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009B1 - 기준 처리 시트 및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기준 처리 시트 및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009B1
KR101216009B1 KR1020127000809A KR20127000809A KR101216009B1 KR 101216009 B1 KR101216009 B1 KR 101216009B1 KR 1020127000809 A KR1020127000809 A KR 1020127000809A KR 20127000809 A KR20127000809 A KR 20127000809A KR 101216009 B1 KR101216009 B1 KR 101216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column
asbestos
type
descri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345A (ko
Inventor
마사아키 요시다
테루유키 마추시마
Original Assignee
인바이런먼트 매니지먼트 레버러토리 가부시키가이샤
우쓰노미야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바이런먼트 매니지먼트 레버러토리 가부시키가이샤, 우쓰노미야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인바이런먼트 매니지먼트 레버러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66Disposal of asbest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과제] 석면 함유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을, 확실하면서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는 석면 함유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처리 대상물을 분류하는 처리 대상물 분류란과, 이 분류된 처리 대상물의 처리 조건을 나타내는 처리 대상물 처리 조건란을 가지며, 상기 처리 대상물 처리 조건란에 기재된 처리 조건은 상기 분류된 각각의 처리 대상물에 대응한 처리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처리 시트, 및 기준 처리 시트를 사용하여, 처리 대상물을 분류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 대상물 처리 방법란이 나타내는 처리 조건에 따라 무해화 실험을 행하는 공정과, 상기 무해화 실험을 행한 결과에 근거하여,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경우의 처리 조건의 각 최적치를 결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

Description

기준 처리 시트 및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Standard Treatment Sheet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eatment Method for Detoxification of Asbestos-Containing Material}
본 발명은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을, 확실하게 및 신속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기준 처리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면(asbestos)은 천연의 광물섬유이며, 각섬석계 석면과 사문석계 석면이 있다. 각섬석계 석면으로서는 크로시드라이트(청석면), 아모사이트(차석면), 악티노라이트(양기석면), 트레모라이트(투각섬석면), 안소피라이트(직섬석면)가 있으며, 사문석계에는 크리소타일(백석면)이 있다. 이들 석면은 내열성, 내약품성, 절연성 등이 우수하며, 건축 자재 (내화재, 단열재, 방음재)로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석면은 우수한 특성을 가지지만, 미소한 침상 결정 조직이기 때문에, 사람이 흡인한 경우, 그의 일부가 체내에 잔류하여, 악성 중피종(惡性中皮腫)이나 폐암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최근에는 건축 폐재 등의 석면의 처리가 큰 문제로 되고 있다.
석면의 처리 방법으로서는 종래 특허문헌 1 또는 2와 같은 산처리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산처리에 의해서, 석면 무해화의 법적 의무인 「함유량 0.1% 미만」까지의 무해화(無害化)는 확실하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무해화의 대상이 되는 석면의 종류에 따라 취급하는 산의 종류, 농도 등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또한 폐기된 석면 함유 재료에는 용도에 따른 형태가 있으며, 여러 종류의 재료 또는 첨가물이 함유되거나, 또는 석면 회수시에 첨가된 약제가 포함되며, 그들의 조성이 일정하지 않고, 또 프레스, 소성하여 형성된 것은 처리제의 침투속도가 비성형체에 비하여 더 느리게 되는 등 때문이며, 코스트 퍼포먼스가 우수한 산처리 조건의 결정은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면 중간 처리장에 가지고 온 석면 함유 재료의 산처리 방법을, 그의 대상물마다 시행착오에 따라 시간을 들여 실험 확인하면, 처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처리 방법의 결정에 시간이 걸리면, 석면의 신속한 무해화가 이루어질 수 없고, 또한 견적서의 제시가 늦어져 수주할 수 없다는 중대한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306697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 2008-49205호 공보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석면 함유 재료를 저렴한 가격으로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무해화하기 위해서는, 폐기되는 석면 함유 재료가 들어오기 전에, 모든 석면 폐기물의 처리 기준을 확립하여 두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도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과제는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을, 확실하면서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처리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을, 확실하면서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는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이하의 기재내용에 의해 명확해진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각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석면을 함유한 처리 대상물을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을 결정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기준 처리 시트이며, 처리 대상물을 분류하는 처리 대상물 분류란과, 이 분류된 처리 대상물의 처리 조건을 나타내는 처리 대상물 처리 조건란을 가지며, 상기 처리 대상물 처리 조건란에 기재된 처리 조건은 상기 분류된 각각의 처리 대상물에 대응한 처리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처리 시트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대상물 분류란은 상기 처리 대상물을 분류한 형을 기재한 란을 가지며, 상기 처리 대상물을 분류한 형을 기재한 란은, 상기 처리 대상물을 외관으로부터 분류한 복수개의 란을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란은, 처리대상물이 섬유상 등의 비성형체로 이루어진 I형의 란과, 처리 대상물이 성형체로 이루어진 II형의 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처리 시트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물 분류란은 상기 처리 대상물의 석면 종류를 기재한 란을 가지며, 상기 석면 종류를 기재한 란은, X선 회절 장치, 위상차 현미경 또는 전자 현미경에 의한 분석에 의해 석면 종류를 특정하고 분류하여, 상기 I형 및 상기 II 형마다, 백석면만의 란과, 차, 청석면 등을 포함하는 란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처리 시트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물 분류란은 상기 처리 대상물의 형상 또는 입경을 기재한 란을 구비하며, 상기 II형의 란에 대응하는 상기 형상 또는 입경을 기재한 란은 성형체의 입경이 다른 복수개의 란을, 백석면만의 란과 차, 청석면 등을 포함하는 란의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처리 시트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물 처리 조건란은, 상기 처리 방법에 필요한 광산의 종류 및 필요량을 기재한 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처리 시트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물 처리 조건란은, 상기 처리 방법에 필요한 처리 시간을 기재한 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처리 시트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준 처리 시트를 사용하여, 석면을 함유한 처리 대상물을, 상기 처리 대상물 분류란에 따라 분류하는 공정과, 상기 분류에 대응한 상기 처리 대상물 처리 방법란이 나타내는 처리 조건에 따라서, 상기 처리 조건 및 상기 처리 조건이 나타내는 기준치의 전후 값의 조건에 있어서 무해화 실험을 행하는 공정과, 상기 무해화 실험을 행한 결과에 근거하여,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경우의 처리조건의 각 최적치를 결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을, 확실하면서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처리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을, 확실하면서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는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 처리 시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준 처리 시트를 사용한 무해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석면을 함유하는 처리 대상물을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을 결정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기준 처리 시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준 처리 시트 (1)은 처리 대상물을 분류하는 처리 대상물 분류란 (2)와, 상기 분류된 처리 대상물의 처리 조건을 나타내는 처리 대상물 처리 조건란 (3)을 가지며, 각각의 란 (2)와 (3)은 서로 대응시켜서 연관되어 있다.
상기 처리대상물 처리 조건란 (3)에 기재되는 처리 조건은 상기 분류된 각각의 처리 대상물에 대응한 처리 조건이다.
상기 처리대상물 처리 조건란 (2)는 처리 대상물을 외관으로부터 분류한 형을 기재한 란 (11)과, 석면종류를 기재한 란 (12)와, 형상 또는 입경을 기재한 란 (13)과, 분류를 나타내는 기호를 기재한 란 (14)를 가지며, 처리 대상물 처리 조건란 (3)은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15)와, 처리 시간을 기재한 란 (16)을 가지며, 각 란 11, 12, 13, 14, 15 및 16은 서로 대응시켜서 연관되어 있다.
상기 처리대상물을 외관으로부터 분류한 형을 기재한 란 (11)은, 석면을 함유한 처리 대상물을 외관으로부터 복수 개로 분류한 것이다. 여기서 「외관」이라는 것은 시공 전의 석면 재료이며,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외관이 아니라는 점에서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양태에서는 처리 대상물이 시공 전의 석면재료의 단계에서 섬유상 등의 비성형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I형, 처리 대상물을 시공 전의 석면재료의 단계에서 성형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II형으로 하고, 2 종류로 분류하고 있다.
I형으로 분류되는 처리 대상물로서는 스프레이 석면, 석면 함유 스프레이 록울, 석면 함유 내화 피복판, 석면 보온재, 규조토 보온재, 펄라이이트 보온재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또한, II형으로 분류되는 처리 대상물로서는, 석면 함유 슬레이트 파판(波板), 석면 함유 슬레이트 보드, 석면 함유 규산 칼슘 판 제1종, 석면 함유 펄라이트 판, 석면 함유 슬라그 석고판, 석면 함유 규산 칼슘판 제2종, 석면 함유 요업계 사이딩, 석면 함유 주택 지붕용 화장 슬레이트, 석면 함유 비닐 판 타일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형체와 비성형체의 분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 전의 석면 재료의 상태에서의 형상을 외관 관찰하여 결정되는 분류이며, 실제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형태의 분류와는 다르다.
예를 들면, I형으로 분류되는 비성형체로 분류되는 「스프레이 석면」등의 경우에는, 시공 전의 석면 재료의 상태에서는 비성형체이지만, 사용상태에서 보면, 석고 또는 시멘트 등으로 고정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성형체로 볼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시공 전의 석면 재료의 상태에서의 형태를 외관 관찰하여 분류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석면 종류를 기재한 란 (12)는 I형, II형의 각각으로 분류된 처리 대상 재료에 대하여, 함유하는 석면이 크리소타일(백석면)만의 그룹(a)과, 아모사이트(차석면), 크로시드라이트(청석면), 악티노라이트(양기석면), 트레모라이트(투각섬석면), 안소피라이트(직섬석면) 등의 석면을 함유하는 그룹(b)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룹(b)에는 이들의 석면에 크리소타일이 공존하는 것도 포함된다.
형상 또는 입경을 기재한 란 (13)은 석면 종류를 기재한 란 (12)로 분류되는 석면의 각각에 대하여, 형상(입경)이 대응하여 기재되어 있다.
비성형체인 I형은 그룹(a), 그룹(b)와 함께 원래 모습의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원래 모습의 상태는 전술한 시공 전의 석면 재료의 상태이다. 다만 석고 또는 시멘트 등으로 고정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폐기물로서 처리 대상물로서 반입되는 단계에서는, 원래 모습의 상태가 아닌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파쇄처리되어 원래 모습이 추정될 수 있는 상태로 처리된다. 따라서 여기서 원래 모습이라고 하는 경우는 사용 전의 원래 모습 본래 형상 대로인 경우나, 원래 모습으로 되돌아온 상태의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의 원래 모습의 판별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가능하다.
성형체인 II형은 성형체를 파쇄 또는 분쇄한 입경에 따라, 예를 들면 4 메시 이하 (직경 5mm 이하) 및 4 메시 초과 (직경 5mm 초과)로 각각 분류되고 있다. 이것은 성형체의 구조나 성질에 따라서, 광산의 석면까지의 함침(도달) 능력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기준이 되는 광산의 종류 및 필요량이 다르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형상 또는 입경을 기재한 란 (13)은 II형의 경우에는 그룹(a), 그룹(b)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의 입경의 란이 만들어져 있다.
그리하여 이 형상 (입경)을 기재한 란에 대응, 연관시켜서 기호를 기재한 란 (14)이 각각 만들어져 있다.
기호를 기재한 란 (14)는 I형, II형의 각각의 분류에 대응, 연관시켜서 Ia, Ib, IIa5, IIa, IIb5, IIb의 6개의 분류를 기호화하여 기재하고 있다.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15)는 상기 6개의 분류의 각각에 대하여 석면을 무해화하는데 필요한 기준이 되는 광산의 종류와 그의 필요량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은 미리 각종의 석면에 대하여 무해화의 실험을 행하여, 확실한 결과에 근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준 처리 시트에 실험적으로 확인한 광산의 종류와 그의 필요량을 기재하고 있기 때문에, 처리 방법의 결정이 신속하게 행해진다.
광산의 종류는 황산, 염산, 불화수소산을 열거할 수 있다. 이들 중, 1종을 사용하는 경우, 2종을 사용하는 경우, 3종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2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는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광산의 종류나 조합은 처리 대상에 의해서 미리 실험적으로 확인되어 있다.
필요량에 있어서의 「부」는 처리 대상물 중의 석면 중량에 대하여 반응에 필요한 순도 100% 광산의 중량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동일).
처리 시간을 기재한 란 (16)은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15)에 기재된 광산을 사용하여 산처리하는 경우의 기준이 되는 처리 시간이 기재되어 있다. 이 처리 시간은 미리 각종의 석면에 대하여 무해화의 실험을 행한 결과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이 기준 처리 반응에서는 가열이 통상 행해지며, 그 가열 처리가 전제이기 때문에, 기준 처리 시트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처리 온도를 기재할 수도 있다. 처리 온도는 상압 하에서 약 90℃ 전후이다. II형의 경우, 가압처리에 의해 광산의 침투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가압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가압하에서 약 110℃ 전후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기준 처리 시트에 있어서,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15)및 처리시간을 기재한 란 (16)의 일 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기재는 본 발명자의 실험에 근거한 알 수 없는 수치이다.
Ia형의 경우에는,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15)에, 광산의 종류가, 황산 또는 염산으로 기재되어 있다. 필요량은 3부로 기재되어 있다. 이 3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량비로 3부를 의미하고 있으며, 석면 함유량 1부에 대하여 순도 100% 광산 3부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처리 시간을 기재한 란 (16)에는 5 시간으로 기재되어 있다.
Ib형의 경우에는,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15)에, 불화수소산을 석면 함유량 1부에 대하여 2부 및 황산 또는 염산을 석면 함유량 1부에 대하여 10부인 것이 기재되며, 추가로 처리 시간을 기재한 란 (16)에는 4시간으로 기재되어 있다.
IIa5형의 경우에는,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15)에, 황산 또는 염산을 석면 함유량 1부에 대하여 25부인 것이 기재되며, 추가로 처리 시간을 기재한 란 (16)에는 5 시간으로 기재되어 있다.
IIa형의 경우에는,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15)에, 황산 또는 염산을 석면 함유량 1부에 대하여 40부인 것이 기재되며, 추가로 처리 시간을 기재한 란 (16)에는 6 시간으로 기재되어 있다.
IIb5형의 경우에는,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15)에, 불화수소산을 석면 함유량 1부에 대하여 2부 및 황산 또는 염산을 석면 함유량 1부에 대하여 10인 것이 기재되며, 추가로 처리시간을 기재한 란 (16)에는 5시간으로 기재되어 있다.
IIb형의 경우에는,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15)에, 불화수소산을 석면 함유량 1부에 대하여 2부 및 황산 또는 염산을 석면 함유량 1부에 대하여 14부인 것이 기재되며, 추가로 처리 시간을 기재한 란 (16)에는 5시간으로 기재되어 있다.
동종량의 황산과 염산에서는 황산의 편이 유효하지만, 시멘트 등에 유래하는 소석회 또는 성형시의 소성 등에 유래하는 생석회 또는 소석회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황산을 사용하면 처리 대상물의 표면에 황산 칼슘의 피막이 생성하여 처리효율을 방해하기 때문에, 칼슘과 불용성의 염을 생성하지 않는 염산을 사용한 편이 유효하다.
광산량에 따라 더욱 과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성형재료의 입경이 4 메시보다 더욱 섬세하게 되면 광산량은 더욱 적어지며 또한 더욱 단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15) 및 처리 시간을 기재한 란 (16)의 기재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취지가 명시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이 기준 처리 반응에서는 가열이 통상 행해지며, 그 가열처리가 전제이기 때문에, 기준 처리 시트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기재할 수 있다. 처리 온도는 상압하에서 약 90℃전후, 또는 II형의 경우 가압처리에 의해 광산의 침투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 가압하에서는 약 110℃ 전후이어도 좋으며, 더욱 단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15) 및 처리시간을 기재한 란 (16)의 기재내용은 한정적이지 않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고, 수치를 다소 변동시켜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인 것은 분명할 것이다.
이러한 기준 처리 시트 (1)에 따르면, 해체업자 등으로부터 입수한 처리 대상물의 샘플로부터, 기준 처리 시트(1)에 Ia, Ib, IIa5, IIa, IIb5, IIb의 6종류로 분류되는 어느 것에 속하는지를 판별함으로써, 그 무해화 처리를 행하는데 필요한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 및 처리시간의 기준치를 확실하면서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준처리 시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준 처리 시트는 도시한 바와 같은 1장의 시트에 의해 구성되는 태양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시에서는 행방향으로 6개의 서로 연관하는 란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 각 란마다, 혹은 I형이나 II형의 각각에 대하여, 1장의 시트마다 분할하여 기재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경우, 각 란마다이면 6장의 시트에 의해 본 발명의 기준 처리 시트가 구성되며, I형이나 II형에 의하여 분할하는 경우는, 2장의 기준 처리 시트에 의해 구성되게 된다. 입수한 처리 대상물이 한정되는 경우 (예를 들면, I형이나 II형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사용하는 기준 처리 시트가 복수 매로 분할되어 있는 편이 편리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6장의 각 시트는 기준 처리 시트의 판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 색깔로 나누어도 좋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기준 처리 시트는 어떠한 표시방법에 의해 표시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종이나 수지성 시트의 상면에, 혹은 상면과 이면(裏面)상에 표시되어 있어도 좋고, 노트북 등의 화면상에 표시하여도 좋다.
처리 대상의 분류 방법은 상기한 분류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상기한 분류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은 다른 분류 방법을 고안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준 처리 시트에는 한 분류 방법에 따른 분류의 모두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다음에, 이러한 기준 처리 시트 (1)을 사용한 무해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에 대하여 도 2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에 입각하여 설명한다.
먼저, 석면을 함유한 처리 대상물을 입수한 후, 기준 처리 시트 (1)의 처리대상물 분류란 (2)에 근거하여 분류한다. 여기에서는 먼저 석면을 함유한 처리 대상물의 외관으로부터, 비성형체의 I형인지, 성형체인 II형인지를 판단한다 (S1).
여기서 처리 대상물이 그의 외관으로부터 I형으로 분류된 경우, 그 처리 대상물에 대하여 X선 회절장치, 위상차 현미경 또는 전자현미경에 의한 분석을 행하여, 함유하는 석면 종류를 특정하거나, 또는 그의 함유량을 정량한다 (S2). 그 결과, 석면이 크리소타일(백석면) 뿐인 경우는, 기준 처리 시트 (1)로부터 그룹 Ia로 분류되며(S3), 아모사이트(차석면), 크로시드라이트(청석면), 악티노라이트(양기석면), 트레모라이트(투각섬석면), 안소피라이트(직섬석면) 등의 석면을 함유하는 경우는, 그룹 Ib로 분류된다 (S4). 그룹 Ib에는 이들의 석면에 크리소타일이 공존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분류상 열거되어 있는 안소피라이트(직섬석면)의 경우는, 광산에 의한 처리에서는 불화수소산으로도 분해할 수 없다는 것은 실험적으로 확인되어 있으며, 본 기준 처리 시트에 의한 처리법을 구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하 동일).
한편, 처리 대상물의 외관으로부터 II형으로 분류된 경우, 마찬가지로 그 처리대성물에 대하여 X선 회절장치, 위상차 현미경 또는 전자 현미경에 의한 분석을 행하여, 함유하는 석면 종류를 특정하거나, 또는 그 함유량을 정량한다 (S5). 그 결과, 석면이 크리소타일(백석면)뿐인 경우는, 기준 처리 시트 (1)로부터 그룹 IIa로 분류되며 (S6), 아모사이트(차석면), 크로시드라이트(청석면), 악티노라이트(양기석면), 트레모라이트(투각섬석면), 안소피라이트(직섬석면) 등의 석면을 함유하는 경우는, 그룹 IIb로 분류된다 (S7). 그룹 IIb에는 이들의 석면에 크리소타일이 공존하는 것도 포함된다.
다음에, 그룹 IIa, IIb에 대하여 성형체의 입경으로부터, 기준 처리 시트 (1)의 처리 대상물 분류란 (2)에 근거하여, 더욱이 4 메시 이하의 그룹 IIa5에 분류되는지 (S8), 4 메시를 초과하는 그룹 IIa에 분류되는지 (S9), 더욱이 4 메시 이하의 그룹 IIb5에 분류되는지 (S10), 4 메시를 초과하는 그룹 IIb에 분류되는지 (S11)를 판단한다.
이상으로부터, 기준 처리 시트 (1)을 사용하여, 각 그룹에 분류된 석면을 무해화하는데 필요한 기준이 되는 처리 조건을, 처리 대상물 처리 조건란 (3)의 기재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광산의 종류와 그 필요량 및 처리 시간의 기준치를, 처리 대상물 처리 조건란 (3)의 기재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광산의 종류와 그 필요량 및 처리 시간의 기준치를,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15) 및 처리 시간을 기재한 란 (16)에 기초하여, 파악할 수 있다.
다음에, 실제 무해화 처리에 있어서는, 처리 대상물에는 석면 이외에도 다양한 재료 또는 첨가물이 포함되거나, 혹은 회수 시에 사용된 약제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방법에 의해 파악된 기준치에 대하여, 해당 기준치와 그의 전후 값의 조건에 대하여 무해화 실험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기준 처리 시트 (1)에 의해 그룹 Ia로 분류된 경우, 그 광산의 종류 (A산)과 그 필요량 (○○부) 및 처리 시간 (x x h)의 기준치에 대하여, 이 외에, 광산의 량을 소정량 증감한 경우와 처리 시간을 소정시간 증감한 경우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실험을 행한다.
이것에 따라서 석면을 함유한 처리 대상물을 무해화 하는 경우의 처리 조건의 각 최적치를 결정한다 (또한 하나의 파라미터만에 대하여 최적치의 결정을 행하는 경우는, 상기 「각 최적치」는 하나의 최적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석면을 함유한 처리 대상물에 대해 확실한 무해화 처리 방법을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
실제 무해화 처리 설비의 형태에 따라서는, 복수의 처리 로트가 있는 경우에, 처음 로트에서는 온도나 압력을 포함하며, 기준치 등보다 큰 과잉을 최적 치로 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상기 기준치 등 전후의 실험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러한 후 그 처리 후의 미반응의 산을 사용하여 나중의 로트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전 공정으로 균일하면 기준치에 상당하고, 약품량적으로 또는 처리 시간적으로 큰 과잉으로는 되지 않고, 경제성, 효율성에 있어서 더욱 우수한 경우도 있다.
1: 기준 처리 시트
11: 처리 대상물을 외관으로부터 분류한 형을 기재한 란
12: 석면 종류를 기재한 란
13: 형상 또는 입경을 기재한 란
14: 기호를 기재한 란
15: 광산의 종류 및 필요량을 기재한 란
16: 처리 시간을 기재한 란
2: 처리 대상물 분류란
3: 처리 대상물 처리 조건란

Claims (7)

  1. 석면을 함유한 처리 대상물을 광산을 사용하여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최적치를 결정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기준 처리 시트로서,
    처리 대상물을 분류하는 처리 대상물 분류란과, 상기 분류된 처리 대상물의 처리 조건을 나타내는 처리 대상물 처리 조건란을 가지고,
    상기 처리 대상물 분류란은 상기 처리 대상물의 형을 기재한 란과, 상기 처리 대상물이 되는 석면 종류를 기재한 란과, 상기 처리 대상물의 형상 또는 입경을 기재한 란을 가지며,
    상기 형을 기재한 란은 상기 처리 대상물을 시공 전의 석면 재료의 상태에서의 형태를 외관 관찰하여 분류한 섬유상 등의 비성형체로 이루어진 I형과, 성형체로 이루어진 II형으로 나뉘고,
    상기 석면 종류를 기재한 란은 상기 I형 및 상기 II형 마다 백석면만의 그룹(a)과, 백석면 이외의 석면을 함유한 그룹(b)으로 나뉘고,
    상기 형상 또는 입경을 기재한 란은 상기 II형에 있어서의 그룹(a)과 상기 그룹(b)의 각각에 대응하여 4메쉬 이하의 란과 4메쉬를 초과하는 란으로 나뉘고,
    상기 처리 대상물 처리 조건란은 필요한 광산의 종류 및 필요량을 기재한 란과, 필요한 처리시간을 기재한 란을 가지며,
    상기 필요한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은 상기 처리 대상물 분류란의 상기 I형에 있어서의 상기 그룹(a)과 상기 그룹(b) 마다 및 상기 II형에 있어서의 상기 형상 또는 입경을 기재한 란 마다에 미리 무해화 실험을 행하여 확인한 결과에 근거하여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이 각각 기재되고,
    상기 필요한 처리 시간을 기재한 란은 상기 필요한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마다에 미리 무해화 실험을 행하여 확인한 결과에 근거하여 필요한 처리 시간이 각각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처리 시트.
  2. 제 1 항 기재의 기준 처리 시트를 사용하여, 석면을 함유한 처리 대상물을 상기 처리 대상물 분류란에 따라 분류하는 공정과,
    상기 분류에 대응한 상기 처리 대상물 처리 조건란에 있어서의 상기 필요한 광산의 종류와 필요량을 기재한 란 및 상기 필요한 처리 시간을 기재한 란에 기재된 처리 조건에 따라 상기 처리 조건이 나타내는 기준치와 그 전후값의 조건에서 무해화 실험을 행하는 공정과,
    상기 무해화 실험을 행한 결과에 근거하여,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 하는 경우의 처리 조건의 각 최적치를 결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물 분류란에 따라 분류하는 공정은 석면을 함유한 처리 대상물에 대하여 X선 회절장치, 위상차 현미경 또는 전자 현미경에 의한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함유하는 석면 종류를 특정하여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7000809A 2009-06-19 2010-06-18 기준 처리 시트 및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 KR101216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7009 2009-06-19
JP2009147009 2009-06-19
PCT/JP2010/060357 WO2010147208A1 (ja) 2009-06-19 2010-06-18 基準処理シート及びアスベスト含有材を無害化する処理方法の決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345A KR20120036345A (ko) 2012-04-17
KR101216009B1 true KR101216009B1 (ko) 2012-12-27

Family

ID=4335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809A KR101216009B1 (ko) 2009-06-19 2010-06-18 기준 처리 시트 및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880800B2 (ko)
KR (1) KR101216009B1 (ko)
CN (2) CN104722553B (ko)
HK (1) HK1210602A1 (ko)
WO (1) WO20101472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0282B1 (fr) 2017-08-24 2019-09-06 Universite De Montpellier Procede de destruction et de valorisation de dechets amiantes
CN108414551A (zh) * 2018-03-16 2018-08-17 中国检验检疫科学研究院 一种定性检测电子产品中石棉的电子显微-x射线衍射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5822A (ja) 2007-06-27 2009-01-15 Matsumura Sogo Kagaku Kenkyusho:Kk アスベスト含有物質の処理方法
JP2009241014A (ja) 2008-03-31 2009-10-22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アスベスト含有廃材無害化処理におけるフッ素含有廃酸の処理方法及びアスベスト含有廃材の無害化処理水溶液
JP2011072550A (ja) 2009-09-30 2011-04-14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アスベスト含有廃材無害化処理におけるフッ素含有廃酸の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70A (zh) * 1989-02-21 1989-12-27 湖南省冶金规划设计院 起爆药ddnp生产新工艺及其污水处理
JPH03282241A (ja) * 1990-03-29 1991-12-12 Shimadzu Corp X線回折による分析方法
US6766751B2 (en) * 2002-01-29 2004-07-27 Asia Pacific Environmental Technology, Inc. Integrated waste containment and processing system
CN1225320C (zh) * 2003-09-19 2005-11-02 中国矿业大学(北京校区) 一种石棉尾矿综合利用的方法
JP4229000B2 (ja) * 2004-05-28 2009-02-25 株式会社ニコン 光学顕微鏡および顕微鏡システム
JP2008049205A (ja) * 2006-03-30 2008-03-06 Taiheiyo Cement Corp クリソタイルまたはクリソタイル含有物の処理方法
JP3956236B1 (ja) * 2006-08-22 2007-08-08 Necファシリティーズ株式会社 実験廃液の処理方法
JP4740200B2 (ja) * 2006-09-29 2011-08-03 ニチアス株式会社 石綿含有材料の飛散防止方法、石綿含有材料の廃材処理方法、石綿廃材の溶融処理方法、石綿廃材処理品及び石綿溶融処理品
JP4970978B2 (ja) * 2007-02-16 2012-07-11 三協興産株式会社 アスベスト含有物の無害化処理方法
JP2009006251A (ja) * 2007-06-27 2009-01-15 Taiheiyo Cement Corp 角閃石系アスベスト含有物の無害化方法
JP4153973B1 (ja) * 2007-07-18 2008-09-24 株式会社 亀屋産業 アスベスト処理方法
JP2009078192A (ja) * 2007-09-25 2009-04-16 Nozawa Corp 石綿含有建材の無害化処理方法及び石綿含有建材を加熱処理して得られる漆喰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5822A (ja) 2007-06-27 2009-01-15 Matsumura Sogo Kagaku Kenkyusho:Kk アスベスト含有物質の処理方法
JP2009241014A (ja) 2008-03-31 2009-10-22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アスベスト含有廃材無害化処理におけるフッ素含有廃酸の処理方法及びアスベスト含有廃材の無害化処理水溶液
JP2011072550A (ja) 2009-09-30 2011-04-14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アスベスト含有廃材無害化処理におけるフッ素含有廃酸の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147208A1 (ja) 2012-12-06
KR20120036345A (ko) 2012-04-17
WO2010147208A1 (ja) 2010-12-23
CN104722553A (zh) 2015-06-24
CN104722553B (zh) 2017-04-05
JP4880800B2 (ja) 2012-02-22
CN102803950A (zh) 2012-11-28
HK1210602A1 (en)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o et al. Recycling difficult-to-treat e-waste cathode-ray-tube glass a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A critical review
Ercikdi et al. Utilization of granulated marble wastes and waste bricks as mineral admixture in cemented paste backfill of sulphide-rich tailings
Guo et al. Durability and microstructure of CSA cement-based materials from MSWI fly ash
Shinzato et al. Solid waste from aluminum recycling process: characterization and reuse of its economically valuable constituents
He et al. Preparation and mechanism of the sintered bricks produced from Yellow River silt and red mud
Haiying et al. Study on use of MSWI fly ash in ceramic tile
Liu et al. Sintered Bayer red mud based ceramic bricks: Microstructure evolution and alkalis immobilization mechanism
CN106565120A (zh) 一种铝电解废槽衬的无害化处理利用方法
Kirkelund et al. Electrodialytically treated MSWI fly ash use in clay bricks
Qiao et al. Novel cementitious materials produced from incinerator bottom ash
Vitkalova et al.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safe acid-resistant ceramics using heavy metals containing waste
Gori et al. Effect of natural ageing on volume stability of MSW and wood waste incineration residues
Vilches et al. Recycling potential of coal fly ash and titanium waste as new fireproof products
KR101216009B1 (ko) 기준 처리 시트 및 석면 함유 재료를 무해화하는 처리 방법의 결정 방법
Shukla et al. Utilization of concentrate of membrane filtration of bleach plant effluent in brick production
WO2017056122A1 (en) Building material obtained from an alkaline activation of sawing sludge of stone materials and process for producing such building material
Qiao et al. Influences of chemical activators on incinerator bottom ash
JP5889348B2 (ja) 低温熱処理を用いた石綿含有物質から石綿を99%以上除去する方法
Trefler et al. The waste free method of utilizing asbestos and the products containing asbestos
Nor et al.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water treatment sludge (wts)-clay bricks
Tolosa et al. Reuse of lime mud waste as filler in gypsum composites
Nurhanim et al. Leaching behavior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concrete and gypsum)
Brycht Recycling of asbestos-cement waste–an opportunity or a threat?
JP2008049205A (ja) クリソタイルまたはクリソタイル含有物の処理方法
Singh et al. Significance of the presence of asbestos in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s in In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