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117B1 -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 - Google Patents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117B1
KR101225117B1 KR1020110009710A KR20110009710A KR101225117B1 KR 101225117 B1 KR101225117 B1 KR 101225117B1 KR 1020110009710 A KR1020110009710 A KR 1020110009710A KR 20110009710 A KR20110009710 A KR 20110009710A KR 101225117 B1 KR101225117 B1 KR 101225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ype
planetary gear
planetary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389A (ko
Inventor
권순만
김창현
남형철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09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1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18Shaft assemblies for gearings
    • F16H57/0025Shaft assemblies for gearings with gearing elements rigidly connected to a shaft, e.g. securing gears or pulleys by specially adapted splines, keys or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축에 연결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와 맞물린 제1유성기어와, 상기 제1유성기어의 외측에 맞물려 형성되는 제1링기어로 이루어진 1단감속부;와, 상기 제1유성기어와 일체로 결합되어 연동되는 제2유성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의 외측에 맞물려 형성되는 제2링기어로 이루어진 2단감속부;로 형성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유성기어는 상기 선기어의 외측에 각 복수 개(n)가 구비되어 지고, 상기 제1링기어를 고정하고 상기 선기어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2링기어로 출력하는 제1형 또는 상기 제2링기어를 고정하고 상기 선기어의 입력을 상기 제1링기어를 통해 출력하는 제2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형과 제2형의 감속비는 하기의 식과 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2062468283-pat00007
,
Figure 112012062468283-pat00008

여기에서, R1과 R2는 제1,2형의 감속비이고, Z1은 제1링기어의 잇수이고, Z2는 제1유성기어의 잇수이고, Z3은 제2유성기어의 잇수이고, Z4는 제2링기어의 잇수이고, Z5는 선기어의 잇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표준모듈을 이용하여 유성기어 감속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A 3K type planetary gear speed reducer using standard module}
본 발명은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준모듈 값을 이용하고 기어의 잇수를 설정하여 감속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성기어 감속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축에 선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선기어와 맞물려 그 주위를 공전과 자전하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가 등각도로 배치되고, 상기 유성기어 외측에 맞물리는 링기어로 구성된다.
차동유성 감속장치의 경우 상기 유성기어의 동일 축 선상에 다른 유성기어가 2단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의 다른 유성기어의 외측에 맞물려 돌아가는 두 번째 링기어는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구성되어, '수:1' 또는 '수만:1'의 다양한 감속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기어가공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표준모듈을 사용하여 원하는 감속비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2단으로 구성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에서 표준모듈을 사용하여 저감속 뿐만 아니라 고감속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1단감속부의 모듈(m1)과 제2감속부의 모듈(m2)이 다르더라도 기어 간의 물림이 실현될 수 있는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축에 연결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와 맞물린 제1유성기어와, 상기 제1유성기어의 외측에 맞물려 형성되는 제1링기어로 이루어진 1단감속부;와, 상기 제1유성기어와 일체로 결합되어 연동되는 제2유성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의 외측에 맞물려 형성되는 제2링기어로 이루어진 2단감속부;로 형성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유성기어는 상기 선기어의 외측에 각 복수 개(n)가 구비되어 지고, 상기 제1링기어를 고정하고 상기 선기어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2링기어로 출력하는 제1형 또는 상기 제2링기어를 고정하고 상기 선기어의 입력을 상기 제1링기어를 통해 출력하는 제2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형과 제2형의 감속비는 하기의 식과 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1007848014-pat00001
,
Figure 112011007848014-pat00002
여기에서, R1과 R2는 제1,2형의 감속비이고, Z1은 제1링기어의 잇수이고, Z2는 제1유성기어의 잇수이고, Z3은 제2유성기어의 잇수이고, Z4는 제2링기어의 잇수이고, Z5는 선기어의 잇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1단감속부의 모듈(m1)과 2단감속부의 모듈(m2)은 모두 표준모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1링기어와 제1유성기어의 잇수를 상기 제1유성기어 갯수(n)의 배수로 지정하면, 상기 선기어의 잇수는 하기의 식에 의해 자동 결정된다.
Z5 = Z1 - 2Z2
또한, 상기 제2링기어의 잇수를 상기 제2유성기어의 갯수(n)의 배수로 지정하면, 상기 제2유성기어의 잇수는 하기의 식에 의해 자동 결정된다.
Z3 = Z4 - (Z1 - Z2)m1/m2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저감속에서 고감속까지 다양한 감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감속비의 변화를 각 기어의 잇수의 미소한 차이로 실현함으로써 감속장치의 외관이 크게 변화되지 않으며, 외관이 크지 않아 다른 설비에 부착이 용이하며 공간을 작게 차지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기어의 잇수들을 조절함으로써 감속비를 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아울러 metric단위계를 사용하는 국가의 설계 기준인 표준모듈을 사용함으로써 호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제1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제2형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1단감속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2단감속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제1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유성기어와 제2유성기어의 일체형을 나타내는 실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제1형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제2형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1단감속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2단감속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제1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유성기어와 제2유성기어의 일체형을 나타내는 실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단감속부(100)와 2단감속부(200)로 형성되며, 상기 1단감속부(100)와 2단감속부(200) 중 출력의 위치에 따라 제1형(300)과 제2형(400)으로 나뉘게 된다.
상기 1단감속부(100)는, 입력축(140)에 연결되는 선기어(110)와, 상기 선기어(110)와 맞물린 제1유성기어(120)와, 상기 제1유성기어(120)의 외측에 맞물려 형성되는 제1링기어(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2단감속부(200)는 상기 제1유성기어(120)와 일체로 결합되어 연동되는 제2유성기어(210)와, 상기 제2유성기어(210)의 외측에 맞물려 형성되는 제2링기어(2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2유성기어(120,210)는 상기 선기어(110)의 외측에 각각 복수 개(n)가 구비되어 상기 선기어(110)와 맞물려 돌아가며 외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2링기어(130,220)와 맞물려 출력을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1형(300)은 상기 제1링기어(130)를 고정하고 상기 선기어(110)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2링기어(220)로 출력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제2형(400)은 상기 제2링기어(220)를 고정하고 상기 선기어(110)의 입력을 상기 제1링기어(130)를 통해 출력하는 제2형(400)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나타낸다.
도 1은 상기 제1링기어(130)를 고정하고, 상기 선기어(110)에 동력이 입력되어 상기 제2링기어(220)로 출력되는 제1형(300)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 2는 상기 제2링기어(220)를 고정하고 상기 선기어(110)에 동력이 입력되어 상기 제1링기어(130)로 출력되는 제2형(400)을 나타낸다.
그리고, 표준모듈을 사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 제1형(300)의 감속비를 계산하면, 상기 선기어(110)로부터 입력된 동력은 상기 제1유성기어(120)로 전달되고 이는 고정된 제1링기어(130) 내부에서 공전과 자전을 하게 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210)는 상기 제1유성기어(120)와 동일 축 선상에 결합되어 연동되게 되는데, 상기 제2링기어(220)는 상기 제2유성기어(210)의 외부에서 회전하게 되고 이는 출력축(미도시)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형(300)의 감속비는 하기의 식 ①과 같다.
Figure 112011007848014-pat00003
....................... ①
여기서, Z1은 제1링기어(130)의 잇수이고, Z2는 제1유성기어(120)의 잇수이고, Z3은 제2유성기어(210)의 잇수이고, Z4는 제2링기어(220)의 잇수이고, Z5는 선기어(110)의 잇수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제1형(300)과 제2형(400)의 감속비 관계는 하기의 식 ②와 같다.
R1 + R2 = 1 .................. ②
여기서, 상기 1단감속부(100)의 모듈(m1)과 2단감속부(200)의 모듈(m2)은 모두 표준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표준모듈을 사용하여 기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1단감속부(100)와 2단감속부(200)의 모듈(m1,m2)을 선정하고, 이후 각각의 기어의 잇수를 선정하게 되는데, 상기 제1링기어(130)와 제1유성기어(120)의 잇수를 상기 제1유성기어(120) 갯수(n)의 배수로 지정하면, 상기 선기어(110)의 잇수는 하기의 식 ③에 의해 결정된다.
Z5 = Z1 - 2Z2 .................. ③
그리고, 상기 제1링기어(130)의 잇수 Z1과 상기 선기어(110)의 잇수 Z5는 하기의 식 ④를 만족하여야 한다.
Figure 112011007848014-pat00004
.........................④
일반적으로, 상기 제1유성기어(120)를 n(2,3,4,5...)으로 등각배치하게 되면 상기 제1링기어(130)의 잇수 Z1과 상기 제1유성기어(120)의 잇수 Z2를 n의 배수가 되도록 하고, 목표 기어비의 근사값을 탐색하여 선정하면, 식 ③에 의해 상기 선기어의 잇수 Z5는 결정된다.
또한, 상기 제2링기어(220)의 잇수 Z4도 n의 배수가 되도록 하고, 목표 기어비 근사값을 탐색하여 선정하면, 하기의 식 ⑤에 의해 상기 제2유성기어(210)의 잇수 Z3는 자동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유성기어(210)의 잇수 Z3는 n의 배수가 아니어도 상관없다.
Z3 = Z4 - (Z1 - Z2)m1/m2 .....................⑤
정리하면, 상기 1단감속부(100)의 모듈(m1)과 상기 2단감속부(200)의 모듈(m2)을 표준모듈 내에서 선정하고 상기 제1링기어(130)의 잇수 Z1, 상기 제2링기어(220)의 잇수 Z4와 상기 제1유성기어(120)의 잇수 Z2를 n의 배수 값으로 정한다. 그러면 상기 선기어(110)와 제2유성기어(210)는 상기의 조건식 ③과 ⑤에 의해 각각 결정된다.
이상과 같은 절차에 의한 실시 예를 나타내기 위해 아래 표 1과 같이 유성기어 갯수를 n = 3으로 하고, 상기 1단감속부(100)와 2단감속부(200)의 모듈(m1, m2)을 각각 표준모듈인 2.0과 1.5로 설정하고, 상기 제1링기어(130)와 제1유성기어(120)의 잇수를 각각 Z1 = 90과 Z2 = 30으로 고정하고, 상기 제2링기어(220)의 잇수 Z4를 변화시키면서 감속비를 비교하였다.
CASE 1 CASE 2 CASE 3 CASE 4 CASE 5
Z1 90 90 90 90 90
Z2 30 30 30 30 30
Z3 10 16 25 28 34
Z4 90 96 105 108 114
Z5 30 30 30 30 30
m1 2.0 2.0 2.0 2.0 2.0
m2 1.5 1.5 1.5 1.5 1.5
R1 6 8 14 18 38
R2 -5 -7 -13 -17 -37
상기 표 1에서 감속비의 '-'부호는 입력되는 동력의 회전 방향 대비 출력은 역회전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기어의 잇수를 조금만 달리하여도 감속장치는 고감속 및 저감속 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형식(제1형 또는 제2형)을 변경하여 감속비의 변화가 거의 없이 회전방향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2의 CASE 5에서 Z1, Z2, Z4는 동일한 잇수 제원을 갖지만 표준 모듈을 변화시키면 Z3가 변하면서 이에 따른 감속비가 변하게 되는데, 그 변화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CASE 6 CASE 7 CASE 8 CASE 9
Z1 90 90 90 90
Z2 30 30 30 30
Z3 14 39 54 64
Z4 114 114 114 114
Z5 30 30 30 30
m1 0.5 0.5 0.5 0.5
m2 0.3 0.4 0.5 0.6
R1 6.33333 -152 -9.5 -5.84615
R2 -5.33333 153 10.5 6.84615
상기 표 2에서 모듈(m1)과 모듈(m2)는 KS 제1계열 표준모듈을 사용하고 있고, CASE 6과 CASE 7 또는 CASE 8에서 모듈은 미비하게 변하였지만 감속비는 6.33333에서 -152로 또는 -9.5로 변하였다.
상기의 표 1,2에서 제시한 9개의 CASE들은 단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각 기어의 잇수와 모듈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감속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 제시한 9개의 CASE들은 상기 선기어(110)의 둘레에 n = 3개의 유성기어를 등간격으로 배치한 경우로 3개 이외의 n = 2,4,5...개의 유성기어를 등간격으로 배치할 경우 상기 표에서의 3의 배수는 n의 배수로 변환하여 쉽게 응용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4이상의 유성기어 배치시 유성기어의 이끝원 겹침 방지를 위해 다음의 식은 부가적 조건으로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 < 180˚ / sin-1[(Z3 + 2a)/(Z1 + Z3)]
여기서, a는 반 깊이와 전체 깊이에 대하여 각각 0.8과 1.0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표준모듈 값을 이용하고 기어의 잇수를 설정하여 감속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1단감속부 110 : 선기어
120 : 제1유성기어 130 : 제1링기어
140 : 입력축 200 : 2단감속부
210 : 제2유성기어 220 : 제2링기어
300 : 제1형 400 : 제2형

Claims (4)

  1. 입력축에 연결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와 맞물린 제1유성기어와, 상기 제1유성기어의 외측에 맞물려 형성되는 제1링기어로 이루어진 1단감속부;와, 상기 제1유성기어와 일체로 결합되어 연동되는 제2유성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의 외측에 맞물려 형성되는 제2링기어로 이루어진 2단감속부;로 형성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유성기어는 상기 선기어의 외측에 각각 복수 개(n)가 구비되어 지고,
    상기 제1링기어를 고정하고 상기 선기어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2링기어로 출력하는 제1형 또는 상기 제2링기어를 고정하고 상기 선기어의 입력을 상기 제1링기어를 통해 출력하는 제2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형과 제2형의 감속비는 하기식
    Figure 112012062468283-pat00005
    ,
    Figure 112012062468283-pat00006

    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 (여기서, R1과 R2는 제1,2형의 감속비이고, Z1은 제1링기어의 잇수이고, Z2는 제1유성기어의 잇수이고, Z3은 제2유성기어의 잇수이고, Z4는 제2링기어의 잇수이고, Z5는 선기어의 잇수를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감속부의 모듈(m1)과 2단감속부의 모듈(m2)은 모두 표준모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링기어와 제1유성기어의 잇수를 상기 제1유성기어 갯수(n)의 배수로 지정하면, 상기 선기어의 잇수는 하기의 식에 의해 자동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

    Z5 = Z1 - 2Z2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기어의 잇수를 상기 제2유성기어의 갯수(n)의 배수로 지정하면, 상기 제2유성기어의 잇수는 하기의 식에 의해 자동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

    Z3 = Z4 - (Z1 - Z2)m1/m2
KR1020110009710A 2011-01-31 2011-01-31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 KR101225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710A KR101225117B1 (ko) 2011-01-31 2011-01-31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710A KR101225117B1 (ko) 2011-01-31 2011-01-31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389A KR20120088389A (ko) 2012-08-08
KR101225117B1 true KR101225117B1 (ko) 2013-01-22

Family

ID=4687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710A KR101225117B1 (ko) 2011-01-31 2011-01-31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257B1 (ko) * 2016-01-29 2017-07-10 주식회사 유한이엔에스 고 증감속 비율구조의 유성기어식 증감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7375A (zh) * 2016-03-04 2017-11-28 大昊油压株式会社 混凝土搅拌车的减速器
KR102147122B1 (ko) * 2019-04-16 2020-08-24 윤성업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
KR102382158B1 (ko) * 2020-09-17 2022-04-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마이크로 표면 텍스쳐링과 치형 구조를 갖는 동력 전달용 회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554B1 (ko) * 1991-06-01 1993-09-09 허만철 고비율 감속장치
JPH10274305A (ja) 1997-03-31 1998-10-13 Ntn Corp 摩擦式無段変速機
JP2000274495A (ja) 1999-03-25 2000-10-03 Canon Precision Inc 3k型不思議遊星歯車減速機構
JP2001317598A (ja) 2000-05-01 2001-11-16 Canon Precision Inc 3k型不思議遊星歯車減速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554B1 (ko) * 1991-06-01 1993-09-09 허만철 고비율 감속장치
JPH10274305A (ja) 1997-03-31 1998-10-13 Ntn Corp 摩擦式無段変速機
JP2000274495A (ja) 1999-03-25 2000-10-03 Canon Precision Inc 3k型不思議遊星歯車減速機構
JP2001317598A (ja) 2000-05-01 2001-11-16 Canon Precision Inc 3k型不思議遊星歯車減速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257B1 (ko) * 2016-01-29 2017-07-10 주식회사 유한이엔에스 고 증감속 비율구조의 유성기어식 증감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389A (ko)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117B1 (ko)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
CN101893063B (zh) 少齿差行星减速器
CN205534041U (zh) 一种两级谐波行星齿轮减速器
CN207559071U (zh) 一种天线移相器传动装置
CN203146716U (zh) 一种双排行星轮的行星齿轮减速器
CN205534042U (zh) 一种封闭式谐波行星齿轮减速器
CN205278252U (zh) 一种先差速再换向变速的传动装置
CN202690900U (zh) 一种新型齿形的齿轮偏心传动机构
CN104968917A (zh) 涡轮机上包括有组装的壳体的取力器变速箱
US20160312771A1 (en) Planetary Gear, Wind Generator Comprising A Planetary Gear And Use Of A Planetary Gear
CN103174814A (zh) 传动系统
CN103206501B (zh) 非圆锥齿轮摆动步进装置
CN204553712U (zh) 一种用于海洋平台升降装置的减速器
CN105402321A (zh) 偏心双齿差变速装置
CN203257987U (zh) 谐波减速装置
CN202300857U (zh) 多极增速箱并联式风力发电机组
CN101504054B (zh) 汽车仪表马达的传动齿轮
JP2015117763A (ja) 増減速機のシリーズと増減速機
CN113742862A (zh) 一种基于重心平衡的双风轮风电机组齿轮传动系统设计方法
CN210034302U (zh) 一种大速比中空式行星减速机
KR101569302B1 (ko) 변속시스템을 구비한 구동장치
CN204200975U (zh) 一种小模数齿轮的变频离合器
CN205534030U (zh) 一种双输入双速比减速机
CN111379829A (zh) 双内齿圈变线速行星排减速器
CN202579832U (zh) 复式行星齿轮结构的减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