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122B1 -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 - Google Patents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122B1
KR102147122B1 KR1020190044327A KR20190044327A KR102147122B1 KR 102147122 B1 KR102147122 B1 KR 102147122B1 KR 1020190044327 A KR1020190044327 A KR 1020190044327A KR 20190044327 A KR20190044327 A KR 20190044327A KR 102147122 B1 KR102147122 B1 KR 102147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haft
gear
coupling
output shaf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업
Original Assignee
윤성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업 filed Critical 윤성업
Priority to KR102019004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082Planet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6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 F16H2057/02073Reduction gearboxes for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에 입력축이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입력축과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는 출력축이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링기어, 유성기어, 캐리어 및 선기어가 설치되는 유성 감속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은 엔진의 크랭크축 후면에 조립되는 플라이휠에 결합되고, 상기 선기어는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링기어가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캐리어가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선기어 내측을 관통시켜 상기 출력축을 상기 관통된 선기어 내측으로 유도하여 상기 출력축이 상기 캐리어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선기어를 후면으로 배치시키고, 선기어 내부를 관통시켜 출력축이 선기어 내측으로 관통하여 캐리어와 연결되도록 하여 감속기의 조립공간을 확보함과 함께, 구조변경을 통해 유성 감속기로도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입력축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1.5의 감속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PLANITARY GEAR DECELERATOR WITH OUTPUT SHAFT INSTALLED THROUGH THE SUN GEAR USING TORQUE OF FLYWHEEL USED INDUSTRIAL ENGINE }
본 발명은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전동 모터와 대응되는 회전 영역대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한 유성 감속기에 있어 고정용 선기어 내부 관통을 통한 출력축을 갖는 SOLAR형 유성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엔진의 무부하 최대 회전 영역대는 2500 ~ 2800rpm 영역으로, 엔진의 구동토크를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감속기를 적용하게 되며, 보편적으로 외치 형식의 평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를 이용한 2단 감속기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엔진을 주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장비 특성상 감속기의 조립공간이 제한적이며, 더욱이 이러한 엔진 동력은 전기를 이용할 수 없을때 전동 모터 대체로 사용하는 주동력원으로, 보통 전동 모터 회전이 1,800 rpm 대로 대부분의 모터 구동을 전제로 된 상대 부품들을 사용하는 관계로 엔진 역시 가능한 1,800 rpm 전후의 회전수가 필요로 하게 되어, 유성 감속기를 적용하는데에 한계를 가진다.
한편, 유성 감속기는 선기어(Sun gear), 유성기어(Planetary gear) 및 링기어(Ring gear)로 구성되며, 단위 체적당 동력전달 비율이 매우 커서 같은 크기의 일반 기어 감속기 대비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입력축과 출력축을 동심으로 할 수 있으며, 동력전달 효율이 높다,
아울러, 이러한 유성 감속기는 다양한 감속비 및 높은 동력전달효율을 갖고 있기에 일반산업용감속기부터 공작기계, 자동차, 항공기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되고 있으며, 구속 조건에 따라 아래의 표와 같은 감속비가 구현된다.
Figure 112019038966220-pat00001
상기의 표에서와 같이, 감속비 1.5를 얻기위한 유성 감속기의 구속조건은 선기어 고정, 링기어 입력, 캐리어 출력으로 하는 구동 방식으로,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을 입력축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회전체인 플라이휠에 선기어를 고정시킬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국등록특허 제 169130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용 선기어의 내부를 관통하여 캐리어의 출력축을 관통된 선기어의 내부로 유도함으로써,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한 입력축과 동일한 회전방향을 갖는 입,출력 동축의 감속비 1.5의 단열 유성 감속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입력축이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입력축과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는 출력축이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링기어, 유성기어, 캐리어 및 선기어가 설치되는 유성 감속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은 엔진의 크랭크축 후면에 조립되는 플라이휠에 결합되고, 상기 선기어는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링기어가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캐리어가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선기어 내측을 관통시켜 상기 출력축을 상기 관통된 선기어 내측으로 유도하여 상기 출력축이 상기 캐리어에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유성 감속기는 일측에 입력축이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입력축과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는 출력축이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일단이 상기 플라이휠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유도되는 입력축과,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인입되는 입력축의 타단에 축결합되어, 상기 입력축의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동력 전달용 회전 커플링과, 상기 동력 전달용 회전 커플링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기어결합되어 상기 링기어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들의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링기어를 내주연을 따라 상기 유성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캐리어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링기어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선상에 배치되어 외연이 상기 유성기어에 기어결합되며, 내측으로는 상기 출력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선기어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일단이 상기 캐리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캐리어와 일체로 회전되며, 타측으로는 상기 제2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출력축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는 일측면에 상기 제1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공 내측면으로는 볼베어링이 삽입되어 상기 입력축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입력축의 축중심선상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 고정턱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전면 케이스와, 일측면에 상기 제2 결합공이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전면 케이스의 단부에 볼트체결되어,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동력전달용 회전 커플링은 원판형상으로 중앙에는 상기 입력축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상기 입력축의 타단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 상에는 상기 입력축에 볼트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의 내측면으로 제2 고정턱이 원형으로 돌출형성되는 입력축고정부와, 상기 입력축고정부의 단부를 따라 상기 링기어의 일면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되, 단부면에는 상기 링기어의 일면에 볼트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링기어고정플랜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고정턱과 상기 제2 고정턱 사이에는 볼베어링이 개재되어 상기 동력전달용 회전 커플링이 상기 케이스 내에서 결합위치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선기어는 일측 외연에는 상기 유성기어에 기어결합되기 위한 기어이가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외연보다 더 큰 외경으로 단을 형성하는 하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연속적으로 관통형성되되,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후면 케이스에 볼트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안착턱이 돌출형성되어, 볼베어링이 상기 상부몸체에서 상기 관통공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안착턱 상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선기어를 후면으로 배치시키고, 선기어 내부를 관통시켜 출력축이 선기어 내측으로 관통하여 캐리어와 연결되도록 하여 감속기의 조립공간을 확보함과 함께, 구조변경을 통해 유성 감속기로도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입력축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1.5의 감속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의 주요부품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기어의 단면구조 및 평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의 동력전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의 주요부품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기어의 단면구조 및 평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는 케이스(100), 입력축(200), 출력축(800), 동력 전달용 회전 커플링(300), 링기어(400), 유성기어(500), 캐리어(600), 선기어(700) 및 출력축(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양측으로 전면 케이스(110)와 후면 케이스(120)가 볼트체결된다.
전면 케이스(110)는 일측면에 입력축(200)이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제1 결합공(111)의 내측면으로는 볼베어링이 삽입되어 입력축(200)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전면 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입력축(200)의 축중심선상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원형으로 제1 고정턱(112)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된다.
후면 케이스(120)는 일측면에 출력축(800)이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공(121)이 형성되고, 후면 케이스(120)의 단부가 전면 케이스(110)의 단부에 볼트체결되어 내측에 부품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입력축(200)은 일단이 엔진의 크랭크축 후면에 조립되는 플라이휠(A)에 일체로 결합되어 제1 결합공(111)을 통해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유도되며, 플라이휠(A)의 동력이 입력축(200)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동력 전달용 회전 커플링(300)은 케이스(100) 내측으로 인입되는 입력축(200)의 타단에 축결합되어, 입력축(200)의 회전력을 링기어(400) 측으로 전달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동력 전달용 회전 커플링(300)은 입력축고정부(310)와 링기어고정플랜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축고정부(310)는 원판형상으로 중앙에는 입력축(200)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입력축(200)의 타단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311)이 형성되며, 이러한 고정홈(311) 상에는 입력축(200)에 볼트체결되기 위한 체결공(3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입력축고정부(310)는 고정홈(3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면 케이스(110)의 내측면으로 제2 고정턱(313)이 원형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용 회전 커플링(300)의 제2 고정턱(313)과 전면 케이스(110)의 제1 고정턱(112) 사이에는 볼베어링이 개재되어, 동력 전달용 회전 커플링(300)이 케이스(100) 내에서 결합위치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링기어고정플랜지(320)는 입력축고정부(310)의 단부를 따라 링기어(400)의 일면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되, 링기어고정플랜지(320)의 단부면에는 링기어(400)의 일면에 볼트체결되기 위한 체결공(321)이 형성된다.
링기어(400)는 내주연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는 내접기어로서, 일측면이 동력 전달용 회전 커플링(30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기어(400)는 동력 전달용 회전 커플링(300)을 통해 입력축(200)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한다.
유성기어(500)는 링기어(400)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기어결합되어, 링기어(40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캐리어(600)는 복수개의 유성기어(500)들의 각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어 유성기어(500)가 링기어(400)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되면서 감속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선기어(700)는 링기어(400)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선상에 배치되어 외연에 형성된 기어이가 유성기어(500)에 기어결합되며, 케이스(100)의 타측 즉, 후면 케이스(120)상에 고정결합되고, 아울러, 선기어(700)의 축중심부에는 출력축(800)이 관통되어 내측으로 유도되는 관통공(701)이 형성된다.
이러한 선기어(700)의 구조는 도 3에서와 같이 상부몸체(710)와 하부몸체(720)로 구성된다.
선기어(700)의 상부몸체(710)는 외연에 유성기어(500)에 기어결합되기 위한 기어이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하부몸체(720)는 상부몸체(710)의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부몸체(710)의 외연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단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관통공(701)은 상부몸체(710)와 하부몸체(720)를 연속적으로 하여 관통형성되며, 하부몸체(720)의 하단부에는 후면 케이스(120)에 볼트체결되기 위한 체결공(721)이 형성된다.
아울러, 선기어(700)의 관통공(701)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안착턱(702)이 돌출형성되며, 볼베어링이 상부몸체(710)의 상부에서 관통공(701)을 따라 후방으로 삽입되어 안착턱(702) 상에 볼베어링의 하단부가 안착지지되도록 한다. 이렇게 볼베어링을 관통공(701) 내측에 안착시킨 다음 출력축(800)을 선기어(700) 내측으로 삽입시켜 출력축(800)이 선기어(700) 내측에 볼베어링 결합되도록 한다.
출력축(800)은 관통공(701)으로 삽입되고 일단이 캐리어(600)에 일체로 고정결합되어, 캐리어(600)와 일체로 회전되어 일정 감속비에 의한 출력이 출력축(800)으로 전달되며, 출력축(800)의 타측은 제2 결합공(121)을 관통하여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입력축(2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1.5의 감속비를 구현하기 위해 링기어(400)를 입력으로 하고, 선기어(700)를 고정, 캐리어(600)를 출력축(800)과 연결되도록 하는 구속조건으로 유성 감속기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속조건으로 유성 감속기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을 입력축(200)으로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회전체인 플라이휠에 선기어(700)를 고정시킬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이에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으로 입력축(200)의 전면에 배치시키는 선기어(700)를 후면으로 배치시키고 선기어(700) 내부를 관통하여 출력축(800)이 인입되어 캐리어(600)에 연결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의 동력전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는 플라이휠(A)의 구동을 입력으로 하여, 플라이휠(A)과 일체로 고정된 입력축(200)과 입력축(200)의 타단에 고정결합된 동력 전달용 회전 커플링(300)이 플라이휠(A)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동력 전달용 회전 커플링(300)과 연결된 링기어(400)가 입력축(200)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링기어(400)와 맞물린 유성기어(500)가 기어결합에 의해 회전되는데, 이때, 선기어(700)는 후면케이스(100)상에 고정설치되어 회전되지 않아, 유성기어(500)가 링기어(4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속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감속되어 회전되는 유성기어(500)는 축결합된 캐리어(600)가 동일한 회전력으로 회전되며, 캐리어(600)의 출력축(800)을 통해 1.5 감속비를 구현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전면 케이스
111 : 제1 결합공 112 : 제1 고정턱
120 : 후면 케이스
121 : 제2 결합공
200 : 입력축
300 : 동력 전달용 회전 커플링 310 : 입력축고정부
311 : 고정홈 312 : 체결공
313 : 제2 고정턱 320 : 링기어고정플랜지
321 : 체결공
400 : 링기어
500 : 유성기어
600 : 캐리어
700 : 선기어 710 : 상부몸체
720 : 하부몸체 721 : 체결공
701 : 관통공 702 : 안착턱
800 : 출력축

Claims (5)

  1. 일측에 입력축이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입력축과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는 출력축이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링기어, 유성기어, 캐리어 및 선기어가 설치되는 유성 감속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은 엔진의 크랭크축 후면에 조립되는 플라이휠에 결합되고, 상기 선기어는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링기어가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캐리어가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선기어 내측을 관통시켜 상기 출력축을 상기 관통된 선기어 내측으로 유도하여 상기 출력축이 상기 캐리어에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유성 감속기는,
    일측에 입력축이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입력축과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는 출력축이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케이스;
    일단이 상기 플라이휠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유도되는 입력축;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인입되는 입력축의 타단에 축결합되어, 상기 입력축의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동력 전달용 회전 커플링;
    상기 동력 전달용 회전 커플링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링기어;
    상기 링기어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기어결합되어 상기 링기어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들의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링기어를 내주연을 따라 상기 유성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캐리어;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링기어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선상에 배치되어 외연이 상기 유성기어에 기어결합되며, 내측으로는 상기 출력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선기어;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일단이 상기 캐리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캐리어와 일체로 회전되며, 타측으로는 상기 제2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출력축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일측면에 상기 제1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공 내측면으로는 볼베어링이 삽입되어 상기 입력축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입력축의 축중심선상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 고정턱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전면 케이스; 및
    일측면에 상기 제2 결합공이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전면 케이스의 단부에 볼트체결되어,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선기어는,
    일측 외연에는 상기 유성기어에 기어결합되기 위한 기어이가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외연보다 더 큰 외경으로 단을 형성하는 하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연속적으로 관통형성되되,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후면 케이스에 볼트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안착턱이 돌출형성되어, 볼베어링이 상기 상부몸체에서 상기 관통공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안착턱 상에 안착되도록 하며,
    상기 동력전달용 회전 커플링은,
    원판형상으로 중앙에는 상기 입력축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상기 입력축의 타단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 상에는 상기 입력축에 볼트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의 내측면으로 제2 고정턱이 원형으로 돌출형성되는 입력축고정부; 및
    상기 입력축고정부의 단부를 따라 상기 링기어의 일면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되, 단부면에는 상기 링기어의 일면에 볼트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링기어고정플랜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고정턱과 상기 제2 고정턱 사이에는 볼베어링이 개재되어 상기 동력전달용 회전 커플링이 상기 케이스 내에서 결합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44327A 2019-04-16 2019-04-16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 KR102147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27A KR102147122B1 (ko) 2019-04-16 2019-04-16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27A KR102147122B1 (ko) 2019-04-16 2019-04-16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122B1 true KR102147122B1 (ko) 2020-08-24

Family

ID=7223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327A KR102147122B1 (ko) 2019-04-16 2019-04-16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1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8162A (ko) * 2006-01-26 2007-07-31 몽 필 김 감속기
KR20120088389A (ko) * 2011-01-31 2012-08-0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
KR20140138401A (ko) * 2013-05-23 2014-1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엔진의 직결 감속기
KR101691307B1 (ko) 2015-10-22 2016-12-29 주식회사 만도 유성기어 감속기
US20170282963A1 (en) * 2016-03-29 2017-10-05 Showa Corporation Clutch, steer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lutc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8162A (ko) * 2006-01-26 2007-07-31 몽 필 김 감속기
KR20120088389A (ko) * 2011-01-31 2012-08-0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표준모듈을 이용한 3k형 유성기어 감속장치
KR20140138401A (ko) * 2013-05-23 2014-1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엔진의 직결 감속기
KR101691307B1 (ko) 2015-10-22 2016-12-29 주식회사 만도 유성기어 감속기
US20170282963A1 (en) * 2016-03-29 2017-10-05 Showa Corporation Clutch, steer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lu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3576B2 (en) Compact structure for accessory gearbox of an aircraft turbine engine
US11067152B2 (en) Drive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9387752B2 (en) Multi-mode hybrid variable drive unit
US8388478B2 (en) Input shaft for hybrid transmission
US8961344B2 (en) Hybrid transmission
US9212734B1 (en) Transmission system of hybrid electric vehicle
CN103770936B (zh) 一种用于直升机主减速器螺旋锥齿行星轮系
US10807467B2 (en) Epicyclic gearbox
US20110201469A1 (en) Retrograde torque limit gear train with bidirectional input and one-way output
KR100886384B1 (ko) 2속도 유성기어 감속장치
US11241947B2 (en) Vehicle driving device
SG173288A1 (en) Coaxial epicyclic gear train with bidirectional input and one-way output
EP2934929B1 (en) Multi-mode hybrid variable drive unit
EP3284971A1 (en) Single shaft two-speed drive system
US20210062893A1 (en) Vehicle driving device
CN110154752A (zh) 车辆推进系统
US10954862B2 (en) Compact spinal transmission
WO2019046242A1 (en) TRANSMISSION COMPRISING A PLANETARY GEAR PUSH CONFINEMENT
CN203698660U (zh) 一种用于直升机主减速器螺旋锥齿行星轮系
US9168826B2 (en) Hybrid power train for vehicle
KR102147122B1 (ko) 산업용 엔진의 플라이휠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기어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출력축을 갖는 유성 감속기
US8529393B2 (en) Lockable or releasable wheel system with bidirectional input and one-way output
US10760650B2 (en) Gear mechanism providing passive ratio switching
US8556758B1 (en) Hybrid powertrain
CN109017293A (zh) 一种新能源汽车动力传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