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968B1 - 라벨 프린터 - Google Patents

라벨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968B1
KR101213968B1 KR1020077012279A KR20077012279A KR101213968B1 KR 101213968 B1 KR101213968 B1 KR 101213968B1 KR 1020077012279 A KR1020077012279 A KR 1020077012279A KR 20077012279 A KR20077012279 A KR 20077012279A KR 101213968 B1 KR101213968 B1 KR 101213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peeling
forming region
folding
adher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7577A (ko
Inventor
아키라 단가미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5779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1396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7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6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006Removing back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 B65C9/36Wipers; Pres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6Applying date marks, code marks, or the like, to the label during label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88Labels or ticket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part, e.g. with address of sender or other reference on separate section to main label; Multi-copy labels
    • G09F3/0289Pull- or fold-out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006Removing backing sheets
    • B65C2009/0009Removing backing sheets by means of a peeling t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05Lamina transferred to base from adhered flexible web or sheet type carrier
    • Y10T156/1707Discrete spaced laminae on adhered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05Lamina transferred to base from adhered flexible web or sheet type carrier
    • Y10T156/1707Discrete spaced laminae on adhered carrier
    • Y10T156/171Means serially presenting discrete base articles or separate portions of a single article

Abstract

공급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전부 라벨 영역(L1) 및 여기에 연속되는 후부 라벨 영역(L2)을 구비한 라벨(L)에 인자를 행하는 라벨 프린터(10)로서, 해당 라벨 프린터(10)는 라벨(L)에 인자를 행하는 인자 수단(12)과, 라벨(L)을 유지한 상태에서 피착체(W)에 첩부하는 첩부 수단(14)과, 전부 라벨 영역(L1)을 후부 라벨 영역(L2)의 이면 측으로 꺾어되접는 꺾어되접기 수단(15)을 구비하고 있다. 첩부 수단(14)은 꺾어되접기 수단(15)에 의해 전부 라벨 영역(L1)이 후부 라벨 영역(L2)에 꺾여되접혀 접착된 후에 라벨(L)을 피착체(W)에 첩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박리 시트, 인자 수단, 박리 수단, 첩부 수단, 꺾어되접기 수단, 피착체, 라 벨, 라벨 프린터.

Description

라벨 프린터{LABEL PRINTER}
본 발명은 라벨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벨의 일부를 피착체와의 사이에 끼워넣어 해당 라벨을 첩부하는 기능을 구비한 라벨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이나 홈쇼핑 등의 보편적인 확대에 따라, 전통적인 점포 판매 이외에 통신 판매가 보급되기에 이르렀다. 후자의 판매 방법은 배송 업체가 판매자를 대신하여 상품을 소비자에게 보내는 것으로서, 그에 따른 대금 지불은 은행 불입, 신용 카드에 의한 결제, 우편 송금, 편의점에서의 지불이 주지의 방법으로 채용되고 있다. 한편, 금융 기관 등에 가는 수고를 귀찮게 여기는 소비자나 개인 정보의 누설을 염려하는 소비자에게 있어서는 대금 교환 방법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대금 교환 방법에 의한 경우에는 배송 업체가 수금 대행 업무를 겸하게 되는 관계로 소비자에게 상품을 넘겨주고 수금을 하였을 때 영수증을 발행하여야 한다. 이 영수증은 포장된 상품의 가치를 금액으로 파악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난 방지 등의 관점에서는 감추어야 할 정보이다. 또한 포장된 상품의 내용을 나타내는 상품명 등도 소비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은닉 정보가 되며, 특히 상품명 등은 배송 업체에게도 알리고 싶지 않은 사항이다.
이와 관련하여, 배송 전표의 구조가 복수 장의 장표를 적층하여 묶여진 것이라면, 해당 배송 전표의 일부에 영수증이나 상품명 기재를 하여 비밀성을 담보한 상태에서 상품을 소비자에게 건네줄 수 있지만, 이러한 타입의 배송 전표를 사용한 경우에는 라벨 프린터가 도트 임팩트 프린터 등에 한정되게 된다.
따라서, 이용할 수 있는 프린터의 제약을 해소하기 위하여 낱장 타입의 배송 전표를 채용하면 되지만, 해당 배송 전표에서는 남에게 보이고 싶지 않은 은닉 정보도 외부에서 보이게 된다.
특허 문헌 1에는 낱장 타입의 배송 전표로서 사용할 수 있는 라벨이 개시되어 있다. 동 라벨은 공개 정보 장표부에 은닉 정보 장표부가 연속되어 설치된 낱장 타입이며, 은닉 정보 장표부를 공개 정보 장표부의 이면 측으로 꺾어되접어 해당 공개 정보 장표부를 피착체에 첩부함으로써 은닉 정보 장표부를 외부에서 볼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246882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한 라벨은 꺾어되접는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통상의 라벨 프린터에서 인자하여 피착체에 첩부할 수는 없다. 또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피착체에 첩부하면 라벨 첩부 작업에 엄청난 노력을 소비한다는 폐해가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이러한 폐해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라벨의 일부를 이면 측으로 꺾어되접어 은폐한 상태에서 소정의 피착체에 라벨을 첩부하는 기능을 구비한 라벨 프린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라벨 프린터는, 박리 시트의 일측 면에 라벨이 임시 부착된 원재료 시트(原反)를 공급하는 도중에 상기 라벨에 인자를 행하는 인자 수단과, 상기 박리 시트로부터 라벨을 박리하는 박리 수단과, 해당 박리 수단에서 박리된 라벨을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의 피착체에 라벨을 눌러 첩부하는 첩부 수단을 구비한 라벨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일부를 이면 측으로 꺾어되접는 꺾어되접기 수단이 상기 첩부 수단에 병설되고, 상기 첩부 수단은 상기 꺾어되접기 수단에 의해 이면 측으로 꺾여되접힌 라벨의 일부 영역을 상기 피착체와의 사이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 라벨을 피착체에 첩부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라벨 프린터는, 띠형상 박리 시트의 일측 면에 라벨이 임시 부착된 원재료 시트를 공급하는 도중에 상기 라벨에 인자를 행하는 인자 수단과, 상기 박리 시트로부터 라벨을 박리하는 박리 수단과, 해당 박리 수단에 의해 박리된 라벨을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의 피착체에 라벨을 눌러 첩부하는 첩부 수단을 구비한 라벨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제1 라벨 형성 영역과, 이 제1 라벨 형성 영역에 연속됨과 동시에 해당 제1 라벨 형성 영역보다 평면적이 큰 제2 라벨 형성 영역을 구비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라벨 형성 영역을 제2 라벨 형성 영역의 이면 측으로 꺾어되접는 꺾어되접기 수단이 상기 첩부 수단에 병설되고,
상기 첩부 수단은 제1 라벨 형성 영역의 점착면을 제2 라벨 형성 영역의 점착면에 점착하여 제1 라벨 형성 영역을 피착체와의 사이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제2 라벨 형성 영역을 피착체에 첩부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의 라벨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꺾어되접기 수단은 상기 첩부 수단의 라벨 유지면을 따르는 제1 위치와 상기 라벨 유지면에 대향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해당 회전 플레이트가 상기 라벨의 일부를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회전함으로써 상기 라벨의 꺾어되접기가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라벨 유지면은 꺾여되접히는 라벨 영역과 대략 동일한 면적으로 설치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나아가 상기 꺾어되접기 수단은 비 작동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첩부 수단은 꺾어되접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라벨의 첩부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프린터의 개략 정면도.
도 2는 상기 라벨 프린터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상기 라벨 프린터에 사용되는 라벨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라벨을 꺾어되접어 피착체에 첩부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면 도.
도 5는 회전 플레이트가 제2 위치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라벨 프린터의 개략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 정면도.
도 7은 피착체에 라벨이 첩부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8은 피착체에 첩부된 라벨에서 전부 라벨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절취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9(A) 내지 (E)는 상기 라벨 프린터에 적용되는 라벨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부호의 설명>
10 : 라벨 프린터 12 : 인자 수단
13 : 박리 수단 14 : 첩부 수단
15 : 꺾어되접기 수단 21 : 인자 헤드
32 : 흡착 플레이트 32A : 후부 라벨 유지면
36 : 회전 플레이트 36A : 전부 라벨 유지면
S : 박리 시트 L : 라벨
L1 : 전부 라벨 영역(제1 라벨 형성 영역)
L2 : 후부 라벨 영역(제2 라벨 형성 영역)
M : 원재료 시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프린터의 개략 정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라벨 프린터(10)는, 프레임(F)과, 해당 프레임(F)의 영역 내에 설치됨과 동시에 띠형상을 이루는 박리 시트(S)의 일측 면에 라벨(L)이 임시 부착된 원재료 시트(M)를 공급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롤(11)과, 원재료 시트(M)를 공급하는 도중에 상기 라벨(L)에 인자를 행하는 인자 수단(12)과, 박리 시트(S)로부터 라벨(L)을 박리하는 박리 수단(13)과, 해당 박리 수단(13)에 의해 박리된 라벨(L)을 피착체(W)에 첩부하는 첩부 수단(14)과, 라벨(L)의 일부를 이면 측으로 꺾어되접는 꺾어되접기 수단(15)과, 상기 원재료 시트(M)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공급하는 공급 수단(16)과, 라벨(L)이 박리된 후의 박리 시트(S)를 감는 권취 수단(1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원재료 시트(M)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 시트(S)의 뻗어있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라벨(L)이 점착면을 통하여 임시 부착된 것이 채용되어 있다. 이 원재료 시트(M)는 박리 시트(S)와 동일 폭인 띠형상 라벨 기재에 라벨 형상에 대응한 절개(하프 컷)를 소정 간격마다 형성하고, 라벨(L)의 외주 측의 라벨 기재 부분을 나머지 부분으로서 박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단, 하프 컷을 형성하는 다이 커팅 장치나 나머지 부분 권취 장치를 라벨 프린터(10) 내에 설치함으로써 라벨(L)을 형성하면서 해당 라벨(L)에 인자를 행할 수도 있다.
상기 라벨(L)은 제1 라벨 형성 영역을 구성하는 전부 라벨 영역(L1)(도 3에 서 좌측 사선 영역)과 여기에 연속되어 설치된 제2 라벨 형성 영역을 구성하는 후부 라벨 영역(L2)(동 도면에서 우측 사선 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부 라벨 영역(L1)은 후부 라벨 영역(L2)의 이면, 즉 점착면 측으로 꺾여되접히는 영역으로서, 이 전부 라벨 영역(L1)에 공개를 원하지 않는 은닉 정보가 인자되고, 후부 라벨 영역(L2)에는 예를 들어 피착체가 택배 상품인 경우의 해당 상품의 수취인 주소, 보낸 사람 등 은닉의 필요성이 없는 정보가 인자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후부 라벨 영역(L2)의 종횡변 길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부 라벨 영역(L1)의 종횡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평면적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그들의 경계선인 접는선(C1) 위치에서 전부 라벨 영역(L1)을 후부 라벨 영역(L2)의 점착면 측으로 꺾어되접었을 때, 전부 라벨 영역(L1)의 3방의 외주 측에 후부 라벨 영역(L2)의 점착제 면이 남겨져서 피착체(W)에의 점착면이 유지되게 된다. 또한 전부 라벨 영역(L1)의 면내 대략 중앙부에는 원재료 시트(M)의 공급 방향을 따른 절개선(C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전부 라벨 영역(L1)을 후부 라벨 영역(L2)의 이면 측으로 꺾어되접었을 때의 전부 라벨 영역(L1)의 외연 및 절개선(C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취를 가능하게 하는 박음선(C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절개선(C2)은 박음선일 수도 있다.
상기 인자 수단(12)은 롤 형태로 감긴 잉크 리본(R)을 유지하는 리본 유지 롤(20)과, 해당 리본 유지 롤(20)로부터 공급된 잉크 리본(R)이 감겨져서 소정의 인자 정보를 인자하는 인자 헤드(21)와, 원재료 시트(M)를 통하여 인자 헤드(21)에 대향하는 플라텐(platen; 22)과, 잉크 리본(R)의 리본 권취 롤(23)과, 해당 리본 권취 롤(23)을 회전 구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인자 헤드(21)는 서멀 헤드에 의해 구성되며, 잉크 리본(R)을 사용하여 인자하고 있으나, 감열지에 의해 라벨(L)을 구성하면 잉크 리본(R)은 불필요하다. 또한 서멀 헤드 대신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등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 수단(13)은 상기 인자 헤드(21)에 대하여 원재료 시트(M)의 공급 방향 하류 측에 배치된 필링 플레이트(27)에 의해 구성되며, 해당 필링 플레이트(27)의 선단 위치에서 원재료 시트(M)를 급격하게 반전시킴으로써 박리 시트(S)로부터 라벨(L)을 한 장씩 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첩부 수단(14)은 상기 프레임(F)의 후면 측에 고정된 브래킷(30)을 통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다. 이 첩부 수단(14)은 라벨(L)의 후부 라벨 영역(L2)을 유지하는 후부 라벨 유지면(32A)을 갖는 흡착 플레이트(32)와 해당 흡착 플레이트(32)를 지지하는 실린더 장치(3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부 라벨 유지면(32A)의 면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흡착공이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감압 펌프의 작동에 의해 후부 라벨 영역(L2)의 흡착 유지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흡착 플레이트(32)는 실린더 장치(34)의 작동에 의해 피착체(W)의 피착면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꺾어되접기 수단(15)은 상기 첩부 수단(14)의 흡착 플레이트(32)의 측방에 배치된 회전 플레이트(36)와 이 회전 플레이트(36)를 회전시키는 모터(M1)로 이루어지며, 이들 회전 플레이트(36) 및 모터(M1)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의 지지 암(40)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F)에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플레이트(36)는 도 1에서 하면 측이 전부 라벨 영역(L1)을 흡착하는 전부 라벨 유지면(36A)으로서 형성되고, 해당 전부 라벨 유지면(36A)은 전부 라벨 영역(L1)의 크기에 대략 대응한 융기면으로서 형성되며(도 6 참조), 이에 따라 회전 플레이트(36)가 후술하는 제2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후부 라벨 영역(L1)의 점착제 면에 회전 플레이트(36)가 점착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한편, 전부 라벨 유지면(36A)도 후부 라벨 영역(L2)을 유지하는 첩부 수단(13)의 후부 라벨 유지면(32A)과 동일한 흡착공을 구비하고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감압 펌프의 작동에 의해 전부 라벨 영역(L1)을 흡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회전 플레이트(36)는 상기 흡착 플레이트(32)의 후부 라벨 유지면(32A)을 따르는 제1 위치와 해당 후부 라벨 유지면(32A)에 대향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암(40)은 프레임(F)에의 고정 측인 후부 암편(40A)과, 이 후부 암편(40A)의 외방 끝에 연속되는 굴곡 암편(40B)을 통하여 후부 암편(40A)과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는 전부 암편(40C)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36)는 전부 및 후부의 암편(40A, 40C)에 설치된 전후 한 쌍의 축(4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후부 암편(40A) 측에 설치된 축(42)은 상기 모터(M1)의 출력 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해당 모터(M1)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36)가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공급 수단(16)은 구동 롤(45)과, 해당 구동 롤(45) 사이에 박리 시트(S)를 끼워넣는 핀치 롤(46)과, 구동 롤(45)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M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권취 수단(17)은 박리 시트(S)의 리드단을 고정하여 해당 박리 시트(S)를 감는 권취 롤(4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권취 롤(47)은 상기 프레임(F)의 후면 측으로 도시하지 않은 회전 축이 돌출되어 있고, 해당 회전 축은 공급 수단(16)을 구성하는 상기 모터(M2)의 출력 축에 풀리, 벨트 등의 도시하지 않은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하여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박리 시트(S)의 권취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 본 실시 형태의 전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 상 피착체(W)는 택배 상품이라 하고, 라벨(L)은 해당 상품의 배송처 정보 등이 인자된다고 하자.
미리 도시하지 않은 입력 장치 및 제어 장치를 통하여 소정의 인자 정보가 입력되고, 구동 수단(16)의 모터(M2)가 구동함으로써 원재료 시트(M)의 공급과 박리 시트(S)의 권취 동작이 개시된다.
라벨(L)은 인자 헤드(21)를 통과할 때 미리 입력된 정보가 인자된다. 이 인자함에 있어 전부 라벨 영역(L1)의 도 3의 하반부 영역(L1b)에는 예를 들어 영수 금액, 상품명 등의 은닉 정보 및 날짜 등이 인자된 납품서 임과 아울러, 상반부 영역(L1a)에는 수취인 주소, 이름 등의 정보가 인자되어 수취 날인란이 인자된 수령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후부 라벨 영역(L2)에는 수취인 주소, 이름, 보내는 사람의 주소, 명칭 또는 이름 등이 인자된다.
인자된 라벨(L)은 필링 플레이트(27)의 선단 위치에서 차례대로 박리되고, 상기 흡착 플레이트(32)의 후부 라벨 유지면(32A)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제1 위치에 있는 회전 플레이트(36)의 전부 라벨 유지면(36A)에 전부 라벨 영역(L1)이 흡착되고, 흡착 플레이트(32)에 후부 라벨 영역(L2)이 흡착되어 유지된다.
이어서,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36)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하여 전부 라벨 영역(L1)이 꺾여되접힌다. 즉, 전부 라벨 영역(L1)의 점착면이 후부 라벨 영역(L2)의 점착면에 점착되어 대략 두 장 두께로 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 상태에서는 꺾여되접힌 전부 라벨 영역(L1)의 3방 외주 측에 후부 라벨 영역(L2)의 점착면이 드러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꺾어되접기가 완료되면, 회전 플레이트(36)는 제1 위치로 복귀하고, 흡착 플레이트(32)의 후부 라벨 유지면(32A)이 실린더(34)의 작동에 의해 하강하여, 하방을 반송되어 오는 피착체(W)의 상면에 라벨(L)을 첩부하게 된다.
피착체(W)에 라벨(L)을 첩부한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외형을 구비한 상태에서 라벨(L)이 첩부된 상태가 되고, 전부 라벨 영역(L1)이 후부 라벨 영역(L2)과 피착체(W)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배송 업체는 후부 라벨 영역(L2)에 인자된 수취인의 주소, 이름을 참조하여 배달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피착체(W)를 수취인에게 넘겨준 배송 업체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음선(C3) 및 절개선(C2)을 따라 전부 라벨(L1)의 상반부 영역(L1a)을 절취하여 수령표시의 날인을 의뢰하여 이를 회수하는 한편, 수취인은 하반부 영역(L1b)을 박음선(C3)을 따라 절취하여, 의뢰한 상품명이나 영수 금액 등을 확인하고, 배달된 물품(내용물)과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는 납품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낱장 타입의 라벨을 이용하여 인자를 행하고, 은닉 정보를 은폐한 상태에서 피착체에 첩부하는 기능을 구비한 라벨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구성, 방법 등은 상기 기재에서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특정 실시 형태에 관하여 특별히 도시,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형상, 위치 또는 배치 등에 관하여 필요에 따라 당업자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라벨(L)은 상기한 도시 구성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9(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부 라벨 영역(L1)을 후부 라벨 영역(L2)의 이면 측으로 꺾어되접은 상태에서 전부 및 후부 라벨 영역(L1, L2)의 일부 절취를 용이하게 행하는 위한 잘림부(50)를 미리 형성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 9(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부 라벨 영역(L1)이 꺾여되접혔을 때 후부 라벨 영역(L2)에서 비어져나온 상태로 되고, 그 비어져나온 부분을 잡아당김으로써 절취를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라벨(L)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평면 형상을 구비한 것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라벨에 인자를 행하여 은닉 정보를 감춘 상태에서 첩부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인 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부 라벨 영역(L1)이 꺾여되접히는 경우를 개시하였으나, 꺾어되접기 수단(15)을 비 작동 상태로 유지하는 모드를 미리 설정해 둘 수도 있다. 즉, 꺾어되접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라벨에 인자를 행하여 피착체(W)에 첩부하는 것만으로 충분한 경우에는 꺾어되접기 수단(15)의 회전 플레이트(36)는 제1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유지되며, 첩부 수단(14)의 흡착 플레이트(32)가 라벨(L)을 유지하여 첩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 형태의 선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라벨 프린터(10)의 범용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라벨 형성 영역이 전부 라벨 영역(L1)인 한편, 제2 라벨 형성 영역이 후부 라벨 형성(L2)인 경우를 도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꺾어되접기 수단(15)의 첩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라벨(L)의 공급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라벨(L)을 꺾어되접는 것 등도 가능하다. 요컨대, 본 발명은 라벨(L)의 일부 영역을 피착체(W)와의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꺾어되접기가 가능하면 충분하다.
더욱이 전부 라벨 영역(L1)의 이면에는 풀칠면이 없어도 좋다(이 경우, 풀칠면 상에 비 접착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포함된다). 즉, 꺾여되접힌 전부 라벨 영역(L1)을 접착 유지하려면 후부 라벨 영역(L2)의 이면의 풀칠면이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그 반대로 전부 라벨 영역(L1)의 이면이 풀칠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후부 라벨 영역(L2)의 전부 라벨 영역(L1)이 꺾여되접히는 부분에는 풀칠면이 없어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라벨 프린터에 따르면, 박리 시트로부터 박리되는 개개의 라벨을 인자 대상으로 하여 해당 라벨의 일부를 이면 측으로 꺾어되접는 구성이기 때문에, 라벨면에 인자를 행한 후에 이면 측으로 꺾여되접힌 영역 내의 인자 내용을 은폐한 상태에서 피착체에 첩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꺾어되접기 수단을 구성하는 회전 플레이트의 라벨 유지면이 꺾여되접히는 라벨과 대략 동일한 평면적이기 때문에, 첩부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라벨 영역의 점착면에 점착되지도 않는다.
더욱이 첩부 수단은 라벨의 꺾어되접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도 피착체에 첩부하는 동작이 가능하여 첩부 기구를 구비한 라벨 프린터로서의 범용성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박리 시트의 일측 면에 라벨이 임시 부착된 원재료 시트를 공급하는 도중에 상기 라벨에 인자를 행하는 인자 수단과, 상기 박리 시트로부터 라벨을 박리하는 박리 수단과, 해당 박리 수단에 의해 박리된 라벨을 유지하는 라벨 유지면을 가지고, 소정의 피착체에 라벨을 눌러 첩부하는 첩부 수단과, 해당 첩부 수단에 병설되는 동시에 상기 라벨의 일부를 이면 측으로 꺾어되접는 꺾어되접기 수단을 구비한 라벨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꺾어되접기 수단은 상기 라벨 유지면을 따른 제1 위치와, 상기 라벨 유지면에 대향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해당 회전 플레이트의 라벨 유지면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제2 위치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첩부 수단의 라벨 유지면에 유지된 라벨의 점착제면에 점착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상기 라벨의 일부를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회전함으로써 상기 라벨을 꺾어되접도록 설치되고,
    상기 첩부 수단은 상기 꺾어되접기 수단에 의해 이면 측으로 꺾여되접힌 라벨의 일부 영역을 상기 피착체와의 사이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 라벨을 피착체에 첩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프린터.
  2. 띠형상 박리 시트의 일측 면에 라벨이 임시 부착된 원재료 시트를 공급하는 도중에 상기 라벨에 인자를 행하는 인자 수단과, 상기 박리 시트로부터 라벨을 박리하는 박리 수단과, 해당 박리 수단에 의해 박리된 라벨을 유지하는 라벨 유지면을 가지고, 소정의 피착체에 라벨을 눌러 첩부하는 첩부 수단을 구비한 라벨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제1 라벨 형성 영역과, 이 제1 라벨 형성 영역에 연속되는 동시에 해당 제1 라벨 형성 영역보다 평면적이 큰 제2 라벨 형성 영역을 구비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라벨 형성 영역을 제2 라벨 형성 영역의 이면 측으로 꺾어되접는 꺾어되접기 수단이 상기 첩부 수단에 병설되고,
    상기 꺾어되접기 수단은 상기 라벨 유지면을 따른 제1 위치와, 상기 라벨 유지면에 대향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해당 회전 플레이트의 라벨 유지면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제2 위치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첩부 수단의 라벨 유지면에 유지된 제2 라벨 형성 영역의 점착제면에 점착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상기 제1 라벨 형성 영역을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회전함으로써 상기 라벨을 꺾어되접도록 설치되고,
    상기 첩부 수단은 제1 라벨 형성 영역의 점착면을 제2 라벨 형성 영역의 점착면에 점착하여 제1 라벨 형성 영역을 피착체와의 사이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제2 라벨 형성 영역을 피착체에 첩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프린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꺾어되접기 수단은 상기 첩부 수단의 동작에 추종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프린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꺾어되접기 수단은 비 작동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첩부 수단은 꺾어되접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라벨의 첩부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프린터.
  5. 삭제
KR1020077012279A 2004-12-08 2005-12-07 라벨 프린터 KR101213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55318A JP4763271B2 (ja) 2004-12-08 2004-12-08 ラベルプリンタ
JPJP-P-2004-00355318 2004-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577A KR20070087577A (ko) 2007-08-28
KR101213968B1 true KR101213968B1 (ko) 2012-12-20

Family

ID=3657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279A KR101213968B1 (ko) 2004-12-08 2005-12-07 라벨 프린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62302B2 (ko)
JP (1) JP4763271B2 (ko)
KR (1) KR101213968B1 (ko)
CN (1) CN100584702C (ko)
WO (1) WO2006062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3271B2 (ja) 2004-12-08 2011-08-3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JP4567475B2 (ja) * 2005-01-26 2010-10-2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JP4815336B2 (ja) * 2006-12-12 2011-11-16 株式会社サトー 応募券用シールおよび応募券用シール貼付け方法
JP4886638B2 (ja) * 2007-09-06 2012-02-2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貼付装置
US10140892B2 (en) * 2010-11-22 2018-11-27 Chicago Tag & Label, Inc. Multi-part label systems
US8784598B1 (en) 2010-11-22 2014-07-22 Chicago Tag & Label, Inc. Auto-applied label systems
US8142596B1 (en) * 2010-11-22 2012-03-27 Chicago Tag & Label, Inc. Auto-applied labeling methods
US10424227B1 (en) * 2010-11-22 2019-09-24 Chicago Tab & Label Inc. Linerless multi-part label systems
US8353998B1 (en) 2010-11-22 2013-01-15 Chicago Tag & Label, Inc. Auto-applied labeling methods
CN102806768B (zh) * 2012-08-30 2014-09-03 青岛友结意电子有限公司 电子产品原资材自动纳印设备
CN102991783A (zh) * 2012-10-18 2013-03-27 苏州一致电子制程有限公司 吸附标签装置
CA2924945C (en) 2013-11-05 2019-03-26 Chicago Tag & Label, Inc. Label form including concealable label
JP6613174B2 (ja) 2016-02-29 2019-11-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DE202016102279U1 (de) 2016-04-28 2017-07-31 Logopak System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drucken, Trennen und Applizieren von selbstklebenden Flächengebilden, insbesondere Etiketten
CA3078953C (en) * 2017-10-17 2022-09-20 Chicago Tag & Label, Inc Multi-part label systems
CN108284975B (zh) * 2018-03-15 2024-01-30 安徽中显智能机器人有限公司 一种玻璃贴膜机
CA3113926C (en) * 2018-11-14 2023-08-29 Chicago Tag & Label, Inc. Linerless multi-part label systems
CN116923838B (zh) * 2023-09-14 2024-01-05 深圳市森宝智能装备有限公司 电池防爆片自动剥膜贴膜回收一体机及其控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5168U (ko) 1987-01-20 1988-07-25
JP2003002312A (ja) * 2001-06-20 2003-01-08 Sealex Corp ラベルの貼着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JP2003261118A (ja) 2002-03-01 2003-09-16 Ishida Co Ltd 包装方法、包装装置、包装体、および包装フィルムを除去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5220A (en) * 1979-02-02 1981-03-10 Label-Aire Inc. Method for supplying a label to an article surface
JPS63115U (ko) 1986-06-20 1988-01-05
JPS63115168A (ja) * 1986-11-04 1988-05-19 Fuji Photo Film Co Ltd 熱現像感光材料加熱装置
JP2708887B2 (ja) * 1989-06-15 1998-02-04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
JP2619582B2 (ja) * 1992-02-17 1997-06-11 多摩川精機株式会社 ラベル貼着方法
US5785804A (en) * 1994-05-13 1998-07-28 Hayssen Bag gripping and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US6378588B1 (en) * 1999-05-28 2002-04-30 The Standard Register Company Apparatus for in-line folding and affixing of tuck label
JP4559580B2 (ja) 2000-03-08 2010-10-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折り畳み式ラベルとその使用方法
JP4763271B2 (ja) 2004-12-08 2011-08-3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5168U (ko) 1987-01-20 1988-07-25
JP2003002312A (ja) * 2001-06-20 2003-01-08 Sealex Corp ラベルの貼着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JP2003261118A (ja) 2002-03-01 2003-09-16 Ishida Co Ltd 包装方法、包装装置、包装体、および包装フィルムを除去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63271B2 (ja) 2011-08-31
KR20070087577A (ko) 2007-08-28
JP2006160328A (ja) 2006-06-22
US7762302B2 (en) 2010-07-27
CN101072710A (zh) 2007-11-14
WO2006062116A1 (ja) 2006-06-15
US20100006232A1 (en) 2010-01-14
CN100584702C (zh)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968B1 (ko) 라벨 프린터
KR101211401B1 (ko) 라벨 프린터
KR101248801B1 (ko) 라벨 프린터
KR101119503B1 (ko) 양면 인자 라벨 프린터
JP4949988B2 (ja) シート貼付装置
US9266355B2 (en) Method of producing printed labels
JP3236632B2 (ja) 密着書簡の連続製造装置
JP4647716B1 (ja) ロール状封緘テープ
JP5055093B2 (ja) シート貼付装置、シート巻き付け機構およびシート貼付方法
JP5243095B2 (ja) シート貼付装置
JP4886638B2 (ja) シート貼付装置
JP4904247B2 (ja) 剥離シート及びその再利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