-12 张云昌 速进木螺钉及其专用工具
JP2006046624A (ja) * 2004-08-01 2006-02-16 Yasuo Ishiguro ネジとドライバー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982A (en) * 1884-04-15 Jesse b
US52631A (en) * 1866-02-13 Improvement in screws and bolts
US1175665A (en) * 1915-09-29 1916-03-14 William Russell Sweet Wood-screw.
US1365508A (en) * 1920-04-21 1921-01-11 Kucewicz John Screw
GB346893A (en) * 1930-02-05 1931-04-23 John Lidbetter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screws
US2445525A (en) * 1945-02-19 1948-07-20 Moses L Gulden Fastening device
US2550357A (en) * 1945-03-30 1951-04-24 Lockheed Aircraft Corp Sealable fastening device
US4033244A (en) * 1976-04-27 1977-07-05 Ralph Spencer Jacobson Screw and screw driver
US4445264A (en) * 1982-03-09 1984-05-01 Carl Banerian Tool for a method of forming dimples in sheet metal for recessing rivet heads
FR2566068A1 (fr) * 1984-06-18 1985-12-20 Garcin F Vis perfectionnee et tournevis permettant de l'actionner
US4669597A (en) * 1985-11-04 1987-06-02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skirt panel
GB2244775B (en) * 1990-06-05 1993-08-11 Titus Tool Co Ltd Screws
JPH0571522A (ja) * 1991-05-29 1993-03-23 Toopura:Kk ドリリングねじ
US5249899A (en) * 1992-10-28 1993-10-05 Wilson Robert L Head bolt and driver therefore
DE19636653C2 (de) * 1996-09-10 2002-09-26 Lux Elements Gmbh & Co Kg Schraubenartiges Verbindendungselement sowie Verfahren zum Verbinden von Hartschaumplatten miteinander
KR19990009107A (ko) 1997-07-07 1999-02-05 윤종용 테스트 패드 병합수단을 구비하는 복합 반도체장치
US6334748B1 (en) * 2000-12-11 2002-01-01 Sigurdur Gudjonsson Screw with cutting head and self tapping cutter
JP2003010200A (ja) * 2001-06-29 2003-01-14 Sayama Precision Ind Co 骨接合用中空スクリュー及び着脱工具
US6620167B2 (en) * 2001-10-17 2003-09-16 Ricahrd J. Deslauriers Orthopedic screw having driver-locking head
AU2002950242A0 (en) * 2002-07-18 2002-09-12 Itw Afc Pty Ltd Screws
JP4823692B2 (ja) * 2003-11-14 2011-11-24 勝行 戸津 強度安定型ねじ及びドライバービットとの組合せ
CN2740830Y (zh) * 2004-08-31 2005-11-16 张平 倒t形槽螺栓头及配套使用的螺丝刀
TWM296931U (en) * 2006-03-24 2006-09-01 Chiou-Yue Wang Screw
JP2010052089A (ja) * 2008-08-28 2010-03-11 Katsuyuki Totsu ドライバービット及びねじ並びにこれらの組合せ
AU2009230753C1 (en) * 2009-09-30 2015-11-26 Craig Stanley Harvey Self-countersinking fastener
CN201836192U (zh) * 2010-08-11 2011-05-18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螺钉以及开启该螺钉的工具
US20120312130A1 (en) * 2011-06-08 2012-12-13 Jason Bauer Fasteners and fastening systems
KR20130055463A (ko) * 2011-11-18 2013-05-28 장정훈 접착형 나사체결구
GB2498769A (en) * 2012-01-27 2013-07-31 Hardie James Technology Ltd Fastener with cap
US8911189B2 (en) * 2013-02-26 2014-12-16 Apical Industries, Inc. Frangible fastener
CN203297265U (zh) * 2013-04-27 2013-11-20 宁波永宏紧固件制造有限公司 一种椭圆螺栓
JP6518494B2 (ja) * 2015-04-10 2019-05-22 イワタボルト株式会社 固着ボルト及びその固着方法
CN205780162U (zh) * 2016-06-01 2016-12-07 广州市中标螺丝制造有限公司 一种沉头快速牙螺钉
CN208974164U (zh) * 2018-05-14 2019-06-14 广州市德伦口腔门诊部有限公司 一种牙科即刻种植仿生牙基体结构
CN108488180B (zh) * 2018-05-21 2024-03-12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对中底盘的保护螺栓及开启装置、保护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8061A1 (en) * 2001-01-24 2002-07-25 Fastenair, Inc. Tapered fastener for deforming parent materal aperture whereby the aperture conforms to fastener taper
CN2615411Y (zh) * 2003-04-25 2004-05-12 张云昌 速进木螺钉及其专用工具
JP2006046624A (ja) * 2004-08-01 2006-02-16 Yasuo Ishiguro ネジとドライ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420A1 (ko) 2021-11-18
BR112022017054A2 (pt) 2022-12-06
EP4151868A1 (en) 2023-03-22
AU2020448169A1 (en) 2022-08-18
US20210348639A1 (en) 2021-11-11
CN113994109B (zh) 2023-05-23
EP4151868A4 (en) 2024-06-05
CA3167486A1 (en) 2021-11-18
CN113994109A (zh) 2022-01-28
JP2023519649A (ja)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754B1 (ko) 스크류-형 체결장치
KR200415224Y1 (ko) 볼트 및 너트 풀림 방지 구조
SE469237B (sv) Anordning foer justerbar infaestning av doerrkarmar, foensterkarmar och liknande element mot ett baerande element
KR102246328B1 (ko) 개구부가 구비된 볼트
US20050276677A1 (en) Load carrier support
NL8004674A (nl) Tegen loswerken bestendige bout en moer.
US20030039529A1 (en) Blind hole panel nut
CA1113749A (en) Anchoring device for an opening, e.g. a tube end
KR20210155585A (ko) 개구부 및 나사부마커가 구비된 볼트
KR20180131038A (ko) 락킹와셔를 이용한 볼트 풀림 방지 체결구조
JP2016223523A (ja) 座金及び座金付きナット
JP2005030584A (ja) ボルト・ナットの緩み止め構造
JP6846986B2 (ja) 締付トルク管理具及び締付トルク管理具と締結具との組み合わせ
JP4837963B2 (ja) ねじの弛み止め構造
KR102324647B1 (ko) 렌치 탭핑 스크류 볼트
JP7016626B2 (ja) 締付トルク管理具及び締付トルク管理具と締結具との組み合わせ
JP7495217B2 (ja) 締付トルク管理具及び締付トルク管理具と締結具との組み合わせ
JP2014088954A (ja) 任意ロックナット
KR200428954Y1 (ko) 차량 퓨즈박스용 체결너트
JP3104596U (ja) ロックナット
KR200271373Y1 (ko) 앵커볼트
JP6892802B2 (ja) 締付トルク管理具及び締付トルク管理具と締結具との組み合わせ
JP2017078433A (ja) 皿バネ座金
JP2006097718A (ja) 木ねじ
KR20230012322A (ko) 볼트, 볼팅용 모재 및 볼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