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845B1 - 콩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콩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조절제 - Google Patents

콩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콩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조절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845B1
KR101232845B1 KR1020110071883A KR20110071883A KR101232845B1 KR 101232845 B1 KR101232845 B1 KR 101232845B1 KR 1020110071883 A KR1020110071883 A KR 1020110071883A KR 20110071883 A KR20110071883 A KR 20110071883A KR 101232845 B1 KR101232845 B1 KR 101232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ascus
soy
soybean
weight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016A (ko
Inventor
이현구
Original Assignee
이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구 filed Critical 이현구
Priority to KR102011007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8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1Pulses or legumes in form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thereof, without mashing or comminu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Abstract

콩, 콩가공산물, 및 소이화이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다양한 배지 성분을 포함하고, 배지 내 최종 수분 함량이 45 내지 65 중량%인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 배양용 배지 조성물; 상기 배지 조성물에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 배양하여 얻어진 콩 발효물; 및 상기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 조절제, 체중 조절용 건강기능식품, 및 사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콩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콩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조절제{Media composition containing soy, fermented soy product, and composition for weight control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콩, 콩가공산물, 및 콩, 콩가공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진 소이화이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다양한 배지 성분을 포함하고, 배지 내 최종 수분 함량이 45 내지 65 중량%인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 배양용 배지 조성물; 상기 배지 조성물에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 배양하여 얻어진 콩 발효물; 및 상기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 조절제, 체중 조절용 건강기능식품, 및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경제성장과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식생활 문화에 변화가 오면서 비만증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당뇨병과 고혈압이 쉽게 발병하며, 또한 심장병, 뇌졸중 및 암과 같은 퇴행성 질병의 발병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 중에서 비만은 유전, 내분비장애, 대사장애, 심리적 이상으로 발병되는 증후성 비만과 과식과 운동부족으로 오는 단순성 비만으로 나누어지고 있는데 후자의 경우가 90% 이상을 차지한다. 이러한 비만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및 약물요법으로 나누고 있다.
식이요법은 열량제한을 통하여 체중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저칼로리의 균형있는 영양소 섭취를 권장하며, 운동요법은 필요 이상의 칼로리를 운동으로 소모시킴으로써 비만을 막고자 하는 방법으로 식욕 및 생활습관의 한계 등으로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약물요법은 가격이 싸고 독성과 부작용이 없는 약물을 이용하여 비만을 예방, 치료하는 법으로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약물은 식욕 억제제로 알려져 있다.
한편, 당뇨병은 만성적 대사성 질환으로 혈액을 통하여 공급되는 당을 조직세포가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여 혈액내 과잉의 당이 존재하게 되고 지질대사에 이상을 일으켜 혈액관련 질환이 유발된다. 구체적인 사례로 당뇨를 유발시킨 쥐에서는 중성지질의 증가와 HDL-콜레스테롤의 감소가 관찰되며,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증가에 의한 고 콜레스테롤 혈증이 유발된다. 이러한 현상은 인슐린 의존형 또는 비의존형 당뇨병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식이성분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그 중 식이섬유는 장내에서 콜레스테롤 또는 담즙산을 흡착하여 대변으로 배설시킴으로써 콜레스테롤이 담즙산 합성에 이용되어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콩은 식재료 중에서 식이성 섬유를 가장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껍질부는 87%가 식이성 섬유이며 셀룰로즈가 33~40%, 헤미셀룰로즈가 14~33%, 리그닌이 1~3%로 구성되어 있어 혈청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저하시키며,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가 있다.
본 발명자는 콩뿐 아니라, 콩으로부터 얻은 비지 또는 콩껍질 등의 다양한 콩가공산물을 이용하여 모나스커스속 균주의 배양물을 제조할 경우, 모나스커스속 균주 발효물의 체중조절효과가 더욱 향상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례는 콩, 콩가공산물, 및 소이화이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다양한 배지 성분을 포함하고, 배지 내 최종 수분 함량이 45 내지 65 중량%인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 배양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는 상기 배지 조성물에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 배양하여 얻어진 콩 발효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는 상기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 조절제, 체중 조절용 건강기능식품, 및/또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생콩을 이용하여 체중조절기능이 있는 모나스커스속 배양물을 직접 제조할 수 있으나, 콩으로부터 얻은 소이화이바를 이용하여 모나스커스속 배양물을 제조할 경우 체중조절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소이화이바는 콩으로부터 직접 제조할 수 있으나 콩가공부산물을 이용할 경우 재료구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모나스커스속 곰팡이와 부재료들을 이용하여 생콩을 직접 발효시킨 발효 소이와, 콩, 다양한 콩가공산물 또는 이들로부터 얻어진 소이화이바를 발효시킨 발효 소이화이바에서의 모나스커스속 균주의 발효상태와 상기 발효 소이와 발효 소이화이바 (이하, 총칭하여 '콩 발효물'이라 함)의 체중감량효과를 비교하여 바람직한 조건을 제시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례는 주재료로서 콩, 콩가공산물, 및 콩, 콩가공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진 소이화이바와 부재료로서 다양한 배지 성분을 포함하고, 최종 수분 함량이 45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7 중량%인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 배양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 콩, 콩가공산물, 및 콩, 콩가공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진 소이화이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주재료;
- 1) 글루코오스, 2) 감자 열수추출물, 3) 감자 덱스트로오스(Potato dextrose) 혼합물, 4) 콩 열수 추출물, 5) 콩 열수추출물에 카제인을 혼합한 소이브로스, 6) 글루코오스 2.5-7.5 중량부, 제일인산칼륨(KH2PO4) 0.5-1.4 중량부, 황산마그네슘(MgSO47H20) 7H20 0.02-0.07 중량부, 및 초산칼륨(CH3COOK) 0.1-0.4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 (이하, '글루코오스 혼합물'), 7) 맥아 추출물, 8) 전분, 및 9) 쌀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부재료; 및
- 물
을 포함하고,
최종 수분 함량이 45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7 중량%인,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 배양용 배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콩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두부 원료로 주로 사용되는 대두, 검은콩, 작두, 완두콩,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콩가공산물은 콩의 물리 화학적 가공 공정에서 얻어지는 일체의 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콩 분말, 볶음 콩 분말, 비지, 콩껍질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콩 분말은 생콩을 건조시켜 분쇄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하고, 볶음 콩 분말은 볶은 콩을 분쇄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비지는 두유 또는 두부를 만들고 남은 잔사를 의미한다. 이 때, 상기 두유는 콩껍질을 분리하여 제조된 두유와 콩껍질을 분리하지 않고 제조된 전두유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 비지는 두유와 전두유 제조 후 남은 잔사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콩껍질은 콩을 정선 후 콩에서 분리된 첫 번째 껍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소이화이바를 다량 함유한다. 소이화이바는 콩, 상기 콩가공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로 탈수 또는 세척하여 남은 섬유질을 의미한다. 상기 콩, 콩가공산물, 및 소이화이바는 제조된 후 추후 조성물 내 최종 수분이 45~65 중량%인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 및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배지 내 최종 수분 함량이 45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7 중량%인 경우 발효 상태가 양호하고 발효 효율이 우수하다.
상기 배지 조성물 내의 부재료로서의 1) 글루코오스, 2) 감자 열수추출물, 3) 감자 덱스트로오스 혼합물, 4) 콩 열수 추출물, 5) 콩 열수추출물에 카제인을 혼합한 소이브로스, 6) 글루코오스 혼합물 (글루코오스 2.5-7.5 중량부, KH2PO4 0.5-1.4 중량부, MgSO4 7H20 0.02-0.07 중량부, 및 CH3COOK 0.1-0.4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 7) 맥아 추출물(예컨대, malt extracts 등), 8) 전분, 및 9) 쌀가루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은 건조 중량 대비 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중량%인 것이 좋다. 상기 부재료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균의 생육과 그 생성물의 함량이 낮아지고,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오히려 균의 생육과 균의 생육으로 인한 생성물의 생성량이 감소됨과 동시에 소요 비용이 높아지므로,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건조 중량'은 수분을 제거한 건조물의 중량을 의미한다.
상기 감자 열수추출물은 생감자 100~300g, 예컨대 약 200g에 물 약 1L를 가하여 0.5 내지 2시간, 예컨대, 약 1시간동안 끓인 후 여과하여 총량이 1L가 되게 한 생감자 농도가 10~30%(w/v), 예컨대 약 20%(w/v)인 생감자 열수추출물 또는 이의 농축물 또는 건조물일 수 있다.  
상기 감자 덱스트로오스(potato dextrose) 혼합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감자 열수추출물에 글루코오스가 2.5~7.5중량%, 예컨대 약 5중량%의 양으로 첨가된, (생)감자 농도가 10~30%(w/v), 예컨대 약 20 %(w/v)인 감자 열수추출물 또는 이의 농축물 또는 건조물을 의미한다. 
상기 콩 열수 추출물은 마른콩 50~150g, 예컨대 약 100g에 물 약 1 L를 가하여 0.5 내지 2시간, 예컨대, 약 1시간동안 끓인 후 여과하여 총량이 1 L가 되게 한 마른콩 농도가 5~15%(w/v), 예컨대 약 10%(w/v)인 콩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농축물 또는 건조물일 수 있다. 
상기 소이브로스는 상기한 바와 같은 콩 열수 추출물에 우유단백질(카제인)이 1~3중량%, 예컨대 약 2중량%의 양으로 첨가된, 콩 열수추출물 또는 이의 농축물 또는 건조물을 의미한다.
상기 글루코오스 혼합물은 글루코오스 2.5-7.5 중량부, 예컨대 약 5 중량부, 제일인산칼륨(KH2PO4) 0.5-1.4 중량부, 예컨대 약 0.8 중량부, 황산마그네슘(MgSO47H20) 0.02-0.07 중량부, 예컨대 약 0.05 중량부, 및 초산칼륨(CH3COOK) 0.1-0.4 중량부, 예컨대 약 0.2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글루코오스 혼합물은 콩단백 및/또는 소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글루코오스 2.5-7.5 중량부, 예컨대 약 5 중량부, 제일인산칼륨(KH2PO4) 0.5-1.4 중량부, 예컨대 약 0.8 중량부, 황산마그네슘(MgSO47H20) 0.02-0.07 중량부, 예컨대 약 0.05 중량부, 초산칼륨(CH3COOK) 0.1-0.4 중량부, 예컨대 약 0.2 중량부, 및 콩단백 1-4 중량부, 예컨대 약 2 중량부 및/또는 소금(NaCl) 0.06-1.4 중량부, 예컨대 약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글루코오스 혼합물은 물과 함께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글루코오스 2,5-7.5%(w/v), 예컨대 약 5%(w/v), 제일인산칼륨(KH2PO4) 0.5-1.4%(w/v), 예컨대 약 0.8%(w/v), 황산마그네슘(MgSO47H20) 0.02-0.07%(w/v), 예컨대 약 0.05%(w/v), 초산칼륨(CH3COOK) 0.1-0.4%(w/v), 예컨대 약 0.2%(w/v),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루코오스 혼합물이 콩단백 및/또는 소금을 추가로 포함하고, 물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글루코오스 2,5-7.5%(w/v), 예컨대 약 5%(w/v), 제일인산칼륨(KH2PO4) 0.5-1.4%(w/v), 예컨대 약 0.8%(w/v), 황산마그네슘(MgSO47H20) 0.02-0.07%(w/v), 예컨대 약 0.05%(w/v), 초산칼륨(CH3COOK) 0.1-0.4%(w/v), 예컨대 약 0.2%(w/v), 및 콩단백 1-4%(w/v), 예컨대 약 2%(w/v) 및/또는 소금(NaCl) 0.06-1.4%(w/v), 예컨대 약 0.1%(w/v),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맥아 추출물은 건조맥아분말 50~150g, 예컨대 약 100g에 물 1L를 가하여 0.5 내지 2시간, 예컨대 약 1시간 동안 끓인 후 여과하여 총량이 1 L가 되게 한, 맥아 농도가 5~15%(w/v), 예컨대 약 10%(w/v)인 맥아추출물 또는 이의 농축물 또는 건조물일 수 있다.
상기 감자 열수추출물, 감자 덱스트로오스 혼합물, 콩 열수추출물, 소이브로스, 글루코오스 혼합물, 및/또는 맥아 추출물 등의 부재료들은 콩, 콩가공산물, 및/또는 소이화이바를 반죽할 때 물 대신 사용하여, 최종 배지 내 수분 함량이 45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7 중량%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예컨대 농축물 또는 건조물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수분 범위를 맞추기 위하여 물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전분은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전분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예컨대,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밀전분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쌀가루는 백미 또는 현미가루일 수 있으며, 전체 배지 조성물의 건조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 예컨대, 약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부재료 중 글루코오스와, 쌀가루 또는 전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때, 글루코오스와 쌀가루 또는 전분의 함량은, 전체 배지 조성물의 건조 중량 대비, 글루코오스 2 내지 10 중량%, 예컨대 약 5 중량%, 쌀가루 또는 전분 5 내지 15 중량%, 예컨대 약 10 중량%일 수 있다.
부재료로서 글루코오스, 쌀가루, 전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주재료와 혼합시, 감자 열수추출물, 감자 덱스트로오스 혼합물, 콩 열수추출물, 소이브로스, 글루코오스 혼합물, 및 맥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혼합하나, 물을 함께 혼합하여, 최종 배지 조성물의 수분 함량이 45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7 중량%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부재료로서 감자 덱스트로오스, 콩 열수추출물에 카제인을 혼합한 소이브로스, 및 글루코오스 혼합물 (예컨대, 글루코오스 2,5-7.5%(w/v), 콩단백 1-4%(w/v), KH2PO4 0.5-1.4%(w/v), MgSO4 7H20 0.02-0.07%(w/v), CH3COOK 0.1-0.4%(w/v), NaCl 0.06-1.4%(w/v),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 특히 발효 효율 및 얻어진 발효물의 체중 감량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및 표 2 참조).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에 포함된 물은 콩가루, 비지 및/또는 소이화이바 (이하, '주재료') 자체에 포함된 수분, 상기 부재료에 포함된 수분, 및/또는 최종 배지 조성물 내의 물의 함량을 45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7 중량%로 조절하기 위하여 추가로 첨가되는 수분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만약 주재료와 부재료 자체에 포함된 수분 함량만으로 최종 배지 조성물 내 수분 함량이 상기 범위가 된다면, 추가로 물을 첨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는 모든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를 포함하며, 예컨대, 모나스커스 필로서스(Monascus pilosus), 모나스커스 앙카(Monascus anka), 모나스커스 알부스(Monascus albus), 모나스커스 퍼푸레우스(Monascus perpureus purpureus), 모나스커스 카올리앙(Monascus kaoliang), 모나스커스 루버(Monascus ruber), 및 모나스커스 에레모필러스(Monascus erem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예는 상기 배지 조성물에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를 배양하여 얻어진 콩 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콩 발효물은 콩의 발효물 뿐 아니라, 콩가공산물의 발효물, 및 콩 또는 콩가공산물로부터 얻어진 소이파이버의 발효물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발효물은 세포 포함 발효물과 세포를 제거한 무세포 발효물을 모두 포함하며, 발효액, 발효액의 건조물, 및 발효액의 농축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의 접종량은, 제한은 없으나, 보다 효율적인 배양을 위하여, 배지 부피를 기준으로 106 cell/mL 내지 1010 cell/mL, 바람직하게는 107 cell/mL 내지 109 cell/mL로 하는 것이 좋다.
실시예 3 및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물은 체중 감량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예는 상기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 조절제를 제공한다. 상기 체중조절제는 비만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다. 또 다른 예는 상기 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체중 조절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는 상기 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체중 조절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체중조절제, 체중 조절용 건강 기능 식품, 및 체중 조절용 사료 조성물 내의 콩 발효물의 함량은 적용 형태 및 목적하는 효과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건조물 중량 기준으로 0.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체중조절제, 체중 조절용 건강 기능 식품, 및 체중 조절용 사료 조성물은 각 적용 형태에 따라서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부형제, 보존제, 안정화제 등의 첨가제를 통상적인 함량으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중조절제, 체중 조절용 건강 기능 식품, 및 체중 조절용 사료 조성물은 모든 동물, 특히 척추동물, 예컨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조류, 어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적용 형태는 경구 투여와 비경구 투여 모두 가능하나 경구 투여가 보다 적절하다.
다른 예는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 콩, 콩가공산물, 및 콩, 콩가공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진 소이화이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주재료;
- 1) 글루코오스, 2) 감자 열수추출물, 3) 감자 덱스트로오스(Potato dextrose) 혼합물, 4) 콩 열수 추출물, 5) 콩 열수추출물에 카제인을 혼합한 소이브로스, 6) 글루코오스 2.5-7.5 중량부, 제일인산칼륨(KH2PO4) 0.5-1.4 중량부, 황산마그네슘(MgSO47H20) 7H20 0.02-0.07 중량부, 및 초산칼륨(CH3COOK) 0.1-0.4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 (이하, '글루코오스 혼합물'), 7) 맥아 추출물, 8) 전분, 및 9) 쌀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부재료; 및
- 물
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료는 최종 배지 내 함량이 건조 중량 대비 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상기 물은 최종 배지 내 최종 수분 함량이 45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7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부재료와 혼합되어 사용되거나 추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의 등록특허 제10-0699046호에서는 모나스커스속 곰팡이를 번식시킨 발효소이화이바(SF-M)를 제조함에 있어 건조시킨 소이화이바(SF)에 5중량%의 글루코오스 용액을 SF양에 대하여 20중량%가 되도록 가하여 반죽하여 25℃에서 7일간 통기 발효시킴으로써 발효를 종료하였으나, 수분함량이 20% 이하로 낮아 멸균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며 영양이 부족하여 발효의 속도가 늦을 뿐만 아니라 발효도중에 부패되는 비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콩, 콩가공산물, 및/또는 소이화이바에 감자열수추출액, 시판 PD(potato dextrose) 혼합물, 콩열수추출물, 콩열수추출물에 우유카제인을 혼합한 소이브로스(soy broth: 시판 tryptic soy broth), 글루코오스 혼합물, 맥아추출물(또는 시판 malt extracts), 전분, 및/또는 쌀가루 등을 첨가하여 최종 수분 함량이 45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7 중량%가 되도록 물을 혼합한 후, 멸균, 냉각하여 종균을 접종하고, 25-30℃에서 1-2개월간 배양함으로써, 발효 효율이 현저하게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의 멸균처리공정에서는 발효 중의 부패를 막기 위하여 110-130℃, 예컨대, 약 121℃에서 최대 120분, 예컨대 80-120분까지 할 수 있으며, 배지의 양이 많을수록 멸균시간을 비례적으로 증가시킴으로서 부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발효용기는 듀럼식이나 내열성의 원통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나 버섯재배용의 공기필터를 부착시킨 폴리프로필렌 용기 또는 내열성 폴리플로필렌 주머니를 사용하여 발효시킴으로서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멸균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발효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혼합 단계 이후에 110-130℃, 예컨대, 약 121℃에서 최대 120분, 예컨대 80-120분동안 처리하는 멸균 처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콩, 콩가공산물, 및/또는 소이화이바를 주재료로 포함하는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 배양용 배지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배지 조성물을 110-130℃, 예컨대, 약 121℃에서 최대 120분, 예컨대 80-120분동안 멸균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멸균 처리된 배지 조성물에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을 접종하고 25-30℃에서 1-2개월간 배양하여 상기 주재료를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콩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지 내 최종 수분 함량을 소정의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체중 감량에 유용한 모나스커스 속 균주의 발효 효율을 현저하게 증진시킬 수 있고, 상기 배지에 모나스커스 속 균주를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을 제공함으로써, 체중감량제 제조, 및 체중 감량용 식품 및 사료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배양된 배지에 따른 모나스커스 필로서스(Monascus pilosus, KCCM 60084)의 발효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하기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1. 모나스커스속 균주의 발효
1.1. 발효에 사용된 균주의 준비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는 모나스커스 필로서스(Monascus pilosus, KCCM 60084), 모나스커스 알부스(Monascus albus, KCCM 60395), 모나스커스 퍼푸레우스(Monascus purpureus, KCTC 6121), 모나스커스 카올리앙(Monascus kaoliang, KCCM 60154), 모나스커스 루버(Monascus ruber, KCCM 60392), 및 모나스커스 에레모필러스(Monascus eremophilus, ATCC)를 배지(글루코오스 5%(w/v), 콩단백(주성분: Peptone) 2%(w/v), KH2PO4 0.8%(w/v), MgSO4 7H2O 0.05%(w/v), CH3COOK 0.2%(w/v), 및 NaCl 0.1%(w/v))에 각각 접종하여 30℃에서 7일간 배양한 종배양액을 하기의 발효 소이화이바 또는 발효 소이의 생산, 배양, 제조에 사용하였다.
1.2. 발효 소이화이바 또는 발효 소이의 제조
국내산 은하콩(Glycine Eunha)을 농협에서 구입하여 원료 콩으로 사용하였다.
1.2.1. 발효 소이화이바의 제조
두유 부산물인 비지를 정식품로부터 제공받았으며, 상기 비지를 10 부피배의 물로 3회 세척하고 탈수하여 소이화이바를 얻었다. 또한, 콩의 첫 번째 껍질을 분리하여 얻어진 연세유업으로 제공받은 콩껍질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비지, 콩껍질, 및 소이화이바를 주재료로 하여, 여기에 하기하는 부재료를 배지 내 최종 함량이 건조물 중량 대비 2-15%(w/w)가 되도록 혼합하고 (표 1 및 표 2 참조), 최종 수분 함량을 약 46 내지 55 중량%가 되도록 맞추었다.
상기 부재료로서, 시판 PD(potato dextrose) 혼합물 (Difco 대동화학), 콩열수추출물에 우유카제인을 혼합한 시판 트립틱 소이브로스 (tryptic soy broth: Difco 대동화학), 글루코오스 혼합물 (글루코오스 5%(w/v), 콩단백(주성분: Peptone) 2%(w/v), KH2PO4 0.8%(w/v), MgSO4 7H20 0.05%(w/v), CH3COOK 0.2%(w/v), NaCl 0.1%(w/v), 물 91.85ml), 옥수수전분 (콘프로덕츠코리아), 및 백미 가루를 각각 사용하여 표 1 및 표 2의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각각의 배지에 실시예 1.1에서 준비된 각각의 균주의 종배양액을 각각 108 cell/mL 의 양으로 접종하여, 25~30℃에서 30일간 통기 배양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발효 소이화이바는 70℃에서 건조시킨 후, 100mesh로 분쇄하여 하기의 시험에 사용하였다.
1.2.2. 발효 소이의 제조
원료 콩을 수세하고, 70℃에서 건조시켜 분쇄하여 건조 콩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콩 분말(소이분말)에 부재료로서 물과 글루코오스 혼합물 (글루코오스 5%(w/v), 콩단백(주성분: Peptone) 2%(w/v), KH2PO4 0.8%(w/v), MgSO4 7H20 0.05%(w/v), CH3COOK 0.2%(w/v), NaCl 0.1%(w/v), 물 91.85ml)을 첨가하였다. 최종 수분 함량이 약 5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고, 글루코오스 혼합물의 경우, 최종 함량이 콩 분말과 글루코오스 혼합물의 건조물 중량 대비 8.15 %(w/v)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조된 각각의 배지에 실시예 1.1에서 준비된 각각의 균주의 종배양액을 각각 108 cell/mL 의 양으로 접종하여, 25~30 ℃에서 30 일간 통기 배양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발효 소이는 70℃에서 건조시킨 후, 100mesh로 분쇄하여 하기의 시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발효 소이화이바 또는 발효 소이의 균주별 및 배지별 발효 효율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발효 소이화이바 또는 발효 소이에서의 다양한 모나스커스 속 균주의 발효 상태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발효 소이화이바 또는 발효 소이에서의 다양한 모나스커스 속 균주의 성장 상태를 색상의 정도로 관능적으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 모나스커스 특유의 적색색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발효상태가 다소 불량,
++: 모나스커스 특유의 적색색상이 보통수준으로 나타나고, 발효상태가 양호,
+++: 모나스커스 특유의 적색색상이 골고루 그리고 진하게, 발효상태가 아주 양호
비교를 위하여, 한국특허등록 제10-0699046호의 실시예 1에 기재된 발효 소이화이바의 제조에 의하여 제조된 배지(건조 소이화이바 80g+글루코오스 1g+물 19g)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균주를 배양한 것을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사용균주 배지조성 배 지 명 발효상태
Monascus pilosus
KCCM 60084
소이화이바 80g+글루코오스 1g+물 19ml(비교예) 소이화이바+5%글루코오스 +
소이화이바 100g+PD혼합물 50ml+물 150ml 소이화이바+PD 혼합물 +++
소이화이바 100g+소이브로스 100ml 소이화이바+소이브로스 +++
소이화이바 100g+글루코오스 혼합물 100ml 소이화이바+글루코오스 혼합물 +++
소이화이바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소이화이바+10%전분+ 5%글루코오스 +++
소이화이바 90g+쌀가루 10g+물 100ml 소이화이바+10%쌀가루 ++
비지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비지+10%전분 +5% 글루코오스 +++
소이분말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소이분말 +10%전분 +5% 글루코오스 ++
콩껍질 85g+전분 10g+글루코오스5g+물 100ml 콩껍질+ 10%전분 +5% 글루코오스 +++
Monascus albus
KCCM 60395
소이화이바 80g+글루코오스 1g +물 19ml(비교예) 소이화이바+5%글루코오스 +
소이화이바 100g+PD혼합물 50ml+물 150ml 소이화이바+PD 혼합물 +++
소이화이바 100g+소이브로스 100ml 소이화이바+소이브로스 +++
소이화이바 100g+글루코오스 혼합물 100ml 소이화이바+글루코오스 혼합물 +++
소이화이바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소이화이바+10%전분+5%글루코오스 +++
소이화이바 90g+쌀가루 10g+물 100ml 소이화이바+10%쌀가루 ++
비지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비지+10%전분 +5% 글루코오스 +++
소이분말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소이분말 +10%전분 +5% 글루코오스 +++
콩껍질 85g+전분 10g+글루코오스5g+물 100ml 콩껍질+10%전분 +5% 글루코오스 +++
Monascus pupureus
KCTC 6121
소이화이바 80g+글루코오스 1g +물 19ml(비교예) 소이화이바+5%글루코오스 +
소이화이바 100g+PD혼합물 50ml+물 150ml 소이화이바+PD 혼합물 +++
소이화이바 100g+소이브로스 100ml 소이화이바+소이브로스 +++
소이화이바 100g+글루코오스 혼합물 100ml 소이화이바+글루코오스 혼합물 +++
소이화이바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소이화이바+10%전분+5%글루코오스 +++
소이화이바 90g+쌀가루 10g+물 100ml 소이화이바+10%쌀가루 ++
비지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비지+10%전분 +5% 글루코오스 +++
소이분말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소이분말 +10%전분 +5% 글루코오스 ++
콩껍질 85g+전분 10g+글루코오스5g+물 100ml 콩껍질+10%전분 +5% 글루코오스 +++
Monascus kaoliang
KCCM 60154
소이화이바 80g+글루코오스 1g +물 19ml(비교예) 소이화이바+5%글루코오스 +
소이화이바 100g+PD혼합물 50ml+물 150ml 소이화이바+PD 혼합물 +++
소이화이바 100g+소이브로스 100ml 소이화이바+소이브로스 +++
소이화이바 100g+글루코오스 혼합물 100ml 소이화이바+글루코오스 혼합물 +++
소이화이바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소이화이바+10%전분+5%글루코오스 +++
소이화이바 90g+쌀가루 10g+물 100ml 소이화이바+10%쌀가루 ++
비지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비지+10%전분 +5% 글루코오스 +++
소이분말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소이분말 +10%전분 +5% 글루코오스 ++
콩껍질 85g+전분 10g+글루코오스5g+물 100ml 콩껍질+10%전분 +5% 글루코오스 +++
Monascus ruber
KCCM 60392
소이화이바 80g+글루코오스 1g +물 19ml(비교예) 소이화이바+5%글루코오스 +
소이화이바 100g+PD혼합물 50ml+물 150ml 소이화이바+PD 혼합물 +++
소이화이바 100g+소이브로스 100ml 소이화이바+소이브로스 +++
소이화이바 100g+글루코오스 혼합물 100ml 소이화이바+글루코오스 혼합물 +++
소이화이바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소이화이바+10%전분+5%글루코오스 +++
소이화이바 90g+쌀가루 10g+물 100ml 소이화이바+10%쌀가루 ++
비지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비지+10%전분 +5% 글루코오스 +++
소이분말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소이분말 +10%전분 +5% 글루코오스 +++
콩껍질 85g+전분 10g+글루코오스5g+물 100ml 콩껍질+10%전분 +5% 글루코오스 +++
Monascus eremophilus
(ATCC)
소이화이바 80g+글루코오스 1g +물 19ml(비교예) 소이화이바+5%글루코오스 +
소이화이바 100g+PD혼합물 50ml+물 150ml 소이화이바+PD 혼합물 +++
소이화이바 100g+소이브로스 100ml 소이화이바+소이브로스 +++
소이화이바 100g+글루코오스 혼합물 100ml 소이화이바+글루코오스 혼합물 +++
소이화이바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소이화이바+10%전분+5%글루코오스 +++
소이화이바 90g+쌀가루 10g+물 100ml 소이화이바+10%쌀가루 ++
비지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비지+10%전분 +5% 글루코오스 +++
소이분말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소이분말 +10%전분 +5% 글루코오스 ++
콩껍질 85g+전분 10g+글루코오스5g+물 100ml 콩껍질+10%전분 +5% 글루코오스 +++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5%(w/v) 글루코오스를 부재료로 사용한 소이화이바 배지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소이화이바 배지에서의 모나스커스 속 균주의 발효 상태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발효 소이화이바 또는 발효 소이의 균주별 및 배지별 체중 감량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소이화이바 또는 발효 소이의 체중 감량 효과를 각 균주별 및 각 배지별로 측정하였다.
체중 감량 효과는 4주령의 SD계 흰쥐(숫놈, 평균체중 110g, 오리엔트사)에 라아드를 첨가한 시판 펠렛사료(오리엔트사)로 3주간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한 후, 정상군, 비만군, 발효 소이화이바 또는 발효 소이 2 중량% 혼합 사료 급여군의 3개군으로 구분한 뒤 균주별 6개군, 배지별 9개군으로 나눈 후 군당 3마리로 5주간 사육한 후 체중을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비만대조군에 대한 체중의 감소율(%)로서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사용균주        배 지 조 성  체중감소율(%)
Monascus pilosus
KCCM 60084
소이화이바 80g+ 글루코오스 1g +물 19g (비교예) 22.4
소이화이바 100g+PD혼합물 50ml+물 150ml 31.7
소이화이바 100g+소이브로스 100ml 33.6
소이화이바 100g+글루코오스 혼합물 100ml 34.5
소이화이바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3.2
소이화이바 90g+쌀가루 10g+물 100ml 25.9
비지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3.0
소이분말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28.6
콩껍질 85g+전분 10g+글루코오스5g+물 100ml 34.7
Monascus albus
KCCM 60395
소이화이바 80g+ 글루코오스 1g +물 19g (비교예) 20.5
소이화이바 100g+PD혼합물 50ml+물 150ml 31.4
소이화이바 100g+소이브로스 100ml 36.5
소이화이바 100g+글루코오스 혼합물 100ml 33.7
소이화이바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5.0
소이화이바 90g+쌀가루 10g +물 100ml 22.5
비지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2.8
소이분말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0.2
콩껍질 85g+전분 10g+글루코오스5g+물 100ml 36.8
Monascus pupureus
KCTC 6121
소이화이바 80g+ 글루코오스 1g +물 19g (비교예) 20.7
소이화이바 100g+PD혼합물 50ml+물 150ml 32.3
소이화이바 100g+소이브로스 100ml 36.7
소이화이바 100g+글루코오스 혼합물 100ml 33.5
소이화이바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0.3
소이화이바 90g+쌀가루 10g +물 100ml 25.3
비지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29.5
소이분말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0.1
콩껍질 85g+전분 10g+글루코오스5g+물 100ml 34.3
Monascus kaoliang
KCCM 60154
소이화이바 80g+ 글루코오스 1g +물 19g (비교예) 20.1
소이화이바 100g+PD혼합물 50ml+물 150ml 32.8
소이화이바 100g+소이브로스 100ml 34.5
소이화이바 100g+글루코오스 혼합물 100ml 35.6
소이화이바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6.1
소이화이바 90g+쌀가루 10g +물 100ml 29.6
비지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2.3
소이분말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2.7
콩껍질 85g+전분 10g+글루코오스5g+물 100ml 36.9
Monascus ruber
KCCM 60392
소이화이바 80g+ 글루코오스 1g +물 19g (비교예) 22.6
소이화이바 100g+PD혼합물 50ml+물 150ml 33.5
소이화이바 100g+소이브로스 100ml 30.5
소이화이바 100g+글루코오스 혼합물 100ml 34.0
소이화이바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4.7
소이화이바 90g+쌀가루 10g +물 100ml 25.8
비지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3.6
소이분말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2.9
콩껍질 85g+전분 10g+글루코오스5g+물 100ml 35.1
Monascus eremophilus
(ATCC)
소이화이바 80g+ 글루코오스 1g +물 19g (비교예) 21.2
소이화이바 100g+PD혼합물 50ml+물 150ml 33.8
소이화이바 100g+소이브로스 100ml 35.3
소이화이바 100g+글루코오스 혼합물 100ml 33.8
소이화이바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3.1
소이화이바 90g+쌀가루 10g +물 100ml 27.2
비지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1.6
소이분말 85g+전분10g+글루코오스 5g+물 100ml 30.9
콩껍질 85g+전분 10g+글루코오스5g+물 100ml 33.6
상기 표 2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글루코오스(수분함량 20중량% 미만)을 이용하는 발효 소이화이바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발효 소이화이바 또는 발효 소이의 경우 전체적으로 체중 감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재료로서 감자 덱스트로스(PD), 소이브로스 또는 글루코오스 혼합물을 사용한 경우에 체중 감소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배지의 수분 함량에 따른 발효 상태 시험
배지의 수분 함량에 따른 균사체 성장 상태를 비교하였다. 균사체는 Monascus pilosus(KCCM 60084)를 사용하고, 배지는 실시예 1에서 부재료로서 5%(w/v) 글루코오스(콘프로덕츠코리아)을 사용한 것과 배지의 최종 수분 함량을 아래의 표 3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 및 공정은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배지를 사용하여, 1개월간 발효시켰을 때 균주의 발효상태를 평가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사용균주        배 지 명   배지 수분 함량   발효상태
Monascus pilosus 소이화이바 +5%글루코오스   35% 이하     +
  45%    +++ 
  50%    +++
  55%    ++++
  60%    +++
65 ++
70% +
(+: 모나스커스 특유의 적색 색소 생성이 불량하여 전반적으로 적색도가 낮음.
++: 모나스커스 특유의 적색 색소 생성이 보통 정도임.
+++: 모나스커스 특유의 적색 색소 생성량이 높음. 배지 전체가 적색을 띰.
++++: 모나스커스 특유의 적색 색소 생성량이 높음. 색소의 함량이 높아 배지전체가 흑적색을 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지 내 수분 함량이 45 내지 65 중량%일 때 모나스커스 속 균주의 발효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1)

  1. 콩, 콩가공산물, 및 콩, 콩가공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진 소이화이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주재료;
    글루코오스 2.5-7.5 중량부, 제일인산칼륨(KH2PO4) 0.5-1.4 중량부, 황산마그네슘(MgSO47H20) 0.02-0.07 중량부, 및 초산칼륨(CH3COOK) 0.1-0.4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 글루코오스, 감자 열수추출물, 감자 덱스트로오스, 콩 열수 추출물, 콩 열수추출물에 카제인을 혼합한 소이브로스, 쌀가루, 전분, 및 맥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부재료; 및
    물을 포함하고,
    최종 수분 함량이 45 내지 60 중량%인,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 배양용 배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배지 조성물 내의 상기 부재료의 함량은 총 건조 중량 대비 1 내지 25 중량%인, 배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배지 조성물 내 최종 수분 함량이 45 내지 57 중량%인, 배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가공산물은 콩 분말, 볶음 콩 분말, 비지, 및 콩껍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배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는 모나스커스 필로서스(Monascus pilosus), 모나스커스 앙카(Monascus anka), 모나스커스 알부스(Monascus albus), 모나스커스 퍼푸레우스(Monascus purpureus), 모나스커스 카올리앙(Monascus kaoliang), 모나스커스 루버(Monascus ruber), 및 모나스커스 에레모필러스(Monascus erem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배지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배지 조성물에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를 배양하여 얻어진 콩 발효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는 모나스커스 필로서스(Monascus pilosus), 모나스커스 앙카(Monascus anka), 모나스커스 알부스(Monascus albus), 모나스커스 퍼푸레우스(Monascus purpureus), 모나스커스 카올리앙(Monascus kaoliang), 모나스커스 루버(Monascus ruber), 및 모나스커스 에레모필러스(Monascus erem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콩 발효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나스커스속(Monascus spp.) 균주의 접종량은 106 cell/mL(g) 내지 1010 cell/mL(g)인, 콩 발효물.
  9. 제6항의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 조절제.
  10. 제6항의 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체중 조절용 건강 기능 식품.
  11. 제6항의 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체중 조절용 사료 조성물.
KR1020110071883A 2011-07-20 2011-07-20 콩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콩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조절제 KR101232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883A KR101232845B1 (ko) 2011-07-20 2011-07-20 콩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콩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조절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883A KR101232845B1 (ko) 2011-07-20 2011-07-20 콩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콩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조절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016A KR20130011016A (ko) 2013-01-30
KR101232845B1 true KR101232845B1 (ko) 2013-02-13

Family

ID=4784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883A KR101232845B1 (ko) 2011-07-20 2011-07-20 콩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콩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조절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8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4378B (zh) * 2022-06-06 2023-11-28 宁波大学 一种植物蛋白人造肉及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565B1 (ko) 2001-05-11 2003-10-30 김순동 다량의 모나콜린이 함유된 비지 홍국을 이용한 닭사료 제조방법
KR20060045292A (ko) * 2004-11-12 2006-05-17 김순동 체중조절기능이 있는 발효 소이화이바 제조법 및 체중조절조성물
KR101145181B1 (ko) 2011-09-08 2012-05-14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홍국균을 이용한 검정콩 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565B1 (ko) 2001-05-11 2003-10-30 김순동 다량의 모나콜린이 함유된 비지 홍국을 이용한 닭사료 제조방법
KR20060045292A (ko) * 2004-11-12 2006-05-17 김순동 체중조절기능이 있는 발효 소이화이바 제조법 및 체중조절조성물
KR100699046B1 (ko) 2004-11-12 2007-03-23 이현구 체중조절기능이 있는 발효 소이화이바 제조법 및 체중조절조성물
KR101145181B1 (ko) 2011-09-08 2012-05-14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홍국균을 이용한 검정콩 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016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568B1 (ko) 황국균 및 유산균 복합발효기술을 이용한 발효효소식품의 제조 방법
CN101797014B (zh) 一种低胆固醇营养禽蛋的生产方法及其产品
CN112244299B (zh) 一种具有缓解非酒精性脂肪肝功能的益生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921325B1 (ko) 어묵 반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어묵
CN107267403A (zh) 羊肚菌菌丝体的培养基、羊肚菌复合菌丝体及制备方法
KR101908392B1 (ko) 버섯주의 제조 방법
TWI408226B (zh) 高麥角硫因含量杏鮑菇菌絲體之液態培養
KR101701827B1 (ko) 불릴 필요없는 발효 곡물의 제조방법
JP5306768B2 (ja) オルニチンを含有する味噌の製造方法
KR101996384B1 (ko) 기능성 청국장 블록의 제조방법
KR101232845B1 (ko) 콩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콩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조절제
JP5081485B2 (ja) 抗癌剤及び抗癌剤の製造方法
KR101921327B1 (ko) 어묵의 제조방법
KR101575867B1 (ko) 유리 칼슘 함량이 향상된 곡물 조성물 제조방법
CN102742742B (zh) 一种灵芝孢子鸡饲料
KR20170025075A (ko) Gaba를 함유한 발효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030466A (ja) 肉牛飼料及びそれを用いた肉牛の肥育方法
KR102140382B1 (ko) 복합배양 균사체 및 홍국현미가 포함된 취반용 첨가제
KR101289970B1 (ko)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막걸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막걸리
KR101264007B1 (ko) 대두 단백질과 고춧가루를 주원료로 하는 유산균 함유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JP2008050296A (ja) 生理活性組成物
WO2002049661A1 (fr) Prophylactiques/medicaments contre le diabete et aliments fonctionnels contenant ces prophylactiques/medicaments
KR102514930B1 (ko) 옥수수대 및 사탕수수 줄기박을 이용한 버섯 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
TWI760892B (zh) 用於生產monacolin k和/或綠原酸的方法以及由該方法所獲得的培養產物
KR101958745B1 (ko) 미역을 이용한 된장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된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