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496B1 -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496B1
KR101211496B1 KR1020090055156A KR20090055156A KR101211496B1 KR 101211496 B1 KR101211496 B1 KR 101211496B1 KR 1020090055156 A KR1020090055156 A KR 1020090055156A KR 20090055156 A KR20090055156 A KR 20090055156A KR 101211496 B1 KR101211496 B1 KR 101211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ilter
bottle
protrusion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831A (ko
Inventor
심규광
최병규
Original Assignee
최병규
심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규, 심규광 filed Critical 최병규
Priority to KR102009005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49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5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ds, e.g. lid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균사 배양 기간 동안에 배양기 내의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고, 발생된 이산화탄소나 발열량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면서도 적정한 수분이 유지되고 오염이 되지 않도록 하는 봉지 또는 병 형태에서 사용되는 버섯 배양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버섯재배, 느타리버섯, 팽이버섯, 균사배양, 뚜껑, 생육대수기, 호흡기작, 산소, 이산화탄소

Description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Cap for mushroom hypha cultivating device}
본 발명은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균사 생육대수기에 배양기 내의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고, 발생된 이산화탄소나 발열량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면서도 적정한 수분이 유지되고 오염이 되지 않도록 하는 봉지 또는 병 병 형태에서 사용되는 버섯 배양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버섯은 호기성 미생물로써, 버섯의 재배는 영양 생장기인 균사의 배양 과정과 생식 생장기인 자실체의 생육 과정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각각의 단계에서 적절한 산소 및 이산화탄소를 필요로 하고 있다.
버섯의 발생 요건으로는 온도, 습도, 환기, 광 등의 조건이 알맞아야 한다. 생육시에도 산소가 부족하면 생장 환경이 불량하여 생육기간이 지연되거나 기형의 버섯이 발생되기도 한다.
균사의 생육 속도에 따라 느타리버섯처럼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이 있는가 하면 영지버섯, 상황버섯, 표고버섯 등과 같은 것은 생육이 비교적 느린 것도 있다. 이처럼 대사 속도의 차이는 각각의 버섯에 따라 분비되는 효소량, 최적의 배양 온도, 습도, 첨가된 영양원, 세포 내에 축적되는 주 영양원 등에 따라 균사의 생리적인 대사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대다수의 많은 농가에서는 현재의 인공적인 배양기법으로 야생에서와는 달리 균일한 상태로의 고품질과 다수확을 이루기 위하여 균사의 배양과 자실체의 생육과정에서 연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의 문제에 대하여 일련의 과정을 부단히 개선하고 있으나 아직도 최적의 상태로 재배가 진행되는 지에 대하여는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고품질이나 다수확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고품질 다수확 버섯재배의 핵심적 요인은 배양 이전의 단계에서 배지의 선택과 조합, 배지의 수분조절, 배지의 혼합, 살균, 활력있는 우량 종균 접종 과정을 기본적으로 해결하여야 하며 이후에도 배양배지에서 균사 배양을 잘 해야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병 버섯 재배나 봉지 버섯 재배는 주로 일본에서 배워 온 것을 기반으로 시작되었으나 10여년 전부터는 대량의 액체 종균기법을 상업화함으로써 세계적으로도 유래없이 짧은 기간에 재배기술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영양원 첨가의 사용이 자유로운 액 종균은 배양기에 접종시 배지의 상부에 직접 도포하는 기법으로 기존의 톱밥종균으로 상부의 타공 구멍을 막는 것과 비교할 때 초기 활착 속도가 빠르고 대수기에서도 타공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배양속도가 빠르게 진행된다.
버섯을 재배함에 있어 그 동안 재배 시설의 현대화, 배지 조성원의 개발, 배 양 기법의 개발, 생육 환경의 적절한 적용 등 많은 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개량과 개선의 여지가 많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균사 배양에 관한 것으로 다음의 화학반응식을 보면 알 수 있다.
즉 호흡작용에서 화학반응식으로 표현하면
CH12O + 6O2 → 6CO2 + 6H2O + Energy {38ATP (1ATP=7.4kcal/ml)}
이며 이러한 반응은 균사 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 기작인 것이다.
이와 같이 얻은 에너지로 버섯 균사의 증식, 생장 등의 생명 유지 작용을 하고 있다. 균사 배양에 있어서 지금까지 농가에서 주로 사용하는 뚜껑의 통기 문제로 균사 배양 대수기 때에 배양기 내부에 통기량이 부족하여 균사의 배양에 따라 호기적인 상태에서 혐기적인 상태로 전환되어 호흡 작용을 방해하게 되어 호흡작용이 정지, 또는 지연됨으로 인하여 1분자 C6H12O6(포도당)의 에너지 대사의 진행에서 에너지 획득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을 그 동안의 문헌 등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또한, 필터가 삽입된 기존의 뚜껑에서는 버섯 균사가 필터 부분에 침입하게 되어 재 사용시에 막힌 필터를 교환하는 관리 비용이 많이 들어 사용을 기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현재 버섯재배 과정 중에서도 버섯 균사의 배양 기간 동안 배양기 내부에 이산화탄소가 축적된다는 것을 많은 재배자 들이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을 ‘가스장해’라고 표현해 왔었다. 하지만 이러한 가스장해에 대하여 자실체의 수확량과 품질에 대하여 비교 검토된 내용은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영양생장기인 균사 배양 중에 관련된 학술적인 논문이 거의 없지만 생식생장기에서는 1933년 Edmund B. Lambert는 Agaricus campestris L.(주름버섯)의 자실체 생산에 있어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대한 연구, 이후의 문헌 1964년, 1965년 H. J. Tschierpe and J. W. Sinden에 의하여 Agaricus campestris Var.bisporus(L.)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자연 상태에서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가 배양이 진행됨에 따라서 배양대수기 정점까지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 비율이 상보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출처 : ARCH MICROBIOL,"UBER LEICHR FLCCHTIGE PRODUKTE DES AEROBEN UND ANAEROBEN....'1965, 52, pp231-241, H. J. Tschierpe and J. W. Sinden)
특히, 1975년 F. Zadrazil이 3종의 Pleurotus 속에 대하여 영양생장기에서 자연 상태가 아닌 강제적으로 설정된 배양기에서 균사의 액체 배양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균사의 축적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의미있는 연구가 이미 행하여져 있었다. 하지만 이의 논문 내용도 영양생장기의 균체량 만을 검토한 것으로 생식생장과의 연결을 한 내용은 아니었다. 이후 국내의 농가에서는 이러한 부작용에 대하여 직접적인 해결보다는 배양 온도만을 낮추어 균사 배양시의 생육대수기를 억제하고는 있지만 저온에서의 배양은 초기 활착속도를 늦게하고 냉동기를 많이 가동해야하며 배양기간을 길게 유지시키는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다수의 병(또는 봉지) 재배용 뚜껑은 통기량 및 균상 상부의 건조 등에 대한 합리적인 근거없이 제작된 것을 일반 농가에서는 자신의 운영 시스템에서 적합한 것인지에 대한 검증 절차 없이 버섯 재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기존의 뚜껑으로는 영양생장기인 균사 생장이 왕성한 생육대수기에서 산소의 부족과 과다한 이산화탄소로 인하여 원활하게 균사의 배양을 이룰 수 없다는 것에 착안하여 뚜껑의 통기구 대하여 과학적인 방법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버섯 균사가 생육대수기에서 호흡작용의 극대화를 위하여 배양되는 봉지나 병의 용기를 막고 있는 뚜껑을 개량하여 배양 배지 내부의 통기는 잘 되게하고 특히 병 재배시의 균상의 건조는 잘되지 않도록 적절한 통기구를 갖는 뚜껑의 개량에 목적이 있다.
뚜껑의 통기구를 조절하여 적절한 호흡을 유도하면 배양 온도(균사 최적 배양 온도 22?24℃)를 높게 유지할 수도 있어 과도한 냉동기의 사용을 줄여 에너지의 낭비도 막을 수 있으며 적정 온도로의 배양은 배양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고품질 및 고수량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기존의 뚜껑보다는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봉재재배에 있어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기구가 형성된 상부파트와, 상기 상부파트와 결합되고 봉지와 결합할 수 있는 하부파트와, 상기 상부파트와 상기 하부파트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를 가지는 버섯 균사 봉지 배양 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의 면적은 상기 뚜껑의 면적의 20.1~3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균사 봉지 배양기용 뚜껑이다.
또 다른 발명은, 통기구가 형성된 상부파트와, 상기 상부파트와 결합되고 병과 결합할 수 있는 하부파트와, 상기 상부파트와 상기 하부파트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를 가지는 버섯 균사 병 배양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의 면적은 상기 뚜껑의 면적의 5.5~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균사 병 배양기용 뚜껑이다.
또 다른 발명은, 상부파트와, 상기 상부파트와 결합되고 병과 결합할 수 있는 하부파트와, 상기 상부파트와 상기 하부파트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를 가지고, 상기 상부파트와 상기 하부파트의 체결부를 통해 개방되는 버섯 균사 병 배양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의 면적은 상기 뚜껑의 면적의 5.5~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균사 병 배양기용 뚜껑이다.
상기 하부파트에는 상기 필터와 유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주위에는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돌출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뚜껑보다도 균사배양의 대수기 때에 공기의 확산 작용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인하여 결국은 필요로 하는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는 데에 기여했던 느타리 봉지 재배에서의 개량된 뚜껑구에서 배양 기간을 단축하였고, 같은 Lot에서 균일한 품질을 얻을 수 있었으며, 수확된 자실체의 기형율을 감소시켰고, 1, 2주기를 합한 수량에서도 현격한 효과가 있었다. 같은 연유로 병 재배에 있어서도 기존의 뚜껑보다도 수량의 증가 및 품질의 향상을 가져왔다. 뿐 만 아니라 본 연구의 느타리버섯의 경우(균사 배양 온도 22-23℃ 에서 양호) 에서와 같이 팽이균사 배양에서도 적정한 통기성을 갖는 뚜껑을 사용하여 균사 생육대수기에서도 실시간으로 배양기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인하여 현 배양 온도(15℃ 설정) 보다도 높은 온도(예 18℃ 설정)로 배양하더라도 호기적인 조건을 더 많이 갖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으로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고도 배양은 더 잘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느타리의 경우에서처럼 배양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15%를 넘어서면 균체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축적된다는 1975년 F. Zadrazil이 보고한 3종의 Pleurotus 속에 대하여 액체 배양에 의한 균사 배양에 의한 이산화탄소 농도와 균체의 건조 중량과의 관계만을 검토한 것이지만 균사의 배양에 이산화탄소의 농도의 영향이 분명한 위의 학술적인 논리에 접근하기 위하여서도 균사 배양 중에 사용하는 뚜껑의 적절한 통기율이 필요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핵심은, 균사의 배양중에 왕성한 균사의 생육 및 증식과 균사의 세포 내에 많은 영양원의 축적이 중요하므로 뚜껑을 개량하여 여타의 미생물의 오염은 줄이면서 적정량의 수분을 배양기 내에 유지시키고 배양되는 균사 배양시의 대수기에서 균사의 밀도를 높이고 많은 영양원을 세포 내에 축적할 수 있도록 호기적인 상태에서 호흡 기작이 왕성하게 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버섯 균사 봉지 배양기용 뚜껑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버섯 균사 봉지 배양기용 뚜껑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버섯 균사 봉지 배양기용 뚜껑에 사용된 필터 고정체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뚜껑은 통기구(12)가 형성된 상부파트(10)와, 상기 상부파트(10)와 결합되고 봉지와 결합할 수 있는 하부파트(26)와, 상기 상부파트(10)와 상기 하부파트(26)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파트(10)는 단면이 하방으로 개방된 원통상의 상부몸체(14)를 가지고, 상기 상부몸체(14)의 상부중앙에 상기 통기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구(12)의 면적은 상기 뚜껑의 면적의 20.1~35.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몸체(14)의 외주면에는 파지하여 돌릴 수 있도록 개폐용 돌기(16)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4)의 하단부에는 하단연(18)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파트(26)에 맞닿아 마찰에 의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파트(26)는 중공의 원통상인 하부몸체(28)를 가지고, 상기 하부몸체(28)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몸체(14)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4)과 나사가 결합하는 나사산(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28)의 하단부에는 봉지(미 도식)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34)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28)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부(34)의 상측으로 상기 하단연(18)과 맞닿는 멈춤턱(3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28)의 내측상단에는 필터고정체(22)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고정체(22)는 환부(21)와, 상기 환부(21)의 중심에 형성되는 메시 지지부(23)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고정체(22) 위로 필터(2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20)로는 우레탄발포(일명 스폰지)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1에 따른 뚜껑에서 공기의 유통은, 상기 통기구(12)의 단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1의 뚜껑을 통기구의 크기에 따라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예 1]
느타리 버섯의 실험에는 수한계 균주를 사용하였다. 액체 배양원의 조성은 설탕 0.375%, 탈지 대두박 0.0375%, 펩톤 0.0025%(전 배양원의 소량배지에만 사용), MgSO4. 7H2O 0.0025%, KH2PO4.12H2O 0.0025%, 목초액 1/1,500 배액을 지하수에 용해 희석하여 조제하였다.
액체 배양은 고압 살균을 실시하고 냉각하였다. 종균의 이식은 시험관으로부터 전배양원으로 5?6조각을 이식하고, 120rpm에서 5?8일간 배양하여 균질기로 균질화시켜 사용하여 대량 배양(140리터 용량, 폭기압 1.5kg.f/㎠, 폭기 5?7일 동안)하여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액통의 폭기 배양시 첨가된 영양원을 남기지 않으면서도 밀도 있고 액층과 균사가 분리되지 않고 입도가 작고 균일한 종균이 되도록 하였으며 접종원의 사용 시점은 폭기 중의 배출구에서 호흡량의 측정은 이산화탄소농도를 측정하면서 최적의 상태에서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배양봉지에 사용한 배지의 조성은 면실피 500kg, 면실피 분쇄 120kg, 비트 펄프 150kg, 면실박 90kg 지하수 1,400?1,500리터의 비율로 혼합하였고, 혼합하는 순서는 면실피 분쇄, 면실박을 넣고 30분간 교반하며, 이후 가수하면서 교반하였고, 마지막으로 비트 펄프를 넣고 혼합기로 잘 혼합하여 PP 또는 PE 봉지(직경이 120㎜ 크기) 용량에 평균 1.1kg의 습 배지를 담아 충진하고, 가운데에 구멍을 낸 다음 하부결합체에 상부의 뚜껑을 결합하였고 1바구니에 9봉지를 담아 선반 대차에 올려서 상압 살균(100℃, 5-6시간 유지)을 실시하였다.
방랭은 청결한 방랭실에서 하룻밤 동안 실시하여 18℃ 이내가 되도록 급격하게 방랭하였다. 접종량은 폭기 배양한 접종원을 14?16ml/봉지로 접종하였다.
느타리의 봉지 재배에서 배양은 선반 위에서 배양이 이루어졌으며 선반의 높이는 40㎝ 간격으로 8단의 선반을 사용하였다. 배양 온도는 22-23℃를 유지하면서 배양실의 환기를 (1,400㎥/시간, 240W, 시로코 팬) 5분간 정지, 5분간 가동하는 조건으로 하여 배양실의 환기를 실시하여 배양실의 CO₂농도는 3,000ppm 이하로 관리 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는 시점은 겉보기 균사가 95% 정도가 되면 배양을 완료하였고, 배양 일 수는 16일 동안 하였다. 다양한 뚜껑의 통기구에 대한 실험 및 본 연구를 위하여 배양 중의 봉지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은 이산화탄소 농도 검지관(GASTEC, Carbon Dioxide Detector Tube, Made in Japan)으로 측정하였다.
배양을 종료하고, 생육은 봉지 결합체 및 뚜껑을 분리하여 제거하고 봉지 끝 부위를 돌려서 입구를 폐쇄하고 배양 봉지를 측면으로 뉘어 놓고서 측면부위를 문구용 칼로 -자형으로 10?12㎝로 절개하고 절개 부위가 위쪽으로 향하게 하여 각 바구니에 6개의 배양 봉지를 놓고 생육하였으며 1주기 생육은 9?12일간 유지하였다.
기본적인 온도 및 환기를 위하여 중앙 냉각실에서 지하수로 공기를 냉각 또는 포화 습도를 유지하여 각 생육실로 외기를 공급하였으며 각각의 생육실에 환기 팬(시로코 팬 240W)의 가동 시간은 4분간 외기 도입에 4분간 정지시키는 방법으로 설정하였다.
환기는 기본적으로 생육실 내의 CO2농도가 800?1000ppm으로 유지 되도록 하면서 생육 초기에는 3분 가동에 5분 정지, 후기에는 4분 가동에 4분 정지하는 정도를 유지하였고, 가습은 12L/hr 용량인 가습기로 초기 3분 가동에 5분 정지, 후기에는 4분 가동에 4분 정지 방식으로 공급하였다.
수확 검증으로는 배지 부분을 제외한 자실체 다발 상태로 측량하여 평균으로 표시하였고 정상군에서는 접종 후부터 1주기 수확일 일까지는 평균 26?27일이 소요되었다.
느타리 봉지 재배에서의 실험 요약
봉지용 뚜껑의 지름(mm) 59 59 59 59 59 59 59
상부로 천공된 통기구 크기(mm) 15 19 25 28 35 40 45
뚜껑지름에 대한 통기구의 면적비율(%) 6.5 8.2 20.1 22.5 35.2 46.0 58.2
우레탄 스폰지 지름(mm) 60 60 60 60 60 60 60
우레탄스폰지 두께(mm) 6 6 6 6 6 6 6
배양기간(일) 16 16 16 16 16 16 16
1주기 생육기간 (일) 11(12) 10(11) 10 10 10 10 10
1주기 평균수량(g) 160 210 320 330 320 240 220
자실체 상태 심한 기형 비교적양호 정상 정상 정상 정상 비교적 양호
2주기 생육기간(일) 9(12) 10(11) 10 10 10 9 9
2주기 평균수량(g) 150 160 190 175 160 155 150
1+2주기 평균수량 합(g) 310 370 410 505 490 395 370
발이상태(봉지 옆면을 -자 10-12cm 절개) 심한 불량 불량 정상 정상 정상 약간 불량 약간 불량
필터부위에 기중균사 침습 정도 약간 있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접종부터 2주기 수확까지의 총 소요(일) 36-(40) 37 36 36 36 35 35
뚜껑쪽 균상부의 수분량(%) 71.3 71.2 70.2 72.0 70.0 67.0 65.0
배양 9일째 봉지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18.2 14.9 12.1 11.9 11.2 9.6 7.1
배양15일째 봉지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5.6 5.1 4.8 3.0 2.8 2.7 2.3
발이시(배양시의 뚜껑부위의 폐쇄 여부) 폐쇄 폐쇄 폐쇄 폐쇄 폐쇄 폐쇄 폐쇄
표면 균사 축적량 ++ +++ +++++ +++++ ++++ ++ +
세균과 곰팡이에의 오염율(%) 0.6 0.5 <0.1 <0.1 0.2 0.4 0.7
*:배양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은 검지관 (GASTEC, Carbon Dioxide Detector Tube, Made in Japan)으로 배양 봉지 내부로 삽입하여 일정량을 흡입/환산하였다.
표 1의 결과는 뚜껑의 상부로 천공된 통기구의 지름이 달랐을 경우이며, 필터는 발포 상태에 따라 분류할 때에 Close type의 우레탄(스폰지)을 이용한 것, 우레탄 두께는 6mm, 배양 온도 22~23℃, 배양실 환기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3,500~4,500ppm 이하로 관리하였으며, 특히 발이에서는 병 재배와는 달리 배양 중의 통기구를 폐쇄하고 봉지 옆면을 -자로 10~12cm 정도 절개하여 이를 위쪽으로 향하게 하여 발이를 시킴으로써 배양 중에 호흡 반응이나 통기량 등의 변수가 발이함에 있어서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였다.
봉지용 뚜껑 지름이 59mm에서 뚜껑 통기구의 크기와 배양 온도에 따른 결과
배양온도 통기구의 면적 / 뚜껑의 면적(%) 6.5 10.9 20.1 24.1 35.2 46.0 58.2
통기구 크기의 지름(mm) 15 19 25 28 35 40 45
17~18℃ 배양 완료 기간(일) 25 22 19 19 19 20 20
자실체 상태 심한
기형
비교적
양호
정상 정상 정상 정상 비교적
양호
1주기 평균수량(g) 165 196 242 250 235 211 184
접종 후 1주기
완료 기간 (일)
32-34 30-31 29 29 29 28 27
22~23℃ 배양 완료 기간(일) 19 17 16 16 16 15 15
자실체 상태 심한
기형
심한
기형
정상 정상 정상 약간
기형
약간
기형
1주기 평균 수량(g) 160 210 320 330 320 240 220
접종 후 1주기
완료 기간 (일)
28-30 27-28 26 26 25-26 25 25
따라서, 표 1 및 표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1의 경우 통기구의 면적과 뚜껑의 면적비가 20.1~35.2%에 해당할 때가 자실체상태, 발이상태가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의 상부파트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의 하부파트의 저면도이다.
상기 뚜껑은 통기구(44)가 형성된 상부파트(40)와, 상기 상부파트(40)와 결합되고 병과 결합할 수 있는 하부파트(48)와, 상기 상부파트(40)와 상기 하부파트(48)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4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파트(40)는 단면이 하방으로 개방된 원통상의 상부몸체(42)를 가지고, 상기 상부몸체(42)의 상부중앙에 상기 통기구(44)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구(44)의 면적은 상기 뚜껑의 최대면적의 5.5~1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몸체(42)의 상면에는 파지하여 돌릴 수 있도록 상부돌기(46)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파트(40)는 상기 하부파트(48)를 덮도록 하면서 결합된다.
상기 하부파트(48)는 대략 상하가 개방된 원통상의 하부몸체(54)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54)의 내주면에는 상기 필터(45)를 지지하는 필터고정체(50)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돌기(56)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54)의 내주면 하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공지의 병의 주둥이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58)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고정체(50)는 중심부에 관통홀(5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52)은 상기 통기구(44)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면적을 가진다.
상기 관통홀(52)의 주위로 상기 필터고정체(50)의 상측 및 하측으로 모두 돌출되는 하부돌출턱(53)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돌출턱(53)의 상측은 필터(4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상기 하부돌출턱(53)의 상측과 하측은 균사가 상기 필터(45) 부위에 쉽게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고정체(50) 위로 상기 필터(45)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45)로는 우레탄(우레탄 발포상태에 따라 분류시 Close type이며,일명 스폰지)류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2에 따른 뚜껑에서 공기의 유통은, 상기 통기구(44)의 단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실험예 2]
실험에 사용된 품종은 순백계의 팽이버섯 균주(치쿠머쉬 T-011 균주)를 사용하였다. 소량의 전 접종원 액체 배양원의 조성은 설탕 0.375%, 탈지 대두박 0.0375%, 펩톤 0.0025%, MgSO4. 7H2O 0.0025%, KH2PO4.12H2O 0.0025%, 목초액 1/1,500 배액을 지하수에 용해 희석하여 조제하여 고압 살균을 실시하고 냉각하였다. 종균의 이식은 시험관이나 페트리 디쉬에서 배양된 균사를 잘라내어 이들의 5?6조각을 무균 영양액에 이식하고, 이들 조각이 가라앉도록 흔들어 놓은 상태로 정치하여 접종원 조각이 가라앉은 상태로 12일간 배양하고 이후 90rpm에서 10?12일간 약한 진탕 배양하여 전 배양액의 배양 일이 22~24일째의 전 배양액으로 사용하였다.
액체 대량 배양원의 조성은 설탕 15kg(2.14%), 대두박 3kg(0.43%), MgSO4. 7H2O 350g(0.05%), KH2PO4.12H2O 350g(0.05%), Antiform 14ml를 넣고 여기에 물을 750리터를 대형 액통에 첨가하였고, 공기 주입구에는 직경 50mm의 0.2㎛의 필터(Pall Co. PN No.-4251)를 2열의 3개씩 연결하고, 배출구에는 60ml의 주사기에 면전하였으며 고압 살균시에는 1개의 배출구 만을 열고 고압살균을 실시하고 냉각시에는 위 배출구도 폐쇄하고 양압을 걸어 놓은 채로 지하수를 이용하였으며 냉각은 지하수를 또아리형으로 만든 샤워기로 물을 흘려보내면서 밤새 냉각하였다.
액체배양 통(750리터 용량)에 링거병에서 배양된 균사를 균질화(15,000rpm, 70sec)된 접종원으로 접종하였고, 1.5kg.f/㎠의 유속으로 폭기하면서 배양하였다. 폭기 배양 중 호흡 반응에 의하여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량[측정 기기:GFG-100, Gas Data Ltd/U.K.]을 측정하여 최적 접종 시기를 택하였으며, 배지 중의 영양원을 남기지 않으면서도 균사 밀도가 조밀하고, 액층과 균사가 분리되지 않고, 입도가 작고, 균일한 종균을 사용하였다. 종균의 오염 검사는 사용 전 날에 슬라이드 글라스에 표본을 만들고 10% Giemsa Sol./Giemsa Buffer pH7.5 용액으로 염색된 슬라이드를 제작하여 오염여부를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팽이버섯 병재배의 배지에 사용된 조성비는 다음과 같다.
콘코브 41.5?51.5%, 대두피 4.0?4.6%, 미강 35.1?35.7%, 건비지 4.6?5.4%, 밀기울 2.7?4.6%, 비트펄프 3.5?4.6%, 탄산칼슘 2.0?2.4%, 한천 부산물 5.4?6.1% 중량 비율로 30분간 혼합하고 일정 시간 후에 물을 첨가하여 배지 수분을 65?66% 정도로 조절한 다음 입병을 하였다.
팽이버섯의 병 재배에 있어서는 1200cc 용량, 병 입구의 바깥 지름이 85mm의 PP병에 기계로 입병하고 가운데에 구멍을 타공한 다음 2차로 주변의 6구 타공 및 중앙 타공도 다시 실시하여 구멍을 유지시킨 다음 뚜껑(외주 지름 85mm, 병 안 지름 80mm)을 결합하였고 1병당 습 배지량은 900~950g 이 되도록 1바구니에 16병을 담아 뚜껑을 닫은 후 이를 적재하여 즉시 상압살균을 실시하였다. 살균 종료 후 청결한 방랭실에서 하룻밤 동안 방랭하여 배지 품온이 15℃ 이하가 되도록 방랭하였다. 병버섯 재배에 있어서 접종은 평노즐이 부착된 16구 자동화 접종기로 3kg.f/㎠의 분사 압력으로 1병당 16?18ml 정도를 배지에 접종하였다.
실험예 2에 사용된 뚜껑의 필터는 발포기법에 따른 구분으로 볼 때에 폐쇄식(Close Type)의 지름 60mm, 두께 6mm의 필터(일명 스폰지)류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2의 내용은 뚜껑(안쪽과 바깥쪽의 통기구가 상부로 천공돼 통기하도록 고안된 구조) 구조를 제외하면 실시예 3에서도 같다.
배양 과정 중의 배양병 속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은 외부와 내부의 혼입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을 열지 않고 뜨겁게 달군 코크 보러로 뚜껑 상부를 열 천공하고 곧 바로 이의 구멍에 검지관(GASTEC, Carbon Dioxide Detector Tube, Made in Japan)을 삽입하여 배양병 속의 공기를 일정량 취하여 측정/환산 하였다. 또한 배양중의 균상표면부위의 건조 증상에 따른 발이 불량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병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상부의 수분량을 검사하였다.
배양 중 호흡 반응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균사의 품종 및 재배 환경에 따라 다르다. 즉, 새송이 버섯 균사 배양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배양 온도에 따라서는 30-60㎖/hr의 단위로 표시한 교재가 있기는 하지만 일반 생산 농가에서의 측정 기기의 활용 및 방법에 있어서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검지관(GASTEC, Carbon Dioxide Detector Tube, Made in Japan)을 이용하여 배양기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환산하였고, 자실체의 상품성과 수량으로 검증하였다.
병버섯 재배로 팽이버섯의 배양은 배양실 내의 온도 설정이 15℃, 배양실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3,000?4,000ppm, 배양실의 습도는 별도의 가습 조건 없이 65?70% 전후[여름철(5월-10월)에는 70% 이상, 겨울철(11월-4월)에는 70% 이하의 배양조건]였으며, 배양 기간은 25-26일간 진행하였다.
배양 이후의 생육 과정은 다음과 같다. 균긁기 후에 균상부에 물을 분사하여 협잡물을 없앰과 동시에 급수를 하였다. 이후 발이실의 온도는 14℃ 전후에서 초음파를 사용하여 초기의 수분은 자욱한 안개 상(발이초기 습도 95%)으로 하고 발이단계에 따라서 발이 말기에는 80%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발이실에서 환기량은 어린 버섯의 발생을 유도할 때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3,400-4,400ppm 정도로 관리되었다. 발이 9일 동안 유지한 후 억제 과정으로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3,000-3,400ppm, 습도 78?84%, 온도 3?4℃에서 기간은 10?12일 동안 유지하면서 자실체의 키가 균일하도록 하였다. 이후 종이감기(권지작업)작업은 병 상부에서 2?5cm 일 때에 실시하였다. 이후 과정은 습도 70?75%, 이산화탄소 농도 10,000?30,000ppm 범위, 온도6?7.5℃ 범위에서 관리를 실시하였다. 접종부터 첫 수확까지의 생육 과정에서 작업 시간 이외에는 별도의 빛을 조사하지 않았으며, 접종부터 첫 수확의 총 소요일 수는 평균 54?57일 정도 소요되었다.
팽이버섯 재배시 상부로 천공된 병재배용의 뚜껑(지름85mm)
통기구 크기의 지름(mm) 15 20 25 30 35 40
사용된 통기구의 면적/뚜껑의 면적(%) 3.1 5.5 8.7 12.5 17.0 22.0
사용된 뚜껑의 면적(㎠) 56.7 56.7 56.7 56.7 56.7 56.7
통기구 크기의 면적(㎠) 1.8 3.1 4.9 7.1 9.6 12.6
사용된 병의 크기(cc)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사용된 뚜껑의 지름(mm) 85 85 85 85 85 85
우레탄 스폰지 지름(mm):Close Type 60 60 60 60 60 60
우레탄스폰지 두께(mm):Close Type 8 8 8 8 8 8
배양실 상대 습도(%) 65~70 65~70 65~70 65~70 65~70 65~70
배양실 온도(℃) 14~15 14~15 14~15 14~15 14~15 14~15
배양중 대수기 최고 일때 병내부의 CO₂농도(%) 16.7 13.4 12.5 11.8 10.1 9.8
배양중 대수기 최고 도달 일수(일째) 13 13 13 13 13 13
배양15일째 균상표면의 함수율(%) 68.3 66.1 67.7 60.3 59.0 55.1
배양20일째 균상표면의 함수율(%) 67.4 67.3 66.7 65.5 60.1 57.4
배양24일째 균상표면의 함수율(%) 70.0 62.7 59.8 58.2 55.2 58.6
배양종료후 균긁기시의 균상표면 습윤상태 과습 약 과습 양호 양호 건조증상 건조증상
배양종료후 균긁기시의 불량율(%) <0.2 <0.1 <0.1 <0.1 <0.1 <0.2
배양 기간(일) 25 25 25 25 25 25
발이초기에서 발이가 약간 늦은 병의 비율(%) 4.7 4.6 3.2 3.5 7.2 9.2
발이단계에서의 발이상태 불균일 균일 균일 균일 불균일 불균일
발이유지기간(일) 9 9 9 9 9 9
억제유지기간(일) 11 11 11 11 11 11
종이감기 작업시의 불량율(%) 2.2 1.6 1.5 2.3 4.8 5.6
종이감기 작업시의 부상된 자실체 탈락 량 +++ + + + ++ +++
생육유지기간(일) 9~11 9~11 9~11 9~11 9~11 9~11
수확시 자실체 상태 불균일 적합 적합 적합 불균일 불균일
접종후 수확까지의 평균소요일수(일) 55~59 54~57 54~57 54~57 55~59 55~59
접종후 55일째 평균수량(g/병) 331±42 346±27 390±17 361±28 339±34 321±37
접종후 55일째 수확된 자실체의 상품비율(%) 79 82 84 83 69 65
병 재배인 팽이버섯에서의 수량 측정에는 자실체 하부에 배지가 붙어있는 상태로 중량을 측량하여 비교하였으며 수확되는 자실체의 평균 중량은 통계 처리하여 모평균(μ)에 대한 95% point 신뢰 한계 수준으로 평가하였다.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경우 통기구의 면적과 뚜껑의 면적비가 5.5~12.5%에 해당할 때가 자실체상태, 발이상태가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의 분해도이며, 도 9는 도 7의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의 상부파트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의 하부파트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7의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과 용기의 결합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뚜껑은 상부가 폐쇄된 상부파트(60)와, 상기 상부파트(60)와 결합되고 병과 결합할 수 있으며 통기구(78)가 형성된 하부파트(70)와, 상기 상부파트(60)와 상기 하부파트(70)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68)를 포함한다.
실시예3의 뚜껑은 실시예1 및 실시예2와 달리 통기구(78)가 상기 하부파트(70)에 형성되며, 배기가 뚜껑의 외주면을 향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상기 상부파트(60)는 상부가 폐쇄된 원통상의 상부몸체(62)를 가지고, 상기 상부몸체(62)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68)와의 간극을 유지할 수 있는 상부간극돌기(66)이 형성된다. 실시예 3의 경우에는 2개의 상부간극돌기(66)가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62)의 하부 외측에는 상기 하부파트(70)와 결합할 수 있는 상부체결돌기(64)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상부체결돌기(64)는 일정한 피치로 형성되어 인접하는 상기 상부체결돌기(6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파트(70)는 대략 디스크 형상의 하부몸체(8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몸체(82)의 하부에는 병(100)의 주둥이(102)와 체결될 수 있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부(80)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몸체(82)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체결돌기(64)와 체결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부체결돌기(7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82)의 중앙부에는 통기구(78)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82)의 상부에 상기 통기구(78)의 주변으로 상기 필터(68)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돌기(76)와 하부돌출턱(77)이 형성된다. 실시예3의 뚜껑에서 상기 하부지지돌기(76)와 상기 하부돌출턱(77)는 동심원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하부돌출턱(77)의 상측은 필터(68)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상기 하부돌출턱(77)의 상측과 하측은 균사가 상기 필터(68) 부위에 쉽게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기구(44)의 면적은 상기 뚜껑의 최대면적의 5.5~17.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돌기(77)의 외측으로 주변돌기(74,75)가 형성된다. 상기 주변돌기(74,7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피치로 배치되어 상기 뚜껑의 측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터(68)는 상기 하부지지돌기(76,77)와 상기 상부간극돌기(66)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3에 따른 뚜껑에서 공기의 유통은, 상기 통기구(78)를 통해 상기 필터(68)를 거쳐서, 상기 주변돌기(74,75)를 지나 상기 상부체결돌기(64)와 상기 하부체결돌기(72)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뚜껑의 원주 상의 공간을 통해 배출된다. 이 결과, 상기 통기구(78)의 단면적에 의해 상기 공기의 유량이 결정된다.
[실험예 3]
실험예 3에 사용된 뚜껑의 필터는 발포기법에 따른 구분으로 볼 때에 폐쇄식(Close Type)의 지름 60mm, 두께 6mm의 필터(일명 스폰지)류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3의 내용은 뚜껑(안쪽과 바깥쪽의 통기구가 측부를 통해 통기하도록 고안된 구조) 구조를 제외하면 실시예 2와 같다.
또한 다음 그림의 예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사용한 뚜껑의 가운데 통기구(홀) 주변부에 필터와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습도가 쉽게 이동되고 왕성한 균사의 생육에 의한 융기된 균사가 호흡에 의하여 발생된 습도가 적절하게 유지되는 배양기 내부에서 병의 기벽을 타고 올라오는 균사의 이동 거리가 멀리 떨어진 곳에 통기구를 두었으며 특히 가운데의 통기구 주변부에 상.하부로의 돌출된 턱을 도안하였기 때문에 뚜껑을 여러 번 사용하더라도 균사(아래의 실험예의 그림에서 흰색이 균사임)가 필터부분에 끼어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이 확연하였다. 또한 기존의 뚜껑은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어 폐 필터의 교환작업이 인력으로는 비효율적이며 어려움이 있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그림에서와 같이 가운데에 통기구를 형성함으로 인하여 폐 필터의 교환 작업을 기계적으로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도안하였다.
팽이버섯 재배시 안쪽하부 천공과 측면으로 통기하는 병재배용의 뚜껑(지름85mm)
통기구 크기의 지름(mm) 15 20 25 30 35 40
사용된 통기구의 면적/뚜껑의 면적(%) 3.1 5.5 8.7 12.5 17.0 22.0
사용된 뚜껑의 면적(㎠) 56.7 56.7 56.7 56.7 56.7 56.7
통기구 크기의 면적(㎠) 1.8 3.1 4.9 7.1 9.6 12.6
사용된 병의 크기(cc)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사용된 뚜껑의 지름(mm) 85 85 85 85 85 85
우레탄 스폰지 지름(mm):Close Type 60 60 60 60 60 60
우레탄스폰지 두께(mm):Close Type 8 8 8 8 8 8
배양실 상대 습도(%) 65~70 65~70 65~70 65~70 65~70 65~70
배양실 온도(℃) 14~15 14~15 14~15 14~15 14~15 14~15
배양중 대수기 최고 일때 병내부의 CO₂농도(%) 16.7 13.4 12.5 11.8 10.1 9.8
배양중 대수기 최고 도달 일수(일째) 15 16 17 16 15 14
배양15일째 균상표면의 함수율(%) 68.3 66.1 67.7 60.3 59.0 55.1
배양20일째 균상표면의 함수율(%) 70.0 69.1 69.0 69.6 66.7 63.0
배양24일째 균상표면의 함수율(%) 68.9 68.3 69.9 69.0 68.3 64.0
배양종료후 균긁기시의 균상표면 습윤상태 과습 약과습 양호 양호 양호 건조증상
배양종료후 균긁기시의 불량율(%) <0.2 <0.2 <0.1 <0.1 <0.1 <0.1
배양 기간(일) 26 26 26 26 26 26
발이초기에서 발이가 약간 늦은 병의 비율(%) 5.7 5.2 4.9 5.3 6.3 6.8
발이단계에서의 발이상태 불균일 균일 균일 균일 균일 불균일
발이유지기간(일) 9 9 9 9 9 9
억제유지기간(일) 11 11 11 11 11 11
종이감기 작업시의 불량율(%) 2.1 1.7 1.6 1.4 1.8 4.8
종이감기 작업시의 부상된 자실체 탈락 량 +++ + + ++ ++ +++
생육유지기간(일) 9~11 9~11 9~11 9~11 9~11 9~11
수확시 자실체 상태 불균일 적합 적합 적합 적합 불균일
접종후 수확까지의 평균소요일수(일) 55-59 54-57 54-57 54-57 55-59 55-59
접종후 55일째 평균수량(g/병) 346±43 349±35 375±21 359±18 346±55 318±60
접종후 55일째 수확된 자실체의 상품비율(%) 76 78 87 84 81 75
따라서, 표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3의 경우 통기구의 면적과 뚜껑의 면적비가 5.5~17.0%에 해당할 때가 자실체상태, 발이상태가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냈다.
버섯재배에 사용되는 뚜껑의 구조는 균사의 생육 상태나 균사의 품종 사이에 따른 다양한 용기의 크기와 이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뚜껑을 사용하게 된다. 아울러 품종 및 재배 목적에 따라서 입병(봉)량의 차이가 있으며, 사용되는 배지원의 혼합 비율 등이 확연히 다르게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본 실험에 사용된 뚜껑에서의 구조적인 차이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다음과 같은 재배 과정상의 차이가 있어 크기 및 구조에 따라 유용한 통기구의 면적이 다소 다르게 된 이유이다. 특히 필터를 통과하는 단면적이나 통과되는 위치의 방향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난다.
또, 느타리 버섯 봉지 재배에서는 입병 배지의 형체가 유지되지 못하므로 병 재배에서처럼 연속 적재할 수가 없는 것이다. 적재시의 입봉 배지의 변형 및 눌림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재배 전 과정에서 상하 연속 적재가 불가능하므로 선반을 사용하여 상하 인접된 배양 배지로부터의 영향이 다소 적은 점이 있다. 봉지 재배시에 또 한 가지 병 재배 방법과 틀린 것으로는 배양 후의 발이시에 병 재배에서는 뚜껑 부위 만으로 발이할 수 있지만 봉지 재배에서는 얇은 봉지의 옆 벽면을 절개시켜 발이를 유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배양시 표면 균상 부위의 건조 증상과 관계없이 봉지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 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버섯 균사 봉지 배양기용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버섯 균사 봉지 배양기용 뚜껑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버섯 균사 봉지 배양기용 뚜껑에 사용된 필터 고정체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버섯 균사 병 배양기용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버섯 균사 병 배양기용 뚜껑의 상부파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버섯 균사 병 배양기용 뚜껑의 하부파트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버섯 균사 병 배양기용 뚜껑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버섯 균사 병 배양기용 뚜껑의 상부파트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버섯 균사 병 배양기용 뚜껑의 하부파트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버섯 균사 병 배양기용 뚜껑과 용기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파트 12: 통기구
14: 상부몸체 16: 개폐용 돌기
18: 하단연 20: 필터
22: 필터고정체 24: 나사산
26: 하부파트 28: 하부몸체
30: 나사산 32: 멈춤턱
34: 연결부 40: 상부파트
42: 상부몸체 44: 통기구
45: 필터 46: 상부돌기
48: 하부파트 50: 필터고정체
52: 관통홀 53: 하부돌출턱
54: 결합부 56: 고정돌기
58: 결합돌기 60: 상부파트
62: 상부몸체 64: 상부체결돌기
66: 상부간극돌기 68: 필터
70: 하부파트 72: 하부체결돌기
74,75: 주변돌기 76: 하부지지돌기
77: 하부돌출턱 78: 통기구
80: 결합부 82: 하부몸체
100: 병 102: 주둥이

Claims (4)

  1. 삭제
  2. 상부파트와, 상기 상부파트와 결합되고 병과 결합할 수 있는 하부파트와, 상기 상부파트와 상기 하부파트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트는 단면이 하방으로 개방된 원통상의 상부몸체를 가지고,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중앙에는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파트는 상기 하부파트를 덮도록 하면서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에는 파지하여 돌릴 수 있는 상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파트는 상하가 개방된 원통상의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필터고정체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의 내주면 하부에는 병의 주둥이와 체결될 수 있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고정체는 중심부에 상기 통기구의 단면적 이상의 단면적을 가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주위로 상기 필터고정체의 상측 및 하측으로 모두 돌출되는 하부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고정체 위로 상기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통기구의 면적은 상기 뚜껑의 면적의 5.5~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균사 병 배양기용 뚜껑.
  3. 상부가 폐쇄된 상부파트와, 상기 상부파트와 결합되고 병과 결합할 수 있으며 통기구가 형성된 하부파트와, 상기 상부파트와 상기 하부파트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트는 상부가 폐쇄된 원통상의 상부몸체를 가지고,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와의 간극을 유지할 수 있는 상부간극돌기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 외측에는 상기 하부파트와 결합할 수 있는 상부체결돌기가 일정한 피치로 두고 형성되고,
    상기 하부파트는 디스크 형상의 하부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에는 병의 주둥이와 체결될 수 있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부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체결돌기와 체결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부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의 중앙부에는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상기 통기구의 주변으로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돌기와 하부돌출턱이 형성되고,
    측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지지돌기의 외측으로 주변돌기가 일정한 피치로 배치되며,
    상기 필터는 상기 하부지지돌기와 상기 상부간극돌기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돌출턱은 상측 및 하측으로 모두 돌출되며,
    상기 통기구의 면적은 상기 뚜껑의 면적의 5.5~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균사 병 배양기용 뚜껑.
  4. 삭제
KR1020090055156A 2009-06-19 2009-06-19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 KR101211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156A KR101211496B1 (ko) 2009-06-19 2009-06-19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156A KR101211496B1 (ko) 2009-06-19 2009-06-19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831A KR20100136831A (ko) 2010-12-29
KR101211496B1 true KR101211496B1 (ko) 2012-12-12

Family

ID=4351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156A KR101211496B1 (ko) 2009-06-19 2009-06-19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4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0565A (zh) * 2013-05-17 2013-08-21 连云港振兴压力容器有限公司 一种食用菌培养基套袋填料压实打孔一体机
KR200477853Y1 (ko) * 2013-11-26 2015-07-29 이성태 버섯종균 배양용 뚜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41Y1 (ko) * 1999-07-29 2000-02-15 이경군 버섯재배용기의이중통풍장치
KR200323730Y1 (ko) * 2003-05-29 2003-08-19 주식회사 세림프라스틱 버섯재배용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41Y1 (ko) * 1999-07-29 2000-02-15 이경군 버섯재배용기의이중통풍장치
KR200323730Y1 (ko) * 2003-05-29 2003-08-19 주식회사 세림프라스틱 버섯재배용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0565A (zh) * 2013-05-17 2013-08-21 连云港振兴压力容器有限公司 一种食用菌培养基套袋填料压实打孔一体机
KR200477853Y1 (ko) * 2013-11-26 2015-07-29 이성태 버섯종균 배양용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831A (ko)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97381B (zh) 一种固体菌种液化种植海鲜菇的方法
RU2654324C2 (ru) Резервуар и способ для коммерческого выращивания, хранени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или продажи грибов
CN109392592B (zh) 一种桑黄栽培方法
CN102523917A (zh) 一种草菇栽培方法
CN111788988B (zh) 一种高效人工培育灵芝的方法及其装置
KR101211496B1 (ko)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
CN104186202A (zh) 一种工厂化生产香菇透气菌包的方法
KR20200012367A (ko) 꽃송이 버섯 재배방법
CN1074241C (zh) 培养容器及使用其生产马铃薯微型薯等植物材料的方法
KR101632393B1 (ko)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101018145B1 (ko)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CN215935771U (zh) 一种野生灵芝用多功能培育箱
KR100897522B1 (ko) 느타리버섯 재배용 침공 멀칭비닐백 및 이를 이용한버섯재배방법
KR20200063376A (ko)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버섯류 재배 키트
KR101693460B1 (ko) 꽃송이버섯 종균 대량 접종 시스템
CN107996292A (zh) 一种脆度高的金针菇的培育方法
KR200474879Y1 (ko) 버섯 배양기
CN110583364B (zh) 丁形深口双膜立体培养代料桑黄的方法
CN102657136A (zh) 一种利用手套箱室内大量饲养食用菌螨虫的方法
KR20010036047A (ko) 버섯 재배용 배양병과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KR100287990B1 (ko)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KR101007749B1 (ko) 액상 버섯종균 배양탱크
KR100226632B1 (ko) 상황버섯의 재배방법
KR20060066236A (ko) 상황버섯의 재배장치 및 그 재배방법
KR20190056328A (ko) 미세기공이 형성된 버섯 배양용 봉지를 이용한 버섯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