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290B1 -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 - Google Patents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290B1
KR101216290B1 KR1020110103376A KR20110103376A KR101216290B1 KR 101216290 B1 KR101216290 B1 KR 101216290B1 KR 1020110103376 A KR1020110103376 A KR 1020110103376A KR 20110103376 A KR20110103376 A KR 20110103376A KR 101216290 B1 KR101216290 B1 KR 101216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mlcc
piece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철
Original Assignee
이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철 filed Critical 이한철
Priority to KR1020110103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85Multilayer, e.g. LTCC, HTCC, green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적재기용 이송그립퍼에 관한 것으로, 호퍼에서 MLCC를 정량 공급받은 트레이가 트레이의 하부 네모서리부를 지지하는 승강편 상에 안착되고, 이 트레이를 떠 올려 적치대로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그립장치에 있어서; 적치대의 상부로 배열설치된 가이드프레임; 가이드프레임의 단부에 고정된 모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가이드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된 볼스크류; 볼스크류와 치결합되고, 가이드프레임의 양측 하단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 채 슬라이딩되는 이동블럭; 이동블럭의 하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수직편과, 수직편에 수평하게 고정된 수평편을 갖는 고정편; 수평편의 양측을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 어느 하나의 가이드봉과 평행하게 수평편 상에 고정되고, 수평편을 관통한 실린더로드를 갖는 승하강실린더; 가이드봉의 하단 및 실린더로드의 하단과 연결 고정된 고정판; 고정판의 일측과 힌지결합되고, 고정판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쌍의 포크; 한 쌍의 포크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수평편의 단면에 고정되고, 고정브라켓과 결속된 작동로드를 갖는 작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이를 떠 받친 상태로 들어 올려 이송함으로써 흔들림이 거의 없고 안정적이며, 안착된 MLCC가 유동에 의해 낙하되거나 비산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트레이의 변형이나 파손이 없어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효율성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GRIP DEVICE FOR CARRYING TRAY HEAPS OF MLCC USING MLCC STOCKING MACHINE}
본 발명은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MLCC를 포장박스로 포장하기 위해 트레이에 적재할 때 MLCC가 적재된 트레이를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개선된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MLCC(Multi Layer Ceramic Capacitor:적층세라믹콘덴서)는 통신, 컴퓨터, 가전, 자동차 등의 산업에 사용되는 중요한 칩부품이며, 특히 휴대전화, 컴퓨터, 디지털 TV,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CD-R, DVD 등 각종 전기전자 정보통신기기에 사용되는 핵심 수동소자이다.
통상, 휴대용 전화기 한대 당 약 150개, PDA에 약 200개, 디지털TV에는 약 300개 정도의 MLCC가 들어가며, 2004년을 기준으로 전체 콘덴서 시장에서 37%를 점유하고 있다.
이러한 MLCC의 구조는 유전체인 티탄산바륨에 유전특성 제어를 위한 바인더와 산화이트륨, 산화망간, 산화지르코니움 등을 첨가제로 한 유전층과, 유전층 사이에 내부전극이 설치되고, 또한 내부전극을 양단에서 연결시켜주는 외부전극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MLCC는 종래의 경우 팔라듐, 은과 같은 고가의 전극소재를 사용하였으나, 최근 니켈, 구리 등을 사용하여 고성능, 저원가를 실현하고 있으며, 또한 현재의 MLCC의 핵심 소재는 내부전극 소재로는 니켈, 외부전극 소재는 구리, 유전체 소재로 티탄산바륨으로 압축되고 있다.
최근, 시장에서 전자기기의 소형경량화의 요구에 따라 MLCC도 소형화, 대용량화하는 추세에 있고, 이러한 추세는 MLCC의 핵심 소재인 니켈, 구리, 티탄산바륨도 각 용도의 특성에 맞는 조성 및 입도제어기술의 연구, 개발이 진행 중에 있으며 이는 연평균 17.3%라는 세계시장에서 2005년에는 18억 달러, 2012년 이후에는 배이상으로 시장 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칩 형태로 제조된 다량의 MLCC를 사용처로 납품하기 위해서는 일정형상과 크기를 갖는 포장박스에 담아 포장하는 공정을 거쳐야 되는데, 이를 위해 MLCC 적재기가 사용된다.
MLCC 적재기는 투입부를 통해 투입호퍼로 투입된 다량의 MLCC를 일정량씩 정량 인출하면서 겹치지 않게 펼친 상태로 정렬하면서 메쉬망 형태의 트레이로 이송하고, 일정량씩 정량 분배된 다수의 트레이를 배출하여 포장박스로 정량 포장할 수 있도록 MLCC의 투입 후 정량분배, 배출까지의 과정을 자동화시킨 설비이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실용 제0226101호 '칩 분리 및 정렬장치', 등록특허 제0407788호 '칩 콘덴서 자동이송공급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선행기술들 중 등록실용인 전자의 경우는 MLCC가 안착된 케이스를 수직엑츄에이터에 의해 동작하는 후크를 이용하여 케이스의 양단을 파지한 다음 들어 올리도록 되어 있어 엑츄에이팅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MLCC가 흔들리면서 쏟아지거나 비산 낙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더하여, 이송된 케이스를 적재 위치에 내려 놓을 때에도 후크로 집는 방식은 케이스의 양단을 잡고 있으므로 케이스를 적재대 위와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킨다고 해도 후크 때문에 단차를 가질 수 밖에 없고, 후크를 열어 내려 놓는 순간 툭 떨어지면서 충격이 발생되므로 수납되어 있던 MLCC가 유동되면서 비산되고 외측으로 낙하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 경우에는 후크로 집는 방식이므로 비교적 얇고 강성이 약한 메쉬망 형태의 케이스가 쉽게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불량이 유발되는 단점도 있었다.
반면, 등록특허인 후자의 경우에는 자성체의 경우 자력흡착식, 비자성체의 경우에는 진공흡착식으로 받침판을 흡착하여 이송하도록 된 것인데, MLCC를 수납한 상태가 아니고 수납을 위해 받침판을 투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어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분야와는 상당한 거리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MLCC가 안착된 케이스 혹은 받침판을 MLCC와 함께 이동시킬 수 있는 방식은 집게 방식으로 집어서 들어 올리고 이송하는 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선없이 지금까지 그 방식대로 고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송불량이 많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실수율도 하락되며, 발생된 문제를 해결하고 처리해야 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MLCC를 포장하기 위해 MLCC를 트레이로 정량 분배한 다음 트레이를 포장박스로 담기 위해 배출할 때 트레이가 흔들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됨은 물론 이송도중 파손되거나 휨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이송효율을 높이고, MLCC의 비산이나 낙하 등이 문제도 일소시킨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호퍼에서 MLCC를 정량 공급받은 트레이가 트레이의 하부 네모서리부를 지지하는 승강편 상에 안착되고, 이 트레이를 떠 올려 적치대로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그립장치에 있어서; 적치대의 상부로 배열설치된 가이드프레임; 가이드프레임의 단부에 고정된 모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가이드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된 볼스크류; 볼스크류와 치결합되고, 가이드프레임의 양측 하단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 채 슬라이딩되는 이동블럭; 이동블럭의 하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수직편과, 수직편에 수평하게 고정된 수평편을 갖는 고정편; 수평편의 양측을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 어느 하나의 가이드봉과 평행하게 수평편 상에 고정되고, 수평편을 관통한 실린더로드를 갖는 승하강실린더; 가이드봉의 하단 및 실린더로드의 하단과 연결 고정된 고정판; 고정판의 일측과 힌지결합되고, 고정판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쌍의 포크; 한 쌍의 포크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수평편의 단면에 고정되고, 고정브라켓과 결속된 작동로드를 갖는 작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작동실린더의 몸체 양측과 상기 고정브라켓 사이에는 스프링이 더 체결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포크의 하단면은 개방된 단부를 향해 상하 두께가 얇아지는 방향으로 테이퍼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이를 떠 받친 상태로 들어 올려 이송함으로써 흔들림이 거의 없고 안정적이며, 안착된 MLCC가 유동에 의해 낙하되거나 비산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트레이의 변형이나 파손이 없어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효율성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LCC 적재기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LCC 적재기에 장착되는 이송그립장치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LCC 적재기에 장착되는 이송그립장치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LCC 적재기에 장착되는 이송그립장치의 요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LCC 적재기에 장착되는 이송그립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LCC 적재기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갖는 여러 물질을 적층하여 얻은 그린시트(green sheet)로부터 필요크기로 절단되어 칩(chip) 형태로 제조된 콘덴서인 MLCC(multi layer ceremic capacity)를 일정량씩 나누어 포장박스로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재용 머신(Machine)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MLCC 적재기에 장착되는 이송그립퍼에 관한 것으로, 이를 설명하기 위해 먼저 MLCC 적재기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개관하기로 한다.
물론, 도시 설명될 MLCC 적재기도 본 출원인에 의해 완성된 기존에 없는 최적화된 자동화장치기는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이 MLCC 적재기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구성 중 하나인 이송그립장치를 주된 특징으로 청구키로 한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LCC 적재기는 외형 즉, 골격을 유지하는 베이스프레임(1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베이스테이블(110)과 한 조를 이루어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들 베이스프레임(100)과 베이스테이블(110)은 서로 최근접된 상태에서 결속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으며, 하부에는 캐스터(120)가 달려 있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테이블(110)의 내부에는 제어에 필요한 수단들과 전원공급을 위한 수단 등이 내장되며, 개폐되는 도어(112)에 의해 내부 공간이 보호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프레임(100)과 베이스테이블(110)을 한 조로 포함하는 MLCC 적재기에는 MLCC 적재 처리를 위한 무수히 많은 구성들이 포함되지만 이들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므로 MLCC 적재기의 적재처리 과정을 개관하면서 간단히 언급하기로 하고, 그런 후에 본 발명의 주된 구성부분인 이송그립장치에 대해서만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MLCC 적재를 위해 메쉬망 형태를 갖는 트레이(130)와, 상기 트레이(130)를 다수개 적재하여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격자 형태를 갖는 적치대(140)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데, 트레이(130)는 도 1의 도시상 화살표와 같이 베이스테이블(110)의 전면 좌측으로 투입된 후 일련의 MLCC 수납과정을 거쳐 적치대(140)에 순서대로 안착되고, 적치대(14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우측으로 투입되어 트레이(130)를 적재한 다음 좌측의 화살표 방향으로 배출되는데 이를 기본 처리 플로우로 한다.
메쉬망 형태의 트레이(130)는 승강식 트레이적치대(132) 상에 다단으로 다수 적치되고, 베이스테이블(110) 상부로 상승되면 이재실린더(210)를 포함하는 이재부(移載部:Transfering Part)(200)에 의해 트레이(130)가 운반대(144)로 이재되고, 운반대(144)는 반송테이블(150)을 따라 반송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적치대(132)는 쌍으로 구비되면 처리효율면에서 더욱 좋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운반대(144)는 볼스크류 타입의 구동방식으로 반송테이블(150)을 따라 수평 왕복운동하게 되며, 통상 1,2차에 걸쳐 움직이는데 1차 이동시 교정기(142) 하방에 위치되어 트레이(130)를 한 번 눌러 평평하게 펴지도록 교정하고, 교정이 완료되면 2차 이동하여 MLCC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위치에 멈추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트레이(130)의 폭이 운반대(144)의 폭 보다 크므로 트레이(130)는 양단이 운반대(144)의 에지 외측까지 돌출된 상태로 얹혀진다.
그러면, 투입터널(160)의 선단에 설치된 게이트(170)가 오픈되면서 호퍼(180)에 수납되어 있던 다수의 MLCC들이 흘러내려 상기 트레이(130) 상면에 일정량 쌓이게 되고, MLCC가 정해진 양만큼 배출되면 게이트(170)는 클로즈된다.
이어, 트레이(130)와 대응되는 폭을 갖는 승강편(146)이 상승하면서 트레이(130)를 일정높이 들어 올리고, 동시에 트레이(130)를 분리시킨 운반대(144)는 홈포지션으로 복귀하여 다음 트레이를 수납하도록 대기한다.
승강편(146)에 의해 트레이(130)가 들어 올려지면 본 발명에 따라 이송그립부(300)가 트레이(130)를 떠 받치는 형태로 그립하여 적치대(140)로 이송한 다음 위치제어기의 제어하에 안착위치가 결정되면 해당 위치에 내려놓고 홈포지션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다수회 반복하여 하나의 적치대(140)에 적치될 갯수의 트레이(130)가 모두 적치완료되면 적치대(140)는 배출쪽으로 이동한 후 배출처리된다.
한편, 상기 적치대(140)의 투입과, 이동 및 배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적치대(140)는 베이스프레임(190)의 적치대안착부(190) 상에 다수 적치되고, 그 상부에서 수직가이드(192)를 따라 승하강되는 적치대그립부(194)에 설치된 그립퍼(196)가 벌어졌다 오므려들었다 하면서 한 장의 적치대(140)를 파지한 상태로 상승하면, 수평가이드(300)를 따라 왕복하는 적치대이송유닛(310)이 적치대그립부(194) 하부로 진입하고, 진입이 완료되면 그립퍼(196)가 파지상태를 해제하여 적치대(140)를 적치대이송유닛(310)에 안착시킨다.
이후, 적치대이송유닛(310)은 적치대(140)를 지지한 채 트레이(130)를 받을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대기하고, 트레이(130)가 모두 정렬 재치되면 배출쪽으로 이동하여 적치대 투입측과 동일하게 설치된 도 2에 도시된 또다른 적치대그립부(198)가 적치대(140)를 그립하여 투입과 역순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트레이(130)는 물론 적치대(140)를 쉽고 편리하게 자동 투입 및 배출할 수 있고, 동시에 호퍼(180)에 수납되어 있던 MLCC를 정량 배출하여 트레이(130) 상에 올려 놓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MLCC 적재기에서 본 발명은 특히, 이송그립부(300)에 관한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송그립부(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베이스프레임(100)에 고정되고, 베이스프레임(100)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가이드프레임(31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은 사각형상의 프레임이며, 후단에는 모터(320)가 설치되고, 모터(320)의 회전축에는 볼스크류(330)가 설치되며, 볼스크류(330)에는 이동블럭(340)이 치결합된다.
이때, 상기 볼스크류(330)는 가이드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저면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럭(340)은 대략 'U' 형상으로 상단 양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의 양측면 하단 모서리부에 걸려 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모서리부에는 상기 이동블럭(340)의 상단이 걸릴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긴 홈(34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이동블럭(340)의 저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ㅗ' 형상, 즉 수평편(352)과 수직편(354)을 갖는 고정편(350)이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편(350)을 구성하는 수직편(354)의 상단이 상기 이동블럭(340)의 저면에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이동블럭(340)과 일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고정편(350)의 수평편(352), 즉 수직편(354)을 기준으로 양측 위치의 수평편(352) 상에는 각각 원통형가이드(356)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원통형가이드(356)에는 가이드봉(358)기 끼워지되 상기 가이드봉(358)은 상기 수평편(352)을 상하로 관통하여 하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노출된 가이드봉(358)의 단부에는 고정판(370)이 견고히 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편(352)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봉(358)과 평행하게 승하강실린더(360)가 고정되고, 승하강실린더(360)에 연결된 실린더로드(362)는 상기 수평편(352)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370)에 견고히 결속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실린더(360)가 상승 또는 하강 동작하게 되면 상기 고정판(370)이 승하강하게 되며, 한 쌍의 가이드봉(358)에 의해 지지되므로 안정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판(370)의 일측 하부에는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포크(380)가 힌지축(38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힌지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포크(380)는 고정브라켓(384)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포크(380)의 하단면은 개방된 단부를 향해 상하 두께가 얇아지는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함으로써 향후 동작시 트레이(130)를 내려놓을 때 충격을 최소화하고, 원활한 동작을 유도를 배가시킨다.
또한, 상기 수평편(352)의 일측 단면 길이 중앙부에는 작동실린더(390)가 고정되고, 상기 작동실린더(390)에 연결된 작동로드(392)는 상기 고정브라켓(384)과 체결된다.
이때, 상기 포크(380)의 처짐을 방지하고, 동작을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작동실린더(390)의 몸체와 상기 고정브라켓(384)은 한 쌍의 스프링(394)에 의해 더 결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트레이(130)가 승강편(146) 상에 안착되고, 운반대(144)가 홈포지션으로 복귀되어 있는 상태에서 트레이(130)와 간섭되지 않도록 더 바깥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포크(380)가 승하강실린더(360)의 하강 동작에 따라 하강되고, 그 상태에서 모터(320)가 회전하여 이동블럭(340)을 1차 전진시키면 포크(380)와 고정판(370) 사이의 공간으로 트레이(130)의 일측이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트레이(130)가 완전히 삽입되면 승하강실린더(360)가 상승하면서 포크(380)와 함께 트레이(130)를 들어 올리게 되고, 동시에 승강편(146)은 홈포지션으로 하강하여 대기하게 되며, 트레이(130)의 리프팅이 완료되면 모터(320)가 다시 구동되어 이동블럭(340)을 적치대(140)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위치제어기는 적치대이송유닛(310)을 움직여 트레이(130)를 놓을 장소를 정확하게 세팅시키고, 이동블럭(340)은 위치제어된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후, 승하강실린더(360)가 하사점까지 하강하면 트레이(130)의 타단이 적치대(140)의 상면에 닿게 되고 그 상태에서 모터(320)가 회전되면서 포크(380)가 후진함과 동시에 작동실린더(390)가 상승하면 작동로드(392)가 당겨지면서 포크(380)를 회전중심인 힌지축(38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포크(380)가 하방향을 향해 경사로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130)가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면서 충격없이 안정적이면서 안전하게 적치대(140) 상에 안착되게 된다.
트레이(130)의 적치가 완료되면 작동실린더(390)는 하강하여 벌렸던 포크(380)를 다시 원래 위치로 닫고, 후진하여 홈포지션으로 이동 후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트레이(130)를 안전하고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적치대(140)에 적치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기본처럼 후크 형태로 파지 후 낙하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트레이(130)의 끝점을 적치대(140)에 먼저 접촉시킨 상태에서 포크(380)의 하부를 경사지게 벌리면서 후진토록 함으로써 아주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재치하는 형태로 트레이(130)를 이송 적치할 수 있어 안전성과 안정성이 극대화되고, 유동이 거의 없어 MLCC가 비산되거나 낙하되지 않으며, 또한 트레이(130)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도 사라지게 된다.
이로써, MLCC 적재대에서 이송그립장치를 개선하여 이송의 효율성, 장수명화를 달성시킬 수 있게 된다.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베이스테이블
130 : 트레이 140 : 적치대
200 : 이재부 300 : 이송그립부
310 : 가이드프레임 320 : 모터
330 : 볼스크류 340 : 이동블럭
350 : 고정편 360 : 승하강실린더
370 : 고정판 380 : 포크
390 : 작동실린더

Claims (3)

  1. 호퍼에서 MLCC를 정량 공급받은 트레이가 트레이의 하부 네모서리부를 지지하는 승강편 상에 안착되고, 이 트레이를 떠 올려 적치대로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그립장치에 있어서;
    적치대의 상부로 배열설치된 가이드프레임;
    가이드프레임의 단부에 고정된 모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가이드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된 볼스크류;
    볼스크류와 치결합되고, 가이드프레임의 양측 하단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 채 슬라이딩되는 이동블럭;
    이동블럭의 하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수직편과, 수직편에 수평하게 고정된 수평편을 갖는 고정편;
    수평편의 양측을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
    어느 하나의 가이드봉과 평행하게 수평편 상에 고정되고, 수평편을 관통한 실린더로드를 갖는 승하강실린더;
    가이드봉의 하단 및 실린더로드의 하단과 연결 고정된 고정판;
    고정판의 일측과 힌지결합되고, 고정판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쌍의 포크;
    한 쌍의 포크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수평편의 단면에 고정되고, 고정브라켓과 결속된 작동로드를 갖는 작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린더의 몸체 양측과 상기 고정브라켓 사이에는 스프링이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크의 하단면은 개방된 단부를 향해 상하 두께가 얇아지는 방향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
KR1020110103376A 2011-10-11 2011-10-11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 KR101216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376A KR101216290B1 (ko) 2011-10-11 2011-10-11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376A KR101216290B1 (ko) 2011-10-11 2011-10-11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290B1 true KR101216290B1 (ko) 2012-12-28

Family

ID=4790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376A KR101216290B1 (ko) 2011-10-11 2011-10-11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2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6692A (zh) * 2017-05-08 2017-07-25 钟建筑 一种饭店自动送菜装置
KR20230022584A (ko) * 2021-08-09 2023-02-16 팩컴코리아(주) 자동 인라인 정합 제품 적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101Y1 (ko) 1999-06-01 2001-06-01 안영훈 칩 분리 및 정렬장치
JP2003159686A (ja) 2001-09-07 2003-06-03 Mitsubishi Electric Corp 把持装置及び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101Y1 (ko) 1999-06-01 2001-06-01 안영훈 칩 분리 및 정렬장치
JP2003159686A (ja) 2001-09-07 2003-06-03 Mitsubishi Electric Corp 把持装置及び搬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6692A (zh) * 2017-05-08 2017-07-25 钟建筑 一种饭店自动送菜装置
KR20230022584A (ko) * 2021-08-09 2023-02-16 팩컴코리아(주) 자동 인라인 정합 제품 적재 시스템
KR102601086B1 (ko) * 2021-08-09 2023-11-10 팩컴코리아(주) 자동 인라인 정합 제품 적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8997B2 (en)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facility
CN101861090B (zh) 托盘供给装置
JP5850661B2 (ja) 部品供給装置
JP2005104475A (ja) 基板収納トレイ用パレットおよび基板移載システム
JP4096893B2 (ja) マイクロプレートの供給収納装置およびマイクロプレートの供給方法ならびに収納方法
KR101216290B1 (ko) Mlcc 적재기용 트레이 이송그립장치
CN113371468A (zh) 塑料瓶隔板码垛及隔板拆垛全自动多功能一体机
CN113211034A (zh) 振动模组保护盖装配系统
CN113071887A (zh) Ic载板放板机
KR101216304B1 (ko) Mlcc 적재기의 트레이 반송용 그립장치
KR20060133448A (ko) 반송 시스템
KR20010088720A (ko) 칩 콘덴서 자동 이송공급장치
KR20100132757A (ko)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 장치
JPH10322088A (ja) トレイ供給機
CN210312544U (zh) 一种电子元器件装盒机的输送机构
KR101452095B1 (ko) 트레이 이송 장치
CN214692196U (zh) 一种托盘自动上下料装置
KR101704618B1 (ko)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KR200286751Y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JP2017147043A (ja) 積層パレット搬送装置
JP3873983B2 (ja) マイクロプレートの供給装置
JP4028263B2 (ja) 部品収納装置
KR102579746B1 (ko) 스택 이송 방식의 트레이 공급 시스템
CN210311076U (zh) 一种电子元器件装盒机的上料装置
CN219948636U (zh) 纽扣电池自动装盘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