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583B1 -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583B1
KR101217583B1 KR1020040101037A KR20040101037A KR101217583B1 KR 101217583 B1 KR101217583 B1 KR 101217583B1 KR 1020040101037 A KR1020040101037 A KR 1020040101037A KR 20040101037 A KR20040101037 A KR 20040101037A KR 101217583 B1 KR101217583 B1 KR 101217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m
shaft
reel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129A (ko
Inventor
모리세타이세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10131A external-priority patent/JP43141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45644A external-priority patent/JP427255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50056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오실레이팅 기구에 있어서, 체감 중량을 경감하는 것과 함께 릴 본체 하부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오실레이팅 기구는,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을 전후 이동시키는 기구에 있어서, 구동 기어(15)와, 캠 기어(17)와, 슬라이더부(18)와, 가이드부(19)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어는, 마스터 기어(11)가 장착된 마스터 기어축(11a)에 마스터 기어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기어이다. 캠 기어는, 측면에 캠 핀(17b)을 가지고, 마스터 기어축보다 낚싯대 장착측에 배치되고 또한 마스터 기어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릴 몸틀에 장착되어 구동 기어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기어이다. 슬라이더부는, 캠 기어의 캠 핀에 계합하는 캠 받이부(18a)를 가지고, 스풀축의 후단부(後端部)에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것이다. 가이드부는 릴 몸틀에 설치되어, 슬라이더부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것이다.
구동 기어, 캠 기어, 슬라이더부, 마스터 기어, 캠 핀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SPINNING-REEL OSCILLA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베일 반전 기구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IV단면도.
도 5는 오실레이팅 기구의 단면 확대도.
도 6은 상기 오실레이팅 기구의 횡단면도.
도 7은 덮개 부재의 이측(裏側) 측면 확대 단면도.
도 8은 덮개 부재의 확대 정면도.
도 9는 상기 본체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와의 맞댐부의 확대 배면 단면도.
도 10은 상기 본체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와의 맞댐부의 확대 배면도.
도 11은 상기 본체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와의 맞댐부의 확대 모식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핸들 2: 릴 본체
2f, 2g: 장착축 3: 로터
4: 스풀 6: 오실레이팅 기구
8: 스풀축 11: 마스터 기어
11a: 마스터 기어축 15: 구동 기어
16: 중간 기어부 16a: 제1 기어
16b: 제2 기어 17, 117: 캠 기어부
17a, 117a: 기어부 17b, 117b: 캠 핀
18, 118: 슬라이더부 18a, 118a: 캠 받이부
19: 가이드부 19a, 19b: 가이드축
본 발명은, 오실레이팅 기구, 특히, 낚싯대에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에 의하여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을, 스풀축을 통하여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 왕복 이동시키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에는,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을 전후 이동시키기 위하여 오실레이팅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에는, 회전 캠에 의하여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감속 기어 방식과, 스풀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나선축에 의하여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트래버스 캠 방식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감속 기어 방식의 오실레이팅 기구는, 핸들이 장착되는 마스터 기어축에 일체 형성된 구동 기어와, 캠부를 가지고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캠 기어부와, 캠부에 계합하는 캠 받이부를 가지고, 스풀축의 후단부(後端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더부를 구비하고 있다. 캠 기어부는 구동 기어의 후방 또한 하부 (낚싯대 장착측과 역측)에 배치되어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더부는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오실레이팅 기구에서는, 핸들의 회전이 구동 기어를 통하여 캠 기어부에 전달되고, 캠 기어부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더부가 전후로 이동하여 스풀축을 통하여 스풀이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2000-175599호 공보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캠 기어부가 구동 기어 하후방(下後方)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릴 전체의 무게 중심이 전체적으로 낚싯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캐스팅시에 느끼는 체감 중량이 무거워진다. 또한 릴 본체의 하부의 두께가 두꺼워져, 컴팩트한 릴 본체를 실현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감속 기어 방식의 오실레이팅 기구에 있어서, 체감 중량을 경감하는 것과 함께 릴 본체 하부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에 의하여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을, 스풀축을 통하여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 이동시키는 기구에 있어서, 구동 기어와, 캠 기어부와, 슬라이더부와,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어는, 로터를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마스터 기어가 장착된 마스터 기어축에 마스터 기어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기어이다. 캠 기어부는, 측면에 캠부를 가지며, 마스터 기어축보다 낚싯대 장착측에 배치되고 또한 마스터 기어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릴 본체에 장착되어 구동 기어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기어이다. 슬라이더부는, 캠 기어부의 캠부에 계합하는 캠 받이부를 가지며, 스풀축의 후단부에 적어도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것이다. 가이드부는 릴 본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부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것이다. 캠 받이부는, 스풀축보다 낚싯대 장착측에서, 마스터 기어축 방향으로 스풀축과 중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오실레이팅 기구에서는, 핸들이 회전하면, 구동 기어가 회전하고 그것에 연동하여 캠 기어부가 회전한다. 캠 기어부가 회전하면 캠부와 캠 받이부와의 계합에 의하여 슬라이더부가 전후로 왕복 이동하고 스풀이 스풀축을 통하여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여기에서는, 구동 기어가 설치된 마스터 기어축보다 낚싯대 장착측에 캠 기어부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캠 기어부의 위치가 낚싯대에 가까워지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보다 무게 중심이 낚싯대 장착측으로 이동하여, 체감 하중이 경감한다. 또한 캠 기어부가 낚싯대 장착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역측, 즉 릴 본체 하부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는, 발명 1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보다 잇수가 많은 제1 기어와, 제1 기어와 동심에 배치되어, 캠 기어부보다 잇수가 적고 캠 기어부와 맞물리는 제2 기어를 가지며, 마스터 기어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릴 본체에 장착된 중간 기어부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구동 기어와 제1 기어 및 제2 기어와 캠 기어부 간에서 각각 감속할 수 있기 때문에, 로터의 회전에 대해서 스풀의 전후 이동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어, 감속 기어 방식의 오실레이팅 기구에 있어서 낚싯줄을 스풀에 조밀하게 감을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는, 발명 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2 축은, 제1 축보다 낚싯대 장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단붙이 기어부가 캠 기어부보다 낚싯대 장착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단붙이 기어부를 설치하여도 체감 하중이 그만큼 증가하지 않는 것과 함께, 릴 본체 하부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는, 발명 2 또는 3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구동 기어 및 제1 기어는 원형 기어이고, 제2 기어 및 캠 기어부는 비원형 기어이다. 이 경우에는, 비원형 기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제2 기어의 등속 회전을 캠 기어부의 부등속 회전으로 변환할 수 있어, 슬라이더부를 등속 직선 운동에 근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캠 받이부는, 스풀축보다 낚싯대 장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캠 받이부가 스풀축보다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마스터 기어와 구동 기어 간에 슬라이더부를 배치할 수 있어, 릴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캠 받이부는, 스풀축보다 마스터 기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캠 받이부가 스풀축보다 마스터 기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축과 마스터 기어 간에 슬라이더부를 배치할 수 있어, 릴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스풀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슬라이더부의 낚싯대 장착측과 그 역측에서 슬라이더부를 안내하는 2개의 가이드축을 가진다. 캠 홈이 상하로 직선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는 이 경우에는, 슬라이더부가 2개의 가이드 축에 의하여 안내되기 때문에, 슬라이더부가 원활하게 전후 이동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캠부는, 슬라이더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캠 핀을 가지며, 캠 받이부는, 상기 캠 핀에 계합하여, 낚싯대 장착측의 제1 단부가 역측의 제2 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직선적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캠 홈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슬라이더부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마스터 기어축에 접근하였을 때, 마스터 기어축을 엇갈리기 쉬워지기 때문에, 릴 전체의 전후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슬라이더부의 스트로크를 캠 핀의 회전 직경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캠부는, 슬라이더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캠 핀을 가지며, 캠 받이부는, 캠 핀에 계합하여, 낚싯대 장착측의 제1 단부가 역측의 제2 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제1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灣曲)하여 형성된 만곡부와, 만곡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제1 직선부와, 제1 직선부로부터 제2 단부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는 캠 홈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슬라이더부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마스터 기어축에 접근하였을 때, 마스터 기어축을 엇갈리기 쉬워지기 때문에, 릴 전체의 전후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만곡부에 의하여 스풀의 전진 또는 후퇴시의 구동 기어의 등속 회전을 캠 기어부의 부등속 회전으로 할 수 있어, 슬라이더부를 등속 회전으로 근접시킬 수 있다.
<실시예>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의 긴 쪽 방향을 따르는 축심(X) 주위에 낚싯줄을 감는 프론트 드랙형의 릴이다. 스피닝 릴은, 핸들(1)을 구비한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전부에 축심(X)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3)와, 로터(3)의 전부에 배치된 낚싯줄을 감는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예를 들어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이다. 릴 본체(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에 장착되는 전후로 긴 장대 장착부(2p)를 가지는 대략 T자 형상의 장대 부착 다리부(2b)와, 장대 부착 다리부(2b)와 연결되는 릴 몸틀(2a)을 구비하고 있다. 릴 몸틀(2a)은, 도 1 및 도 2,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부착 다리부(2b)와 일체 성형된 본체 부재(2c)와, 본체 부재(2c) 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 부재(2d)를 구비하고 있다. 장대 부착 다리부(2b)의 하부에는, 측부를 관통하는 세로로 긴 관통공(2e)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부재(2c)는,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부가 개구(開口)하는 개구부(2i)가 형성된 수납 공간(2h)을 가지고 있다. 수납 공간(2h)의 내부에는, 로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부재(2c)는, 수납 공간(2h) 상부의 장대 부착 다리부(2b)측의 연결 설치 부분에 있어서, 수납 공간(2h)측으로 오목한 단차부(2k)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2d)는, 도 1,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부재(2c)의 개구부(2i)를 덮고, 내부에 로터 구동 기구(5)의 일부가 배치되는 커버상의 폐색부(2j)를 가지고 있다. 덮개 부재(2d)는, 폐색부(2j)의 장대 부착 다리부(2b)측의 연결 설치 부분에 있어서, 상측으로 돌출하는 선단부(2l)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2d)의 선단부(2l)는, 본체 부재(2c)의 단차부(2k)에 외형이 계합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덮개 부재(2d)의 선단부(2l)는, 외관으로 노출하는 제1 모서리부(81, 도 10 참조)와, 외관으로 거의 노출하지 않는 제2 모서리부(82, 도 6 및 도 9 참조)를 가지고 있다.
제1 모서리부(81)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2d)의 폐색부(2j)로부터 장대 부착 다리부(2b)측으로 연장되는 제1 맞댐부(71)와, 제1 맞댐부(71)의 상단부와 직교하여 외방으로 연장되는 제2 맞댐부(72)가 교차하는 모서리부 이다. 제1 모서리부(81)는, 후술하는 제3 모서리부(83)와의 맞댐면이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모서리부(82)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2d)의 폐색부(2j)로부터 장대 부착 다리부(2b)측으로 연장되는 제3 맞댐부(73)와, 제3 맞댐부(73)의 상단부와 직교하여 외방으로 연장되는 제4 맞댐부(74)가 대략 원호상으로 연결되는 모서리부이다. 제2 모서리부(82)는, 후술하는 제4 모서리부(84, 도 9 참조)와의 맞댐면이 곡면이 되도록 라운딩 가공에 의한 라운딩면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부재(2c)의 단차부(2k)는, 외관으로 노출하는 제3 모서리부(83, 도 10 참조)와, 외관으로 거의 노출하지 않는 제4 모서리부(84, 도 6 및 도 9 참조)를 가지고 있다.
제4 모서리부(84)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부재(2c)의 개구부(2i)로부터 장대 부착 다리부(2b)측으로 연장되는 제7 맞댐부(77)와, 제7 맞댐부(77) 상단부와 직교하여 외방으로 연장되는 제8 맞댐부(78)가 대략 원호상으로 연결되는 모서리부이다. 제4 모서리부(84)는, 제2 모서리부(82)에 대향하는 맞댐면이 곡면이 되도록 라운딩 가공에 의한 라운딩면이 형성되어 있다. 제4 모서리부(84)의 R각은, 도 11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모서리부(82)의 R각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제2 모서리부(82)와 제4 모서리부(84) 간에는, 근소한 간극(間隙, 86)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제4 모서리부(84)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부재(2c)의 개구부(2i)측의 일부가 노치(notch)된 함몰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함몰부(85)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본체 부재(2c)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수납 공간(2h) 내부의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로터(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제이고,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a)와, 원통부(3a)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암부(3b) 및 제2 암부(3c)를 가지고 있다. 또한 원통부(3a)의 전벽(3d)의 중앙부에는 관통공(3e)을 가지는 보스부(3f)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e)에 후술하는 스풀축(8) 및 피니언 기어(12)가 관통하고 있다. 제1 암부(3b)의 선단과 제2 암부(3c)의 선단부에는, 베일 암(9)이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 간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일 암(9)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4)로 안내된다.
베일 암(9)은, 제1 베일 지지 부재(4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와 그것들을 연결하는 베일(43)을 가지고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제1 암부(3b) 및 제2 암부(3c)의 선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9)은, 제1 암부(3b)에 장착된 베일 반전 기구(7)에 의하여 로터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되돌아오게 되어 있다. 베일 반전 기구(7)는, 제1 암부(3b)의 수납 공간(48) 내에 배치되어 있다. 베일 반전 기구(7)는, 베일 암(9)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로터(3)의 회전에 연동하여 복귀시키는 것과 함께, 양 자세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일 반전 기구(7)는, 줄 개방 자세에 베일 암(9)이 배치되어 있을 때, 로터(3)의 회전을 제동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베일 반전 기구(7)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48) 내에서 제1 암부(3b)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토글 용수철 기구(50)와, 수납 공간(48) 내에 대략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부재(51)와, 이동 부재(51)에 접촉 가능하게 릴 몸틀(2a)의 전단면(前端面)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부재(52, 도 3 참조)와 로터(3)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 부재(65)를 가지고 있다.
토글 용수철 기구(50)는, 베일 암(9)을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나누어 압박하는 것이다. 이동 부재(51)는, 선단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1)에 계지되어 있고 후단이 릴 몸틀(2a)의 전부(前部)에 대향하여 배치된 봉상(棒狀) 부재이고, 베일 암(9)의 요동에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부재(51)는, 베일 암(9)이 줄 감기 자세에 있을 때, 후단부가 전환 부재(52)에 접촉 불가능하고 또한 제동 부재(65)에 접촉 불가능한 전진 위치에 배치되고,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후단부가 전환 부재(52)에 접촉 가능하고 또한 제동 부재(65)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 이동 부재(51)가 전환 부재(52)에 접촉하여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베일 암(9)이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되돌아온다.
전환 부재(52)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나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몸틀(2a)의 전부에 형성된 장착 보스(2m)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고정되어 있다. 전환 부재(52)는, 2개의 경사면(60a, 60b)을 가지는 산형(山形)의 캠부(60)와, 캠부(60)로부터 중심측 으로 연장되는 아치부(61)와, 장착 보스(2m)에 나사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장착부(62)를 가지고 있다. 경사면(60a)은, 도 4에 화살표로 도시하는 로터(3)의 줄 감기 회전 방향의 하류측이 상류측보다 로터(3)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이다. 경사면(60b)은, 경사면(60a)의 돌출 부분으로부터 줄 감기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돌출량이 감소하는 경사면이다. 경사면(60a, 60b)의 가장 돌출한 돌출단의 돌출량은, 경사면(60a)에 후단부가 접촉한 이동 부재(51)가 베일 암(9)을 줄 감기 자세를 향하여 압압(押壓)하였을 때 토글 용수철 기구(50)의 사점을 넘도록 설정되어 있다. 덧붙여, 캠부(60)의 릴 몸틀(2a)과 접촉하는 저면에는, 릴 몸틀(2a)의 전면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2n)에 감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나사 고정된 전환 부재(52)가 위치 결정 및 회전 멈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치부(61)는, 릴 몸틀(2a)의 전면과의 사이에 제동 부재(65)가 통과 가능하게 노치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장착부(62)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고, 나사에 의하여 릴 몸틀(2a)의 장착 보스(2m)에 고정된다.
제동 부재(65)는, 베일 암(9)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로터(3)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동 부재(65)는,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탄성체제의 링상의 부재이다. 제동 부재(65)의 외주면에는, 전환 부재(52)를 회피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평탄한 원주면으로 구성된 제동면(65a)이 형성되어 있다. 제동 부재(65)는, 단면이 D자상의 릴 몸틀(2a)의 전부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동 부재(65)는, 정면시 D자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제동 부재(65)의 직선부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부재(52)의 아치부(61)의 후부를 후방으로 만곡하면서 우회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동 부재(65)를 만곡시키면서 전환 부재(52)의 후방에서 내주측으로 우회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한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제동 부재(65)를 배치할 수 있다.
제동 부재(65)의 제동면(65a)의 선단 끝 가장자리에는, 도입면(65b)이 제동면(65a)과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입면(65b)은, 줄 개방 자세로의 요동에 연동한 이동 부재(51)의 이동 방향 상류측이 하류측보다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동면(65a)과 연속하여 둥그스름한 라운딩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동면(65a)에 연속하여 경사한 도입면(65b)을 형성하면, 이동 부재(51)가 제동 부재(65)에 접촉할 때, 이동 부재(51)의 둥그스름한 후단부가 제동 부재(65)의 도입면(65b)을 지나 제동면(65a)에 매끄럽게 접촉한다. 이 때문에, 베일 암(9)의 자세의 전환이 원활하게 된다.
스풀(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고, 로터(3)의 제1 암부(3b)와 제2 암부(3c) 간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축심(X)을 따라 전후로 배치된 스풀축(8)의 선단에 드랙 기구(53)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筒狀)의 권사 몸통부(4a)와, 권사 몸통부(4a)의 후단부에 일체 성형된 대경(大徑) 통상의 스커트부(4b)와, 권사 몸통부(4a)의 전단부에 일체 형성된 대경의 앞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이 고정된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축(11a)을 가지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마스터 기어축(11a)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심을 스풀축(8)이 관통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12)의 전부는 로터(3)의 관통공(3e)을 관통하여 스풀(4)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전부에서, 로터(3)는 너트(13)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전부와 중간부에서 베어링(14a, 14b)에 의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너트(13)는, 리테이너(36)에 의하여 느슨함이 방지되어 있다. 리테이너(36)는 전벽(3d)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고정된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의 구성〕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의 중심부에 고정된 스풀축(8)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마스터 기어축(11a)에 설치된 구동 기어(15)와, 구동 기어(15)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부(16)와, 중간 기어부(16)를 통하여 구동 기어(15)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 기어부(17)와, 캠 기어부(17)에 계합하여 스풀축(8)의 후단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캠 기어부(17)에 계합하여 전후 이동하는 슬라이더부(18)와, 릴 몸틀(2a)에 설치되어 슬라이더부(18)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19)를 가지고 있다.
구동 기어(1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잇수 14인 스퍼 기어(spur gear) 또는 헬리컬 기어(helical gear) 등의 원형 기어이고, 마스 터 기어축(11a)에 마스터 기어(11)와 간격을 두고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구동 기어(15)를 마스터 기어축(11a)과 별체로 설치해도 무방하다.
중간 기어부(16)는, 원판상의 부재이고, 마스터 기어축(11a)과 평행한 축 주위에 릴 몸틀(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몸틀(2a)의 후부 내벽면에 마스터 기어축(11a)과 평행하게 돌출하여 형성된 장착축(2f)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장착축(2f)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기어축(11a)보다 후방 (도 5에 있어서 우측) 또한 장대 장착부(2p)에 접근하는 측 (도 5에 있어서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 기어부(16)는, 구동 기어(15)에 맞물리는 제1 기어(16a)와, 제1 기어(16a)와 동심에 배치된 제2 기어(16b)를 가지고 있다. 제1 기어(16a)는, 구동 기어(15)보다 잇수가 많은 예를 들어 잇수 22인 스퍼 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 등의 원형 기어이다. 제2 기어(16b)는, 예를 들어 잇수 12인 2엽의 타원 기어 등의 비원형 기어이다. 제1 기어(16a)와 제2 기어(16b)는, 일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또한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도 무방하고 밀착되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도 5에 있어서, 제2 기어(16b)의 측면에 그려진 2개의 마크(16c)는, 최대 치선원(齒先圓) 직경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캠 기어부(17)는, 원판상의 부재이고, 중간 기어부(16)와 평행한 축 주위에 릴 몸틀(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몸틀(2a)의 후부 내벽면에 마스터 기어축(11a)과 평행하게 돌출하여 형성된 장착축(2g)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장착축(2g)은, 도 5에 도시하 는 바와 같이, 장착축(2f)보다 후방, 장착축(2f)보다 장대 장착부(2p)로부터 이반하는 측, 또한 마스터 기어축(11a)보다 장대 장착부(2p)에 접근하는 측 (도 5에 있어서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에서는, 마스터 기어축(11a)과 장착축(2f) 간에 장착축(2g)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의 위치 관계에서는, 마스터 기어축(11a)과 장착축(2g) 간에 장착축(2f)이 배치되어 있다.
캠 기어부(17)는, 외주부(外周部)에 형성된 기어부(17a)와 마스터 기어축(11a)과 평행한 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원기둥상의 캠 핀(17b)을 가지고 있다. 기어부(17a)는, 제2 기어(16b)보다 잇수가 많은, 예를 들어 잇수 24인 4엽의 비원형 기어이다. 기어부(17a)는, 최대 치선원 직경의 이가 제2 기어(16b)의 최소 치선원 직경의 이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도 5에 있어서, 캠 기어부(17)의 측면에 그려진 4개의 마크(17c)는, 최소 치선원 직경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2개의 마크(16c, 17c)가 일치하도록 2개의 제2 기어(16b) 및 기어부(17a)를 맞물리게 하여 맞추어 넣으면 정규의 맞물림이 보증되어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슬라이더부(18)는, 캠 핀(17b)에 계합하는 관통하는 홈상으로 형성되고 캠 핀(17b)이 계합하는 캠 받이부(18a)를 가지고, 릴 몸틀(2a)에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 받이부(18a)는, 스풀축(8)보다 장대 장착부(2p)에 접근하는 측 또한 마스터 기어(11)에 접근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부(18)에는, 스풀축(8)의 후단부(8a)가 슬라이더부(18)의 하부에 나사 끼움되 는 접시 나사(21)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축(8)의 슬라이더부(18)에 고정되는 후단부(8a)는, 다른 부분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부(18)의 스풀축(8) 장착 부분을 소형화 할 수 있어, 슬라이더부(18)가 후퇴단에 위치하였을 때에 릴 몸틀(2a)과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릴 몸틀(2a) 후단부의 디자인 형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캠 받이부(18a)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핀(17b)에 계합하여, 장대 장착부(2p)측의 제1 단부(Q1)가 역측의 제2 단부(Q2)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제1 단부(Q1)로부터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형성된 만곡부(18b)와, 만곡부(18b)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제1 직선부(18c)와, 제1 직선부(18c)로부터 제2 단부(Q2)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18d)를 포함하는 캠 홈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부(19)는, 릴 몸틀(2a)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가이드축(19a, 19b)에 의하여, 스풀축을 따른 전후 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구동 기어(15)가 설치된 마스터 기어축(11a)보다 낚싯대 장착측에 캠 기어부(17)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캠 기어부(17)의 위치가 낚싯대에 근접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것보다 무게 중심이 낚싯대 장착측으로 이동하여, 체감 하중이 경감한다. 또한 캠 기어부(17)가 낚싯대 장착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역측, 즉 릴 본체(2) 하부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릴의 조작 및 동작〕
캐스팅시에는, 낚싯줄을 집게손가락으로 건 상태로 베일 암(9)을 줄 개방 자세측으로 넘어뜨려 캐스팅을 행한다.
낚싯줄 감기시에는, 베일 암(9)을 줄 감기 자세측으로 넘어뜨린다. 이 상태로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은 핸들축(10) 및 마스터 기어(11)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다. 이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12)의 전부를 통하여 로터(3)로 전달된다.
한편 마스터 기어(11)의 회전에 수반하여 구동 기어(15)에 맞물리는 제1 기어(16a)에 의하여 중간 기어부(16)가 회전하고, 제2 기어(16b)와 기어부(17a)와의 맞물림에 의하여 캠 기어부(17)가 회전하고, 이 회전이 캠 핀(17b)에 의하여 슬라이더부(18)로 전달된다. 이 결과, 슬라이더부(18)가 스풀축(8)의 축심(X)을 따라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이 때의 구동 기어(15)와 제1 기어(16a) 간에서 감속되는 것과 함께, 제2 기어(16b)와 기어부(17a) 간에서도 감속되어, 핸들(1)의 회전이 크게 감속되어 캠 기어부(17)의 회전이 종래에 비해 느려진다. 이 때문에, 스풀(4)의 왕복 이동 속도가 느려져, 스풀(4)에 낚싯줄을 조밀하게 감을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16b)와 기어부(17a)와는 비원형 기어이기 때문에, 등속 원운동을 부등속 원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풀(4)의 전후 이동 속도의 변동에 의한 줄 감기 형상의 흐트러짐을 원형 기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피닝 릴에서는, 덮개 부재(2d)의 선단부(2l)의 외관으로 노출하는 제1 모서리부(81)와, 본체 부재(2c)의 단차부(2k)의 외관으로 노출하는 제3 모 서리부(83)가 평면에서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외관상은 본체 부재(2c)와 덮개 부재(2d)를 간극 없이 맞출 수 있고, 이 때문에 외관의 미관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부재(2c)의 단차부(2k)의 외관으로 거의 노출하지 않는 제4 모서리부(84)의 맞댐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부재(2c)의 장대 부착 다리부(2b)의 연결 설치 부분에 큰 힘이 작용해도, 응력 집중에 의한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중간 기어부를 이용하여 핸들(1)의 회전을 크게 감속하고 있지만, 중간 기어부를 이용하지 않는 오실레이팅 기구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2에 있어서, 오실레이팅 기구(106)는, 마스터 기어축(11a)에 설치된 구동 기어(15)와, 캠 기어부(117)와, 슬라이더부(118)와, 가이드부(19)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어(15)는 캠 기어부(117)의 기어부(117a)에 직접 맞물리고 있다. 캠 기어부(117)는 마스터 기어축(11a)의 후방 또한 낚싯대 장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부(118)의 캠 받이부(118a)는, 장착부(2c)측의 제1 단부(Q1)가 역측의 제2 단부(Q2)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직선적으로 비스듬히 오른쪽 아래에 형성된 캠 홈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구동 기어(15) 및 기어부(117a)는 모두 비원형 기어가 아닌 원형 기어를 이용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드랙식의 스피닝 릴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버 브레이크식의 스피닝 릴이나 리어 드랙식의 스피닝 릴이나 클로우즈드 페이스형의 스피닝 릴 등 모든 스피닝 릴의 감속 캠식의 오실레이팅 기구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덧붙여, 리어 드랙식의 스피닝 릴의 경우, 슬라이더에는 스풀축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원형 기어의 잇수를 2엽 및 4엽의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비원형 기어의 잇수는 4, 5, 6엽 등의 복수엽이면 어떠한 엽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기어가 설치된 마스터 기어축보다 낚싯대 장착측에 캠 기어부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캠 기어부의 위치가 낚싯대에 근접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것보다 무게 중심이 낚싯대 장착측으로 이동하여, 체감 하중이 경감한다. 또한 캠 기어부가 낚싯대 장착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역측, 즉 릴 본체 하부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

  1. 낚싯대에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에 의하여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을, 스풀축을 통하여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 왕복 이동시키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터를 상기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마스터 기어가 장착된 마스터 기어축에 상기 마스터 기어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구동 기어와,
    측면에 캠부를 가지며, 상기 마스터 기어축보다 상기 낚싯대 장착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마스터 기어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기어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 기어와,
    상기 캠 기어의 캠부에 계합하는 캠 받이부를 가지며, 상기 스풀축의 후단부(後端部)에 적어도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더부와,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부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캠 받이부는, 상기 스풀축보다 상기 낚싯대 장착측에서, 상기 마스터 기어축 방향으로 상기 스풀축과 중첩하여 배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상기 구동 기어보다 잇수가 많은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동심에 배치되어, 상기 캠 기어보다 잇수가 적고 상기 캠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를 가지며, 상기 마스터 기어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축 주위 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된 중간 기어부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은, 상기 제1 축보다 상기 낚싯대 장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 및 제1 기어는 원형 기어이고, 상기 제2 기어 및 캠 기어는 비원형 기어인,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받이부는, 상기 스풀축보다 낚싯대 장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받이부는, 상기 스풀축보다 상기 마스터 기어측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풀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부의 상기 낚싯대 장착측과 그 역측에서 상기 슬라이더부를 안내하는 2개의 가이드축을 가지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슬라이더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캠 핀을 가지며,
    상기 캠 받이부는, 상기 캠 핀에 계합하여, 상기 낚싯대 장착측의 제1 단부가 역측의 제2 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직선적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캠 홈을 가지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슬라이더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캠 핀을 가지며,
    상기 캠 받이부는, 상기 캠 핀에 계합하여, 상기 낚싯대 장착측의 제1 단부가 역측의 제2 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제1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灣曲)하여 형성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제1 직선부와, 상기 제1 직선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는 캠 홈을 가지는,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KR1020040101037A 2003-12-09 2004-12-03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KR101217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10131A JP4314107B2 (ja) 2003-12-09 2003-12-09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オシレーティング機構
JPJP-P-2003-00410131 2003-12-09
JPJP-P-2004-00045644 2004-02-23
JP2004045644A JP4272559B2 (ja) 2004-02-23 2004-02-23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129A KR20050056129A (ko) 2005-06-14
KR101217583B1 true KR101217583B1 (ko) 2013-01-02

Family

ID=3452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037A KR101217583B1 (ko) 2003-12-09 2004-12-03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32086B2 (ko)
EP (1) EP1541019B1 (ko)
KR (1) KR101217583B1 (ko)
CN (1) CN1640250B (ko)
DE (1) DE602004004356T2 (ko)
MY (1) MY135860A (ko)
SG (1) SG112961A1 (ko)
TW (1) TWI3278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9180B2 (ja) * 2003-08-27 2009-07-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US7290728B1 (en) 2006-05-16 2007-11-06 Shakespeare Company, Llc Oscillation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JP5292152B2 (ja) * 2009-03-26 2013-09-1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アーム取付構造
US9187757B2 (en) 2009-06-05 2015-11-17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Isolation and targeted suppression of lignin biosynthetic genes
EP2853159B1 (en) * 2013-09-27 2017-04-05 Globeride, Inc. Fishing spinning reel
CN108471734B (zh) 2015-12-18 2021-06-25 古洛布莱株式会社 钓鱼用旋压式卷线器
JP6979785B2 (ja) * 2017-04-26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908447B2 (ja) * 2017-06-27 2021-07-2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7345348B2 (ja) * 2019-10-16 2023-09-1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20220167742A (ko) * 2021-06-14 2022-12-21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스피닝 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7740A (ja) * 1997-10-30 1999-05-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321040A (ja) * 2000-05-18 2001-11-20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01346484A (ja) * 2000-06-08 2001-12-18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02262734A (ja) * 2001-03-06 2002-09-17 Johshuya Co Ltd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4296A (en) * 1958-10-24 1963-06-18 Urfabriken Ab Fishing reel with reciprocable spool
US3084885A (en) 1960-04-22 1963-04-09 Hornbostel Lloyd Reel with reciprocable spool
JPH0547583Y2 (ko) * 1988-09-05 1993-12-15
JPH0521663U (ja) * 1991-09-09 1993-03-2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オシレーテイング機構
US5167381A (en) * 1991-11-04 1992-12-01 Abu Garcia Produktion Ab Oscillating mechanism in a fixed-spool fishing reel of the closed-face type
DE9300584U1 (de) 1993-01-19 1993-03-11 Wu, Chun Sen, Hsin Chuang, Taipeh Angelhaspel
US6000653A (en) * 1996-01-31 1999-12-14 Ryobi Limited Spinning reel
JP3292366B2 (ja) * 1996-09-09 2002-06-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183892A (zh) * 1996-10-09 1998-06-10 查尔斯C·沃思公司 钓鱼杆绕线轮的摆动系统
JP2000175599A (ja) 1998-12-16 2000-06-2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US6264125B1 (en) * 1999-12-09 2001-07-24 Brunswick Corporation Asymmetric oscillation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JP2002101792A (ja) * 2000-09-18 2002-04-09 Shimano Singapore Pte Ltd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2003079291A (ja) * 2001-09-12 2003-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2004081077A (ja) * 2002-08-26 2004-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DE10246242C1 (de) * 2002-10-02 2003-12-24 Okuma Fishing Tackle Co Angelrolle
US6843438B1 (en) * 2003-02-14 2005-01-18 Heligear Engineering (H.K.) Company, Ltd. Oscillation mechanism for fishing reel
JP4299180B2 (ja) 2003-08-27 2009-07-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7740A (ja) * 1997-10-30 1999-05-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321040A (ja) * 2000-05-18 2001-11-20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01346484A (ja) * 2000-06-08 2001-12-18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02262734A (ja) * 2001-03-06 2002-09-17 Johshuya Co Ltd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04356T2 (de) 2007-11-08
KR20050056129A (ko) 2005-06-14
SG112961A1 (en) 2005-07-28
CN1640250A (zh) 2005-07-20
EP1541019A3 (en) 2005-10-19
TWI327894B (en) 2010-08-01
MY135860A (en) 2008-07-31
EP1541019B1 (en) 2007-01-17
US7232086B2 (en) 2007-06-19
TW200524527A (en) 2005-08-01
EP1541019A2 (en) 2005-06-15
DE602004004356D1 (de) 2007-03-08
CN1640250B (zh) 2010-04-28
US20050127221A1 (en)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583B1 (ko)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JP500832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2007097576A5 (ko)
JP647294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01721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TW200936043A (en) Spinning reel
JP2015035986A5 (ko)
TWI272903B (en) Reciprocating device for spinning reel
JP429918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H0547583Y2 (ko)
KR102312398B1 (ko)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JP431410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オシレーティング機構
JP2003225040A5 (ko)
CN101385450B (zh) 纺车式渔线轮
JP2003225040A (ja) 釣り用リールの動力伝達装置
KR100949047B1 (ko) 스피닝 릴의 나축 부착 구조
JP201017227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427255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15128403A (ja) 釣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431411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505447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414127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6304994B2 (ja) 釣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2009065934A5 (ko)
JPH08154543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