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180B1 -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 - Google Patents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180B1
KR101231180B1 KR1020120107302A KR20120107302A KR101231180B1 KR 101231180 B1 KR101231180 B1 KR 101231180B1 KR 1020120107302 A KR1020120107302 A KR 1020120107302A KR 20120107302 A KR20120107302 A KR 20120107302A KR 101231180 B1 KR101231180 B1 KR 101231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rail
guardrail
front cover
bolt
sp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문규
현기환
Original Assignee
매크로드 주식회사
주식회사 웰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크로드 주식회사, 주식회사 웰콘 filed Critical 매크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7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진행하는 차량이 가드레일의 끝 단부에 충돌하더라도 가드레일의 끝 단부에 설치된 충격완화대에 의해 차량 충돌시 충격을 모두 흡수하게 되는 단부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되어 대형사고는 물론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의 단부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전면커버(10)와 일체로 형성된 내부에 원호형의 칸막이(21)로 다수개의 공간(22)을 형성한 원호형의 후면커버(20)와, 상기 다수개의 공간(22) 외측에 각각 충진된 모래 충진재(30) 및 내측에 충진된 탄성을 갖는 재활용 고무충진재(31)와, 상기 전면커버(10)에 다수개의 볼트(40)의 머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하로 2개 형성된 안내가이드(50)(51)와, 상기 안내가이드(50)(51) 2개에 각각 볼트의 머리를 삽입한 볼트(40)와 너트(41)에 의해 밀착되게 결합하여 고정되는 밀착판(61)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지지대(62)에 의해 지지된 상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60)과, 상기 안내가이드(51) 1개에 볼트의 머리를 삽입한 볼트(40)와 너트(41)에 의해 밀착되게 결합하여 고정되는 밀착판(71)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지지대(72)에 의해 지지된 하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70)과, 상기 전면커버(10) 및 후면커버(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부덮개(80) 및 하부덮개(81)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Shock absorba for edge of guide rail}
본 발명은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진행하는 차량이 가드레일의 끝 단부에 충돌하더라도 가드레일의 끝 단부에 설치된 충격완화대에 의해 차량 충돌시 충격을 모두 흡수하게 되는 단부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되어 대형사고는 물론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도로에서 이탈되는 차량이 탈선되지 않도록 도로를 따라 도로의 중앙이나 양측의 갓길에 설치되어 도로에서 이탈되는 차량과 충돌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드레일은 대개 차량이 도로의 외측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주로 산길이나 굴곡로에 설치되며, 도시에서는 보행자가 보호되도록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가드레일장치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이탈되지 않도록 도로를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지주(3)의 측방에 가드레일(1)이 길게 장착된다.
즉, 상기 지주(3)에 지지되는 상기 가드레일(1)은 도로에서 이탈되는 차량과 충돌하면서 차량이 도로에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기 가드레일(1)은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이 확보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식으로 절곡되어 알파벳의 'W'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드레일(1)은 상기 지주(3)에 분리가능하게 일체적으로 고정되도록 볼트의 볼팅에 의해 상기 지주(3)에 밀착고정된다.
그리고 가드레일(1)의 단부에는 라운드로 형성된 단부가드레일(2)이 볼트의 볼팅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드레일과 단부가드레일에 대하여 살펴보면, 가드레일의 단부에 아무런 방호장치 없이 일자형 태로 그대로 노출되면 충돌하더라도 가드레일판이 구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진행하는 차량이 이 가드레일 단부에 부딪칠 경우 가드레일이 차량 내부를 관통하여 탑승자에게 직접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되므로 그에 따라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심각히 위협하게 되며, 또한, 차량이 가드레일의 전면과 충돌할 경우 이 가드레일이 후면부로 기울어져 그 충격에 의해 차량이 도로 밖으로 튀겨져 나가게 되므로 그에 따라 가드레일의 방호특성도 상당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가드레일 추돌시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가드 레일 단부측에 단부가드레일을 설치하지만, 단부가드레일은 강철판으로 라인딩 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가드레일 단부 충돌시 발생하는 큰 충격을 완전하게 완화시킬 수는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진행하는 차량이 가드레일의 단부와 충돌하더라도 그 충격량을 흡수처리할 수 있게 가드레일 단부에 충격완화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완화대를 가드레일의 높이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게 높낮이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뿐만 아니라 충격완화대의 상부 커버에도 보강덧살을 W자형으로 형성하여 차량 추돌시 충격완화대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을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진행하는 차량이 가드레일의 단부측과 충돌하더라도 그 충격량을 충격완화대가 효과적으로 흡수처리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차량이 가드레일 단부에 박히거나 도로 밖으로 튕겨져나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된 가드 레일에 간단하게 높낮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현장상황에 맞춰 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드 레일 단부에 설치된 단부 가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대를 분리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대의 평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대를 가드레일의 단부에 설치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대를 가드레일에서 분리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대를 가드레일에 설치하여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충격완화대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충격완화대를 나타낸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끝단부에 설치되는 충격완화대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의 단부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전면커버(10)와 일체로 형성된 내부에 원호형의 칸막이(21)로 다수개의 공간(22)을 형성한 원호형의 후면커버(20)와,
상기 다수개의 공간(22) 외측에 각각 충진된 모래 충진재(30) 및 내측에 충진된 탄성을 갖는 재활용 고무충진재(31)와,
상기 전면커버(10)에 다수개의 볼트(40)의 머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하로 2개 형성된 안내가이드(50)(51)와,
상기 안내가이드(50)(51) 2개에 각각 볼트의 머리를 삽입한 볼트(40)와 너트(41)에 의해 밀착되게 결합하여 고정되는 밀착판(61)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지지대(62)에 의해 지지된 상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60)과,
상기 안내가이드(51) 1개에 볼트의 머리를 삽입한 볼트(40)와 너트(41)에 의해 밀착되게 결합하여 고정되는 밀착판(71)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지지대(72)에 의해 지지된 하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70)과,
상기 전면커버(10) 및 후면커버(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부덮개(80) 및 하부덮개(81)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가드레일 안착고정판(60)과 하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70)에 안착된 상부가드레일(90)과 하부가드레일(91)을 체결구(100)로 체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충격완화대(110)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로에서 이탈되는 차량이 탈선되지 않도록 도로를 따라 도로의 중앙이나 양측의 갓길에 설치되어 도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90)(91)의 단부측에 차량이 충돌될 때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90)(91)이 단부측에 설치되는 충격완화대(110)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90)(91)의 단부측에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전면커버(10)와 후면커버(20)로 구성되고, 전면커버(10)와 후면커버(20)는 조립 및 일체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면커버(10)와 후면커버(20)의 단부를 상부덮개(80)와 하부덮개(81)의 삽입홈에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10)와 후면커버(2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는 칸막이(21)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칸막이(2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22)의 외측에는 차량 충돌시 충격을 완화 및 흡수시키기 위한 모래충진재(30)를 충진하고, 또 공간(22)의 내측에는 탄성을 갖는 재활용 고무로 형성된 고무충진재(31)를 충진하여 구성한다. 이때 공간에는 기타 다른 충격완충재질을 채울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22)을 다수개 형성하되, 맨 외측 공간(22)은 비우고, 그 다음 공간에 모래충진재(30)를 충진하고, 전면커버(10)와 접촉하는 내측의 공간에 고무충진재(31)를 충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전면커버(10) 및 후면커버(20)의 상부와 저면에는 상부덮개(80) 및 하부덮개(81)를 덮어 외관을 미려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부덮개(80)에는 W자형의 보강덧살(82)을 형성하여 차량 충돌시 충격완화대(110)의 파손을 보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면커버(10)에는 상부 가드레일(90)과 하부 가드레일(91)에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안내가이드(50)(61)가 2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내가이드(50)(51)에는 볼트(40)의 머리를 삽입하여 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구성됨은 물론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부 및 하부가드레일(90)(91)을 안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60)(70)을 너트(41)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60)(70)은 볼트(40)와 너트(41)에 의해 전면커버(10)에 밀착하여 고정하는 밀착판(61)(71)에 수평으로 형성됨은 물론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60)(7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62)(72)가 저면에 형성되어 밀착판(61)(71)과 대각선으로 연결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60)(70)에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90)(91)을 안착하여 체결구(100)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안내가이드(50)(51)에 볼트의 머리를 삽입한 볼트(40)를 상하로 이동하여 상부 가드레일(90) 및 하부 가드레일(91)의 높낮이를 맞추어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60)(7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너트(41)로 밀착판(61)(71)을 전면커버(10)에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60)은 전면커버(10)에 형성된 2개의 안내가이드(50)(51)에 창착된 2개의 볼트(40)에 의해 고정되고 하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70)은 전면커버(10)에 형성된 1개의 안내가이드(51)에 장착된 1개의 볼트(40)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부 가드레일(90)은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이를 받쳐서 고정하기 위한 상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60)의 폭을 넓게 형성하여 2개의 볼트(40) 및 너트(41)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고, 하부 가드레일(91)은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이를 받쳐서 고정하기 위한 하부 가드레일 안착판(70)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 1개의 볼트(40) 및 너트(41)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90)(91)의 중량에 따라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60)(70)의 폭이 넓고 좁은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완화대(120)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전면커버(10)와 후면커버(20)의 내부에 달팽이관으로 형성된 칸막이(11)를 다수개 설치하여, 칸막이(11)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12)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의 공간(12)에는 모래충진재(30)를 충진하고, 외측의 공간(12)에는 탄성이 있고 재활용으로 사용된 고무충진재(31)를 충진하여 구성한다.
그뿐만 아니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한 충격완화대(130)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전면커버(10)와 후면커버(20)의 내부에 서로 엇갈리게 호형으로 형성된 칸막이(13)를 다수개 설치하되, 상기 칸막이(13)가 서로 겹치는 부분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구별되도록 하는 공간(14)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후면커버(20)에 가까운 쪽의 공간(14)부터 외측의 공간(14a)라 하고, 다음에 위치하는 공간은 내측의 공간(14b)이라 하며, 상기 외측의 공간(14a)과 내측의 공간(14b)은 공간(14)에 순차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외측의 공간에는 각각 모래충진재(30)를 충진하고, 내측의 공간(14b)에는 탄성이 있고 재활용으로 사용된 고무충진재(31)를 충진하여 구성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 8 및 도 9의 충격완화대(120)(130)는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하여 상부 및 하부가드레일(90)(91)에 밀착하여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60)(70)에 의해 고정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전면커버 11, 13, 21. 칸막이
12, 14, 22, 공간 20. 후면커버
30. 모래충진재 31, 고무충진재
40. 볼트 41. 너트
50, 51. 안내가이드 60. 상부가드레일고정판
61, 71. 밀착판 62, 72. 지지대
70. 하부가드레일고정판 80. 상부덮개
81. 하부덮개 90. 상부 가드레일
91. 하부 가드레일 100. 체결구
110. 충격완화대

Claims (5)

  1. 상부 및 하부 가드레일의 단부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전면커버(10)와 일체로 형성된 내부에 원호형의 칸막이(21)로 다수개의 공간(22)을 형성한 원호형의 후면커버(20)와,
    상기 다수개의 공간(22) 외측에 각각 충진된 모래 충진재(30) 및 내측에 충진된 탄성을 갖는 재활용 고무충진재(31)와,
    상기 전면커버(10)에 다수개의 볼트(40)의 머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하로 2개 형성된 안내가이드(50)(51)와,
    상기 안내가이드(50)(51) 2개에 각각 볼트의 머리를 삽입한 볼트(40)와 너트(41)에 의해 밀착되게 결합하여 고정되는 밀착판(61)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지지대(62)에 의해 지지된 상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60)과,
    상기 안내가이드(51) 1개에 볼트의 머리를 삽입한 볼트(40)와 너트(41)에 의해 밀착되게 결합하여 고정되는 밀착판(71)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지지대(72)에 의해 지지된 하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70)과,
    상기 전면커버(10) 및 후면커버(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부덮개(80) 및 하부덮개(81)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60)과 하부 가드레일 안착고정판(70)에 안착된 상부가드레일(90)과 하부가드레일(91)을 체결구(100)로 체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50)(51)에 볼트의 머리를 삽입한 볼트(40)를 상하로 이동하여 상부가드레일(90) 및 하부가드레일(91)의 높낮이 맞추어 상부 및 하부가드 안착 고정판(60)(7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너트(41)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10)와 후면커버(20)의 내부에 달팽이관으로 형성된 칸막이(11)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12)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내측의 공간에 각각 모래충진재(30)를 충진하고, 외측의 공간에 고무충진재(31)를 충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10)와 후면커버(20)의 내부에 서로 엇갈리게 호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칸막이(13)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14)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외측의 공간(14a)에는 각각 모래충진재(30)를 충진하고, 내측의 공간(14b)에는 각각 고무충진재(31)를 충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


KR1020120107302A 2012-09-26 2012-09-26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 KR101231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302A KR101231180B1 (ko) 2012-09-26 2012-09-26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302A KR101231180B1 (ko) 2012-09-26 2012-09-26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180B1 true KR101231180B1 (ko) 2013-02-15

Family

ID=4789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302A KR101231180B1 (ko) 2012-09-26 2012-09-26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1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07932Y1 (en) * 1994-04-22 1995-11-20 Kim Ki Hwan Prefabricated fences
KR100348707B1 (ko) 1999-11-25 2002-08-14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200357099Y1 (ko) 2004-04-27 2004-07-21 홍봉선 우레탄 흡수봉을 이용한 도로의 중앙 분리대용충돌방지시설
KR200435121Y1 (ko) 2006-09-30 2007-01-09 (주)금성개발 충격흡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07932Y1 (en) * 1994-04-22 1995-11-20 Kim Ki Hwan Prefabricated fences
KR100348707B1 (ko) 1999-11-25 2002-08-14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200357099Y1 (ko) 2004-04-27 2004-07-21 홍봉선 우레탄 흡수봉을 이용한 도로의 중앙 분리대용충돌방지시설
KR200435121Y1 (ko) 2006-09-30 2007-01-09 (주)금성개발 충격흡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065B1 (ko) 이중 방호벽
KR101182975B1 (ko) 가드레일구조체
US10597834B2 (en) Crash barrier system with different intervals
KR100912464B1 (ko) 단부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가드레일장치
KR20170085800A (ko) 차량 충돌 충격 흡수장치
CN209975427U (zh) 一种防碰撞的市政道路安全防护栏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0603511B1 (ko) 도로 터널입구 충격흡수시설
KR101231180B1 (ko) 가드레일 끝단부 충격완화장치
KR200453404Y1 (ko) 충격흡수 및 가드레일판이 상승되는 가드레일
KR20120025822A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가드레일
KR101086826B1 (ko) 도로용 가드레일의 에어백 구조
KR100909829B1 (ko) 차량방호 울타리
KR102087262B1 (ko)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KR101644909B1 (ko) 방호울타리 단부처리용 차량충돌완충장치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KR101230449B1 (ko) 도로 안전 방호대
KR100682791B1 (ko) 차량용 방호 울타리
KR101328677B1 (ko) 충격완화형 가드레일
KR100686698B1 (ko) 도로 방호 울타리용 충격흡수장치
KR101134717B1 (ko)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101146746B1 (ko) 도로의 충격흡수장치
EP1254286B1 (en) Road safety barrier
KR101351197B1 (ko)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
KR200439401Y1 (ko) 도로용 방호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